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67504A - 톤백 - Google Patents

톤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7504A
KR20140067504A KR1020120134814A KR20120134814A KR20140067504A KR 20140067504 A KR20140067504 A KR 20140067504A KR 1020120134814 A KR1020120134814 A KR 1020120134814A KR 20120134814 A KR20120134814 A KR 20120134814A KR 20140067504 A KR20140067504 A KR 20140067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ortion
side sheet
sewing operation
bag
base she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6534B1 (ko
Inventor
진우섭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에이치지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에이치지티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에이치지티
Priority to KR1020120134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534B1/ko
Publication of KR20140067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53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1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4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34Large containers having floating covers, e.g. floating roofs or blankets
    • B65D88/42Large containers having floating covers, e.g. floating roofs or blankets with sealing means between cover rim and receptacle
    • B65D88/50Large containers having floating covers, e.g. floating roofs or blankets with sealing means between cover rim and receptacle with resilient foam or stuffed se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톤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립자 상의 수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견고한 수용구조를 갖는 톤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톤백은 측면시트부와, 상기 측면시트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시트부와, 상기 측면시트부의 하단에 봉제작업을 통해 결합되는 베이스시트부와, 상기 베이스시트부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측면시트부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견인띠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시트부와 베이스시트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는 상기 측면시트부와 베이스시트부의 사이에 부직포를 삽입한 상태로 접은 후 재봉실로 접어진 결합부를 관통시켜 봉제된 것이다.

Description

톤백 {Ton bag}
본 발명은 톤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립자 상의 수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견고한 수용구조를 갖는 톤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톤백이라 함은 비료, 광물, 화학원료, 곡물 등과 같은 내용물을 많이 담을 수 있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내용물을 적재 및 보관하기 위해 운반할 때 혹은 포장 등을 하고자할 때 사용된다.
톤백은 통상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자루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상단 테두리에는 2개 내지 3개의 걸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걸고리는 톤백의 외면을 따라 재봉되는 띠(벨트)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톤백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처리할 때에는 먼저 톤백 내에 내용물을 충진한 후 지게차의 포크를 상단 걸고리에 걸고 이어서 차량에 상하 차 또는 구내운송하거나 포장기 기계 등으로 운반한다.
이러한 톤백에는 상술한 것처럼 다양한 내용물들을 저장할 수 있는데, 입자의 크기가 아주 작은 화학원료 등의 경우 입장의 크기가 아주 작아 톤백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형성한 재봉부분의 틈새 등으로 내용물이 누출될 우려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5191호 : 톤백 및 이의 제조방법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8890호 : 톤백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미세입자의 내용물도 누출이 방지될 수 있도록 견고한 결합구조를 갖는 톤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톤백은 측면시트부와, 상기 측면시트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시트부와, 상기 측면시트부의 하단에 봉제작업을 통해 결합되는 베이스시트부와, 상기 베이스시트부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측면시트부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견인띠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시트부와 베이스시트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는 상기 측면시트부와 베이스시트부의 사이에 부직포를 삽입한 상태로 접은 후 재봉실로 접어진 결합부를 관통시켜 봉제된 것이다.
상기 결합부에는 봉제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외면에 봉제작업 중 형성되는 바늘구멍을 통해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탄력을 갖는 재질로 된 커버시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견인띠가 상기 측면시트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에 봉제작업을 진행할 때, 상기 견인띠와 측면시트부의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부의 결합강도를 상승시키고, 봉제작업 중에 형성되는 바늘구멍을 통해 내용물의 누출을 차단하도록 된 보조시트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톤백은 측면시트부와, 상기 측면시트부의 상부에 체결되고 개방영역의 조절이 가능한 제1 개방부를 갖는 상면시트부와, 상기 측면시트부의 하부에 봉제작업을 통해 결합되고 개방영역의 조절이 가능한 제2 개방부를 갖는 베이스시트부를 포함하는 외부백과, 상기 외부백의 내부에 설치되며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는 소정의 저장공간을 가지고, 상기 제1 개방부 및 제2 개방부를 통해 상기 외부백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투입관부 및 배출관부가 마련되어 있는 내부백과, 상기 베이스시트부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측면시트부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견인띠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시트부와 베이스시트부가 봉제작업을 통해 결합되는 결합부는 상기 측면시트부와 베이스시트부 및 상기 내부백과, 상기 내부백의 사이로 삽입되는 부직포가 상호 적층된 상태에서 접어진 후 봉제작업을 통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에는 봉제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외면에 봉제작업 중 형성되는 바늘구멍을 통해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탄력을 갖는 재질로 된 커버시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견인띠가 상기 측면시트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에 봉제작업을 진행할 때, 상기 견인띠와 측면시트부의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부의 결합강도를 상승시키고, 봉제작업 중에 형성되는 바늘구멍을 통해 내용물의 누출을 차단하도록 된 보조시트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톤백은 재봉된 결합부가 견고하게 마감처리 됨으로써 입자의 크기가 매우 작은 내용물도 누출 위험없이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톤백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톤백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톤백의 제1 개방부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톤백의 본체 하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견인띠와 본체의 결합부를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톤백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톤백의 상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6의 톤백의 하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연결끈이 측면시트부에만 고정되는 형태의 톤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톤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톤백(100)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톤백(100)은 작은 입자상의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고, 운반 과정 중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톤백(100)은 측면시트부(110)와 상부시트부(120) 및 베이스시트부(130), 견인띠(160)를 포함하고 있다.
후술하는 측면시트부(110)와 상부시트부(120) 및 베이스시트부(130)는 예를 들어 PP, PE 수지에 염료와, UV 코팅제와 같은 기능성 첨가물을 혼합한 원료를 시트지의 직조를 위한 원사스트랩으로 제사(Extrusion)한 다음, 이 원사스트랩을 직조하여 원단 시트지로 형성한 후 이를 제단한 것이다.
측면시트부(110)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사각기둥 형상이며, 측면시트부(110)의 상단에 상부시트부(120)를 봉제작업을 통해 결합한다.
상부시트부(120)의 중앙에는 저장할 내용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제1 개방부(121)가 형성되어 있는데, 제1 개방부(121)는 개방영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결속끈(123)이 끼워지는 결속고리(122)들이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결속끈(123)을 조여 제1 개방부(121)의 개방영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부시트부(120)에는 상기 제1 개방부(121)를 통해 내용물이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한 투입가이드관(124)이 봉제작업을 통해 상부시트부(120)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개방부(121)를 축소시킬때 외부 이물질이 제1 개방부(12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용물의 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커버(125)가 상부시트부(120)의 일측에 결합되어 투입가이드관(124)이 상방으로 돌출될 때에는 일측으로 젖혀지고, 내용물의 충진이 끝난 후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상부시트부(120)의 하부로 투입가이드관(124)을 접어 넣은 뒤 상기 커버(125)로 덮은 후 결속끈(123)을 당겨 제1 개방부(121)를 축소시킨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시트부(130) 역시 측면시트부(110)의 하단에 봉제작업을 통해 결합되는데, 중앙에는 상기 제1 개방부(121)와 동일하게 결속끈을 통해 개방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제2 개방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있고, 제2 개방부를 통해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한 배출가이드관(131)이 봉제작업을 통해 베이스시트부(130)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시트부(130)가 측면시트부(110)의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부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측면시트부(110) 및 베이스시트부(130)의 사이에 부직포(140)를 삽입한 상태에서 베이스시트부(130), 측면시트부(110) 및 부직포(140)를 2회 이상 접은 다음 봉제작업을 통해 고정하여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톤백(100)은 운반할 때 후술하는 견인띠(160)에 크레인이나 운반장비를 걸고 들어올리게 된다. 따라서 내용물의 하중은 하방으로 작용하면서 측면시트부(110)와 베이스시트부(130)가 연결되어 있는 결합부에 많은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운반 중 상기 결합부에서 측면시트부(110)와 베이스시트부(130)의 분리를 방지하고, 결합부에서 측면시트부(110)와 베이스시트부(130) 사이가 벌어져 그 사이로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결합부를 견고하게 형성해야 한다.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은 측면시트부(110)와 베이스시트부(130)의 사이에 부직포(140)를 삽입한 상태로 이를 접어 봉제작업을 실시한다. 측면시트부(110)와 베이스시트부(130) 사이에 부직포(140)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결합부의 결합력 및 내용물의 하중에 대한 지지강도가 상승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결합부를 형성하기 위해 접은 측면시트부(110) 또는 베이스시트부(130)의 외면에 봉제작업을 실시하기 전에 탄성재질의 커버시트(150)를 덧대고 봉제작업을 실시한다. 이러한 커버시트(150)는 봉제작업중 형성되는 바늘구멍을 통해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인데, 탄성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바늘이 통과하면서 생기는 구멍이 탄성력에 의해 상호 밀착되기 때문에 입자가 아주 작은 내용물이라도 통과할 수 없게 되어 내용물의 누출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견인띠(16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베이스시트부(130)의 하면을 지지하면서 측면시트부(110)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된다.
견인띠(160)는 베이스시트부(130)를 지지하는 일측이 격자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하단지지부(161)와, 하단지지부(161)로부터 측면시트부(110)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된 연장부(162)를 포함하는데, 상기 연장부(162)는 일측이 측면시트부(110)에 봉제작업을 통해 결합된다. 연장부(162)의 결합위치에도 연장부(162)와 측면시트부(110)의 사이에 탄성력을 갖는 재질의 보조시트(164)를 삽입한 상태에서 봉제작업을 실시하여 연장부(162)와 측면시트부(110) 사이의 체결력을 높이고, 봉제작업 중 형성되는 바늘구멍을 통해 내용물의 유출을 차단한다.
상기 연장부(162)는 복수개가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여덟 개의 연장부(162)가 연장되어 있고, 인접하는 두 연장부(162)들의 상단이 상호 연결되어 고리형태를 취하게 된다. 그리고 두 고리들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띠(163)를 장착하여 크레인이나 각종 견인장치를 통해 톤백(100)을 들어올릴 때 견인장치에 걸 수 있는 걸림부를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톤백(100)은 측면시트부(110)와 베이스시트부(130)가 연결되는 결합부가 부직포(140)를 삽입한 상태로 말려 봉제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결합부의 지지강도를 향상시키게 되며, 내용물의 누출 위험이 있는 봉제구간 즉, 상기 측면시트부(110)와 베이스시트부(130)가 연결되는 결합부 및 견인띠(160)의 연장부(162)가 측면시트부(110)와 결합되는 연결지점에 탄력성이 있는 커버시트(150)를 덧대고 봉제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바늘구멍에 의해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톤백(20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톤백(200)은 외부백(210)과 내부백(260) 및 견인띠(270)를 구비한다.
외부백(210)은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측면시트부(21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시트부(220)와 베이스시트부(230)가 결합되어 있는 형태이다. 상부시트부(220)와 베이스시트부(230)에 각각 제1 개방부(221)와 제2 개방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는데, 제1 개방부(221)와 제2 개방부는 개방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제1 개방부(221)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속끈(223)이 끼워지는 결속고리(222)들이 형성되어 있고, 결속끈(223)을 조여 제1 개방부(221)의 개방영역을 축소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제2 개방부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1 개방부(221)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외부백(210)도 상부시트부(220)에 투입가이드관(224)이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시트부(230)에 배출가이드관(231)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내부백(260)은 외부백(210)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용부(261)와, 수용부(261)로부터 상방과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제1 개방부(221)와 제2 개방부를 통해 상측 및 하측으로 연장되는 투입관(262) 및 토출관(263)으로 이루어져 있다.
내부백(260)은 합성수지재를 봉투형태로 형성한 것이며, 하단부를 외부백(210)과 함께 결합하여 내부백(260)이 외부백(210)의 내부에 내장된 상태의 톤백(200)이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내부백(260) 중 수용부(261)의 상측은 스태칭테이프(264)를 통해 상부시트부(220)와 측면시트부(211)가 결합되는 결합부 사이에 함께 봉제작업을 통해 결합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상기 외부백(210)의 측면시트부(211)와 베이스시트부(230)를 봉제작업을 통해 결합할 때, 앞선 실시예처럼 부직포(240)를 중심으로 측면시트부(211)와 베이스시트부(230)를 접촉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는 부직포(240)와 측면시트부(211) 및 베이스시트부(230)의 사이에 내부백(260)을 삽입시킨 상태로 이를 접어 봉제작업을 실시한다. 이를 통해 내부백(260)이 외부백(210)과 결합되고, 외부백(210)의 하단 결합부분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 결합부분에 봉제작업을 진행할 때, 외측에 탄성재질의 커버시트(250)를 덧댄 후 봉제작업을 실시하여 바늘구멍을 통한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의 견인띠(270) 역시 앞선 실시예처럼 베이스시트부(230)를 지지하는 하단지지부와, 하단지지부로부터 측면시트부(211)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구비하는데, 견인띠(270)의 구성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내부백(260)을 포함하는 톤백(200)의 경우에는 상기 견인띠(270)를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베이스시트부(230)까지 연장하지 않고, 측면시트부(211)의 일측에만 고정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톤백
110; 측면시트부
120; 상부시트부
121; 제1 개방부 122; 결속고리
123; 결속끈 124; 투입가이드관
125; 커버
130; 베이스시트부
131; 배출가이드관
140; 부직포
150; 커버시트
160; 견인띠
161; 하단지지부 162; 연장부
163; 연결띠 164; 보조시트
200; 톤백
210; 외부백
211; 측면시트부
220; 상부시트부
221; 제1 개방부 222; 결속고리
223; 결속끈 224; 투입가이드관
230; 베이스시트부
231; 배출가이드관
240; 부직포 250; 커버시트
260; 내부백
261; 수용부 262; 투입관
263; 토출관 264; 스태칭테이프
270; 견인띠
271; 하단지지부 272; 연장부

Claims (6)

  1. 측면시트부와;
    상기 측면시트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시트부와;
    상기 측면시트부의 하단에 봉제작업을 통해 결합되는 베이스시트부와;
    상기 베이스시트부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측면시트부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견인띠;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시트부와 베이스시트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는 상기 측면시트부와 베이스시트부의 사이에 부직포를 삽입한 상태로 접은 후 재봉실로 접어진 결합부를 관통시켜 봉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봉제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외면에 봉제작업 중 형성되는 바늘구멍을 통해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탄력을 갖는 재질로 된 커버시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띠가 상기 측면시트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에 봉제작업을 진행할 때, 상기 견인띠와 측면시트부의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부의 결합강도를 상승시키고, 봉제작업 중에 형성되는 바늘구멍을 통해 내용물의 누출을 차단하도록 된 보조시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4. 측면시트부와, 상기 측면시트부의 상부에 체결되고 개방영역의 조절이 가능한 제1 개방부를 갖는 상면시트부와, 상기 측면시트부의 하부에 봉제작업을 통해 결합되고 개방영역의 조절이 가능한 제2 개방부를 갖는 베이스시트부를 포함하는 외부백과;
    상기 외부백의 내부에 설치되며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는 소정의 저장공간을 가지고, 상기 제1 개방부 및 제2 개방부를 통해 상기 외부백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투입관부 및 배출관부가 마련되어 있는 내부백과;
    상기 베이스시트부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측면시트부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견인띠;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시트부와 베이스시트부가 봉제작업을 통해 결합되는 결합부는 상기 측면시트부와 베이스시트부 및 상기 내부백과, 상기 내부백의 사이로 삽입되는 부직포가 상호 적층된 상태에서 접어진 후 봉제작업을 통해 결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봉제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외면에 봉제작업 중 형성되는 바늘구멍을 통해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탄력을 갖는 재질로 된 커버시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띠가 상기 측면시트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에 봉제작업을 진행할 때, 상기 견인띠와 측면시트부의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부의 결합강도를 상승시키고, 봉제작업 중에 형성되는 바늘구멍을 통해 내용물의 누출을 차단하도록 된 보조시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KR1020120134814A 2012-11-26 2012-11-26 톤백 Expired - Fee Related KR101416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814A KR101416534B1 (ko) 2012-11-26 2012-11-26 톤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814A KR101416534B1 (ko) 2012-11-26 2012-11-26 톤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504A true KR20140067504A (ko) 2014-06-05
KR101416534B1 KR101416534B1 (ko) 2014-07-09

Family

ID=51123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814A Expired - Fee Related KR101416534B1 (ko) 2012-11-26 2012-11-26 톤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65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114B1 (ko) * 2014-08-06 2014-11-12 최용덕 다단 하이브리드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KR101966970B1 (ko) * 2018-10-17 2019-04-08 최용덕 컨테이너 백
AT524129B1 (de) * 2021-03-29 2022-03-15 Jan Svejda Behälter
KR102719338B1 (ko) * 2024-05-03 2024-10-18 최용덕 컨테이너백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001B1 (ko) 2017-10-16 2019-03-14 이정민 다용도 톤백
KR101893402B1 (ko) * 2018-07-11 2018-08-31 주식회사 상진 입출구 개방유지수단을 갖는 컨테이너 백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2232A (ja) * 2000-06-30 2002-01-15 Yamanoi Seitai Kk 粉洩れ防止袋
KR100547512B1 (ko) * 2004-02-14 2006-01-31 임강섭 콘테이너 백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테이너 백
JP2008024347A (ja) * 2006-07-21 2008-02-07 Heisei:Kk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
KR20110009647U (ko) * 2010-04-05 2011-10-12 최용주 분말 운반용 컨테이너 백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114B1 (ko) * 2014-08-06 2014-11-12 최용덕 다단 하이브리드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KR101966970B1 (ko) * 2018-10-17 2019-04-08 최용덕 컨테이너 백
AT524129B1 (de) * 2021-03-29 2022-03-15 Jan Svejda Behälter
AT524129A4 (de) * 2021-03-29 2022-03-15 Jan Svejda Behälter
KR102719338B1 (ko) * 2024-05-03 2024-10-18 최용덕 컨테이너백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6534B1 (ko)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6534B1 (ko) 톤백
US5664887A (en) Bulk bag with restrainer
US8894281B2 (en) Lifting bag
US6662962B2 (en) Flexible liner for shipping bulk load inside shipping containers and method for placing said flexible liner for shipping bulk load into a shipping container
US5993062A (en) Upstanding lifting strap for a bulk container
GB2036691A (en) Flexible skip
JP4959850B1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
US20140177980A1 (en) Bulk bag with multiple lifting mechanisms
KR100971518B1 (ko) 곡물가방
KR101688096B1 (ko) 측면 개방형 톤백
US6048296A (en) Method of making a lined bag
KR20100011810U (ko) 포대
GB1602726A (en) Bulk material container
TWI741224B (zh) 可撓性容器
CN107820480B (zh) 具有可锁定拎带的拎带口袋
US20140205209A1 (en) Bare liner bulk bag
JP6127027B2 (ja) 二重構造の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
JP2008024347A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
CN210654573U (zh) 一种便于卸料的吨装袋
CN2931372Y (zh) 装卸料口带刚性加固圈的散状物料集装袋
KR102719338B1 (ko) 컨테이너백 및 그의 제조방법
CN205525928U (zh) 一种吊带十字兜底内拉筋防漏集装袋
KR102707095B1 (ko) 보강날개부를 가지는 컨테이너 백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컨테이너 백
CN217576499U (zh) 一种加强型集装袋
CN213169545U (zh) 散装饲料包装用吨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