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0386A - Apparatus for supplying led len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upplying led len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70386A KR20140070386A KR1020130141429A KR20130141429A KR20140070386A KR 20140070386 A KR20140070386 A KR 20140070386A KR 1020130141429 A KR1020130141429 A KR 1020130141429A KR 20130141429 A KR20130141429 A KR 20130141429A KR 20140070386 A KR20140070386 A KR 201400703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guide
- unit
- posture
- guide rai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9—Details of refra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장치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렌즈를 투입하기 위한 호퍼부와, 호퍼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낙하된 렌즈를 올바른 자세(볼록면이 상부로 위치된 바른 자세)가 되도록 하여 이송시키는 렌즈자세 정렬유닛과, 렌즈 자세 정렬유닛에서 이송된 렌즈를 픽업위치까지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용 렌즈 공급장치가 게시된다.A lens posture aligning unit that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apparatus main body and feeds the lens so as to feed the lens so that the lens plac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pper is in the correct posture (the convex surface is positioned correctly) And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lens transferred from the lens posture aligning unit to the pickup posi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LED용 렌즈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LED용 렌즈를 호퍼로부터 전달받아 뒤집히지 않고 정위치가 되도록 하여 일정한 자세로 정렬되어 픽업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LED용 렌즈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supply device for L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ns supply device for an LED for receiving an LED lens from a hopper and aligning the lens to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out being inverted, will be.
일반적으로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는 전류가 흐를 때 빛을 내는 반도체 발광소자이며, GaAs, GaN 광반도체로 이루어진 PN 접합다이오드(junction diode)로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바꾸어 주는 것이다.In general, a light emitting diode (LED) is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that emits light when a current flows, and is a PN junction diode made of GaAs or GaN optical semiconductor to convert electric energy into light energy.
이러한 LED의 구성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상면에 회로패턴이 형성된 기판(200)이 마련되어 있고, 회로패턴에 따라 상기 기판(200)상에 LED(21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배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LED(210)는 그 특성상 빛이 확산되지 않고 정면으로 발산되기 때문에 기판상에 간격을 좁게 하여 많은 LED(210)를 배열 형성해야 한다. 이 경우 LED(210)가 고가이기 때문에 전체적인 제품의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었다.1 and 2, a
따라서 근래에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LED(210) 칩으로부터 발산되는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 렌즈(Secondary Lens)(500)를 구비한 후, 기판(200)상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LED(210)를 설치한 다음 상기한 LED(210)에 렌즈(500)를 실장하면 LED(210)의 개수를 적게 설치하여도 렌즈(500)를 통하여 빛이 확산하기 때문에 LED(210)를 많이 설치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 경우 렌즈(500)가 부가적으로 사용되더라도 통상 고가인 LED(210) 보다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3 and 4, a
상기와 같은 종래 렌즈(500)의 일반적인 구성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렌즈(500)의 표면에는 볼록부(530)(LED 칩으로부터 발산되는 광을 확산시키시는 부위)가 형성되어 있고 이면에는 기판(200)에 렌즈(500)를 실장시키는 접착돌기(51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3개소 형성되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실장기가 렌즈(500)를 기판(200) 측으로 픽업할 수 있는 위치설정돌기(520)가 형성되어 있다.5 and 6, a convex portion 530 (a portion for diffusing light emitted from the LED chip)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렌즈(500)의 볼록부(530)가 상면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실장기측으로 공급되면 실장기는 렌즈(5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위치설정돌기(520)를 잡고 렌즈(500)를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LED(210) 전면에 각각 실장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때 렌즈(500)는 접착돌기(510)를 통하여 LED(210)와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부착 고정된다.When the
상기와 같은 렌즈(500)는 실장기측으로 공급될 때 대부분이 수작업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작업인원수가 증가하여 작업효율이 크게 저할 될 뿐 아니라,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Since most of the
한편, 종래에는 칩 등의 소재를 호퍼로부터 자동으로 정렬하여 공급하기 위한 소재 공급장치(등록특허 제10-097111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소재를 호퍼로부터 공급수단으로 공급하고, 무게를 측정하여 이송속도를 제어하여 진동으로 이송시키는 구성이 제안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ly, as disclosed in a material supply apparatus (Patent No. 10-0971119) for automatically aligning and supplying a material such as a chip from a hopper, a material is supplied from a hopper to a supply means, And the speed is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the vibration.
그런데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호퍼로부터 칩을 낙하시켜 공급시, 칩의 자세가 뒤집힐 경우, 이를 바르게 정렬시켜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 전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소재가 렌즈(500)일 경우에는, 상기 종래의 소재 공급장치를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렌즈(500)의 구조상 접착돌기(510)가 형성된 바닥면은 평편하고, 반대의 상부면 즉, 볼록부(530)는 라운드 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호퍼로부터 낙하하여 공급되는 렌즈(500)가 실장기에 공급되는 자세 즉, 볼록부(530)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공급되어야 하는데, 볼록부(530)가 하부로 위치되어 뒤집힌 경우에는 이를 다시 뒤집어서 공급해야만 한다.
Howev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re is no configuration that can properly align and feed the chip when the chip is turned over when the chip is dropped from the hopper. Therefore, when the material fed from the hopper is the
그런데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호퍼로부터 칩을 낙하시켜 공급시, 칩의 자세 즉, 평면상태에서의 자세가 불균일하게 된 상태로 공급되므로,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소재가 렌즈(500)일 경우에는, 픽업위치에서의 렌즈(500)의 자세가 일정하지 않게 되어 픽업된 렌즈(500)의 접착돌기(510)를 실장기의 실장위치에 정확하게 정렬시켜 장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echnique, when the chip is dropped from the hopper and supplied, the posture of the chip, that is, the attitude in the planar state is supplied in a non-uniform state. Therefore, when the material supplied from the hopper is the
또한, 뒤집힌 상태의 렌즈(500)가 픽업위치로 그대로 이송될 경우에도 렌즈(500)의 실장기에 대한 실장작업에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Further, even when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LED용 렌즈를 실장 할 수 있도록 볼록부가 상면에 위치하도록 정렬시키고, 렌즈의 하부의 위치설정돌기가 실장위치에 일치하도록 얼라인시켜 공급할 수 있도록 개선된 LED 렌즈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LED lens which can be mounted so that convex portions ar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positioning projection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ens are aligned and align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LED lens feeding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LED 렌즈 공급장치는, 장치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렌즈를 투입하기 위한 호퍼부와; 상기 호퍼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낙하된 렌즈를 올바른 자세(볼록면이 상부로 위치된 바른 자세)가 되도록 하여 이송시키는 렌즈자세 정렬유닛과; 상기 렌즈 자세 정렬유닛에서 이송된 렌즈를 픽업위치까지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LED lens supply apparatus including: a hopper unit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a main body of the apparatus to input a lens; A lens posture aligning unit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pper for conveying the dropped lens in a correct posture (a correct posture in which the convex surface is located at an upper position); And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lens transferred from the lens posture aligning unit to the pickup position.
여기서, 상기 렌즈자세 정렬유닛은, 상기 호퍼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렌즈 안내덕트와; 상기 렌즈 안내덕트의 바닥에 설치되며, 골과 산을 이루어 상기 호퍼부에서 공급되어 상기 골로 공급된 렌즈가 올바른 자세로 가이드 되도록 하는 주름유닛; 및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렌즈 안내덕트를 지지하며, 구동시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1진동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ens posture aligning unit may include: a lens guide duct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pper; A corrugation unit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lens guide duct and configured to guide the lens supplied from the hopper unit to the corolla in a correct posture, And a first vibration generating unit installed on the apparatus main body to support the lens guide duct and generate vibration upon driving.
또한, 상기 주름유닛은, 상기 렌즈 안내덕트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골과 산을 가지는 고정식 정렬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olding unit includes a fixed alignment member fixed to the bottom of the lens guide duct and having the valley and the mountain.
또한, 상기 주름유닛은 렌즈 안내덕트의 바닥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주름유닛을 접철되거나 펼쳐지도록 구동시키는 접철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fold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fold drive unit that is foldably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lens guide duct and drives the folding unit to fold or unfold.
또한, 상기 이송유닛은, 상면의 볼록부와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접착돌기 및 측면테두리로부터 돌출된 위치설정돌기를 가지는 LED용 렌즈를 상기 렌즈자세 정렬유닛으로부터 공급받아 상기 픽업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렌즈자세 정렬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렌즈를 복수 열로 나란하게 진동을 이용하여 이송시키면서 일정한 자세로 정렬시키는 제1이송유닛; 상기 제1이송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제1이송유닛에서 복수 열로 전달받은 렌즈를 렌즈 이송벨트를 이용하여 상기 픽업위치까지 이송시키는 제2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transfer unit is for transferring the lens for LED having the convex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position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and the adhesiv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to the pickup position supplied from the lens position alignment unit, A first conveying unit for aligning the lenses received from the lens posture aligning unit in a predetermined posture while conveying the lenses in a plurality of rows side by side using vibration; And a second transfer unit connected to the first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lenses transferred from the first transfer unit to a plurality of rows by using the lens transfer belt to the pickup position.
또한, 상기 제1이송유닛은, 상기 렌즈를 나란하게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레일을 가지는 제1가이드블록과;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가이드블록을 지지하는 제1이송진동자; 상기 가이드레일의 바닥에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렌즈 하부의 접착돌기들을 가이드하여 상기 렌즈의 자세가 일정하게 정렬되도록 하는 렌즈 정렬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first transfer unit may include: a first guide block having a plurality of guide rails for guiding the lens to move in parallel; A first transfer oscillator install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and supporting the first guide block; And a lens alignment guide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guide rail to guide the adhesive protrusions under the lens moved along the guide rail so that the posture of the lens is uniformly aligned.
또한, 상기 제1이송유닛을 통과하는 렌즈 중에서 상기 볼록부가 하부로 위치되도록 뒤집힌 렌즈를 이송경로 상에서 이탈시켜 분리하는 렌즈 선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lens selector for separating and removing the inverted lens on the conveying path so that the convex portion of the lens passes through the first conveying unit.
또한, 상기 렌즈 선별부는, 상기 제1가이드블록의 가이드레일 바닥에 형성되는 렌즈 배출공으로 낙하하는 렌즈를 받아서 이동시키는 이탈렌즈 가이드부재; 상기 렌즈 배출공의 상부에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렌즈의 일측을 지지하여 기울어진 자세로 상기 렌즈 배출공 상부를 통과하도록 가이드 하는 편향 이동가이드부재와; 상기 렌즈 배출공 쪽으로 이동하는 렌즈가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기울어진 자세로 진입되도록 안내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의 바닥면에서 편향되게 경사진 가이드면을 가지는 편향 진입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출공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폭을 기준으로 상기 편향 이동가이드부재 쪽으로 치우치게 형성되고, 반대쪽으로는 상기 편향 이동가이드부재에 지지되는 렌즈의 반대측이 지지되는 바닥면이 남도록 상기 가이드레일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The lens selector may further include a release lens guide member for receiving and moving the lens falling on the lens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guide rail of the first guide block; A deflection movement guide membe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lens discharge hole at a posi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guide rail to guide one side of the lens through the lens discharge hole in a tilted posture; And a deflection entrance guide unit having a guide surface that is inclined to be deflecte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guide rail so as to guide a lens moving toward the lens discharge hole into a tilted posture in the guide rail, The guide rail is formed to be biased toward the deflection movement guide member with respect to the width of the guide rail and is formed to have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guide rail so that a bottom surface for supporting the opposite side of the lens supported by the deflection movement guide member remains. good.
또한, 상기 제2이송유닛은, 상기 제1이송유닛에 연결되며, 복수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끝단에는 렌즈의 픽업위치를 결정하는 픽업위치 결정부가 형성되는 제2가이드블록; 상기 제2가이드블록의 가이드레일의 바닥에 형성된 렌즈 접착돌기 가이드홈을 따라 주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렌즈를 이동시키는 렌즈 이송벨트; 상기 렌즈 이송벨트를 주행구동시키는 벨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second conveying unit may include a second guide block connected to the first conveying unit and having a plurality of guide rails and a pickup position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 pickup position of the lens at an end thereof. A lens transfer belt installed to travel along a guide groove formed on a bottom of a guide rail of the second guide block to move the lens; And a belt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lens conveyance belt to travel.
또한, 상기 이송유닛에서 설정된 거리이상 렌즈가 정체된 것을 감지하는 렌즈 감지센서와; 상기 렌즈 감지센서에서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렌즈 정렬유닛에서 상기 이송유닛으로 진입하는 렌즈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렌즈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A lens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at the lens is stagnated at a distance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transfer unit; And a lens stopper portion for selectively blocking a lens entering the transfer unit from the lens alignment unit based on a detection signal from the lens detection sensor.
또한, 상기 이송유닛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렌즈의 픽업위치를 결정하고, 픽업위치로 진입되는 렌즈의 방향에 상관없이 렌즈의 중심이 픽업위치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가이드하여 정지시키는 픽업위치 결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A pickup position determination unit which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transfer unit to determine a pickup position of the lens and guides the lens so that the center of the lens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pickup position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the lens that enters the pickup position, It is better to include a unit.
본 발명의 LED 렌즈 공급장치에 따르면, 렌즈를 자동으로 정렬시켜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ccording to the LED lens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align and supply lenses,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and improving productivity.
그리고 불량자세의 렌즈를 자동으로 걸러내서 불량률을 낮추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filter the lens of the bad posture to lower the defect rate,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product, and improving the reliability.
또한,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픽업위치로 이송된 렌즈를 픽업장치로 픽업 가능한 위치로 위치시킬 수 있게 되어, 픽업장치로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역방향으로 이송된 렌즈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제거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Further, it is possible to position the lens transferred to the pickup position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reverse direction to a position at which the pickup device can be picked up, so that the lens can be automatically moved to the pickup device.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manually remove the lens that is transported in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operator, and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도 1 및 도 2는 기판에 LED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기판에 설치된 LED에 대해 렌즈를 실장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b는 LED용 렌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용 렌즈 공급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용 렌즈 공급장치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용 렌즈 공급장치를 나타내 보인 우측면도이다.
도 7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용 렌즈 공급장치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도 7a에 도시된 호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a 및 도 9b는 호퍼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호퍼부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렌즈 자세 정렬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a 내지 도 12e는 제1이송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a 내지 도 13f는 제2이송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픽업위치 결정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는 픽업위치의 렌즈를 픽업장치로 픽업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 내지 도 16f는 렌즈자세 정렬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FIG. 1 and FIG. 2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LEDs are mounted on a substrate. FIG.
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lens is mounted on an LED mounted on a substrate.
5 to 6B are diagrams showing the lens for LED.
7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ns-feeding device for 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B is a front view showing a lens-feeding device for 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C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lens-feeding device for 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D is a plan view showing a lens-feeding device for 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D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hopper portion shown in FIG. 7A.
9A and 9B are views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hopper portion.
10A and 10B are views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hopper portion.
11A to 11E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lens posture aligning unit.
12A to 12E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first transfer unit.
13A to 13F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econd conveying unit.
14A to 14C are views for explaining a pickup position determining unit.
1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of picking up a lens in a pick-up position by a pick-up device.
16A to 16F are views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ens posture aligning un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용 렌즈 공급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LED lens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용 렌즈 공급장치는, 장치 본체(10)와, 렌즈(500)를 투입하기 위한 호퍼부(20)와, 호퍼부(20)의 하부에 설치되어 낙하된 렌즈(500)를 올바른 자세(볼록면이 상부로 위치된 바른 자세)가 되도록 하여 이송시키는 렌즈자세 정렬유닛(30)과, 렌즈자세 정렬유닛(30)에서 이송된 렌즈(500)를 픽업위치까지 이송시키는 이송유닛(40)을 구비한다.
7A to 7D, the lens supply device for L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호퍼부(20)는 렌즈자세 정렬유닛(3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장치 본체(10)의 프레임에 설치된다. 이러한 호퍼부(20)는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를 공급하기 위한 호퍼통(21)과, 호퍼통(21)의 하부에 설치되어 낙하된 렌즈를 이동시키는 렌즈 공급벨트(22)와, 렌즈 공급벨트(22)를 회전구동시키는 공급벨트 구동부(23)와, 렌즈 공급벨트(22)에 의해 이동된 렌즈를 상기 렌즈 자세 정렬유닛(30)으로 안내하는 안내덕트(24)를 구비한다. 호퍼통(21)에 공급된 렌즈는 하부의 렌즈 공급벨트(22)로 떨어져 공급되고, 렌즈 공급벨트(22)가 주행구동시 렌즈 공급벨트(22)의 일측 하부에 설치된 안내덕트(24)로 낙하하여 렌즈 자세 장렬유닛(30)으로 공급된다. 렌즈 공급벨트(22)는 장치 본체(10)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지지롤러(27)에 주행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복수의 지지롤러(27)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공급벨트 구동부(23)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구동되어 렌즈 공급벨트(22)를 주행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공급벨트 구동부(23)는 구동모터(23a)와, 구동모터(23a)의 동력을 지지롤러(27)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3b)를 포함한다. 동력전달부는 기어열(베벨기어), 체인, 벨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퍼부(120)는 복수의 경사가이드(121)가 프레임(126)에 서로 지그재그식으로 반복하여 상하로 배치되어, 상부의 호퍼 개폐부재(122)의 회동에 의해 아래로 쏟아지는 렌즈(500)를 일정량씩 렌즈 정렬유닛으로 낙하하도록 가이드 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호퍼부(120)는 경사가이드(121)를 따라 하부로 이송된 렌즈를 일정량씩 렌즈 정렬유닛(30) 쪽으로 공급하기 위한 렌즈 이송롤러(123) 및 안내덕트(125)를 구비한다. 안내덕트(125)의 내부에 렌즈 가이드가 더 설치될 수 있고, 안내덕트(125)는 이송롤러(123)에 의해 일정량씩 공급되는 렌즈(500)를 렌즈 정렬유닛(30)의 상부로 안정적으로 이송되도록 가이드 한다.9A and 9B, in the
도 9b를 참조하면, 이송롤러(123)는 수평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외주에 인입 형성된 렌즈 수용홈(123a)에 렌즈(500)가 일정 개수씩 수용된 상태로 회전하여 하부로 낙하시키도록 작동하여 렌즈(500)를 일정량씩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송롤러(123)는 지지브라켓(12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미도시된 구동모터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되면서 렌즈(500)를 렌즈자세 정렬유닛(30) 쪽으로 공급한다.
9B, the conveying
도 10a 및 도 10b에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퍼부(220)가 도시되어 있다. 호퍼부(220)에는 경사가이드(121)를 따라 이동되는 렌즈(500)를 렌즈자세 정렬유닛(30) 쪽으로 일정량씩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경사가이드(121)에 이송스크류(228)가 설치되어 렌즈를 공급할 수 있다. 즉, 상기 이송스크류(228)는 양단이 개방된 구조의 이송파이프(228a) 내부에 스크류부재(228b)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구조로서, 미도시된 구동모터에 의해 스크류부재(228b)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렌즈(500)를 이송파이프(228a)를 통해 일정량씩 공급할 수 있다.
10A and 10B show a
도 11a 내지 도 11e를 참조하면, 상기 렌즈자세 정렬유닛(30)은 호퍼부(20)의 하부에 설치되는 렌즈 안내덕트(31)와, 렌즈 안내덕트(31)의 바닥에 설치되는 주름유닛(33)과, 제1진동발생부(35)를 구비한다.11A to 11E, the lens
상기 렌즈 안내덕트(31)는 바닥벽(31a)과 한 쌍의 측면벽(31b) 및 후면벽(31 c)을 가진다. 렌즈 안내덕트(31)는 상기 제1진동발생부(35) 상부에 설치되고 호퍼부(20)의 하부에 위치된다. 렌즈 안내덕트(31)의 바닥에는 상기 주름유닛(33)에 설치된다. 주름유닛(33)은 골(a1)과 산(a2)을 이루러 호퍼부(20)에서 공급되는 렌즈(500)가 올바른 자세(볼록면이 상부로 위치된 바른 자세)가 되도록 가이드한다. 구체적으로 주름유닛(33)은 렌즈 안내덕트(31)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산(a1)과 골(a2)을 가지는 고정식 정렬부재(37)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ens guide
즉, 고정식 정렬부재(37)는 'V'자 형의 골(a1)을 이루는 경사부(37a)와, 경사부(37a)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연결되는 산(a2)을 이루는 수평 연결부(37b)를 가진다. 서로 마주하는 경사부(37a)가 골(a1)을 이루도록 렌즈 안내덕트(31)의 바닥벽(31a) 쪽으로 갈수록 즉, 하부로 갈수록 서로 근접되게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경사부(37a)들간 이루는 각(θ)은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부(73a)에 의해 형성된 골(a1)에 렌즈(500)가 공급되면, 도 1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500)는 경사부(37a)의 경사면에 가이드 되면서 이동하여 하부의 수평면 즉, 접착돌기(510)가 형성된 하부 쪽이 경사부(37a)에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가이드 되어 정렬된다. 특히, 주름유닛(33)의 골(a1)에 여러 개의 렌즈가 서로 겹쳐지게 공급되어 바른 자세로 정렬되지 못하더라도, 렌즈 정렬유닛(30)을 제2진동발생부(35)를 이용하여 미세 진동시켜서 렌즈(500)를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렌즈들(500)이 고정식 정렬부재(37)의 골(a1)에서 서로 동일한 높이와 바른 자세로 정렬되어 차례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골(a1)에서 렌즈(500)가 자연스럽게 정렬될 수 있는 이유는, 골(a1)을 이루는 각이 예각을 이루면서, 렌즈(500)가 상부에 라운드진 볼록부(530)를 가지고, 하부에는 접착돌기(510)를 가지는 평평한 면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렌즈(500)가 안정감 있는 자세를 취하기 위해서 뒤집혀 지지 않고, 볼록부(530)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바르게 정렬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stationary aligning
또한,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정렬유닛(30)에는 렌즈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제1렌즈감지센서(38)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렌즈감지센서(38)는 상기 렌즈 안내덕트(31)의 측면벽(31b)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발광부(38a)와 수광부(38b)를 포함하는 수발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감지센서(38)에서 렌즈의 감지여부에 따라서 호퍼부(20)서의 렌즈 공급 및 공급중지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Also, as shown in FIG. 11D, the
상기 이송유닛(40)은 렌즈 장세 정렬유닛(30)에서 이송된 렌즈(500)를 픽업위치(P)까지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이송유닛(40)은 렌즈 자세 정렬유닛(30)으로부터 렌즈(50)를 전달받아 복수 열로 정렬시켜 소정 거리 이송시키는 제1이송유닛(140)과, 제1이송유닛(140)으로부터 렌즈(500)를 전달받아 픽업위치(P)까지 렌즈를 이송시키는 제2이송유닛(240)을 구비한다.
The
도 12a 내지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유닛(140)은 제1가이드블록(141)과, 제2진동발생부(142)와, 렌즈 정렬가이드(143)를 구비한다.12A to 12D, the
제1가이드블록(141)은 렌즈(500)를 나란하게 이동되게 가이드 하는 복수의 가이드레일(141a)을 가진다. 가이드레일(141a)은 복수가 나란하게 소정 길이로 형성된다. 제1가이드블록(141)의 상부에는 렌즈 정렬유닛(30)으로부터 제1가이드레일(141a)로 진입하는 렌즈(500)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렌즈 스토퍼부(147)가 설치된다. 렌즈 스토퍼부(147)는 제1가이드블록(141)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147a)과, 지지브라켓(147a)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141a)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부재(147b)를 구비한다. 스토퍼부재(147b)는 동작신호에 따라 승강 동작되는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재(147b)는 복수의 가이드레일(141a) 각각을 개별적으로 차단 및 개방하도록 설치됨으로써, 복수의 가이드레일(141a) 별로 렌즈(500)의 이송을 제어할 수 있다.The
상기 제2진동발생부(142)는 장치 본체(10)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가이드블록(141)을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제2진동발생부(142)가 구동하면서 미세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제1가이드블록(141)의 가이드레일(141a)에 진입한 렌즈(500)가 미세진동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The second
상기 렌즈 정렬가이드(143)는 가이드레일(141a)의 바닥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소정 길이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41a)의 폭(w)을 기준으로 중심에 위치하며, 가이드레일(141a)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렌즈 정렬가이드(143)는 렌즈(500)가 진입되는 선단이 서로 다른 각도를 갖는 경사면(143a,143b)이 형성된다. 경사면들(143a,143b)이 만나는 꼭지점은 렌즈 정렬가이드(143)의 폭을 기준으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12e와 같이, 렌즈 정렬가이드(143)쪽으로 진입하는 렌즈(500)는 경사면들(143a,143b)의 꼭짓점에 의해 접착돌기들(510)이 분류되어 일정한 자세로 정렬되어 이동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이러한 렌즈 정렬가이드(143)는 가이드레일(141a)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 될 수도 있다.The
또한, 렌즈 정렬가이드(143)은 렌즈의 이동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렌즈 정렬가이드(143)를 중심으로 양측에 렌즈(500)의 접착돌기(510)를 가이드 하기 위한 접착돌기 가이드홈(g)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1가이드블록(141)에는 통과하는 렌즈(500) 중에서 볼록부가 하부로 위치되도록 뒤집힌 렌즈를 이송경로(가이드레일(141a))에서 이탈시켜 분리하는 렌즈 선별부(150)가 더 설치된다. 이를 위해 가이드레일(141a)의 바닥에는 뒤집힌 렌즈가 분리되어 배출되는 렌즈 배출공(141c)이 소정 길이로 형성된다.The
상기 렌즈 선별부(150)는 렌즈 배출공(141c)으로 낙하하는 렌즈를 받아서 수거통(미도시)으로 가이드 하는 이탈렌즈 가이드부재(151)와, 편향 이동가이드부재(153) 및 편향 진입가이드부(155)를 구비한다.The
이탈렌즈 가이드부재(151)는 제1가이드블록(141)의 하부에 설치되며, 하나 또는 복수가 설치될 수 있다.The release
상기 편향 이동가이드부재(153)는 렌즈 배출공(141a)의 상부에 위치되며, 가이드레일(141a)의 폭방향(w)을 기준으로 어느 일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편향 이동가이드부재(153)는 봉 형상으로서 렌즈 배출공(141a)과 나란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도 1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500)가 편향 이동가이드부재(153)이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가이드레일(141a)의 바닥면의 일측 하단을 지지하여 기울어진 자세로 이동된다. 즉, 렌즈(500)의 바닥면은 평평하기 때문에 기울어진 상태에서, 일측하단 편향 이동가이드부재(153)에 지지되고, 타측 하단은 바닥면의 접촉포인트(c1)에 접촉됨으로써, 기울어진 자세를 유지하면서 이동될 수 있다.The deflection
반면에, 도 12g와 같이, 렌즈(500)가 뒤집힌 상태에서 이송될 경우에는, 볼록부분이 가이드레일(141a)의 바닥면에 접촉되므로 접촉포인트(c2)가 도 12f의 경우에서의 접촉포인트(c1)보다 렌즈 배출공(141c) 쪽으로 치우치게 된다. 그리고 렌즈(500)의 기울기가 정상적인 경우(θ2)보다 뒤집힌 경우(θ3)가 작다. 그리고 접촉포인트(c2)가 둥근 볼록부분이므로, 이동되면서 렌즈(500)의 자세가 불안정하게 되어 옆으로 굴러서 편향 가이드부재(153)에 지지되지 못하고 이탈하여 렌즈 배출공(141c)으로 낙하되어 분리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상기 편향 진입가이드부(155)는 편향 가이드부재(153)로 진입하는 렌즈(500)를 미리 기울어진 자세로 변경되어 이송되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편향 진입가이드부(155)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41a)의 바닥에서 돌출되되, 어느 일측으로 편향 상향되게 형성되어, 이동하는 렌즈(500)가 점진적으로 기울어져서 편향 이동가이드부재(153)로 진입되도록 할 수 있다.
The deflection-in
상기 제2이송유닛(240)은 제1이송유닛(140)에 연결되어 제1이송유닛(140)에서 복수 열로 전달받은 렌즈(500)를 전달받아 픽업위치(P)까지 이송시킨다. 도 13a 내지 도 13e를 참조하면, 제2이송유닛(240)은 제2가이드블록(241)과, 렌즈 이송벨트(243)와, 벨트 구동부(245)를 구비한다.The
제2가이드블록(241)은 제1가이드블록(241)은 제1가이드블록(141)에 연결되도록 장치본체(10)에 고정 설치된다. 제2가이드블록(141)은 제1가이드블록(141)을 따라 이동되는 렌즈(500)를 전달받아 픽업위치로 이동되게 가이드 하는 복수의 가이드레일(241a)을 가진다.The
가이드레일(241a)에는 렌즈 이송벨트(243)가 주행 가능하게 설치되어, 렌즈(500)를 픽업위치(P)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가이드블록(241)의 상부에는 가이드레일(241a) 별로 렌즈(500)의 유무를 감지하는 렌즈 감지센서(250)가 설치된다. 픽업위치(P)부터 렌즈 감지센서(250) 위치까지 렌즈(500)가 정렬되어 있을 경우, 렌즈 감지센서(250)에서 렌즈(500)를 설정된 시간이상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렌즈 스토퍼부(147)에서 렌즈(500)가 감지된 가이드레일(241a)로 진입하는 렌즈를 차단하도록 동작되어, 더 이상의 렌즈가 제1이송블록(140)으로 진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500)가 지나치게 많이 공급되어 자세가 흐트러지고, 가이드레일(141a,241a)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
또한, 도 13e 및 도 1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241a)의 바닥에는 렌즈 이송벨트(243)가 주행되도록 수용되는 벨트 가이드홈(g2)이 형성된다. 렌즈 이송벨트(243)는 벨트 가이드홈(g2)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고, 벨트 가이드홈(g2)의 중심에 위치한다. 따라서 렌즈(500)의 접착돌기(510)는 렌즈 이송벨트(243)을 타고 이송되고, 이송될 때 접착돌기(510)가 렌즈 이송벨트(243)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분리되어 벨트 가이드홈(g2)을 따라 이동되므로, 렌즈(500)의 자세는 변하지 않게 이동될 수 있다.
13E and 13F, a belt guide groove g2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상기 렌즈 이송벨트(243)는 가이드레일(241a)의 바닥을 따라서 주행하도록 설치되어, 렌즈(500)를 픽업위치(P)로 이동시킨다.The
상기 렌즈 이송벨트(243)를 주행구동하기 위해, 제2가이드블록(240)에는 벨트 구동부(245)가 설치된다. 벨트 구동부(245)는 구동모터(245a)와, 렌즈 이송벨트(243)를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롤러(245b) 및 아이들롤러(245c), 복수의 지지롤러(245b) 중 어느 하나를 구동하기 위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벨트 구동모터(245d), 벨트 구동모터(245d)의 동력을 어느 한 지지롤러(245b)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245e)를 구비한다.In order to drive the
상기 지지롤러(245b)는 제2가이드블록(240)의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며, 구체적으로는 연결 가이드블록(250)과 픽업위치 결정유닛(260)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연결블록(250)은 제1 및 제2가이드블록(140,240) 사이에 설치되며, 제2가이드블록(240)에 결합된다. 연결블록(250)에는 가이드레일(251)이 형성되고, 가이드레일(251)의 바닥에도 렌즈자세를 일정하게 정렬시켜 가이드 하는 렌즈 정렬가이드(253)가 설치될 수 있다. 렌즈 정렬가이드(253)는 앞서 설명한 렌즈 정렬가이드(143)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진다.The
그리고 상기 픽업위치 결정유닛(260)은 제2가이드블록(241)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벨트 지지롤러(245b)를 지지한다.The pickup
상기 벨트 구동모터(245d)는 장치 본체(10)에 설치된다. 벨트 구동모터(245b)의 회전축과 상기 지지롤러(245b) 각각에는 기어(또는 풀리)가 설치되어, 상기 동력전달부(245e)에 의해 벨트 구동모터(245d)의 동력을 지지롤러(245b)로 전달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245e)는 기어열, 체인, 벨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elt driving motor 245d is installed in the apparatus
픽업위치 결정블록(260)은 렌즈의 픽업위치(P)를 결정하기 위한 픽업위치 결정블록(270)은 도 13a 내지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이드블록(241)의 끝단에 결합되는 픽업자세 가이드블록(261)과, 픽업자세 가이드블록(261)의 끝단을 덮도록 제2가이드블록(241)에 결합되는 스토퍼 블록(263)을 구비한다.The pickup
픽업자세 가이드블록(261)은 제2가이드블록(241)의 단부에 결합된다. 픽업자세 가이드블록(261)의 바닥에는 가이드레일(241a)을 따라 이동되는 렌즈(500)의 접착돌기(510)를 가이드 하는 접착돌기 가이드슬릿(261a)이 형성된다. 접착돌기 가이드슬릿(261a)은 제2가이드블록(240)의 벨트 가이드홈(g2)과 연결되며,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접착돌기 가이드슬릿(261a)의 중심에 접착돌기 가이드슬릿(261a)을 분기하도록 경계가이드(261b)가 형성된다. 경계가이드(261b)에 의해 접착돌기 가이드슬릿(261a)의 끝 부분에서는 서로 분기된 제1 및 제2분기슬릿(261a',261a")이 형성된다. 경계가이드(261a)는 접착돌기 가이드슬릿(261a)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2가이드슬릿(261a") 쪽으로 치우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분기슬릿(261a',261a")은 서로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도록 제2분기슬릿(261a")은 접착돌기 가이드슬릿(261a)의 측면으로부터 더 확장되어 형성된다.The pickup-
상기 스토퍼블록(263)은 픽업자세 가이드블록(261)의 끝단부를 일부 덮도록 조립된 상태로, 상기 제2가이드블록(241)에 결합된다. 이 스토퍼블록(263)은 상기 접착돌기 가이드슬릿(261a)과 제1 및 제2분기슬릿(261a',261a")을 덮는 커버 부분에 픽업위치 및 픽업자세를 결정하기 위한 렌즈자세 가이드턱(263a)을 가진다. 가이드턱(263a)은 렌즈(5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위치결정돌기(520)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가이드 하는 꼭지점(p1,p2)을 가지고, 렌즈(500)의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각진 형상을 갖는다.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가이드턱(263a)과, 제1 및 제2분기슬릿(261a',261a")의 구성에 의해, 정방향으로 진입되는 렌즈(501)와 역방향으로 진입되는 렌즈(502) 모두 픽업위치(P)에서의 중심(C)이 서로 일치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즉, 픽업위치(P)의 중심(C1)에 렌즈(501,502)의 중심(C2)이 모두 일치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501,502)를 픽업하는 픽업장치(50)의 흡착노즐(51)이 중심(C1,C2)이 일치하도록 놓인 렌즈(501,502)를 모두 정상적으로 픽업할 수 있게 된다.By the configuration of the
즉, 정방향으로 진입되는 렌즈(501)는 2개의 접착돌기(510)가 제2분기슬릿(261a")으로 진입하게 되고, 역방향으로 진입되는 렌즈(502)는 2개의 접착돌기(510)가 제1분기슬릿(261a')에 위치하여 진입한다. 이때 역방향으로 진입되는 렌즈(502)는 끝 부분에서 가이드턱(263a)에 가이드 되어 제2분기슬릿(261a") 쪽으로 밀리면서 자리 잡게 되고, 이때 제2분기슬릿(261a")으로 진입된 하나의 접착돌기(510)는 제2분기슬릿(261a")의 벽에 간섭되지 않고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정방향으로 진입되는 렌즈(501)는 실장기판(200) 등으로 옮기고, 역방향으로 진입되는 렌즈(502)는 별도의 회수부로 이동하여 회수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한편, 도 16a 내지 도 16f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자세 정렬유닛(130)을 앞서 설명한 렌즈자세 정렬유닛(30)을 대체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렌즈 자세 정렬유닛(130)은 수평 플레이트(131)와, 수평 플레이트(131) 상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름유닛(133) 및 주름유닛(133)을 접철되거나 펼쳐지도록 구동시키는 접철 구동부(135)를 구비한다.16A to 16F, the lens
여기서 상기 수평 플레이트(131)는 가이드레일 구조를 가질 수 있다.Here, the
주름유닛(133)은 가이드레일 구조를 갖는 수평 플레이트(131)를 따라 이동가능한 복수의 이동블록(133a)과, 수평 플레이트(131)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고정블록(133b)과, 이동블록들(133a)을 연결하고 또한 이동블록(133a)과 고정블록(133b)을 연결하며 서로 접철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접철플레이트(133c,133d)를 가진다.The
주름유닛(133)이 도 16b의 자세에서 그 위로 떨어진 렌즈(500)를 올바른 자세로 정렬시키기 위해서는, 접철 구동부(135)를 도 16c의 자세에서 도 16d의 자세로 접철(압착)시킨다. 그러면, 도 16c와 같이 뒤집힌 상태의 렌즈(500')는 도 16d의 자세에서는 수직으로 직립된 자세가 되는데, 이때 렌즈(500')의 제1 및 제2접촉 포인트(t1,t2)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된다. 그리고 상부의 제2접촉포인트(t1)에서 가해지는 힘의 제1접촉포인트(t1; 경사면에 접촉되어 상부보다 먼저 접촉되어 모멘트를 발생시키게 된다)에서 가해지는 반발력에 의해 렌즈(500')에는 모멘트(M)가 도 16d와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게 됨으로써, 결국 도 16e와 같은 자세로 변경되며, 주름유닛(133)을 다시 펼쳤을 때는 도 16f와 같이 렌즈(500")가 올바른 자세(볼록부(530)가 상부로 위치된 자세)로 변경될 수 있게 된다.The
상기 접철 구동부(135)는 주름유닛(133)의 일측에 연결되는 피스톤부(135a)와 피스톤부(135a)를 왕복 구동시키는 실린더부(135b)를 가지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lding and driving
상기 구성에 의하면, 렌즈(500)를 올바른 자세로 변경시켜서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수작업으로 렌즈를 정렬시킬 필요가 없게 되어, 생산성을 높이고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불량률을 낮출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렌즈자세 정렬유닛(30,130)에 따르면, 호퍼부(20)로부터 공급되는 렌즈(500)를 볼록부(530)가 상부로 위치하도록 자동으로 바르게 정렬시켜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작업에 비하여 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lens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장치 본체 20,120,230..호퍼부
30,130..렌즈자세 정렬유닛 40..이송유닛
140..제1이송유닛 147..렌즈 스토퍼부
150..렌즈 선별부 240..제2이송유닛
250..렌즈 감지센서 260..픽업위치 결정유닛
500..렌즈The apparatus
30,130 .. Lens
140.
150 ..
250 ..
500 .. Lens
Claims (11)
상기 호퍼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낙하된 렌즈를 올바른 자세(볼록면이 상부로 위치된 바른 자세)가 되도록 하여 이송시키는 렌즈자세 정렬유닛과;
상기 렌즈 자세 정렬유닛에서 이송된 렌즈를 픽업위치까지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용 렌즈 공급장치.A hopper unit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apparatus for inputting a lens;
A lens posture aligning unit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pper for conveying the dropped lens in a correct posture (a correct posture in which the convex surface is located at an upper position);
And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lens transferred from the lens posture aligning unit to the pickup position.
상기 호퍼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렌즈 안내덕트와;
상기 렌즈 안내덕트의 바닥에 설치되며, 골과 산을 이루어 상기 호퍼부에서 공급되어 상기 골로 공급된 렌즈가 올바른 자세로 가이드 되도록 하는 주름유닛; 및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렌즈 안내덕트를 지지하며, 구동시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1진동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용 렌즈 공급장치.2. The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lens guide duct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pper;
A corrugation unit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lens guide duct and configured to guide the lens supplied from the hopper unit to the corolla in a correct posture, And
And a first vibration generating unit install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to support the lens guide duct and to generate vibration during driving.
상기 렌즈 안내덕트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골과 산을 가지는 고정식 정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용 렌즈 공급장치.The fol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2,
And a fixed alignment member fixed to the bottom of the lens guide duct and having the valleys and the mountains.
상기 주름유닛은 렌즈 안내덕트의 바닥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주름유닛을 접철되거나 펼쳐지도록 구동시키는 접철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용 렌즈 공급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folding unit is foldably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lens guide duct,
And a fold drive unit for driving the folding unit to fold or unfold the folding unit.
상기 이송유닛은, 상면의 볼록부와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접착돌기 및 측면테두리로부터 돌출된 위치설정돌기를 가지는 LED용 렌즈를 상기 렌즈자세 정렬유닛으로부터 공급받아 상기 픽업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렌즈자세 정렬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렌즈를 복수 열로 나란하게 진동을 이용하여 이송시키면서 일정한 자세로 정렬시키는 제1이송유닛;
상기 제1이송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제1이송유닛에서 복수 열로 전달받은 렌즈를 렌즈 이송벨트를 이용하여 상기 픽업위치까지 이송시키는 제2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용 렌즈 공급장치.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transfer unit is for transferring the lens for LED having the convex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position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and the adhesiv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to the pickup position supplied from the lens position alignment unit,
A first conveying unit for aligning the lenses received from the lens posture aligning unit in a predetermined posture while conveying the lenses in a plurality of rows side by side using vibration;
And a second transfer unit connected to the first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lens transferred from the first transfer unit to a plurality of rows by using a lens transfer belt to the pick-up position.
상기 렌즈를 나란하게 이동되게 가이드 하는 복수의 가이드레일을 가지는 제1가이드블록과;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가이드블록을 지지하는 제1이송진동자;
상기 가이드레일의 바닥에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렌즈 하부의 접착돌기들을 가이드하여 상기 렌즈의 자세가 일정하게 정렬되도록 하는 렌즈 정렬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용 렌즈 공급장치.6.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A first guide block having a plurality of guide rails for guiding the lens to be moved in parallel;
A first transfer oscillator install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and supporting the first guide block;
And a lens alignment guide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guide rail to guide the adhesive protrusions under the lens moved along the guide rail so that the posture of the lens is uniformly aligned. Device.
상기 제1이송유닛을 통과하는 렌즈 중에서 상기 볼록부가 하부로 위치되도록 뒤집힌 렌즈를 이송경로 상에서 이탈시켜 분리하는 렌즈 선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용 렌즈 공급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lens selector for separating and removing the inverted lens on the conveying path so that the convex portion of the lens passes through the first conveying unit.
상기 제1가이드블록의 가이드레일 바닥에 형성되는 렌즈 배출공으로 낙하하는 렌즈를 받아서 이동시키는 이탈렌즈 가이드부재;
상기 렌즈 배출공의 상부에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렌즈의 일측을 지지하여 기울어진 자세로 상기 렌즈 배출공 상부를 통과하도록 가이드 하는 편향 이동가이드부재와;
상기 렌즈 배출공 쪽으로 이동하는 렌즈가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기울어진 자세로 진입되도록 안내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의 바닥면에서 편향되게 경사진 가이드면을 가지는 편향 진입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출공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폭을 기준으로 상기 편향 이동가이드부재 쪽으로 치우치게 형성되고, 반대쪽으로는 상기 편향 이동가이드부재에 지지되는 렌즈의 반대측이 지지되는 바닥면이 남도록 상기 가이드레일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용 렌즈 공급장치.The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lens selector comprises:
A release lens guide member for receiving and moving a lens falling on a lens discharge hole formed in a bottom of a guide rail of the first guide block;
A deflection movement guide membe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lens discharge hole at a posi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guide rail to guide one side of the lens through the lens discharge hole in a tilted posture;
And a deflection entrance guide unit having a guide surface that is inclined to be deflecte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guide rail so as to guide a lens moving toward the lens discharge hole into an inclined posture in the guide rail,
Wherein the lens exit hole is formed to be biased toward the deflection movement guide member with respect to the width of the guide rail and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guide rail so that a bottom surface on which the opposite side of the lens supported by the deflection movement guide member is retained, And the width of the second lens group is smaller than that of the third lens group.
상기 제1이송유닛에 연결되며, 복수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끝단에는 렌즈의 픽업위치를 결정하는 픽업위치 결정부가 형성되는 제2가이드블록;
상기 제2가이드블록의 가이드레일의 바닥에 형성된 렌즈 접착돌기 가이드홈을 따라 주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렌즈를 이동시키는 렌즈 이송벨트;
상기 렌즈 이송벨트를 주행구동시키는 벨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용 렌즈 공급장치.6.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A second guide block connected to the first transfer unit, wherein a plurality of guide rails are formed and a pickup position determining portion for determining a pickup position of the lens is formed at an end thereof;
A lens transfer belt installed to travel along a guide groove formed on a bottom of a guide rail of the second guide block to move the lens;
And a belt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lens transfer belt to travel.
상기 이송유닛에서 설정된 거리이상 렌즈가 정체된 것을 감지하는 렌즈 감지센서와;
상기 렌즈 감지센서에서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렌즈 정렬유닛에서 상기 이송유닛으로 진입하는 렌즈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렌즈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용 렌즈 공급장치.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 lens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at the lens is stagnated at a distance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transfer unit;
Further comprising a lens stopper unit for selectively blocking a lens entering the transfer unit from the lens alignment unit based on a detection signal from the lens detection sensor.
상기 이송유닛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렌즈의 픽업위치를 결정하고, 픽업위치로 진입되는 렌즈의 방향에 상관없이 렌즈의 중심이 픽업위치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가이드하여 정지시키는 픽업위치 결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용 렌즈 공급장치.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 pickup position determining unit provided at an end of the transfer unit for determining a pickup position of the lens and guiding and stopping the lens so that the center of the lens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pickup position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the lens entering the pickup position Further comprising: a first lens unit for receiving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8324 | 2012-11-30 | ||
KR20120138324 | 2012-11-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70386A true KR20140070386A (en) | 2014-06-10 |
KR101501759B1 KR101501759B1 (en) | 2015-03-11 |
Family
ID=511252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41429A Expired - Fee Related KR101501759B1 (en) | 2012-11-30 | 2013-11-20 | Apparatus for supplying led lens |
KR1020130141428A Expired - Fee Related KR101575340B1 (en) | 2012-11-30 | 2013-11-20 | Apparatus for feeding led lens of lens supplying device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41428A Expired - Fee Related KR101575340B1 (en) | 2012-11-30 | 2013-11-20 | Apparatus for feeding led lens of lens supplying devic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2) | KR101501759B1 (en) |
TW (1) | TW201424055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94701A (en) * | 2015-02-02 | 2016-08-10 |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 A Lens Feeder for Suppling a Plural Lens |
KR101648737B1 (en) * | 2015-03-06 | 2016-08-17 | 최종현 | Apparatus for Feeding Lens for LE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3352B1 (en) * | 2018-03-26 | 2019-11-29 | 주식회사 이노디엔씨 | The Automatic device system for assembling heat dissipation element of heat sink for display device |
CN109216532B (en) * | 2018-11-01 | 2023-09-12 | 上海悦威电子设备有限公司 | Ultraviolet LED quartz lens assembly structure and method |
KR102502732B1 (en) | 2020-12-18 | 2023-02-23 | 주식회사 동우전자 | Adhesive coating device of lens feeder for LED |
CN115489966A (en) * | 2022-09-27 | 2022-12-20 | 深圳市兆驰光元科技有限公司 | A lens feeder |
KR102558744B1 (en) | 2023-01-05 | 2023-07-26 | (주)동영 | Automatic bonding device for diffusion lens on led board |
KR102579231B1 (en) * | 2023-01-25 | 2023-09-15 | (주)세진에스엠티 | Parts Feeding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81419A (en) * | 2001-09-11 | 2003-03-19 | Shinko Electric Co Ltd | Hopper and parts feeder with the hopper |
KR200417208Y1 (en) * | 2006-03-03 | 2006-05-24 | (주)프로쎈 | Gripping and conveying device of lens part of lens injection molded product |
JP2012158340A (en) * | 2011-01-28 | 2012-08-23 | Gunze Ltd | Commodity stacking device |
KR101198018B1 (en) * | 2012-08-20 | 2012-11-06 | 정재연 | Supply machine of led lens |
-
2013
- 2013-11-20 KR KR1020130141429A patent/KR10150175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11-20 KR KR1020130141428A patent/KR10157534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11-22 TW TW102142732A patent/TW201424055A/en unkno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94701A (en) * | 2015-02-02 | 2016-08-10 |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 A Lens Feeder for Suppling a Plural Lens |
KR101648737B1 (en) * | 2015-03-06 | 2016-08-17 | 최종현 | Apparatus for Feeding Lens for LE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424055A (en) | 2014-06-16 |
KR101575340B1 (en) | 2015-12-04 |
KR20140070385A (en) | 2014-06-10 |
KR101501759B1 (en) | 2015-03-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01759B1 (en) | Apparatus for supplying led lens | |
US6626103B2 (en) | Inverter | |
KR20070092648A (en) | Work conveying apparatus and work conveying method | |
CN104509232B (en) | Tape feeder, and method for feeding tape | |
CA1293276C (en) | Automatic selection apparatus of sheet material | |
US8125651B2 (en) | Substrate detection device and substrate conveyance apparatus | |
US20100239401A1 (en) | Carrier tape feeder for chip mounter | |
US20170008721A1 (en) | In situ chopping cut and conveyor machine and method of using same | |
CN104509234B (en) | Tape feeder, and method for setting tape | |
CN106604627B (en) | Component supply device and component mounting device | |
CN104509233B (en) | tape feeder | |
KR101533976B1 (en) | Feeder for Supplying Component with Directional Nature and Method for Supplying the Same | |
CN107182197A (en) | The part detection device and assembly supply device of carrier band | |
KR20200141055A (en) | printer | |
EP0804975B1 (en) | Mail accumulating device | |
BR9701122A (en) | Banknote manipulating machines | |
US5667212A (en) | Gathering and wire-stitching machine | |
JP2005319798A (en) | Box making machine for producing folding box from blank | |
KR101508928B1 (en) | Label Feeder | |
KR101663784B1 (en) | Slide label feeder | |
KR100554444B1 (en) | Tray transfer semiconductor package marking method and system | |
KR101600304B1 (en) | Label Machine | |
KR101574681B1 (en) | Apparatus for lens range device led supplying apparatus | |
JP2011136802A (en) | Carrying device | |
JP2017034169A (en) | Radial lead type electronic component suppl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3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