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71834A -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1834A
KR20140071834A KR1020120139894A KR20120139894A KR20140071834A KR 20140071834 A KR20140071834 A KR 20140071834A KR 1020120139894 A KR1020120139894 A KR 1020120139894A KR 20120139894 A KR20120139894 A KR 20120139894A KR 20140071834 A KR20140071834 A KR 20140071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tank
line
valve
water intak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2804B1 (ko
Inventor
김창진
신유진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9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804B1/ko
Publication of KR20140071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80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02F2209/006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comprising a software program or a logic diagra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4Flow arrangements
    • C02F2301/043Treatment of partial or bypass stre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8Removal of treatment agents after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탱크 내부를 균일하게 살균시킬 수 있으며 탱크들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을 내열성이 높은 고가의 재질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에서 버려지는 폐수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생성함으로써 물의 낭비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는, 원수를 여과하기 위해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을 서로 다른 온도로 각각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 상기 제1저장탱크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제2저장탱크를 거쳐 상기 제1저장탱크로 순환하도록 연결된 순환유로;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순환유로를 통해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 상기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에서 배출된 폐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에 살균수를 공급하기 위한 살균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본 발명은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살균수를 이용하여 물탱크 및 배관 내부를 살균할 수 있는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발달로 인한 수질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면서, 최근에는 정수기로 정화된 물을 식수로 사용하거나, 시중에서 판매되는 생수를 식수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 정수기는 수돗물과 같은 원수를 침전, 여과, 살균, 흡착 등의 과정을 거쳐 원수에 포함된 중금속 및 기타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러한 정수기는 일반가정용 및 업소용뿐만 아니라 최첨단 과학산업이나 초정밀전자부품의 세척용 또는 의료용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자연수와 같은 원수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원수밸브와, 상기 원수밸브를 통과한 원수 중의 찌꺼기를 여과하게 되는 전처리 침전 필터와, 원수 중의 염소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프리 카본 필터와, 상기 프리 카본 필터를 통과한 정수에 포함된 염소 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포스트 카본 필터와, 상기 포스트 카본 필터를 통과한 정수에 포함된 세균 및 기타 미립자를 제거하기 위한 중공사막 필터와, 상기 중공사막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물탱크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정수처리장에서는 물속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염소계 살균소독제를 투여하는데, 상기 살균소독제가 투여된 수돗물이 정수기를 통과하는 동안 프리 카본 필터와 포스트 카본 필터에서 염소성분이 제거된 후 물탱크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물탱크에 저장된 정수는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염소성분이 필터에 의해 제거된 상태이므로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정수를 소비자가 즉시 이용하지 않고 장시간 경과하게 되면 물탱크 내부에 세균이 증식하게 되므로, 이러한 물탱크의 살균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621937에는 필터부와 정수탱크의 사이에 전기분해에 의해 정수수의 살균 및 산화성 혼합물질을 생성하는 전해살균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정수탱크 내부를 살균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개시된 살균시스템에 의하면 전해살균수단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에 먼저 채워지므로 살균을 행하는 시간이 길고, 정수탱크에는 제일 마지막에 채워지므로 살균을 행하는 시간이 짧아져, 각 탱크마다 살균을 행하는 시간상의 불균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온수탱크 내부의 뜨거운 물이 각 탱크들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으로 직접 유입될 경우 배관의 내열성에 있어서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배관에는 내열성이 높은 재질을 사용함으로 인해 제품의 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가 필터부에 구비된 경우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를 통과하면서 원수에 포함된 용존 이온성 물질이 제거되므로 전해살균수단을 통과하는 동안 충분한 양의 살균물질이 생성되지 않을 수 있어 살균효율이 떨어지고,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로 입수된 원수 중 폐수로 버려지는 물의 양과 정수되는 양 비율이 8 : 2가 되므로 물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복수의 탱크 내부를 균일하게 살균시킬 수 있으며 탱크들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을 내열성이 높은 고가의 재질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에서 버려지는 폐수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생성함으로써 물의 낭비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는, 원수를 여과하기 위해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을 서로 다른 온도로 각각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 상기 제1저장탱크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제2저장탱크를 거쳐 상기 제1저장탱크로 순환하도록 연결된 순환유로;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순환유로를 통해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 상기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에서 배출된 폐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에 살균수를 공급하기 위한 살균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저장탱크는, 상온의 물을 저장하는 상부공간과 냉수를 저장하는 하부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하부공간의 물이, 상기 하부공간과 사용자에게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수취수밸브 사이를 연결하는 냉수취수라인, 및 상기 제2저장탱크와 사용자에게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취수밸브 사이를 연결하는 온수취수라인을 순차 경유한 후 상기 제2저장탱크로 유입되고, 상기 제2저장탱크의 물이 배출되어 상기 제1저장탱크로 다시 유입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제2저장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제2저장탱크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제1저장탱크로 유입되도록 연결된 순환라인과, 상기 상부공간의 물이 상기 순환라인으로 공급되도록 연결된 제1연결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상부공간과 사용자에게 상부공간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정수취수밸브 사이를 연결하는 정수취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저장탱크와 상기 제2저장탱크는 상기 정수취수밸브와 냉수취수밸브와 온수취수밸브의 온(On)시에 상기 정수취수라인과 냉수취수라인과 온수취수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상부공간과 사용자에게 상부공간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정수취수밸브 사이를 연결하는 정수취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정수취수밸브와 냉수취수밸브와 온수취수밸브는 하나의 취수구에 연결되고, 상기 취수구와 상기 취수밸브들 사이에는 취수차단밸브가 구비되며, 살균모드시 상기 정수취수라인과 정수취수밸브 및 냉수취수라인과 냉수취수밸브를 통해 유입된 살균수는 상기 취수차단밸브와 상기 취수밸브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취수밸브들을 상호 연통시키는 출수부연결유로를 경유하여 상기 온수취수밸브 및 온수취수라인을 통해 상기 제2저장탱크로 유입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제2저장탱크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제1저장탱크로 유입되도록 연결된 순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라인 상에서 분기되어 외부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수라인, 상기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의 폐수배출구와 상기 순환라인 연결하며 상기 제1저장탱크 측으로 폐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1폐수라인차단밸브가 설치된 제1폐수라인, 상기 제1폐수라인 상에서 분기되어 상기 배수라인에 연결되는 제2폐수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제2폐수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폐수의 배출량을 제한하기 위한 폐수조절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공간의 냉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냉수취수구와 상기 제2저장탱크의 온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온수취수구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공간과 냉수취수구 사이에는 냉수취수라인 및 냉수취수밸브가 순차 연결되고, 살균순환시 상기 냉수취수라인을 통해 공급된 상기 하부공간의 물이 상기 온수취수라인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냉수측연결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2저장탱크와 온수취수구 사이에는 온수취수라인 및 온수취수밸브가 순차 연결되고, 살균순환시 상기 냉수측연결밸브를 통과한 물이 상기 온수취수라인을 경유하여 상기 제2저장탱크로 공급되도록 하는 온수측연결밸브가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냉수측연결밸브와 온수측연결밸브는 제2연결라인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라인 상에 상기 살균모듈과 순환펌프가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처리방법은, a) 서로 다른 온도로 저장된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의 물을 혼합하여 외부로 배수시키는 단계; b) 필터부의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에서 배출된 폐수를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에 채우는 단계; c) 순환펌프를 가동시켜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의 폐수를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에 연결된 순환라인을 통해 순환시키면서 살균모듈에서 살균수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 내부의 살균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에서 발생한 폐수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생성함으로써 버려지는 물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고, 폐수에 포함된 용존 이온성 물질을 이용하여 높은 농도의 살균물질을 생성하므로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면서 살균수를 생성하므로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 내부를 균일하게 살균시킬 수 있다.
또한 배수시에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의 물을 혼합하여 배수시킴으로써 뜨거운 물이 곧바로 순환라인 및 순환펌프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열성이 높은 재질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제품 가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순환펌프를 배수라인 전단에 설치함으로써 순환펌프를 배수시에도 사용할 수 있어 별도의 배수펌프를 구비할 필요없이 신속한 배수가 가능하다.
또한 살균순환시 냉수와 온수를 출수하기 위한 냉수취수라인과 온수취수라인 내부를 경유하여 순환시키거나, 정수취수밸브와 냉수취수밸브 및 온수취수밸브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출수부연결유로를 경유하여 순환시킴으로써 수처리장치 내부에 살균이 되지 않는 데드존의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서 출수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3과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에서 배수과정과 폐수 유입과정 및 살균순환과정을 각각 보여주는 도면,
도 6과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에서 배수과정과 폐수 유입과정 및 살균순환과정을 각각 보여주는 도면,
도 9와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에서 배수과정과 폐수 유입과정 및 살균순환과정을 각각 보여주는 도면,
도 12와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에서 배수과정과 폐수 유입과정 및 살균순환과정을 각각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에서 출수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6과 도 17과 도 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에서 배수과정과 폐수 유입과정 및 살균순환과정을 각각 보여주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서 출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는, 원수를 여과하기 위해 다수의 필터(110,120,130,140)로 이루어진 필터부(100), 상기 필터부(100)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200), 상기 저장부(200)에 연결된 순환유로 상에 설치되어 살균수를 공급하기 위한 살균모듈(300), 상기 저장부(200)에 저장된 물을 사용자에게 출수하기 위한 출수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100)는, 원수 중의 찌꺼기를 여과하게 되는 전처리 침전 필터(110)와, 원수 중의 염소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프리 카본 필터(120)와, 상기 프리 카본 필터(120)를 통과한 원수 중에 잔류하는 이온성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30)와, 상기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30)를 통과한 정수 중에 포함된 염소 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포스트 카본 필터(1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30)와 포스트 카본 필터(140)의 전후 배치 순서는 서로 바뀔 수 있고, 상기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30)로 공급되는 원수를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하기 위한 가압용 펌프(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필터들(110,120,130,140) 사이는 다수의 배관(501,502,503)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정수된 물이 이동하는 정수이동라인을 형성하고, 전처리 침전 필터(110)와 프리 카본 필터(120)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501) 상에는 원수의 유입을 단속하기 위한 원수밸브(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수밸브(150)는 전처리 침전 필터(110)의 입구 측에 설치할 수도 있으나, 상기 원수에는 이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원수가 직접 원수밸브(150)로 유입되면 원수밸브(150)의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전처리 침전 필터(110)에서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1차 여과한 후 상기 원수밸브(150)를 통과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필터부(100)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정수공급라인(504)에 의해 상기 포스트 카본 필터(140)와 연결되어 냉수와 정수를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210)와, 상기 제1저장탱크(210)와 연결되어 온수를 저장하는 제2저장탱크(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저장탱크(210)는 상온의 정수가 저장되는 상부공간(210a)과 냉수가 저장되는 하부공간(210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공간(210a)과 하부공간(210b)은 분리판(213)에 의해 구분되며, 상기 분리판(213)의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공간(210b)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정수를 냉수와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순환라인(521)으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유로(214)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공간(210b)의 외측 둘레에는 저장된 정수의 냉각을 위한 냉각코일(도면에 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제2저장탱크(220)의 외측 둘레에는 저장된 정수의 가열을 위한 히터(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냉각코일과 상기 히터가 상기 제1저장탱크(210)의 하부공간(210b)과 상기 제2저장탱크(220)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살균모듈(300)은, 일례로 물을 전기분해하여 원수 속에 포함된 염소이온과 수소, 산소등이 반응하여 HOCl, ClO- 이온 등의 살균물질을 생성하는 것으로, 양전극(도면에 미도시)과 음전극(도면에 미도시)을 가지며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에는 전원공급부(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극에는 백금 또는 이리듐 등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탱크(210)의 정수와 냉수, 제2저장탱크(220)의 온수는 취수부(400)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상기 취수부(400)는, 상기 제1저장탱크(210) 상부공간(210a)에 연결된 정수취수라인(531) 상에 설치되어 정수의 공급을 규제하는 정수취수밸브(410)와, 상기 제1저장탱크(210)의 하부공간(210b)에 연결된 냉수취수라인(532) 상에 설치되어 냉수의 공급을 규제하는 냉수취수밸브(420)와, 상기 제2저장탱크(220)의 상부에 연결된 온수취수라인(533) 상에 설치되어 온수의 공급을 규제하는 온수취수밸브(430)와, 상기 세 개의 취수밸브(410,420,430) 중 어느 하나의 밸브를 통과한 물의 공급을 규제하는 취수차단밸브(440), 상기 취수차단밸브(440)를 통과한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하나의 취수구(4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취수차단밸브(440)는 정수와 냉수 및 온수의 출수시 상기 세 개의 취수밸브(410,420,430) 중 어느 하나의 취수밸브와 함께 개방됨으로써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즉, 정수의 출수시 냉수취수밸브(420)와 온수취수밸브(430)는 오프(Off)되고, 정수취수밸브(410)와 취수차단밸브(440)가 온(On)되어 제1저장탱크(210) 상부공간(210a)의 정수를 취수구(450)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하게 되며, 냉수 및 온수의 출수시에도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출수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정수취수밸브(410)와 냉수취수밸브(420) 및 온수취수밸브(430)는 출수부연결유로(455)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출수부연결유로(455)는 정수취수밸브(410)와 냉수취수밸브(420) 및 온수취수밸브(430)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유로로서, 사용자의 출수 요구가 있는 경우 정수와 냉수 및 온수는 상기 출수부연결유로(455)를 통해 취수구(450)로 공급된다. 상기 정수취수밸브(410)와 냉수취수밸브(420) 및 온수취수밸브(430)는 출수부연결유로(455)를 형성하는 몸체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냉수취수밸브(420)와 온수취수밸브(430)를 이용하여 살균순환 경로를 형성하게 되는데, 살균순환시 정수취수밸브(410)와 취수차단밸브(440)는 오프(Off)시키고, 냉수취수밸브(420)와 온수취수밸브(430)를 온(On)시키면,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저장탱크(210) 하부공간(210b)의 물은 냉수취수밸브(420)를 통해 출수부연결유로(455) 내부로 유입된 후 온수취수밸브(430)로 배출되어 온수취수라인(533)을 경유하여 제2저장탱크(220)의 상부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 및 살균모듈(300) 사이를 살균수가 순환할 수 있도록 순환유로가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순환유로는 제1연결라인(511)과 냉수취수라인(532)과 출수부연결유로(455)와 온수취수라인(533) 및 순환라인(52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연결라인(511)은 일단이 제1저장탱크(210)의 연결유로(214)에 연결되고, 타단이 순환라인(521)에 연결되어, 제1저장탱크(210) 상부공간(210a)의 물이 순환라인(521)에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순환라인(521)은 일단이 상기 제2저장탱크(220)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저장탱크(210)의 상부에 연결된다.
상기 순환라인(521) 상에는 살균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310)와 살균순환시 상기 순환라인(521)으로 물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순환라인차단밸브(340)가 구비되고, 살균모드시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라인(541)이 상기 순환라인(521) 상에서 분기되어 있으며, 상기 순환라인(521)과 배수라인(541)이 교차하는 지점에는 유로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유로전환밸브(32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배수시 제1저장탱크(210) 하부공간(210b)의 냉수는 상기 냉수취수라인(532)과 출수부연결유로(455) 및 온수취수라인(533)을 통해 제2저장탱크(220)로 유입되어 온수와 혼합되고, 이렇게 혼합된 물은 상기 제2저장탱크(220)의 하부를 통해 순환라인(521) 측으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저장탱크(210) 상부공간(210a)의 정수가 상기 제1연결라인(511)을 통해 순환라인(521) 측으로 배출되어 상기 제2저장탱크(220)로부터 배출된 물과 혼합된 후 순환라인(521) 및 배수라인(541)으로 유동하게 되므로, 제2저장탱크(220)에 저장된 뜨거운 온수가 곧바로 순환라인(521)으로 유입되는 경우에 비하여 순환라인(521)과 배수라인(541) 및 순환펌프(310)의 내부 재질을 내열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할 필요가 없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살균모듈(300)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제1저장탱크(210), 정수취수라인(531), 정수취수밸브(410), 냉수취수라인(532), 냉수취수밸브(420)를 거친 후 출수부연결유로(455) 내부에 채워진 후 온수취수라인(533)을 통해 제2저장탱크(220)로 유입되므로, 살균모드시 취수차단밸브(440) 전단까지 살균이 이루어지므로 수처리장치 내부에 살균이 되지 않는 데드존의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30)에는, 프리 카본 필터(120)를 통과한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31), 내부의 필터부재(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정수배출구(132), 및 상기 필터부재에 의해 여과되지 않은 폐수가 배출되는 폐수배출구(1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폐수배출구(133)와 순환라인(521) 사이에는 제1폐수라인(551)이 연결되고, 상기 제1폐수라인(551)과 배수라인(541) 사이에는 제2폐수라인(552)이 연결된다.
상기 폐수배출구(133)를 통해 배출되는 폐수와 상기 정수배출구(132)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의 비율이 8 : 2 정도가 되므로 버려지는 물의 양을 줄이기 위해 상기 제2폐수라인(552)상에는 정수 대 폐수 분리 비율을 조정하기 위한 폐수조절기(55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폐수조절기(550)는 제2폐수라인(552)을 통과하는 물의 양을 일정 범위 이내로 제한하기 위해 물이 흐르는 통로 일부를 막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폐수라인(551) 상에는 상기 순환라인(521) 측으로 폐수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제1폐수라인차단밸브(360)가 설치되어 있어 살균모드시 상기 폐수배출구(133)를 통해 배출된 폐수를 상기 순환라인(521)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30)에서 배출되는 폐수 중 일부는 폐수조절기(550)에 의해 배출량이 조절된 후 제2폐수라인(552) 및 배수라인(541)을 통해 외부로 배수되고, 나머지는 순환라인(541)을 통해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에 유입된 후 살균순환시 살균모듈(300)을 통과하면서 살균수가 생성되어 제1저장탱크(210), 제2저장탱크(220), 정수취수라인(531), 냉수취수라인(532), 온수취수라인(533), 출수부연결유로(455), 제1연결라인(511) 및 순환라인(521)에 채워져 살균 세정을 하게 된다.
상기 폐수배출구(133)를 통해 배출되는 폐수는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30)를 통해 여과되지 않은 농축수이고, 이러한 농축수에는 원수에 포함된 용존이온성 물질(Cl-;염소이온)이 원수나 정수보다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어 상기 살균모듈(300)에서 전기분해를 할 경우 원수나 정수를 이용하여 전기분해하는 경우에 비하여 살균물질을 더 많이 생성시킬 수 있어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수로 버려지는 물을 이용하게 되므로 버려지는 물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살균모드는, 배수 → 폐수 유입 → 살균순환 → 살균수 배수 → 헹굼수 유입 → 헹굼수 배수 → 정수 유입 순서로 이루어지므로,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서의 수처리방법을 설명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각 도면에서 밸브의 온(On)/오프(Off)가 기재되지 않은 경우에는 온(On)과 오프(Off) 모두 가능함을 나타내고, 다른 모든 실시예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에서 배수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서 폐수 유입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서 살균순환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30)에 의해 여과된 정수는 살균모듈(300)에서 전기분해에 필요한 용존이온성 물질이 제거된 상태이므로,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물을 이용하여 살균순환을 실시한다면 살균물질이 적게 생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살균순환을 실시하기에 앞서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에 저장된 물을 배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살균모드가 작동하면, 먼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수밸브(150)와 살균모듈(300)과 제1폐수라인차단밸브(360)와 취수차단밸브(440)는 오프(Off) 상태, 냉수취수밸브(420)와 온수취수밸브(430) 및 순환라인차단밸브(340)는 온(On) 상태에서 순환펌프(310)를 작동시킨다. 이 경우 유로전환밸브(320)는 순환펌프(310)에서 배수라인(541) 방향이 연통하고, 살균모듈(300) 방향으로 흐름이 차단되도록 개폐방향이 설정된다. 상기 정수취수밸브(410)는 온(On)뿐만 아니라 오프(Off)도 가능하고, 온(On)인 경우 상부공간(210a)의 물은 정수취수라인(531)과 제1연결라인(511)을 통해 배출된다.
이 경우 제1저장탱크(210)의 물과 제2저장탱크(220)의 물이 혼합되어 온도가 떨어진 상태로 배수되는데, 배수가 진행되어 제1저장탱크(210)의 수위가 낮아지면 수압이 떨어져 제2저장탱크(220)의 온수에 혼합되는 물의 양이 줄어들어 배수되는 온수 온도가 떨어지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순환펌프(310) 내부를 내열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배수하는 도중 일정시간 원수밸브(150)를 온(On)시켜 필터부(100)로부터 제1저장탱크(210)에 물이 공급되도록 하여 제1저장탱크(210)의 수압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30)의 경우 정수되는 물의 양이 적으므로 제1폐수라인차단밸브(360)를 온(On)시켜 정수와 함께 폐수도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순환펌프(310)가 작동하면 제1저장탱크(210) 상부공간(210a)의 정수는 제1연결라인(511)과 정수취수라인(531)을 통해 순환라인(521) 방향으로 유동하고, 제1저장탱크(210) 하부공간(210b)의 냉수는 냉수취수라인(532)과 출수부연결유로(455) 및 온수취수라인(533)을 거쳐 제2저장탱크(220)로 유입되어 그 내부의 온수와 혼합된 후 순환라인(521) 방향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1연결라인(511)을 통해 공급되어 온 물과 상기 제2저장탱크(220)에서 배출된 물은 상기 순환라인(541)에서 혼합되어 온도가 떨어진 상태에서 순환라인(521)과 순환펌프(310) 및 배수라인(541)을 거쳐 외부로 배수된다. 상기 순환펌프(310)는 살균수의 순환시 뿐만 아니라 살균수 및 헹굼수의 배수시에도 이용되므로 살균수 및 헹굼수를 보다 원활히 배수하여 배수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하나의 순환펌프(310)를 이용하여 순환 및 배수 2가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원가 절감 및 수처리장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배수가 완료되면 살균수의 생성을 위해 폐수 유입과정이 진행되는데,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순환라인차단밸브(340) 및 순환펌프(310)를 오프(Off)시킨 상태에서 원수밸브(150)와 제1폐수라인차단밸브(360)를 온(On)시키면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30)에서 여과된 정수는 포스트 카본 필터(140)를 거쳐 제1저장탱크(210)로 유입되고,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30)에서 여과되지 못한 폐수 중 일부는 폐수조절기(550) 및 배수라인(54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나머지 폐수는 제1폐수라인차단밸브(360) 및 순환라인(521)을 통해 제1저장탱크(210)로 유입된다. 이 경우 정수취수밸브(410)와 냉수취수밸브(420) 및 온수취수밸브(430)는 온(On)뿐만 아니라 오프(Off)도 가능하고, 온(On)인 경우 상기 제1저장탱크(210)로 유입된 폐수는 정수취수라인(531)과 냉수취수라인(532)과 온수취수라인(533), 제1연결라인(511)을 각각 경유하여 제2저장탱크(220)의 상부와 하부를 통해 그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배수라인(541)을 통해 배수되는 폐수의 양은 상기 폐수조절기(550)에서 조절된 후 극소량만 배수되고, 나머지 대부분의 폐수는 제1폐수라인(551) 및 제1폐수라인차단밸브(360)를 통해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로 공급된다.
상기 제1저장탱크(210)에는 폐수 뿐만 아니라 정수공급라인(504)을 통해 정수도 공급이 되는데, 상기 제1폐수라인(551)를 통해 공급되는 폐수는 이온성 물질이 다량 함유된 농축수이고, 상기 정수공급라인(504)를 통해 공급되는 정수의 양은 상기 제1폐수라인(551)을 통해 공급되는 폐수의 양에 비해 작기 때문에 상기 정수공급라인(504)을 통해 공급되는 정수가 상기 제1저장탱크(210)에서 폐수와 혼합된다 하더라도 이를 이용하여 생성된 살균수는 살균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에 폐수의 유입이 완료되면 살균순환과정이 진행되는데,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수밸브(150)와 제1폐수라인차단밸브(360)와 취수차단밸브(440)를 오프(Off) 상태, 냉수취수밸브(420)와 온수취수밸브(430)와 순환라인차단밸브(340) 및 살균모듈(300)을 온(On)시킨 상태에서 순환펌프(310)를 작동시키면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에 저장되어 있던 폐수가 살균모듈(300)을 통과하면서 살균수가 생성되고, 이렇게 생성된 살균수는 순환유로를 순환하면서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에 채워져 살균작용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정수취수밸브(410)는 온(On)뿐만 아니라 오프(Off)도 가능하고, 온(On)인 경우 상부공간(210a)에 연결된 정수취수라인(531) 내부의 살균도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순환과정은 설정된 시간 동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순환펌프(310)와 살균모듈(300)은 순환 과정 동안 계속하여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일정 시간 작동 후 정지되어 일정 시간 대기하도록 함으로써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 내부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살균모듈(300)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는 순환 과정에 의해 제1저장탱크(210) 하부공간(210b)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냉수취수라인(532)과 제2연결라인(512) 및 온수취수라인(533)을 통해 제2저장탱크(220)에도 유입되어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에 동시에 채워지므로, 살균수가 어느 한쪽에 먼저 채워지고 다른 쪽에 나중에 채워지는 경우에 비하여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에 살균작용이 이루어지는 시간상의 차이가 없어 살균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살균과정이 종료되면 살균수의 배수가 이루어지는데, 살균수의 배수는 폐수의 배수 과정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살균수의 배수가 완료되면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에 잔존하는 살균수를 세척하기 위한 헹굼 과정이 진행되는데, 헹굼수의 유입은 폐수의 유입 과정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30)에서 여과되지 않은 폐수라도 헹굼수로 충분히 사용할 수 있고,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30)에서 여과된 정수만으로 헹굼 과정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하여 헹굼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헹굼수를 살균수의 순환과 같이 도 5에 도시된 경로를 따라 순환되도록 하거나 상기한 헹굼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헹굼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헹굼 과정이 완료되면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의 헹굼수를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헹굼수 배수과정이 진행되는데, 헹굼수 배수과정은 도 3에 나타난 배수과정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헹굼수 배수 과정이 완료되면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에 정수를 채우기 위한 정수 유입과정이 진행되는데, 정수 유입과정은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1폐수라인차단밸브(360)를 오프(Off)시키면 필터부(100)를 거쳐 여과된 정수가 정수공급라인(504)을 경유하여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에 채워짐으로써 살균모드가 종료된다.
위와 같은 살균모드는 일정한 주기로 자동적으로 반복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2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에서 배수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에서 폐수 유입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에서 살균순환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모든 구성은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와 동일하나, 취수차단밸브(440) 대신 제2연결라인(512)과 제2연결라인차단밸브(330)가 구비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제2연결라인(512)은 상기 냉수취수라인(532)과 온수취수라인(533)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제1저장탱크(210) 하부공간(210b)의 물이 상기 냉수취수라인(532)과 제2연결라인(512) 및 온수취수라인(533)을 거쳐 제2저장탱크(220)의 상부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연결라인차단밸브(330)는 상기 제2연결라인(512) 상에 구비되어, 살균순환시에는 상기 제2연결라인(512)을 통해 물이 순환되도록 온(On)되고, 취수시에는 상기 하부공간(210b)의 물이 냉수취수라인(532) 및 냉수취수밸브(420)를 거쳐 취수구(450)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되도록 하거나 제2저장탱크(220)의 물이 온수취수라인(533) 및 온수취수밸브(430)를 거쳐 취수구(450)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오프(Off)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본 실시예의 순환유로는, 제1연결라인(511)과 냉수취수라인(532)과 제2연결라인(512)과 온수취수라인(533) 및 순환라인(521)으로 이루어진다.
제2실시예의 경우에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배수 → 폐수 유입 → 살균순환 → 살균수 배수 → 헹굼수 유입 → 헹굼수 배수 → 정수 유입 순서로 이루어지는데, 각 단계별 동작상태는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 3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고, 배수시와 살균순환시에 정수취수밸브(410)와 냉수취수밸브(420)와 온수취수밸브(430)는 오프(Off)되고, 제2연결라인차단밸브(330)가 온(On)되어 상기 하부공간(210b)의 물이 냉수취수라인(532)와 제2연결라인(512) 및 온수취수라인(533)을 통해 제2저장탱크(220)로 유입되도록 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제3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에서 배수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에서 폐수 유입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에서 살균순환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모든 구성은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와 동일하나, 취수구(450-1,450-2)가 2개 구비되고, 취수차단밸브(440) 대신 제2연결라인(512)과 제2연결라인차단밸브(330)가 구비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취수구(450-1,450-2)는, 제1저장탱크(210) 하부공간(210b)의 냉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냉수취수구(450-1)와, 제2저장탱크(220)의 온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온수취수구(450-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저장탱크(210) 하부공간(210b)과 냉수취수구(450-1) 사이에는 냉수취수라인(532)과 냉수취수밸브(420-1)가 구비되고, 상기 제2저장탱크(220)와 온수취수구(450-2) 사이에는 온수취수라인(533)과 온수취수밸브(430-1)가 구비된다.
상기 냉수취수라인(532)과 온수취수라인(533) 사이에는 제1저장탱크(210) 하부공간(210b)의 살균수가 제2저장탱크(22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2연결라인(512)이 구비된다. 상기 제2연결라인(512) 상에는 살균순환시에는 상기 제2연결라인(512)을 통해 물이 순환되도록 온(On)되고, 취수시에는 상기 하부공간(210b)의 냉수가 냉수취수구(450-1)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2저장탱크(220)의 온수가 온수취수구(450-2)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오프(Off)되는 제2연결라인차단밸브(330)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본 실시예의 순환유로는, 제1연결라인(511)과 냉수취수라인(532)과 제2연결라인(512)과 온수취수라인(533) 및 순환라인(521)으로 이루어진다.
제3실시예의 경우에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배수 → 폐수 유입 → 살균순환 → 살균수 배수 → 헹굼수 유입 → 헹굼수 배수 → 정수 유입 순서로 이루어지는데, 각 단계별 동작상태는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 3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고, 배수시와 살균순환시에 상기 제2연결라인차단밸브(330)가 온(On)되어 상기 하부공간(210b)의 물이 냉수취수라인(532)와 제2연결라인(512) 및 온수취수라인(533)을 통해 제2저장탱크로 유입되도록 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제4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에서 배수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에서 폐수 유입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에서 살균순환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에서 출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제3실시예와 비교하여, 필터부(100)와 저장부(200)의 구성이 동일하고, 제1저장탱크(210) 하부공간(210b)의 냉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냉수취수라인(532)과 냉수취수밸브(420)와 냉수취수구(450-1), 제2저장탱크(220)의 온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온수취수라인(533)과 온수취수밸브(430)과 온수취수구(450-2)가 구비되어 있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다르게 순환라인(521)이 구비되지 않고, 냉수취수라인(532)과 제2연결라인(512a,512b,512c,512d)과 온수취수라인(533) 및 제1연결라인(511)에 의해 순환유로가 형성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하부공간(210b)과 냉수취수구(450-1) 사이에는 냉수취수라인(532) 및 냉수취수밸브(420)가 순차 연결되고, 상기 냉수취수밸브(420)의 일측에는 살균순환시 상기 하부공간(210b)의 물을 상기 제2연결라인(512a,512b,512c,512d) 및 온수취수라인(533)으로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냉수측연결밸브 (46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저장탱크(220)의 상부와 온수취수구(450-2) 사이에는 온수취수라인(533) 및 온수취수밸브(430)가 순차 연결되고, 상기 온수취수밸브(430)의 일측에는 살균순환시 상기 냉수측연결밸브(460)를 통과한 하부공간(210b)의 물을 상기 온수취수라인(533)을 경유하여 상기 제2저장탱크(220)로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온수측연결밸브(47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연결라인(512a,512b,512c,512d)은 상기 냉수측연결밸브(460)와 온수측연결밸브(470)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2연결라인(512a,512b,512c,512d) 상에는 살균모듈(300)과 순환펌프(310)가 구비된다.
상기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30)의 폐수배출구(133)에는 폐수배수라인(553)이 연결되고, 상기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30)에서 여과되지 못한 폐수는 상기 폐수배수라인(55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경우 상기 폐수배수라인(553)을 통해 배출되는 폐수의 배출량을 제한하기 위한 폐수조절기(550)가 구비된다.
상기 폐수배수라인(553)과 제2연결라인(512a,512b,512c,512d) 사이는 제3연결라인(513)과 배수연결라인(514)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3연결라인(513)은 제2연결라인(512a,512b,512c,512d)의 냉수측연결밸브(460)에 가까운 지점에서 상기 제2연결라인(512a,512b,512c,512d)과 교차하고, 상기 배수연결라인(514)은 제2연결라인(512a,512b,512c,512d)의 온수측연결밸브(470)에 가까운 지점에서 상기 제2연결라인(512a,512b,512c,512d)과 교차한다.
상기 제3연결라인(513) 상에는 살균순환시 오프(Off)되고, 배수시와 폐수유입시에 온(On)되는 제3연결라인차단밸브(350)가 구비되어, 배수시와 폐수유입시에 상기 폐수배수라인(553)과 제2연결라인(512a,512b,512c,512d)을 연결한다.
상기 제2연결라인(512a,512b,512c,512d)과 배수연결라인(514)이 교차하는 지점에는 상기 제2연결라인(512a,512b,512c,512d)을 통해 유동하는 물의 흐름 방향을 상기 배수연결라인(514)과 온수취수라인(533)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기 위한 유로전환밸브(370)가 구비된다. 즉, 제2연결라인(512a,512b,512c,512d)을 통해 유동하는 물을 외부로 배수하고자 할 경우에는 유로전환밸브(370)를 배수연결라인(514) 및 폐수배수라인(553)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하고, 제2연결라인(512a,512b,512c,512d)을 통해 유동하는 물을 온수측연결밸브(470) 및 온수취수라인(533)을 거쳐 제2저장탱크(220)로 유입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유로전환밸브(370)를 온수취수라인(553)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한다.
상기 배수연결라인(514) 상에는 상기 폐수배수라인(553) 방향으로만 물이 흐르도록 하는 체크밸브(560)가 구비되어, 상기 폐수조절기(550)를 거쳐 외부로 배수되는 물이 상기 배수연결라인(514)을 통해 제2연결라인(512a,512b,512c,512d)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탱크(220)의 하부와 폐수배수라인(553) 사이는 제2저장탱크연결라인(515)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저장탱크연결라인(515)에 상기 제1연결라인(511)의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제2저장탱크연결라인(515)에는 살균순환시 오프(Off)되어 상기 제2저장탱크(220)로부터 배출된 물이 상기 폐수배수라인(553)으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제1연결라인(511)을 통해 제1저장탱크(210)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순환유로를 형성시키는 제2저장탱크차단밸브(340-1)가 구비된다.
한편,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냉수취수밸브(420)와 냉수측연결밸브(460) 사이, 상기 온수취수밸브(430)와 온수측연결밸브(470) 사이를 각각 상호 연결하는 출수부연결유로(455-1,455-2)가 구비된다. 상기 냉수취수라인(532)으로부터 공급되어 온 물은 상기 출수부연결유로(455-1)로 유입된 후 상기 냉수취수밸브(420)와 냉수측연결밸브(46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물이 흐르도록 밸브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또한 온수취수라인(533)으로부터 공급되어 온 물은 상기 출수부연결유로(455-2)로 유입된 후 상기 온수취수밸브(430)와 온수측연결밸브(47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물이 흐르도록 밸브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제4실시예의 경우에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배수 → 폐수 유입 → 살균순환 → 살균수 배수 → 헹굼수 유입 → 헹굼수 배수 → 정수 유입 순서로 이루어지는데,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제4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의 수처리방법을 설명한다.
살균모드가 작동되면, 먼저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수밸브(150)와 살균모듈(300)과 냉수취수밸브(420)와 온수취수밸브(430)와 온수측연결밸브(470)는 오프(Off) 상태, 냉수측연결밸브(460)와 제2저장탱크차단밸브(340-1) 및 제3연결라인차단밸브(350)는 온(On) 상태에서 순환펌프(310)를 작동시킨다. 이 경우 유로전환밸브(370)는 순환펌프(310)에서 배수연결라인(514) 방향이 연통하도록 개폐방향이 설정된다.
이와 같이 동작을 하게 되면, 제2저장탱크(220)의 온수는 제1저장탱크(210) 상부공간(210a)의 정수와 합쳐져 온도가 떨어진 상태로 제2저장탱크연결라인(515), 폐수배수라인(553), 제3연결라인(513)을 순차 거친 후 제2연결라인(512b,512c)으로 유입된다. 또한 제1저장탱크(210) 하부공간(210b)의 물은 냉수취수라인(532) 및 출수부연결유로(455-1)를 거쳐 제2연결라인(512a,512b)으로 유입된 후, 상기 제3연결라인(553)을 거쳐 제2연결라인(512b,512c)으로 유입된 물과 합쳐지게 된다. 이렇게 제2연결라인(512a,512b,512c)으로 유입된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의 물은 유로전환밸브(370), 배수연결라인(514) 및 폐수배수라인(553)을 순차 거친 후 외부로 배수된다.
이와 같이 배수가 완료되면 폐수 유입과정이 진행되는데,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냉수취수밸브(420)와 온수취수밸브(430)와 살균모듈(300) 및 순환펌프(310)를 오프(Off) 상태, 원수밸브(150)와 냉수측연결밸브(460)와 온수측연결밸브(470)와 제2저장탱크차단밸브(340-1) 및 제3연결라인차단밸브(350)를 온(On) 상태로 하게 되면,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30)에서 여과되지 못한 폐수는 폐수배수라인(553)으로 유동하다가 일부는 제2저장탱크연결라인(515)과 제1연결라인(511)을 경유하여 제2저장탱크(220)와 제1저장탱크(210) 상부공간(210a)으로 유입된다. 또한 폐수배수라인(553)을 따라 유동하는 폐수의 나머지 일부는 제3연결라인(513), 제2연결라인(512a,b), 출수부연결유로(455-1) 및 냉수취수라인(532)을 거쳐 제1저장탱크(210) 하부공간(210b)으로 유입된다.
또한 온수측연결밸브(470)가 온(On) 상태이므로 제2저장탱크(220)로 폐수가 유입되어 만수위까지 채워지면 제2저장탱크(220)의 상부를 통해 배출되어 제2연결라인(512a,512b,512c,512d)을 경유하여 제1저장탱크(210) 하부공간(210b)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에 연결된 복수의 경로를 통해 폐수가 유입되므로 폐수 유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폐수조절기(550)를 통해 일부 폐수가 외부로 배수되지만 그 양은 매우 적고, 나머지 대부분의 폐수는 제3연결라인(513)를 통해 제1저장탱크(210)로 공급된다.
또한 제1저장탱크(210)에 정수공급라인(504)을 통해 정수가 일부 공급되더라도 폐수배수라인(553)을 통해 공급되는 폐수의 이온성 물질 농도가 높으므로 제1저장탱크(210)에서 폐수와 정수가 혼합되더라도 살균수를 충분히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에 폐수의 유입이 완료되면 살균순환과정이 진행되는데,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수밸브(150)와 냉수취수밸브(420)와 온수취수밸브(430)와 제2저장탱크차단밸브(340-1) 및 제3연결라인차단밸브(350)는 오프(Off) 상태, 냉수측연결밸브(460)와 온수측연결밸브(470) 및 살균모듈(300)은 온(On) 상태에서 순환펌프(310)를 작동시키면 제1저장탱크(210) 하부공간(210b)의 물이 냉수취수라인(532)으로 배출되어 살균모듈(300)을 통과하면서 살균수가 생성되어 제2연결라인(512b,512c,512d) 및 온수취수라인(533)을 경유하여 제2저장탱크(220)로 유입되고, 상기 제2저장탱크(220)에 유입된 살균수는 제1연결라인(511)을 경유하여 제1저장탱크(210) 상부공간(210a)으로 유입되며, 상기 상부공간(210a)과 하부공간(210b)이 연통되어 있으므로,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의 폐수가 순환유로를 순환하면서 살균수가 생성되어 살균이 이루어진다.
살균과정이 종료되면 살균수의 배수가 이루어지는데, 살균수의 배수는 폐수의 배수 과정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이루어져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 내부의 살균수를 폐수배수라인(553)을 통해 외부로 배수시킨다.
이와 같이 살균수의 배수가 완료되면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에 잔존하는 살균수를 세척하기 위한 헹굼 과정이 진행되는데, 헹굼수의 유입은 폐수의 유입 과정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이루어져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30)에서 여과되지 못한 폐수는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로 유입되어 헹굼수로 사용된다.
헹굼 과정이 완료되면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의 헹굼수를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헹굼수 배수과정이 진행되는데, 헹굼수 배수과정은 도 12에 나타난 배수과정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헹굼수 배수 과정이 완료되면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에 정수를 채우기 위한 정수 유입과정이 진행되는데, 정수 유입과정은 도 13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2저장탱크차단밸브(340-1) 및 제3연결라인차단밸브(350)를 오프(Off)시키면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30)에서 여과되지 않은 폐수는 폐수조절기(550)에서 배출량이 조절된 후 페수배수라인(553)을 거쳐 외부로 배수되고,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30)를 거쳐 여과된 정수는 정수공급라인(504)을 경유하여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에 채워짐으로써 살균모드가 종료된다.
<제5실시예>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에서 배수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에서 폐수 유입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에서 살균순환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모든 구성은 제4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와 동일하나, 취수구(450)가 1개 구비되고, 온(On)/오프(Off)로 작동하는 냉수측연결밸브(460)와 온수측연결밸브(470) 대신에 유로전환밸브로 기능하는 냉수측연결밸브(460-1)와 온수측연결밸브(470-1)가 구비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취수구(450)에는 사용자에게 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정수취수밸브(410)와 정수취수라인(531),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수취수밸브(420)와 냉수취수라인(532),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취수밸브(430)와 온수취수라인(533)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냉수취수라인(532) 상에 구비된 냉수측연결밸브(460-1)는, 살균순환시 상기 하부공간(210b)의 물을 상기 취수구(450) 측으로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제2연결라인(512a,512b,512c,512d) 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연결라인(512a,512b,512c,512d)으로 공급된 물은 온수취수라인(533)을 통해 제2저장탱크(220)로 유입된다.
상기 온수취수라인(533) 상에 구비된 온수측연결밸브(470-1)는, 살균순환시 상기 냉수취수라인(532) 및 제2연결라인(512a,512b,512c,512d)을 통해 공급되어 온 물을 상기 취수구(450) 측으로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온수취수라인(533) 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살균모드가 동작하면 제4실시예와 같이 냉수취수라인(532)과 제2연결라인(512a,512b,512c,512d)과 온수취수라인(533) 및 제1연결라인(511)에 의해 순환유로가 형성된다.
제5실시예의 경우에도 제4실시예와 동일하게 배수 → 폐수 유입 → 살균순환 → 살균수 배수 → 헹굼수 유입 → 헹굼수 배수 → 정수 유입 순서로 이루어지는데, 각 단계별 동작상태는 도 16 내지 도 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 12 내지 도 1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나, 배수시와 폐수 유입시 및 살균순환시에 냉수측연결밸브(460-1)는 냉수취수라인(532)과 제2연결라인(512a)이 서로 연통하도록 개폐방향이 설정되고, 폐수유입시와 살균순환시에 온수측연결밸브(470-1)는 온수취수라인(533)과 제2연결라인(512d)이 서로 연통하도록 개폐방향이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수취수라인(531)에 냉수측연결밸브(460-1)에 대응하는 유로전환밸브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나, 정수취수라인(531)에 유로전환밸브의 기능을 하는 정수측연결밸브(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정수측연결밸브를 제2연결라인(512a)에 연결시키면, 살균순환시 살균수가 정수취수라인(531)을 통과하면서 살균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6실시예>
도 1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모든 구성은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와 동일하나, 제2폐수라인(552) 상에 제2폐수라인차단밸브(540)가 구비되고, 정수공급라인(504)에 정수라인차단밸브(160)가 더 구비된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상기 정수공급라인(504) 상에는 정수의 공급 여부를 조절하기 위한 정수라인차단밸브(160)가 구비될 수 있다. 폐수 입수시 상기 정수라인차단밸브(160)를 오프(Off)시키게 되면 정수공급라인(504)을 통해 제1저장탱크(210)로의 정수의 공급이 차단되고,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30)에서 배출된 폐수만이 제1폐수라인(551) 및 순환라인(521)을 거쳐 제1저장탱크(210)로 공급되므로, 살균수의 살균물질 농도가 높아져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수조절기(550)와 별도로 폐수의 유입시 폐수를 배수라인(541)을 통해 외부로 배수시키지 않고 상기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30)에서 배출된 폐수 전체를 제1저장탱크(210) 측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2폐수라인(552) 상에 제2폐수라인차단밸브(5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폐수 유입 과정에서 상기 정수라인차단밸브(160)와 함께 제2폐수라인차단밸브(540)를 오프(Off)시키면 상기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30)에서 배출된 모든 폐수가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에 채워지므로 폐수 유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30)에서 발생한 폐수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생성함으로써 버려지는 물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고, 폐수에 포함된 용존 이온성 물질을 이용하여 높은 농도의 살균물질을 생성하므로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면서 살균수를 생성하므로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 내부를 균일하게 살균시킬 수 있고, 배수시에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의 물을 혼합하여 배수시킴으로써 뜨거운 물이 곧바로 순환라인(521) 및 순환펌프(310)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열성이 높은 재질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제품 가격을 낮출 수 있으며, 순환펌프(310)를 배수시에도 사용할 수 있어 별도의 배수펌프를 구비할 필요없이 신속한 배수가 가능하다. 또한 살균순환시 냉수와 온수를 출수하기 위한 냉수취수라인(532)과 온수취수라인(533) 내부를 경유하여 순환하거나, 정수취수밸브(410)와 냉수취수밸브(420) 및 온수취수밸브(430)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출수부연결유로(455)를 경유하여 순환하는 경우에는 수처리장치 내부에 살균이 되지 않는 데드존의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필터부 110 : 전처리 침전 필터
120 : 프리 카본 필터 130 :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
131 : 유입구 132 : 정수배출구
133 : 폐수배출구 140 : 포스트 카본 필터
150 : 원수밸브 160 : 정수라인차단밸브
200 : 저장부 210 : 제1저장탱크
210a : 상부공간 210b : 하부공간
213 : 분리판 214 : 연결유로
220 : 제2저장탱크 300 : 살균모듈
310 : 순환펌프 320, 370 : 유로전환밸브
330 : 제2연결라인차단밸브 340 : 순환라인차단밸브
350 : 제3연결라인차단밸브 360 : 제1폐수라인차단밸브
400 : 출수부 410 : 정수취수밸브
420,420-1 : 냉수취수밸브 430,430-1 : 온수취수밸브
440: 취수차단밸브 450 : 취수구
450-1 : 냉수취수구 450-2 : 온수취수구
455,455-1,455-2 : 출수부연결유로 460, 460-1 : 냉수측연결밸브
470 ,470-1: 온수측연결밸브 501,502,503 : 원수공급라인
504 : 정수공급라인 511 : 제1연결라인
512 : 제2연결라인 513 : 제3연결라인
514 : 배수연결라인 515 : 제2저장탱크연결라인
521 : 순환라인 531 : 정수취수라인
532 : 냉수취수라인 533 : 온수취수라인
540 : 제2폐수라인차단밸브 541 : 폐수배수라인
550 : 폐수조절기 551 : 제1폐수라인
552 : 제2폐수라인 560 : 체크밸브

Claims (26)

  1. 원수를 여과하기 위해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을 서로 다른 온도로 각각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
    상기 제1저장탱크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제2저장탱크를 거쳐 상기 제1저장탱크로 순환하도록 연결된 순환유로;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순환유로를 통해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
    상기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에서 배출된 폐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에 살균수를 공급하기 위한 살균모듈;
    을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탱크는, 상온의 물을 저장하는 상부공간과 냉수를 저장하는 하부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하부공간의 물이, 상기 하부공간과 사용자에게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수취수밸브 사이를 연결하는 냉수취수라인, 및 상기 제2저장탱크와 사용자에게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취수밸브 사이를 연결하는 온수취수라인을 순차 경유한 후 상기 제2저장탱크로 유입되고, 상기 제2저장탱크의 물이 배출되어 상기 제1저장탱크로 다시 유입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제2저장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제2저장탱크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제1저장탱크로 유입되도록 연결된 순환라인과, 상기 상부공간의 물이 상기 순환라인으로 공급되도록 연결된 제1연결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상부공간과 사용자에게 상부공간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정수취수밸브 사이를 연결하는 정수취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저장탱크와 상기 제2저장탱크는 상기 정수취수밸브와 냉수취수밸브와 온수취수밸브의 온(On)시에 상기 정수취수라인과 냉수취수라인과 온수취수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상부공간과 사용자에게 상부공간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정수취수밸브 사이를 연결하는 정수취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정수취수밸브와 냉수취수밸브와 온수취수밸브는 하나의 취수구에 연결되고, 상기 취수구와 상기 취수밸브들 사이에는 취수차단밸브가 구비되며, 살균모드시 상기 정수취수라인과 정수취수밸브 및 냉수취수라인과 냉수취수밸브를 통해 유입된 살균수는 상기 취수차단밸브와 상기 취수밸브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취수밸브들을 상호 연통시키는 출수부연결유로를 경유하여 상기 온수취수밸브 및 온수취수라인을 통해 상기 제2저장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제2저장탱크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저장탱크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제1저장탱크로 유입되도록 연결된 순환라인과, 상기 상부공간의 물이 상기 순환라인으로 공급되도록 연결된 제1연결라인과, 상기 하부공간의 물이 상기 제2저장탱크로 유입되도록 연결된 제2연결라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라인은 상기 냉수취수라인과 온수취수라인 사이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라인 상에는 살균순환시 온(On) 되고 상기 제1저장탱크 및 제2저장탱크의 물을 사용자에게 출수하는 경우에 오프(Off)되는 제2연결라인차단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제2저장탱크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제1저장탱크로 유입되도록 연결하는 순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라인이 상기 순환라인 상에서 분기되고, 상기 분기점에는 상기 살균수의 유동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유로전환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는 상기 제2저장탱크와 상기 유로전환밸브 사이에 구비되어 살균수를 순환시키는 경우와 배수시키는 경우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제2저장탱크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제1저장탱크로 유입되도록 연결된 순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라인 상에서 분기되어 외부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수라인, 상기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의 폐수배출구와 상기 순환라인을 연결하며 상기 제1저장탱크 측으로 폐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1폐수라인차단밸브가 설치된 제1폐수라인, 상기 제1폐수라인 상에서 분기되어 상기 배수라인에 연결되는 제2폐수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제2폐수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폐수의 배출량을 제한하기 위한 폐수조절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공간의 냉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냉수취수구와 상기 제2저장탱크의 온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온수취수구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공간과 냉수취수구 사이에는 냉수취수라인 및 냉수취수밸브가 순차 연결되고, 살균순환시 상기 냉수취수라인을 통해 공급된 상기 하부공간의 물이 상기 온수취수라인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냉수측연결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2저장탱크와 온수취수구 사이에는 온수취수라인 및 온수취수밸브가 순차 연결되고, 살균순환시 상기 냉수측연결밸브를 통과한 물이 상기 온수취수라인을 경유하여 상기 제2저장탱크로 공급되도록 하는 온수측연결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공간의 냉수와 상기 제2저장탱크의 온수를 상기 냉수취수밸브와 온수취수밸브를 통해 각각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하나의 취수구가 구비되고;
    상기 냉수취수라인 상에는 살균순환시 상기 하부공간의 물을 상기 취수구와 온수취수라인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한 냉수측연결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온수취수라인 상에는 살균순환시 상기 냉수취수라인을 통해 공급되어 온 물을 상기 취수구와 온수취수라인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한 온수측연결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측연결밸브와 온수측연결밸브는 제2연결라인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라인 상에 상기 살균모듈과 순환펌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측연결밸브와 온수측연결밸브는 제2연결라인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에서 여과되지 못한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폐수배수라인, 상기 폐수배수라인과 상기 제2연결라인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냉수측연결밸브에 가까운 지점에서 상기 제2연결라인과 교차하는 제3연결라인, 상기 제2연결라인과 상기 폐수배수라인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온수측연결밸브에 가까운 지점에서 상기 제2연결라인과 교차하는 배수연결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폐수배수라인 상에는 외부로 배출되는 폐수의 배출량을 제한하기 위한 폐수조절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라인 상에는 살균순환시 오프(Off)되고, 배수시와 폐수유입시에 온(On)되는 제3연결라인차단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라인과 배수연결라인이 교차하는 지점에는 상기 제2연결라인을 통해 유동하는 물의 흐름 방향을 상기 배수연결라인과 온수취수라인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기 위한 유로전환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연결라인 상에는 상기 폐수배수라인 방향으로만 물이 흐르도록 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19.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에서 여과되지 못한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폐수배수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제2저장탱크의 하부와 상기 폐수배수라인 사이는 제2저장탱크연결라인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저장탱크연결라인에 상기 제1연결라인의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제2저장탱크연결라인에는 살균순환시 오프(Off)되어 상기 제2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된 물이 상기 제1연결라인을 통해 제1저장탱크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2저장탱크차단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 상에서 분기되어 외부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수라인, 상기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의 폐수배출구와 상기 순환유로 사이를 연결하는 제1폐수라인, 상기 제1폐수라인 상에서 분기되어 상기 배수라인에 연결되는 제2폐수라인, 상기 제2폐수라인 상에 구비되어 상기 폐수를 상기 제1저장탱크로 공급시 상기 제2폐수라인으로 폐수의 흐름을 차단하는 제2폐수라인차단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2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 상에서 분기되어 외부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수라인, 상기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의 폐수배출구와 상기 순환유로 사이를 연결하는 제1폐수라인,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정수라인차단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22. a) 서로 다른 온도로 저장된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의 물을 혼합하여 외부로 배수시키는 단계;
    b) 필터부의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에서 배출된 폐수를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에 채우는 단계;
    c) 순환펌프를 가동시켜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의 폐수를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에 연결된 순환라인을 통해 순환시키면서 살균모듈에서 살균수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 내부의 살균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처리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경우 상기 필터부로부터 상기 제1저장탱크에 물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및 d)단계에서 상기 순환펌프를 가동시켜 배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 후 헹굼수에 의해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의 헹굼과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헹굼수는 상기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에서 배출된 폐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방법.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 후 헹굼수에 의해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의 헹굼과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헹굼과정은 상기 헹굼수를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 및 순환라인을 순환시키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방법.
KR1020120139894A 2012-12-04 2012-12-04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Active KR101982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894A KR101982804B1 (ko) 2012-12-04 2012-12-04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894A KR101982804B1 (ko) 2012-12-04 2012-12-04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834A true KR20140071834A (ko) 2014-06-12
KR101982804B1 KR101982804B1 (ko) 2019-09-03

Family

ID=51126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894A Active KR101982804B1 (ko) 2012-12-04 2012-12-04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8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44968A (zh) * 2020-12-30 2021-05-04 南京市给排水工程设计院有限公司 超高层高品质水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WO2023156498A1 (en) 2022-02-17 2023-08-24 Zhejiang Qinyuan Water Treatment S. T. Co., Ltd. Ro purifier with provision to dispense hot or cold wat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913A (ko) * 2002-11-08 2004-05-13 웅진코웨이개발 주식회사 폐수가 전혀 없는 순환 정수기 및 그에 사용되는 공급 라인
KR20110060998A (ko) * 2009-12-01 2011-06-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의 순환 살균 방법
KR20110127595A (ko) * 2010-05-19 2011-11-2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913A (ko) * 2002-11-08 2004-05-13 웅진코웨이개발 주식회사 폐수가 전혀 없는 순환 정수기 및 그에 사용되는 공급 라인
KR20110060998A (ko) * 2009-12-01 2011-06-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의 순환 살균 방법
KR20110127595A (ko) * 2010-05-19 2011-11-2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44968A (zh) * 2020-12-30 2021-05-04 南京市给排水工程设计院有限公司 超高层高品质水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WO2023156498A1 (en) 2022-02-17 2023-08-24 Zhejiang Qinyuan Water Treatment S. T. Co., Ltd. Ro purifier with provision to dispense hot or cold w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804B1 (ko) 2019-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3642B2 (en) Water treatment device
KR101492879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308123B1 (ko)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
US20130062219A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sterilizing and cleansing method thereof
KR101439948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US10071402B2 (en) Method for sterilizing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plurality of tanks
KR101444786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446127B1 (ko) 수처리장치
KR101967799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2058059B1 (ko) 휴대용 정수기 살균 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
KR20140071834A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459001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2079173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20140121234A (ko) 제빙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TW201219318A (en)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disinfection/sterilization method for water purification device
KR101447963B1 (ko) 수처리방법
KR101476323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20120113164A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KR101198652B1 (ko) 자가 살균 시스템을 구비한 정수기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 살균 방법
KR101447519B1 (ko) 수처리방법
KR101446128B1 (ko) 수처리방법
KR101496307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KR101773389B1 (ko) 수처리장치
KR20140022936A (ko) 수처리장치
KR20140009945A (ko) 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1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2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805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5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