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7185A -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compri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circuit part and wireless charging circuit part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compri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circuit part and wireless charging circuit par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67185A KR20140067185A KR1020120121049A KR20120121049A KR20140067185A KR 20140067185 A KR20140067185 A KR 20140067185A KR 1020120121049 A KR1020120121049 A KR 1020120121049A KR 20120121049 A KR20120121049 A KR 20120121049A KR 20140067185 A KR20140067185 A KR 201400671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cover
- mobile communication
- battery cell
- coil antenn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74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646 magnetic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81 Cu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3 base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JIJEKBXJYRIBZ-UHFFFAOYSA-N cadmium nickel Chemical compound [Ni].[Cd] OJIJEKBXJYRI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59 α-F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장치는 배터리커버부재와 배터리팩을 포함하는 이동통신장치로서, 상기 배터리커버부재는, 상기 배터리커버부재의 외형을 이루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되는 커버코일안테나부와, 상기 코일안테나부를 배터리팩과 접속시키기 위한 커버접속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팩은,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를 포함하며,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셀과, 상기 배터리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보호회로모듈부와, 상기 배터리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호회로모듈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와, 상기 보호회로모듈부와, 상기 홀더를 수용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셀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 케이스와, 상기 커버접속단자부에 접속되는 셀접속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회로모듈부는 엔에프씨(NFC)통신회로부와 무선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이동통신장치의 배터리커버부재를 통해 엔에프씨통신과 무선충전이 가능하다.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battery cover member and a battery pack, wherein the battery cover member includes a base member that forms an outer shape of the battery cover member, a cover coil antenna portion And a cover connection terminal unit for connecting the coil antenna unit to the battery pack, wherein the battery pack includes a battery cell including a positive terminal and a negative terminal, the battery cell supplying charged power, A holder for holding the position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part; a protection circuit module part; and a cover which is provided to receive the holder and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ttery cell, And a cell connection terminal portion connected to the cover connection terminal portion, wherei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portion includes an NFC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ircuit portion with a wireless charg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re possible through the battery cover me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팩의 보호회로모듈부 내에 엔에프씨 통신화로부와 무선충전회로부를 포함하고 이동통신장치의 배터리커버부재에 커버코일안테나부를 마련함으로써, 엔에프씨 통신과 무선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엔에프씨통신회로부와 무선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장치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at includes an NFC communication furnace portion and a wireless charging circuit portion in a protection circuit module portion of a battery pack, and a cover coil antenna portion is provided on a battery cover me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n NFC communication circuit part and a wireless charging circuit part which are configured to enable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일반적으로,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이너형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cell)과 보호회로모듈(PCM;Protection Circuit Module)을 포함하는 피시비 기판이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된다.In general, an inner battery pack used as a power source of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structure in which a PCB and a PCB including a battery cell and a protection circuit module (PCM) are coupled.
여기서, 상기 배터리 셀은 양극시트와 음극시트로 이루어지는 전극적층유닛이 금속 케이싱내에 수용된 형태이고, 상기 케이싱의 외면에는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마련된다.Here, the battery cell has a structure in which an electrode stack unit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sheet and a negative electrode sheet is housed in a metal casing, and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ar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asing.
또한,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배터리의 폭발 및 과충전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 셀의 외측에 장착된다.In additio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battery cell to prevent explosion and overcharge of the battery.
즉, 상기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과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피시비 기판이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유닛 형태로 포장된 구조이며, 이러한 배터리 팩은 최근 이를 사용하는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 추세에 따라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That is, the battery pack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CB and the PCB including the battery cell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packaged in a unit form. Such a battery pack has recently been miniaturized and lightweight, , Thinning, and weight reduction are required.
한편,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음성통화뿐만이 아니라 인터넷, 화상통화 및 다양한 문서작업들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기술의 발달에 따라 새로운 성능의 다양한 휴대용 단말기가 개발 보급되고 있다.Meanwhile, recent developments i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have led to an increase in the use of portable terminals capable of not only voice calls but also internet, video calls, and various document operations. Various portable terminals with new performance have been developed and develop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방식은, 충전기에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여 단자가 접촉되도록 하여 충전하거나, 충전기의 커넥터와 휴대용 단말기의 커넥터부를 직접 연결하여 충전하는 방식이 이용된다.Generally, the charging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is most commonly used by charging the charger by placing the portable terminal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or charging the connector of the charger by directly connecting the connector of the portable terminal.
근래에는, 충전기에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거나 충전기의 커넥터와 휴대용 단말기의 커넥터를 직접 연결하지 않고,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기에 올려놓거나 충전기의 부근에 배치시키는 것으로 충전이 이루어지는 무선충전방식이 개발되었다.Recently, a wireless charging method has been developed in which charging is performed by placing a portable terminal on a charger or placing the portable terminal near a charger without directly connecting the connector of the charger and the connector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무선충전방식은 크게 자기공명방식과 전자기유도방식이 있는데, 자기공명방식은 무선충전을 위한 전력의 송수신단 간에 주파수를 통해 전력을 보내는 방식이다.The wireless charging method is largely a magnetic resonance method and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is a method of transmitting power through a frequency betwe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ends of power for wireless charging.
한편, 전자기유도방식은 인접하게 배치된 두개의 코일 간에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충전하는 방식으로서, 두 코일의 권선 수와 코일간의 거리에 따라 유도전류가 발생되는 원리를 이용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induction current is generated between two coil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charged, and the principle of induction current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two coil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oils.
한편, 엔에프씨(NFC: Near Field Communication)통신은 10c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다양한 무선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 기술 중 하나로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 기술이다. Meanwhil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is a non-contact communication technology using a frequency band of 13.56 MHz as one of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exchanging various wireless data within a distance of 10 cm or less.
상기 엔에프씨통신은 통신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해 최근 주목받는 차세대 근거리 통신 기술로서, 데이터 읽기와 쓰기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RFID 사용을 위해 필요했던 동글(리더)이 필요하지 않다.The NFC communication is a next-generation local area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due to its relatively low security and relatively low price because of its short communication distance. As it can use both data reading and writing functions, Reader) is not required.
본 발명의 목적은, 엔에프씨통신과 무선충전이 가능한 이동통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장치는 배터리커버부재와 배터리팩을 포함하는 이동통신장치로서, 상기 배터리커버부재는, 상기 배터리커버부재의 외형을 이루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되는 커버코일안테나부와, 상기 커버코일안테나부를 배터리팩과 접속시키기 위한 커버접속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팩은,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를 포함하며,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셀과, 상기 배터리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보호회로모듈부와, 상기 배터리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호회로모듈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와, 상기 보호회로모듈부와, 상기 홀더를 수용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셀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 케이스와, 상기 커버접속단자부에 접속되는 셀접속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회로모듈부는 엔에프씨(NFC)통신회로부와 무선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battery cover member and a battery pack, wherein the battery cover member includes: a base member that forms an outer shape of the battery cover member; And a cover connection terminal portion for connecting the cover coil antenna portion to the battery pack, wherein the battery pack includes a battery cell including a positive terminal and a negative terminal, the battery cell supplying charged power, A protection circuit module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a hold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to fix the position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unit,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unit, and the holder, A cover cas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ell, and a cell connection terminal portion connected to the cover connection terminal portion, The call circuit module includes an NFC communication circuit and a wireless charging circuit.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코일안테나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내면에 형성된다.Preferably, the cover coil antenna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또한, 상기 커버코일안테나부 상에는 차폐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shielding member may be provided on the cover coil antenna portion.
한편, 상기 커버코일안테나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내면에 동심원적 사각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ver coil antenna portion may be installed in a concentric rectangular shap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셀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Preferably, the battery pack further includes a lower cas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여기서, 상기 커버코일안테나부로부터의 전력은 상기 보호회로모듈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장치로 전달되고, 상기 이동통신장치 내의 충전회로부를 통해 상기 배터리셀이 충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power from the cover coil antenna part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part, and the battery cell is charged through the charging circuit par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또한, 상기 양극단자에 결합되는 양극단자판과, 상기 음극단자에 결합되는 음극단자판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cathode terminal plate coupled to the cathode terminal and a cathode terminal plate coupled to the cathode terminal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본 발명에 의해, 이동통신장치의 배터리커버부재를 통해 엔에프씨통신과 무선충전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re possible through the battery cover me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1 은 본 발명에 따른 엔에프씨통신회로부와 무선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장치의 배터리커버부재 정면도이며,
도 2 는 상기 이동통신장치에 포함되는 배터리팩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이동통신장치의 구성 블럭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appl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1 is a front view of a battery cover member of a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including an NF communication circuit unit and a wireless charging circui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pack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 is a structural block diagra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on the principle that the concept of a term can be properly defined in order to explain its invention in the best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are only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sented.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exist.
도1 은 본 발명에 따른 엔에프씨통신회로부와 무선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장치의 배터리커버부재 정면도이며, 2 는 상기 이동통신장치에 포함되는 배터리팩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이동통신장치의 구성 블럭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of a battery cover member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n NFC communication circuit part and a wireless charging circuit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pack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ig.
도 1 내지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장치는 배터리커버부재와 배터리팩을 포함하는 이동통신장치로서, 상기 배터리커버부재(50)는, 상기 배터리커버부재(50)의 외형을 이루는 베이스부재(52)와, 상기 베이스부재(52)에 형성되는 커버코일안테나부(54)와, 상기 커버코일안테나부(54)를 배터리팩과 접속시키기 위한 커버접속단자부(58)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팩은, 양극단자(2)와 음극단자(4)를 포함하며,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셀(10)과, 상기 배터리셀(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보호회로모듈부(20)와, 상기 배터리셀(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호회로모듈부(2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30)와, 상기 보호회로모듈부(20)와, 상기 홀더(30)를 수용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셀(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 케이스(40)와, 상기 커버접속단자부(58)에 접속되는 셀접속단자부(6)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회로모듈부(20)는 엔에프씨(NFC)통신회로부와 무선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to 3,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battery cover member and a battery pack, wherein the
상기 배터리 셀(10)은 음극시트와 양극시트로 구성되는 전극적층유닛이 금속케이싱 내부에 수용된 셀부(5)와 상기 셀부에 결합되는 배터리보드부(8) 및 셀접속단자부(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에는 양극단자인 상부판(2)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판(2)에는 셀 전해액 주입을 위한 전해액주입구와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될 경우 압력을 배출시키기 위한 가스분출구가 마련될 수 있다.When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for injecting the cell electrolyte and the internal pressure are excessively increased, the pressure is discharged to the
상기 배터리 셀(10)은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니켈-카드뮴 배터리, 니켈-수소 배터리 또는 리튬이온 배터리로 마련될 수 있다.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 셀(10)은 다른 배터리와 비교시 크기에 대해 대용량 전압의 충전이 가능하고, 충전 후 전원공급이 장시간 동안 지속가능하며, 하나의 배터리로 구성되어 관리가 용이한 리튬이온 배터리로 마련될 수 있다.Preferably, the
상기 보호회로모듈부(20)(PCM : Protection Circuit Module)는 보호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배터리 셀(10)의 과충전 내지 과방전을 방지하여 상기 배터리 셀(10)의 폭발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The
또한, 상기 보호회로모듈부(20)는 상기 커버코일안테나부(54)를 통해 수신된 전력을 단말기에 이용되는 DC 전원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무선충전매칭부와 정류부 및 DC-DC 변환부 등을 포함한다.The protection
한편, 양극단자판(22)은 상기 배터리셀(10)의 양극단자(2)를 상기 보호회로모듈부(20)에 접속시키기 위한 구성이며, 음극단자판(25)은 배터리셀의 음극단자(4)를 상기 보호회로모듈부(20)에 접속시키기 위한 구성이다.The
상기 양극단자판(22)과 음극단자판(25)은 상기 배터리셀(10)의 양극단자(2) 및 음극단자(4)와 레이져 스팟용접(Laser Spot Welding)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레이져 스팟 용접은 고도의 에너지가 집적된 직진성이 양호한 빛을 이용하여 모재를 용접하는 방법으로써, 모재의 열변형이 적고, 이중금속의 용접이 가능하여 상기 단자판(22, 25)과 배터리셀(10)의 양극/음극단자(2, 4)와의 정밀한 용접을 가능하게 한다.Herein, the laser spot welding is a method of welding a base material by using light having a high degree of energy and having good linearity. The base metal is thermally less deformed and can be welded with a double metal, Thereby enabling precise welding with the anode /
상기 홀더(30)는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단자판(22, 25)과 상기 보호회로모듈부(20)를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The
또한, 상기 홀더(30)는 상기 보호회로모듈부(20)와 상기 배터리셀(10) 사이에 마련되며, 양면테이프(32) 또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배터리셀(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The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보호회로모듈부(20)와 홀더(30)와 양, 음극단자판(22, 25) 등은 커버케이스(40)에 의해 수용되는데, 상기 홀더(30)에는 끼움돌기(34)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 케이스(40)에는 끼움홈(42)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30)와 커버케이스(40)가 끼움결합으로써 체결될 수 있다. The
즉, 상기 홀더(30)는 상기 커버케이스(40)에 의해 지지되어 그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상기 커버케이스(40)는 상기 배터리셀(10)에 장착되는 보호회로모듈부(20)및 양, 음극단자판(22, 25) 등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며, 이에 의해, 전체적인 배터리 팩의 강도 또한 증가하게 된다.The
여기서, 상기 커버케이스(40)는 상기 배터리셀(10)과 접촉되는 부분에서 상기 배터리셀(10) 과의 고정을 위한 외착부(44)를 포함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배터리셀(10)의 하부에는 하부케이스(60)가 양면테이프(62) 또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배터리셀(10)과 상기 커버케이스(40) 및 하부케이스(70)의 외부를 포장지(70)로 감쌈으로서 전체 배터리팩이 구성된다.The entire battery pack is constructed by wrapping the
한편, 상기 배터리커버부재(50)의 외형을 이루는 베이스부재(52)에는 커버코일안테나부(54)가 배치되어, 상기 커버코일안테나부(54)의 접속단자부(58)가 상기 셀접속단자부(6)에 접속된다.The cover
상기 커버코일안테나부(54)는 상기 배터리셀(10)을 무선으로 충전하거나 엔에프씨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안테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무선충전기(Wireless Charger)의 송신부로부터 전자기력을 전달으며, 엔에프씨 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는다.The cover
상기 커버코일안테나부(54)는 상기 이동통신장치의 배터리팩을 덮는 배터리커버부재(50)의 내면에 배선의 형태로 형성된다.The cover
여기서, 상기 배선은 상기 배터리커버부재(50) 내면에 형성되는 구리 또는 구리합금 선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배선은 상기 배터리커버부재(50)의 외형을 이루는 베이스부재(52) 상에 에칭 등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wiring may be a copper or a copper alloy wi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여기서, 상기 배선은 상기 베이스부재(52) 상에 동심원적 사각형상으로 복수 겹 배치되는데, 상기 베이스부재(52)의 중심을 향해 복수 겹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wirings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concentric rectangular shapes on the
그리하여, 상기 배선을 사각 형상의 베이스부재(52) 상에 공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으며, 전류의 흐름이 원활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us,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wiring space-efficient on the square-shaped
한편, 상기 커버코일안테나부(54) 위에는 전자기파의 차폐를 위한 페라이트코어부재(Ferrite Core)와 같은 차폐부재(56)가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a shielding
즉, 상기 베이스부재(52)의 내면에 상기 커버코일안테나부(54)가 형성된 상태에서 그 위에 상기 차폐부재(56)가 배치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커버코일안테나부(54)와 배터리 셀(10) 사이에 상기 차폐부재(56)가 배치된다.That is, the
그리하여, 상기 커버코일안테나부(54)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배터리셀(10)이 영향을 받거나, 상기 배터리셀(10)에 의해 전자기력이 영향을 받지 않게 하면서 전자기력이 상기 커버코일안테나부(54)로 집중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cover
한편, RF 전파 또는 전자기파로 수신되는 상기 커버코일안테나부(54)로부터의 전력은 상기 보호회로모듈부(20)내의 무선충전매칭부에 의해 단말기에 이용될 수 있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전자기파로 필터링된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 power from the cover
상기와 같이 필터링된 전자기파는 교류 상태이므로, 이를 정류부를 통해 직류 전력으로 변환시킨다. Since the electromagnetic wave filtered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is in the AC state, it is converted into DC power through the rectification section.
이후, 상기와 같이 직류 전력으로 변환된 전력은 DC-DC 변환부를 통해 소정전압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되어 상기 무선충전 배터리팩이 설치되는 단말장치(100)로 전달된다.Thereafter, the power converted into DC power is converted into DC power of a predetermined voltage through the DC-DC converter and transmitted to the
상기 단말장치(100)에는 전류-전압감지부와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 및 충전회로부가 내장된다.The
상기 전류-전압감지부는 상기 보호회로모듈부(20)로부터 전송된 전원의 전류와 전압 임피던스 등을 감지하여 엔에프씨 통신 또는 전자기공진 전력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마이크로컨트롤유닛에 전달한다.The current-voltage sensing unit senses the current and voltage impedance of the power source transmitted from the protection
그리하여, 상기 전류-전압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에서 스위치부를 컨트롤하여 엔에프씨 통신 또는 전자기공진 패스(Path)로 연결한다.Thus, the switch unit is controlled by the micro control unit on the basis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urrent-voltage sensing unit, and is connected to the NFC communication or the electromagnetic resonance path.
만약,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에서 전달받은 신호가 엔에프씨 통신 데이터 신호일 경우에는, 엔에프씨 칩을 구동하여 엔에프씨 통신을 수행한다.I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 control unit is an NFC communication data signal, the NFC chip is driven to perform NFC communication.
한편, 상기 단말장치(100)로 전달된 전원은 상기 충전회로부를 통해 상기 배터리셀(10)이 충전되도록 구성된다.Meanwhile, the power supplied to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장치의 배터리팩 내부에는 충전회로부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배터리팩이 이용되는 단말장치(100) 내의 충전회로부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셀(10)이 충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배터리팩을 보다 경박단소화할 수 있다.That is, the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배터리 셀 20: 보호회로모듈부
30: 홀더 40: 커버케이스
50: 베이스부재 60: 하부케이스10: battery cell 20: protection circuit module part
30: holder 40: cover case
50: base member 60: lower case
Claims (7)
상기 배터리커버부재는,
상기 배터리커버부재의 외형을 이루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되는 커버코일안테나부와;
상기 커버코일안테나부를 배터리팩과 접속시키기 위한 커버접속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팩은,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를 포함하며,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셀과;
상기 배터리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보호회로모듈부와;
상기 배터리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호회로모듈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와;
상기 보호회로모듈부와, 상기 홀더를 수용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셀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 케이스와;
상기 커버접속단자부에 접속되는 셀접속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회로모듈부는 엔에프씨(NFC)통신회로부와 무선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통신회로부와 무선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장치.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battery cover member and a battery pack,
Wherein the battery cover member comprises:
A base member forming an outer shape of the battery cover member;
A cover coil antenna unit formed on the base member;
And a cover connection terminal portion for connecting the cover coil antenna portion to the battery pack,
The battery pack (100)
A battery cell including a positive terminal and a negative terminal, the battery cell supplying charged power;
A protection circuit module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A hold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to fix a position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A cover case provided to receive the holder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And a cell connection terminal portion connected to the cover connection terminal portion,
Wherei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includes an NFC communication circuit and a wireless charging circuit.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es an NFC communication circuit and a wireless charging circuit.
상기 커버코일안테나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내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통신회로부와 무선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cover coil antenna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상기 커버코일안테나부 상에는 차폐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통신회로부와 무선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hield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cover coil antenna portion.
상기 커버코일안테나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내면에 동심원적 사각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통신회로부와 무선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ver coil antenna portion is installed concentrically in a rectangular shap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portion.
상기 배터리셀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통신회로부와 무선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lower cas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커버코일안테나부로부터의 전력은 상기 보호회로모듈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장치로 전달되고, 상기 이동통신장치 내의 충전회로부를 통해 상기 배터리셀이 충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통신회로부와 무선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ower from the cover coil antenna part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part and the battery cell is charged through a charging circuit par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comprising a charging circuit unit.
상기 양극단자에 결합되는 양극단자판과, 상기 음극단자에 결합되는 음극단자판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통신회로부와 무선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cathode terminal plate coupled to the anode terminal, and a cathode terminal plate coupled to the cathode terminal, wherein the anode terminal plate is coupled to the cathode terminal, and a wireless charging circuit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1049A KR20140067185A (en) | 2012-10-30 | 2012-10-30 |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compri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circuit part and wireless charging circuit par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1049A KR20140067185A (en) | 2012-10-30 | 2012-10-30 |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compri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circuit part and wireless charging circuit par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7185A true KR20140067185A (en) | 2014-06-05 |
Family
ID=51123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1049A Ceased KR20140067185A (en) | 2012-10-30 | 2012-10-30 |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compri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circuit part and wireless charging circuit par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67185A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024709A (en) * | 2015-05-28 | 2015-11-04 | 成都中微电微波技术有限公司 |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ultiple terminal receivers |
CN105305523A (en) * | 2014-12-25 | 2016-02-03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Mobile terminal |
CN105610227A (en) * | 2016-03-16 | 2016-05-25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Wireless charging structure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
KR20160121361A (en) | 2015-04-09 | 2016-10-19 | 삼성전기주식회사 | Apparatus for receiving power wirelessly and power supply apparatus using the same |
KR20170037406A (en) | 2015-09-25 | 2017-04-04 | 삼성전기주식회사 | Apparatus for receiving power wirelessly and power supply apparatus using the same |
-
2012
- 2012-10-30 KR KR1020120121049A patent/KR20140067185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305523A (en) * | 2014-12-25 | 2016-02-03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Mobile terminal |
KR20160121361A (en) | 2015-04-09 | 2016-10-19 | 삼성전기주식회사 | Apparatus for receiving power wirelessly and power supply apparatus using the same |
CN105024709A (en) * | 2015-05-28 | 2015-11-04 | 成都中微电微波技术有限公司 |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ultiple terminal receivers |
KR20170037406A (en) | 2015-09-25 | 2017-04-04 | 삼성전기주식회사 | Apparatus for receiving power wirelessly and power supply apparatus using the same |
US10170936B2 (en) | 2015-09-25 | 2019-01-01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Wireless power receiver and power supply apparatus using the same |
CN105610227A (en) * | 2016-03-16 | 2016-05-25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Wireless charging structure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
CN105610227B (en) * | 2016-03-16 | 2017-11-17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The wireless charging structure and mobile terminal of a kind of mobile termina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858307B (en) | Contactless charging battery, contact-less charger | |
JP4707626B2 (en) | Contactless charger and combination of this charger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8248025B2 (en) | Charging system capable of charging electronic device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 |
EP2683054B1 (en) | Contactless multi-charger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0877646B1 (en) | Contactless charger with a plurality of coil pads and battery charging set with the same | |
EP2388886B1 (en) | Wireless charging jacket combined with a battery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thereof | |
WO2007012272A1 (en) | Rechargeable battery circuit and structure for compatibility with a planar inductive charging platform | |
JP2013535815A (en) | Wireless power communication core assembly, wireless power communication power suppl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wireless power communication core assembly | |
JP2010098861A (en) | Charger apparatus of mobile electronic device | |
CN109155526B (en) | Wireless rechargeable accumulator | |
KR101470438B1 (en) | Wireless charging battery case of multiple function | |
KR101499331B1 (en) | Wireless charging discerning battery pack comprising nfc communication part | |
JP4737109B2 (en) | Non-contact rechargeable electronic equipment | |
KR20160105287A (en) | Circuit device, portable device, and charging system and the like | |
CN107863800A (en) | Wireless charging battery | |
KR20140067185A (en) |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compri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circuit part and wireless charging circuit part | |
CN214707215U (en) | Magnetic attraction type charging equipment | |
KR101532052B1 (en) | Antenna patch comprising common terminals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 |
KR20140056606A (en) | Wireless charging battery pack compri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circuit part and wireless charging circuit part | |
KR101469463B1 (en) | Wireless charging battery pack | |
KR20140011556A (en) | Wireless charging battery pack | |
KR101507053B1 (en) | Wireless charging discerning battery pack | |
KR101563263B1 (en) | Antenna patch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 |
KR20140083452A (en) | None contact type wireless charging battery pack of near field communication | |
JP2013026005A (en) | Battery pa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408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1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