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0729A - Open double guard rail - Google Patents
Open double guard rai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70729A KR20140070729A KR1020120134346A KR20120134346A KR20140070729A KR 20140070729 A KR20140070729 A KR 20140070729A KR 1020120134346 A KR1020120134346 A KR 1020120134346A KR 20120134346 A KR20120134346 A KR 20120134346A KR 20140070729 A KR20140070729 A KR 201400707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guard beam
- groove
- vertical
- guar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23—Details of r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38—Spacers between rails and posts, e.g. energy-absorb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도와 보도의 경계를 구분하거나 도로의 중앙에 설치되어 차도 경계를 구분하는 개방형 이중 가드레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드 빔을 지그재그로 절곡함으로써, 가드 빔의 자체 강성을 높일 수 있고, 가드 빔의 절곡에 의해 형성된 요홈부에 파이프가 고정되며, 가드 빔에 완충 브라켓과 보강 부재가 각각 장착되는 개방형 이중 가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 double guardrail which divides a boundary between a roadway and a sidewalk, or which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a road to divide a roadway boundary, more specifically, by zigzagging a guard bea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 double guardrail in which a pipe is fixed to a recessed groove formed by bending of a guard beam and a cushioning bracket and a reinforcing member are respectively mounted on a guard beam.
대한민국 특허 제10-1177427호(2012년 8월 21일, 등록)에 "가드레일"이 소개되어 있다.Korean Patent No. 10-1177427 (registered on Aug. 21, 2012), "Guardrail" is introduced.
상기 가드레일은 지주의 상부에 연결구가 결합되고, 상기 지주의 연결구에 가드빔이 결합되어지는 가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중공인 지주체의 하부가 바닥에 직립되게 매립되어지고, 바닥의 상부로 노출된 지주체에 볼트홀이 관통되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가 지주볼트에 의하여 지주체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연결구에 가드빔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연결구는 연결홀이 형성된 연결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상,하부 맞대기편이 전면을 향하여 절곡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상,하부 맞대기편에 맞대기홀이 관통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가드빔은 만곡형태로 볼록한 전방의 임펙트부 배면에 결합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에 상기 결합홈부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결합홈부는 임펙트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면을 향하여 수평형태를 갖는 상,하부 결합편이 일체로 절곡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상,하부 결합편에 가드관통홀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가드관통홀에 중심이 일치되는 맞대기홀을 가드볼트가 관통하여 결합되어지되, 상기 지주 사이로 결합된 가드빔은 상기 지주의 양측에 대칭되게 상하 2열로 배열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2열로 배열된 가드빔은 보강블럭부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보강블럭부는 수직형태를 갖는 블럭부재의 상,하부에 가드빔결합부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가드빔결합부는 찬넬형의 양측 상,하부에 관통홀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가드빔결합부 사이의 양측에 반대방향으로 대응되어지게 절곡된 절곡부가 일체로 형성된다.Wherein the guard rail has a connecting hol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and a guard beam coupled to a connection port of the support, wherein the support is embedded in a lower portion of a hollow main body so as to stand upright on the floor, A bolt hole is formed in the main body exposed to the guide hole, and the connecting hole is coupled to the supporting body by the holding bolt, and the guard beam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hole, And the upper and lower butt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butt portions are formed to be bent at the lower portion and the butt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butt portions so that the guard beam is convex in a curved shape, And the coupling groove portion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The coupling groove portion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impact portion, Wherein the guard bolt is coupled with the butt hole whose center is coincident with the guard through hole so that the guard bolt penetrates through the guard hole, The combined guard beams are symmetrically arranged in two columns on both sides of the strut, and the guard beams arranged in the two columns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reinforcing block portion. The reinforcing block portion includes upper and lower And the guard beam coupling portion has a through hol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hannel type, and a bending portion bent in correspondence with the opposite sides of the guard beam coupling portions in opposite directions is integrally formed .
그러나, 상기 가드레일은 가드빔 자체의 강도가 강하여 소형차가 충돌할 경우 차량이 튕겨나갈 위험이 높으며, 완충작용이 잘되도록 연결구에 가드빔이 연결될 경우, 충돌시 가드빔이 꺾이면서 가드빔 자체가 흉기가 되어 탑승자를 가해할 위험이 있다.
However, in the guard rail, when the guard beam itself is strong, the risk of the vehicle bouncing is high when the small vehicle collides with the guard rail. When the guard beam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 so that the buffering action is good, There is a risk of becoming a victim and injuring the occupan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드 빔을 지그재그로 절곡함으로써, 가드 빔의 자체 강성을 높일 수 있고, 가드 빔의 절곡에 의해 형성된 요홈부에 파이프를 고정함으로써, 가드 빔의 강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가드 빔에 완충 브라켓과 보강 부재가 각각 장착되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고, 가드 빔이 과도하게 휨으로써, 자동차가 차도 밖으로 넘어가거나, 가드 빔의 탄성에 의해 자동차가 뒤로 튕겨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개방형 이중 가드레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guard beam by zigzagging the guard beam and to secure the rigidity of the guard beam by fixing the pipe to the recess groove formed by bending the guard beam A cushion bracket and a reinforcing member are attached to the guard beam, respectively, so that the impact energy is absorbed and the guard beam is excessively deflected. As a result, the automobile falls out of the vehicle or the elasticity of the guard beam Thereby preventing an automobile from being thrown backwar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이중 가드레일은 소정 간격으로 세워진 기둥에 가드 빔이 설치된 가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가드 빔은 상부 완경사부의 하단에 하부로 굴절되는 원호 형상의 제 1 만곡부와, 제 1 만곡부의 하단에서 굴절되는 제 1 중간 완경사부와, 제 1 중간 완경사부에서 하부로 굴절되는 수직부와, 수직부의 하단에서 굴절되는 제 2 중간 완경사부와, 제 2 중간 완경사부에서 하부로 굴절되는 원호 형상의 제 2 만곡부와, 제 2 만곡부의 하단에서 굴절되는 하부 완경사부로 구성되고, 상부 완경사부와 제 1 만곡부 그리고 제 1 중간 완경사부에 의해 제 1 요홈이 형성되고, 제 1 중간 완경사부와 수직부 그리고 제 2 중간 완경사부에 의해 제 2 요홈이 형성되며, 제 2 요홈이 제 1 요홈의 하부에서 반대편으로 개방되고, 제 2 중간 완경사부와 제 2 만곡부 그리고 하부 완경사부에 의해 제 3 요홈이 형성되고, 제 3 요홈이 제 2 요홈의 하부에서 제 1 요홈과 같은 방향으로 개방되고, 제 1 요홈과 제 3 요홈에 제 1 파이프 및 제 2 파이프가 각각 배치되어, 상부 완경사부와 제 1 중간 완경사부가 제 1 파이프와 용접되고, 제 1 파이프와 제 1 만곡부 사이에 제 1 공간부가 형성되며, 제 2 중간 완경사부와 하부 완경사부가 제 2 파이프와 용접되고, 제 2 파이프와 제 2 만곡부 사이에 제 2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pen dual guardrail, including a guard rail having a guard beam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guard beam having a circular arc shape bent downward at a lower end of an upper mild- A first middle mildly-slanting portion which is bent at a lower end of the first bend portion, a vertical portion which is bent downward at a first intermediate mild-slanting portion, a second middle mild-slanting portion which is bent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And a first meandering portion is formed by the upper gentle slope portion, the first gentle slope portion, and the first intermediate gentle slope portion, and the first meandering portion is formed by the upper meandering portion, the first meandering portion, 1 a first groove is formed by the middle gentle slope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and the second intermediate gentle slope portion and the second groove is opened to the opposite side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groove, A third groove is formed by the second mild slope portion and the second slope portion and the lower mild slope portion and the third groove is open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groove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groove and the third groove 1 pipe and a second pipe are respectively disposed so that the upper gently sloping portion and the first middle gently sloping portion are welded to the first pipe and a first spac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ipe and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a secon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pipe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상기 가드 빔은 단부에 수직으로 천공되는 볼트구멍과 수직부에 형성되는 볼트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파이프와 제 2 파이프는 일단에 소켓 슬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ard beam is formed with a bolt hole vertically perforated in an end portion thereof and a bolt hole formed in a vertical portion thereof, and the socket sleev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pipes and the second pipe.
상기 가드 빔은 측단이 완충 브라켓에 의해 지주에 고정되며, 상기 완충 브라켓은 양 측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판재를 절곡 성형한 것으로서, 가드 빔에 대응되는 면에 제 1 파이프와 제 2 파이프에 대응되게 제 1 수평 오목부 및 제 2 수평 오목부가 형성되고, 제 1 수평 오목부와 제 2 수평 오목부 사이에 연결 수직부가 형성되며, 가드 빔과 접촉하는 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타면에 지주에 대응되게 수직 오목부가 형성되고, 수직 오목부의 중심에 볼트구멍이 형성되고, 2개의 면이 상부 경사면과 하부 경사면에 의해 연결되고, 연결 수직부와 수직 오목부 사이에 주름관이 배치되어, 볼트가 주름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ard beam is fixed to the support by a cushion bracket at a side end thereof. The cushioning bracket is formed by bending a plate material in a hexahedron shape with both sides opened, and is provided with a first pipe and a second pipe And a connecting vertical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concave por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concave portion and corresponds to the support on the other surface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guard beam A bolt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vertical concave portion, two surfaces are connected by the upper inclined surface and the lower inclined surface, a corrugated tube is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ng vertical portion and the vertical concave portion, .
상기 가드 빔은 중간 부분에 장착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고, The guard beam further includes a reinforcing member mount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상기 보강 부재는 양 측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판재를 절곡 성형한 것으로서, 가드 빔에 대응되는 면에 제 1 파이프와 제 2 파이프에 대응되게 제 3 수평 오목부 및 제 4 수평 오목부가 형성되고, 제 3 수평 오목부와 제 4 수평 오목부 사이에 연결 수직부가 형성되며, 연결 수직부의 중앙에 볼트구멍이 형성되고, 가드 빔에 대응되는 면과 마주보는 타면이 상부 경사부 및 하부 경사부에 의해 연결되고, 연결 수직부와 타면 사이에 주름관이 배치되어, 볼트가 주름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einforcing member is formed by bending a plate material in a hexahedron shape having both sides opened. A third horizontal concave portion and a fourth horizontal concav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are formed on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guard beam. A connecting vertical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third horizontal concave portion and the fourth horizontal concave portion, a bolt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vertical portion, and the other surface facing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guard beam is formed by the upper inclined portion and the lower inclined portion And a corrugated pipe is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on vertical portion and the other surface, so that the bolt is inserted into the corrugated pipe.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이중 가드레일은 가드 빔을 지그재그로 절곡함으로써, 가드 빔의 자체 강성을 높일 수 있고, 가드 빔의 절곡에 의해 형성된 요홈부에 파이프를 고정함으로써, 가드 빔의 강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가드 빔에 완충 브라켓과 보강 부재가 각각 장착되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고, 가드 빔이 과도하게 휨으로써, 자동차가 차도 밖으로 넘어가거나, 가드 빔의 탄성에 의해 자동차가 뒤로 튕겨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us, in the open double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ard beam is zigzag bent to increase the self-rigidity of the guard beam, and the pipe is fixed to the recessed groove formed by bending of the guard beam, And a cushioning bracket and a reinforcing member are attached to the guard beam, respectively, so that the impact energy is absorbed. By excessively bending the guard beam,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ehicle from being thrown backward by the elasticity of the guard bea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이중 가드레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가드 빔을 도시한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제 1 및 제 2 파이프가 결합된 가드 빔에 도시한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연결 브라켓에 의해 가드 빔이 지주에 장착되는 구조와 여기에 2개의 가드 빔이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연결 브라켓에 의해 가드 빔이 지주에 장착되는 구조와 여기에 2개의 가드 빔이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 1의 B-B을 단면도이다.
도 6은 완충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보강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보강 부재가 가드 빔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 1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이중 가드레일이 도로의 중앙 분리대로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double guard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showing a guard beam,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of a guard beam combined with the first and second pipes.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guard beam is mounted on a support by a connection bracket and a structure in which two guard beams are connected thereto,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guard beam is mounted on a support by a connection bracket,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1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wo guard beam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ffer bracket.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inforcing member.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1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inforcing member is mounted on the guard beam.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open double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median of a roa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이중 가드레일은 소정 간격으로 세워진 기둥(10)에 가드 빔(20)이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1, the open double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도 2를 참조하면, 이때, 상기 가드 빔(20)은 상부 완경사부(21)의 하단에 하부로 굴절되는 원호 형상의 제 1 만곡부(22)와, 제 1 만곡부(22)의 하단에서 굴절되는 제 1 중간 완경사부(23)와, 제 1 중간 완경사부(23)에서 하부로 굴절되는 수직부(24)와, 수직부(24)의 하단에서 굴절되는 제 2 중간 완경사부(25)와, 제 2 중간 완경사부(25)에서 하부로 굴절되는 원호 형상의 제 2 만곡부(26)와, 제 2 만곡부(26)의 하단에서 굴절되는 하부 완경사부(27)로 구성된다.2,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드 빔(20)을 지그재그로 절곡함으로써, 가드 빔의 자체 강성을 높이고, 가드 빔(20)의 판 두께(t1)를 줄일 수 있으며, 차량이 가드 빔에 충돌하였을 때, 충돌 지점에서 가드 빔(20)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드 빔이 과도하게 휘어지거나 탄성에 의해 차량이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그리고, 상기 가드 빔(20)은 상부 완경사부(21)와 제 1 만곡부(22) 그리고 제 1 중간 완경사부(23)에 의해 제 1 요홈(28)이 형성되고, 제 1 중간 완경사부(23)와 수직부(24) 그리고 제 2 중간 완경사부(25)에 의해 제 2 요홈(29)이 형성되며, 제 2 요홈(29)이 제 1 요홈(28)의 하부에서 반대편으로 개방되고, 제 2 중간 완경사부(25)와 제 2 만곡부(26) 그리고 하부 완경사부(27)에 의해 제 3 요홈(30)이 형성되고, 제 3 요홈(30)이 제 2 요홈(29)의 하부에서 제 1 요홈(28)과 같은 방향으로 개방되고, 제 1 요홈(28)과 제 3 요홈(30)에 제 1 파이프(40) 및 제 2 파이프(45)가 각각 배치되어, 상부 완경사부(21)와 제 1 중간 완경사부(23)가 제 1 파이프(40)와 용접되고, 제 1 파이프(40)와 제 1 만곡부(22) 사이에 제 1 공간부(43)가 형성되며, 제 2 중간 완경사부(25)와 하부 완경사부(27)가 제 2 파이프(45)와 용접되고, 제 2 파이프(45)와 제 2 만곡부(26) 사이에 제 2 공간부(48)가 형성된다.2 and 3, the
이것에 의해, 자동차가 가드 빔(20)에 화살표(3) 방향으로 충돌할 때, 제 1 공간부(43)와 제 2 공간부(48)가 수축되면서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파이프(40, 45)는 가드 빔(20)의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가드 빔(20)의 충격 지점이 절단되거나 과도하게 휘어짐으로써, 자동차가 차도 밖으로 넘어가거나, 가드 빔(20)의 탄성에 의해 자동차가 뒤로 튕겨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As a result, when the automobile collides against the
상기 가드 빔(20)은 단부에 수직으로 천공되는 볼트구멍과 수직부(24)에 형성되는 볼트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파이프(40, 45)는 일단에 소켓 슬리브(41, 46)가 형성된다. Th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이것에 의해, 예를 들어, 2개의 가드 빔(20a, 20b)을 연결할 때, 어느 한 가드 빔(20a)의 제 1 및 제 2 파이프(40a, 45a)의 소켓 슬리브(41a, 46a)가 연결되는 가드 빔(20b)의 제 1 및 제 파이프(40b, 45b) 타단에 각각 끼워지고, 볼트구멍이 일치되도록, 어느 한 가드 빔(20a)의 일단에 연결되는 가드 빔(20b)의 타단이 겹쳐진 상태에서, 볼트(50, 52, 54)와 너트에 의해 결합된다. 4 and 5, when the two
또한, 상기 가드 빔(20)은 측단이 완충 브라켓(60)에 의해 지주(10)에 고정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제 1 및 제 2 파이프(40, 45)는 일정 간격의 용접부위(예를 들어, 20~25mm)가 일정간격(예를 들어, 500mm) 마다 형성되고, 단면이 원형, 타원형 도는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e first and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완충 브라켓(60)은 양 측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판재를 절곡 성형한 것으로서, 가드 빔(20)에 대응되는 면(61)에 제 1 파이프(40)와 제 2 파이프(45)에 대응되게 제 1 수평 오목부(62) 및 제 2 수평 오목부(63)가 형성되고, 제 1 수평 오목부(62)와 제 2 수평 오목부(63) 사이에 연결 수직부(64)가 형성되며, 가드 빔(20)과 접촉하는 면(61)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타면(65)에 지주(10)에 대응되게 수직 오목부(66)가 형성되고, 수직 오목부(66)의 중심에 볼트구멍이 형성되고, 2개의 면(61, 65)이 상부 경사면(68)과 하부 경사면(69)에 의해 연결되고, 연결 수직부(64)와 수직 오목부(66) 사이에 주름관(67)이 배치되어, 볼트(54)가 주름관(67)에 끼워진다.5 and 6,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완충 브라켓(60)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가이드 빔(20)의 수직부(24)에 연결 수직부(64)가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54)가 주름관(54)과 지주(10)을 통해 너트(55)에 체결됨으로써, 연결 수직부(64)가 가이드 빔(20)의 수직부(24)에 고정되고, 제 1 수평 오목부(62) 및 제 2 수평 오목부(63)가 제 1 파이프(40)와 제 2 파이프(45)를 감싸게 되고,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수직 오목부(66)가 지주(10)에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54)에 의해 고정된다.5, when the
따라서, 자동차가 가드 빔(20)에 충돌하면, 주름관(67)이 수축되고, 완충 브라켓(60)의 상부 경사면(68)과 하부 경사면(69)이 파단되거나 수축되면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가드 빔(20)이 절단되거나 과도하게 휘어짐으로써, 자동차가 차도 밖으로 넘어가거나, 가드 빔(20)의 탄성에 의해 자동차가 뒤로 튕겨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가드 빔(20)은 중간 부분에 보강부재(70)가 장착된다.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상기 보강 부재(70)는 양 측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판재를 절곡 성형한 것으로서, 가드 빔(20)에 대응되는 면(71)에 제 1 파이프(40)와 제 2 파이프(45)에 대응되게 제 3 수평 오목부(72) 및 제 4 수평 오목부(73)가 형성되고, 제 3 수평 오목부(72)와 제 4 수평 오목부(73) 사이에 연결 수직부(74)가 형성되며, 연결 수직부(74)의 중앙에 볼트구멍(78)이 형성되고, 가드 빔(20)에 대응되는 면(71)과 마주보는 타면(75)이 상부 경사부(76) 및 하부 경사부(77)에 의해 연결되고, 연결 수직부(74)와 타면(75) 사이에 주름관(80)이 배치되어, 볼트(79)가 주름관(80)에 끼워진다.The reinforcing
이것에 의해, 가드 빔(20)의 수직부(24)에 형성된 볼트구멍에 연결 수직부(74)의 볼트구멍(78)이 일치된 상태에서, 볼트(79)가 주름관(80)을 통해 너트(81)와 체결됨으로써, 보강 부재(70)가 가드 빔(20)에 장착된다. 이때, 제 3 수평오목부(72) 및 제 4 수평 오목부(73)가 제 1 파이프(40)와 제 2 파이프(45)에 밀착되어, 가드 빔(20)의 강성을 높이고, 주름관(80)이 수축되면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차량이 가드 빔(20)의 중간 부분에 충돌할 때, 가드 빔(20)의 중간 부분에서 휘는 작용이 크게 발생하여, 가드 빔(20)의 탄성에 의해 충돌 차량이 뒤로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한다.The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이중 가드레일은 지주(10)를 중심으로 2개의 가드 빔(20)이 대칭되게 장착되어, 도로의 중앙분리대로 사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an open double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median of a road, with two
10 : 지주 20 : 가드 빔
40 : 제 1 파이프 45 : 제 2 파이프
60 : 완충 브라켓 70 : 보강 브라켓 10: support 20: guard beam
40: first pipe 45: second pipe
60: buffer bracket 70: reinforcement bracket
Claims (5)
상기 가드 빔(20)은 상부 완경사부(21)의 하단에 하부로 굴절되는 원호 형상의 제 1 만곡부(22)와, 제 1 만곡부(22)의 하단에서 굴절되는 제 1 중간 완경사부(23)와, 제 1 중간 완경사부(23)에서 하부로 굴절되는 수직부(24)와, 수직부(24)의 하단에서 굴절되는 제 2 중간 완경사부(25)와, 제 2 중간 완경사부(25)에서 하부로 굴절되는 원호 형상의 제 2 만곡부(26)와, 제 2 만곡부(26)의 하단에서 굴절되는 하부 완경사부(27)로 구성되고, 상부 완경사부(21)와 제 1 만곡부(22) 그리고 제 1 중간 완경사부(23)에 의해 제 1 요홈(28)이 형성되고, 제 1 중간 완경사부(23)와 수직부(24) 그리고 제 2 중간 완경사부(25)에 의해 제 2 요홈(29)이 형성되며, 제 2 요홈(29)이 제 1 요홈(28)의 하부에서 반대편으로 개방되고, 제 2 중간 완경사부(25)와 제 2 만곡부(26) 그리고 하부 완경사부(27)에 의해 제 3 요홈(30)이 형성되고, 제 3 요홈(30)이 제 2 요홈(29)의 하부에서 제 1 요홈(28)과 같은 방향으로 개방되고, 제 1 요홈(28)과 제 3 요홈(30)에 제 1 파이프(40) 및 제 2 파이프(45)가 각각 배치되어, 상부 완경사부(21)와 제 1 중간 완경사부(23)가 제 1 파이프(40)와 용접되고, 제 1 파이프(40)와 제 1 만곡부(22) 사이에 제 1 공간부(43)가 형성되며, 제 2 중간 완경사부(25)와 하부 완경사부(27)가 제 2 파이프(45)와 용접되고, 제 2 파이프(45)와 제 2 만곡부(26) 사이에 제 2 공간부(4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이중 가드레일.
In a guard rail provided with a guard beam (20) on a column (10) erec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guard beam 20 has an arc-shaped first bend section 22 which is bent downwar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gently sloping section 21 and a first middle gently sloping section 23 which is bent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bend section 22, A second mid-gently-slanting section 25 which is bent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ection 24, a second middle gentle-slanting section 25 which is bent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ection 24, A second bend section 26 which is bent in a downward direction and a lower mild-slanting section 27 which is bent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end section 26. The upper bend section 21 and the first bend section 22, A first groove 28 is formed by the first middle gently sloping portion 23 and a second groove 24 is formed by the first middle gently sloping portion 23 and the vertical portion 24 and the second intermediate gently sloping portion 25 And the second groove 29 is open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groove 28 and the second middle gently sloping portion 25 and the second bend portion 26 and the lower gently sloping portion 27 By third And the third groove 30 is open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groove 29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groove 28 and the first groove 28 and the third groove 30 are formed, The upper pipe 40 and the second pipe 45 are respectively disposed so that the upper gently sloping portion 21 and the first middle gently sloping portion 23 are welded to the first pipe 40 and the first pipe 40 The second intermediate milder slanting portion 25 and the lower mild slanting portion 27 are welded to the second pipe 45 and the second pipe 45 is welded, And a second space portion (48)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curved portion (45)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26).
상기 가드 빔(20)은 단부에 수직으로 천공되는 볼트구멍과 수직부(24)에 형성되는 볼트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파이프(40)와 제 2 파이프(45)는 일단에 소켓 슬리브(41, 4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이중 가드레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ard beam 20 is formed with a bolt hole that is perpendicularly formed in the end portion and a bolt hole that is formed in the vertical portion 24. The first pipe 40 and the second pipe 4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ocket sleeve (41, 46) are formed on both sides.
상기 가드 빔(20)은 측단이 완충 브라켓(60)에 의해 지주(10)에 고정되며, 상기 완충 브라켓(60)은 양 측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판재를 절곡 성형한 것으로서, 가드 빔(20)에 대응되는 면(61)에 제 1 파이프(40)와 제 2 파이프(45)에 대응되게 제 1 수평 오목부(62) 및 제 2 수평 오목부(63)가 형성되고, 제 1 수평 오목부(62)와 제 2 수평 오목부(63) 사이에 연결 수직부(64)가 형성되며, 연결수직부(64)는 가드 빔(20) 수직부(24)의 볼트구멍과 대응되는 볼트구멍이 형성되며, 가드 빔(20)과 접촉하는 면(61)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타면(65)에 지주(10)에 대응되게 수직 오목부(66)가 형성되고, 수직 오목부(66)의 중심에 볼트구멍이 형성되고, 2개의 면(61, 65)이 상부 경사면(68)과 하부 경사면(69)에 의해 연결되고, 연결 수직부(64)와 수직 오목부(66) 사이에 주름관(67)이 배치되어, 볼트(54)가 주름관(67)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이중 가드레일.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ushioning bracket 60 is formed by bending a plate material in a hexahedron shape with its both sides opened and the guard beam 20 is fixed to the pillar 10 by a cushioning bracket 60, A first horizontal concave portion 62 and a second horizontal concave portion 63 ar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pipe 40 and the second pipe 45 on the surface 61 corresponding to the first horizontal concave portion 62, A connecting vertical part 64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horizontal recess 63 and the connecting vertical part 64 and the bolt hole of the vertical part 24 of the guard beam 20, And a vertical recess 66 is formed in the other surface 65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61 contacting the guard beam 20 so as to correspond to the stanchion 10, A bolt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wo surfaces 61 and 65 are connected by the upper inclined surface 68 and the lower inclined surface 69 and between the connection vertical portion 64 and the vertical concave portion 66, 67 are disposed, (54) is fitted in the corrugated pipe (67).
상기 가드 빔(20)은 중간 부분에 장착되는 보강부재(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70)는 양 측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판재를 절곡 성형한 것으로서, 가드 빔(20)에 대응되는 면(71)에 제 1 파이프(40)와 제 2 파이프(45)에 대응되게 제 3 수평 오목부(72) 및 제 4 수평 오목부(73)가 형성되고, 제 3 수평 오목부(72)와 제 4 수평 오목부(73) 사이에 연결 수직부(74)가 형성되며, 연결 수직부(74)의 중앙에 볼트구멍(78)이 형성되고, 가드 빔(20)에 대응되는 면(71)과 마주보는 타면(75)에 볼트구멍이 형성되고, 타면(75)이 상부 경사부(76) 및 하부 경사부(77)에 의해 연결되고, 연결 수직부(74)와 타면(75) 사이에 주름관(80)이 배치되어, 볼트(79)가 주름관(80)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이중 가드레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ard beam (20) further comprises a reinforcing member (70) mount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The reinforcing member 70 corresponds to the first pipe 40 and the second pipe 45 on the surface 71 corresponding to the guard beam 20, A third horizontal concave portion 72 and a fourth horizontal concave portion 73 are formed so that a connecting vertical portion 74 is formed between the third horizontal concave portion 72 and the fourth horizontal concave portion 73 A bolt hole 78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vertical portion 74 and a bolt hole is formed in the other surface 75 facing the surface 71 corresponding to the guard beam 20, And the corrugated pipe 80 is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on vertical portion 74 and the other surface 75 so that the bolt 79 is inserted into the corrugated pipe 80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guard rail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제 1파이프(40)와 제2 파이프(45)는 일단부에 수직으로 볼트구멍이 각각 관통되되, 가드빔(20) 단부에 수직으로 천공된 볼트구멍과 대응되게 관통되고,
타 단부에 형성된 소켓 슬리브(41,46)에 수직으로 볼트구멍이 각각 관통되되, 제 1 및 제 2 파이프(40,45)의 일 단부에 각각 관통된 볼트구멍과 가드빔 단부에 수직으로 천공된 볼트구멍과 대응되게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가드레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ipe (40) and the second pipe (45) penetrate through bolt holes perpendicularly to one end of the first pipe (40) and correspondingly to bolt holes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end of the guard beam (20)
Bolt holes are respectively passed through the socket sleeves 41 and 46 formed at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pipes 40 and 45. The bolt holes penetrate through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pipes 40 and 45, And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through hole so as to correspond to the bolt ho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4346A KR101452315B1 (en) | 2012-11-26 | 2012-11-26 | Open double guard rai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4346A KR101452315B1 (en) | 2012-11-26 | 2012-11-26 | Open double guard rai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70729A true KR20140070729A (en) | 2014-06-11 |
KR101452315B1 KR101452315B1 (en) | 2014-10-23 |
Family
ID=51125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4346A Expired - Fee Related KR101452315B1 (en) | 2012-11-26 | 2012-11-26 | Open double guard rai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2315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5235B1 (en) * | 2014-12-16 | 2015-07-09 | (주)제일산업 | Guard rails taht can be a shock absorption through the plastic doformation and elasic doformation |
CN106522091A (en) * | 2016-11-17 | 2017-03-22 | 中安安轩安全产业发展有限公司 | Highway tubular wavy beam guardrail plate and tubular wavy beam guardrail |
CN109725444A (en) * | 2018-12-11 | 2019-05-07 | 郝文嘉 | A kind of visual communication feedback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2427B1 (en) | 2019-04-01 | 2020-11-02 | 이재훈 | Structure for connecting guard rail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55668A (en) * | 2005-05-19 | 2005-06-13 | (주) 금동강건 | Guardrail with a buffer bracket for a road |
JP4460495B2 (en) * | 2005-06-27 | 2010-05-12 | 日鐵住金建材株式会社 | Beam pipe connection structure of road protection fence |
KR100623462B1 (en) * | 2005-10-17 | 2006-09-13 | (주)미래기술단 | Road guardrail |
KR101208582B1 (en) * | 2011-04-27 | 2012-12-06 | 용 관 박 | Guard rail with reinforced pipe |
-
2012
- 2012-11-26 KR KR1020120134346A patent/KR10145231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5235B1 (en) * | 2014-12-16 | 2015-07-09 | (주)제일산업 | Guard rails taht can be a shock absorption through the plastic doformation and elasic doformation |
CN106522091A (en) * | 2016-11-17 | 2017-03-22 | 中安安轩安全产业发展有限公司 | Highway tubular wavy beam guardrail plate and tubular wavy beam guardrail |
CN109725444A (en) * | 2018-12-11 | 2019-05-07 | 郝文嘉 | A kind of visual communication feedback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52315B1 (en) | 2014-10-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021951A (en) | Vehicle crash attenuator apparatus | |
KR101452315B1 (en) | Open double guard rail | |
KR101198826B1 (en) | Impact absorption intension guard fence | |
KR101211018B1 (en) | Guardrail reinforcement structure | |
KR20090087215A (en) | Car Fence Fence | |
JP6652461B2 (en) | Bridge fence | |
KR101134563B1 (en) | Guard rail | |
KR101406423B1 (en) | Guard beam and guard fence having the same | |
KR101208582B1 (en) | Guard rail with reinforced pipe | |
KR101835859B1 (en) | Structure of reinforcement post with guard rail for dyke | |
KR102579732B1 (en) | Reinforcing support device of guardrail post with buffer structure | |
KR102270229B1 (en) | Guardrail post reinforcement | |
KR101718139B1 (en) | On-gutter installed type supporting sturucture for roadside vehicle barrier | |
KR20150031868A (en) | The shock-absorbing device | |
KR101337567B1 (en) | Shock absorbing guardrail | |
KR101067425B1 (en) | Vehicle protective shock absorber | |
KR101337569B1 (en) | End terminal with shock absorbing function of guardrail | |
JP2005325561A (en) | Guardrail | |
KR200271977Y1 (en) | Guardrail structure equipment of structure elasticity high | |
JP6652462B2 (en) | Bridge fence | |
JP2015148111A (en) | Guard pipe | |
KR20110133206A (en) | Road guide post with leaf spring | |
KR102405808B1 (en) | Guard rail with shock absorbing and stiffness structure | |
KR101869058B1 (en) | Guard rail for multistage shock absorption by rail having vertically asymmetrical shape | |
KR101513695B1 (en) | Multi-Stage Shock Absorbing Guard Rai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405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0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