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6413A - 상온 접합력이 향상된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클래드 판재 - Google Patents
상온 접합력이 향상된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클래드 판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66413A KR20140066413A KR1020120133604A KR20120133604A KR20140066413A KR 20140066413 A KR20140066413 A KR 20140066413A KR 1020120133604 A KR1020120133604 A KR 1020120133604A KR 20120133604 A KR20120133604 A KR 20120133604A KR 20140066413 A KR20140066413 A KR 2014006641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clad
- sheet material
- magnesium
-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00—Rolling materials of special alloys so far as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requires or permits special rolling methods or sequences ; Rolling of aluminium, copper, zinc or other non-ferrous metals
- B21B3/02—Rolling special iron alloys, e.g. stainless ste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0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by means of a press ; Diffusion bonding
- B23K20/023—Thermo-compression bon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04—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by means of a rolling mi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 B23K20/12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 B23K20/123—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welding process
- B23K20/1235—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welding process with temperature control during joi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2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o be welded
- B23K20/233—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o be welded without ferrous layer
- B23K20/2333—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o be welded without ferrous layer one layer being aluminium, magnesium or berylliu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18—Sheet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서 제조된 클래드 판재의 Al/STS 계면에서의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FE-SEM, TESKAN MIRA II) 이미지 및 에너지 분산형 엑스선 분광기(Oxford 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의 선분석(line scanning) 이미지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서 제조된 클래드 판재의 Mg/Al 계면에서의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FE-SEM, TESKAN MIRA II) 이미지 및 에너지 분산형 엑스선 분광기(Oxford 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의 선분석(line scanning) 이미지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4에서 제조된 클래드 판재의 Mg/Al 계면에서의 투과전자현미경(TEM) 이미지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4에서 제조된 클래드 판재의 Mg/Al 계면에서의 에너지 분산형 엑스선 분광기(Oxford 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의 이미지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서 제조된 클래드 판재의 Mg/Al 계면에서의 투과전자현미경(TEM) 이미지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서 제조된 클래드 판재의 금속간화합물층의 두께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서 제조된 클래드 판재의 금속모재별 두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서 제조된 클래드 판재의 금속모재별 두께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서 제조된 클래드 판재의 금속모재별 경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4에서 제조된 클래드 판재의 Mg/Al 계면에서의 접합 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서 제조된 클래드 판재의 Mg/Al 계면에서의 접합 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2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클래드 판재 및 각 금속모재의 공칭 변형률(engineering strain)에 따른 공칭응력(engineering stress)의 그래프이고;
도 13(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서 제조된 클래드 판재의 공칭 변형률(engineering strain)에 따른 공칭응력(engineering stress)의 그래프이고; (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서 제조된 클래드 판재의 연신율, 항복강도 및 최대인장강도의 그래프이다.
스테인리스 판재 (STS430) |
C | Cr | Mn | Si | Fe |
≤0.12 | 16 ~ 18 | ≤1.0 | ≤1.0 | Bal. | |
알루미늄 판재 (Al3004) |
Mn | Mg | Fe | Si | Al |
1 ~ 1.5 | 0.8 ~ 1.3 | ≤0.7 | ≤0.3 | Bal. | |
마그네슘 판재 (AZ31) |
Al | Zn | Mn | Si | Mg |
2.5 ~ 3.5 | 0.6 ~ 1.4 | 0.2 ~ 1.0 | ≤0.1 | Bal. |
1 (at%) |
2 (at%) |
3 (at%) |
4 (at%) |
||
비교예 1 |
MgK | 76.05 | 82.79 | 89.66 | 79.18 |
AlK | 23.95 | 17.21 | 10.34 | 20.82 | |
비교예 4 |
MgK | 51.60 | 52.76 | 49.54 | 54.79 |
AlK | 48.40 | 47.24 | 50.46 | 45.21 | |
실시예 1 |
MgK | 43.87 | 43.37 | 43.88 | |
AlK | 56.13 | 56.63 | 56.12 | ||
실시예 2 |
MgK | 43.76 | 61.85 | 45.27 | 44.10 |
AlK | 56.24 | 38.15 | 54.73 | 55.90 |
두께 (단위: ㎛)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실시예 1 | 실시예 2 |
β층 | 0.124±0.012 | 0.166±0.010 | 0.144±0.018 | 2.791±0.157 | 2.805±0.131 |
γ층 | 0.161±0.018 | 0.345±0.016 | 0.400±0.064 | 1.466±0.0109 | 1.197±0.168 |
총 | 0.284±0.029 | 0.511±0.022 | 0.544±0.053 | 4.257±0.076 | 4.002±0.290 |
평균 결합강도(단위:N/mm) | |
비교예 1 | 8.67 ± 0.59 |
비교예 4 | 5.10 ± 1.10 |
실시예 1 | 15.47 ±1.43 |
실시예 2 | 18.02 ±0.68 |
항복강도 (MPa) |
최대인장강도(MPa) | 연신율 (%,Mg파단) |
항복강도 (MPa) |
최대인장강도(MPa) | 연신율 (%,Mg파단) |
||
비교예 1 | 247.9 | 312.8 | 9.3 | 비교예2 | 179.6 | 288.2 | 16.0 |
Mg | 233.1 | 304.1 | 10.3 | 비교예3 | 215.8 | 282.6 | 8.2 |
Al | 151.8 | 164.8 | 9.7 | 실시예1 | 198.8 | 292.7 | 16.5 |
STS | 506.9 | 521.9 | 11.4 | 실시예2 | 217.7 | 280.8 | 14.1 |
Claims (15)
- 스테인리스 판재, 알루미늄 판재 및 마그네슘 판재를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이를 접합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접합된 판재를 250 내지 300 ℃의 온도로 30 내지 90 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가열된 판재를 압연하는 단계(단계 3);
를 포함하는 상온 접합력이 향상된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접합은 열간압연 또는 냉간압연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접합력이 향상된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가열은 300 ℃의 온도로 60 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가열을 통해 알루미늄 판재와 마그네슘 판재 금속간화합물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접합력이 향상된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간화합물층의 두께는 3 내지 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접합력이 향상된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간화합물 층은 Mg2Al3층 및 Mg17Al12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접합력이 향상된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Mg2Al3층의 두께는 2 내지 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접합력이 향상된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Mg17Al12층의 두께는 1 내지 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접합력이 향상된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압연은 10 내지 50 %의 압하율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접합력이 향상된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 스테인리스 판재, 알루미늄 판재 및 마그네슘 판재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클래드 판재에 있어서,
알루미늄 판재와 마그네슘 판재 사이에 구비되며, 그 두께가 3 내지 5 ㎛인 금속간화합물(Intermetallic compound, IMC) 층을 포함하는 제 1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상온 접합력이 향상된 클래드 판재.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간화합물 층은 Mg2Al3층 및 Mg17Al12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접합력이 향상된 클래드 판재.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Mg2Al3층의 두께는 2 내지 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접합력이 향상된 클래드 판재.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Mg17Al12층의 두께는 1 내지 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접합력이 향상된 클래드 판재.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판재는 Al3004 또는 Al1050 알루미늄 합금 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접합력이 향상된 클래드 판재.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슘 판재는 AZ31 또는 AZ91 마그네슘 합금 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접합력이 향상된 클래드 판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3604A KR20140066413A (ko) | 2012-11-23 | 2012-11-23 | 상온 접합력이 향상된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클래드 판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3604A KR20140066413A (ko) | 2012-11-23 | 2012-11-23 | 상온 접합력이 향상된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클래드 판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6413A true KR20140066413A (ko) | 2014-06-02 |
Family
ID=51123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3604A Ceased KR20140066413A (ko) | 2012-11-23 | 2012-11-23 | 상온 접합력이 향상된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클래드 판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66413A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78797A (ko) * | 2014-12-24 | 2016-07-05 | 주식회사 포스코 | 고온 브레이징 접합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클래드강판 및 그 제조방법 |
CN109500128A (zh) * | 2018-12-21 | 2019-03-22 | 太原理工大学 | 一种镁铝钢层状复合板及其制备方法 |
KR20190102024A (ko) * | 2017-04-14 | 2019-09-02 |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 난연성 마그네슘 합금층을 포함하는 이재 조인트재 |
KR20200038925A (ko) * | 2017-08-09 | 2020-04-14 |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 클래드재 및 클래드재의 제조 방법 |
KR20210079969A (ko) * | 2019-12-20 | 2021-06-30 | 주식회사 포스코 | 두께 편차가 균일한 클래드 박판의 제조방법 |
CN115351079A (zh) * | 2022-07-29 | 2022-11-18 | 中南大学 | 一种提高轻质金属复合板热稳定性能的加工方法 |
-
2012
- 2012-11-23 KR KR1020120133604A patent/KR20140066413A/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78797A (ko) * | 2014-12-24 | 2016-07-05 | 주식회사 포스코 | 고온 브레이징 접합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클래드강판 및 그 제조방법 |
KR20190102024A (ko) * | 2017-04-14 | 2019-09-02 |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 난연성 마그네슘 합금층을 포함하는 이재 조인트재 |
US11534871B2 (en) | 2017-04-14 | 2022-12-27 |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 Dissimilar metal joint including flame-retardant magnesium alloy layer |
KR20200038925A (ko) * | 2017-08-09 | 2020-04-14 |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 클래드재 및 클래드재의 제조 방법 |
CN109500128A (zh) * | 2018-12-21 | 2019-03-22 | 太原理工大学 | 一种镁铝钢层状复合板及其制备方法 |
KR20210079969A (ko) * | 2019-12-20 | 2021-06-30 | 주식회사 포스코 | 두께 편차가 균일한 클래드 박판의 제조방법 |
CN115351079A (zh) * | 2022-07-29 | 2022-11-18 | 中南大学 | 一种提高轻质金属复合板热稳定性能的加工方法 |
CN115351079B (zh) * | 2022-07-29 | 2024-06-04 | 中南大学 | 一种提高轻质金属复合板热稳定性能的加工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hen et al. | Influence of multi-pass rolling and subsequent annealing on the interfac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explosive welding Mg/Al composite plates | |
TWI725454B (zh) | 鋼板、拼焊毛胚、熱壓製成形品、鋼管、中空狀淬火成形品及鋼板之製造方法 | |
KR20140066413A (ko) | 상온 접합력이 향상된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클래드 판재 | |
CN105296854B (zh) | 一种具有优良综合性能的冷轧双面不锈钢复合板及制造方法 | |
JP5795589B2 (ja) | 熱交換器中の薄いシートのための高温で高い強度のサンドイッチ材料 | |
JP5143531B2 (ja) | 冷間金型用鋼および金型 | |
JPWO2014171495A1 (ja) | スポット溶接方法 | |
Liu et al. | Investigation of interfacial 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itanium clad steel sheets prepared by a brazing-rolling process | |
Hausöl et al. | Tailoring materials properties by accumulative roll bonding | |
Xiang et al. | Fabrication of high strength-ductility aluminum alloy heterogeneous plates using additive manufacturing and hot rolling process | |
Heydari et al. | Mechan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al evolution of AA5083/Al2O3 composites fabricated by warm accumulative roll bonding | |
JP4308312B1 (ja) | 線状加熱による曲げ加工性に優れた厚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 |
JP6635235B1 (ja) | 重ねレーザ溶接継手、重ねレーザ溶接継手の製造方法および自動車用骨格部品 | |
US20120270070A1 (en) | Hybrid copper alloy realizing simultaneously high strength, high elastic modulus, high corrosion-resistance, wear resistance, and high conductiv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WO2020152887A1 (ja) | 鋼板、テーラードブランク、熱間プレス成形品、鋼管、中空状焼入れ成形品、および鋼板の製造方法 | |
Arbo et al. | Influence of thermomechanical processing sequence on properties of AA6082-IF steel cold roll bonded composite sheet | |
KR101474533B1 (ko) | 상온 접합력이 향상된 알루미늄-마그네슘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알루미늄-마그네슘 클래드 판재 | |
KR101568493B1 (ko) | 마그네슘 합금 판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40069875A (ko) | 고강도-고연성 층상복합알루미늄합금판재 | |
KR101917464B1 (ko) | 가공성이 우수한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Cao et al. | Effect of rolling reductions on microstructure and properties of 2Cr13/316L multi-layered steel composite plate by accumulative roll-bonding | |
JP7099330B2 (ja) | 鋼板、テーラードブランク、熱間プレス成形品、鋼管状のテーラードブランク、中空状熱間プレス成形品、及び鋼板の製造方法 | |
KR101451297B1 (ko) | 알루미늄-구리 이종금속 판재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되는 알루미늄-구리 이종금속 판재 및 이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 |
WO2019093399A1 (ja) | 高靭性を有する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この鋼材を用いた構造用鋼板 | |
KR102348579B1 (ko) | 열간성형용 강판의 저항 점용접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404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2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4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2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406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5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4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2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31227 |
|
PC1202 |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
Comment text: [Withdrawal of Procedure relating to Patent, etc.] Withdrawal (Abandonment) Patent event code: PC12021R01D Patent event date: 20140702 |
|
WITB |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