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585A -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을 위한 시스템 웨이크 업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을 위한 시스템 웨이크 업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65585A KR20140065585A KR1020120130380A KR20120130380A KR20140065585A KR 20140065585 A KR20140065585 A KR 20140065585A KR 1020120130380 A KR1020120130380 A KR 1020120130380A KR 20120130380 A KR20120130380 A KR 20120130380A KR 20140065585 A KR20140065585 A KR 201400655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ceiver
- transmitter
- wake
- power
- wireless pow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45—Authentication, i.e. circuits for checking compatibility between one component, e.g. a battery or a battery charger, and another component, e.g. a power sour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송신기와 수신기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수신기 측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이크 업 수단을 갖는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송신기와 수신기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전력 전송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4의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전력 전송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Claims (9)
- 송신기의 파워 모듈에 장착된 송신 코일로부터 수신기의 파워 모듈에 장착된 수신 코일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여 상기 수신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상기 수신기의 부하에 전력 공급을 위한 무선 전력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가 무선 전력 전송 대상 수신기를 탐색함이 없이, 상기 송신기에서 해당 대상 수신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구동되는 웨이크업 수단에서 웨이크업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송신기에서 상기 웨이크업 수단에서 발생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받는 통신 모듈이 전송하는 초기 통신 신호에 의해 상기 수신기의 통신모듈이 웨이크업된 후 전송하는 정보, 또는 상기 웨이크업 수단에서 발생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받는 상기 수신기의 통신모듈이 바로 웨이크업된 후 전송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송신기에서 상기 수신기로의 상기 무선 전력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방법. - 제1통신 모듈 및 무선 전력의 전송을 위한 송신 코일이 장착된 제1파워 모듈을 포함하는 송신기; 및 제2통신 모듈 및 상기 송신 코일로부터의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코일이 장착된 제2파워 모듈을 포함하는 수신기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구동되는 웨이크업 수단에서 웨이크업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웨이크업 수단에서 발생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받는 상기 제1통신 모듈이 전송하는 초기 통신 신호에 의해 상기 제2통신모듈이 웨이크업된 후 전송하는 정보, 또는 상기 웨이크업 수단에서 발생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받는 상기 제2통신모듈이 바로 웨이크업된 후 전송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송신기에서 상기 수신기로의 상기 무선 전력의 전송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송신기가 무선 전력 전송 대상 수신기를 탐색함이 없이, 상기 송신기에서 해당 대상 수신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파워 모듈이 상기 초기 통신 신호로서 초기 무선 전력을 전송하고, 상기 초기 무선 전력을 공급받는 상기 제2파워 모듈에 의해 상기 제2통신모듈의 상기 웨이크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강제적인 상기 웨이크업 신호의 발생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기가 상기 수신기에서의 상기 정보의 응답에 따라 전송 전력을 조절하여 강제적으로 상기 수신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수단은 상기 송신기 또는 상기 수신기의 내부에 전기적인 온오프가 가능한 스위치, 또는 버튼 형태의 장치로 이루어져 해당 통신모듈과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수단은 상기 송신기 또는 상기 수신기의 외부에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해당 통신모듈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수단은 상기 송신기 또는 상기 수신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터치 스크린 상에서 구동되는 터치 스크린 상의 버튼을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송신기 또는 상기 수신기의 프로세서에 의한 처리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또는 버튼 형태의 장치가 상기 송신기 또는 상기 수신기의 겉 표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또는 버튼 형태의 장치가 상기 송신기 또는 상기 수신기의 하우징 홈(groove)에 내장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하우징 평면 위로 돌출되어 눌러질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0380A KR101455695B1 (ko) | 2012-11-16 | 2012-11-16 |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을 위한 시스템 웨이크 업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0380A KR101455695B1 (ko) | 2012-11-16 | 2012-11-16 |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을 위한 시스템 웨이크 업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5585A true KR20140065585A (ko) | 2014-05-30 |
KR101455695B1 KR101455695B1 (ko) | 2014-11-04 |
Family
ID=50892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0380A Expired - Fee Related KR101455695B1 (ko) | 2012-11-16 | 2012-11-16 |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을 위한 시스템 웨이크 업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569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168855A (zh) * | 2017-04-07 | 2019-08-23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无线充电装置和无线充电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188709B2 (en) * | 2008-01-09 | 2012-05-29 | Seiko Epson Corporation | Power transmission control device, power transmitting device, non-contact power transmitting system, and electronic instrument |
JP5434330B2 (ja) * | 2009-07-22 | 2014-03-05 | ソニー株式会社 | 電力受信装置、電力伝送システム、充電装置および電力伝送方法 |
KR101702584B1 (ko) * | 2010-07-19 | 2017-02-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의 무접점 충전 장치 및 방법 |
-
2012
- 2012-11-16 KR KR1020120130380A patent/KR101455695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168855A (zh) * | 2017-04-07 | 2019-08-23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无线充电装置和无线充电方法 |
EP3609049A4 (en) * | 2017-04-07 | 2020-04-08 |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
US11196305B2 (en) | 2017-04-07 | 2021-12-07 |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
CN110168855B (zh) * | 2017-04-07 | 2023-12-22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无线充电装置和无线充电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55695B1 (ko) | 2014-1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37641B2 (ja) | 無線電力充電方法及び装置 | |
JP6000131B2 (ja) | 移動端末の無線充電のための方法及びそのための移動端末 | |
KR101902795B1 (ko) |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 |
KR101558698B1 (ko) | 스마트키의 위치에 따른 무선 충전 제어방법 | |
US10084344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wireless power receiver | |
KR20130114473A (ko) |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 |
KR20240015704A (ko) |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와 그 동작 방법 | |
CN105264786B (zh) | 用于无线电力发射系统中的延迟应用程序处理器初始化的系统和方法 | |
KR20130090703A (ko) | 무선 전력 충전 방법 및 장치 | |
KR20130035905A (ko) |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 |
CN102007705A (zh) | 低功率近场通信设备 | |
KR20130096020A (ko) |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 |
US9948114B2 (en) | Power supply apparatus | |
KR20160011925A (ko) | 무선 충전 및 근거리 통신 겸용 송신 장치 | |
WO2018116922A1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2011184959A (ja) | 携帯機 | |
KR102607032B1 (ko) |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90081118A (ko) |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 |
US20180301935A1 (en) | Power reception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power supply system | |
JP2013212004A (ja) | 充電器 | |
KR101455695B1 (ko) |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을 위한 시스템 웨이크 업 방법 | |
JP2013185344A (ja) | 充電機能付き電子キー | |
KR102374467B1 (ko) |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JP2014103788A (ja) | 充電器、制御プログラム | |
KR20200046585A (ko) | 리모컨 및 IoT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디바이스 도킹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0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