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897A -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65897A KR20140065897A KR1020120132925A KR20120132925A KR20140065897A KR 20140065897 A KR20140065897 A KR 20140065897A KR 1020120132925 A KR1020120132925 A KR 1020120132925A KR 20120132925 A KR20120132925 A KR 20120132925A KR 20140065897 A KR20140065897 A KR 201400658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home appliance
- identification result
- display unit
- load monito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204/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ariff-metering apparatus
- G01D2204/10—Analysing; Displaying
- G01D2204/18—Remote displaying of utility meter reading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204/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ariff-metering apparatus
- G01D2204/20—Monitoring; Controlling
- G01D2204/24—Identification of individual loads, e.g. by analysing current/voltage waveform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일반화 방법에 의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의 레퍼런스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일반화 방법으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의 낮은 신뢰성을 극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는, 가전 기기에서 소비되는 전력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센서와; 수집된 전력 정보를 기초로 가전 기기의 전력 소비 패턴을 획득하고, 획득한 전력 소비 패턴을 이용하여 가전 기기를 식별하는 제어부와; 전력 소비 패턴을 이용한 가전 기기의 식별 결과가 올바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가전 기기의 식별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가전 기기의 식별 결과가 올바른 것으로 확인되면, 가전 기기의 식별 결과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싱글 포인트 센서(Single Point Sensor)를 통해 기기의 동작 상태 감지 및 소비 전력을 예측하는 부하 전력 모니터링(Non-Intrusive Load Monitoring, NILM)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기 에너지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지능형 전력망을 가정에 성공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전기 생산자와 에너지 정책 입안자 뿐 만 아니라 전력 소비자의 이해와 참여가 중요하다. 전력 소비자의 관점에서 스마트 그리드의 혜택은 에너지 비용의 감소인데, 이는 에너지 소비 절감을 통해서 쉽게 얻을 수 있다.
지능형 전력망 관련 연구에서 주로 언급되는 에너지 소비 절감 방법은 소비자에게 에너지 소비 현황을 피드백해주고 소비자가 이를 통해 에너지 소비 절감 활동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방법과, 소비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사이에 자동으로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는 방법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에너지 사용 현황을 소비자에게 피드백 해주는 방법의 효과에 대한 분석은 미국의 EPRI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에서 수행되었는데,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전력 소비 패턴을 사용자에게 제공해주는 것만으로도 에너지 절감 효과를 볼 수 있으며, 특히 기기별로 세분화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경우, 평균 12%의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소비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 자동으로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는 방법은 지능형 전력망 대응 가전기기가 HAN(Home Area Network)으로 연결되어 있고 HAN이 스마트 미터(Smart Meter)를 통해서 전력 회사의 수요제어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전력 요금이 저렴할 때 에너지 소비를 집중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자동화된 방법이 편의성 측면에서 매력적이지만, 이를 위해서는 전력회사에서 수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력량계와 가전기기를 모두 지능형 전력망 대응 기기로 교체하여야한다는 부담이 따른다.
실시간으로 가전 기기별 전력 소비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에너지 절감 활동을 유도하는 방법이 에너지 절감에 효과적이지만, 이러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비용 또한 크다는 문제가 있다.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는 통상의 방법은 스마트 플러그(Smart Plug) 또는 스마트 소켓(Smart Socket)이라고 불리는 전력 소비 감지 장치를 가전기기마다 설치하고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하여 전력비 정보를 싱크(Sink) 역할을 하는 IHD(In-Home Display)로 수집하여 표시하는 방식이다. 가전 기기마다 스마트 플러그를 설치하고 유지 관리하기 위해서는 적지 않은 장치 비용 및 노력이 필요하므로, 이러한 비용을 경감하기 위하여 스마트 플러그를 사용하지 않고 가정 내 모든 기기가 연결된 하나의 전력선을 모니터링 하여 모든 기기의 전력사용패턴이 혼합된 혼합 전력 신호를 관찰한 후, 관찰된 혼합 전력 신호에서 각 기기의 전력 소비 패턴을 분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부하 전력 모니터링(NILM) 기술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부하 전력 모니터링 기술에서, 전력을 소비하는 기기의 전력 소비 패턴을 분리하기 위해 해당 기기를 식별(구분)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전력 소비 패턴을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되어 있는 레퍼런스 데이터와 비교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레퍼런스 데이터를 가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으로는 <학습 방법(Training)>과 <일반화 방법(Generalized)>이 있다. 학습 방법 (training)은 비교적 초기에 검토된 방법론으로서, 전력 부하 모니터링 기술을 적용할 가정(또는 사업장)에서 전력을 소비하는 기기들을 하나씩 온/오프 시키면서 기기들 각각의 특징 정보를 구하여 축적하는 방법이다. 즉, 분전반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기기의 플러그를 제거한 후 트레이닝 대상 기기 하나만 플러그에 연결하여 온/오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 후 추출한 특징에 대해 해당 기기의 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방법이다. 트레이닝 방법은 데이터베이스의 신뢰도가 비교적 높지만 사용자가 직접 작업해야 하는 불편함이 수반되어 상품화에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사용자가 아닌 부하 전력 모니터링 기술의 제공자가 트레이닝 과정을 대신 수행한다. 하지만 가정(또는 사업장)에 설치된 기기가 획일적이지 않고 제조사, 모델 번호, 용량 등이 달라 한 번의 과정만으로는 신뢰할만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어렵다. 일반화 방법은 복수의 기기를 선택하여 트레이닝 과정을 수행한 후 복수의 기기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일반화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기 때문에 트레이닝 방법의 단점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트레이닝 방법과 일반화 방법은 각각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트레이닝 방법은 해당 작업을 사용자 또는 설치 기사가 직접 수행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콘센트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기기를 전기적으로 단절시킨 후 트레이닝 대상 기기에만 전력을 공급하면서 기기의 특징 정보를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냉장고와 같은 기기는 내부의 음식이 상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트레이닝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반복적으로 측정을 하는 경우 트레이닝에 소요되는 시간이 하루 이상 또는 수일에 이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대상 기기의 수가 많을수록 더욱 심각해진다. 이는 상품화에 커다란 걸림돌로 작용한다. 일반화 방법은 전력 부하 모니터링 제공자가 트레이닝 과정을 거쳐 기기를 대표할 수 있는 특징을 미리 발굴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조사 별, 모델 별, 제품 별, 설치 환경 별로 차이가 존재하여 일반화된 데이터베이스의 신뢰도가 높지 않은 문제가 있다. 즉 하나의 동일한 기기라도 장소(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특징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일반화 방법에 의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의 레퍼런스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일반화 방법으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의 낮은 신뢰성을 극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는, 가전 기기에서 소비되는 전력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센서와; 수집된 전력 정보를 기초로 가전 기기의 전력 소비 패턴을 획득하고, 획득한 전력 소비 패턴을 이용하여 가전 기기를 식별하는 제어부와; 전력 소비 패턴을 이용한 가전 기기의 식별 결과가 올바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가전 기기의 식별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가전 기기의 식별 결과가 올바른 것으로 확인되면, 가전 기기의 식별 결과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에서, 식별 결과는, 가전 기기의 전력 사용 패턴과; 전력 사용 패턴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가전 기기의 명칭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식별 결과의 확인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전력 소비 패턴과 가전 기기의 명칭이 올바르게 대응될 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식별 결과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을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에서, 식별 결과는, 가전 기기의 전력 사용 시간과; 전력 사용 시간 동안 소비된 전력량을 나타내는 소비 전력과; 가전 기기의 명칭을 나타내는 분석 결과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에서, 전력 사용 시간 동안 실제로 사용된 가전 기기가 분석 결과로서 표시되는 가전 기기가 아닐 경우, 전력 사용 시간 동안 실제로 사용된 가전 기기의 명칭을 검색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롤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는, 디스플레이에 식별 결과를 표시할 때, 이동과 선택, 종료를 위한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는, 식별 결과에 따른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일정 기간 동안 미리 설정된 일정 회수 이상 참조되지 않으면 식별 결과에 따른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는, 가전 기기의 식별 결과를 반영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는, 분전반에 설치되어, 분전반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전력 부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는, 분전반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선에 연결되는 콘센트와 멀티 탭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독립적인 기기의 형태로 마련되어, 분전반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전력 부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가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에 일체로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에서, 영상 정보와 문자 정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는 화면과,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 수단을 구비한 별도의 다른 기기를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부로서 활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에서, 화면과 입력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텔레비전과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웹 패드, 스마트폰, 태블릿 피시(Tablet PC) 가운데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는, 분전반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선에 연결되는 콘센트와 멀티 탭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독립적인 기기의 형태로 마련되어, 분전반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영상 정보와 문자 정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는 화면과,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 수단을 구비한 별도의 다른 기기를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부로서 활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방법은, 가전 기기에서 소비되는 전력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전력 정보를 기초로 가전 기기의 전력 소비 패턴을 획득하며; 획득한 전력 소비 패턴을 이용하여 가전 기기를 식별하고; 전력 소비 패턴을 이용한 가전 기기의 식별 결과가 올바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가전 기기의 식별 결과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가전 기기의 식별 결과가 올바른 것으로 확인되면, 가전 기기의 식별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력 부하 모니터링 방법에서, 식별 결과는, 가전 기기의 전력 사용 패턴과; 전력 사용 패턴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가전 기기의 명칭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력 부하 모니터링 방법에서, 식별 결과의 확인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전력 소비 패턴과 가전 기기의 명칭이 올바르게 대응될 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식별 결과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을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력 부하 모니터링 방법에서, 식별 결과는, 가전 기기의 전력 사용 시간과; 전력 사용 시간 동안 소비된 전력량을 나타내는 소비 전력과; 가전 기기의 명칭을 나타내는 분석 결과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력 부하 모니터링 방법에서, 전력 사용 시간 동안 실제로 사용된 가전 기기가 분석 결과로서 표시되는 가전 기기가 아닐 경우, 전력 사용 시간 동안 실제로 사용된 가전 기기의 명칭을 검색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롤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력 부하 모니터링 방법은, 디스플레이에 식별 결과를 표시할 때, 이동과 선택, 종료를 위한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력 부하 모니터링 방법은, 식별 결과에 따른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일정 기간 동안 미리 설정된 일정 회수 이상 참조되지 않으면 식별 결과에 따른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력 부하 모니터링 방법은, 가전 기기의 식별 결과를 반영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자가 구축해야 하는 트레이닝 방법론의 한계를 극복하고 전력 부하 모니터링 대상 환경에 따라 발생하는 미묘한 차이를 극복하여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의 상품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을 통한 가정(사업장)으로 전력이 공급되는 전력 공급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Non-intrusive Load Monitoring Apparatus, NILM Apparatus)가 구비되는 전력 공급 계통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되는 전력 공급 계통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되는 전력 공급 계통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되는 전력 공급 계통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 및 입력부를 통해 구현되는 사용자 피드백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사용자 피드백 및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Non-intrusive Load Monitoring Apparatus, NILM Apparatus)가 구비되는 전력 공급 계통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되는 전력 공급 계통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되는 전력 공급 계통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되는 전력 공급 계통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 및 입력부를 통해 구현되는 사용자 피드백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사용자 피드백 및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을 통한 가정(또는 사업장)으로 전력이 공급되는 전력 공급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의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각 가정(또는 사업장)(100)에 공급되는 전력은 각 가정(또는 사업장)(100)마다 마련되는 분전반(102)을 통해 침실이나 거실, 주방 등에 마련되는 콘센트(Wall Socket 또는 Electric Outlet)(104)에 전달된다. 가정(또는 사업장)(100) 내에서 전기를 에너지로 하여 사용되는 가전 기기들은 콘센트(104)를 통해 직접 전력을 공급받거나, 또는 콘센트(104)에 연결된 멀티 탭(108)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가전 기기(106)는 전력을 소비하는 부하(Load)에 해당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Non-intrusive Load Monitoring Apparatus, NILM Apparatus)가 구비되는 전력 공급 계통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을 에너지로 사용하는 가전 기기들(106)이 분전반(102)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분전반(102)에는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202)가 마련된다.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202)는 가정(또는 사업장)(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에서의 전압 및 전류의 변화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가정(또는 사업장)(100) 내에서 전력 소비 패턴 즉, 어느 가전 기기(106)가 어느 시간 대에 어느 정도의 전력을 어떤 형태로 소비하면서 사용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202)는 센서부(302)와 제어부(304), 저장부(306), 디스플레이부(308), 입력부(3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센서부(302)와 제어부(304), 저장부(306), 디스플레이부(308), 입력부(310)는 서로 기계적 결합 및 전기적 결합을 통해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202)라는 하나의 독립된 장치를 구성한다. 이를 위해 센서부(302)와 제어부(304), 저장부(306), 디스플레이부(308), 입력부(310)가 하나의 케이스 내에 모두 장착될 수 있다. 단, 센서부(302)는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202)의 다른 구성 요소들과 분리되어 분전반(102)이나 콘센트(1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202)와 센서부(302) 사이의 통신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202)와 센서부(302) 각각에 통신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202)에서, 센서부(302)는 가전 기기(106)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달 경로인 전력선에 나타나는 전기적 특성의 변화(예를 들면 전압 및 전류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저장부(304)는 임시 메모리(320)와 데이터베이스(322)를 포함한다. 임시 메모리(320)는 가전 기기(106)의 고유의 특징의 추출 결과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데이터베이스(322)는 실험 또는 학습을 통해 확보한 다양한 종류의 가전 기기들의 식별을 위한 레퍼런스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레퍼런스 데이터는 가전 기기(106)의 고유의 특징을 추출한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해당 추출 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데 이용된다.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202)가 소비자의 가정(또는 사업장)에 설치되기 전의 데이터베이스(322)의 초기 레퍼런스 데이터는 사전에 <일반화 방법(Generalized)>을 통해 얻는 데이터이다.
제어부(304)는, 센서부(302)에 의해 측정된 전기적 특성의 변화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가전 기기(106)의 소비 전력을 예측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304)는 이벤트 검출 로직(312)과 특징 추출 로직(314), 장치 식별 로직(316), 전력 판단 로직(318)을 포함한다. 이벤트 검출 로직(312)은 가전 기기(106)의 온/오프 전환 또는 동작 상태의 전환 등에 기인하는 유효 전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가전 기기(106)에서 일어나는 이벤트를 검출한다. 특징 추출 로직(314)은 센서부(302)를 통해 측정한 전압 및 전류의 변화에 대한 정보(Raw Data)로부터 가전 기기(106)의 온/오프 시점 및 가전 기기(106)의 전력 소비 패턴의 고유의 특징을 추출한다. 예를 들면, 세탁기는 회전조가 회전할 때와 회전하지 않을 때의 전력 소비 패턴이 크게 차이가 있고, 세탁 행정과 탈수 행정에서의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크게 차이가 있으므로 이때의 전력 소비 패턴 역시 크게 차이가 있다. 그러나 텔레비전은 파워 온 상태에서는 큰 변화 없이 거의 일정한 전력 소비 패턴을 나타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세탁기와는 그 전력 소비 패턴이 크게 다르다. 특징 추출 로직(314)은 이와 같은 가전 기기(106)의 전력 소비 패턴의 고유의 특징을 추출한다. 장치 식별 로직(316)은 특징 추출 로직(314)에서 추출한 특징 데이터(임시 메모리(320)에 저장)와 레퍼런스 데이터(데이터베이스(322)에 저장)를 비교 분석하여 두 데이터의 일치 여부를 통해 해당 가전 기기(106)가 어떤 가전 기기이며 어떤 동작 상태(예를 들면 온/오프 상태 또는 특정 동작 모드 등)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전력 판단 로직(318)은 센서부(302)를 통해 측정한 가정(또는 사업장)(100) 내 소비 전력 정보와 가전 기기(106)의 온/오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가전 기기(106)의 전력 소비량을 예측한다.
디스플레이부(308)와 입력부(310)는 사용자 피드백을 위한 장치들이다. 디스플레이부(308)는 제어부(304)에서 이루어지는 가전 기기(106)의 식별 결과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입력부(310)는 디스플레이부(308)에 표시되는 식별 결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아 제어부(304)에 전달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304)는 가정(또는 사업장)(100) 내 소비 전력 정보와 장치 식별 결과를 디스플레이부(308)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308)에 표시되는 소비 전력 정보 및 장치 식별 결과를 확인한 후, 해당 장치 식별 결과가 올바른지를 확인하여 입력부(310)를 통해 확인 결과를 입력한다. 제어부(304)는, 사용자가 장치 식별 결과를 올바른 것으로 인정하면 해당 장치 식별 결과(예를 들면 전력 소비 특징 및 이에 대응되는 가전 기기의 명칭)을 저장부(306)의 데이터베이스(322)에 새로운 레퍼런스 데이터로서 추가하거나, 기존의 레퍼런스 데이터를 업데이트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선택 또는 사용자의 확인은 태깅(Tagging) 또는 네이밍(Naming)이 개념으로서, 식별 결과와 해당 장치의 대응 관계를 확인하여 그 대응 관계에 장치의 식별자 또는 이름을 부여하는(Tagging 또는 Naming) 것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4)가 어느 시간 대에 동작한 가전 기기(106)의 전력 소비 형태를 통해 해당 가전 기기(106)가 세탁기인 것으로 판단하고, 이 식별 결과를 디스플레이부(308)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 때 제어부(304)는 먼저 분석 결과가 데이터베이스(322)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의 데이터들과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제어부(304)는 분석 결과가 데이터베이스(322)의 데이터와 일정 수준 이상 일치하는 경우에만 동일한 가전 기기로 인정하고, 일정 수준 미만의 일치도를 보이면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부(308)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만약, 해당 시간에 동작한 가전 기기(106)가 실제로 세탁기가 맞는다면, 사용자는 입력부(310)를 통해 해당 가전 기기(106)가 세탁기였음을 확인하는 입력을 발생시키고, 제어부(304)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하여 해당 식별 결과와 이에 대응되는 가전 기기의 명칭(세탁기)을 데이터베이스(322)에 새로운 레퍼런스 데이터로서 추가하거나 기존의 레퍼런스 데이터를 업데이트함으로써, 향후 유사한 전력 소비 형태의 분석 결과가 발생하면 데이터베이스(322)의 레퍼런스 데이터를 참조하여 해당 가전 기기가 세탁기임을 정확히 식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되는 전력 공급 계통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을 에너지로 사용하는 가전 기기들(106)이 분전반(102)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분전반(102)에는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402)가 마련된다.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402)는 가정(또는 사업장)(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에서의 전압 및 전류의 변화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가정(또는 사업장)(100) 내에서 전력 소비 패턴 즉, 어느 가전 기기(106)가 어느 시간 대에 어느 정도의 전력을 어떤 형태로 소비하면서 사용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402)는 사용자 피드백을 위해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부를 가진 가전 기기(예를 들면 텔레비전과 같은)를 이용한다. 즉, 영상 정보와 문자 정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는 화면과,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 수단을 구비한 별도의 다른 기기를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부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402) 자신은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부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402)는 센서부(502)와 제어부(504), 저장부(506)를 포함한다. 여기서 센서부(502)와 제어부(504), 저장부(506)는 서로 기계적 결합 및 전기적 결합을 통해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402)라는 하나의 독립된 장치를 구성한다. 이를 위해 센서부(502)와 제어부(504), 저장부(506)가 하나의 케이스 내에 모두 장착될 수 있다. 단, 센서부(502)는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402)의 다른 구성 요소들과 분리되어 분전반(102)이나 콘센트(1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402)와 센서부(502) 사이의 통신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402)와 센서부(502) 각각에 통신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402)에서, 센서부(502)는 가전 기기(106)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달 경로인 전력선에 나타나는 전기적 특성의 변화(예를 들면 전압 및 전류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저장부(504)는 임시 메모리(520)과 데이터베이스(522)를 포함한다. 임시 메모리(520)은 가전 기기(106)의 고유의 특징의 추출 결과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데이터베이스(522)는 실험 또는 학습을 통해 확보한 다양한 종류의 가전 기기들의 식별을 위한 레퍼런스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레퍼런스 데이터는 가전 기기(106)의 고유의 특징을 추출한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해당 추출 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데 이용된다.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402)가 소비자의 가정(또는 사업장)에 설치되기 전의 데이터베이스(522)의 초기 레퍼런스 데이터는 사전에 <일반화 방법(Generalized)>을 통해 얻는 데이터이다.
제어부(504)는, 센서부(502)에 의해 측정된 전기적 특성의 변화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가전 기기(106)의 소비 전력을 예측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504)는 이벤트 검출 로직(512)과 특징 추출 로직(514), 장치 식별 로직(516), 전력 판단 로직(518)을 포함한다. 이벤트 검출 로직(512)은 가전 기기(106)의 온/오프 전환 또는 동작 상태의 전환 등에 기인하는 유효 전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가전 기기(106)에서 일어나는 이벤트를 검출한다. 특징 추출 로직(514)은 센서부(502)를 통해 측정한 전압 및 전류의 변화에 대한 정보(Raw Data)로부터 가전 기기(106)의 온/오프 시점 및 가전 기기(106)의 전력 소비 패턴의 고유의 특징을 추출한다. 예를 들면, 세탁기는 회전조가 회전할 때와 회전하지 않을 때의 전력 소비 패턴이 크게 차이가 있고, 세탁 행정과 탈수 행정에서의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크게 차이가 있으므로 이때의 전력 소비 패턴 역시 크게 차이가 있다. 그러나 텔레비전은 파워 온 상태에서는 큰 변화 없이 거의 일정한 전력 소비 패턴을 나타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세탁기와는 그 전력 소비 패턴이 크게 다르다. 특징 추출 로직(514)은 이와 같은 가전 기기(106)의 전력 소비 패턴의 고유의 특징을 추출한다. 장치 식별 로직(516)은 특징 추출 로직(514)에서 추출한 특징 데이터(임시 메모리(520)에 저장)와 레퍼런스 데이터(데이터베이스(522)에 저장)를 비교 분석하여 두 데이터의 일치 여부를 통해 해당 가전 기기(106)가 어떤 가전 기기이며 어떤 동작 상태(예를 들면 온/오프 상태 또는 특정 동작 모드 등)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전력 판단 로직(518)은 센서부(502)를 통해 측정한 가정(또는 사업장)(100) 내 소비 전력 정보와 가전 기기(106)의 온/오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가전 기기(106)의 전력 소비량을 예측한다.
앞서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는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202)가 디스플레이부(308)와 입력부(310)를 구비하였는데,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다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402)는 자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부를 구비하는 대신, 외부의 별도의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부를 이용하여 사용자 피드백을 구현한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404)처럼 디스플레이부(화면)(508)와 입력부(리모컨 또는 본체의 입력 패널)(510)를 가진 가전 기기와의 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부(508)에 제어부(504)의 분석 결과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입력부(리모컨 또는 본체의 입력 패널)(510)는 디스플레이부(508)에 표시되는 분석 결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아 제어부(504)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부를 대체하기 위해, 텔레비전(404) 외에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넷북), 냉장고에 설치되는 터치 기반의 웹 패드, 스마트폰, 태블릿 피시(Tablet PC)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웹 패드, 스마트폰, 태블릿 피시 등은 터치 입력 또는 펜 입력이 가능해야 한다. 이처럼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402)가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부를 구비하지 않고, 별도의 가전 기기에 이미 마련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부를 이용하면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404)의 구조가 단순해지고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생산 원가를 줄일 수 있어 대중화의 관점에서 매우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부(308)와 입력부(310)는 사용자 피드백을 위한 장치들이다. 디스플레이부(508)는 제어부(504)의 분석 결과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입력부(510)는 디스플레이부(508)에 표시되는 분석 결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아 제어부(504)에 전달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504)는 가정(또는 사업장)(100) 내 소비 전력 정보와 장치 식별 결과를 디스플레이부(508)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508)에 표시되는 소비 전력 정보 및 장치 식별 결과를 확인한 후, 해당 장치 식별 결과가 올바른지를 확인하여 입력부(510)를 통해 확인 결과를 입력한다. 제어부(504)는, 사용자가 장치 식별 결과를 올바른 것으로 인정하면 해당 장치 식별 결과(예를 들면 전력 소비 특징 및 이에 대응되는 가전 기기의 명칭)을 저장부(506)의 데이터베이스(522)에 새로운 레퍼런스 데이터로서 추가하거나, 기존의 레퍼런스 데이터를 업데이트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선택 또는 사용자의 확인은 태깅(Tagging) 또는 네이밍(Naming)이 개념으로서, 식별 결과와 해당 장치의 대응 관계를 확인하여 그 대응 관계에 장치의 식별자 또는 이름을 부여하는(Tagging 또는 Naming) 것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504)가 어느 시간 대에 동작한 가전 기기(106)의 전력 소비 형태를 통해 해당 가전 기기(106)가 세탁기인 것으로 판단하고, 이 식별 결과를 디스플레이부(508)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 때 제어부(304)는 먼저 분석 결과가 데이터베이스(322)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의 데이터들과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제어부(504)는 분석 결과가 데이터베이스(522)의 데이터와 일정 수준 이상 일치하는 경우에만 동일한 가전 기기로 인정하고, 일정 수준 미만의 일치도를 보이면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부(508)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만약, 해당 시간에 동작한 가전 기기(106)가 실제로 세탁기가 맞는다면, 사용자는 입력부(510)를 통해 해당 가전 기기(106)가 세탁기였음을 확인하는 입력을 발생시키고, 제어부(504)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하여 해당 식별 결과와 이에 대응되는 가전 기기의 명칭(세탁기)을 데이터베이스(522)에 새로운 레퍼런스 데이터로서 추가하거나 기존의 레퍼런스 데이터를 업데이트함으로써, 향후 유사한 전력 소비 형태의 분석 결과가 발생하면 데이터베이스(522)의 레퍼런스 데이터를 참조하여 해당 가전 기기가 세탁기임을 정확히 식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되는 전력 공급 계통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을 에너지로 사용하는 가전 기기들(106)이 분전반(102)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602)는, 분전반(102)에 설치되는 것이 아닌, 하나의 독립된 기기로서 콘센트(104)를 통해 직접 전력을 공급받거나 또는 콘센트(104)에 연결된 멀티 탭(108)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즉,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602)의 설치와 제거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602)는 가정(또는 사업장)(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에서의 전압 및 전류의 변화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가정(또는 사업장)(100) 내에서 전력 소비 패턴 즉, 어느 가전 기기(106)가 어느 시간 대에 어느 정도의 전력을 어떤 형태로 소비하면서 사용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602)는 센서부(702)와 제어부(704), 저장부(706), 디스플레이부(708), 입력부(7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센서부(702)와 제어부(704), 저장부(706), 디스플레이부(708), 입력부(710)는 서로 기계적 결합 및 전기적 결합을 통해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602)라는 하나의 독립된 장치를 구성한다. 이를 위해 센서부(702)와 제어부(704), 저장부(706), 디스플레이부(708), 입력부(710)가 하나의 케이스 내에 모두 장착될 수 있다. 단, 센서부(702)는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602)의 다른 구성 요소들과 분리되어 분전반(102)이나 콘센트(1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602)와 센서부(702) 사이의 통신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602)와 센서부(702) 각각에 통신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602)에서, 센서부(702)는 가전 기기(106)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달 경로인 전력선에 나타나는 전기적 특성의 변화(예를 들면 전압 및 전류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저장부(704)는 임시 메모리(720)과 데이터베이스(722)를 포함한다. 임시 메모리(720)은 가전 기기(106)의 고유의 특징의 추출 결과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데이터베이스(722)는 실험 또는 학습을 통해 확보한 다양한 종류의 가전 기기들의 식별을 위한 레퍼런스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레퍼런스 데이터는 가전 기기(106)의 고유의 특징을 추출한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해당 추출 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데 이용된다.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602)가 소비자의 가정(또는 사업장)에 설치되기 전의 데이터베이스(722)의 초기 레퍼런스 데이터는 사전에 <일반화 방법(Generalized)>을 통해 얻는 데이터이다.
제어부(704)는, 센서부(702)에 의해 측정된 전기적 특성의 변화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가전 기기(106)의 소비 전력을 예측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704)는 이벤트 검출 로직(712)과 특징 추출 로직(714), 장치 식별 로직(716), 전력 판단 로직(718)을 포함한다. 이벤트 검출 로직(712)은 가전 기기(106)의 온/오프 전환 또는 동작 상태의 전환 등에 기인하는 유효 전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가전 기기(106)에서 일어나는 이벤트를 검출한다. 특징 추출 로직(714)은 센서부(702)를 통해 측정한 전압 및 전류의 변화에 대한 정보(Raw Data)로부터 가전 기기(106)의 온/오프 시점 및 가전 기기(106)의 전력 소비 패턴의 고유의 특징을 추출한다. 예를 들면, 세탁기는 회전조가 회전할 때와 회전하지 않을 때의 전력 소비 패턴이 크게 차이가 있고, 세탁 행정과 탈수 행정에서의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크게 차이가 있으므로 이때의 전력 소비 패턴 역시 크게 차이가 있다. 그러나 텔레비전은 파워 온 상태에서는 큰 변화 없이 거의 일정한 전력 소비 패턴을 나타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세탁기와는 그 전력 소비 패턴이 크게 다르다. 특징 추출 로직(714)은 이와 같은 가전 기기(106)의 전력 소비 패턴의 고유의 특징을 추출한다. 장치 식별 로직(716)은 특징 추출 로직(714)에서 추출한 특징 데이터(임시 메모리(720)에 저장)와 레퍼런스 데이터(데이터베이스(722)에 저장)를 비교 분석하여 두 데이터의 일치 여부를 통해 해당 가전 기기(106)가 어떤 가전 기기이며 어떤 동작 상태(예를 들면 온/오프 상태 또는 특정 동작 모드 등)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전력 판단 로직(718)은 센서부(702)를 통해 측정한 가정(또는 사업장)(100) 내 소비 전력 정보와 가전 기기(106)의 온/오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가전 기기(106)의 전력 소비량을 예측한다.
디스플레이부(708)와 입력부(710)는 사용자 피드백을 위한 장치들이다. 디스플레이부(708)는 제어부(704)의 분석 결과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입력부(710)는 디스플레이부(708)에 표시되는 분석 결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아 제어부(704)에 전달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704)는 가정(또는 사업장)(100) 내 소비 전력 정보와 장치 식별 결과를 디스플레이부(708)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708)에 표시되는 소비 전력 정보 및 장치 식별 결과를 확인한 후, 해당 장치 식별 결과가 올바른지를 확인하여 입력부(710)를 통해 확인 결과를 입력한다. 제어부(704)는, 사용자가 장치 식별 결과를 올바른 것으로 인정하면 해당 장치 식별 결과(예를 들면 전력 소비 특징 및 이에 대응되는 가전 기기의 명칭)을 저장부(706)의 데이터베이스(722)에 새로운 레퍼런스 데이터로서 추가하거나, 기존의 레퍼런스 데이터를 업데이트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선택 또는 사용자의 확인은 태깅(Tagging) 또는 네이밍(Naming)이 개념으로서, 식별 결과와 해당 장치의 대응 관계를 확인하여 그 대응 관계에 장치의 식별자 또는 이름을 부여하는(Tagging 또는 Naming) 것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704)가 어느 시간 대에 동작한 가전 기기(106)의 전력 소비 형태를 통해 해당 가전 기기(106)가 세탁기인 것으로 판단하고, 이 식별 결과를 디스플레이부(708)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 때 제어부(704)는 먼저 분석 결과가 데이터베이스(722)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의 데이터들과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제어부(704)는 분석 결과가 데이터베이스(722)의 데이터와 일정 수준 이상 일치하는 경우에만 동일한 가전 기기로 인정하고, 일정 수준 미만의 일치도를 보이면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부(708)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만약, 해당 시간에 동작한 가전 기기(106)가 실제로 세탁기가 맞는다면, 사용자는 입력부(710)를 통해 해당 가전 기기(106)가 세탁기였음을 확인하는 입력을 발생시키고, 제어부(704)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하여 해당 식별 결과와 이에 대응되는 가전 기기의 명칭(세탁기)을 데이터베이스(722)에 새로운 레퍼런스 데이터로서 추가하거나 기존의 레퍼런스 데이터를 업데이트함으로써, 향후 유사한 전력 소비 형태의 분석 결과가 발생하면 데이터베이스(722)의 레퍼런스 데이터를 참조하여 해당 가전 기기가 세탁기임을 정확히 식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되는 전력 공급 계통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을 에너지로 사용하는 가전 기기들(106)이 분전반(102)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802)는, 분전반(102)에 설치되는 것이 아닌, 하나의 독립된 기기로서 콘센트(104)를 통해 직접 전력을 공급받거나 또는 콘센트(104)에 연결된 멀티 탭(108)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즉,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802)의 설치와 제거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802)는 가정(또는 사업장)(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에서의 전압 및 전류의 변화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가정(또는 사업장)(100) 내에서 전력 소비 패턴 즉, 어느 가전 기기(106)가 어느 시간 대에 어느 정도의 전력을 어떤 형태로 소비하면서 사용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802)는 센서부(902)와 제어부(904), 저장부(906)를 포함한다. 여기서 센서부(902)와 제어부(904), 저장부(906)는 서로 기계적 결합 및 전기적 결합을 통해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802)라는 하나의 독립된 장치를 구성한다. 이를 위해 센서부(902)와 제어부(904), 저장부(906)가 하나의 케이스 내에 모두 장착될 수 있다. 단, 센서부(902)는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802)의 다른 구성 요소들과 분리되어 분전반(102)이나 콘센트(1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802)와 센서부(902) 사이의 통신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802)와 센서부(902) 각각에 통신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802)에서, 센서부(902)는 가전 기기(106)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달 경로인 전력선에 나타나는 전기적 특성의 변화(예를 들면 전압 및 전류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저장부(904)는 임시 메모리(920)과 데이터베이스(922)를 포함한다. 임시 메모리(920)은 가전 기기(106)의 고유의 특징의 추출 결과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데이터베이스(922)는 실험 또는 학습을 통해 확보한 다양한 종류의 가전 기기들의 식별을 위한 레퍼런스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레퍼런스 데이터는 가전 기기(106)의 고유의 특징을 추출한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해당 추출 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데 이용된다.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802)가 소비자의 가정(또는 사업장)에 설치되기 전의 데이터베이스(922)의 초기 레퍼런스 데이터는 사전에 <일반화 방법(Generalized)>을 통해 얻는 데이터이다.
제어부(904)는, 센서부(902)에 의해 측정된 전기적 특성의 변화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가전 기기(106)의 소비 전력을 예측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904)는 이벤트 검출 로직(912)과 특징 추출 로직(914), 장치 식별 로직(916), 전력 판단 로직(918)을 포함한다. 이벤트 검출 로직(912)은 가전 기기(106)의 온/오프 전환 또는 동작 상태의 전환 등에 기인하는 유효 전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가전 기기(106)에서 일어나는 이벤트를 검출한다. 특징 추출 로직(914)은 센서부(902)를 통해 측정한 전압 및 전류의 변화에 대한 정보(Raw Data)로부터 가전 기기(106)의 온/오프 시점 및 가전 기기(106)의 전력 소비 패턴의 고유의 특징을 추출한다. 예를 들면, 세탁기는 회전조가 회전할 때와 회전하지 않을 때의 전력 소비 패턴이 크게 차이가 있고, 세탁 행정과 탈수 행정에서의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크게 차이가 있으므로 이때의 전력 소비 패턴 역시 크게 차이가 있다. 그러나 텔레비전은 파워 온 상태에서는 큰 변화 없이 거의 일정한 전력 소비 패턴을 나타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세탁기와는 그 전력 소비 패턴이 크게 다르다. 특징 추출 로직(914)은 이와 같은 가전 기기(106)의 전력 소비 패턴의 고유의 특징을 추출한다. 장치 식별 로직(916)은 특징 추출 로직(914)에서 추출한 특징 데이터(임시 메모리(920)에 저장)와 레퍼런스 데이터(데이터베이스(922)에 저장)를 비교 분석하여 두 데이터의 일치 여부를 통해 해당 가전 기기(106)가 어떤 가전 기기이며 어떤 동작 상태(예를 들면 온/오프 상태 또는 특정 동작 모드 등)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전력 판단 로직(918)은 센서부(902)를 통해 측정한 가정(또는 사업장)(100) 내 소비 전력 정보와 가전 기기(106)의 온/오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가전 기기(106)의 전력 소비량을 예측한다.
앞서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는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202)가 디스플레이부(308)와 입력부(310)를 구비하였는데,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다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802)는 자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부를 구비하는 대신, 외부의 별도의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부를 이용하여 사용자 피드백을 구현한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804)처럼 디스플레이부(화면)(908)와 입력부(리모컨 또는 본체의 입력 패널)(910)를 가진 가전 기기와의 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부(908)에 제어부(904)의 분석 결과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입력부(리모컨 또는 본체의 입력 패널)(910)는 디스플레이부(908)에 표시되는 분석 결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아 제어부(904)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부를 대체하기 위해, 텔레비전(804) 외에 개인용 컴퓨터의 모니터와 키보드 노트북(넷북), 냉장고에 설치되는 터치 기반의 웹 패드, 스마트폰, 태블릿 피시(Tablet PC)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웹 패드, 스마트폰, 태블릿 피시 등은 터치 입력 또는 펜 입력이 가능해야 한다. 이처럼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802)가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부를 구비하지 않고, 별도의 가전 기기에 이미 마련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부를 이용하면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804)의 구조가 단순해지고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생산 원가를 줄일 수 있어 대중화의 관점에서 매우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부(308)와 입력부(310)는 사용자 피드백을 위한 장치들이다. 디스플레이부(908)는 제어부(904)의 분석 결과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입력부(910)는 디스플레이부(908)에 표시되는 분석 결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아 제어부(904)에 전달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904)는 가정(또는 사업장)(100) 내 소비 전력 정보와 장치 식별 결과를 디스플레이부(908)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908)에 표시되는 소비 전력 정보 및 장치 식별 결과를 확인한 후, 해당 장치 식별 결과가 올바른지를 확인하여 입력부(910)를 통해 확인 결과를 입력한다. 제어부(904)는, 사용자가 장치 식별 결과를 올바른 것으로 인정하면 해당 장치 식별 결과(예를 들면 전력 소비 특징 및 이에 대응되는 가전 기기의 명칭)을 저장부(906)의 데이터베이스(922)에 새로운 레퍼런스 데이터로서 추가하거나, 기존의 레퍼런스 데이터를 업데이트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선택 또는 사용자의 확인은 태깅(Tagging) 또는 네이밍(Naming)이 개념으로서, 식별 결과와 해당 장치의 대응 관계를 확인하여 그 대응 관계에 장치의 식별자 또는 이름을 부여하는(Tagging 또는 Naming) 것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904)가 어느 시간 대에 동작한 가전 기기(106)의 전력 소비 형태를 통해 해당 가전 기기(106)가 세탁기인 것으로 판단하고, 이 식별 결과를 디스플레이부(908)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 때 제어부(904)는 먼저 분석 결과가 데이터베이스(922)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의 데이터들과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제어부(904)는 분석 결과가 데이터베이스(922)의 데이터와 일정 수준 이상 일치하는 경우에만 동일한 가전 기기로 인정하고, 일정 수준 미만의 일치도를 보이면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부(908)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만약, 해당 시간에 동작한 가전 기기(106)가 실제로 세탁기가 맞는다면, 사용자는 입력부(910)를 통해 해당 가전 기기(106)가 세탁기였음을 확인하는 입력을 발생시키고, 제어부(904)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하여 해당 식별 결과와 이에 대응되는 가전 기기의 명칭(세탁기)을 데이터베이스(922)에 새로운 레퍼런스 데이터로서 추가하거나 기존의 레퍼런스 데이터를 업데이트함으로써, 향후 유사한 전력 소비 형태의 분석 결과가 발생하면 데이터베이스(922)의 레퍼런스 데이터를 참조하여 해당 가전 기기가 세탁기임을 정확히 식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 및 입력부를 통해 구현되는 사용자 피드백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08)에 표시되는 사용자 피드백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해당 가전 기기(예를 들면 세탁기(일반))의 ‘사용 시간’과 그 시간 동안 사용된 것으로 추측되는 ‘소비 전력’, 전력 소비 패턴의 ‘분석 결과’ 등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주요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그 아래에 ‘이동 → 화살표 버튼’과 ‘선택 → OK 버튼’, ‘종료 → 나가기 버튼’과 같은 인터페이스 안내가 표시된다. 도 10에 나타낸 인터페이스의 표시 내용에 따르면, 세탁기(일반)의 사용 시간은 2012년 11월 12일 16시 45분부터 2012년 11월 12일 18시 22분까지 1시간 37분 동안 사용된 기록이 표시되고, 그 동안 소비된 전력이 35KW인 것으로 표시되어 있다. 분석 결과는 해당 가전 기기가 ‘세탁기(일반)’인 것으로 표시되어 있다. 분석 결과 항목에는 사용자에게 알리고자하는 가전 기기의 이름(현재는 ‘세탁기(일반)’)이 하이라이트 되어 표시된다. 그런데 만약 되는데, 만약 2012년 11월 12일 16시 45분부터 2012년 11월 12일 18시 22분 사이에 사용된 가전 기기가 세탁기(일반)이 아닌 다른 가전 기기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입력부(1010)의 ‘화살표 버튼’을 조작하여 하이라이트 위치를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다른 가전 기기의 이름 위치로 변경한 후 ‘OK 버튼’으로 해당 가전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가전 기기의 선택이 완료되면 ‘나가기 버튼’을 조작하여 사용자 피드백 작업을 종료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사용자 피드백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 자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거나, 별도의 텔레비전이나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냉장고에 설치되는 터치 기반의 웹 패드, 스마트폰, 태블릿 피시(Tablet PC) 등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기기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내용과 표시 형식이 달라질 수 있다. 텔레비전의 경우 리모컨이나 텔레비전 본체의 입력 패널이 입력부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의 경우 키보드가 입력부로 사용될 수 있다. 웹 패드나 스마트폰, 태블릿 피시의 경우 화면에서 이루어지는 터치 입력 또는 펜 입력이 입력부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낸 제어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는 전력 소비 패턴의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표시되는 분석 결과에 대한 사용자 반응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추가/업데이트한다. 도 11에 나타낸 제어 방법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3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의 어느 것을 사용해도 좋다. 도 11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 2-3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202)에 의해 제어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부(302)는 가전 기기(106)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달 경로인 전력선에 나타나는 전기적 특성의 변화(예를 들면 전압 및 전류의 변화)를 측정한다(1102). 제어부(304)는, 이벤트 검출 로직(312)을 통해 센서부(302)에 의해 측정된 전기적 특성의 변화로부터 가전 기기(106)의 온/오프 전환 또는 동작 상태의 전환 등에 기인하는 유효 전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가전 기기(106)에서 일어나는 이벤트를 검출한다(1104). 이어서 제어부(304)는 센서부(302)를 통해 측정한 전압 및 전류의 변화에 대한 정보(Raw Data)로부터 가전 기기(106)의 온/오프 시점 및 가전 기기(106)의 전력 소비 패턴의 고유의 특징을 추출한다(1106). 이를 위제 제어부(304)는 특징 추출 로직(314)을 이용한다. 추출된 특징은 임시 메모리(320)에 저장된다(1108). 제어부(304)는 장치 식별 로직(316)을 통해 임시 메모리(320)의 특징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322)의 레퍼런스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두 데이터의 일치 여부를 통해 해당 가전 기기(106)가 어떤 가전 기기이며 어떤 동작 상태에 있는지를 판별한다(1110).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322)의 데이터가 참조된다. 제어부(304)는 센서부(302)를 통해 측정한 가정(또는 사업장)(100) 내 소비 전력 정보와 가전 기기(106)의 온/오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가전 기기(106)의 전력 소비량을 예측한다(1112). 이를 위해 전력 판단 로직(318)이 사용된다. 이어서 제어부(304)는 디스플레이부(308)를 통해 분석 결과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1114). 디스플레이부(308)에 표시되는 분석 결과는 사용자 피드백 및 사용자 선택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를 위한 것이다(1116). 이와 같은 사용자 피드백 및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는 도 12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사용자 피드백 및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도 11에 나타낸 분석 결과 디스플레이 과정(1114)에서는, 제어부(304)가 분석 결과와 데이터베이스(322)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의 데이터들을 비교하여 일정 수준 미만의 일치도를 보일 때 해당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부(308)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설명한 바 있다. 이후 제어부(304)는 입력부(310)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이 입력되는지를 확인한다(1204). 만약 사용자가 분석 결과와 예측한 가전 기기가 서로 정확히 대응하는 것으로 인정하여 해당 디스플레이부(308)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상에서 해당 가전 기기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입력을 발생시키면, 제어부(304)는 그 가전 기기의 이름 및 분석 결과로부터 생성된 레퍼런스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322)에 추가/업데이트한다(1206). 새로운 가전 기기라면 데이터의 추가가 이루어질 것이고, 기존에 존재하던 가전 기기라면 새로운 데이터로 업데이트가 이루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202)에서는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의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은 데이터는 삭제함으로써 임시 메모리(320)의 용량의 여유를 확보하기 위한 데이터 유효성 검증 과정이 이루어진다. 앞서 설명한 도 11의 ‘추출된 특징 임시 저장’ 과정에서 임시 메모리(32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의 비교를 위해 참조된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의 응답(선택)이 이루어지지 않으면(1208의 ‘예’) 해당 데이터를 임시 메모리(320)에서 삭제한다(1210). 그러나 미리 설정된 일정 기간이 경과할 때 까지는 임시 메모리(320)의 데이터를 그대로 유지한다(1212). 이처럼 임시 메모리(320)의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일정 기간 동안 유지하는 것은 사용자의 응답(선택)이 즉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102 : 분전반
104 : 콘센트
106 : 가전 기기(부하)
108 : 멀티 탭
110 : 플러그
102 : 분전반
202, 402, 602, 802 :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NILM)
104 : 콘센트
106 : 가전 기기(부하)
108 : 멀티 탭
110 : 플러그
102 : 분전반
202, 402, 602, 802 :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NILM)
Claims (22)
- 가전 기기에서 소비되는 전력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센서와;
수집된 상기 전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전 기기의 전력 소비 패턴을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전력 소비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가전 기기를 식별하는 제어부와;
상기 전력 소비 패턴을 이용한 상기 가전 기기의 식별 결과가 올바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가전 기기의 식별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가전 기기의 식별 결과가 올바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가전 기기의 식별 결과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결과는,
상기 가전 기기의 전력 사용 패턴과;
상기 전력 사용 패턴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상기 가전 기기의 명칭을 포함하는 것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 결과의 확인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전력 소비 패턴과 상기 가전 기기의 명칭이 올바르게 대응될 때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식별 결과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는 것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결과는,
상기 가전 기기의 전력 사용 시간과;
상기 전력 사용 시간 동안 소비된 전력량을 나타내는 소비 전력과;
상기 가전 기기의 명칭을 나타내는 분석 결과를 포함하는 것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사용 시간 동안 실제로 사용된 가전 기기가 상기 분석 결과로서 표시되는 가전 기기가 아닐 경우, 상기 전력 사용 시간 동안 실제로 사용된 가전 기기의 명칭을 검색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롤 기능을 더 제공하는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식별 결과를 표시할 때, 이동과 선택, 종료를 위한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결과에 따른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일정 기간 동안 미리 설정된 일정 회수 이상 참조되지 않으면 상기 식별 결과에 따른 데이터를 삭제하는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의 식별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분전반에 설치되어, 상기 분전반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전력 부하를 모니터링하는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분전반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선에 연결되는 콘센트와 멀티 탭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독립적인 기기의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분전반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전력 부하를 모니터링하는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에 일체로 마련되는 것인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영상 정보와 문자 정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는 화면과,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 수단을 구비한 별도의 다른 기기를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부로서 활용하도록 마련되는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과 입력 수단을 구비한 기기는,
텔레비전과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웹 패드, 스마트폰, 태블릿 피시(Tablet PC) 가운데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분전반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선에 연결되는 콘센트와 멀티 탭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독립적인 기기의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분전반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영상 정보와 문자 정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는 화면과,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 수단을 구비한 별도의 다른 기기를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부로서 활용하도록 마련되는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 - 가전 기기에서 소비되는 전력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전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전 기기의 전력 소비 패턴을 획득하며;
획득한 상기 전력 소비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가전 기기를 식별하고;
상기 전력 소비 패턴을 이용한 상기 가전 기기의 식별 결과가 올바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가전 기기의 식별 결과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가전 기기의 식별 결과가 올바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가전 기기의 식별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전력 부하 모니터링 방법.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결과는,
상기 가전 기기의 전력 사용 패턴과;
상기 전력 사용 패턴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상기 가전 기기의 명칭을 포함하는 것인 전력 부하 모니터링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결과의 확인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전력 소비 패턴과 상기 가전 기기의 명칭이 올바르게 대응될 때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식별 결과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을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는 것인 전력 부하 모니터링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결과는,
상기 가전 기기의 전력 사용 시간과;
상기 전력 사용 시간 동안 소비된 전력량을 나타내는 소비 전력과;
상기 가전 기기의 명칭을 나타내는 분석 결과를 포함하는 것인 전력 부하 모니터링 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사용 시간 동안 실제로 사용된 가전 기기가 상기 분석 결과로서 표시되는 가전 기기가 아닐 경우, 상기 전력 사용 시간 동안 실제로 사용된 가전 기기의 명칭을 검색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롤 기능을 더 제공하는 전력 부하 모니터링 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식별 결과를 표시할 때, 이동과 선택, 종료를 위한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전력 부하 모니터링 방법.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결과에 따른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일정 기간 동안 미리 설정된 일정 회수 이상 참조되지 않으면 상기 식별 결과에 따른 데이터를 삭제하는 전력 부하 모니터링 방법.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의 식별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전력 부하 모니터링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2925A KR20140065897A (ko) | 2012-11-22 | 2012-11-22 |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
US14/031,581 US20140142724A1 (en) | 2012-11-22 | 2013-09-19 | Apparatus and method for non-intrusive load monitoring (nilm) |
EP13186765.7A EP2735847A3 (en) | 2012-11-22 | 2013-09-30 | Apparatus and method for non-intrusive load monitoring (NIL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2925A KR20140065897A (ko) | 2012-11-22 | 2012-11-22 |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5897A true KR20140065897A (ko) | 2014-05-30 |
Family
ID=49263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2925A Withdrawn KR20140065897A (ko) | 2012-11-22 | 2012-11-22 |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40142724A1 (ko) |
EP (1) | EP2735847A3 (ko) |
KR (1) | KR20140065897A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26345A (ko) * | 2015-04-23 | 2016-11-02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계량기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
WO2017039035A1 (ko) * | 2015-09-03 | 2017-03-09 | 전자부품연구원 | 전력 관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력 관리 시스템 |
KR101724328B1 (ko) * | 2016-04-28 | 2017-04-07 | 전자부품연구원 | 소비전력 총량과 복합센서를 이용한 에너지 가전기기의 비접촉 식별 방법 및 시스템 |
KR20190002171A (ko) * | 2017-06-29 | 2019-01-08 | (주)큐센텍 | 전기장치의 개별 소비전력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위한 학습 방법 |
WO2019117337A1 (ko) * | 2017-12-12 | 2019-06-20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전력 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가전기기 분류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CN111521867A (zh) * | 2020-03-26 | 2020-08-11 | 中国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 一种用于采集负荷数据的系统及方法 |
KR20210066534A (ko) * | 2019-11-28 | 2021-06-07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의 비지도 학습 기반 부하 모니터링 방법 |
CN113344346A (zh) * | 2021-05-25 | 2021-09-03 | 合肥工业大学 | 基于非侵入式负荷分解的用电异常检测方法和系统 |
CN115112989A (zh) * | 2022-08-29 | 2022-09-27 | 四川大学 | 基于低频数据的非侵入式负荷监测方法 |
KR20220151887A (ko) * | 2021-05-07 | 2022-11-15 | 주식회사 스마트에버 | 비간섭 부하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가전 기기 분류 방법 및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63460A1 (en) | 2012-04-25 | 2013-10-31 | Myenersave, Inc. | Energy disaggregation techniques for low resolution whole-house energy consumption data |
US9167669B2 (en) | 2013-03-14 | 2015-10-20 | Lutron Electronic Co., Inc. | State change devices for switched electrical receptacles |
WO2014144948A1 (en) * | 2013-03-15 | 2014-09-18 | Stuart Micheal D | Visible audiovisual annotation of infrared images using a separate wireless mobile device |
US9900177B2 (en) | 2013-12-11 | 2018-02-20 |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 Maintaining up-to-date home automation models |
US20150161452A1 (en) | 2013-12-11 | 2015-06-11 | Echostar Technologies, Llc | Home Monitoring and Control |
US9769522B2 (en) | 2013-12-16 | 2017-09-19 | Echostar Technologies L.L.C. | Methods and systems for location specific operations |
US10806010B2 (en) | 2013-12-26 | 2020-10-13 |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 Control device for use with a three-way lamp socket |
US10317923B2 (en) | 2013-12-26 | 2019-06-11 |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 Load-sensing remote control device for use in a load control system |
US9848479B2 (en) | 2013-12-26 | 2017-12-19 | Lutron Electronics Co., Inc. | Faceplate remote control device for use in a load control system |
US9723393B2 (en) | 2014-03-28 | 2017-08-01 | Echostar Technologies L.L.C. | Methods to conserve remote batteries |
US9824578B2 (en) | 2014-09-03 | 2017-11-21 |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 Home automation control using context sensitive menus |
US11435772B2 (en) | 2014-09-04 | 2022-09-06 | Bidgely,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energy usage using energy disaggregation data and time of use information |
US9989507B2 (en) | 2014-09-25 | 2018-06-05 |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toxic gas |
US9511259B2 (en) | 2014-10-30 | 2016-12-06 | Echostar Uk Holdings Limited | Fitness overlay and incorporation for home automation system |
US9983011B2 (en) | 2014-10-30 | 2018-05-29 |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 Mapping and facilitating evacuation routes in emergency situations |
US10168677B2 (en) * | 2014-11-11 | 2019-01-01 | Weebee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for smart spaces |
US9967614B2 (en) | 2014-12-29 | 2018-05-08 |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 Alert suspension for home automation system |
US9729989B2 (en) | 2015-03-27 | 2017-08-08 | Echostar Technologies L.L.C. | Home automation sound detection and positioning |
KR101963445B1 (ko) * | 2015-04-02 | 2019-07-31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전력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하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US9948477B2 (en) | 2015-05-12 | 2018-04-17 |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 Home automation weather detection |
US9946857B2 (en) | 2015-05-12 | 2018-04-17 |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 Restricted access for home automation system |
US9632746B2 (en) | 2015-05-18 | 2017-04-25 | Echostar Technologies L.L.C. | Automatic muting |
US9960980B2 (en) | 2015-08-21 | 2018-05-01 |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 Location monitor and device cloning |
KR101717854B1 (ko) | 2015-09-03 | 2017-03-17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의 전력 모니터링 방법 |
US9996066B2 (en) | 2015-11-25 | 2018-06-12 |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HVAC health monitoring using a television receiver |
US10101717B2 (en) | 2015-12-15 | 2018-10-16 |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 Home automation data storage system and methods |
US9798309B2 (en) | 2015-12-18 | 2017-10-24 |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 Home automation control based on individual profiling using audio sensor data |
US10091017B2 (en) | 2015-12-30 | 2018-10-02 |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 Personalized home automation control based on individualized profiling |
US10060644B2 (en) | 2015-12-31 | 2018-08-28 |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 of home automation activity based on user preferences |
US10073428B2 (en) | 2015-12-31 | 2018-09-11 |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 of home automation activity based on user characteristics |
JP6675092B2 (ja) * | 2016-03-30 | 2020-04-01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判定システム、判定方法、及び判定プログラム |
US20170330103A1 (en) * | 2016-05-13 | 2017-11-16 | Alex Shyr | Systems and Methods for Learning Appliance Signatures |
US9882736B2 (en) | 2016-06-09 | 2018-01-30 |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 Remote sound generation for a home automation system |
US10294600B2 (en) | 2016-08-05 | 2019-05-21 |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 Remote detection of washer/dryer operation/fault condition |
US10049515B2 (en) | 2016-08-24 | 2018-08-14 |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 Trusted user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for home automation systems |
CN107247201A (zh) * | 2017-06-09 | 2017-10-13 | 东南大学 | 基于功率及时间特性的电烤箱非侵入辨识方法 |
CN107390043B (zh) * | 2017-06-09 | 2019-07-30 | 东南大学 | 基于有功功率波动性和周期性的洗衣机非侵入辨识方法 |
CN107356827B (zh) * | 2017-06-09 | 2019-10-11 | 东南大学 | 一种基于有功功率波动性的洗衣机运行非侵入辨识方法 |
CN107578288B (zh) * | 2017-09-08 | 2020-09-18 | 东南大学 | 一种考虑用户用电模式差异的非侵入式负荷分解方法 |
TWI663570B (zh) * | 2017-10-20 | 2019-06-21 | 財團法人資訊工業策進會 | 用電分析伺服器及其用電分析方法 |
US20190190739A1 (en) * | 2017-11-29 | 2019-06-20 | EVRYTHNG Limited | Non-intrusive hardware add-on to enable automatic services for appliances |
CN108429254B (zh) * | 2018-03-07 | 2020-01-31 | 国网四川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 一种非侵入式用电负荷识别方法 |
CN109239494A (zh) * | 2018-09-21 | 2019-01-18 | 无锡风繁伟业科技有限公司 | 一种非侵入式电力负荷报警监测方法及系统 |
CN108986817A (zh) * | 2018-10-08 | 2018-12-11 | 杭州鸿雁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语音控制的受控设备自动识别系统 |
DE102019107135B3 (de) | 2019-03-20 | 2020-06-10 | Elmos Semiconductor Aktiengesellschaft |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Fehlerdiagnose und/oder EME-Optimierung mittels Flankendetektion im Strommesspfad |
CN110412895B (zh) * | 2019-06-28 | 2022-04-15 |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 用于插座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插座 |
CN111708925B (zh) * | 2020-08-20 | 2021-01-05 |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湖州供电公司 | 一种用于居民用户的家电负荷智能识别系统及方法 |
CN113219268B (zh) * | 2021-03-26 | 2022-11-04 | 国电南瑞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多态电器的非侵入辨识方法及装置 |
CN113433864A (zh) * | 2021-07-07 | 2021-09-24 | 普天鸿雁物联网技术有限公司 | 智能插座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和处理器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67778A (en) * | 1996-03-06 | 1998-06-16 | Aspire Corporation | Event sensing circuit and alert generator |
US20040024483A1 (en) * | 1999-12-23 | 2004-02-05 | Holcombe Bradford L. | Controlling utility consumption |
DE10251112A1 (de) * | 2002-11-02 | 2004-05-19 |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 Verfahren und System zur Spracherkennung |
WO2008157831A2 (en) * | 2007-06-21 | 2008-12-24 | The Owens Group, Inc. | System and method of tracing items |
US9177323B2 (en) * | 2007-08-28 | 2015-11-03 | Causam Energy,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nd utilizing customer energy profiles for load control for individual structures, devices, and aggregation of same |
US9020769B2 (en) * | 2009-01-26 | 2015-04-28 | Geneva Cleantech Inc. | Automatic detection of appliances |
US8340831B2 (en) * | 2009-12-16 | 2012-12-25 | Robert Bosch Gmbh | Non-intrusive loa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
JP2011154410A (ja) * | 2010-01-25 | 2011-08-11 | Sony Corp | 解析サーバ及びデータ解析方法 |
JP2011155711A (ja) * | 2010-01-25 | 2011-08-11 | Sony Corp | 電力管理装置及びゲームコンテンツ提供方法 |
WO2011104661A1 (en) * | 2010-02-25 | 2011-09-01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Monitoring of operational status of appliances |
US9218628B2 (en) * | 2011-01-24 | 2015-12-22 | Beet, Llc |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behavior profiles for device members of a network |
AU2012211955A1 (en) * | 2011-02-04 | 2013-09-12 | Bidgely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appliance level disaggregation in non-intrusive appliance load monitoring techniques |
US20130271895A1 (en) * | 2012-04-12 | 2013-10-17 | Hampden Kuhns | User installable branch circuit meter |
US20140052304A1 (en) * | 2012-08-16 | 2014-02-20 | Infosys Limited | Dynamic enforcement of power management policy and methods thereof |
-
2012
- 2012-11-22 KR KR1020120132925A patent/KR20140065897A/ko not_active Withdrawn
-
2013
- 2013-09-19 US US14/031,581 patent/US2014014272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3-09-30 EP EP13186765.7A patent/EP2735847A3/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26345A (ko) * | 2015-04-23 | 2016-11-02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계량기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
WO2017039035A1 (ko) * | 2015-09-03 | 2017-03-09 | 전자부품연구원 | 전력 관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력 관리 시스템 |
KR101724328B1 (ko) * | 2016-04-28 | 2017-04-07 | 전자부품연구원 | 소비전력 총량과 복합센서를 이용한 에너지 가전기기의 비접촉 식별 방법 및 시스템 |
WO2017188475A1 (ko) * | 2016-04-28 | 2017-11-02 | 전자부품연구원 | 소비전력 총량과 복합센서를 이용한 에너지 가전기기의 비접촉 식별 방법 및 시스템 |
KR20190002171A (ko) * | 2017-06-29 | 2019-01-08 | (주)큐센텍 | 전기장치의 개별 소비전력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위한 학습 방법 |
WO2019117337A1 (ko) * | 2017-12-12 | 2019-06-20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전력 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가전기기 분류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KR20210066534A (ko) * | 2019-11-28 | 2021-06-07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의 비지도 학습 기반 부하 모니터링 방법 |
CN111521867A (zh) * | 2020-03-26 | 2020-08-11 | 中国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 一种用于采集负荷数据的系统及方法 |
KR20220151887A (ko) * | 2021-05-07 | 2022-11-15 | 주식회사 스마트에버 | 비간섭 부하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가전 기기 분류 방법 및 시스템 |
CN113344346A (zh) * | 2021-05-25 | 2021-09-03 | 合肥工业大学 | 基于非侵入式负荷分解的用电异常检测方法和系统 |
CN113344346B (zh) * | 2021-05-25 | 2022-10-18 | 合肥工业大学 | 基于非侵入式负荷分解的用电异常检测方法和系统 |
CN115112989A (zh) * | 2022-08-29 | 2022-09-27 | 四川大学 | 基于低频数据的非侵入式负荷监测方法 |
CN115112989B (zh) * | 2022-08-29 | 2022-11-22 | 四川大学 | 基于低频数据的非侵入式负荷监测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40142724A1 (en) | 2014-05-22 |
EP2735847A2 (en) | 2014-05-28 |
EP2735847A3 (en) | 2016-06-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065897A (ko) |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 |
EP2442429B1 (en) | Power management apparatus, pow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management system | |
KR101484482B1 (ko) | 에너지 소비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내 제어기 , 에너지 소비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시스템에서의 에너지 소비 측정 방법 | |
KR101666226B1 (ko) | 전력량 검출장치 | |
US20070136217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monitoring electricity rates | |
TW201019562A (en) | Socket with power management ability | |
KR20140132523A (ko) |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 |
KR101608328B1 (ko) | 전력소비 패턴 분석을 통한 디바이스 인식장치 및 그 방법 | |
US1041620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smart plug | |
JP2014531181A (ja) |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 |
CN102413165B (zh) | 使用辅助计量装置的诊断 | |
JP6876953B2 (ja) | 情報提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示システム | |
JP2014160395A (ja) | エネルギー使用状況表示システム及びエネルギー使用状況表示方法 | |
JP2017010230A (ja) | プログラム、情報端末装置の制御方法、表示システム、端末制御装置、および表示装置 | |
JP2017191522A (ja) | 電気料金試算システム、電気料金試算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JP6272653B2 (ja) | 電力管理装置、電力管理方法、および電力管理システム | |
KR101424396B1 (ko) | 스마트 전력 계량기, 이를 이용한 계량시스템 및 그에 의한 계량방법 | |
KR101506701B1 (ko) | 복수의 콘센트 입력구를 구비한 전력절감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기기 | |
KR101281122B1 (ko) | 전류소비패턴 생성 및 분석방법 | |
KR101071431B1 (ko) | 에너지 관리 시스템, 에너지 관리 장치, 에너지 관리 방법 | |
JP5536012B2 (ja) | 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管理方法 | |
CN102074078B (zh) | 电能表智能显示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 |
JP2017191524A (ja) |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エネルギー管理方法、エネルギー管理プログラム、情報端末、端末制御方法、及び端末制御プログラム | |
JP6516100B2 (ja) | 電力管理システム、電力管理装置、電力管理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 |
KR101678736B1 (ko) | 대기전력 절감 효과 모니터링을 위한 월패드, 이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대기전력 절감 효과 모니터링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