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1602A - Commuter bus reserv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 Google Patents
Commuter bus reserv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61602A KR20140061602A KR1020120127903A KR20120127903A KR20140061602A KR 20140061602 A KR20140061602 A KR 20140061602A KR 1020120127903 A KR1020120127903 A KR 1020120127903A KR 20120127903 A KR20120127903 A KR 20120127903A KR 20140061602 A KR20140061602 A KR 201400616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servation
- information
- bus
- terminal
- boar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Remote Sensing (AREA)
- Econom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기승차 버스 시스템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으로 탑승자들의 예약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regular boarding bus reserv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reservation of passengers more efficiently in a regular boarding bus system.
일반적으로 대중교통, 특히 고속 내지 시외 버스를 이용하여 이동을 하는 경우, 이용자는 일정에 해당하는 날짜와 시간에 따라 티켓을 발권 받아야 한다. 한편, 시내 버스의 경우 이용자는 정해진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렸다가 탑승한다.Generally, in case of moving using public transportation, especially high-speed or intercity bus, the user must be issued a ticket according to the date and time corresponding to the schedul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city bus, the user waits for the bus at a predetermined stop and then aboard.
대중교통 이용자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예약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중교통 이용자는 시간, 정류장, 및 좌석 등을 선택하여 예약하고 탑승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예약 방법은 예약 후 미탑승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 For convenience of public transportation users, various reservation methods are disclosed, and public transportation users can select and reserve time, stop, and seat. However, this reservation method does not consider the case of non-boarding after reservation.
한편, 정기승차 버스 시스템은 대중교통의 버스의 시스템과는 다른 방식으로 운영된다. 정기승차 버스란 원거리 대학 캠퍼스의 통학버스 또는 기업의 통근버스와 같이 등록된 이용객을 대상으로 운영되며, 지정된 승차장을 왕복하는 버스를 지칭한다. 정기승차 버스 시스템에서는 고정된 이용자가 고정된 버스 노선을 이용하게 된다. 기존의 정기승차 버스 시스템에서는 좋은 좌석을 이용하기 위해서 이용자들이 오랜 시간 정류장에서 줄을 서서 버스를 기다려야 하므로, 피곤함, 시간의 낭비가 있었다. 정기승차 버스의 경우에는 이용자들이 매일 2회씩 이용해야 하므로 이러한 어려움은 매일 반복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gular boarding bus system operates in a different way from the bus system of public transportation. Regular boarding buses are buses that are operated for registered users, such as buses for commuting on a remote university campus or commuter buses for corporations, and return buses to designated bus stops. In the regular bus system, fixed users use fixed bus routes. In order to utilize a good seat in a conventional bus system, users have to wait in a line for a long time to wait for a bus, resulting in fatigue and waste of time. In the case of regular buses, users have to use them twice a day, and this difficulty is repeated every day.
나아가, 기존의 대중교통 예약 시스템을 정기승차 버스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정기승차 버스의 특수성에 비추어 예약자가 탑승하지 않는 경우 예약 관리 및 이용자의 혼란을 가중시키게 된다.Furthermore, when the existing public transportation reservation system is applied to the regular bus, the reservation management and the user's confusion will be increased if the reservation person does not board in view of the special nature of the regular bus.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인터넷을 이용한 대중교통 예약 및 도착지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특허공개번호 제 10-2010-0027534호)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ublic transportation reservation and destination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27534)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정기승차 버스 관리에 있어서 전술한 이용자들의 시간 낭비 및 피곤함을 해소하는 예약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동시에, 다른 과제는 정기승차 버스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예약자가 미탑승하는 경우에도 다른 이용자들이 탑승 가능하도록 하는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servation management system that eliminates time-consuming and fatigue of the above-mentioned users in the regular bus ride management. At the same time, another task is to provide a regular boarding bus reserv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wing other users to board a bus even in the case where a reservation person does not ride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ity of the bus.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정기승차 버스의 운영 특수성을 고려하여, 정기승차 버스 이용자들의 이용시간 예측과 차량 배차등, 보다 정확한 수요예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gular ride bus reservation management device capable of providing more accurate demand forecast information such as a use time prediction of a regular ride bus user and a vehicle dispatch,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장치는 예약 디바이스 및 버스 단말기와, 버스 예약과 연관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버스 예약과 연관된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버스 예약과 연관된 정보를 예약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버스 예약과 연관된 정보를 버스 단말기에 송신하고, 버스의 출발시각 전의 미리 결정된 시각까지 버스 단말기로부터 탑승 정보를 미수신한 경우, 버스 예약과 연관된 정보 중 미탑승 예약에 대해서 예약 취소정보를 생성하고, 예약 취소정보를 예약 디바이스 및 버스 단말기에 송신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managing regular bus ride reservation, comprising: a reservation device and a bus terminal;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bus reservation; And a control unit for process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bus reserva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bus reservation from the reservation device via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bus reservation to the bus terminal, When the boarding information is not received from the bus terminal until the determined time, the reservation canceling information is generated for the non-boarding reservation amo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bus reservation, and the reservation cancel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reservation device and the bus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장치의 버스 예약과 연관된 정보는 예약 노선정보, 예약 시간정보, 및 예약 좌석정보를 포함한다.Th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bus reservation of the regular boarding bus reservation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servation route information, reservation time information, and reservation reserv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장치의 버스 예약과 연관된 정보는 예약 노선정보 및 예약 시간정보를 포함하고, 예약 노선정보 및 예약 시간정보는 미리 결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다.Th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bus reservation of the regular boarding bus reservation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servation route information and reservation time information, and reservation route information and reservation time information are generated based on predetermined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장치의 미리 결정된 정보는 수업시간과 연관된 정보 또는 출퇴근과 연관된 정보이다.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of the regular boarding bus reservation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class time or information related to commu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장치의 버스 예약과 연관된 정보는 예약 디바이스의 GPS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다.Th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bus reservation of the regular boarding bus reservation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GPS receiver of the reservation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장치의 통신부는 예약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예약 취소정보를 수신하고, 버스 단말기에 예약 취소정보를 송신한다.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regular boarding bus reservation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reservation cancell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reservation device and transmits the reservation cancellation information to the bus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예약 방법은 디바이스로부터 버스 예약과 연관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버스 단말기로 버스 예약과 연관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버스의 출발시각 전의 미리 결정된 시각까지 버스 단말기로부터 탑승정보를 미수신한 경우, 버스 예약과 연관된 정보 중 미탑승 예약에 대해서 예약 취소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예약 취소정보를 버스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us reservation management method for a bus, comprising: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bus reservation from a device; Transmitt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bus reservation to a bus terminal; Generating reservation cancellation information for un-boarding reservation amo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bus reservation when the boarding information is not received from the bus terminal until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departure time of the bus; And transmitting reservation cancel information to the bus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방법의 버스 예약과 연관된 정보는 예약 노선정보, 예약 시간정보, 및 예약 좌석정보를 포함한다.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bus reservation of the regular ride bus reserv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servation route information, reservation time information, and reservation reserv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방법의 버스 예약과 연관된 정보는 예약 노선정보 및 예약 시간정보를 포함하고, 예약 노선정보 및 예약 시간정보는 미리 결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다.Th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bus reservation of the regular ride bus reserv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servation route information and reservation time information, and reservation route information and reservation time information are generated based on predetermined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방법의 미리 결정된 정보는 수업시간과 연관된 정보 또는 출퇴근과 연관된 정보이다.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of the routine ride bus reserv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class time 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mmu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방법의 버스 예약과 연관된 정보는 예약 디바이스의 GPS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다.Th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bus reservation of the regular boarding bus reserv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GPS receiver of the reservation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방법은 예약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상기 예약 취소정보를 수신하고, 버스 단말기에 예약 취소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method of managing a regular boarding b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receiving the reservation cancel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reservation device and transmitting the reservation canceling information to the bus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즉, 본 발명의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정기승차 버스에 예약제를 도입함으로써, 기존의 정기승차 버스의 이용자들이 느끼던 시간 낭비 및 피곤함을 해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regular boarding bus reserv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ime-consuming and fatigue that users of conventional regular buses feel by introducing a reservation system to the regular boarding bus.
또한,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에 있어서 미탑승 예약자를 확정한 후, 예약자 미탑승 좌석에 대해서 다른 이용자들이 이용하게 할 수 있어 효율적인 정기승차 버스의 예약 및 탑승을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confirming the non-boarding reservation in the regular boarding bus reservation management, the non-boarding seat can be made available to other users so that the reservation and boarding of the regular boarding bus can be managed effectively.
또한, 정기승차 버스를 운영하는 입장에서, 정기승차 버스의 이용시간을 조사하여 배차에 반영하고, 차량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정확한 승차자 집계 및 예약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operating the regular boarding bus, the use time of the regular boarding bus can be investigated and reflected in the dispatching, the vehicle management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and accurate bus compilation and reservation status can be grasped.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승차 버스 예약을 위한 예약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승차 버스 예약을 위한 버스 단말기 및 관리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승차 버스 예약을 위한 예약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UI(user interface)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승차 버스 예약 및 탑승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bus reservation management system for a regular boar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reservation device for reservation of a regular boarding b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bus terminal and a management terminal for reservation of a regular boarding b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UI (user interface) of a reservation device for reservation of a regular boarding b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of a regular boarding bus reservation and boar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each block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specified logical function (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implementations,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e blocks may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shown in succession may actually be execut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the block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ny one element 'transmits' data or signals to another element, the element can transmit the data or signal directly to the other element, and through at least one other element Data or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another component.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시스템(100)은 예약 디바이스(10), 관리 단말기(20), 버스 단말기(30), 및 개인식별개체(40) 를 포함할 수 있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bus reservation management system for a regular boar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regular boarding bus
본 명세서에서 '정기승차 버스'란 대학교의 장거리 통학자들을 위한 통학버스 또는 기업의 장거리 통근자들을 위한 버스를 의미한다. 정기승차 버스에서 정류장 및 노선은 운영 대학교 또는 기업에 의해 지정된다. 이용자들에게는 정기승차 버스를 이용하기 위해 등록 및 전용카드 또는 매체가 발급될 수 있다. 정기승차 버스에서는 버스에 탑승시 등록된 정기승차 버스 이용자인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미등록된 탑승자는 이용이 제한될 수도 있다. As used herein, the term " regular ride bus " means a bus for long distance commuters of a university or a bus for long distance commuters of an enterprise. Bus stops and routes are designated by the operating university or company. Registered and dedicated cards or media can be issued to users to use regular buses. In regular buses,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passenger is a regular bus user registered when boarding the bus, and the use of unregistered passengers may be restricted.
정기승차 버스에서는 미리 요금을 납부하고 금액을 차감하는 방식, 탑승 횟수가 차감되는 방식 또는 년/월로 이용기간이 정해진 정기권을 이용하는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In the regular bus, a method of paying the fee in advance and deducting the amount of money, a method of reducing the number of boarding times, or a method of using a commuter pass for which the use period is determined as a year / month may be used.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시스템(100)은 예약 디바이스(10)의 이용자가 예약 디바이스(10)를 이용하여 관리 단말기(20)를 통해 정기승차 버스의 좌석을 예약하고, 관리 단말기(20)는 예약정보 등을 버스 단말기(30)에 전송하고, 버스 단말기(30)는 개인식별개체(40)를 이용하여 수집된 예약자 탑승정보를 관리 단말기(20)에 전송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시스템(100)은 예약 디바이스(10)와 관리 단말기(20) 사이에서 버스이용정보, 즉 이용자 등록정보, 요금정보, 노선정보, 좌석정보, 예약정보, 예약취소정보 또는 그 조합이 전송됨으로써 구현된다.The regular boarding bus
이용자 등록정보란 이용자가 정기승차 버스의 이용자로 등록한 경우, 그 이용자와 연관된 정보를 의미한다. 이용자 등록정보는 이용자의 이름, 학번/사번, 기타 식별번호, 지불금액/노선, 예약 취소 횟수, 선호 탑승시간/승차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 등록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용자 정보는 학번/사번, 지불금액/노선 등과 같이 정기승차 버스의 이용을 위해 반드시 요구되는 정보 및 선호 탑승시간/정류장, 예약 취소 횟수 등과 같이 실질적인 탑승 정보관련 정보와는 무관하게 정기승차 버스 관리 측면에서 요구되는 정보로 분류될 수 있다. The user registration information means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user when the user is registered as a user of the regular boarding bus. The user registr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the user's name, student number / number, other identification number, payment amount / route, number of reservation cancellation, preferred boarding time / boarding place, and the like. The user registration information may be composed of various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user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required for use of the regular bus, such as student number / number, payment amount / route, preferred boarding time / It can be classified as information required in terms of the regular bus ride management regardless of the actu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boarding information.
요금정보는 이용자가 정기승차 버스에 대한 요금 지불과 관련한 정보를 의미한다. 요금정보는 월/년/학기 별 정기 이용요금정보, 일일요금정보, 또는 충전금액, 후불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는 월/년/학기 단위로 요금을 결재할 수 있으며, 일 단위로도 결제 가능하다. 또한, 이용자는 미리 금액을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용자가 충전금액을 초과하는 금액을 결제하는 경우 후불로 정산할 수 있도록 후불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The fare information mean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ayment of the fee for the regular boarding bus by the user. The charge information may include monthly charge / charge / charge information, monthly charge information, monthly charge information, and deferred charge amount. The user can pay the monthly fee / month / year / semester, and can pay on a daily basis. In addition, the user can charge the amount in advance and use the postpaid amount so that the user can settle the postpaid amount when the user pays the amount exceeding the charge amount.
노선정보란 버스차량의 노선에 대한 정보 및 버스가 정류하고 이용자들이 탑승하는 승차장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좌석정보란 이용자들이 착석하는 좌석의 번호를 의미한다. 예약정보 및 예약취소정보란 이용자가 정기승차 버스를 탑승하기 위해 미리 노선/시간/좌석을 예약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약정보 및 예약취소정보에 대해서는 정기승차 버스 예약에 대한 순서도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Route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about routes of bus vehicles and information about bus stops where buses are commuter and users board. The seat information means the number of the seat in which the users are seated. The reservation information and the reservation cancellation information are information for reserving the route / time / seat in advance for the user to ride the regular bus, and the reservation information and the reservation cancellation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explanation of the flowchart of the regular bus reservation .
예약 디바이스(10)는 정기승차 버스의 이용자가 버스차량을 예약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예를 들어, 예약 디바이스(10)는 스마트폰, 컴퓨터, 렙톱 컴퓨터, 키오스크 장치, 네비게이션 장치, 또는 테블릿 PC 단말기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예약 디바이스(10)를 스마트폰, 키오스크 장치, 및 데스크톱 컴퓨터로 도시하였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약 디바이스(10)가 스마트폰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약 디바이스(10)가 하나인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시스템(100)에서는 복수의 예약 디바이스(10)가 채용되어 복수의 예약 디바이스(10)가 포함될 수 있다.The
예약 디바이스(10)는 통신부, 프로세서, 메모리, 입력부, 출력부, 및 GPS모듈을 포함하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한다. 관리 단말기(2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관리 단말기(20)는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시스템의 운영 장소에 배치되는 단말기로서, 예를 들어, 고정 단말기일 수 있다. 관리 단말기(20)가 고정 단말기인 경우, 데스크탑 컴퓨터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관리 단말기(20)가 고정 단말기로서 데스크탑 컴퓨터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나, 관리 단말기(20)는 이동 단말기로서 랩탑 등일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시스템(100)에 관리 단말기(20)가 하나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시스템(100)에서는 하나의 운영 장소에 복수의 관리 단말기(20)가 포함될 수도 있다.The
관리 단말기(20)는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시스템(100)의 운영과 관련된 각종 정보와 이용자 등록, 예약 디바이스(10) 또는 버스 단말기(30)를 각각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관리한다. 인증정보는 발명의 구현에 따라 시스템 서버의 다른 구성을 통해서 관리될 수도 있다.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시스템(100)은 관리 단말기(20)를 통하여 예약 디바이스(10) 또는 버스 단말기(30)를 등록 또는 인증한다. 즉, 예약 디바이스(10)는 관리 단말기(20)를 통해 등록 이용자인지 여부를 먼저 인증 받고, 관리 단말기(20)로부터 노선정보 등을 수신한다. 예약 디바이스(10)는 노선, 시간, 및 좌석에 대한 예약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예약정보를 관리 단말기(20)에 송신한다.The
관리 단말기(20)는 예약 디바이스(10)로부터 예약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인증한 후, 예약 설정된 버스의 버스 단말기(30)를 검색하고, 검색된 버스 단말기(30)에 예약정보를 송신한다.The
관리 단말기(20)를 통한 상술된 예약 디바이스(10) 및 버스 단말기(30) 사이의 인증 작업은 이하에 기재된 모든 송수신 단계에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략한다.The authentication operation between the above-described
관리 단말기(20)는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시스템(100) 이용에 필요한 데이터 및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시스템 이용에 필요한 데이터 및 관련 프로그램은 웹 페이지(webpage),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커스터마이징된 프로그램(customized programs)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관리 단말기(20)는 송수신되는 이용자 등록정보, 요금정보, 노선정보, 좌석정보, 배차정보, 예약정보, 예약취소정보 등을 포함하는 버스이용정보를 관리하고, 버스이용정보를 예약 디바이스(10) 또는 버스 단말기(30)에 제공한다. 관리 단말기(20)는 운영자에게 노선별 예약현황, 승차현황, 기간/노선 단위로 정기승차 버스 승차통계, 및 차량의 운행경로와 현재 위치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관리 단말기(20)는 개인식별개체 리더기, 통신부, 제어부, 메모리, 입력부, 및 출력부를 포함하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한다. 관리 단말기(2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he
관리 단말기(20)는,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시스템(100)에서의 시스템 정보, 이용자 등록정보, 요금정보, 노선정보, 좌석정보, 배차정보, 예약정보, 예약취소정보 등이 제공되고 관리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한다. 관리 단말기(20)가 사용할 수 있는 로컬 데이터 베이스 또는 원격지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는, 예를 들어, 오라클(Oracle), 디베이스(dBASE), 디비투(DB2), 사이베이스(Sybase), 엠와이시퀄(mySQL), 엠시퀄(mSQL), 오디비씨(ODBC), 마이크로소프트 액세스(MS Access), 에스큐엘 서버(SQL Server) 또는 인포믹스(Infomix) 중 하나일 수 있다.The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관리 단말기(20)를 하나의 모듈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하에서 설명될 관리 단말기(20)의 다양한 기능은 복수의 모듈에서 실행되고, 해당 복수의 모듈이 관리 단말기(20)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1, the
버스 단말기(30)는 관리 단말기(20)와 이용자 등록정보, 요금정보, 노선정보, 좌석정보, 배차정보, 예약정보, 및 예약취소정보를 포함하는 버스이용정보를 송수신하고, 탑승자가 소지하는 개인식별개체 (40)로부터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이용자의 등록정보를 판독하고, 탑승정보 및 예약정보를 갱신하는 장치이다. 버스 단말기(30)는 개인식별개체 리더기, 통신부, GPS수신기, 제어부, 메모리, 입력부, 및 출력부를 포함하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한다. 버스 단말기(3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개인식별개체(40)는 예약 디바이스(10)의 이용자, 즉 정기승차 버스의 이용자의 이용자 등록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이용자 식별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개인식별개체(40)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바코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일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개인식별개체(40)가 RFID 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The
RFID 태그(40)는 RFID 리더기와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미도시) 및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RFID 태그(40)는 물리적으로 예약 디바이스(10)에 부착되고, 이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정기승차 버스의 승차권으로 활용될 수 있다.The
RFID 태그(40)는 이용자 정보에 대한 추적을 지원할 수 있게 표준화되었다. 가장 대표적인 ISO 18000-6C 태그는 이용자 메모리 영역, 태그 ID 영역, UII(Unique Item Identification) 영역 및 Reserved 영역의 4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여기서, 유저 메모리 영역은 RFID 코드 및 부가정보 이외의 정보를 자유롭게 기록하는 영역으로 인코딩 표준화가 이루어져 있지 않으므로, 선택적이고, 어떠한 정보를 저장할지에 대해서는 정의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는 영역이다. 유저 메모리 영역에는 요금정보, 이용노선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태그 ID 영역은 태그 제조업체 ID를 기록하는 영역으로, 인코딩 방법은 ISO/IEC 15963 표준을 따라야 하며, RFID 서비스 업체가 수정할 수 없다. 또한, UII 영역은 RFID 코드 및 부가정보를 인코딩하는 핵심적인 영역으로서, 이용자에 대한 ID, 즉 이용자 학번/사번 등을 저장하는 영역이다. 그리고, Reserved 영역은 미정의 영역에 해당한다. 그러나, RFID 태그(40)를 이용하는 방법은 전술된 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운영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가능하다.Here, the user memory area is an area in which information other than the RFID code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freely recorded. Therefore, it is not defined as to how to store the information, and is variously applicable. The user memory area may include charge information, use route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tag ID field is a field for recording the tag manufacturer ID. The encoding method must conform to the ISO / IEC 15963 standard and can not be modified by the RFID service provider. The UII area is a core area for encoding the RFID code and additional information, and is an area for storing an ID for a user, that is, a user number / number of a user. The reserved area corresponds to an undefined area. However, the method of using the
RFID 태그(40)는 관리 단말기(20)를 통해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즉, 정기승차 버스의 이용자가 관리 단말기(20) 또는 관리 단말기(20)를 운영하는 운영자에게 정기승차 버스의 이용을 등록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운영자는 새로운 이용자의 정보를 RFID 태그(40)에 입력할 수 있다.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정기승차 버스를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운영하던 학교/기업은 추가적인 비용을 부담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르는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시스템(100)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chool / company that operates the existing regular bus using the RFID tag can use the regular bus
예약 디바이스(10)와 관리 단말기(20), 관리 단말기(20)와 버스 단말기(30), 또는 예약 디바이스(10)와 버스 단말기(30)는 무선으로 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통신망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일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통신망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WCDMA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 통신망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망의 일례로 WCDMA망을 설명하였지만, 통신망은 2G, 2.5G,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The
통신망은 IEEE 802.15.1 규격을 사용하는 블루투스일 수 있다. 또는 통신망은 무선랜(WLAN)일 수 있다. 무선랜은 무선 주파수 기술을 바탕으로 렙톱 컴퓨터, 네비게이션 장치, 스마트폰 등과 같은 예약 디바이스(10)을 이용하여 가정이나 기업 또는 특정 서비스 제공지역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Bluetooth using the IEEE 802.15.1 standard. Or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 wireless LAN is a technology that allows wireless devices to connect to the Internet wirelessly in a home, a business, or a specific service area using a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승차 버스 예약을 위한 예약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예약 디바이스(10)는 통신부(11), 프로세서(12), 메모리(13), 입력부(14), 출력부(15), 및 GPS 수신기(16)를 포함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reservation device for reservation of a regular boarding b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he
통신부(11)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예약 디바이스(10)는 무선 통신부를 사용하여 관리 단말기(20)와 버스이용정보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1)가 무선 통신부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경우, 예약 디바이스(10)는 무선 통신부를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예약 디바이스(10)는 2G 망, 2.5G 망, 3G망, 4G 망과 같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관리 단말기(20)를 통해 이용자 등록정보, 요금정보, 노선정보, 좌석정보, 예약정보, 예약취소정보를 포함하는 버스이용정보를 송수신할 수도 있으며, WLAN 통신망을 통하여 버스이용정보를 수신하거나, 블루투스 연결과 같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버스이용정보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The
프로세서(12)는 스마트폰, 키오스크 장치, 데스크탑 컴퓨터, 렙톱 컴퓨터, 테블릿 PC 또는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예약 디바이스에서 다양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예약 디바이스(10)의 통신부(11)가 수신한 버스이용정보는 메모리(13)에 저장된다. 또한, 예약 디바이스(10)는 후술할 입력부(14)를 통해 버스이용정보 중 예약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프로세서(12)는 도 1의 관리 단말기(20)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예약 디바이스(10)의 인증 및 등록을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약 디바이스(10)는 고유한 인증수단을 가지며, 인증수단을 통해 인증되고 정기승차 버스를 예약할 수 있다.The
입력부(14)는 예약 디바이스(10)에서 정보의 입력 및 선택 동작을 인식을 하도록 구성된다. 입력부(14)는 버튼, 키, 터치패널, 조이스틱, 마이크, 카메라, 키보드, 마우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입력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입력부(14)는 예약 디바이스(10)의 이용자가 웹 페이지,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 커스터마이징된 프로그램 등을 제어하고 정보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The
출력부(15)는 관리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된 버스이용정보 또는 버스이용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음성으로 또는 시각적으로 출력한다. 출력부(15)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5)는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와 관련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출력부(14)는 버스이용정보 중 노선정보 및 차량의 배차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4)는 예약 디바이스(10)로부터 예약완료를 하였다는 점을 효과음 또는 음성으로 알릴 수 있다. 이 경우, 음성은 예약된 차량의 시간 및 좌석과 연관된 음성일 수 있다. The
GPS 모듈(16)은 예약 디바이스(10), 즉,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 또는 이동 경로를 수신한다. 키오스크 장치, 데스크탑 컴퓨터와 같이 그 위치가 고정되는 예약 디바이스(10)의 경우에는 GPS 모듈(16)에 대한 구성은 생략될 수도 있다. GPS 모듈(16)로부터 수신된 예약 디바이스(10)의 위치 정보는 정기승차 버스의 위치 또는 승차장의 위치와 함께 지리 정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지리 정보란 지형, 도로, 건물 등의 위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가공된 정보를 의미한다. The
예약 디바이스(10)의 프로세서(12)는 GPS 모듈(16)로부터 수신된 예약 디바이스(10)의 위치정보를 메모리(13)에 저장한다. 또한, 프로세서(12)는 GPS 모듈(16)로부터 수신된 예약 디바이스(10)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예약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예약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승차 버스 예약을 위한 버스 단말기 및 관리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관리 단말기(20), 버스 단말기(30), 및 RFID 태그(40)가 도시된다.3 is a block diagram of a bus terminal and a management terminal for reservation of a regular boarding b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a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의 관리 단말기(20)는 RFID 리더기(21) 통신부(22), 메모리(23), 입력부(24), 출력부(25), 및 제어부(26)를 포함한다. 관리 단말기(20)의 통신부(22), 메모리(23), 입력부(24), 및 출력부(25) 중에서 도 2에서 설명한 예약 디바이스(10)의 통신부(11), 메모리(13), 입력부(14), 및 출력부(15)와 중복되는 기능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3, the
관리 단말기(20)의 RFID 리더기(21)는 RFID 태그(40)의 안테나(미도시)를 통하여 RFID 태그(40)와 정보를 송수신하고, RFID 태그(40)의 메모리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관리 단말기(20)에서, 관리 단말기(20)의 운영자는 정기승차 버스의 이용을 등록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관리 단말기(20)는 새로운 이용자의 정보를 메모리(23)에 저장하고, 새로운 이용자의 정보를 RFID 태그(40)에 입력할 수 있다.The RFID reader 21 of the
또는, 관리 단말기(20)는 충전금액을 설정하거나 월/년/학기 별 정기 이용정보 등을 포함하는 요금정보를 갱신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관리 단말기(20)는 미리 금액을 충전하고, 충전금액이 다 떨어지는 경우에는 후불로 정산할 수 있도록 RFID 리더기(21)를 통해 정보를 설정할 수 있으며, 후불금액에 대한 한도액을 설정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관리 단말기(20)의 통신부(22)는 예약 디바이스(10) 및 버스 단말기(30)와 버스이용정보를 송수신하고, 수신된 버스이용정보는 메모리(23)에 저장된다. 통신부(22)를 통하여 예약 디바이스(10) 및 버스 단말기(30)로부터 수신된 버스이용정보는 지속적으로 관리 단말기(20)에서 갱신되고, 예약 디바이스(10) 및 버스 단말기(30)로 재송신된다.The
관리 단말기(20)의 입력부(24)는 차량의 배차, 요금정보의 설정, 이용자 등록정보, 및 노선정보 등의 입력에 사용된다. 관리 단말기(20)의 출력부(25)는 RFID 리더기(21)를 통해 RFID 태그(40)가 인식되는 경우, 또는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음성을 통해 알릴 수 있으며, RFID 태그(40)에 저장된 버스이용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관리 단말기(20)의 입력부(24)를 이용하여 차량의 배차, 요금정보의 설정, 노선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는 관리 단말기(20)로 이동하여, 관리 단말기(20)의 관리자에게 정기버스 이용자 등록을 신청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RFID 태그(40)를 RFID 리더기(21)에 인식시키고 RFID 태그(40)에 이용자 등록정보, 노선정보, 요금정보를 입력부(24)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관리 단말기(20)의 출력부(25)는 새로 등록된 이용자의 이용자 등록이 완료되었으며, 일정 금액/기간이 충전되었음을 시각적으로 또는 음성적으로 표시/출력할 수 있다.The
제어부(26)는 전술한 RFID 리더기(21), 통신부(22), 메모리(23), 입력부(24), 및 출력부(25) 중 하나 이상에 결합되고, 통신부(22)를 통해 예약 디바이스(10)와 버스이용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전술한 구성들의 기능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26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RFID reader 21, the
관리 단말기(20)는 예약을 위한 예약 디바이스(10), 차량에 설치된 버스 단말기(30) 및 이용자 등록정보를 포함하는 RFID 태그(40) 모두와 정보를 송수신하고, 송수신된 정보는 각각의 구성에 갱신되도록 구성된다. 즉,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버스 단말기(30), 예약 디바이스(10) 또는 RFID 태그(40) 중 하나에서 버스이용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정보는 나머지 구성들에 통신망을 통해 갱신된다.The
정기승차 버스 예약자들이 버스에 탑승하는 경우, 예약자는 버스의 출발시각 전의 미리 결정된 시각까지 탑승하여야 한다. 예약자의 RFID 태그가 출발시각 전의 미리 결정된 시각까지 버스 단말기(30)의 RFID 수신기에 접촉되지 않은 경우, 버스 단말기(30)로부터 탑승정보가 생성되지 않는다. 한편, 이 경우, 관리 단말기(20)는 해당 노선 및 시간과 관련된 예약정보를 비활성화하는 예약취소정보를 생성한다. 관리 단말기(20)는 예약취소정보를 버스 단말기(30)에 송신한다. 예약취소정보를 수신한 버스 단말기(30)에서는 예약정보가 예약취소정보에 의해 비활성화된다. 따라서, 미탑승 예약자의 예약은 취소되고, 대기하고 있던 미예약자들이 취소된 좌석에 탑승할 수 있다.When the regular boarding buses are boarding the bus, the boarder must board the bus until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departure time of the bus. Boarding information is not generated from the
여기서, 버스의 출발시각 전의 미리 결정된 시각은 운영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시각은 출발시각과 동일 할 수 있다. 즉, 버스 운영자는 버스의 출발시각까지 예약자의 탑승을 기다리고, 버스 출발시각까지 예약자가 미탑승한 경우에는 예약을 취소하고 대기하는 인원을 탑승시킬 수 있다.Here, the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departure time of the bus can be determined by the operator.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the same as the departure time. In other words, the bus operator can wait for the boarding passenger by the departure time of the bus, and if the passenger does not arrive by the bus departure time, the passenger who cancels the reservation and waits can be boarded.
미리 결정된 시각은 출발시각으로부터 5분전 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예약자가 출발시각으로부터 5분전까지 탑승하지 않으면, 모든 예약이 취소되고, 대기하는 인원이 탑승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five minutes before the departure time. In this case, if the reservation is not made five minutes before departure time, all reservations are canceled and the waiting person can be boarded.
또한, 관리 단말기(20)는 운행하는 버스 단말기(30)로부터 버스이용정보를 수신하여 모든 차량의 정보를 등록, 관리할 수 있다. 나아가, 예약 디바이스(10), 버스 단말기(30)로부터 예약정보를 포함한 버스이용정보를 수집하여, 노선별 예약현황과 승차현황, 기간/차량 단위로 정기승차 버스의 승차통계를 실시간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엑셀(Excel) 파일이나 다양한 그래프 형식으로 조회가능하다. 또한, 후술할 버스 단말기(30)의 GPS 모듈을 통해 차량의 운행경로와 현재 위치를 지리정보와 함께 전자지도의 형태로 실시간으로 조회가능하다.In addition, the
또한, 관리 단말기(20)는 일/월 단위 매출금 조회 및 매출에 대한 통계도 제공할 수 있으며, 동일 노선의 이용자들을 위한 분실물 센터가 운영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의 버스 단말기(30)는 RFID 리더기(31) 통신부(32), GPS 모듈(33), 입력부(34), 출력부(35), 및 제어부(36)를 포함한다. 버스 단말기(30)의 통신부(32), GPS 모듈(33), 입력부(34), 및 출력부(35) 중에서 도 2에서 설명한 예약 디바이스(10)의 통신부(11), 입력부(14), 출력부(15), 및 GPS 모듈(16)와 중복되는 기능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3, the
버스 단말기(30)의 RFID 리더기(31)는, 이용자가 버스 탑승시 RFID 태그(40)를 접촉 내지는 근거리에 이동시키는 경우, 이용자 등록정보를 수신한다. RFID 리더기(31)를 통해 수신된 이용자 등록정보는 버스 단말기(30)의 예약정보와 비교되며, 노선, 이용자, 차량시간이 확인된다. 차량을 예약한 이용자임이 확인되면 버스 단말기(30)는 승차정보를 생성한다. 승차정보는 예컨대, 노선정보, 탑승시간, 탑승시 차량 위치, 이용자 등록정보, 승차구분 플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탑승시 차량 위치 및 승차구분 플래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버스 단말기(30)의 통신부(32)는 관리 단말기(20)로부터 버스이용정보 및 예약정보를 수신한다. 예약정보는 예컨대, 노선정보, 출발시각, 예약자의 이용자 등록정보 및 예약좌석을 포함할 수 있다. 예약정보는 차량시간 또는 차량시간으로부터 일정시간까지 주기적으로 갱신된다. 이러한 지속적인 갱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예약되는 탑승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승차정보는 관리 단말기(20)에 송신될 수 있다. 또는, 버스 단말기(30)의 통신부(32)는 생성된 승차정보 모두를 차량의 출발시각 이후에 일괄적으로 관리 단말기(20)에 송신할 수도 있다.The
버스 단말기(30)의 GPS 모듈(33)은 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차량의 위치정보는 통신부(32)를 통해 예약 디바이스(10) 및 관리 단말기(20)로 송신된다. 차량의 위치정보는 위경도값 17자리로 수신되고 저장될 수 있다. 송신된 차량의 위치정보는 예약 디바이스(10) 및 관리 단말기(20)에서 현재 정기승차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버스 단말기(30)의 입력부(34)는 차량의 버스이용정보를 입력/변경한다. 예컨대, 도로의 정비 또는 공사에 의해 노선의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운전자는 입력부(34)를 통하여 노선정보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용자의 금액정보가 불일치하거나 승차정보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입력부(34)를 이용할 수 있다. The
버스 단말기(30)의 출력부(35)는 관리 단말기(2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RFID 태그(40)가 인식되는 경우, 음성을 통해 알릴 수 있다. 또한, 버스 단말기(30)의 출력부(35)는 승차된 인원수를 표시할 수 있다.The
버스 단말기(30)의 제어부(36)는 전술한 RFID 리더기(31), 통신부(32), GPS모듈(33), 입력부(34), 및 출력부(35) 중 하나 이상에 결합되고, 통신부(32)를 통해 관리 단말기와 버스이용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전술한 구성들의 기능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36 of the
버스 단말기(30)는 관리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된 예약정보와 RFID 태그(40)로부터 수신된 이용자 등록정보를 비교하고, 그 값들이 일치하여 탑승이 유효한 경우에는 탑승정보를 생성한다. 탑승정보는 해당 탑승자의 이용자 등록정보, 탑승구분 플래그, 및 탑승 시 버스 단말기(30)의 GPS모듈(33)로부터 수신된 차량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36)는 이용자 등록정보를 버스 단말기(30)에 저장된 예약정보와 비교하여 탑승구분 플래그를 탑승에 해당하는 값으로 변경하여 저장하고, 탑승시의 차량의 위치정보 및 탑승자의 이용자 등록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저장된 이용자 등록정보, 탑승구분 플래그, 및 탑승시 차량의 위치정보는 통신부(32)에 의해 관리 단말기(20)에 송신한다. 나아가, 버스 단말기(30)의 위치정보를 예약 디바이스(10) 및 관리 단말기(20)에 송신하여 그 위치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나아가, 버스 단말기(30)는 버스 단말기(30)의 준비 상태에서 수집된 탑승자 정보를 관리 단말기(20)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준비 상태에서 수집된 탑승자 정보란 버스 단말기(30)가 턴온되어 준비 중이거나, 버스 단말기(30)의 통신부(32)의 통신상태가 불안정하여 송신하지 못하거나, 운전기사의 조작미숙에 따른 누락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 단말기(30)의 통신부(32)는 미리 결정된 조건, 예컨대 출발시각으로부터 5분 후, 배차시간 종료 후, 또는 차량주행속도 50km 이상 시 상술한 누락된 정보를 관리 단말기(20)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된 누락된 정보는 버스 단말기(30)의 메모리(미도시)에 별도로 저장될 수 있다.Further, the
한편, 버스 단말기(30)는 전술된 예약자 이외에도 비예약자의 탑승을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버스 단말기(30)는 전술된 예약정보 대신 관리 단말기(20)로부터 승차권 판매정보를 이용한다. 승차권 판매정보란 이용자 등록정보 및 요금정보를 포함하고, 전술한 예약정보와 동일한 방법으로 탑승자를 인식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비예약자가 RFID 태그를 버스 단말기(30)에 인식시키는 경우, 버스 단말기(30)의 RFID 리더기(31)는 비예약자의 이용자 등록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36)는 노선의 승차권 판매정보와 이용자 등록정보를 비교하여 탑승정보를 생성한다. On the other hand,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승차 버스 예약을 위한 예약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UI(user interface)이다.4 is a schematic UI (user interface) of a reservation device for reservation of a regular boarding b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약 디바이스(10)는 노선정보(41)를 도시한다. 노선정보(41)는 승차장의 위치, 차량출발시각, 예약된 좌석 수, 잔여 예약가능 좌석 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승차장의 위치는 강남역이며, 차량의 출발시각은 16시50분이고, 기 예약된 좌석 수는 20석이며, 잔여 예약가능 좌석 수는 25석이다.The
승차장의 위치, 차량출발시각, 좌석이 선택되는 경우, 예약 디바이스(10)는 이용자 등록정보, 승차장의 위치, 차량출발시각, 좌석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정보를 생성한다. 예약 디바이스(10)는 생성된 예약정보를 관리 단말기(20)로 송신한다.When the position of the bus stop, the vehicle departure time, and the seat are selected, the
선호시간(42)은 이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미리 결정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이용자의 차량 이용시간에 대한 선호시간이다. 예컨대, 이용자는 이용자 등록정보를 등록할 때 선호시간을 결정하거나 예약 디바이스(10)를 이용하여 선호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기 입력된 이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선호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대학교 통학버스의 경우에는 이용자의 수업시간표에 기초하여 등교시간 및 하교시간이 결정되고, 등하교시간을 기초로 선호시간(42)이 결정될 수 있다. 또는, 기업의 출퇴근 통근버스의 경우에는 자신이 사는 지역과 기업의 출근시간에 기초하여 선호시간(42)이 결정될 수도 있다.The
잔액정보(43)는 요금정보와 연관된 정보로써, 기 충전된 금액 중에 남은 금액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불금액/방법은 운영 방식에 따라 월/기간 정기이용이 될 수 도 있으며, 횟수에 의한 이용이 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잔액정보가 아닌 '정기이용권 조회' 내지는 '남은 횟수 조회'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이용자는 미리 금액을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용자가 충전금액을 초과하는 금액을 결제하는 경우 후불로 정산할 수 있도록 후불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The
자동예약(44)은 노선정보(41) 중 하나가 예약정보로 선택되는 것이 아니라, 미리 결정된 방법에 의해 예약정보가 생성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예약 디바이스(10)는 GPS모듈(16)을 통해 예약 디바이스(1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이용자가 버스의 승차장의 위치에 인접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예약 디바이스(10)는 알림으로 '승차장이 근처에 있습니다. 다음 정기버스를 예약하시겠습니까?' 라고 알릴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예약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즉, 예약 디바이스(10)는 이용자가 버스의 승차장 근처로 이동하는 경우, 이용자가 이용하는 노선의 다음 정기버스를 자동으로 예약하거나 예약을 안내할 수 있다.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승차 버스 예약 및 탑승 방법의 순서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of a regular boarding bus reservation and boar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는 이용자 등록정보의 등록, 예약정보의 생성, 예약자 미탑승시/탑승시 예약취소정보/탑승정보의 생성 프로세스가 설명된다. 도 5에 대한 설명은 편의를 위해, 예약 디바이스(10), 관리 단말기(20), 및 버스 단말기(30)의 상호작용으로 설명된다. 나아가 예약 디바이스(10)는 편의상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할 수 있는 스마트폰으로 설명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모든 단계는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아래에서는 편의상 하나의 과정으로 설명한다.5, registration of user registration information, generation of reservation information, and generation of reservation cancellation information / boarding information at the time of boarding / non-booking are described. 5 is describ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in the interaction of the
예약 디바이스(10)는 어플리케이션에서 로그인 정보를 입력받고, 등록된 이용자인지 이용자 등록정보를 확인한다(S10). 이용자 등록정보가 없는 경우, 관리 단말기(20)는 이용자 등록정보를 등록하고, RFID 태그(40)에 이용자 등록정보를 입력한다(S20). 입력된 이용자 등록정보는 버스 단말기(30)로 전송된다(S30).The
이용자 등록정보가 확인된 경우, 예약 디바이스(10)는 노선정보, 출발시각정보, 좌석정보를 수신하여 조회하고, 선택한다(S70). 노선정보, 출발시각정보, 좌석정보는 관리 단말기(20)에 의해 예약 디바이스(10)로 송신되고 필요에 따라 갱신된다(S50). 또한, 버스 단말기(30)도 관리 단말기(20)로부터 노선정보, 출발시각정보, 및 좌석정보를 수신하며 갱신한다(S60).When the user registration information is confirmed, the
예약 디바이스(10)는 수신된 노선정보, 출발시각정보, 및 좌석정보에 기초하여 예약정보를 생성한다(S70). 예약 디바이스(10)는 관리 단말기(20)로 예약정보를 송신하고(S80), 관리 단말기(20)는 버스 단말기(30)로 예약정보를 송신한다(S90).The
버스 단말기(30)가 RFID 태그(40)로부터 이용자 등록정보를 수신하고, 예약 정보와 비교하여 예약자임을 확인한 경우에, 버스 단말기(30)는 탑승정보를 생성하고, 탑승정보를 관리 단말기로 송신한다(S120). When the
관리 단말기(20)는 수신된 탑승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하여, 운영자에게 전술한 운영을 위한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S130). 나아가, 관리 단말기(20)는 탑승정보를 예약 디바이스(10)로 송신하고, 예약 디바이스(10)는 탑승정보를 수신하여 예약에 대한 탑승이 완료되었음을 저장한다(S140).The
한편, 버스의 출발시각 전의 미리 결정된 시각까지 버스 단말기(30)로부터 탑승정보가 관리 단말기(20) 송신되지 않는 경우, 즉, 출발시각 전의 일정시각 전까지 예약자의 탑승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a case where the boarding information is not transmitted from the
예약자의 RFID 태그(40)가 버스의 출발시각 전의 미리 결정된 시각까지 버스 단말기(30)의 RFID 수신기에 접촉되지 않아, 출발시각 전의 미리 결정된 시각까지 탑승정보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 관리 단말기(20)는 해당 노선 및 시간과 관련된 예약정보를 비활성화하는 예약취소정보를 생성한다. 관리 단말기(20)는 예약취소정보를 버스 단말기(30)에 송신한다. 예약취소정보를 수신한 버스 단말기(30)에서는 예약정보가 예약취소정보에 의해 비활성화된다. 따라서, 미탑승 예약자의 예약은 취소되고, 대기하고 있던 미예약자들이 탑승할 수 있다.When the
여기서, 버스의 출발시각 전의 미리 결정된 시각은 운영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시각은 출발시각과 동일할 수 있다. 즉, 버스 운영자는 버스의 출발시각까지 예약자의 탑승을 기다리고, 버스 출발시각까지 예약자가 미탑승한 경우에는 예약을 취소하고 대기하는 인원을 탑승시킬 수 있다.Here, the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departure time of the bus can be determined by the operator.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the same as the departure time. In other words, the bus operator can wait for the boarding passenger by the departure time of the bus, and if the passenger does not arrive by the bus departure time, the passenger who cancels the reservation and waits can be boarded.
미리 결정된 시각은 출발시각으로부터 5분전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예약자가 출발시각으로부터 5분전까지 탑승하지 않으면, 모든 예약이 취소되고, 대기하는 인원이 탑승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five minutes before the departure time. In this case, if the reservation is not made five minutes before departure time, all reservations are canceled and the waiting person can be boarded.
이와 같은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방법은 기존의 대중교통에서의 예약 관리 방법에서는 사용될 수 없는 방법이며, 전술된 관리 단말기, 버스 단말기의 구성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Such a regular boarding bus reservation management method can not be used in the conventional reservation management method in public transportation, and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management terminal and the bus terminal described above.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embodied directly in hardware, in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a processor, or in a combination of the two. The software module may reside in a RAM memory, a flash memory, a ROM memory, an EPROM memory, an EEPROM memory, a register, a hard disk, a removable disk, a CD-ROM, or any other form of storage medium known in the art. An exemplary storage medium is coupled to the processor, which is capable of reading information from, and writing information to, the storage medium. Alternatively, the storage medium may be integral with the processor. The processor and the storage medium may reside within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The ASIC may reside within the user terminal. Alternatively, the processor and the storage medium may reside as discrete components in a user terminal.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시스템
10 : 예약 디바이스
11 : 통신부
12 : 프로세서
13 : 메모리
14 : 입력부
15 : 출력부
16 : GPS 모듈
20 : 관리 단말기
21 : RFID리더기
22 : 통신부
23 : 메모리
24 : 입력부
25 : 출력부
26 : 제어부
30 : 버스 단말기
31 : RFID리더기
32 : 통신부
33 : GPS 모듈
34 : 입력부
35 : 출력부
36 : 제어부
40 : RFID 태그
41 : 노선정보
42 : 선호시간
43 : 잔액정보
44 : 자동예약100: Regular ride bus reservation management system
10: Reserved device
11:
12: Processor
13: Memory
14:
15: Output section
16: GPS module
20: management terminal
21: RFID reader
22:
23: Memory
24:
25: Output section
26:
30: bus terminal
31: RFID reader
32:
33: GPS module
34:
35: Output section
36:
40: RFID tag
41: Route information
42: Preferred time
43: Balance information
44: Automatic reservation
Claims (12)
상기 버스 예약과 연관된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버스 예약과 연관된 정보를 상기 예약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버스 예약과 연관된 정보를 상기 버스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버스의 출발시각 전의 미리 결정된 시각까지 상기 버스 단말기로부터 탑승 정보를 미수신한 경우, 상기 버스 예약과 연관된 정보 중 미탑승 예약에 대해서 예약 취소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예약 취소정보를 상기 예약 디바이스 및 상기 버스 단말기에 송신하는,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장치.A reservation device and a bus terminal;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bus reservation; And
And a control unit for process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bus reserva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bus reservation from the reservation device via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bus reservation to the bus terminal,
When the boarding information is not received from the bus terminal by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departure time of the bus, the reservation cancel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generates reservation cancellation information for un-boarding reservation amo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bus reserv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bus terminal.
상기 버스 예약과 연관된 정보는 예약 노선정보, 예약 시간정보, 및 예약 좌석정보를 포함하는,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bus reservation includes reservation route information, reservation time information, and reservation reservation information.
상기 버스 예약과 연관된 정보는 예약 노선정보 및 예약 시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예약 노선정보 및 상기 예약 시간정보는 미리 결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bus reservation includes reservation route information and reservation time information,
Wherein the reservation route information and the reservation time information are generated based on predetermined information.
상기 미리 결정된 정보는 수업시간과 연관된 정보 또는 출퇴근과 연관된 정보인,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class time or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commute.
상기 버스 예약과 연관된 정보는 상기 예약 디바이스의 GPS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bus reserva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GPS receiver of the reservation device.
상기 통신부는 상기 예약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상기 예약 취소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버스 단말기에 상기 예약 취소정보를 송신하는,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the reservation cancel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reservation device and transmits the reservation cancel information to the bus terminal.
버스 단말기로 상기 버스 예약과 연관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버스의 출발시각 전의 미리 결정된 시각까지 상기 버스 단말기로부터 탑승정보를 미수신한 경우, 상기 버스 예약과 연관된 정보 중 미탑승 예약에 대해서 예약 취소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예약 취소정보를 상기 버스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방법.Receiv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bus reservation from the reservation device;
Transmitt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bus reservation to a bus terminal;
Generating reservation cancellation information for non-boarding reservation amo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bus reservation when the boarding information is not received from the bus terminal until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departure time of the bus;
And transmitting the reservation cancellation information to the bus terminal.
상기 버스 예약과 연관된 정보는 예약 노선정보, 예약 시간정보, 및 예약 좌석정보를 포함하는,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bus reservation includes reservation route information, reservation time information, and reservation reservation information.
상기 버스 예약과 연관된 정보는 예약 노선정보 및 예약 시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예약 노선정보 및 상기 예약 시간정보는 미리 결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bus reservation includes reservation route information and reservation time information,
Wherein the reservation route information and the reservation time information are generated based on predetermined information.
상기 미리 결정된 정보는 수업시간과 연관된 정보 또는 출퇴근과 연관된 정보인,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class time or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commute.
상기 버스 예약과 연관된 정보는 상기 예약 디바이스의 GPS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bus reserva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GPS receiver of the reservation device.
상기 예약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상기 예약 취소정보를 수신하고,상기 버스 단말기에 상기 예약 취소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receiving the reservation cancell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reservation device and transmitting the reservation cancellation information to the bus termin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7903A KR101576493B1 (en) | 2012-11-13 | 2012-11-13 | Commuter bus reserv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7903A KR101576493B1 (en) | 2012-11-13 | 2012-11-13 | Commuter bus reserv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1602A true KR20140061602A (en) | 2014-05-22 |
KR101576493B1 KR101576493B1 (en) | 2015-12-11 |
Family
ID=50890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7903A Active KR101576493B1 (en) | 2012-11-13 | 2012-11-13 | Commuter bus reserv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6493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6767A (en) * | 2018-12-19 | 2020-06-30 |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 School bus reservation boarding system |
KR102203117B1 (en) | 2019-07-31 | 2021-01-13 |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 Pre-reservation method for getting on and off city buses using an application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that allows advance reservation of getting on and off city buses |
CN113537670A (en) * | 2020-04-17 | 2021-10-22 | 北京沃东天骏信息技术有限公司 |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ravel route |
KR102451614B1 (en) * | 2022-03-14 | 2022-10-06 | 이동규 | Tagless payment method for public transportation |
KR102460318B1 (en) * | 2021-05-03 | 2022-10-27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User terminal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14355B2 (en) | 2000-09-13 | 2005-01-26 |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 Seat reservation system |
JP4926196B2 (en) | 2009-04-03 | 2012-05-09 | 三菱電機株式会社 | Car management system, car seat management method of car management system, train seat management program, and train seat management system |
-
2012
- 2012-11-13 KR KR1020120127903A patent/KR101576493B1/en active Active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6767A (en) * | 2018-12-19 | 2020-06-30 |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 School bus reservation boarding system |
KR102203117B1 (en) | 2019-07-31 | 2021-01-13 |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 Pre-reservation method for getting on and off city buses using an application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that allows advance reservation of getting on and off city buses |
CN113537670A (en) * | 2020-04-17 | 2021-10-22 | 北京沃东天骏信息技术有限公司 |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ravel route |
KR102460318B1 (en) * | 2021-05-03 | 2022-10-27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User terminal apparatus |
KR102451614B1 (en) * | 2022-03-14 | 2022-10-06 | 이동규 | Tagless payment method for public transport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76493B1 (en) | 2015-1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85114B1 (en) | Reservation method of a bus on a regular route and reservation system using thereof | |
JP6062641B2 (en) | Taxi operation system and server device | |
KR101647834B1 (en) | Public Transportation Fee Settlement Method and System For Using Beacon | |
JP5928588B2 (en) | On-demand vehicle operation management device, on-demand vehicle operation management method, and on-demand vehicl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 |
AU2013311211B2 (en) | Public transportation navigator | |
CN107111792B (en) | Method and system for selling and checking tickets in traffic network | |
CN105431882A (en) | Context-aware distributive taxi cab dispatching | |
US20140350979A1 (en) | Multi-modal journey planning and payment | |
CN102147970A (en) | Limiting stop-free and fixed line-free public transportation operating system and method | |
KR101576493B1 (en) | Commuter bus reserv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 |
JP2020071778A (en) | Vehicle dispatch system, serv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
JP2020119441A (en) | Vehicle allocation program and allocation system | |
KR101538121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operation management of private bus | |
JP2020522064A (en)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huttle services and deriving shuttle service routes and services | |
CN111339397A (en) |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traffic guidance | |
US20210264784A1 (en) | Server, vehicle operation system, vehicle oper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 |
JP2020161137A (en) |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 |
US10740699B2 (en) | System and method for specializing transactions according to the service provider | |
JP7506485B2 (en) | Program, user terminal and display method | |
US11263716B2 (en) | Rendering digitized services in a smart environment | |
KR102373473B1 (en) | Real time shared seat reservation service for local circulation buses for the movement of specific parties | |
KR102236464B1 (en) | Method for sharing taxi ride | |
KR101554570B1 (en) | Public traffic communication system allocating seats fairly, and method for allocating seats in the same | |
JP7460385B2 (en) | Program, vehic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 |
JP3759896B2 (en) | Dispatch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502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7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2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9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507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3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2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9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