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3263A -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 발효 커피효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 발효 커피효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63263A KR20140063263A KR1020120130425A KR20120130425A KR20140063263A KR 20140063263 A KR20140063263 A KR 20140063263A KR 1020120130425 A KR1020120130425 A KR 1020120130425A KR 20120130425 A KR20120130425 A KR 20120130425A KR 20140063263 A KR20140063263 A KR 201400632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ffee
- fermented
- product
- hours
- enzyme composi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5000013353 coffee beverag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5
- 235000016213 coffe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4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4
- 240000004808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40000007154 Coffea arabic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18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7319 Avena oriental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4000075850 Avena oriental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1844 whole wheat flou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431 forag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6
- 150000008442 polypheno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6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6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RYYVLZVUVIJVGH-UHFFFAOYSA-N caffeine Chemical compound CN1C(=O)N(C)C(=O)C2=C1N=CN2C RYYVLZVUVIJVG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1000001320 Ather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20751 Hypersensi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44000299461 Theobroma cacao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5764 Theobroma cacao ssp. cacao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5767 Theobroma cacao ssp. sphaerocarp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815 allerg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1046 cacaotero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9622 hear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6010003210 Arteri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LPHGQDQBBGAPDZ-UHFFFAOYSA-N Isocaffeine Natural products CN1C(=O)N(C)C(=O)C2=C1N(C)C=N2 LPHGQDQBBGAPD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2000007330 LDL Lipo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07622 LDL Lipo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41000699670 M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2
- MWUXSHHQAYIFBG-UHFFFAOYSA-N Nitric oxide Chemical compound O=[N] MWUXSHHQAYIFB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1092459 Rub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848 Rubus fruticos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1775 arteriosclerosi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772 blood platele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60001948 caffe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VJEONQKOZGKCAK-UHFFFAOYSA-N caffeine Natural products CN1C(=O)N(C)C(=O)C2=C1C=CN2C VJEONQKOZGKC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93 cardio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71 cre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86 lea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68 load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4213 low-f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3516 strok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5285 Allergic Seasonal Rhin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BSYNRYMUTXBXSQ-UHFFFAOYSA-N Aspirin Chemical compound CC(=O)OC1=CC=CC=C1C(O)=O BSYNRYMUTXBXS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645 Atop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899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299 Brassica oleracea var botryt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259 Brassica oleracea var. botry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8365 Celast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460 Coffea arab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289 Dement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688 Lycopersicon esculen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695 Migrain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5395 Muco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89 Panax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5527 Rhizop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5070 Saccharomyc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33293 Sesbania eme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336 Solanum dulcama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768 Solanum lycopers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011 Strok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138 acetylsalicyl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673 asth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58 bitte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21 but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69 central nervous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51 chee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5 dairy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06 disease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82 diur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38 endotheli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64 exci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946 flavonol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HVQAJTFOCKOKIN-UHFFFAOYSA-N flavonol Natural products O1C2=CC=CC=C2C(=O)C(O)=C1C1=CC=CC=C1 HVQAJTFOCKOKI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957 flavon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1 flocc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9 green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887 hydroxy group Chemical group [H]O*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0603 inherited susceptibility to asth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539 instant coffe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73 liquid stock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7599 migrain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50 mutagenesi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03 mutagen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71 mutagen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72 mu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296 neural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418 red dat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095 red w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67 refin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648 relaxation of smooth muscl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0 sol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87 textu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553 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18 yogur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36—Further treatment of dried coffee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coffee
- A23F5/38—Agglomerating, flaking or tabletting or granulat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36—Further treatment of dried coffee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coffee
- A23F5/40—Further treatment of dried coffee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coffee using organic additives, e.g. milk, sugar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6—Yeasts
- A23V2250/762—Saccharomy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Tea And Coffe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효 커피 제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은 효모, 누룩 및 초산균을 이용하여 발효된 커피 발효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를 이용하여 숙성된 발효 커피 제품은 발효 미생물에 의한 유익한 효과는 물론, 맛, 향기, 식감 및 기호도 등에서 기존의 제품과 비교하여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가공식품분야 특히 커피효소 조성물, 커피효소 제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커피는 커피나무의 열매를 볶은 것을 말하며,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고 독특한 향기가 있어 차의 원료로 널리 애용되고 과자나 음료수의 복합 원료로도 많이 사용된다. 커피 중 포함된 카페인 성분은 중추신경을 흥분 활성, 이뇨 활성 및 평활근 이완 활성 등을 가지며, 기관지 천식, 편두통, 신경통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볶은 커피의 경우 침출시 침출량이 적어서 유효 성분이 적고, 인스턴트 커피의 경우 침출량은 많으나 유효성분이 잘 분해되지 않아 많은 성분이 흡수가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침출시 기존의 원두커피보다 더 많은 유효성분이 침출될 수 있고, 쓴 맛이 다소 완화되어 남녀노소 모두 편하게 음용 가능한 발효커피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소득수준의 향상과 이에 따른 생활방식의 다양화, 기호의 다변화 및 건강에의 관심 증폭에 따라 기존의 커피를 대체할 수 있는 영양, 식감 및 맛 등을 포함하는 기호적 측면을 개선한 제품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는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효 커피효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곡식 발효물 및 커피를 포함하는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발효물은 효모, 누룩 및/또는 초산균을 사용하여 발효된 것인,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커피는 커피매스 또는 커피분말 중 하나 이상으로, 상기 곡식 발효물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발효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 식염 0.1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는 물에 효모(Sacchromyces cerevisiae)를 3 내지 9 중량%로 첨가하여 32℃ 내지 40℃에서 36시간 내지 60시간 동안 배양하여 1차 원종을 생산하는 단계; 상기 1차 원종에 누룩을 0.1 내지 0.5 중량% 첨가하여 35℃ 내지 38℃에서 48 내지 80시간 동안 배양하여 2차 원종을 생산하는 단계; 상기 2차 원종에 곡식분말 5 내지 20 중량% 첨가한 후 35℃ 내지 38℃에서 36시간 내지 60시간 동안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곡식을 함유하는 배양액에 0.1 내지 0.3 중량% 초산균을 첨가한 후 20℃ 내지 30℃에서 36시간 내지 80시간 동안 배양하는 단계.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곡식은 쌀, 호밀가루, 통밀가루, 귀리, 및 찹쌀 중 하나 이상인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초산균은 채소 또는 과일 유래의 초산균인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초산균은 채소 유래로, 적채 즙에 복분자를 추가하여 자연발효된 것으로, 상기 자연발효는 28℃ 내지 35℃에서 3 내지 7일간 수행되는 것인,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발효 커피효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곡식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발효물과 커피매스를 혼합하여 1차 혼합 발효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1차 혼합 발효물을 20℃ 내지 40℃에서 36시간 내지 1주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상기 1차 혼합 발효물에 커피 분말을 첨가하여 2차 혼합 발효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혼합 발효물을 20℃ 내지 30℃에서 36시간 내지 60시간 배양 숙성하는 단계.
본 발명은 또한 상기 1차 혼합 발효물에서 상기 커피매스는 상기 발효물 4 내지 10 중량% 양으로 혼합되고, 상기 2차 혼합 발효물에서 상기 커피 분말은 2 내지 5 중량%로 혼합되는 것인, 발효 커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커피효소 조성물은 효모, 누룩 및/또는 초산균을 이용하여 발효된 발효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를 이용하여 숙성된 발효 커피효소 제품은 발효 커피효소에 포함된 폴리페놀 및 미생물에 의한 유익한 효과는 물론, 맛, 향기, 식감 및 기호도 등에서 기존의 제품과 비교하여 월등히 개선된 고품질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그림이다.
본 발명은 곡식 발효물 및 커피를 포함하는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커피효소에 포함된 폴리페놀 및 발효 미생물에 의해 건강에 이롭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페놀은 벤젠고리의 수소 등 하나가 수산기로 치환된 믈질을 페놀이라고 하는데 수산기를 2개 이상 갖고 있는 물질을 폴리페놀, 즉 다가페놀이라고 총칭한다.
여기서 폴리페놀류는 항산화 기능을 가지고 있고, 최근 폴레페놀류가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이 기능이 생체 네여서도 항산화제로 작용함으로써 건강유지와 질병예방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활성산소는 암이나 동맥경화 등 각종 병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작용을 억제하는 것으로 주목받는 성분 중 하나가 폴리페놀이다. 이러한 폴리페놀은 녹차나 적포도주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나 지난 2006년 미국 스크랜토 대학의 빈슨 등에 의하면 다크 커피효소에는 무게 기준으로 이들 보다도 훨씬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토마토의 20배, 마늘의 2배, 포도의 3배 이상인 것으로 보도 되었다. 커피효소의 폴리페놀은 그 원료인 커피로부터 유래하며, 일본 커피 커피효소 협의회 자료에 의하면 커피에 함유된 폴리페놀의 효능은 다음과 같다. 1) 동맥경화 방지 : 카카오 폴리페놀은 동맥경화증을 촉진해 심장병과 뇌졸중을 일으키는 LDL(Low density lipoprotein)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감소시키고 효율적으로 배출되게 하여 고혈압과 동맥경화 억제에 기여한다. 2) 심장 보호작용 및 고혈압 예방: 카카오 폴리페놀은 동맥경화를 방지하는데, 이러한 동맥경화는 뇌졸중이나 심장병과 같은 질병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심장질환의 예방이 기대되는데, 특히 커피제품이 심장 보호작용을 나타내는 또 다른 방법은 혈소판 활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아스피린과 같이 피를 묽게하는 효과가 있다.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다크 커피효소, 커피음료, 혹은 커피플라보놀 보충식품섭취 후 혈소판 활성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더불어 카카오 폴리페놀은 뇌의 주요 부위 혈류를 도와주어 노인성 치매나 뇌졸중 및 혈관질환에도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고 있으며, 혈관 내막의 산화 질소 합성을 조절하여 고혈압 보조제로서의 효과도 있다. 3) 암 예방 효과: 암의 발생기작은 여전히 불분명한 것이 있으나, 정상세포에 변이가 일어나 암세포로 되는 것이 한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변이 원인물질과 동시에 커피 폴리페놀을 첨가한 경우 세포 DNA의 돌연변이가 억제됨이 확인되었다. 4) 스트레스 완화 효과: 신체적으로 스트레스 상태에 있는 마우스에 카카오 폴리페놀 투여시 스트레스에 다시 적응하는 것이 알려졌다. 또 심리적 스트레스에 있어서도 저항력이 강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5) 알레르기에도 효과: 아토피나 화분증 등의 알레르기는 현대병의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으나 마우스에 커피 폴리페놀을 주면 알레르기의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의 과잉 작용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사람의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가 보고되었다.
본 발명의 발효커피효소 조성물은 발효 커피효소라고도 칭할 수 있으며, 여기서 효소란 발효 미생물이 만드는 유익한 물질을 일컫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곡식 발효물은 곡식에 발효균으로 효모, 누룩 및/또는 초산균을 이용하여 발효된 것으로, 액상 및 고상(분말, 동결건조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 구현예에서는 액상으로 곡식 발효액이다. 포함될 수 있는 곡식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쌀, 호밀가루, 통밀가루, 귀리, 찹쌀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 구현예에서는 쌀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누룩이란 당화제와 발효제를 겸비한 미생물 제제로서, 예를 들면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생전분 곡류를 살균하지 않고 적정량의 수분을 혼합하고, 이를 일정한 크기로 성형한 후 적정한 온도와 습도를 갖춘 누룩실에서 발효된 자연 상태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때 공기 중에 존재하는 많은 종류의 미생물이 서식하게 되어, 효모, 세균 등 다양한 미생물을 포함한다. 누룩의 당화력을 담당하는 미생물은 스퍼질러스 (Spergillus spp), 리조퍼스 (Rhizopus spp.), 무코르(Mucor spp.), 아드시디아(Adsidia spp.), 모나서스 (Monasus spp.) 등의 곰팡이이며, 여러 종류의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 spp.)도 발효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누룩은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된 것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서 누룩의 주 곰팡이는 스퍼질러스 오리자에 (Spergillus oryzae) 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곡식 발효물은 효모를 포함하는 1차 원종, 여기에 누룩을 첨가한 2차 원종 및 초산균을 이용하여 발효된 것이다.
한 구현예에서, 상기 1차 원종은 식염을 포함하는 물에 효모(Sacchromyces cerevisiae)를 첨가한 후 일정 온도에서 배양 숙성되어 생산되고, 상기 2차 원종은 상기 1차 원종에 누룩을 첨가한 후 일정 온도에서 배양 숙성되어 생산될 수 있다. 1차 원종에서 효모는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3 내지 9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 구현예에서는 약 5 중량%가 사용된다. 상기 식염은 효모의 생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0.1 내지 1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한 구현예에서는 0.2 중량%의 양이 사용된다.
상기 1차 원종은 약 35℃ 내지 38℃, 특히 37℃, 습도 약 90 내지 130%에서, 특히 120%, 약 36 시간 내지 60시간, 특히 48시간 배양된다. 한 구현예에서는 48시간 숙성된다. 바람직한 경우 1차 원종의 산도 (pH)를 조절할 수 있으며, 효모의 생장에 따라 pH가 낮아지는 경우, 식염을 적정량 첨가함으로서 생장을 조절하여 pH를 조절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1차 원종의 pH는 5 내지 6의 범위로 유지된다. 예를 들면 식염 0.2 중량%로 첨가하여 pH를 5 내지 6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2차 원종은 상기 1차 원종에 누룩을 약 0.1 내지 0.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한 구현예에서는 0.2 중량%가 포함된다. 누룩은 사용 전에 물에 풀어 당화시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5 중량% 누룩을 포함하는 물을 60℃에서 72시간 당화시켜 사용할 수 있다. 2차 원종은 약 35℃ 내지 38℃, 특히 37℃, 습도 약 90 내지 130%에서, 특히 120%, 약 36 시간 내지 60시간, 특히 48시간 숙성된다.
상기 2차 원종에 곡식분말을 추가할 수 있다. 포함될 수 있는 곡식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쌀, 호밀가루, 통밀가루, 귀리, 찹쌀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 구현예에서는 쌀이 사용된다. 곡식은 그대로 갈아서 또는 불린 상태에서 갈아서 사용할 수 있다. 한 구현예에서는 불린 쌀을 갈아서 사용한다. 상기 곡식가루는 약 10 내지 20 중량%로 첨가될 수 있으며, 첨가 후 20℃ 내지 30℃에서 , 특히 25℃에서 36 내지 60시간, 특히 48시간 동안 배양된다.
본 발명의 초산균은 다양한 유래로 예를 들면 과일 또는 채소 유래일 수 있다. 한 구현예에서는 채소 유래이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적채(붉은꽃 양배추)유래로, 적재 즙에 복분자를 추가하여 자연발효된 발효물에서 추출한 것이다.
자연발효란 일체의 첨가물을 추가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발효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복분자를 포함하는 적체 즙을 약 25℃ 내지 35℃에서 약 3 내지 5일간 발효하는 것이다. 상기 적재즙 1L에 복분자를 2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추가할 수 있다. 자연발효된 복분자 발효물을 그 상태에서 또는 발효물에 포함된 균을 거즈나 삼배 등을 이용하여 걸러 사용한다. 초산균은 발효된 2차 원종에 약 0.1 내지 0.3 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한 구현예에서는 0.1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곡식 발효물은 액상의 스톡으로 제조되어 종래의 커피 제품 (커피)와 혼합될 수 있다. 기존의 커피 제품(커피)이란 예를 들면 커피 매스, 커피 분말, 커피효소, 커피효소 액, 저지방 커피 분말 및 탈지된 커피 분말 (또는 커피 매스)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에 포함되는 커피의 양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사용되는 최종 커피효소 제품, 사용되는 커피 제품의 종류 또는 기타 혼합물의 사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커피 제품은 곡식 발효물에 대하여 약 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한 구현예에서는 약 7 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발효 커피효소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커피효소 조성물은 커피효소 제품으로 제형화하기 위하여 추가의 성분 예를 들면 커피 버터 및 기타 천연생크림, 기타 홍삼, 복분자, 목장형 숙성치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품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밀크 커피효소 제품, 다크 커피효소 제품, 세미스위트(semisweet) 또는 달콤씁쓸한(bittersweet) 커피효소 제품, 커피효소 향 제품, 커피효소 과자류, 커피효소 향 과자류, 음료, 커피효소 음료, 커피효소 향 음료, 유제품, 요구르트, 식이 보충제, 커피효소 코팅된 제품, 저지방 커피효소 제품 또는 저설탕 커피효소 제품 또는 무가당 커피 제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곡식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발효물과 커피 매스를 혼합하여 1차 혼합 발효물을 생성하여 전발효하는 단계; 상기 1차 혼합 발효물에 커피 분말을 첨가하여 2차 혼합 발효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2차 혼합 발효물을 배양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곡식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발효물과 커피 매스를 혼합하여 1차 혼합 발효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1차 혼합 발효물을 약 20℃ 내지 40℃에서 약 36시간 내지 1주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상기 1차 혼합 발효물에 커피 분말을 첨가하여 2차 혼합 발효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혼합 발효물을 약 20℃ 내지 30℃에서 약 36시간 내지 60시간 배양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구현예에서, 상기 1차 혼합 발효물은 약 25℃에서 48시간 배양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1차 혼합발효물은 약 25℃에서 48시간 배양된다. 본 방법에서 상기 순서는 위에 기재된 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 바뀔 수 있다.
곡식 발효물의 특징 및 제조 방법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1차 혼합 발효물에서 상기 커피매스는 상기 발효물에 대하여 약 4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혼합되고, 상기 2차 혼합 발효물에서 상기 커피 분말은 약 2 내지 5 중량%로 혼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곡식 발효액의 제조
정제수 1리터에 술에서 추출한 효모를 5 중량%로 접종하여, 37℃, 습도 120%의 환경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1차 원종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된 누룩균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불린쌀을 고두밥으로 쪄내어 누룩균과같이 버무려 덩어리를 빚는다. 상기 뭉친 쌀덩어리를 베보자기로 싸서 이틀에 한번씩 뒤집어 주면서 37℃에서 4~7일간 발효하도록 두었다. 발효된 누룩은 갈아서 사용하였다. 제조된 누룩은 사용 전에 누룩 1kg에 물 4리터를 첨가하여 60℃에서 72시간 동안 당화하였다. 당화된 누룩을 상기 1차 원종에 에 0.2중량% 첨가하여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제2 원종을 제조하였다. 배양기간 동안 pH 페이퍼를 사용하여 pH를 확인하고 불린 식염을 2 중량% 첨가하여 pH를 5 내지 6으로 유지하였다. 이어 상기 2차 원종에 쌀가루를 10 중량% 첨가한 후 37℃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이어 상기 곡식 발효물에 초산균을 0.1 중량% 추가하여 25℃에서 72시간 동안 발효하였다. 초산균은 복분자를 포함하는 적채즙에 추가하여 자연발효시켜 제조하였다. 적채즙은 적채를 생으로 갈아 압출로 착즙하였으며, 적채즙 100ml에 복분자 50g을 혼합한 후 30℃에서 5일간 자연발효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초산균은 삼베보자기로 3번 걸러 초산균을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곡식 발효액 150ml에 커피 매스(Callebaut사 제품) 6g를 혼합한 후 25℃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1차 혼합 발효물을 생산하였다. 이어서 여기에 커피파우더 (Callebaut사 제품)를 3 중량% 첨가하여 2차 혼합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2차 혼합 발효물을 25℃에서 48시간 배양 숙성하여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은 사용시까지 4℃에서 보관하였다. 최장 5개월까지 보관할 수 있다.
실시예
3.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을 이용한 커피효소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 커피효소 (Callebaut사 제품), 및 커피크림을 각각 25중량%, 55중량% 및 20 중량%로 섞어 45℃에서 혼합한 후, 냉각하여, 6℃에서 72시간 동안 숙성하여 발효 커피효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발효 커피효소에 대하여 맛/향, 식감(입안에서의 느낌 포함), 전체적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를 5점 평점법 (5점 = 아주 좋음; 4점 = 좋음; 3점 = 보통; 2점 = 나쁨; 1점 = 아주 나쁨)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관능검사는 남녀 평가요원 각 100 명씩을 대상으로 시험하였고 값은 평균으로 나타냈다. 대조군으로는 발효되지 않은 일반 시중에서 판매되는 커피효소를 사용하였다.
항목 | 맛 | 향 | 식감 | 전체적 기호도 |
발효 커피효소 | 4.5 | 4.5 | 4.5 | 4.7 |
대조군 1 | 3.9 | 3.2 | 3.1 | 3.0 |
대조군 2 | 3.2 | 4.0 | 4.2 | 3.7 |
대조군 3 | 3.2 | 1.5 | 1.8 | 2.2 |
Claims (10)
- 곡식 발효물 및 커피를 포함하는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물은 효모, 누룩 및 초산균을 사용하여 발효된 것인,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는 커피매스 또는 커피분말 중 하나 이상으로, 상기 곡식 발효물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발효 초콜릿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
식염 0.1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는 물에 효모 (Sacchromyces cerevisiae)를 3 내지 9 중량%로 첨가하여 32℃ 내지 40℃에서 36시간 내지 60시간 동안 배양하여 1차 원종을 생산하는 단계;
상기 1차 원종에 누룩을 0.1 내지 0.5 중량% 첨가하여 35℃ 내지 38℃에서 48 내지 80시간 동안 배양하여 2차 원종을 생산하는 단계;
상기 2차 원종에 곡식분말 5 내지 20 중량% 첨가한 후 35℃ 내지 38℃에서 36시간 내지 60시간 동안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곡식을 함유하는 배양액에 0.1 내지 0.3 중량% 초산균을 첨가한 후 20℃ 내지 30℃에서 36시간 내지 80시간 동안 배양하는 단계.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곡식은 쌀, 호밀가루, 통밀가루, 귀리, 및 찹쌀 중 하나 이상인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초산균은 과일 또는 채소 유래의 초산균인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초산균은 채소유래로, 적채즙에 복분자를 추가하여 자연발효된 것으로, 상기 자연발효는 28℃ 내지 35℃에서 3 내지 7일간 수행되는 것인,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발효 커피.
- 곡식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발효물과 커피 매스를 혼합하여 1차 혼합 발효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1차 혼합 발효물을 20℃ 내지 40℃에서 36시간 내지 1주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상기 1차 혼합 발효물에 커피 분말을 첨가하여 2차 혼합 발효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혼합 발효물을 20℃ 내지 30℃에서 36시간 내지 60시간 배양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혼합 발효물에서 상기 커피매스는 상기 발효물 4 내지 10 중량% 양으로 혼합되고, 상기 2차 혼합 발효물에서 상기 커피 분말은 2 내지 5 중량%로 혼합되는 것인,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0425A KR20140063263A (ko) | 2012-11-16 | 2012-11-16 |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 발효 커피효소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0425A KR20140063263A (ko) | 2012-11-16 | 2012-11-16 |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 발효 커피효소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3263A true KR20140063263A (ko) | 2014-05-27 |
Family
ID=50891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0425A Withdrawn KR20140063263A (ko) | 2012-11-16 | 2012-11-16 |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 발효 커피효소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63263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86619A (ko) * | 2017-01-23 | 2018-08-01 | (주)뉴인사이트 | 커피 생두 혼합물 |
KR20180086620A (ko) * | 2017-01-23 | 2018-08-01 | (주)뉴인사이트 | 발효 커피 생두의 제조방법 |
KR102121244B1 (ko) * | 2019-08-21 | 2020-06-10 | 황준근 | 발효커피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발효커피 및 이에 사용되는 커피누룩소금 제조방법 |
CN114794285A (zh) * | 2022-03-22 | 2022-07-29 | 雅迪香料(广州)有限公司 | 一种植物基功能发酵咖啡饮料及其制备工艺 |
-
2012
- 2012-11-16 KR KR1020120130425A patent/KR20140063263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86619A (ko) * | 2017-01-23 | 2018-08-01 | (주)뉴인사이트 | 커피 생두 혼합물 |
KR20180086620A (ko) * | 2017-01-23 | 2018-08-01 | (주)뉴인사이트 | 발효 커피 생두의 제조방법 |
KR102121244B1 (ko) * | 2019-08-21 | 2020-06-10 | 황준근 | 발효커피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발효커피 및 이에 사용되는 커피누룩소금 제조방법 |
CN114794285A (zh) * | 2022-03-22 | 2022-07-29 | 雅迪香料(广州)有限公司 | 一种植物基功能发酵咖啡饮料及其制备工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3459B1 (ko) | 발효 초콜릿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효 초콜릿 및 그 제조방법 | |
CN103243036B (zh) | 纯天然酵母粉的制备方法 | |
KR101439521B1 (ko) | 수수 막걸리 및 그의 제조방법 | |
KR20200065497A (ko) | 복합 발효를 이용한 gaba 증진된 대추 발효물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40063263A (ko) |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 발효 커피효소 및 그 제조방법 | |
KR20170054361A (ko) |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커피원두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584690B1 (ko) | 곡물 발효액을 이용한 아이스크림의 제조 방법 | |
KR101923571B1 (ko) |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쉰다리 제조 방법 | |
Hashimoto et al. | Fermentation-mediate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quality of plant-based foods: from waste to a new food | |
KR101439518B1 (ko) | 수수 막걸리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448544B1 (ko) | 과일 발효식품 및 그 제조방법 | |
KR102549244B1 (ko) | 한라봉 빵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한라봉 빵 | |
KR101373000B1 (ko) | 고추 막걸리의 제조방법 | |
KR101446198B1 (ko) | 기능성 막걸리 제조방법 | |
KR102333230B1 (ko) | 산수유 쌀머핀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776794B1 (ko) | 무당 발효 초콜릿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JP5668258B2 (ja) | エゴマの葉マッコリ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755119B1 (ko) | 발효쌀 모시잎떡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발효쌀 모시잎떡 | |
KR20150112435A (ko) |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커피원두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695927B1 (ko) | 조청이 첨가된 막걸리의 제조방법 | |
KR101954348B1 (ko) | 커피 생두 혼합물 | |
KR101784091B1 (ko) | 베리류를 함유하는 발효유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발효유 | |
KR101880239B1 (ko) | 젖산발효물을 이용한 쑥식초 및 그 제조방법 | |
KR102486436B1 (ko) | 두유와 발효쌀 분말을 이용한 식물성 그릭요거트 제조방법 | |
KR101731411B1 (ko) | 홍매실을 이용한 발아현미 홍매실흑초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