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9872A -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 Google Patents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69872A KR20140069872A KR1020120137686A KR20120137686A KR20140069872A KR 20140069872 A KR20140069872 A KR 20140069872A KR 1020120137686 A KR1020120137686 A KR 1020120137686A KR 20120137686 A KR20120137686 A KR 20120137686A KR 20140069872 A KR20140069872 A KR 201400698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body
- ball
- putting
- putting practice
- ma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 Putting track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퍼팅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퍼팅연습은 주어진 매트 위에서 일일이 볼을 놓고 홀홈을 향해 퍼팅을 하게 됨으로 주어진 시간대비 실제 퍼팅연습 횟수는 적고, 또한 기계적인 반복스윙으로 인해 퍼팅연습자가 보인의 퍼팅감을 의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매트본체에 양측으로 경사진 입출구를 갖춘 파이프본체를 설치하여 양측에서 볼을 퍼팅할 수 있도록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파이프본체를 직선부와 경사부로 이루어지게 하되, 직선부의 일단에 경사진 입출구를 갖추게 하여 볼을 퍼팅하게 되면 볼을 직선부를 거처 경사부를 올라갔다가 자중에 의해 내려오게 하여 결과적으로 입출구 측으로 나오게 함으로서 퍼팅연습자는 나오는 볼을 재차 퍼팅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을 이용한 퍼팅연습자는 반복적으로 퍼팅연습을 할 수있으므로 주어진 시간에 보다 많은 퍼팅연습을 할 수 있고, 특히, 볼을 파이프본체에 넣어야하므로 보다 집중력을 갖고 퍼팅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and generally, a putting practice puts a ball on a given mat one by one toward a hole groove,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actual putting practice times compared to a given time, There was a problem that I was not conscious of the putting sense of the show.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ipe body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inclined to both sides of the mat body is provided so that a ball can be put on both sides thereof, and in some cases, the pipe body is made of a straight portion and an inclined portion, The putter practitioner can put the ball coming out again, so that the putting practitioner us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repeatedly perform the putting exercises by repeatedly putting the ball into the slope part, So you can practice more putting at a given time. In particular, you have to put the ball into the pipe body, so you can practice putting with more concentr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골프 퍼팅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어진 공간에서 짧은 시간에 퍼팅연습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여 퍼팅을 위한 스윙자세가 자연적으로 익숙해 지도록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두 사람이 퍼팅연습을 하거나 혼자서 반복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골프 퍼팅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which enables repeated practice of putting in a given space in a short time so that a swing posture for putting is naturally used, and in some cases, And to a 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which can be repeatedly performed.
일반적으로 골프는 정형화된 코스 위에 정지하여 있는 골프공(이하 "볼"이라고 함)을 지팡이 모양의 클럽으로 쳐서 정해진 홀에 넣어 그때까지 소요된 타수의 많고 적음으로 우열을 겨루는 스포츠로서, 코스는 볼을 처음 치기 시작하는 지역 즉, 티샷을 하는 티잉그라운드와 페어웨이·러프·벙커·워터해저드·그린·홀 로 이루어져 있다.In general, golf is a sport in which a golf ball (hereinafter referred to as "ball"), which is stationary on a fixed course, is hit by a club with a stick-like shape and placed in a predetermined hole, The teeing ground, and the fairway, rough, bunker, water hazards, green holes.
상기와 같이 볼을 쳐서 넣는 구멍인 홀이 18개가 모여 정규코스를 이루고 있으며, 정식 선수권대회를 행할 수 있는 정규코스의 전체길이는 5.94km이상이어야 하며, 플레이어는 홀에 볼을 넣으면 다음 홀로 이동하여 티잉그라운드에서 새로운 홀을 향하여 플레이를 하게 된다.As mentioned above, 18 holes, which are holes for putting the ball into the hole, form the regular course, and the full length of the regular course for the official championship must be 5.94km or more. When the player puts the ball into the hole, You play against the new hole on the teeing ground.
여기서, 각 홀에 볼을 넣는 타수는 3타에서 5타 이내로 규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규정타수에 따라 티잉그라운드에서 홀까지의 거리는 각기 다르고, 각 플레이어들은 홀이 시작되는 티잉크라운드에서 최대한 볼을 멀리 보내야 규정타수 이전에 그린에 볼을 얹어 홀에 볼을 넣을 수 있게 된다.The distance between the teeing ground and the hol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prescribed number of balls, and each player is allowed to move the ball as far as possible from the tee ink round in which the hole starts You can put a ball on the green before you hit the rule.
이때, 그린에 올려진 볼을 홀 겁에 넣을 수 있도록 타격하는 것을 퍼팅샷이라고 하는데, 상기 퍼팅샷을 할 때 가해지는 힘에 따라 그리고 정지된 볼이 퍼터에 어떻게 맞느냐에 따라 타격된 볼이 이동거리와 각도가 결정됨으로 퍼팅샷을 하는 골퍼들은 많은 부담감을 갖게 된다.In this case, putting shot is called putting shot so that the ball put on the green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 Depending on the force applied when the putting shot is performed and depending on how the stopped ball is fitted to the putter, And the angle is determined, golfers who play putting shots have a lot of burden.
예를 들어 규정타수가 3타인 홀에서 티잉그라운드에서의 티샷한 볼이 그린에 얹어 놓게 되면 두 번째 타수(세컨 샷)에서 홀에 볼을 넣을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지므로 모든 플에이어들은 첫 번째 타수인 티샷에서 볼을 그린에 떨어뜨리기 위하여 더 나아가 티샷한 볼이 홀컵에 바로 들어가는 것 즉, 홀인원을 기대하며 스윙을 힘차고 크게 정지된 볼을 타격하게 된다.For example, if a tee shot on the teeing ground is placed on the green in a hole with a 3-ball rule, the probability of putting the ball in the hole in the second hit (second shot) In order to drop the ball on the green, the tee shot goes directly into the hole cup.
즉, 골프를 하는 플레이어들은 규정타석이 3타인 홀에서는 첫타인 티샷에 온그린을, 규정타석이 4타인 홀에서는 두번째 타석인 세컨샷에 온그린을, 규정타석이 5타인 홀에서는 세번째 타석인 써드샷에 온그린을 하기 위하여 티샷을 강하게 하고 있으며, 온그린 후에는 퍼팅샷으로 볼을 홀겁에 넣게 되는데, 골프를 전문직업으로 하는 프로골퍼들은 위에서 언급한 타석에 온그린을 하고 퍼팅 샷으로 플레이를 마무리하고 있으나, 프로콜퍼들도 온 그린 후 홀컵에 볼을 넣기 위한 퍼팅 샷에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경기가 없는 쉬는 시간에도 퍼팅감을 유지하기 위해 수시로 퍼팅연습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In other words, golf players play ongreen on the first tee shot in a hole with a 3-in-regulation batting, Ongly on a second shot in a hole with a 4-hole provisional bat, and on- And the golfers are professional golfers who finish the game with putting shots and putting on the ball mentioned above, but the professional golfer In the putting shot for putting the ball into the hole cup after the green, the putting practice is done from time to time in order to maintain the putting feeling even during the recess without the game to overcome the difficulty.
여기서, 각 홀의 규정타수보다 1타 적게 홀에 볼을 넣으면 버디(Birdie), 규정타수와 동일한 타수에 볼을 홀에 넣으면 파(par), 규정타수보다 1타 많게 홀에 볼을 넣으면 보기(Bogey), 규정타수보다 2타 많게 홀에 볼을 넣으면 더블보기(Double bogey)라고 하며, 간혹 규정타수보다 2타 적게(이글;Eagel) 또는 3타 적게(알바트로스;Albatross 또는 더블이글;Double eagel) 홀에 볼을 넣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는 극히 드물며, 더블보기 트리플보기 등 규정타석보다 2타 3타 많게 홀에 볼을 넣는 경우는 종종 발생하고 있다.If you put a ball in the hole one less than the prescribed number of holes in each hole, Birdie, if you put the ball into the hole in the same number as the prescribed number of balls, par (par) Double bogey is sometimes called "double bogey" when the ball is put in the hole by 2 or more than the prescribed number, and sometimes 2 or fewer (Eagel) or 3 fewer (Albatross or Double eagel) There are some cases where a ball is put in a hole. In this case, it is extremely rare. It is often occurred that a ball is put into a hall by two or three more than a prescribed one such as a double view triple view.
따라서, 그린에 올려진 볼을 홀에 넣는 퍼팅 샷의 중요성은 직업으로 경기를 하는 프로골퍼들에게도 매우 중요시하고 있으며, 퍼팅샷이 정확하다는 전제하에 티샷이나 세컨샷(어프로치샷)으로 그린에 볼을 올려놓으면, 최소한 규정타석과 일치하는 타수 즉 파에 마무리를 할 수 있으나, 상기 퍼팅샷이 불안정하면 그린에 볼을 얹어 놓더라도 파에 마무리를 하지못하고, 보기 또는 더블보기 더 심하게는 트리플보기를 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퍼팅 샷은 골프 경기의 마무리를 하는 것으로 그 중요성은 전체 골프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Therefore, the importance of a putting shot that puts a green ball into a hole is very important for professional golfers who are playing for a job, and putting a ball on the green with a tee shot or a second shot (approach shot) If you release, you can finish at least the number of matches that match the striking plate, but if the putting shot is unstable, you will not be able to finish the wave even if you put the ball on the green, Putting shots are the finishing touches of the golf game, and the importance of golf putting shots is so important that it takes up half of all golf
상기와 같이 골프경기에 임하는 골퍼들은 온 그린 후 타격하는 퍼팅 샷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어 골프를 즐기는 사람들은 집이나 사무실의 특정한 공간에 퍼팅 연습기(퍼팅 매트 포함)를 설치하고 ,수시로 스윙연습을 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퍼팅 매트는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퍼팅 매트 또는 연습장치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특허등록 제901345호(명칭:퍼팅연습용 매트)와 특허등록 제1149004호(명칭:골프 퍼팅 연습장치)와 실용신안등록 제459416호(명칭:골프 퍼팅 연습장치)외 다수의 선행기술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golfers who are engaged in a golf gam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 putting shot to be hit after green, so that golfers can put a putting exerciser (including a putting mat) in a specific space of a house or an office, practice swing from time to time (Putting Practice Mat) and Patent Registration No. 1149004 (titled "Putting Practice Mat"), which are known in the art,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459416 (name: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and the like.
상기 종래 선행기술 중 본 발명과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는 특허 제1149004호(이하 "종래발명" 이라고 함)를 설명하면, 베이스판(이하 "매트" 라고 함)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을 복수로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퍼터의 하부에 바퀴샤프트를 설치하며, 상기 바퀴샤프트에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바퀴를 설치하고, 상기 바퀴샤프트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수용공간의 하부에 하부지지부재를 설치하며, 상기 하부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상태를 이루게 하는 가이드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바퀴샤프트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하는 상부지지부재를 설치하며, 상기 가이드부재에 상기 상부지지부재를 결합시는 결합부재를 갖추게 하고, 상기 상부지지부재에 설치하는 압축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바퀴샤프트의 구름을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Hereinafter referred to as " the conventional invention "), which i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are formed in the base plate A wheel shaft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utter that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wheels for moving along the plurality of guide grooves are installed on the wheel shaft, A lower support member is installed on the lower support member and a guide member is provided to allow the lower support member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n upper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wheel shaft is provided, The upper support member is provided with a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upper support member,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provided on the upper support member causes the wheel shaft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iliently formed by installing the pressure for pressing the bujaeeul.
즉, 종래발명은 그 구성은 크게 복수의 가이드홈을 갖춘 매트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바퀴를 갖춘 퍼터; 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바퀴를 갖춘 퍼터에는 바퀴의 구름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하부지지부재·가이드부재·상부지지부재·결합부재·압축스프링·가압부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invention, the structure is largely composed of a mat having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A putter having wheels moving along the guide groove; And a putter equipped with the wheel is composed of a lower support member, a guide member, an upper support member, a coupling member, a compression spring, a pressing member, etc. in order to smoothly roll the wheels.
상기와 같이 종래발명은 다수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어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일일이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과, 그에 따른 과다한 제작비용의 문제점과,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를 일일이 조립해야 하는 조립성의 문제점 등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art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and the structure is very complicated. Further, each of the components has to be manufactured one by one, thereby causing a problem of an excessive manufacturing cost, There is a problem of assembling that must be performed.
상기 종래발명에 대한 문제점들은 제작상 또는 조립상의 문제점이라 할 수 있으며, 근본적인 문제점은 퍼팅연습을 하는데 있어서, 퍼팅연습을 하는 자신이 의식을 가지고 스윙 연습을 해야 실제 그린에서 퍼팅을 할 때, 퍼팅 샷의 정확성을 유지할 수 있으나, 종래발명은 가이드 홈을 따라 퍼터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바퀴가 이동하게 되므로 기계적인 반복스윙으로 인해 자신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단순 기계적인 반복스윙으로 어깨관절과 어깨관절 관련 근육운동은 될지 몰라도 실지 적인 퍼팅연습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Problems with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invention are problems in manufacturing or assembling. A fundamental problem is that in practice of putting, when putting practice in practice, 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invention, since the wheel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putter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the mechanical repeated swing causes a simple mechanical repeated swing regardless of the will,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helpful to actual putting practice though it may be related muscle movement.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발명에 따른 퍼딩 연습장치는 퍼팅을 하기 위해 퍼터를 스윙하게 되면, 퍼터의 하부에 갖춰진 바퀴가 매트의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퍼팅연습을 하는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스윙이 이루어져 퍼터를 스윙하는 자신이 올바르게 퍼팅을 하는지 의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adding practice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dapted to swing the putter in order to perform putting, and the wheel provided under the putter moves along the guide hole of the mat.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wing is made regardless of whether the swinging putter is putting correctly.
또한, 상기 종래발명은 매트에 갖춰진 홀에 볼을 넣고자 타격할 경우에 일일이 볼을 일정위치에 놓아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과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정해진 시간에 생각만큼 충분한 퍼팅 연습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it is necessary to place the ball in a certain position when hitting the ball in a hole provided in the ma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utting practice can not be performed as much as thought at a predetermined time due to such a problem.
또한, 종래발명은 혼자서 기계적으로 반복적인 스윙을 함으로 퍼팅 연습자체에 지루함을 느낄 수 있어 퍼팅 연습을 효율적으로 한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invention has a problem that the putting practice itself can not be performed efficiently because the user can feel bored by the putting practice itself by mechanically and repeatedly swinging by himself or herself.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퍼팅 연습을 위한 매트에 반복적인 스윙을 본인이 의식하며 타격할 수 있도록 하여 퍼팅감각을 몸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olf putting method and a golf putting method which enable a user to perceive repetitive swings on a mat for putting practi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ining apparatu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퍼팅연습 매트에서 혼자서 퍼팅연습을 하거나 두 사람이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고 퍼팅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서로 즐기며 퍼팅 연습을 할 수 있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capable of practicing putting alone on a putting practice mat or performing putting practice when two people face each other in a diagonal direction,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퍼팅한 볼이 되돌아와 반복적으로 퍼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주어진 시간에 보다 많은 퍼팅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which enables a putter to return to a putting position repeatedly so that more putting practice can be performed at a given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퍼팅한 볼이 되돌아 올 때, 타격 강도에 따라 이음을 일으키게 하여 청각적으로 타격강도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olf putting exercise device which can feel the impact strength audibly by causing a joint according to the impact strength when the putted ball return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퍼팅한 볼이 굴러가는 속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시각적으로 스윙하는 감각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which allows a user to visually confirm the speed at which a putter ball is rolled so that a sense of visual swing can be fel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퍼팅할 수 있도록 발판이 갖춰지고, 서로 중첩되는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바닥연장부와 중첩연장부를 갖춰 일체를 이루는 매트본체와: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at body comprising: a mat body having a foot plate for putting at mutually opposing positions and having a bottom extension portion and an overlap extension portion in a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바닥연장부와 중첩연장부를 일체를 이루게 하는 결합수단과; Coupling means for integrally forming the floor extension and the overlap extension;
상기 중첩연장부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얹어지고 볼의 외경보다 큰 내경으로 이루어져 양측을 개방하여 타격한 볼이 이동하는 파이프본체와; A pipe bod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verlapping extension portion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ball and opening the both sides to move the blown ball;
상기 중첩연장부에 얹어진 파이프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xing means for fixing the pipe body mounted on the overlap extension portion; And a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은, 일측에서 퍼팅할 수 있도록 발판이 갖춰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의 하부에 지지돌기를 갖춘 매트본체와;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at member comprising: a mat main body having a foot plate for putting at one side thereof and forming an extending portion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having a supporting protrus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extending portion;
상기 연장부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얹어지고 볼의 외경보다 큰 내경으로 이루어져 일측을 개방하여 타격한 볼이 이동하는 파이프본체와; A pipe bod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ball,
상기 연장부에 얹어진 파이프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xing means for fixing the pipe body mounted on the extension portion; And a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은 바닥연장부에 길이방향으로 등 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결합홀과, 중첩연장부의 하부에 상기 결합홀과 상응하는 다수의 결합돌기로 이루어져 바닥연장부와 중첩연장부가 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coupl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extension portion, and a plurality of coupling projections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s at the lower portion of the overlapping extension portion, As a who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본체는 양측단이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절개시켜 입출구를 갖추게 하여 타격한 볼의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ip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of the pipe body are sloped from top to bottom so as to have an inlet and an outlet, so that the ball can be m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본체는 직선부와 경사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직선부는 매트본체의 발판측에 위치한 일측단을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절개시켜 타격한 볼의 입출구를 갖추고, 경사부는 경사각을 이루며 그 단부에 마개를 결합시켜 밀폐시키되, 마개의 내측에는 타음판이 갖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ip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raight portion and an inclined portion, wherein the straight portion has an inlet and an outlet of a ball blown by incising one side end of the mat body, which is located on the foot plate side, from top to bottom, and the inclined portion has an inclination angle And a stopper plate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stopp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본체는 그 상단부에 길이방향으로 굴러가는 볼의 직경보다 작은 절개부가 길이방향으로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ip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portion has a cutout portion having a length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ll roll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은 양측을 개방한 파이프본체의 하단면에 길이방향으로 양면테이프에 의해 부착된 암벨크로와, 중첩연장부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양면테이프에 의해 부착된 수벨크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rm velcro attached to the lower end face of the pipe body opened on both sides by a double-sided t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male Velcro fastened on the upper face of the overlap extensions by a double-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은 양측으로 파스너가 끼워지는 홀을 갖춘 부착면과 파이프본체의 하면의 곡면과 동일한 곡면을 갖춘 지지면으로 이루어진 거치대에 파이프본체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fix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pe body is fixed to a mounting base having mounting surfaces provided with holes into which the fasteners are fitted, and mounting surfaces each having a curved surface which is the same as the curved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ipe bod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은 일측을 개방한 파이프본체의 하단면과 연장부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암·수벨크로를 부착하고, 경사각을 이루는 파이프본체의 하면에는 양측으로 파스너가 끼워지는 홀을 갖춘 부착면과, 상기 부착면의 중앙에 세워진 지지부와,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파이프본체의 하면의 곡면과 동일한 곡면을 갖춘 지지면으로 이루어진 지지거치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ix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emale / male Velcro is atta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lower end face of the pipe body which is opened at one side and the upper face of the extended portion, and a hole And a support base having a support surface erected at the center of the attachment surface and a support surface having a curved surface similar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ipe body at the end of the support bas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지지면에 접착층을 갖추게 하되, 상기 접착층은 양면테이프로 이루어져 얹어지는 파이프본체가 안정된 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adhesive layer is provided on a support surface made of a curved surface, wherein the adhesive layer is made of a double-sided tape, and the pipe body mounted thereon is in a stable st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지지면에 접착층을 갖추게 하되, 상기 접착층은 흡착패드로 이루어져 얹어지는 파이프본체가 안정된 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adhesive layer is provided on a curved support surface, wherein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of a suction pad, and the pipe body mounted thereon is in a stable st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본체는 하나의 단일 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ip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a single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본체는 양측으로 입구단차부와 끼움단차부를 갖추게 하여 분리결합할 수 있도록 다수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되, 입출구를 갖춘 양측단의 입출구파이프는 각각 일측으로 끼움단차부와 입구단차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ip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plurality of pipes so as to have an inlet stepped portion and an inserted stepped portion on both sides so as to be detachably coupled. The inlet and outlet pipes at both side ends with the inlet and outlet,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접하는 부분에 바닥연장부와 중첩연장부를 갖춰 결합수단에 의해 일체를 이루게 하여 하나의 매트본체를 이루게 하고, 매트본체의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면 홀홈을 향해 퍼팅연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at body comprising a floor extension portion and an overlap extension portion which are integrally formed by a coupling means at a portion contacting with each other, and the putting practice is performed toward the ho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또한, 본 발명은 중첩연장부의 상부에 양측단에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입출구를 갖춘 파이프를 설치하여 퍼팅연습을 서로 마주보며 반복적으로 퍼팅을 할 수 있으므로 주어진 시간에 보다 효율적으로 퍼팅연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ipe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formed at both sides of an upper portion of the overlapping extension portion so that the putting practice can be repeated while putting practice, so that the effect of putting practice can be more efficiently performed at a given time In addi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파이프본체를 매트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암·수벨크로를 이용하거나, 양면테이프나 흡착패드가 갖춰진 거치대(또는 지지거치대)를 이용하여 매트본체에 필요에 따라 부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퍼팅연습을 하지 않을 때에는 파이프를 분리하여 매트본체를 둥글게 말아서 그 부피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으므로 보관하거나 이동하는데 용이한 효과가 있고,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mat body by using a male / female Velcro as fixing means for fixing the pipe body to the mat body, or by attaching or detaching it to the mat body as necessary by using a cradle (or a support cradle) equipped with a double- Therefore, when the putting practice is not carried out, the pipe can be separated and the mat body can be rolled round to minimize the volume,
특히, 상기 입구단차부와 끼움단차부를 갖춘 다수의 파이프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파이프본체는 그 길이를 임의적으로 길게 하거나 짧게 하여 퍼팅연습을 할 수 있으므로 먼 거리 퍼팅과 짧은 거리 퍼팅연습을 겸해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분리 보관하는데 있어서도 그 부피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pipe body having the inlet stepped portion and the fitting stepped portion is combined with the pipe body, the length of the pipe body can be increased or shortened arbitrarily, so that the putting practice can be performed. And the volume can be minimized even in separate storage.
또한, 파이프본체의 상단부에 볼의 직경보다 작은 절개부를 길이방향으로 갖추게 함으로써 퍼팅한 볼이 이동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며 퍼팅연습을 할 수 있고, 특히 일측이 밀폐된 파이브본체일 경우에는 마개의 내측에 설치된 타음판에 의해 청각적으로도 퍼팅시 그 강도를 인식하며 퍼팅연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putting practice by visually confirming the movement of the putted ball by arranging a cut portion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ll i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pip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ase of the five-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putting practice by recognizing the strength of the putter even if it is audibly put on by the sound board installed in the ea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인 파이프본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인 고정수단을 이용해 파이프본체가 설치된 상태로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인 파이프본체가 다른 예의 고정수단을 이용해 설치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부분확대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인 파이프본체의 다른 실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C-C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의 일 예로 파이프본체의 다른 실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D-D선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인 파이프본체의 또 다른 실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예를 나타낸 골프 퍼팅 연습장치인 파이프본체의 도 다른 실시를 나타낸 사시도.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a pipe body as a 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 in a state where a pipe body is installed using a fixing means which is a 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pipe putting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artially enlarged and separated perspective view of FIG. 6,
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6,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ipe body as a 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ipe body as an example of a 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11,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 pipe body as a 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ipe body as a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showing an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의 전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인 파이프본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인 고정수단을 이용해 파이프본체가 설치된 상태로 도 3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인 파이프본체가 다른 예의 고정수단을 이용해 설치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 with the pipe body installed using a fixing means which is a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 Fig. 7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it is installed using fixing means of another example
상기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일면에 바닥연장부(112)를 갖춘 바닥매트(110)와, 상기 바닥연장부(112)와 결합을 이루도록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중첩연장부(122)를 갖춘 중첩매트(120)로 매트본체(100)는 이루어져 있다.A
상기 매트본체(100)를 이루고 있는 바닥매트(110)와 중첩매트(120)는 결합수단(200)에 의해 일체를 이루게 되는데, 상기 결합수단(200)은 바닥매트(110)의 바닥연장부(112)에 갖춰진 결합홀(210)과, 중첩매트(120)의 중첩연장부(122)에 갖춰진 결합돌기(22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결합홀(210)은 바닥연장부(112)에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중첩연장부(122)의 하부에 갖춰진 결합돌기(220)는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결합홀(210)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The
또한, 상기 바닥매트(110)와 중첩매트(120)의 일측단에는 사선방향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절첩홈(113)(123)을 갖춘 발판(111)(121)이 각각 갖춰져 있으며, 상기 바닥매트(110)와 중첩매트(120)의 타측단에는 홀홈(114)(124)이 형성되어 있다.(도 1과 도 2 참조)Each of the
특히, 바닥매트(110)와 중첩매트(120)가 결합을 이루는 중첩연장부(122)의 상부에는 파이프본체(300)가 얹어져 고정수단(400)에 의해 설치되어 지는데, 상기 파이프본체(300)를 매트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설치하는 고정수단(400)은 암벨크로(410)와 수벨크로(420)로 이루어져 있어 필요에 따라 분리 결합을 원활히 할 수 있다.Particularly, the
즉, 상기 고정수단(400)의 구성요소인 암벨크로(410)는 파이프본체(300)의 하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부착되어 지되, 파이프본체(300)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암벨크로(4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면테이프에 의해 부착되며, 고정수단(400)의 또 다른 구성요소인 수벨크로(420)는 바닥매트(110)와 중첩매트(120)가 일체를 이루는 부분인 중첩연장부(122)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지되, 중첩연장부(122)의 상면과 수벨크로(420)의 밑면 사이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면테이프에 의해 부착된다.(도 3과 도 4 참조)That is, the
상기와 같이 파이프본체(300)를 매트본체(100)와 일체를 이루도록 하는 고정수단(400)의 다른 일 예로서, 양측으로 홀(422)을 형성한 부착면(423)과, 종단면상 얹어지는 파이프본체(300)의 하단부 곡면과 동일한 곡면을 이루는 지지면(424)으로 이루어진 거치대(420)와; 상기 부착면(423)의 양측에 형성한 홀(422)에 삽입하여 거치대(420)를 매트본체(100)에 고정시기는 파스너(421)와; 상기 곡면을 이루고 있는 지지면(424)에 갖춰지는 접착층(425)으로 고정수단(400)은 이루어져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fixing means 400 for integrally forming the
상기 접착층(425)은 양면테이프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흡착력이 강한 연질의 실리콘계의 흡착패드로 이루어져 있어, 얹어지는 파이프본체(300)를 필요에 따라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도 5 참조)The
여기서, 상기 파이프본체(300)는 종 단면상 그 내경이 볼의 직경보다 두배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퍼팅 연습하는 사람의 실력에 따라 그 크기를 보다 작게하여 집중력을 높일 수도 있으며, 파이프본체(300)의 양측단은 경사면으로 절개되어 양단부에 볼이 들어가고 나가는 입출구(310)가 형성되어 있어, 바닥매트(110)의 발판(111)과 중첩매트(120)의 발판(121)에 퍼팅연습자가 각각 올라서서 사선방향으로 마주서서 입출구(310)로 굴러 나오는 볼을 퍼팅하여 입출구(310)쪽으로 볼을 다시 보내어 반대측의 입출구(310)측으로 나오도록 하여 반대측에서 퍼팅연습자가 나오는 볼을 다시 퍼팅하는 동작을 서로 반복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주어진 시간에 보다 많은 퍼팅연습을 할 수 있다.Here, the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종단면상 파이프본체(300)의 내경을 볼의 직경에 근접하도록 작게 할수록 집중력을 가지고 퍼터로 볼을 퍼팅하게 되므로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Particularly, as described above, the smaller the inner diameter of the
본 발명에 따른 퍼팅 연습장치의 일 예로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7은 도 6의 부분확대 분리 사시도 이며, 도 8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artial enlarged and separated perspective view of FIG. 6, and FIG. Fig.
상기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는 일측에서 퍼팅할 수 있도록 절첩홈(103)을 갖춘 발판(101)이 갖춰지고 타측 상면에는 홀홈(104)이 갖춰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부(102)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102)의 하부에 지지돌기(105)를 갖춘 매트본체(100)와; 상기 연장부(102)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얹어지고 볼의 외경보다 큰 내경으로 이루어져 일측을 개방하여 타격한 볼이 이동하는 파이프본체(200)와; 상기 연장부(102)에 얹어진 파이프본체(20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400)으로 이루어져 있다.(도 6 참조)As shown in the figure, the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상기 파이프본체(300)는 직선부(313)와 경사부(314)로 이루어지되, 상기 직선부(313)의 단부는 경사면으로 절개되어 입출구(310)가 형성되어 있고, 경사부(314)의 단부는 마개(311)가 갖춰져 밀폐되어 있으며, 상기 마개(311)의 내측에는 타음판(312)이 설치되어 있다.The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파이프본체(300)는 고정수단(400)에 의해 매트본체(100)의 연장부(102)에 부착된다.The
상기 고정수단(400)은 일측을 개방시켜 입출구(310)를 갖춘 파이프본체(300)의 직선부(313) 하단면과 연장부(102)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암·수벨크로(410)(420)를 부착하고, 단부가 마개(311)의 의해 밀폐시킨 파이프본체(300)의 경사부(314) 하면에는 양측으로 파스너(421)가 끼워지는 홀을 갖춘 부착면(423)과, 상기 부착면(423)의 중앙에 세워진 지지부(426)와, 상기 지지부(426)의 단부에 파이프본체(300)의 하면 곡면과 동일한 곡면을 갖춘 지지면(424)으로 이루어진 지지거치대(427)로 이루어져 있다.The fixing means 400 is provided with a female screw fastener 410 (see FIG. 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end face of th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고정수단(400)을 이용하여 직선부(313)와 경사부(314)로 이루어진 파이프본체(300)를 매트본체(100)의 연장부(102)에 설치하되, 상기 지지거치대(427)의 지지면(424)에는 접착층(425)이 갖춰져 있어 지지면(424)에 얹어진 파이프본체(300)의 경사부(314)는 안정된 상대를 이루게 된다.(도 7 참조)Th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일단이 개방되어 입출구(310)를 갖춘 파이프본체(300)에 퍼팅연습자가 볼을 퍼팅하게 되면, 볼은 입출구(310)를 통해 파이프본체(300)로 들어가게 되고, 파이프본체(300)의 직선부(313)를 지나 경사부(314)로 올라가서 마개(311)의 내측에 설치된 타음판(312)을 타격하게 되어 타격음을 발생하게 되므로 퍼팅연습자는 볼이 경사부(314)를 따라 입출구(310)측으로 나온다는 것을 소리로 감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퍼팅연습자는 다음 퍼팅자세를 취하면서 입출구(310)측으로 나오는 볼을 재차 퍼팅하여 볼을 입출구(310)측으로 넣어 파이프본체(300)로 들어가게 하는 동작을 혼자서 반복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주어진 시간에 보다 많은 퍼팅연습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putter practitioner puts the ball into the
이와 같이 직선부(313)와 경사부(314)로 이루어진 파이프본체(300)를 매트본체(100)에 간단히 설치함으로써 퍼팅연습자은 볼 하나를 가지고 반복적으로 퍼팅을 할 수 있으며, 특히 경사부(314)의 마개(311) 내측에 타음판(312)을 설치하여 타격음을 발생시킴으로써 퍼팅연습자의 타격강도를 본인이 청각으로 의식하면서 퍼팅강도를 조정하며 반복적으로 퍼팅을 하게 된다.(도 8 참조)
By simply installing the pipe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인 파이프본체의 일 예로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인 파이프본체의 다른 실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이고. 도 10은 도 9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의 일 예로 파이프본체의 다른 실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이고. 도 12는 도 11의 D-D선 단면도이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ipe body as a 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of a pipe body as a 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ipe body as an example of a 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in Fig.
상기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본체(300)는 양측으로 입구단차부(321)와 끼움단차부(322)를 갖추게 하여 분리결합할 수 있도록 다수의 파이프(320)와, 일 단부에 경사지게 절개되어 형성된 입출구(310)를 타 단부에는 끼움단차부(322) 또는 입구단차부(321)를 갖춘 각각의 입출구파이프(324)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상기와 같이 파이프본체(300)가 양측단에 서로 상응하는 입구단차부(321)와 끼움단차부(322)를 갖춘 각각의 파이프(320)를 간단하게 끼움결합으로 그 길이를 연장하거나 줄일 수 있으며, 일측단에 입출구(310)를 갖춘 입출구파이프(324)는 타측단에 상기 파이프(310)의 양단에 형성된 입구단차부(321) 또는 끼움단차부(322)와 동일한 입구단차부(321) 또는 끼움단차부(322)를 끼움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갖추게 함으로써, 파이프본체(300)의 전체길이를 연장하거나 줄여서 퍼팅연습을 할 수 있다.(도 9와 도 10 참조)As described above, the length of the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파이프본체(300)는 양측으로 입구단차부(321)와 끼움단차부(322)를 갖추게 하여 분리결합을 할 수 있도록 한 복수의 파이프(320)와, 일단에 입출구(310)가 갖춰지고 타단에는 끼움결합부(322)를 갖춘 입출구파이프(324)로 직선부(313)를 이루고, 일단에 마개(311)가 결합되어 밀폐되고 타단에는 입구단차부(321)를 갖춘 밀폐파이프(325)와 양측단에 입구단차부(321)와 끼움단차부(322)를 갖춘 경사파이프(326)로 경사부(314)로 이루어져 있다.Another
상기와 같이 파이프(320)의 양단에는 서로 상응하는 입구단차부(321)와 끼움단차부(32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필요에 따란 파이프(320)를 추가하여 그 길이를 연장할 수도 있으며, 특히, 퍼팅연습자의 입장에서 보다 강한 퍼팅연습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경사부(314)를 이루고 있는 마개파이프(325)와 경사파이프(326) 사이에 파이프(320)를 추가하여 결합할 경우에는 경사길이가 연장됨으로 퍼팅강도를 보다 강하게 퍼팅연습을 할 수 있다.(도 11가 도 12 참조)Since the inlet stepped
이상과 같이 상기 다수의 파이프(320)와 양측단에 입출구파이프(324)가 갖춰진 파이프본체(300)는 양측에서 퍼팅연습자가 굴러오는 볼을 퍼터로 반복적으로 퍼팅할 수 있어 양측의 퍼팅연습자는 서로 호흡을 맞추며 입출구파이프(324)의 입출구(310)측의 구멍으로 집중력을 가지고 볼을 퍼팅하게 되므로 보다 퍼팅연습을 효율적으로 할 수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직선부(313)와 경사부(314)로 이루어진 파이프본체(300)는 입출구파이프(324)가 결합된 직선부(313)의 일측에서 퍼팅연습자가 볼을 퍼팅하면 볼은 입출구파이프(324)의 입출구(310)을 통해 직선부(313)측으로 굴러가 경사부(314)를 오르면서 경사부(314)의 마개파이브(325)의 단부 내측에 설치된 타음판(312)과 부딪치면서 타격음을 발생시키며 경사부(314)를 따라 굴러 내려와 직선부(313)를 굴러 입출구(310) 측으로 나오게 되고, 이렇게 굴러 나오는 볼을 퍼팅연습자는 퍼터로 재차 퍼팅을 하게 되고, 이와 같은 동작을 퍼팅연습자는 반복적으로 하게 된다.When the putting practitioner puts the ball at one side of the
즉, 양측에 입출구파이프(324)를 갖춘 파이프본체(300)는 두 사람이 양측에 서서 서로 호흡을 맞춰 퍼팅연습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으며, 일측에 입출구파이프(324)를 갖추고 타측에 마개파이프(325)를 갖춘 파이프본체(300)는 한 사람이 입출구파이프(324)측에 서서 볼을 퍼팅하고, 퍼팅된 볼은 파이프본체(300)의 경사부(314)의 단부인 타음판(312)에 부딪히면서 경사부(314)를 따라 굴러 내려오면서 입출구파이프(324)의 입출구(310) 측으로 나오게 되므로 퍼팅연습자는 타음판(312)의 타격음을 청각으로 감지하여 퍼팅 준비 자세를 취하고 있다가 입출구(310)로 나오는 볼을 반복적으로 퍼팅을 할 수 있어 주어진 시간 내에 보다 많은 퍼팅연습을 할 수 있으며, 특히 퍼팅되는 볼을 파이프본체(300)의 입출구(310) 측으로 넣기 위해 보다 집중력을 가지고 퍼팅을 하게 되므로 퍼팅연습자의 퍼터면에 볼을 정확히 맞추는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the
여기서, 도면상 표현하지 않았으나 두 사람이 퍼팅연습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는 파이프본체(300)와, 혼자서 반복적으로 퍼팅연습을 할 수 있는 파이프본체(300)는 매트본체(100)에 설치하지 않고, 전술한 고정수단(400)을 이용하여 주어진 공간의 바닥면에 파이프본체(300) 만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작용과 효과는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인 파이프본체의 또 다른 예로서,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인 파이프본체의 또 다른 실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예를 나타낸 골프 퍼팅 연습장치인 파이프본체의 도 다른 실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 pipe body as a 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other example of a pipe body as a 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ipe body as a 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상기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파이프본체(300)의 상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부(323)를 갖추게 하되, 상기 절개부(323)는 절개된 그 폭이 타격하는 볼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상기와 같이 파이프본체(300)의 상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부(323)가 갖춰져 있으므로, 퍼팅연습자가 볼을 퍼팅하게 되면, 퍼팅된 볼은 입출구(310)를 통해 파이프본체(300)로 들어가 굴러가는 것을 퍼팅연습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며 퍼팅을 할 수 있으므로, 두 사람이 양측에서 퍼팅연습을 할 수 있는 파이프본체(300)를 이용하여 퍼팅을 할 경우에는 파이프본체(300)의 내부로 굴러오는 볼을 절개부(323)를 통해 시각적으로 보면서 양측의 퍼팅연습자가 퍼팅자세를 준비한 후 굴러 나오는 볼에 대해 퍼팅을 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이면서 집중력 있게 퍼팅연습을 할 수 있게 된다.(도 13 참조)Since the
또한, 혼자서 퍼팅연습을 할 수 있는 파이프본체(300)를 이용하여 퍼팅을 한 경우에는 퍼팅된 볼이 입출구(310)를 통해 굴러 들어가 직선부(313)와 경사부(314)를 거쳐 타음판(312)에 부딪히는 것을 시각적으로 보면서 볼이 타음판(312)에 부딪히며 발생된 타격음을 청각적으로 의식하게 되는 순간, 부딪힌 볼은 경사부(314)를 따라 자중에 의해 굴러내려와 직선부(313)를 통해 입출구(310)로 나오는 것이 시각적으로 보이므로 퍼팅연습자는 미리 퍼팅자세를 준비하면서 나오는 볼을 재차 퍼팅을 할 수 있으므로 퍼팅연습이 매우 효과적이면서도 퍼팅연습의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putting is performed using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는 단일품으로 이루어진 파이프본체(300) 또는 다수의 파이프(320)가 끼움결합에 의해 이루어진 파이프본체(300)를 이용하여경우에 따라서는 그 길이를 연장하여 롱퍼팅 연습을 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두 사람이 호흡을 맞춰 반복적으로 퍼팅연습을 할 수도 있으며, 직선부(313)와 경사부(31)로 이루어진 파이프본체(300)를 이용할 경우에는 혼자서 반복적으로 퍼팅연습을 할 수있고, 특히, 경우에 따라서는 청각과 시각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면서 집중력을 가지고 주어진 시간에 많은 퍼팅연습을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structed by using a single pipe or a plurality of
여기서, 퍼팅연습을 가장 많이 해야하는 이유는 골프를 즐기는 플레이어의 기본이 되는 자세는 어드레스·테이크 어웨이·백스윙·탑오브스윙·다운스윙·임택트·팔로우스로우·피니쉬자세로 구분할 수 있으며, 여기서 티샷, 쎄컨샷, 써드샷, 퍼팅샷 이냐에 따라 그 스윙이 달라지나 가장 기본이 되는 자세는 어드레스자세라 할 것이다.Here,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putting practice is that the basic attitude of the player who enjoys golf is divided into address, takeaway, backswing, top of swing, downswing, intact, follow-through, finish posture, The swing varies according to the consecutive shot, the third shot, and the putting shot, but the most basic posture is the address posture.
상기 어드레스 자세는 타격하려는 볼을 앞에 두고 골프채(클럽)의 헤드부분이 볼 옆에 놓여 지는 자세로서, 양발은 플레이어의 어깨 넓이로 벌리고 양손은 골프채(클럽)의 손잡이부분을 가볍게 잡아 양팔이 어깨와 삼각형을 이루게 하고, 척추를 곧게 세운 상태로 상체를 약간 앞으로 기울이고 하체는 무릎을 약간 굽힌 상태로 몸의 중심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상태의 자세이다.The address posture is an attitude in which the head portion of the golf club (club) is placed next to the ball with the ball to be hit in front of the ball. The two legs are spread with the shoulder width of the player. Both hands lightly hold the handle portion of the club (club) The lower body is a state in which the center of the body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with the knees slightly bent, while the triangle is formed, and the upper body is slightly tilted forward with the spine straight.
상기와 같은 어드레스 자세에서 퍼팅샷을 설명하면 어드레스자세에서 테이크어웨이자세로 전환하여 홀컵을 향해 정치된 볼을 타격하는 것을 퍼팅샷이라 하는데, 티잉그라운드에 정지된 볼을 그린의 홀컵에 넣기까지 타수는 퍼팅샷에서 결정되므로, 퍼팅연습은 플레이어들에게 매우 중요한 점으로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A putting shot i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address posture. A putting shot is a ball that is shifted from an address posture to a take-away posture and strikes a ball fixed toward the hole cup. Until a ball stopped in the teeing ground is put in a green hole cup, Since putting shots are determined, putting practice is recognized as a very important point for players.
따라서, 퍼팅연습은 얼마나 많이 퍼팅연습을 하고, 또한 어느 정도 집중력을 가지고 연습하느냐에 따라 그린에 올려진 볼을 정확히 홀컵을 향해 보낼 수 있게 되며, 일반적으로 퍼팅된 볼은 홀컵 주변에서 정지되는 정도의 강도로 타격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한 퍼팅은 홀컵을 지나칠 정도로 약간 강하게 하되, 그 방향이 홀컵의 중심점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를 이용하여 주어진 시간내에 반복적으로 많은 퍼팅연습을 함과 동시에 보다 집중력을 가지고 퍼팅연습을 할 수 있어 퍼팅한 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putting practice can send the ball on the green to the hole cup precisely according to how many putting exercises and how much concentration is practiced. In general, the putted ball is strong enough to stop around the hole cup But the most preferable putting is to make the hole cup slightly stronger to the extent that it is excessively directed to the center point of the hole cup. Therefore, the 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repeatedly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putter ball.
100 - 매트본체,
101 - 발판, 102 - 연장부, 103 - 절첩홈,
104 - 홀홈, 105 - 지지돌기,
110 - 바닥매트, 111 - 발판, 112 - 바닥연장부,
113 - 절첩홈, 114 - 홀홈,
120 - 중첩매트, 121 - 발판, 122 - 중첩연장부,
123 - 절첩홈, 124 - 홀홈,
200 - 결합수단,
210 - 결합홀,
220 - 결합돌기,
300 - 파이프본체,
310 - 입출구, 311 - 마개, 312 - 타음판,
313 - 직선부, 314 - 경사부,
320 - 파이프, 321 - 입구단차부, 322 - 끼움단차부,
323 - 절개부, 324 - 입출구파이프, 325 - 마개파이프,
326 - 경사파이프,
400 - 고정수단,
410 - 암벨크로, 411 - 수벨크로
420 - 거치대, 421 - 파스너, 422 - 홀,
423 - 부착면, 424 - 지지면, 425 - 접착층, 426 - 지지부, 427 - 지지거치대.100 - mat main body,
101 - footstool, 102 - extension, 103 - foldaway,
104 - hole groove, 105 - support projection,
110 - floor mat, 111 - footboard, 112 - floor extension,
113 - fold attaching groove, 114 - hole groove,
120 - overlapping mat, 121 - footing, 122 - overlap extension,
123 - folding grooves, 124 - hole grooves,
200 - coupling means,
210 - coupling hole,
220 - coupling protrusion,
300 - Pipe body,
310 - inlet and outlet, 311 - stopper, 312 -
313 - straight line portion, 314 - inclined portion,
320 - pipe, 321 - inlet step, 322 - insert step,
323 - incision, 324 - inlet and outlet pipe, 325 - stopper pipe,
326 - inclined pipe,
400 - fixing means,
410 - Arm Velcro, 411 - Number Velcro
420 - mount, 421 - fastener, 422 - hole,
423 - attachment surface, 424 - support surface, 425 - adhesive layer, 426 - support, 427 - support stand.
Claims (14)
상기 바닥연장부(112)와 중첩연장부(122)를 일체를 이루게 하는 결합수단(200)과;
상기 중첩연장부(122)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얹어지고 볼의 외경보다 큰 내경으로 이루어져 양측을 개방시켜 타격한 볼이 이동하는 파이프본체(300)와;
상기 중첩연장부(122)에 얹어진 파이프본체(30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4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
The floor mat 110 equipped with the footsteps 111 and 121 and the overlapping mat 120 are stacked one on top of the other so that the floor extension 112 and the overlap extension portion 122 The mat main body 100 includes:
A coupling means 200 integrally forming the bottom extension portion 112 and the overlap extension portion 122;
A pipe body 300 which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verlap extension part 1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all and opens the both sides to move the blown ball;
Fixing means (400) for fixing the pipe body (300) placed on the overlap extension portion (122); Wherein the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comprises:
상기 연장부(102)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얹어지고 볼의 외경보다 큰 내경으로 이루어져 일측을 개방시켜 타격한 볼이 이동하는 파이프본체(300)와;
상기 연장부(102)에 얹어진 파이프본체(30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4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A mat body (100) having a foot plate (101) for putting on one side and forming an extending part (10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upporting body having a supporting protrusion (105) at a lower part of the extending part (102);
A pipe body 300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ball, which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10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xing means (400) for fixing the pipe body (300) placed on the extension portion (102); Wherein the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comprises:
상기 파이프본체(300)의 하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면서 설치되어 파이프본체(300)를 일정한 위치에 안정시키는 고정수단(4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
A pipe body 300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ll to move the blown ball;
Fixing means 400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ipe main body 300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stabilize the pipe main body 30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herein the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comprises: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means comprises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in the bottom extending portion, the coupling holes being spaced equidistant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220)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220), so that the bottom extension part (112) and the overlap extension part (122) are integrated.
[4]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pipe body (300)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is provided with an inlet and an outlet (310) through which the ball blows by incising both sides of the pipe body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4. The mat body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pipe body (300) comprises a straight portion (313) and an inclined portion (314), wherein the straight portion (313) And an inclined portion 314 is formed at an inclined angle and a stopper 311 is coupled to an end of the inclined portion 314 to close the end of the stopper 314, 311)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4. The golf putting pract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haracterized in that the pipe body (300) is provided with a cut-out portion (323) longitudinal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ll roll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its upper end Device.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means (400) comprises: an arm velcro (410) attached to the lower end face of the pipe body (300) And a number of velcro fasteners (411) attached by double-sided t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ixing means (400) comprises an attachment surface (423) having a hole (422) in which the fastener (421) Wherein the pipe body (300) is fixed to a mount (420) composed of a support surface (424) having the same curved surface as the pipe body (300).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xing means (400) has one side opened and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straight portion (313) of the pipe body (300) And a hole 422 in which the fastener 421 is fitted to both sides of the inclined portion 314 of the pipe body 300 with the end portion thereof sealed by the stopper 311 And a support surface 424 erected at the center of the attachment surface 423 and a support surface 424 having a curved surface that is the same as the lower surface of the pipe body 300 at the end of the support portion 426 And a support stand (427).
The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the holder (420) comprises a curved support surface (424) having an adhesive layer (425), wherein the adhesive layer (425) Wherein the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is a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Wherein the adhesive layer (425) comprises a pipe body (224) which is composed of an adsorption pad and which is mounted on a supporting surface (424) of a curved surface, 300) is in a stable state.
4. The 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pipe body (300) is a single pie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7686A KR20140069872A (en) | 2012-11-30 | 2012-11-30 |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7686A KR20140069872A (en) | 2012-11-30 | 2012-11-30 |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9872A true KR20140069872A (en) | 2014-06-10 |
Family
ID=51124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7686A Abandoned KR20140069872A (en) | 2012-11-30 | 2012-11-30 |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69872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137072A1 (en) * | 2015-02-25 | 2016-09-01 | 이덕수 |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
KR200491403Y1 (en) * | 2018-09-28 | 2020-05-15 | 박상선 | a putting square impact trainner |
-
2012
- 2012-11-30 KR KR1020120137686A patent/KR20140069872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137072A1 (en) * | 2015-02-25 | 2016-09-01 | 이덕수 |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
KR200491403Y1 (en) * | 2018-09-28 | 2020-05-15 | 박상선 | a putting square impact trainn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76262A (en) | Putter trainer | |
US8342979B2 (en) | Removably attachable training aid | |
US7927228B2 (en) | Golf swing training mat | |
US20120122602A1 (en) | Golf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 |
WO2008071031A1 (en) | Inflatable type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 |
WO2010090947A1 (en) | Golf plane training devices | |
KR20080021099A (en) | Indoor golf swing posture correction and swing exerciser | |
US6767293B2 (en) | Golf club putter and method of putting | |
TWI445565B (en) | A shot-assisted device | |
KR20140069872A (en) |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 |
KR101612731B1 (en) | Golf exerciser | |
KR200311959Y1 (en) | Apparatus for golf swing training | |
KR200244767Y1 (en) | A swing trainer for golf | |
JP6474497B2 (en) | Down blow swing exercise device | |
US8821308B2 (en) | Club-swing alignment apparatus and a frame thereof | |
US20060189404A1 (en) | Golf putting training device | |
KR20200070777A (en) | Golf putting exercise device | |
US7494421B2 (en)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thletic swing training | |
KR200442667Y1 (en) | Putting Practice Aids | |
US6712720B2 (en) | Method for practicing golf shots | |
KR100419956B1 (en) | a training system for golf swing | |
KR101605732B1 (en) | Golf swing training bat's sound equipment | |
JP4922543B2 (en) | Golf club | |
WO1983003770A1 (en) | Putting aid for golfers | |
KR20180040259A (en) | Using a golf game and how to play golf putting trainer putting practice putting gaming devic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