KR20140072517A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72517A KR20140072517A KR1020120140128A KR20120140128A KR20140072517A KR 20140072517 A KR20140072517 A KR 20140072517A KR 1020120140128 A KR1020120140128 A KR 1020120140128A KR 20120140128 A KR20120140128 A KR 20120140128A KR 20140072517 A KR20140072517 A KR 201400725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right cases
- vehicle
- door
- m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ZFXYFBGIUFBOJW-UHFFFAOYSA-N theophylline Chemical compound O=C1N(C)C(=O)N(C)C2=C1NC=N2 ZFXYFBGIUFBOJ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8—Connections between housing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60H1/00685—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the door being a rotating disc or cylinder or part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Manufacturing or assemb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측케이스의 조립면에 상기 조립면의 처짐방향을 처짐의 반대방향으로 유도하는 처짐방지부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상기 좌,우측케이스의 조립시 상기 좌,우측케이스의 조립면 부위가 처짐의 반대방향으로 유도되며, 이로인해 차량측 부품의 하중이 좌,우측케이스의 조립부위에 작용하더라도 상기 좌,우측케이스의 조립면 부위가 모드도어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모드도어와 공조케이스간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모드도어를 균일한 조작감 및 작동력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서 공기토출모드를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The assembly surface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cases are guid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agging direction so that even when the loads of the vehicle side components act on the assembled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cases, And the mode door can be operated with a uniform operation feeling and operating force so that the air discharge mode can be smoothly implemented. will b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측케이스의 조립면에 상기 조립면의 처짐방향을 처짐의 반대방향으로 유도하는 처짐방지부를 돌출 형성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의 실내를 냉방하기 위한 냉방시스템과, 차량의 실내를 난방하기 위한 난방시스템을 포함한다.The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includes a cooling system for cool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a heating system for heat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냉방시스템은 압축기의 구동에 의하여 응축기, 리시버 드라이어(Receiver Dryer),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거쳐 다시 압축기로 순환하는 냉매와, 송풍기에 의해 증발기 표면을 거치는 송풍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상기 송풍공기가 냉기로 바뀌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의 실내를 냉방하도록 구성된다.In the cooling system, by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refrigerant circulated to the compressor again through the condenser, the receiver dryer, the expansion valve, and the evaporator by the compressor, and the blowing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surface by the blower, And is discharg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thereby cooling the inside of the vehicle.
또한, 난방시스템은 냉각수를 히터코어로 유입하여 송풍기와 열교환시킴으로써, 차량 실내를 난방하도록 구성된다.Further, the heating system is configured to heat the vehicle interior by introducing the cooling water into the heater core and exchanging heat with the blower.
이러한 차량용 공조장치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Such a vehicle air conditioner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types.
그 한 가지로,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 유니트가 각각 별도의 유니트로 구성되어 결합된 쓰리 피스 타입(Three Piece Type)의 공조장치를 들 수 있는데, 이 공조장치의 경우에는 그 크기가 커지게 되어 차량 실내 공간의 활용도가 떨어짐은 물론 생산성 저하 등 각종 문제점을 안고 있다.One example is a three piece 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a blower unit, an evaporator unit, and a heater unit are each composed of separate units. In the case of this air conditioner, As a result, not only the utilization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is lowered but also the productivity is lowered.
따라서, 차량 실내 공간의 효율성 증대를 위하여 차량 공조장치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는데,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최근에는 증발기 유니트와 히터 유니트가 일체화된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Semi-Center Mountion type)의 공조장치 또는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 유니트가 일체화된 센터 마운팅 타입(Center Mounting Type)의 공조장치의 적용이 증가되고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vehicle interior space, there has been a demand for miniaturization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In response to this demand, recently, an air conditioner of a semi-center mounting type in which an evaporator unit and a heater unit are integrated The application of a center mounting type air conditioner having an integrated blower unit, an evaporator unit, and a heater unit is increasing.
도 1 에는 종래 세미 센터 타입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송풍기 유니트의 도시는 생략하였다.FIG. 1 show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semi-center typ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wherein the illustration of the blower unit is omitted.
도 1 에 도시된 차량용 공조장치(1)는 출구측에 모드도어(14,15)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공기토출구인 디프로스트 벤트(11), 페이스 벤트(12) 및 플로어 벤트(13)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입구측에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미도시)와; 상기 공조케이스(10)에 내장되는 증발기(2) 및 히터코어(3)와; 그리고 증발기(2)를 거친 냉기와 히터코어(3)를 거친 온기의 혼합되는 양을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includes a
상기 공조케이스(10), 서로 분할된 좌,우측케이스(10a,10b)가 조립되어 구성된다.The
여기서, 상기 온도조절도어(20)와 모드도어(14,15)로는 플랫 타입(Flat Type), 돔 타입(Dome Type), 슬라이딩 타입(Sliding Type) 등이 설치되고 있으며, 도 1에는 슬라이딩 타입 온도조절도어(20) 및 모드도어(14)가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The
상기 온도조절도어(20)는,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 양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1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면에 기어부(21a)가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21)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양측면에 형성된 관통공(미도시)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슬라이딩 도어(21)의 기어부(21a)와 기어결합되도록 기어부(22a)가 형성되어 슬라이딩 도어(21)를 작동시키는 기어샤프트(22)로 이루어진다.The
이러한 온도조절도어(20)는 냉풍통로(P1)와 온풍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여 냉풍과 온풍의 혼합되는 양을 조절하게 된다.The
또한, 상기 모드도어(14) 역시 상기 온도조절도어(20)와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간략히 설명하면,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 양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도어(14a)와, 상기 슬라이딩 도어(14a)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14a)와 맞물리는 기어샤프트(14b)로 이루어진다.The
한편, 도 1은 슬라이딩형 모드도어(14) 외에 플랫형 모드도어(15)가 함께 설치된 경우를 일예로 도시한 것이다.FIG. 1 shows an example in which a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공조장치(1)에 의하면, 최대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도어(20)는 냉풍통로(P1)를 개방함과 아울러 온풍통로(P2)를 폐쇄하게 된다. 또한, 최대난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도어(20)는 냉풍통로(P1)를 폐쇄함과 아울러 온풍통로(P2)를 개방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따라서, 최대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2)의 표면을 거치면서 증발기(2)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풍으로 바뀐 뒤, 냉풍통로(P1)를 통해 믹싱 챔버(Mixing Chamber, MC)쪽으로 유동하여, 공기토출모드(벤트 모드, 플로어모드, 디프로스트 모드, 바이레벨모드, 믹스모드)에 따라 상기 모드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벤트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냉방이 수행된다.Therefore, when the maximum cooling mode is activated, the air blown by the blower (not shown) undergoes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interior of the
또한, 최대난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송풍공기는 온풍통로(P2)를 통하여 히터코어(3)를 거치면서 히터코어(3)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풍으로 바뀐 뒤, 믹싱 챔버(MC)쪽으로 유동하여, 공기토출모드에 따라 상기 모드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벤트를 통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난방이 수행된다.When the maximum heating mode is activated, the blowing air is heat-exchanged with the cooling water flowing in the
한편, 믹싱모드가 가동될 경우에,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도조절도어(20)는 중립위치로 회전하여, 상기 냉풍통로(P1) 및 상기 온풍통로(P2)를 모두 개방시킨다. 따라서, 증발기(2)를 거친 냉풍과 히터코어(3)를 거친 온풍이 믹싱 챔버(MC) 쪽으로 유동하여 혼합되면서, 공기토출모드에 따라 상기 모드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벤트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ixing mode is activated, as shown in FIG. 1, the
그러나, 상기 공조케이스(10)는 차량에 조립시, 공조케이스(10)의 공기토출구측 상단에 차량측 부품(5)이 안착되게 되며, 상기 차량측 부품(5)에 의해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상단에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However, when the
이처럼,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상단에 차량측 부품(5)이 안착되어 하중이 가해질 경우, 도 2와 같이, 좌,우측케이스(10a,10b)의 조립부위(6)가 상기 모드도어(14)의 슬라이딩 도어(14a)측으로 처지게 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14a)와 공조케이스(10)간 간격이 불균일하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모드도어(14)의 작동시 작동력이 증가함은 물론 조작감 및 작동력이 불균일하게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When the vehicle-
또한, 상기 차량측 부품(6)이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상단을 과도하게 누를 경우에는 상기 모드도어(14)의 슬라이딩 도어(14a)가 각 공기토출모드별 정위치에 위치하지 못해 정상적인 공기토출모드 구현이 어려운 문제도 있다.When the vehicle-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좌,우측케이스의 조립면에 상기 조립면의 처짐방향을 처짐의 반대방향으로 유도하는 처짐방지부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상기 좌,우측케이스의 조립시 상기 좌,우측케이스의 조립면 부위가 처짐의 반대방향으로 유도되며, 이로인해 차량측 부품의 하중이 좌,우측케이스의 조립부위에 작용하더라도 상기 좌,우측케이스의 조립면 부위가 모드도어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모드도어와 공조케이스간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모드도어를 균일한 조작감 및 작동력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서 공기토출모드를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assembling a left and a right case, The right and left assembled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cases are guid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agging direction so that even if the load of the vehicle-side component acts on the assembled parts of the left and right cases, The mode doo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agged, the interval between the mode door and the air conditioning case can be maintained, and the mode door can be operated with uniform operation feeling and operating force, thereby realizing an air discharge mode smoothly hav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유입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복수개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좌,우측케이스가 조립되어 이루어진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내의 공기토출구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기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모드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드도어의 상부측 좌,우측케이스의 조립면에는, 차량측 부품의 하중에 따른 상기 조립면의 처짐방향을 처짐의 반대방향으로 유도하는 처짐방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좌,우측케이스의 조립면 부위가 상기 모드도어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n air conditioner case having an air inlet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plurality of air outlets formed on the other side thereof for discharging inflowed air, And a mode door that is slidably installed below the air outlet so as to adjust the opening of the air outlet, wherein a mounting surface of the upper left and right cases of the mode door is provided with a load A sagging preventing portion for guiding the sagging direction of the assembling surfa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sagging is protruded so as to prevent the assembling surface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cases from being sagged toward the mode door.
본 발명은, 좌,우측케이스의 조립면에 상기 조립면의 처짐방향을 처짐의 반대방향으로 유도하는 처짐방지부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상기 좌,우측케이스의 조립시 상기 좌,우측케이스의 조립면 부위가 처짐의 반대방향으로 유도되며, 이로인해 차량측 부품의 하중이 좌,우측케이스의 조립부위에 작용하더라도 상기 좌,우측케이스의 조립면 부위가 모드도어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ag prevention unit for guiding the sagging direction of the assembling surfa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deflection is formed on the assembling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cases so that, when assembling the left and right cases, So that even if the load of the vehicle-side component acts on the assembled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cases, the assembly surface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case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queezed toward the mode door.
또한, 상기 좌,우측케이스의 조립면 부위가 모드도어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상기 모드도어와 공조케이스간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고, 상기 모드도어를 균일한 조작감 및 작동력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서 공기토출모드를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distance between the mode door and the air conditioning case by preventing the assembling surface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cases from being sagged toward the mode door, and the mode door can be operated with a uniform operation feeling and operating force, Can be smoothly implemented.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공조케이스 상단에 차량측 부품의 하중이 작용하여 좌,우측케이스의 조립부위가 처지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공조케이스의 상부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모드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좌,우측케이스의 조립시 조립면 부위가 처짐 반대방향으로 유도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좌,우측케이스의 조립면 부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냉방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난방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믹싱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utomotive air conditioner,
Fig. 2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a load of the vehicle-side component acts on the upper end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of Fig. 1 to slacken the assembled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cases;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part of the air conditioner case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e door in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ase where an assembling surface portion is guid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deflection when assembling left and right cases in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assembled surface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cases in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oling mode in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heating mode in the automotiv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ixing mode in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일측(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타측(출구측)에는 유입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복수개의 공기토출구(116)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공기유입구(111)와 공기토출구(116)를 연결하는 공기통로(110c)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 내부의 공기통로(110c)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와,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공기통로(110c)상에 설치되는 온도조절도어(120) 및 모드도어(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여기서, 상기 온도조절도어(12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에서 상기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 사이의 공기통로(110c)상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는 냉풍통로(P1)와 상기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온풍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게 되고, 상기 모드도어(13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공기통로(110c)상에서 상기 복수개의 공기토출구(116)가 분기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공기토출구(116)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The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좌,우로 분할 형성된 좌,우측케이스(110a,110b)가 서로 조립되어 구성되며, 이때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하부에는 일체형의 하부케이스(110d)가 조립될 수도 있다.The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1)에는 내,외기 전환도어(미도시)에 의해 개폐되는 내기유입구(미도시)와 외기유입구(미도시)를 통해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여 송풍하는 송풍장치(106)가 설치된다.The indoor air or the outside air is selectively introduced into the
상기 송풍장치(106)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1)와 연결되는 스크롤케이스(107)와, 상기 스크롤케이스(107)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1)측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블로어(108)와, 상기 스크롤케이스(107)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내,외기유입구가 형성된 인테이크덕트(109)로 이루어진다.The
또한, 상기 복수개의 공기토출구(116)는, 차량의 앞유리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112)와, 앞좌석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페이스 벤트(113)와,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플로어 벤트(114)가 차례로 형성된다.The plurality of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와 페이스 벤트(113)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상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플로어 벤트(114)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후방측에 형성된다.The
상기 페이스 벤트(113)는, 센터벤트(113a)와 사이드벤트(113b)로 분할되어 형성되는데, 즉, 상기 페이스 벤트(113)의 내부 중앙측에는 차량 실내의 중앙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센터벤트(113a)가 형성되고, 상기 센터벤트(113a)의 양측에는 차량 실내의 양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사이드벤트(113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센터벤트(113a)와 사이드벤트(113b)는 복수개의 격벽에 의해 서로 구획되어 있다.The
한편, 상기 히터코어(102)의 후방측 온풍통로(P2)와 상기 플로어 벤트(114)의 사이에는 구획벽(117)이 형성되어 서로 구획되어 있다.Meanwhile, a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도어(120)와 모드도어(13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외측면에 설치된 액츄에이터 또는 케이블타입 컨트롤러 등과 같은 구동수단(170)에 연결되어 작동하면서 상기 냉,온풍통로(P1)(P2)와 상기 각 벤트(112~114)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The
상기 온도조절도어(12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어샤프트(121)와, 상기 기어샤프트(121)에 맞물림과 아울러 기어샤프트(121)의 회전시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를 상,하로 슬라이딩 작동하면서 냉풍통로(P1)와 온풍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 슬라이딩 도어(122)로 구성된다.The
상기 모드도어(13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공기토출구(116)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기어샤프트(140)와 슬라이딩 도어(150)로 구성된다.The
상기 기어샤프트(14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양단부에는 기어부(141)가 각각 형성된다.The
상기 기어샤프트(140)의 기어부(141)는 후술하는 슬라이딩 도어(150)의 기어홈(152)과 맞물리게 조립되어 슬라이딩 도어(150)를 작동시키게 된다.The
여기서, 상기 기어샤프트(140)는, 상기 복수개의 공기토출구(116) 중 상기 페이스 벤트(113)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에서부터 플로어 벤트(114)의 사이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도어(150)의 이동 경로 중앙인 상기 페이스 벤트(113)의 하부측에 상기 기어샤프트(140)를 배치함으로써, 전체 공기토출모드에 걸쳐 슬라이딩 도어(15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Here, the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는, 곡면 형태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공기토출구(116)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기어샤프트(140)의 기어부(141)와 맞물려 슬라이딩 작동하면서 상기 각 벤트(112~114)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The sliding
이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는 상기 복수개의 공기토출구(116)가 분기되는 공조케이스(110)의 내측면측에 밀착되어 슬라이딩 작동하게 되면서 복수개의 공기토출구(116)인 디프로스트 벤트(112), 페이스 벤트(113), 플로어 벤트(114)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The sliding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의 양단부측에는 상기 기어샤프트(140)의 기어부(141)와 맞물리도록 슬라이딩 도어(15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복수개의 기어홈(152)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또한,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의 양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양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의 양단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레일홈부(118)가 형성된다.A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 및 레일홈부(118)는 동일 반경을 갖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는 상기 공기토출구(116)측에 밀착되게 설치된다.The sliding
즉,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에 작용하는 풍압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의 상측면(곡면)이 상기 공기토출구(116)측 공조케이스(110) 내측면에 밀착되어 면접촉하게 된다.That is, the upper surface (curved surface) of the sliding
따라서, 상기 기어샤프트(140)의 회전시,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가 상기 레일홈부(118)를 따라 슬라이딩 작동하면서 상가 각 벤트(112~114)의 개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개방된 특정 벤트 외에 다른 벤트로 공기가 리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는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되며, 두께는 작동 및 내구성에 문제가 없는한 최대한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liding
한편,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에는, 슬라이딩 도어(150)의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 상기 각 벤트(112~114)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개구부(151)가 관통 형성된다.The sliding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를 차량측에 조립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상단 즉,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 및 페이스 벤트(113)측 공조케이스(110)의 상단에는 차량측 부품(5)이 안착되어 밀착되게 된다.When the
이때, 상기 차량측 부품(5)은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 및 페이스 벤트(113)측 공조케이스(110)의 상단 전체면에 안착되는데, 이로인해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상단면 중 구조적으로 취약한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조립면(119) 부위가 상기 차량측 부품(5)의 누르는 하중으로 인해 상기 모드도어(130)의 슬라이딩 도어(150)측으로 처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vehicle-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측 부품(5)의 하중에 따른 상기 조립면(119)의 처짐방향을 처짐의 반대방향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모드도어(130)의 상부측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조립면(119)에 처짐방지부(160)가 돌출 형성하여,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조립면(119) 부위가 상기 모드도어(130)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upper left and
상기 처짐방지부(160)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조립면(119)에 각각 상대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 조립면(119)을 일정간격 이격시키게 된다.The
또한,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조립면(119)에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를 볼트(119b) 결합할 수 있도록 볼트결합부(119a)가 형성되는데, 상기 볼트결합부(119a)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조립면(119)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된다.A
상기 복수개의 볼트결합부(119a) 중 하나는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와 페이스 벤트(113)를 구획하는 격벽(112a)의 조립면(119)에 형성된다.One of the plurality of
따라서,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를 서로 조립한 후에,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볼트결합부(119a)를 볼트(119b) 체결하게 된다.Therefore, after the left and
이때, 상기 처짐방지부(160)는, 상기 볼트결합부(119a)의 상부측 좌,우측케이스(110a,110b) 조립면(119)에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이로인해,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를 조립하게 되면 상기 볼트결합부(119a)의 상부측은 조립면(119)에 돌출 형성된 상기 처짐방지부(160)가 서로 맞닿아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볼트결합부(119a)의 하부측은 조립면(119)이 서로 이격된 상태가 된다.Therefore, when the left and
이 상태에서 상기 볼트결합부(119a)를 볼트(119b) 체결하게 되면, 상기 볼트(119b)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조립면(119) 부위가 처짐의 반대방향으로 유도되면서 조립되게 된다. 다시말해,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조립면(119) 부위가 약간 상승하면서 조립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when the
이처럼,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상부에 차량측 부품(5)이 장착되어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조립면(119) 부위가 처짐의 반대방향으로 유도된 상태이므로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조립면(119) 부위가 모드도어(130)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Even if the vehicle-
또한,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조립면(119) 부위가 모드도어(130)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상기 모드도어(130)와 공조케이스(110)간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고, 상기 모드도어(130)를 균일한 조작감 및 작동력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서 공기토출모드를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다.The gap between the
즉, 상기 모드도어(130)의 기어샤프트(140)를 케이블타입 컨트롤러로 조작시 균일한 조작감 및 작동력으로 인해 탑승자의 조작감을 더욱 향상하게 되고, 아울러 상기 기어샤프트(140)를 액츄에이터로 구동할 경우에는 액츄에이터의 부하를 더욱 줄일 수 있다.That is, when the
그리고,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조립면(119)에 각각 형성된 처짐방지부(160)의 서로 맞닿는 면에는, 상기 조립면(119)의 처짐방향을 처짐의 반대방향으로 원활하게 유도하도록 경사면(161)이 형성된다.The sagging direction of the assembling
이때, 상기 처짐방지부(160)의 서로 맞닿는 경사면(161)은,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조립후 볼트(119b)로 체결하게 되면,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조립면(119)에 각각 형성된 처짐방지부(160)의 경사면(161)이 서로 맞닿게 되면서,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조립면(119) 부위가 처짐의 반대방향으로 더욱 원활하게 유도되는 것이다.
When the left an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최대냉방모드, 최대난방모드, 믹싱모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공기토출모드는 상기 모드도어(130)의 슬라이딩 도어(150)가 페이스벤트(113)를 개방하는 벤트모드인 경우를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maximum cooling mode, the maximum heating mode, and the mixing mod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air discharge mode, the sliding
가. 최대냉방모드end. Maximum cooling mode
최대냉방모드는 도 9와 같이, 상기 온도조절도어(120)의 기어샤프트(121)의 작동으로 슬라이딩 도어(122)가 하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며, 이로인해 냉풍통로(P1)는 개방되고 온풍통로(P2)는 폐쇄된다.In the maximum cooling mode, as shown in FIG. 9, the sliding
따라서, 송풍장치(106)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풍으로 바뀌게 된다.Therefore, air blown by the
상기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각된 냉풍은 온도조절도어(120)에 의해 개방된 냉풍통로(P1)를 통해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한 후, 상기 모드도어(130)에 의해 개방된 페이스벤트(113)로 토출되어 차실내를 냉방하게 된다.
The cold air cooled by the
나. 최대난방모드I. Maximum heating mode
최대난방모드는 도 10과 같이, 상기 온도조절도어(120)의 기어샤프트(121)의 작동으로 슬라이딩 도어(122)가 상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며, 이로인해 냉풍통로(P1)는 폐쇄되고 온풍통로(P2)는 개방된다.10, the sliding
따라서, 송풍장치(106)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101)를 통과한 후 온도조절도어(120)에 의해 개방된 온풍통로(P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히터코어(102)와 열교환을 통해 온풍으로 바뀐 뒤, 상기 모드도어(130)에 의해 개방된 페이스벤트(113)로 토출되어 차실내를 난방하게 된다.
Therefore, the air blown by the
다. 믹싱모드All. Mixing mode
믹싱모드는 도 11과 같이, 상기 온도조절도어(120)의 기어샤프트(121)의 작동으로 슬라이딩 도어(122)가 중립위치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며, 이로인해 냉풍통로(P1) 및 온풍통로(P2)가 모두 개방된다.11, the sliding
따라서, 송풍장치(106)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풍으로 바뀌게 된다.Therefore, air blown by the
상기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각된 냉풍 중 일부는 냉풍통로(P1)를 통해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게 되고, 일부는 온풍통로(P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히터코어(102)와 열교환을 통해 온풍으로 바뀌게 된다.A part of the cold air cooled through the
계속해서, 상기 냉풍통로(P1)를 통과한 냉풍과 상기 온풍통로(P2)를 통과한 온풍은 믹싱챔버(MC)에서 서로 혼합된 후, 상기 모드도어(130)에 의해 개방된 페이스벤트(113)로 토출되어 차실내를 적절한 온도로 조절하게 된다.
The cool air passing through the cool air passage P1 and the warm air passing through the warm air passage P2 are mixed with each other in the mixing chamber MC and then 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조립면(119)에 상기 조립면(119)의 처짐방향을 처짐의 반대방향으로 유도하는 처짐방지부(160)를 돌출 형성한 구성을 센터마운팅 타입 공조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세미 센터 타입 공조장치, 좌,우 독립 공조장치 등 다양한 공조장치에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100: 공조장치 101: 증발기
102: 히터코어
110: 공조케이스 110a: 좌측케이스
110b: 우측케이스 110c: 공기통로
110d: 하부케이스
111: 공기유입구
112: 디프로트스 벤트 113: 페이스 벤트
114: 플로어 벤트 116: 공기토출구
117: 구획벽 118: 레일홈부
119: 조립면 120: 온도조절도어
130: 모드도어 140: 기어샤프트
141: 기어부 150: 슬라이딩 도어
151: 개구부 160: 처짐방지부
161: 경사면 170: 구동수단100: air conditioner 101: evaporator
102: heater core
110:
110b:
110d: Lower case
111: air inlet
112: Dipot Provent 113: Face Vent
114: floor vent 116: air outlet
117: partition wall 118: rail groove
119: Assembly surface 120: Temperature control door
130: Mode door 140: Gear shaft
141: gear portion 150: sliding door
151: opening 160:
161: slope 170: drive means
Claims (5)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공기토출구(116)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기토출구(116)의 개도를 조절하는 모드도어(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드도어(130)의 상부측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조립면(119)에는, 차량측 부품(5)의 하중에 따른 상기 조립면(119)의 처짐방향을 처짐의 반대방향으로 유도하는 처짐방지부(160)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조립면(119) 부위가 상기 모드도어(130)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An air conditioner case 110 in which an air inlet 111 is formed at one side and a plurality of air discharging holes 116 are formed at the other side to discharge inflow air and left and right cases 110a and 110b are assembled,
And a mode door (130) slidably installed under the air outlet (116)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o adjust the opening of the air outlet (116)
On the mounting surface 119 of the upper left and right cases 110a and 110b of the mode door 130, the deflection direction of the mounting surface 119 in accordance with the load of the vehicle- And the sagging preventing portion 160 is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mode door 130 to guide the assembly surface 119 of the left and right cases 110a and 110b to the mode door 130. [ Device.
상기 처짐방지부(160)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조립면(119)에 각각 상대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 조립면(119)을 일정간격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flection preventing portion 160 is protruded from the fitting surface 119 of the left and right cases 110a and 110b to mating surfaces so that the fitting surfaces 119 of the left and right cases 110a and 110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airbag is separated from the airbag.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조립면(119)에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를 볼트(119b) 결합할 수 있도록 볼트결합부(119a)가 형성되고,
상기 처짐방지부(160)는, 상기 볼트결합부(119a)의 상부측 좌,우측케이스(110a,110b) 조립면(119)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A bolt coupling portion 119a is formed on the fitting surface 119 of the left and right cases 110a and 110b so that the left and right cases 110a and 110b can be coupled with the bolts 119b,
Wherein the slack prevention part 160 is formed on an assembling surface 119 of the upper left and right cases 110a and 110b of the bolt coupling part 119a.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조립면(119)에 각각 형성된 처짐방지부(160)의 서로 맞닿는 면에는, 상기 조립면(119)의 처짐방향을 처짐의 반대방향으로 원활하게 유도하도록 경사면(16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sagging direction of the assembling surface 119 is smoothly guid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agging on the abutting surfaces of the sag prevention parts 160 formed on the assembling surfaces 119 of the left and right cases 110a and 110b And a slope surface (161) is formed on the slope surface (161).
상기 처짐방지부(160)의 서로 맞닿는 경사면(161)은,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clined surface (161) of the slack prevention part (160) abutting on each other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0128A KR101889326B1 (en) | 2012-12-05 | 2012-12-05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0128A KR101889326B1 (en) | 2012-12-05 | 2012-12-05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72517A true KR20140072517A (en) | 2014-06-13 |
KR101889326B1 KR101889326B1 (en) | 2018-08-17 |
Family
ID=51126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40128A Active KR101889326B1 (en) | 2012-12-05 | 2012-12-05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9326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05723A (en) * | 1997-05-07 | 1998-11-17 | Denso Corp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JP2000006956A (en) * | 1998-06-23 | 2000-01-11 | Mita Ind Co Ltd | Packaging container |
JP2008006956A (en) * | 2006-06-29 | 2008-01-17 | Denso Corp | Engagement structure for air conditioner case |
JP4360099B2 (en) * | 2003-02-10 | 2009-11-11 | 株式会社デンソー | Air conditioner |
-
2012
- 2012-12-05 KR KR1020120140128A patent/KR10188932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05723A (en) * | 1997-05-07 | 1998-11-17 | Denso Corp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KR19980086605A (en) * | 1997-05-07 | 1998-12-05 | 가미야 마사시 | Car air conditioner |
JP2000006956A (en) * | 1998-06-23 | 2000-01-11 | Mita Ind Co Ltd | Packaging container |
JP4360099B2 (en) * | 2003-02-10 | 2009-11-11 | 株式会社デンソー | Air conditioner |
JP2008006956A (en) * | 2006-06-29 | 2008-01-17 | Denso Corp | Engagement structure for air conditioner case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4360099호(2009.11.11.) 1부.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89326B1 (en) | 2018-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95244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467266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319437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941052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572572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705708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510125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20150028047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449955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889326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703661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KR101176824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544876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20130066861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714455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484716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714469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971943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463495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474828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737922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906826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511509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544875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941044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0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4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2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23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8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