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63334A - 휴대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3334A
KR20140063334A KR1020120130574A KR20120130574A KR20140063334A KR 20140063334 A KR20140063334 A KR 20140063334A KR 1020120130574 A KR1020120130574 A KR 1020120130574A KR 20120130574 A KR20120130574 A KR 20120130574A KR 20140063334 A KR20140063334 A KR 20140063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oint
information
access
connection
link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부섭
에드윈 조셉 비말 바스틴
정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0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3334A/ko
Priority to EP13193299.8A priority patent/EP2733993B1/en
Priority to CN201310577310.5A priority patent/CN103826290B/zh
Priority to US14/082,761 priority patent/US20140140332A1/en
Publication of KR20140063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3334A/ko
Priority to US16/431,217 priority patent/US11212743B2/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액세스 포인트 접속 관련 정보들과 자동 접속 지원 관련 정보들을 수신하며, 상기 자동 접속 지원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에서 자동 접속 지원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된 정보 서버로부터 연결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접속 관련 정보에 포함된 비에스에스 링크 정보와 수신 신호 세기 값과 상기 연결 정보에 포함된 외부 네트워크의 링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에서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A LOCAL AREA COMMUNICATION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 및 태블릿(Tablet) 등의 휴대 단말기는 여러 가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의 제공을 통해 음성 통화 기능과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로 변모해 가는 추세이다. 특히,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근거리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휴대 단말기는 주변에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들 중에서 어느 하나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였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서로 다른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에서 미리 지정된 우선권을 가지는 제1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하였다.
그러나 우선권을 가지지 않는 제2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액세스 포인트가 제1서비스 사업자의 액세스 포인트보다 더 우수한 통신 환경을 제공하더라도, 휴대 단말기는 제2서비스 사업자의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할 수 없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는 우수한 통신 환경을 통해 근거리 통신을 제공받을 수 있는 기회를 박탈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에서 우수한 통신 환경을 가지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외부 네트워크의 링크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에서 우수한 통신 환경을 가지는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부와,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액세스 포인트 접속 관련 정보들과 자동 접속 지원 관련 정보들을 수신하며, 상기 자동 접속 지원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에서 자동 접속 지원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된 정보 서버로부터 연결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접속 관련 정보에 포함된 비에스에스 링크 정보와 수신 신호 세기 값과 상기 연결 정보에 포함된 외부 네트워크의 링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에서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휴대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액세스 포인트 접속 관련 정보들과 자동 접속 지원 관련 정보들을 수신하며, 상기 자동 접속 지원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에서 자동 접속 지원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된 정보 서버로부터 연결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접속 관련 정보에 포함된 비에스에스 링크 정보와 수신 신호 세기 값과 상기 연결 정보에 포함된 외부 네트워크의 링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에서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에서 우수한 통신 환경을 가지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근거리 통신을 연결함으로써 최적의 통신 품질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외부 네트워크의 링크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에서 우수한 통신 환경을 가지는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근거리 통신을 연결함으로써 최적의 통신 품질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서 액세스 포인터를 선택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서 액세스 포인터를 선택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용이하게 이동 가능한 전자기기로서, 화상전화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기, E-Book, 휴대용 컴퓨터(Notebook, Tablet 등) 또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근거리 통신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101)와 제1 및 제3 및 제5액세스 포인트들(Access Point: AP)(103, 105, 107)과 제2 및 제4 및 제6엑세스 라우터(Access Router)(109)와 제1인증 서버(AAA server)(111)와 제1정보 서버(113)와 제1외부 네트워크(external network)(115)와 제4 내지 제6액세스 포인트들(117, 119, 121)과 제2엑세스 라우터(123)와 제2인증 서버(125)와 제2정보 서버(127)와 제2외부 네트워크(129)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서비스 사업자가 제1 및 제3 및 제5액세스 포인트들(103, 105, 107)과 제1엑세스 라우터(109)와 제1인증 서버(111)와 제1정보 서버(113)와 제1외부 네트워크(115)를 제공하고, 제2서비스 사업자가 제2 및 제4 및 제6액세스 포인트들(117, 119, 121)과 제2엑세스 라우터(123)와 제2인증 서버(125)와 제2정보 서버(127)와 제2외부 네트워크(129)를 제공한다. 그리고 제1서비스 사업자와 제2서비스 사업자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서비스 사업자는 에스케이 텔레콤(SK Telecom)이 될 수 있고, 제2서비스 사업자는 케이티에프(KTF)가 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를 살펴보면, 제1액세스 라우터(109)는 제1 및 제3 및 제5액세스 포인트들(103, 105, 107)과 제1정보 서버(113) 및 제1인증 서버(111) 및 제1외부 네트워크(115)를 연결한다. 그리고 제1외부 네트워크(115)는 제1 및 제3 및 제4 액세스 포인트들(103, 105, 107)에 의해 생성되는 근거리 통신망과 연결되는 외부 네트워크이다.
그리고 제1정보 서버(113)는 휴대 단말기(101)와 제1 및 제3 및 제4 액세스 포인트들(103, 105, 107) 중에서 어느 하나 간에 자동으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특히, 제1정보 서버(113)는 제1 및 제3 및 제4 액세스 포인트들(103, 105, 107)에 대한 연결 정보를 저장하며, 휴대 단말기(101)의 요청에 따라 연결 정보를 휴대 단말기(101)로 전송한다.
여기서, 연결 정보는 휴대 단말기(101)와 액세스 포인트 간에 자동으로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말하며, 해당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된 외부 네트워크의 링크 정보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사업자 정보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방식을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외부 네트워크의 링크 정보는 외부 네트워크의 다운링크 스피드(downlink speed)와 다운링크 로드율(downlink load rate)과 업링크 스피드(uplink speed)와 업링크 로드율(uplink load rate)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및 제3 및 제5액세스 포인트들(103, 105, 107)은 휴대 단말기(101)에게 근거리 통신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Wi-Fi)가 될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3 및 제5액세스 포인트들(103, 105, 107) 각각은 액세스 포인트 관련 정보와 자동 접속 지원 관련 정보를 휴대 단말기(101)로 전송한다.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 관련 정보는 BSS 링크 정보를 포함하고, BSS 링크 정보는 BSS의 네트워크 로드와 채널 로드율과 해당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된 휴대 단말기의 개수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자동 접속 지원 관련 정보는 해당 액세스 포인트가 휴대 단말기(101)의 사용자에 의한 입력 없이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에 자동으로 접속할 수 있는 기술과 관련되는 정보를 말한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이 와이 파이인 경우, 자동 접속 지원 기술은 핫스팟 2.0이라고 일컬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3 및 제4 액세스 포인트들(103, 105, 107) 각각은 휴대 단말기(101)로부터 연결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연결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제1정보 서버(113)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1 및 제3 및 제5액세스 포인트들(103, 105, 107) 각각은 연결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연결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연결 정보 메시지를 휴대 단말기(101)로 전달한다. 여기서, 연결 정보 요청 메시지는 연결 정보를 요청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시지이며, 연결 정보 메시지는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말한다.
그리고 제2액세스 라우터(123)는 제2 및 제4 및 제6액세스 포인트들(117, 119, 121)과 제2정보 서버(127) 및 제2인증 서버(125) 및 제2외부 네트워크(129)를 연결한다. 그리고 제2외부 네트워크(129)는 제2 및 제4 및 제6액세스 포인트들(117, 119, 121)에 의해 생성되는 근거리 통신망과 연결되는 외부 네트워크이다.
그리고 제2정보 서버(127)는 휴대 단말기(101)와 제2 및 제4 및 제6액세스 포인트들(117, 119, 121) 중에서 어느 하나 간에 자동으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특히, 제2정보 서버(127)는 제2 및 제4 및 제6액세스 포인트들(117, 119, 121)에 대한 연결 정보를 저장하며, 휴대 단말기(101)의 요청에 따라 연결 정보를 휴대 단말기(101)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2 및 제4 및 제6액세스 포인트들(117, 119, 121)은 휴대 단말기(101)에게 근거리 통신을 제공한다. 특히, 제2 및 제4 및 제6액세스 포인트들(117, 119, 121) 각각은 액세스 포인트 관련 정보와 자동 접속 지원 관련 정보를 휴대 단말기(101)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2 및 제4 및 제6액세스 포인트들(117, 119, 121) 각각은 휴대 단말기(101)로부터 연결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연결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제1정보 서버(113)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1 및 제3 및 제4 액세스 포인트들(103, 105, 107) 각각은 연결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연결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연결 정보 메시지를 휴대 단말기(101)로 전달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1)는 제1 내지 제6액세스 포인트들(103, 105, 107, 117, 119, 121) 중에서 어느 하나와 연결하여 사용자에게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휴대 단말기(101)는 사용자에 의해 근거리 통신의 실행이 요청되면, 휴대 단말기(101)의 주변에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스캔을 수행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1)는 액세스 포인트 스캔을 수행함으로써, 제1 내지 제6액세스 포인트들(103, 105, 107, 117, 119, 121) 각각으로부터 액세스 포인트 관련 정보와 자동 접속 지원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휴대 단말기(101)는 제1 내지 제6액세스 포인트들(103, 105, 107, 117, 119, 121) 각각으로부터 액세스 포인트 관련 정보와 자동 접속 지원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때,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함으로써 제1 내지 제6액세스 포인트들(103, 105, 107, 117, 119, 121) 각각에 대한 수신 신호 세기 값(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이하 'RSSI' 라 한다)을 생성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1)는 제1 내지 제6액세스 포인트들(103, 105, 107, 117, 119, 121)로부터 수신된 자동 접속 지원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6액세스 포인트들(103, 105, 107, 117, 119, 121) 중에서 자동 접속 지원 기술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확인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1)는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와 네트워크 디스커버리(Network discovery)를 실행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디스커버리는 휴대 단말기(101)와 액세스 포인트 간에 자동으로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연결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동작을 말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1)는 네트워크 디스커버리를 실행함으로써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연결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1)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되는 BSS 링크 정보와 수신 신호 세기 값과 외부 네트워크의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한다.
한편, 본 발명의 근거리 통신 시스템이 표준 문서 802.11u를 따른다면, 자동 접속 지원 관련 정보는 표준 문서 802.11u/D13.0에서 정의된 핫스팟 2.0 식별 엘리먼트(Hotspot 2.0 Indication Element)가 될 수 있고, 제1 및 정보 서버들(113, 127)은 제1 및 제2 ANQP(Access Network Query Protocol) 서버들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정보는 핫스팟 2.0 ANQP 엘리먼트(Hotspot 2.0 ANQP Element)가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1)는 제어부(201)와 표시부(203)와 메모리부(205)와 입력부(207)와 근거리 통신부(209)와 RF부(211)와 제1데이터 처리부(213)와 오디오 처리부(215)를 포함한다.
각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RF부(211)는 휴대 단말기(101)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RF부(21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무선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213)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 처리부(213)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215)는 데이터 처리부(213)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213)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입력부(20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하고, 표시부(203)는 영상 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제어부(201)로부터 출력 요청되는 데이터를 표시한다.
만약에, 표시부(203)가 정전식 또는 감압식 등의 터치 표시 화면 방식으로 구현될 경우, 입력부(207)는 미리 설정된 최소한의 키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부(203)는 입력부(207)의 키입력 기능을 일부 대체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부(205)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데이터 메모리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101)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부팅(booting) 및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이하 'OS'라 한다)을 저장하고, 데이터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 동작 중에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그리고 근거리 통신부(209)는 제어부(201)의 제어에 따라 제1 내지 제6액세스 포인트들(103, 105, 107, 117, 119, 121) 중에서 어느 하나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한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휴대 단말기(1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201)는 제1 내지 제6액세스 포인트들(103, 105, 107, 117, 119, 121) 중에서 어느 하나와 연결하여 사용자에게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201)는 사용자에 의해 근거리 통신의 실행이 요청되면, 휴대 단말기(101)의 주변에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스캔을 수행한다. 만약에, 제1 내지 제6액세스 포인들(103, 105, 107, 117, 119, 121)이 휴대 단말기(101)의 주위에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201)는 액세스 포인트 스캔을 수행함으로써 제1 내지 제6액세스 포인트들(103, 105, 107, 117, 119, 121) 각각으로부터 액세스 포인트 관련 정보와 자동 접속 지원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201)는 제1 내지 제6액세스 포인트들(103, 105, 107, 117, 119, 121) 각각으로부터 액세스 포인트 관련 정보와 자동 접속 지원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때,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함으로써 제1 내지 제6액세스 포인트들(103, 105, 107, 117, 119, 121) 각각에 대한 수신 신호 세기 값을 생성한다.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 관련 정보는 BSS 링크 정보를 포함하고, BSS 링크 정보는 BSS의 네트워크 로드와 채널 로드율과 해당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된 휴대 단말기의 개수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자동 접속 지원 관련 정보는 해당 액세스 포인트가 휴대 단말기(101)의 사용자에 의한 입력 없이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에 자동으로 접속할 수 있는 기술과 관련되는 정보를 말한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이 와이 파이인 경우, 자동 접속 지원 기술은 핫스팟 2.0이라고 일컬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제1 내지 제6액세스 포인트들(103, 105, 107, 117, 119, 121)로부터 수신된 자동 접속 지원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6액세스 포인트들(103, 105, 107, 117, 119, 121) 중에서 자동 접속 지원 기술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와 네트워크 디스커버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디스커버리는 휴대 단말기(101)와 액세스 포인트 간에 자동으로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연결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동작을 말한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네트워크 디스커버리를 실행함으로써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연결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연결 정보는 휴대 단말기(101)와 액세스 포인트 간에 자동으로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말하며, 해당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된 외부 네트워크의 링크 정보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사업자 정보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방식을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외부 네트워크의 링크 정보는 외부 네트워크의 다운링크 스피드와 다운링크 로드율과 업링크 스피드와 업링크 로드율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되는 BSS 링크 정보와 수신 신호 세기 값과 외부 네트워크의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한다.
이때, 제어부(201)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식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한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할 수 있다.
첫 번째 방식은 외부 네트워크의 다운로드 속도와 BSS의 채널 로드율과 수신 신호 세기 값을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방식이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201)는 수신된 외부 네트워크의 링크 정보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네트워크의 다운로드 속도를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네트워크의 다운로드 속도와 미리 지정된 기준 다운로드 속도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제어부(201)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미리 지정된 기준 다운로드 속도 이상인 외부 네트워크의 다운로드 속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수신된 BSSI 정보들로부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 로드율을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로드율과 미리 지정된 기준 채널 로드율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제어부(201)는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미리 지정된 기준 채널 로드율 이하인 채널 로드율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RSSI 값을 검색하고, 검색된 RSSI 값 중에서 최대 RSSI 값을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최대 RSSI 값에 대응되는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한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한다.
두 번째 방식은 전송 속도를 고려하여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방식이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201)는 BSS 링크 정보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 로드율을 검색하고, 측정된 RSSI 값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RSSI 값을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로드율과 적어도 하나의 RSSI 값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속도를 추정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메모리부(205)는 RSSI 값에 대응되는 전송 속도가 수치화된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201)는 테이블을 이용하여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RSSI 값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속도를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전송 속도와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로드율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속도를 추정한다. 예를 들면, 제1액세스 포인트의 RSSI 값에 대응되는 전송 속도가 30 Mbps이며 제1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로드율이 50%인 경우, 제어부(201)는 RSSI 값에 대응되는 전송 속도와 채널 로드율을 곱하여 제1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전송 속도(15 Mbps)를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수신된 외부 네트워크의 링크 정보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속도를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추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송 속도와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네트워크의 전송 속도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최종 전송 속도를 추정한다. 예를 들면, 제1액세스 포인트(103)에 대한 추정된 전송 속도가 10 Mbps이며 제1액세스 포인트(103)와 연결된 외부 네트워크의 전송 속도가 100 Mbps인 경우, 제어부(201)는 추정된 전송 속도와 외부 네트워크의 전송 속도 중에서 최소 전송 속도를 제1액세스 포인트(103)의 최종 전송 속도(10 Mbps)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네트워크의 전송 속도는 외부 네트워크의 다운링크 속도 또는 업링크 속도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추정된 적어도 하나의 최종 전송 속도 중에서 최대 값을 가지는 최대 최종 전송 속도를 확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최대 최종 전송 속도에 대응되는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한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01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1)는 사용자에 의해 근거리 통신의 실행이 요청되면, 휴대 단말기(101)의 주변에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스캔을 수행한 후, 303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303 단계에서, 제1액세스 포인트(103)는 제1비콘(beacon) 메시지를 전송하고, 305 단계에서, 제2액세스 포인트(105)는 제2비콘 메시지를 전송한 후, 307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제1비콘 메시지는 액세스 포인트 관련 정보와 자동 접속 지원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 관련 정보는 BSS 링크 정보를 포함하고, BSS 링크 정보는 BSS의 네트워크 로드와 채널 로드율과 해당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된 휴대 단말기의 개수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자동 접속 지원 관련 정보는 해당 액세스 포인트가 휴대 단말기(101)의 사용자에 의한 입력 없이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에 자동으로 접속할 수 있는 기술과 관련되는 정보를 말한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이 와이 파이인 경우, 자동 접속 지원 기술은 핫스팟 2.0이라고 일컬어 질 수 있다.
그리고 307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1)는 제1 및 제2비콘 메시지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1 및 제2비콘 메시지들을 기반으로 제1 및 제2액세스 포인트들 중에서 네트워크 디스커버리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확인한 후, 309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디스커버리는 휴대 단말기(101)와 액세스 포인트 간에 자동으로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연결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동작을 말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휴대 단말기(101)는 제1 및 제2액세스 포인트들(103, 117)로부터 제1 및 제2비콘 메시지들을 수신할 때, 제1 및 제2비콘 메시지들 각각에 대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함으로써 제1 및 제2액세스 포인트들(103, 117)들에 대한 RSSI 값들을 생성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1)는 제1 및 제2비콘 메시지들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제1 및 제2액세스 포인트들(103, 117)이 네트워크 디스커버리가 가능하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101)는 제1비콘 메시지를 분석하여 제1비콘 메시지 내에 자동 접속 지원 관련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제1비콘 메시지 내에 자동 접속 지원 관련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101)는 제1액세스 포인트(103)가 자동 접속 지원 기술을 제공하므로 네트워크 디스커버리가 가능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비콘 메시지 내에 자동 접속 지원 관련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휴대 단말기(101)는 제1액세스 포인트(103)가 자동 접속 지원 기술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네트워크 디스커버리가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101)는 제2액세스 포인트(105)가 네트워크 디스커버리가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간단히 설명하기 위해, 제1 및 제2액세스 포인트들(103, 117)이 모두 네트워크 디스커버리가 가능한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309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1)는 네트워크 디스커버리가 가능한 제1 및 제2액세스 포인트들(103, 117)과 네트워크 디스커버리를 실행하고, 311 및 313 단계에서, 제1 및 제2액세스 포인트들(103, 117)을 통해 제1 및 제2정보 서버들(113, 127)로 연결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315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315 단계에서, 제1정보 서버(113)는 연결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1액세스 포인트(103)를 통해 제1연결 정보 메시지를 전송하고, 317 단계에서, 제2정보 서버(127)는 연결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2액세스 포인트(105)를 통해 제2연결 정보 메시지를 전송한 후, 319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319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1)는 제1 및 제2연결 정보 메시지들을 수신하고, 제1 및 제2비콘 메시지들로부터 네트워크 디스커버리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되는 BSS 링크 정보와 RSSI 값을 검색한 후, 321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연결 정보 메시지들 각각은 해당 액세스 포인트의 연결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연결 정보는 휴대 단말기(101)와 액세스 포인트 간에 자동으로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말하며, 해당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된 외부 네트워크의 링크 정보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사업자 정보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방식을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외부 네트워크의 링크 정보는 외부 네트워크의 다운링크 스피드와 다운링크 로드율과 업링크 스피드와 업링크 로드율을 포함한다.
그리고 321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1)는 BSS 링크 정보와 RSSI 값과 제1및 제2연결 정보들을 기반으로 제1 및 제2액세스 포인트들(103, 117)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323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323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1)는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101)는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되는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한다.
한편, 본 발명의 301 내지 303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1)는 비콘 메시지를 통해서 액세스 포인트 관련 정보와 자동 접속 지원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메시지를 통해서 액세스 포인트 관련 정보와 자동 접속 지원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101)는 주변의 액세스 포인트로 프로브(probe)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액세스 포인트 관련 정보와 자동 접속 지원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1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사용자에 의해 근거리 통신의 실행이 요청되면, 휴대 단말기(101)의 주변에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스캔을 수행한 후, 403 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주변에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제1 및 제2액세스 포인트들(103, 117)이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403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제1 및 제2액세스 포인트들(103), 105)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비콘 메시지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비콘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어부(201)는 405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근거리 통신 연결을 종료한다.
만약에, 405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201)는 제1 및 제2비콘 메시지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1 및 제2비콘 메시지들을 기반으로 제1 및 제2액세스 포인트들 중에서 네트워크 디스커버리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확인한 후, 407 단계로 진행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201)는 제1 및 제2액세스 포인트들(103, 117)로부터 제1 및 제2비콘 메시지들을 수신할 때, 제1 및 제2비콘 메시지들 각각에 대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함으로써 제1 및 제2액세스 포인트들(103, 117)들에 대한 RSSI 값들을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제1 및 제2비콘 메시지들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제1 및 제2액세스 포인트들(103, 117)이 네트워크 디스커버리가 가능하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1)는 제1비콘 메시지를 분석하여 제1비콘 메시지 내에 자동 접속 지원 관련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제1비콘 메시지 내에 자동 접속 지원 관련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01)는 제1액세스 포인트(103)가 자동 접속 지원 기술을 제공하므로 네트워크 디스커버리가 가능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비콘 메시지 내에 자동 접속 지원 관련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201)는 제1액세스 포인트(103)가 자동 접속 지원 기술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네트워크 디스커버리가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부(201)는 제2액세스 포인트(105)가 네트워크 디스커버리가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간단히 설명하기 위해, 제1 및 제2액세스 포인트들(103, 117)이 모두 네트워크 디스커버리가 가능한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407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네트워크 디스커버리가 가능한 제1 및 제2액세스 포인트들(103, 117)과 네트워크 디스커버리를 실행한 후, 409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409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제1 및 제2액세스 포인트들(103, 117)을 통해 제1 및 제2정보 서버들(113, 127)로 연결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411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411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연결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적어도 하나의 연결 정보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어부(201)는 413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11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만약에, 413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201)는 제1 및 제2비콘 메시지들로부터 네트워크 디스커버리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되는 BSS 링크 정보와 RSSI 값을 검색한 후, 415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415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BSS 링크 정보와 RSSI 값과 제1및 제2연결 정보들을 기반으로 제1 및 제2액세스 포인트들(103, 117)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417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417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한다. 이때, 제어부(201)는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되는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서 액세스 포인터를 선택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1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수신된 외부 네트워크의 링크 정보들로부터 네트워크 디스커버리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네트워크의 다운로드 속도를 검색한 후, 503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503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네트워크의 다운로드 속도와 미리 지정된 기준 다운로드 속도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제어부(201)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미리 지정된 기준 다운로드 속도 이상인 외부 네트워크의 다운로드 속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확인한 후, 505 단계로 진행한다. 이와 달리,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미리 지정된 기준 다운로드 속도 이상인 외부 네트워크의 다운로드 속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201)는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동작을 종료한다.
그리고 505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수신된 BSSI 정보들로부터 503 단계에서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 로드율을 검색한 후, 507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507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로드율과 미리 지정된 기준 채널 로드율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제어부(201)는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미리 지정된 기준 채널 로드율 이하인 채널 로드율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확인한 후, 509 단계로 진행한다. 이와 달리,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미리 지정된 기준 채널 로드율 이하인 채널 로드율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201)는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동작을 종료한다.
그리고 509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507 단계에서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RSSI 값을 검색하고, 511 단계에서, 검색된 RSSI 값 중에서 최대 RSSI 값을 확인한 후, 513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513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507 단계에서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최대 RSSI 값에 대응되는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한 후, 515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515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서 액세스 포인터를 선택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01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수신된 BSS 링크 정보들로부터 네트워크 디스커버리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 로드율을 검색하고, 측정된 RSSI 값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RSSI 값을 검색한 후, 603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603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로드율과 적어도 하나의 RSSI 값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속도를 추정한 후, 605 단계로 진행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메모리부(205)는 RSSI 값에 대응되는 전송 속도가 수치화된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201)는 테이블을 이용하여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RSSI 값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속도를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전송 속도와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로드율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속도를 추정한다.
예를 들면, 제1액세스 포인트의 RSSI 값에 대응되는 전송 속도가 30 Mbps이며 제1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로드율이 50%인 경우, 제어부(201)는 RSSI 값에 대응되는 전송 속도와 채널 로드율을 곱하여 제1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전송 속도(15 Mbps)를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605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수신된 외부 네트워크의 링크 정보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네트워크의 전송 속도를 검색한 후, 607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607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추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송 속도와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네트워크의 전송 속도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최종 전송 속도를 추정한 후, 609 단계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제1액세스 포인트(103)에 대한 추정된 전송 속도가 10 Mbps이며 제1액세스 포인트(103)와 연결된 외부 네트워크의 전송 속도가 100 Mbps인 경우, 제어부(201)는 추정된 전송 속도와 외부 네트워크의 전송 속도 중에서 최소 전송 속도를 제1액세스 포인트(103)의 최종 전송 속도(10 Mbps)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네트워크의 전송 속도는 외부 네트워크의 다운링크 속도 또는 업링크 속도가 될 수 있다.
그리고 609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추정된 적어도 하나의 최종 전송 속도 중에서 최대 값을 가지는 최대 최종 전송 속도를 확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확인된 최대 최종 전송 속도에 대응되는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한 후, 611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611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에서 우수한 통신 환경을 가지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근거리 통신을 연결함으로써 최적의 통신 품질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외부 네트워크의 링크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에서 우수한 통신 환경을 가지는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근거리 통신을 연결함으로써 최적의 통신 품질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광학 디스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 범위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균등 범위에도 미침은 자명할 것이다.
101: 휴대 단말기 103 내지 107: 액세스 포인터들
109: 제1액세스 라우터 111: 제1인증 서버
113: 제1정보 서버 115: 제1외부 네트워크
117 내지 121: 액세스 포인터들 123: 제2액세스 라우터
125: 제2인증 서버 127: 제2정보 서버
129: 제2외부 네트워크
201: 제어부 203: 표시부
205: 메모리부 207: 입력부
209: 근거리 통신부 211: RF부
213: 데이터 처리부 215: 표시부

Claims (16)

  1. 휴대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부와,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액세스 포인트 접속 관련 정보들과 자동 접속 지원 관련 정보들을 수신하며, 상기 자동 접속 지원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에서 자동 접속 지원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된 정보 서버로부터 연결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접속 관련 정보에 포함된 비에스에스 링크 정보와 수신 신호 세기 값과 상기 연결 정보에 포함된 외부 네트워크의 링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에서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에스에스 링크 정보는 채널 로드율과 해당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된 휴대 단말기의 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연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는 해당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된 외부 네트워크의 링크 정보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사업자 정보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방식을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연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은 서로 다른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연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되는 상기 비에스에스 링크 정보에 포함된 채널 로드율과 상기 외부 네트워크의 링크 정보에 포함된 다운로드 속도와 상기 수신 신호 세기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에서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연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상기 다운로드 속도가 미리 지정된 기준 다운로드 속도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상기 채널 로드율이 미리 지정된 기준 채널 로드율 이하인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최대 수신 신호 세기 값을 가지는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연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되는 상기 비에스에스 링크 정보에 포함된 채널 로드율과 상기 외부 네트워크의 링크 정보에 포함된 전송 속도와 상기 수신 신호 세기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에서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연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되는 상기 수신 신호 세기 값에 대응되는 전송 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전송 속도와 상기 외부 네트워크의 상기 전송 속도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최종 전송 속도를 추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최대 최종 전송 속도를 가지는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연결 장치.
  9. 휴대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액세스 포인트 접속 관련 정보들과 자동 접속 지원 관련 정보들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자동 접속 지원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에서 자동 접속 지원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된 정보 서버로부터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접속 관련 정보에 포함된 비에스에스 링크 정보와 수신 신호 세기 값과 상기 연결 정보에 포함된 외부 네트워크의 링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에서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연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에스에스 링크 정보는 채널 로드율과 해당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된 휴대 단말기의 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연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는 해당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된 외부 네트워크의 링크 정보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사업자 정보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방식을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연결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은 서로 다른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연결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되는 상기 비에스에스 링크 정보에 포함된 채널 로드율과 상기 외부 네트워크의 링크 정보에 포함된 다운로드 속도와 상기 수신 신호 세기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에서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연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상기 다운로드 속도가 미리 지정된 기준 다운로드 속도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상기 채널 로드율이 미리 지정된 기준 채널 로드율 이하인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최대 수신 신호 세기 값을 가지는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연결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되는 상기 비에스에스 링크 정보에 포함된 채널 로드율과 상기 외부 네트워크의 링크 정보에 포함된 전송 속도와 상기 수신 신호 세기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에서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연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되는 상기 수신 신호 세기 값에 대응되는 전송 속도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전송 속도와 상기 외부 네트워크의 상기 전송 속도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최종 전송 속도를 추정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최대 최종 전송 속도를 가지는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연결 방법.
KR1020120130574A 2012-11-16 2012-11-16 휴대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 Ceased KR2014006333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574A KR20140063334A (ko) 2012-11-16 2012-11-16 휴대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
EP13193299.8A EP2733993B1 (en) 2012-11-16 2013-11-1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a local area communication resource in a portable terminal
CN201310577310.5A CN103826290B (zh) 2012-11-16 2013-11-18 用于在便携式终端中连接到局域通信的设备和方法
US14/082,761 US20140140332A1 (en) 2012-11-16 2013-11-1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a local area communication in a portable terminal
US16/431,217 US11212743B2 (en) 2012-11-16 2019-06-04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a local area communication in a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574A KR20140063334A (ko) 2012-11-16 2012-11-16 휴대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334A true KR20140063334A (ko) 2014-05-27

Family

ID=49596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574A Ceased KR20140063334A (ko) 2012-11-16 2012-11-16 휴대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20140140332A1 (ko)
KR (1) KR20140063334A (ko)
CN (1) CN103826290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957B1 (ko) * 2016-02-17 2017-01-10 콘텔라 주식회사 장애 발생한 펨토 기지국 위치 확인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셀 관리 시스템
WO2017095048A1 (en) * 2015-12-04 2017-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elect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based on data traffic rate
WO2018151344A1 (ko) * 2017-02-16 2018-08-23 한국과학기술원 Dqn을 이용한 ap 장치 클러스터링 방법 및 dqn을 이용한 협력 통신 장치
KR20210140894A (ko) * 2020-05-14 2021-11-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무선 통신 네트워크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666B1 (ko) * 2014-01-28 2015-02-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신호 송신 방법 및 데이터 신호 수신 방법
US20150350974A1 (en) * 2014-05-30 2015-12-03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ment for bss transition, load balancing and ap selection
CN105228227A (zh) * 2014-11-24 2016-01-06 东莞市步步高通信软件有限公司 移动终端的选取网络的方法和移动终端
KR102208438B1 (ko) * 2014-11-26 2021-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접 서비스 데이터 송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538441B2 (en) 2014-12-18 2017-01-03 At&T Mobility Ii Llc System and method for offload of wireless network
TWI609591B (zh) * 2015-08-13 2017-12-2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資料傳輸品質管控系統與方法
CN112449305B (zh) * 2019-09-05 2023-03-3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WiFi连接方法、控制方法、移动终端、设备及服务器
CN114466429A (zh) * 2022-03-15 2022-05-10 重庆物奇微电子有限公司 无线接入点的筛选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9571A (ja) * 2003-07-16 2005-02-10 Sony Corp 通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90013180A (ko) * 2006-10-25 2009-02-04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무선 lan 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20076118A1 (en) * 2010-09-29 2012-03-29 Michael Montemurro Methods and apparatus to present network capabilities available via wireless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0443B1 (en) * 1999-05-28 2003-05-06 Nokia Corporation Antenna sharing switching circuitry for multi-transceiver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US20040013790A1 (en) * 2000-08-11 2004-01-22 Gavyn Anderson Oil seed processing
US7020438B2 (en) * 2003-01-09 2006-03-28 Nokia Corporation Selection of access poi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4086667A2 (en) * 2003-03-24 2004-10-07 Strix Systems, Inc. Self-configuring, self-optimiz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KR100603561B1 (ko) * 2004-04-16 2006-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 전력 제어 기반 무선랜 시스템 및 그 송신 전력 제어방법
US8051463B2 (en) * 2004-08-18 2011-11-01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on of configuration information among access point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cross a distribution system (DS)
DE102004040406B4 (de) 2004-08-19 2008-07-31 Nec Europe Ltd.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r Dienstgüte (QoS) in einem drahtlosen Netzwerk
KR20070058475A (ko) * 2004-08-31 2007-06-08 에이티 앤드 티 코포레이션 무선 랜에서 채널들을 할당하는 방법 및 시스템
TWI272857B (en) * 2004-11-23 2007-02-01 Inst Information Industry The method and the system to balance the loading of the access points of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20060264212A1 (en) * 2005-05-20 2006-11-23 Ramesh Sekhar Method and system for a roam-less mobile unit
US8126477B2 (en) * 2005-07-07 2012-02-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devices for interworking of wireless wide area networks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o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US7813738B2 (en) * 2005-08-11 2010-10-12 Extricom Ltd. WLAN operating on multiple adjacent bands
US7602746B2 (en) * 2005-11-04 2009-10-13 Cisco Technology, Inc. Method for optimized layer 2 roaming and policy enforcement in a wireless environment
US8086239B2 (en) * 2006-04-14 2011-12-27 Elmaleh David R Infrastructure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s
US20080320108A1 (en) * 2007-06-20 2008-12-25 Microsoft Corporation Management Policies For Dense Wireless Access Point Infrastructure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7849216B2 (en) * 2007-10-31 2010-12-07 Cisco Technology, Inc. Channel assignment for a multi-channel dual-radio mesh backhaul
US20090124284A1 (en) * 2007-11-14 2009-05-14 Shimon Scherzer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amless broadband internet access to web applications
EP2241138A1 (en) 2008-02-04 2010-10-20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connection to a network
TWI466004B (zh) * 2009-04-17 2014-12-21 Egalax Empia Technology Inc 電阻式多點觸控裝置及方法
KR101433967B1 (ko) * 2009-06-03 2014-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Ap 선택 정보 제공 방법
US8503364B2 (en) * 2009-07-14 2013-08-06 Qualcomm Incorporated Broadcast signaling L1 overload indication
JP4740365B2 (ja) * 2009-10-26 2011-08-03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通信制御プログラム、及びプロセッサ
EP2341738B1 (en) 2009-12-29 2017-03-2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Wi-Fi module operating in a power saving mode and providing an AP function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said terminal
EP2561708B1 (en) * 2010-04-21 2018-11-07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ccess point service capabilities
KR101682385B1 (ko) 2010-05-14 2016-12-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와이파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8427942B2 (en) * 2010-06-03 2013-04-23 Deutsche Telekom A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necting a mobile client to wireless networks
KR101694773B1 (ko) 2010-08-05 2017-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기기에서 무선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장치
US8823494B1 (en) * 2010-11-19 2014-09-02 Logitech Europe S.A.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device connection and pairing
US8514717B2 (en) 2011-01-21 2013-08-20 T-Mobile Usa, Inc. Smart connection manager
US8825064B2 (en) * 2011-08-31 2014-09-02 At&T Mobility Llc Femtocell measurements for merger integration planning
US9078120B2 (en) * 2012-03-02 2015-07-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mobility parameters based on neighboring access points
EP2640131A1 (en) * 2012-03-14 2013-09-18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the propagation of ad-hoc networks
US9292951B2 (en) * 2012-08-22 2016-03-22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Service coverage identific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CN104041139A (zh) * 2012-09-20 2014-09-10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以访问无线局域网络的接入点的接收器和方法
US9497740B2 (en) * 2012-09-28 2016-11-15 Intel Corporation ANDSF parameters for WLAN network selection
CN104718779B (zh) * 2012-10-19 2018-10-19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进行有效通信系统扫描的系统和方法
US9072000B2 (en) * 2012-10-19 2015-06-30 Qualcomm Incorporated Power efficient relay discovery protocol
US9578647B2 (en) * 2013-08-29 2017-02-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3GPP bearer-based QoS model support on WiFi
US10862893B2 (en) * 2018-09-19 2020-12-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for network policy management of foreground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9571A (ja) * 2003-07-16 2005-02-10 Sony Corp 通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90013180A (ko) * 2006-10-25 2009-02-04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무선 lan 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20076118A1 (en) * 2010-09-29 2012-03-29 Michael Montemurro Methods and apparatus to present network capabilities available via wireless network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5048A1 (en) * 2015-12-04 2017-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elect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based on data traffic rate
KR101694957B1 (ko) * 2016-02-17 2017-01-10 콘텔라 주식회사 장애 발생한 펨토 기지국 위치 확인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셀 관리 시스템
WO2018151344A1 (ko) * 2017-02-16 2018-08-23 한국과학기술원 Dqn을 이용한 ap 장치 클러스터링 방법 및 dqn을 이용한 협력 통신 장치
KR20210140894A (ko) * 2020-05-14 2021-11-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무선 통신 네트워크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26290A (zh) 2014-05-28
US20190289540A1 (en) 2019-09-19
US20140140332A1 (en) 2014-05-22
CN103826290B (zh) 2019-03-15
US11212743B2 (en) 202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274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a local area communication in a portable terminal
US103140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terminal
RU2487494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сетью
US12048063B2 (en) Automated subscription management for wireless devices having multiple subscription profiles
KR101698094B1 (ko)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85269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access to electronic devices
KR20110125756A (ko)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와이파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061679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quality calculation method and program
JP6347032B2 (ja) 匿名ペアリングされたデバイスの検出装置および方法
US20190150041A1 (en) Access point handover method and device
CN105453615B (zh) 无线终端、无线终端的搜索处理方法和无线通信系统
WO2022117087A1 (zh) 副链路sl上的定位方法、装置及终端
CN110602738B (zh) 网络连接方法、装置及电子装置
CN108307485B (zh) 无线网络扫描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08882335A (zh) 网络连接方法、装置及电子装置
KR20240089618A (ko) 기준 시그널링 설계 및 구성 매핑
KR20240089625A (ko) 사이드링크에서의 포지셔닝 기준 신호 우선순위 및 제로 전력 신호
KR20240112826A (ko) 사이드링크 전송 및 왕복 시간 포지셔닝
EP273399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a local area communication resource in a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1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1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1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11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