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70647A - 플로팅 시일 - Google Patents

플로팅 시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0647A
KR20140070647A KR1020147011624A KR20147011624A KR20140070647A KR 20140070647 A KR20140070647 A KR 20140070647A KR 1020147011624 A KR1020147011624 A KR 1020147011624A KR 20147011624 A KR20147011624 A KR 20147011624A KR 20140070647 A KR20140070647 A KR 20140070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seal
content
sliding
seal
flo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1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 니시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068548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7064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40070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64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 F16J15/349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use of special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 F16J15/3436Pressing means
    • F16J15/344Pressing means the pressing force being applied by means of an elastic ring supporting the sli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Sealing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플로팅 시일 재료는, C, Si, Mn, Ni, Cr, B, 및 잔부(殘部)가 Fe와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플로팅 시일 재료이다. 상기 C, Si, Mn, Ni, Cr, B의 함유량은, C: 2.2∼3.8 wt%, Si: 0.5∼3.5 wt%, Mn: 0.1∼2.0 wt%, Ni: 2.0∼5.5 wt%, Cr: 0.9∼4.0 wt%, B: 0.02%∼0.4 wt%이다. 모상(母相) 중의 Cr의 함유량이, 0.30∼1.07 wt%이다. 흑연의 함유량이, 0.35∼2.33 면적%이다. 탄붕화물의 함유량이, 14∼40 면적%이다.

Description

플로팅 시일{FLOATING SEAL}
본 발명은, 플로팅 시일(floating seal)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압 셔블(hydraulic shovel)이나 불도저(bulldozer) 등의 크롤러식(crawler-type) 작업 기계는, 구동륜, 유동륜(遊動輪) 및 상하 전륜 등의 회전륜을 구비한다. 회전륜에는, 베어링용 윤활유의 누출 억지와 수분 및 토사 등의 침입 억지를 목적으로 하여, 시일 구조가 설치된다.
시일 구조는, 통상, 고정측 하우징과 회전측 하우징과의 사이에 설치된 한 쌍의 플로팅 시일 및 한 쌍의 탄성링에 의해 구성된다. 한 쌍을 이루는 플로팅 시일은, 원환형(圓環形)으로 형성되어 있고, 동일 축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 게 접하고 있다. 각각의 플로팅 시일의 외주와 맞닿는 각각의 탄성링을 통하여, 각 하우징에 지지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플로팅 시일은, 원심(遠心) 주조법(鑄造法)이나 사형(砂型) 주조법 등에 의해 제조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특허 문헌 4 참조).
일본 공개특허 제2005―240065공보 일본 공개특허 제2008―221311공보 일본 공개특허 제2008―221312공보 일본 공개특허 1998―99953공보
이 플로팅 시일은, 내마모성, 및 내소부성(耐燒付性) 등과 함께, 고강도일 것이 요구된다. 고강도화의 방법으로서는, 플로팅 시일의 막 두께화를 생각할 수 있지만, 비용이 높아진다.
또한, 플로팅 시일에 있어서는, 내마모성, 및 내소부성을 개선하기 위해, 경질인 탄화물을 다량으로 정석출(晶析出)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탄화물을 다량으로 정석출시키는 것은, 고강도화와 배반한다. 한편, 탄소량을 저감시키는 등, 성분량을 변경하여 탄화물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플로팅 시일의 강도를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탄소량이 적어지면, 탕류성(湯流性)이 악화되어, 제조 불량율이 증가하는 등의 제조 효율 상의 문제가 생긴다. 또한, 탄화물의 양이 적어지면, 내마모성, 및 내소부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제조 효율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강도와 내열성과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로팅 시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관한 플로팅 시일은, C, Si, Mn, Ni, Cr, B, 및 잔부(殘部)가 Fe와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플로팅 시일이다. 상기 C, Si, Mn, Ni, Cr, B의 함유량은, C: 2.2∼3.8 wt%, Si: 0.5∼3.5 wt%, Mn: 0.1∼2.0 wt%, Ni: 2.0∼5.5 wt%, Cr: 0.9∼4.0 wt%, B: 0.02%∼0.4 wt%이다. 모상(母相) 중의 Cr의 함유량이, 0.30∼1.07 wt%이다. 흑연의 함유량이, 0.35∼2.33 면적%이다. 탄붕화물(炭硼化物; carbon boride)의 함유량이, 14∼40 면적%이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관한 플로팅 시일은, 제1 태양의 플로팅 시일로서, 모상 중의 Cr의 함유량이, 0.3∼0.8 wt%이다. 흑연의 함유량이, 0.4∼2.3 면적%이다. 탄붕화물의 함유량이, 20∼35 면적%이다.
본 발명에서는, 플로팅 시일에 B를 첨가함으로써, 모상 중의 Cr의 함유량과, 흑연의 함유량과, 탄화물의 함유량과의 관계를 조정한다. B가 플로팅 시일에 첨가 되면, 흑연이 석출(析出)되기 용이해진다. 이로써, 탄화물의 석출량이 저감된다. 그 결과, 플로팅 시일의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탄소량을 저감시키지 않고 탄화물의 석출량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탕류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제조 효율의 저하가 억제된다. 또한, 탄화물의 석출량이 저감되어도, 석출된 흑연에 의해, 내마모성이 향상된다. 또한, 석출된 흑연에 의해 내친숙성(耐馴染性)도 향상된다. 또한, 탄화물의 석출량이 저감됨으로써, B의 첨가가 없으면 탄화물로서 석출되는 Cr이, 모상으로 녹아 들어간다. 그러므로, 모상 중의 Cr의 함유량이 증대한다. 그 결과, 내열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플로팅 시일에 B를 첨가함으로써, 모상 중의 Cr의 함유량과 흑연의 함유량과 탄화물의 함유량이 서로 관계되어 조정된다. 이로써, 제조 효율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강도와 내열성과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시일 구조의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2는 플로팅 시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탄붕화물의 면적%의 계측 방법을 나타낸 시료의 표면 사진이다.
도 4는 흑연의 면적%의 계측 방법을 나타낸 시료의 표면 사진이다..
도 5는 압괴(壓壞) 강도의 평가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시일 테스터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시험 전후의 플로팅 시일의 슬라이딩 이동면의 외형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시험 후의 플로팅 시일의 슬라이딩 이동면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다른 경우가 있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조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시일 구조의 구성)
먼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플로팅 시일이 사용되는 시일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시일 구조의 단면도이다. 이 시일 구조는, 예를 들면, 유압 셔블이나 불도저 등의 크롤러 트랙식 작업 기계가 구비하는 종감속(終減速) 장치에 설치된다.
시일 구조는, 고정측 부재(11)와 회전측 부재(12)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회전측 부재(12)는, 베어링(13)을 통하여, 고정측 부재(11)에 장착되어 있다. 회전측 부재(12)는, 고정측 부재(1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시일 구조는, 베어링(13)용의 윤활유가 충전되는 내부 공간(N)을 밀폐한다. 시일 구조는, 내부 공간(N)으로부터의 윤활유의 누출을 억지한다. 또한, 시일 구조는, 고정측 부재(11)와 회전측 부재(12)와의 사이의 간극(R)으로부터의 수분 및 토사 등의 내부 공간(N)으로의 침입을 억지한다.
시일 구조는, 제1 플로팅 시일(14)과, 제2 플로팅 시일(15)과, 제1 탄성링(16)과, 제2 탄성링(17)을 가진다. 제1 플로팅 시일(14)과, 제2 플로팅 시일(15)은, 후술하는 플로팅 시일이다. 제1 탄성링(16)과 제2 탄성링(17)은, 예를 들면, 니트릴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 부재이다.
도 2는, 제1 플로팅 시일(14)의 사시도이다. 제1 플로팅 시일(14)은, 관통공(141)을 가지는 환형(環形)의 형상을 가진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플로팅 시일(14)의 관통공(141)에는, 고정측 부재(11)의 일부가 삽입된다. 단, 제1 플로팅 시일(14)의 내면은, 고정측 부재(11)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고, 고정 부재에 접촉되지 않는다. 제1 플로팅 시일(14)은, 제1 탄성링(16)을 통하여, 회전측 부재(12)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제2 플로팅 시일(15)도 제1 플로팅 시일(14)과 마찬가지로, 관통공(151)을 가지는 환형의 형상을 가진다. 제2 플로팅 시일(15)은, 제1 플로팅 시일(14)의 중심축선과 동심(同心)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 플로팅 시일(15)은, 중심축선에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제1 플로팅 시일(14)과 대칭으로 배치된다. 제2 플로팅 시일(15)은, 제2 탄성링(17)을 통하여, 고정측 부재(11)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제1 플로팅 시일(14)과 제2 플로팅 시일(15)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1 플로팅 시일(14)은, 회전측 부재(12)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제2 플로팅 시일(15)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한다.
제1 플로팅 시일(14)은, 제1 선단면(142)과, 제1 바닥면(143)과, 제1 측면(144)을 가진다. 제2 플로팅 시일(15)은, 제2 선단면(152)과, 제2 바닥면(153)과, 제2 측면(154)을 가진다. 제1 선단면(142)은, 제1 바닥면(143)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선단면(152)은, 제2 바닥면(153)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 바닥면(143)과 제2 바닥면(153)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바닥면(143)은, 제1 슬라이딩 이동면(145)과, 제1 테이퍼면(146)을 가진다. 제2 바닥면(153)은, 제2 슬라이딩 이동면(155)과, 제2 테이퍼면(156)을 가진다. 제1 슬라이딩 이동면(145)은, 제1 바닥면(143)에 있어서 제1 테이퍼면(146)의 직경 방향에서의 외측에 위치한다. 제2 슬라이딩 이동면(155)은, 제2 바닥면(153)에 있어서 제2 테이퍼면(156)의 직경 방향에서의 외측에 위치한다. 제1 슬라이딩 이동면(145)과 제2 슬라이딩 이동면(155)은 서로 접촉되고 있다. 제1 테이퍼면(146)과 제2 테이퍼면(156)은, 직경 방향에서의 내측을 향해 서로 간의 거리가 넓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제1 측면(144)은, 제1 탄성링(16)에 접촉되고 있다. 제1 측면(144)은, 오목형의 형상을 가진다. 제1 측면(144)의 오목형의 형상에 의해, 제1 탄성링(16)이 유지된다. 제1 측면(144)은, 제1 바닥면(143) 측으로부터 제1 선단면(142) 측을 향해 외경(外徑)이 작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그리고, 회전측 부재(12)는, 제1 탄성링(16)이 접촉하는 제1 접촉면(121)을 가진다. 제1 접촉면(121)은, 제1 측면(144)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제2 측면(154)은, 제2 탄성링(17)에 접촉되고 있다. 제2 측면(154)은, 오목형의 형상을 가진다. 제2 측면(154)의 오목형의 형상에 의해, 제2 탄성링(17)이 유지된다. 제2 측면(154)은, 제2 바닥면(153) 측으로부터 제2 선단면(152) 측을 향해 외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그리고, 고정측 부재(11)는, 제2 탄성링(17)이 접촉하는 제2 접촉면(111)을 가진다. 제2 접촉면(111)은, 제2 측면(154)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제1 플로팅 시일(14)이 회전측 부재(12)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제1 슬라이딩 이동면(145)이 제2 슬라이딩 이동면(155)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한다. 또한, 제1 슬라이딩 이동면(145)과 제2 슬라이딩 이동면(155)은, 제1 탄성링(16) 및 제2 탄성링(17)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가압되고 있다. 이로써, 회전측 부재(12)의 회전시 및 정지 시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제1 슬라이딩 이동면(145)과 제2 슬라이딩 이동면(155)과의 사이가 밀폐된다.
(플로팅 시일의 구성)
다음에 플로팅 시일의 조성(組成)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플로팅 시일은, C, Si, Mn, Ni, Cr, B, 및 잔부가 Fe와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플로팅 시일이다. C, Si, Mn, Ni, Cr, B의 함유량은, C: 2.2∼3.8 wt%, Si: 0.5∼3.5 wt%, Mn: 0.1∼2.0 wt%, Ni: 2.0∼5.5 wt%, Cr: 0.9∼4.0 wt%, B: 0.02%∼0.4 wt%이다. 또한, 모상 중의 Cr의 함유량이, 0.30∼1.07 wt%이다. 흑연의 함유량이, 0.35∼2.33 면적%이다. 탄붕화물의 양이, 14∼40 면적%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상 중의 Cr의 함유량이, 0.30∼0.80 wt%이며, 흑연의 함유량이, 0.4∼2.3 면적%이며, 탄붕화물의 양이, 20∼35 면적%이다. 각 성분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C는, 탄화물을 형성한다. 또한, C는, 모상을 마르텐사이트(martensite)화하기 위해 필요하다. 단, C의 함유량이 적으면, 그 효과는 불충분하다. 또한, C의 함유량이 많으면 인성(靭性)이 저하된다. 따라서, C의 함유량은 2.2∼3.8 wt%이다.
Si는, 탈산을 촉진하는 동시에 탕류성를 양호하게 한다. 단, Si의 함유량이 적으면, 그 효과는 작다. 또한, Si의 함유량이 많으면 인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Si의 함유량은 0.5∼3.5 wt%이다.
Mn은, 탈산, 및 탈유를 위해 필요한 원소이다. Mn의 함유량이 적으면, 그 효과는 불충분하다. 또한, Mn의 함유량이 많으면 인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Mn의 함유량은 0.1∼2.0 wt%이다.
Ni는, 담금질성(hardenability)을 높여, 마르텐사이트화를 촉진한다. 그러나, Ni의 함유량이 적으면, 그 효과는 작다. 또한, Ni의 함유량이 많으면 오스테나이트가 너무 안정화되어,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다량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Ni의 함유량은 2.0∼5.5 wt%이다.
Cr은, 탄화물을 형성하는 동시에, 모상의 담금질성을 높인다. 그러나, Cr의 함유량이 적으면, 탄화물의 함유량이 적어지는 것에 의해, 내마모성이 저하된다. 또한, Cr의 함유량이 많으면 탄화물이 거칠어지는 것에 의해, 이상(異常) 마모를 촉진한다. 따라서, Cr의 함유량은 0.9∼4.0 wt%이다.
B를 첨가함으로써, 압괴 강도는 향상된다. 그러나, B의 함유량이 적으면, 그 효과는 작다. 또한, B의 함유량이 많으면 그 효과가 발휘되지 않는다. 따라서, 그 함유량은 0.02∼0.4 wt%이다.
모상 중의 Cr은, 내열성을 향상시킨다. 흑연은, 내마모성, 및 친숙성을 향상시킨다. 탄붕화물은, 내마모성, 및 내소부성을 향상시킨다. 이들의 함유량은 서로 관계하고 있고, B의 함유량에 의해 조정된다. 따라서, 모상 중의 Cr의 함유량은 0.30∼1.07 중량%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 1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성분과, 경도와 압괴 강도를 나타낸다. 표 2에, 비교예의 성분과, 경도와 압괴 강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모상 중의 Cr량은 wt%이며, 흑연량 및 탄붕화물의 양은 면적%이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탄붕화물의 면적%의 계측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알루미나 지석(grindstone) 1㎛으로 연마 마무리한 후, 나이탈(nital) 부식액으로 부식시킴으로써, 탄화물을 떠오르게 했다. 예로서, 탄화물을 떠오르게 한 상태의 실시예 4의 표면 사진을 도 3에 나타낸다. 도 3에 있어서 다른 부분보다 색이 진하지 않은 부분이, 탄화물이다. 이와 같이 얻어진 표면 사진으로부터 화상 처리에 의해 탄화물만을 식별하고, 전체에 차지하는 면적율을 탄붕화물의 면적%로서 구하였다.
흑연의 면적%의 계측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알루미나 지석 1㎛으로 연마 마무리 한 후, 현미경에 의해 관찰하였다. 예로서, 실시예 5의 현미경 사진을 도 4에 나타낸다. 이와 같이 얻어진 현미경 사진으로부터, 검은 부분(흑연)의 전체에 차지하는 면적율을 흑연의 면적%로서 구하였다.
도 5는, 압괴 강도의 평가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팅 시일(21)을, O링(22)을 통하여 가대(架臺)(23) 상에 배치한다. 그리고, 플로팅 시일(21)의 직경 방향으로 압축 하중(F)을 걸쳐 플로팅 시일(21)이 파단(破斷)되었을 때의 하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실시예 17과 같이, B가 0.02%∼0.4 wt%의 범위에서는, 흑연이 석출되었다. 한편, 비교예 1∼7, 10∼14와 같이, B가 0.01% 이하에서는, 흑연이 석출되지 않았다. 또한, 비교예 8, 9, 15와 같이, B가 0.58% 이상에서는, 흑연이 석출되지 않았다. 또한, 표 1 및 표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1∼17에서는, 비교예 1∼15보다 압괴 강도가 향상되었다.
또한, 플로팅 시일의 슬라이딩 이동면은, 회전측 부재의 회전에 의한 슬라이딩 이동이나 응착(凝着) 등에 의해 국소적으로 500℃ 정도의 고온에 노출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사용 후의 플로팅 시일은, 템퍼링(tempering)에 의한 연화의 경향이 보여진다. 그래서, 도 6에 나타낸 시일 테스터(30)에 의해,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사용 전 후의 변화를 평가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일 테스터(30)에서는, 한 쌍의 플로팅 시일(31, 32)을 흙탕물 중에 배치한다. 한쪽의 플로팅 시일(31)을 O링(33)에 의해 고정시킨다. 또한, 다른 쪽의 플로팅 시일(32)을, O링(34)을 통하여 하중하는 동시에, 플로팅 시일(31, 32)의 중심축선 주위의 회전 R을 부여한다. 각각의 슬라이딩 이동면은, 서로 압압(押壓)하고 있다. 슬라이딩 이동면의 가압 선압(pushing linear load )(선압= 가압 하중/시일 외경의 원주 길이)을 2.5 kgf/cm로 하고, EO#30의 엔진 오일을 봉입(封入)한 조건 하에서, 300시간의 내구(耐久)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 후에, 마모량, 외관, 경도 변화에 따라, 내마모성, 내소부성, 및 친숙성을 평가했다.
시험 전후의 슬라이딩 이동면의 변화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에 있어서 파선(破線)은, 시험 전의 슬라이딩 이동면 근방(도 6의 부분 A 참조)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있어서 실선은, 시험 전의 슬라이딩 이동면 근방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a)는, 실시예 2에 관한 플로팅 시일의 슬라이딩 이동면 근방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b)는, 비교예 2에 관한 플로팅 시일의 슬라이딩 이동면 근방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7에서는, 관찰의 용이를 위해 종횡의 비를 변경하여 표시하고 있다. 도 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2에서는, 비교예 2보다도, 슬라이딩 이동면의 마모량이 적었다.
시험 후의 슬라이딩 이동면의 외관을 도 8에 나타낸다. 도 8의 (a)는, 실시예 2에 관한 플로팅 시일의 슬라이딩 이동면의 확대도이다. 도 8의 (b)는, 비교예 2에 관한 플로팅 시일의 슬라이딩 이동면의 확대도이다. 시험 후의 슬라이딩 이동면의 외관 관찰로부터, 실시예 2에 관한 플로팅 시일은, 비교예 2에 관한 플로팅 시일보다, 소부가 적은 것, 및 친숙성이 양호한 것이 확인되었다.
시험 전후의 슬라이딩 이동면의 경도의 변화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전에서는, 실시예 2에 관한 플로팅 시일의 슬라이딩 이동면보다, 비교예 2에 관한 플로팅 시일의 슬라이딩 이동면 쪽이 딱딱했다. 그러나, 시험 후에는, 실시예 2에 관한 플로팅 시일의 슬라이딩 이동면 쪽이, 비교예 2에 관한 플로팅 시일의 슬라이딩 이동면보다 딱딱했다. 따라서, 실시예 2에 관한 플로팅 시일 쪽이, 비교예 2에 관한 플로팅 시일보다, 슬라이딩 이동면의 템퍼링에 의한 연화가 억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03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 효율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강도와 내열성과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로팅 시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C, Si, Mn, Ni, Cr, B, 및 잔부(殘部)가 Fe와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플로팅 시일(floating seal)로서,
    상기 C, Si, Mn, Ni, Cr, B의 함유량이,
    C: 2.2∼3.8 wt%,
    Si: 0.5∼3.5 wt%,
    Mn: 0.1∼2.0 wt%,
    Ni: 2.0∼5.5 wt%,
    Cr: 0.9∼4.0 wt%,
    B: 0.02%∼0.4 wt%,
    이며,
    모상(母相) 중의 Cr의 함유량이, 0.30∼1.07 wt%이며,
    흑연의 함유량이, 0.35∼2.33 면적%이며,
    상기 탄붕화물(炭硼化物; carbon boride)의 함유량이, 14∼40 면적%인,
    플로팅 시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상 중의 Cr의 함유량이, 0.30∼0.80 wt%이며,
    상기 흑연의 함유량이, 0.4∼2.3 면적%이며,
    상기 탄붕화물의 양이, 20∼35 면적%인, 플로팅 시일.
KR1020147011624A 2012-08-13 2012-09-27 플로팅 시일 Ceased KR201400706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79491 2012-08-13
JPJP-P-2012-179491 2012-08-13
PCT/JP2012/074899 WO2014027425A1 (ja) 2012-08-13 2012-09-27 フローティングシ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647A true KR20140070647A (ko) 2014-06-10

Family

ID=50685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1624A Ceased KR20140070647A (ko) 2012-08-13 2012-09-27 플로팅 시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94500B2 (ko)
JP (1) JP5965988B2 (ko)
KR (1) KR20140070647A (ko)
CN (1) CN103946609B (ko)
DE (1) DE112012005191B4 (ko)
WO (1) WO20140274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3249B2 (en) * 2018-12-17 2022-05-17 Caterpillar Inc. Plate between ring assemblies of a ring sea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62011A (en) * 1951-08-20 1953-12-08 Int Nickel Co Abrasion and corrosion resistant white cast iron
DE1285266B (de) * 1967-05-16 1968-12-12 Danfoss As Fa Axial nicht verschieblich gelagerter Gegenlaufring bei Gleitringdichtungen
JPS5282Y2 (ko) * 1972-05-06 1977-01-05
DE3147461C2 (de) 1981-12-01 1983-10-13 Goetze Ag, 5093 Burscheid Verschleißfeste Gußeisenlegierung hoher Festigkeit mit sphärolithischer Graphitausscheidung, ihr Herstellungsverfahren und ihre Verwendung
JPS58186253U (ja) * 1982-06-07 1983-12-10 日本ピストンリング株式会社 回転シ−ル
JPS60200950A (ja) * 1984-03-27 1985-10-11 Nippon Piston Ring Co Ltd フロ−テイングシ−ル
US4822415A (en) * 1985-11-22 1989-04-18 Perkin-Elmer Corporation Thermal spray iron alloy powder containing molybdenum, copper and boron
JPH0198368U (ko) * 1987-12-23 1989-06-30
JPH0293172A (ja) * 1988-09-29 1990-04-03 Komatsu Ltd フローティングシールの焼結合金製シールリン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085716A (en) * 1990-02-20 1992-02-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Hot worked rare earth-iron-carbon magnets
DE4005428A1 (de) * 1990-02-21 1991-08-22 Mannesmann Ag Sperrfluessigkeits-dichtungsanordnung bei einem turboverdichter
US6045029A (en) * 1993-04-16 2000-04-04 Baker Hughes Incorporated Earth-boring bit with improved rigid face seal
US5525779A (en) * 1993-06-03 1996-06-11 Martin Marietta Energy Systems, Inc. Intermetallic alloy welding wire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H0790475A (ja) 1993-09-21 1995-04-04 Riken Corp フローティングシート用シールリングの製造方法
DE19525863A1 (de) 1995-07-15 1997-01-16 Ae Goetze Gmbh Gleitringdichtung für die Laufwerke von Gleiskettenfahrzeugen
JPH1099953A (ja) * 1996-09-30 1998-04-21 Riken Corp 遠心鋳造方法
JP2001152252A (ja) * 1999-11-22 2001-06-05 Nsk Ltd 転がり軸受
JP4614553B2 (ja) * 2001-02-09 2011-01-1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混練装置のシール構造
DE10129382A1 (de) * 2001-06-20 2003-01-02 Fischer Georg Fahrzeugtech Sphärogusslegierung
US6953508B2 (en) * 2003-01-02 2005-10-11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High strength steel weld having improved resistance to cold cracking and a welding method
DE10309386B4 (de) 2003-03-04 2005-02-24 Federal-Mogul Burscheid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usseisenwerkstoffes mit gezieltem Restkarbidanteil
JP4999328B2 (ja) * 2003-07-31 2012-08-1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焼結摺動部材
JP4357318B2 (ja) 2004-02-24 2009-11-04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鋳鉄材、シール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99004B2 (ja) 2004-03-08 2011-10-1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Fe系シール摺動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AT500162B8 (de) * 2004-03-09 2007-02-15 Voest Alpine Bergtechnik Gleitringdichtung
US20070045966A1 (en) * 2005-08-31 2007-03-01 Caterpillar Inc. Coatings for metal-metal seal surfaces
DE102005054709A1 (de) * 2005-11-17 2007-05-31 Federal-Mogul Burscheid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leit-und/oder Gegenringen einer Gleitringdichtung
US8669491B2 (en) * 2006-02-16 2014-03-11 Ravi Menon Hard-facing alloys having improved crack resistance
JP2008221312A (ja) 2007-03-15 2008-09-25 Honda Motor Co Ltd 遠心鋳造装置
JP2008221311A (ja) 2007-03-15 2008-09-25 Honda Motor Co Ltd 中空部材の製造方法
DE102007025758A1 (de) 2007-06-01 2008-12-04 Mahle International Gmbh Dichtring
CN102099503B (zh) * 2008-06-16 2013-07-03 纳米钢公司 延性金属玻璃
US20100119872A1 (en) * 2008-11-13 2010-05-13 Lundeen Calvin D Iron-based hard facing alloys with rare earth additions
US8479700B2 (en) * 2010-01-05 2013-07-09 L. E. Jones Company Iron-chromium alloy with improved compressive yield strength and method of making and use thereof
CN102534398B (zh) * 2012-01-06 2013-07-31 北京工业大学 含硼铁基合金耐磨材料及其制备方法
US8765052B2 (en) * 2012-03-27 2014-07-01 Stoody Company Abrasion and corrosion resistant alloy and hardfacing/cladding appl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2005191T9 (de) 2015-02-26
WO2014027425A1 (ja) 2014-02-20
US9194500B2 (en) 2015-11-24
JP5965988B2 (ja) 2016-08-10
CN103946609A (zh) 2014-07-23
DE112012005191B4 (de) 2020-06-18
US20140300059A1 (en) 2014-10-09
DE112012005191T5 (de) 2014-10-16
CN103946609B (zh) 2016-01-20
JPWO2014027425A1 (ja) 2016-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1889B2 (en) Seal Device
CN101479509A (zh) 浮动密封
US20120058710A1 (en) Alloy cast iron for producing a seal, seal,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seal
US20050183794A1 (en) Cast iron material, seal material and the production method
KR20140070646A (ko) 플로팅 시일
JP5122068B2 (ja) Fe系耐摩耗摺動材料
CN107108977A (zh) 氢化丁腈橡胶组合物以及动力传动系统用油封
KR20140070647A (ko) 플로팅 시일
EP0086561B1 (en) Mechanical seal assembly
CN102900107B (zh) 挖掘机、铲斗及其连接机构
CN202017219U (zh) 铲斗与斗杆的连接结构
KR101703692B1 (ko) 플로팅 실
US3768378A (en) Machines
JP4949274B2 (ja) フローティングシール
KR20220122842A (ko) 트랙롤러용 플로팅 씰 및 그 제조방법
JP2016142399A (ja) シール装置
KR100495381B1 (ko) 기동차량용 메카니컬 실링용 합금주철
JP2000159159A (ja) 装軌式建設機械の転輪
WO2024167636A1 (en) Seal ring
KR100800077B1 (ko) 무한궤도형 트랙롤러의 밀봉장치
WO2023219034A1 (ja) フローティングシール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10000A (ja) 水中軸と軸受け
JPH0431019B2 (ko)
JPH10132090A (ja) 磁性ペーストを使った土石粉水シール
KR20030017386A (ko) 크롤러밴드, 크롤러밴드핀, 크롤러밴드부시 및크롤러밴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1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7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