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1045A - Pyrolysis apparatus for oil extraction from resin - Google Patents
Pyrolysis apparatus for oil extraction from resi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61045A KR20140061045A KR1020120128180A KR20120128180A KR20140061045A KR 20140061045 A KR20140061045 A KR 20140061045A KR 1020120128180 A KR1020120128180 A KR 1020120128180A KR 20120128180 A KR20120128180 A KR 20120128180A KR 20140061045 A KR20140061045 A KR 201400610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ing
- waste
- storage tank
- unit
- res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0197 pyrolysis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10893 paper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5979 thermal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910 soli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945 emuls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08 petrole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37 fuel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7—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solid raw materials consisting of 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e.g. ty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03—Waste materia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 유화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공간부를 갖고, 일측으로 제1설치공이 형성된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의 일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며, 내부에 공간부를 갖고, 상기 제1설치공에 대응되는 제2설치공이 형성된 제2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의 공간부와 상기 제2고정부의 공간부에 연통되되,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폐수지가 열분해되는 회전로, 폐수지가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제1고정부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부에 투입된 폐수지를 상기 회전로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회전로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회전로를 외측에서 가열시킴에 따라 이송된 상기 폐수지를 열분해시키기 위한 제1가열수단, 상기 회전로의 내부를 가열시킴에 따라 상기 제1가열수단과 함께 이송된 폐수지를 열분해시키기 위한 제2가열수단, 및 상기 제2고정부의 공간부에 연통되도록 구비되며, 폐수지를 열분해된 상태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폐수지를 용융시켜 열분해하되, 회전로의 외측과 내측에서 폐수지를 가열함에 따라 수지의 용융시간을 단축시켜 열분해 시간이 단축되고, 회전로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열분해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이송시킬 수 있어 열분해된 상태로 배출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in emulsion extrac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sin emulsion extraction apparatus which includes a first fixing unit having a space inside and a first installation hole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first fixing unit spaced from a side of the first fixing unit, A second fixing part formed with a second installa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stallation hole, a second fixing part connected to the space part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pace part of the second fixing part, and rotatably provided to thermally decompose the waste solution A transfer part which is provided in the first fixing part and transfers the wastepaper inserted into the charging part to the rotary furnace, and a rotary part which is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side of the rotary furnace, A first heating means for pyrolyzing the waste paper conveyed by heating, a second heating means for pyrolyzing the waste paper conveyed together with the first heating means by heating the inside of the rotary furnace, And a discharging portion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space portion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and discharging the waste resin in a pyrolyzed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te resin is melted and pyrolyzed, the thermal decomposition time is shortened by shortening the melting time of the resin as the waste resin is heated from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rotating furnace, and the temperature of the rotating furnace is kept constant, So that it can be discharged in a pyrolyzed state, thereby improving the working efficiency.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화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수지를 열분해시키되, 공급된 모든 폐수지를 균일하게 가열하여 겔상태로 용융시키는 열분해 효율을 향상시키고, 시간을 단축시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수지 유화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il extrac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il extraction apparatus that pyrolyzes waste resin, improves pyrolysis efficiency by uniformly heating all supplied waste resin in a gel state, To an oil extraction apparatus.
일반적으로, 에너지 자원은 점차적으로 고갈되어 가고 있으며, 다양한 생산활동과 소비활동을 통해 발생되는 다량의 쓰레기는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있는 실정이다.Generally, energy resources are gradually getting depleted, and a large amount of waste generated through various production activities and consumption activities is causing severe environmental pollution.
특히,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이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등을 원료로 하는 폐수지는 그 재활용도가 떨어져 대부분 소각이나 매립에 의해 처리되고 있다.In particular, wastewater from polyethylene (PE) or polypropylene (PP) as raw materials has a low recycling rate and is mostly disposed of by incineration or landfill.
이러한 폐수지의 매립은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자연상태로 분해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환경친화적이고 경제적인 폐수지 처리 기술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It has been demanded to develop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economical waste water treatment technology since the landfill of such waste paper causes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akes a long time to decompose into a natural state.
이에 앞서, 폐비닐이나 폐플라스틱 등의 폐수지의 원료는 석유로부터 추출되는 것으로, 이 폐수지를 이용하여 석유로 전환시킬 수 있다.Prior to this, raw materials for waste plastic such as waste plastic and waste plastics are extracted from petroleum and can be converted to petroleum using this waste plastic.
이를 위해, 진공상태에서 고분자 물질을 가열하는 열분해 유화 공정을 이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열과 촉매를 동시에 사용하는 방법도 대두되고 있다.To this end, a pyrolytic emulsification process for heating a polymer material in a vacuum state is used, and a method of simultaneously using heat and a catalyst is also emerging.
이러한 열분해 유화 공정을 위해 진공에서 고온 열분해를 실시하고 있지만, 이 고온 열분해를 실시할 경우 폭발의 위험성과 함께, 주기적으로 고온을 식혀주어야 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Although pyrolysis is carried out at high temperature in a vacuum for such a pyrolytic emulsification process, there is a risk of explosion when the pyrolysis is carried out at high temperature, and there have been problems such as periodic cooling of high temperature.
이를 해소하기 위해, 공개특허 제10-2011-0138105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가연성 물질을 건조, 예열 또는 열분해하여 제1기상성분 및 열분해 잔류물을 생성하는 제1반응부와 열분해 잔류물을 부분산화 및 연소시켜 제2기상성분 및 부분산화 및 연소 잔류물을 생성하는 제2반응부가 구비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2011-0138105,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ducing a pyrolysis product, comprising a first reaction part for drying, preheating or pyrolyzing a combustible material to produce a first gas phase component and pyrolysis residue, And a second reaction unit for generating a second gaseous component and partial oxidation and combustion residues by oxidation and combustion.
이에 따라, 폐수지를 효과적으로 열분해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waste resin can be efficiently pyrolyzed.
그러나 이 종래 열분해 유화 장치는 제1반응부와 제2반응부가 연속적으로 설치됨에 따라 부피가 커 그 만큼의 설치공간이 필요하고, 설치 비용도 발생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yrolytic emulsification apparatus, since the first reaction unit and the second reaction unit are continuously installed, the installation space is required as much as the bulky and installation cost is incurred.
이에 따라, 용이한 열분해는 물론, 부피를 감소시켜 설치 공간을 최소화시키고, 비용 역시, 절감시킬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technique capable of reducing the installation volume and cost as well as facilitating easy pyrolysis,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회전되는 회전로가 구비되고, 투입부와 이송부에 의해 폐수지가 회전로로 공급되며, 회전로의 외측과 내측에서 폐수지를 가열하기 위한 제1가열수단과 제2가열수단이 구비되어 회전로로 이송된 폐수지를 겔상태로 열분해시키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지 유화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supplying waste water to a rotary furnac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provide a resin emulsification extracting apparatus capable of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for thermally decomposing a waste paper conveyed to a rotary kiln into a gel state and improving working efficiency.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를 갖고, 일측으로 제1설치공이 형성된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의 일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며, 내부에 공간부를 갖고, 상기 제1설치공에 대응되는 제2설치공이 형성된 제2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의 공간부와 상기 제2고정부의 공간부에 연통되되,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폐수지가 열분해되는 회전로, 폐수지가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제1고정부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부에 투입된 폐수지를 상기 회전로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회전로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회전로를 외측에서 가열시킴에 따라 이송된 상기 폐수지를 열분해시키기 위한 제1가열수단, 상기 회전로의 내부를 가열시킴에 따라 상기 제1가열수단과 함께 이송된 폐수지를 열분해시키기 위한 제2가열수단, 및 상기 제2고정부의 공간부에 연통되도록 구비되며, 폐수지를 열분해된 상태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first fixing part having a space inside and having a first installation hole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rotary shaft connected to the space portion of the first fixing portion and the space portion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to thermally decompose the waste water, A conveying unit that is provided in the first fixing unit and conveys the waste paper injected into the charging unit to the rotary shaft, and a conveying unit that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er side of the rotary shaft, A second heating means for pyrolyzing the waste paper conveyed together with the first heating means by heating the inside of the rotary furnace, and a second heating means for pyrolyzing the waste paper conveyed together with the first heating means,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space portion, it is made to include a drain for discharging waste water into the pyrolysis conditions if.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로는, 상기 제1고정부의 제1설치공과 상기 제2고정부의 제2설치공에 양단부가 밀폐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폐수지가 열분해되며,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되고, 다수의 가이드롤러가 외주면에 닿아 회전을 가이드한다.Preferably, the rotary furnace is rotatab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irst installation hole of the first fixing section and the second installation hole of the second fixing section so as to be rotatable so that the waste water is pyrolyzed, And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guide the rotation.
그리고 상기 회전로는, 내측면에 내화벽돌이 설치된다.The rotary furnace is provided with refractory bricks on its inner surface.
또한, 상기 회전로는, 상기 제1고정부의 제1설치공에 위치된 일단부에서 상기 제2고정부의 제2설치공에 위치된 타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rotary shaft is inclined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first fixing hole of the first fixing portion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그리고 상기 이송부는, 일단부가 상기 투입부와 연통되며, 타단부는 상기 열분해수단의 회전로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고정부에 설치되는 이송몸체, 상기 이송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외주면을 따라 이송날개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이송스크류, 및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이송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transfer unit may include a transfer body installed at the first fixing unit such that one end thereof communicates with the charging unit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at a rotary path of the thermal decomposition unit. A conveying screw in which the conveying blade is formed in a spiral shape, and a conveying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conveying screw.
또한, 상기 제1가열수단은, 상기 회전로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회전로와의 사이에 가열공간부가 형성된 가열로, 상기 가열로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로의 가열을 위한 다수의 점화부, 및 상기 점화부에 연소를 위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first heating means may include a heating furnace that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furnace and has a heating space portion formed between the furnace and the furnace, a plurality of igniters provided in the furnace for heating the furnace, And a fuel supply unit for supplying fuel to the ignition unit for combustion.
그리고 상기 제2가열수단은, 상기 회전로의 회전중심축을 따라 위치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2고정부에 구비되고, 타단은 회전로 내부에 위치되는 가열봉, 및 상기 가열봉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열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econd heating means may include a heating rod having one end thereof disposed on the second fixing portion so as to be positioned along 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rotary shaft and the other end positioned inside the rotary shaft, And a heat supply unit.
또한, 상기 가열봉은, 다수 개 구비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heating rods are provided.
그리고 상기 가열봉은, 일정 반경을 갖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된다.The heating rod is formed into a spiral shape so as to have a certain radius.
또한, 상기 가열봉은,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교반부가 형성되되, 상기 교반부는 회전로의 내면을 향해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에 절곡된 교반날개가 형성되어 상기 이송부에 의해 공급되는 폐수지를 교반시킨다.In addition, the heating rod has a plurality of stirring part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tirring part protruding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rotary furnace, and the stirring wing bent at the protruding end is formed to stir the waste water supplied by the feeding part .
그리고 상기 회전로는, 내면을 따라 다수의 교반부가 형성되어 상기 이송부에 의해 공급되는 폐수지를 교반시킨다.Further, the rotary furnace has a plurality of stirring portions formed along the inner surface thereof to stir the waste water supplied by the transfer portion.
또한, 상기 투입부로 일정량의 폐수지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공급수단은 폐수지를 일정 크기로 파쇄된 상태로 공급한다.In addition, a feeding means for continuously feed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ste resin to the feeding portion is provided, and the feeding means supplies the waste paper in a shredded state to a predetermined size.
그리고 상기 투입부로 일정량의 폐수지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공급수단은, 하측으로 갈수록 일정 크기로 파쇄된 고체상태에서 겔(gel) 상태의 폐수지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 상기 폐수지를 겔(gel)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저장탱크를 가열하는 공급가열부, 및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겔(gel) 상태의 폐수지를 상기 투입부로 공급하되, 공급량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공급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회전로로 겔(gel) 상태의 폐수지가 공급됨에 따라 열분해 시간이 단축된다.And a supply unit for continuously su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ste resin to the charging unit, wherein the supplying unit comprises: a storage tank for storing waste water in a gel state in a solid state crushed to a predetermined size downward; A supply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storage tank to bring the waste water into a gel state and a supply control unit for supplying a waste water in a state of gel stored in the storage tank to the charging unit and controlling the supply amount constantly , And the thermal decomposition time is shortened as the waste resin in the gel state is supplied to the rotary furnace.
또한, 상기 투입부로 일정량의 폐수지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공급수단은, 일정 크기로 파쇄된 고체상태의 폐수지가 저장되는 제1저장탱크, 겔(gel) 상태의 폐수지가 저장되는 제2저장탱크, 상기 제1저장탱크에 저장된 고체상태의 폐수지를 상기 제2저장탱크로 이송하고, 제2저장탱크에 저장된 겔(gel) 상태의 폐수지를 상기 투입부로 공급하되, 상기 투입부로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의 각 저장량을 제어하는 공급제어부,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 사이에 구비되어 제2저장탱크로 이송되는 고체상태의 폐수지가 겔(gel) 상태의 폐수지가 되도록 가열하는 공급가열부, 및 상기 제2저장탱크의 내부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폐수지를 겔(gel)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온도조절부가 포함되며, 상기 회전로로 겔(gel) 상태의 폐수지가 공급됨에 따라 열분해 시간이 단축된다.In addition, a feeding means for continuously su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ste resin to the feeding portion is provided, and the feeding means includes a first storage tank in which solid waste resin shredded in a predetermined size is stored, a first waste storage tank in a gel state, A second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first storage tank, a second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solid waste resin stored in the first storage tank to the second storage tank, and a wastepaper in gel state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tank to the input unit, A suppl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each of the first storage tank and the second storage tank so that the first storage tank and the second storage tank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first storage tank and the second storage tank, And a temperature control unit for maintain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storage tank at a constant level to maintain the wastewater in a gel state, And, in the rotation-gel (gel) state of the waste water fed magazine the pyrolysis time is shortened as the.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기체저장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회전로에서 폐수지가 탄화됨에 따라 발생된 기체를 포집한다.
Further, a gas storage part is further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to collect the gas generated as the waste water is carbonized in the rotary kiln.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유화 추출장치에 의하면, 폐수지를 용융시켜 열분해하되, 회전로의 외측과 내측에서 폐수지를 가열함에 따라 폐수지의 용융시간을 단축시켜 열분해 시간이 단축되고, 회전로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열분해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이송시킬 수 있어 열분해된 상태로 배출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esin emulsion extra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te resin is melted and pyrolyzed, the heating time of the waste resin is shortened by heating the waste resin from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rotating furnace, Can be transported in a state of maintaining the pyrolyzed state by keeping the temperature of the pyrolysis gas at a constant level, and can be discharged in a pyrolyzed state, which is a very useful and effective invention that can improve work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유화 추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유화 추출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로에 교반부가 더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가열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가열수단에 교반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유화 추출장치에 공급수단이 더 구비된 상태를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유화 추출장치에 기체저장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resin emulsion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a resin emulsion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irring part is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rotary furn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hea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ea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stirring por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ly means is further provided in the resin emulsion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eed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feed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as storage unit is further provided in the resin emulsion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only illustrati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유화 추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유화 추출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수단에 교반부가 더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가열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가열수단에 교반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유화 추출장치에 공급수단이 더 구비된 상태를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유화 추출장치에 기체저장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resin emulsion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a resin emulsion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 FIG.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hea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ea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stirring por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ly means is further provided in the resin emulsion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ly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as storage unit is further provided in the resin emulsion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 유화 추출장치(10)는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200), 회전로(300), 투입부(400), 이송부(500), 제1가열수단(600), 제2가열수단(700), 배출부(8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resin
제1고정부(100)는 내부에 공간부(110)를 갖고, 일측으로 제1설치공(120)이 형성되고, 제2고정부(200)는 제1고정부(100)의 일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며, 내부에 공간부(210)를 갖고, 제1설치공(120)에 대응되는 제2설치공(220)이 형성된다.The
그리고 회전로(300)는 제1고정부(100)의 공간부(110)와 제2고정부(200)의 공간부(210)에 연통되되,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송된 폐수지를 열분해시키기 위해 구비된다.The
회전로(300)에서의 열분해는 공급되는 폐수지의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폐수지가 고체상태로 공급될 경우, 겔(gel) 상태를 거쳐 탄화됨에 따라 열분해된다.Pyrolysis in the
투입부(400)는 폐수지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에 경사판(410)이 구비되어 투입된 수지의 공급량을 조절하게 된다.The
이를 위해, 경사판(410)은 경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수지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For this purpose, the
또한 이송부(500)는 제1고정부(100)에 구비되어 투입부(400)에 투입된 폐수지를 회전로(300)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폐수지를 회전로(300) 내부까지 공급하게 된다.The
제1가열수단(600)은 회전로(300)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회전로(300)를 외측에서 가열시킴에 따라 이송된 폐수지를 열분해시키게 된다.The first heating means 600 is provid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그리고 제2가열수단(700)은 회전로(300)의 내부를 가열시킴에 따라 제1가열수단(600)과 함께 이송된 폐수지를 열분해시키게 된다.The second heating means 700 pyrolyzes the waste paper conveyed together with the first heating means 600 as the inside of the
배출부(800)는 제2고정부(200)의 공간부(210)에 연통되도록 구비되며, 회전로(300)에서 열분해된 폐수지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The
여기서, 회전로(300)는 폐수지를 열분해시키도록 밀폐되는 것으로, 일단부가 제1고정부(100)의 제1설치공(120)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제2고정부(200)의 제2설치공(220)에 위치되며, 일단부는 제1고정부(100)의 제1설치공(120)과 밀폐되도록 설치되고, 타단부는 제2고정부(200)의 제2설치공(220)과 밀폐되도록 설치된다.Here, the
그리고 회전로(300)를 회전시키도록 회전구동부(310)가 구비되고, 회전되는 회전로(300)를 가이드하도록 다수의 가이드롤러(320)가 구비된다.A plurality of
이러한 가이드롤러(320)는 회전로(300)의 외주면에 닿아 회전로(30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것으로,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200)에 설치되거나 또는 별도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회전로(300)를 가이드함이 당연하다.The
이때, 회전로(300)는 내측면에 내화벽돌(312)이 설치되며, 이에 따라, 내화도가 높아 제1가열수단(600)과 제2가열수단(700)에 의해 고열이 가해져도 견딜 수 있다.At this time, the
이러한 회전로(300)의 내화도는 약 1,580℃ 이상이다.The degree of refracture of the
또한 회전로(300)는 제1고정부(100)의 제1설치공(120)에 위치된 일단부에서 제2고정부(200)의 제2설치공(220)에 위치된 타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이에, 회전로(300)로 이송된 폐수지는 제2고정부(200) 방향으로 회전되며, 용이하게 이동된다.Thus, the waste water transferred to the
또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로(300)의 내면에 다수의 교반부(330)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 다수의 교반부(330)에 의해 이송부(500)에 의해 공급되어 용융되는 폐수지를 교반시켜 균일하게 용융될 수 있다.3, a plurality of agitating
여기서, 회전로(300)의 내면에 내화벽돌(312)이 설치됨에 따라, 교반부(330)는 내화벽돌(312)에서 돌출되도록 회전로(300)의 내면에 설치되거나 내화벽돌(312)에 설치될 수 있다.Since the
그리고 이송부(500)는 이송몸체(510)와 이송스크류(520) 및 이송구동부(530)로 구성된다.The
먼저, 이송몸체(510)는 일단부가 투입부(400)와 연통되며, 타단부는 열분해수단(300)의 회전로(300)에 위치되도록 제1고정부(100)에 설치된다.First, the
이송스크류(520)는 이송몸체(5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외주면을 따라 이송날개(522)가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이송구동부(530)는 이송스크류(520)를 회전시키게 된다.The conveying
이러한 이송부(5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이송구동부(530)에 의해 이송스크류(520)가 이송몸체(510) 내에서 회전됨에 따라 투입되는 수지가 회전로(300) 내부로 이송될 수 있다.
As the
그리고 제1가열수단(600)은 가열로(610)와 점화부(620) 및 연료공급부(630)로 구성된다.The first heating means 600 includes a
먼저, 가열로(610)는 회전로(300)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회전로(300)와의 사이에 가열공간부(612)가 형성되는 것으로, 회전로(300)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가열공간부(612)가 밀폐되도록 형성된다.First, the
점화부(620)는 가열로(610)에 구비되어 회전로(300)의 가열을 위해 다수 개 구비되고, 연료공급부(630)는 점화부(620)에 연소를 위한 연료를 공급하게 된다.
A plurality of
또한 제2가열수단(700)은 도 1 내지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봉(710)과 열공급부(720)로 구성된다.The second heating means 700 is composed of a
가열봉(710)은 회전로(300)의 회전중심축을 따라 위치되도록 일단이 제2고정부(200)에 구비되고, 타단은 회전로(300) 내부에 위치되며, 열공급부(720)는 가열봉(710)에 열을 공급하게 된다.One end of the
이러한 제2가열수단(700)의 일 실시 예로, 가열봉(710)의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고, 열공급부(720)는 가열봉(710)으로 열을 전달시키도록 구비되어 회전로(300)의 내부를 가열시키게 된다.The second heating means 70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of the
한편, 제2가열수단(700)의 다른 실시 예로, 가열봉(710)은 내부에 냉매가 순환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고, 열공급부(720)는 가열봉(710)의 통로로 고온의 냉매를 순환시키도록 구비되어 회전로(300)의 내부를 가열시킬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heating means 700, a passag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can circulate is formed in the
이와 같은, 제2가열수단(700)의 일 실시 예와 다른 실시 예에서 가열봉(710)은 직선형으로 다수 개 구비되어 회전로(300) 내부 전체로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heating means 700, the plurality of
그리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봉(710)은 일정 반경을 갖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회전로(300) 내부에 존재하는 기체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열을 더욱 효율적으로 전달시킬 수 있다.4, the
이에 따라, 회전로(300)로 이송된 수지를 더욱 용이하게 용융시킬 수 있게 하여 열분해는 물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resin transferred to the
여기서, 제2가열수단(700)에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교반부(730)가 더 구비되어 이송부(500)에 의해 공급되어 폐수지를 교반시켜 균일하게 용융 및 탄화시킬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 5, the second heating means 700 further includes a stirring
이러한 교반부(730)는 가열봉(7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되는 것으로, 회전로(300)의 내면을 향해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에 절곡된 교반날개(732)가 형성되어 이송부(500)에 의해 공급되어 폐수지를 교반시키게 된다.
A plurality of stirring
배출부(800)는 배출몸체(810)와 배출스크류(820) 및 배출구동부(830)로 구성된다.The
배출몸체(810)는 회전로(300)에서 열분해된 각 물질이 배출되도록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것으로, 이 공간부는 제2고정부(200)의 공간부(210)와 연통된다.The discharging
그리고 배출스크류(820)는 배출몸체(8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외주면을 따라 배출날개(822)가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배출구동부(830)는 배출스크류(820)를 회전시키게 된다.The
이러한 배출부(8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배출구동부(830)에 의해 배출스크류(820)가 배출몸체(810) 내에서 회전됨에 따라 열분해된 물질이 배출된다.
As a result of the operation of the
또한 투입부(400)로 일정량의 폐수지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900)이 구비된다.Also, a feeding means 900 for continuously su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ste resin to the
이 공급수단(900)은 일 실시 예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폐수지를 일정 크기로 파쇄된 상태로 공급하는 것으로, 이 일정 크기로 파쇄된 폐수지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910)가 구비되고, 저장탱크(910)에 저장된 폐수지는 공급제어부(920)에 의해 투입부(400)로 공급량이 조절되어 지속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6, the supply means 900 is provided with a
그리고 다른 실시 예의 공급수단(900')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탱크(910')와 공급가열부(920') 및 공급제어부(930')로 구성된다.The supply means 900 'of another embodiment is composed of a storage tank 910', a supply heating unit 920 'and a supply control unit 930', as shown in FIG.
저장탱크(910')는 하측으로 갈수록 일정 크기로 파쇄된 고체상태에서 겔(gel) 상태의 폐수지가 저장되고, 공급가열부(920')는 폐수지가 겔(gel) 상태로 되도록 저장탱크(910')를 가열하게 된다.The storage tank 910 'stores wasted resin in a gel state in a solid state broken down to a predetermined size as it goes downward. The supply heating unit 920' stores the wastewater into a storage tank 910 ').
또한 공급제어부(930')는 저장탱크(910')에 저장된 겔(gel) 상태의 폐수지를 투입부(400)로 공급하되, 공급량을 일정하게 제어함에 따라 폐수지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The supply control unit 930 'supplies the waste water in the gel state stored in the storage tank 910' to the
이와 같이, 폐수지를 겔(gel) 상태로 공급하게 되면, 회전로(300)에서 열분해되는 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작업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회전로(300)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When the waste resin is supplied in a gel state, the time required for thermal decomposition in the
한편,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의 공급수단(900")은 제1저장탱크(910")와 제2저장탱크(920"), 공급제어부(930"), 공급가열부(940") 및 온도조절부(950")로 구성된다.8, the supply means 900 '' of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first storage tank 910 '' and a second storage tank 920 '', a supply control unit 930 '', a
먼저, 제1저장탱크(910")는 일정 크기로 파쇄된 고체상태의 폐수지가 저장되고, 제2저장탱크(920")는 겔(gel) 상태의 폐수지가 저장된다.First, the
그리고 공급제어부(930")는 제1저장탱크(910")에 저장된 고체상태의 폐수지를 제2저장탱크(920")로 이송하고, 제2저장탱크(920")에 저장된 겔(gel) 상태의 폐수지를 투입부(400)로 공급하게 된다.The
이러한 공급제어부(930")는 투입부(400)로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1저장탱크(910")와 제2저장탱크(920")의 각 저장량을 제어함에 따라 투입부(400)로 폐수지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This
또한 공급가열부(940")는 제1저장탱크(910")와 제2저장탱크(920") 사이에 구비되어 제2저장탱크(920")로 이송되는 고체상태의 폐수지가 겔(gel) 상태의 폐수지가 되도록 가열하게 된다.The
온도조절부(950")는 제2저장탱크(920")의 내부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폐수지를 겔(gel)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The
이와 같이, 공급제어부(930")에 의해 폐수지를 겔(gel) 상태로 공급하게 되면, 회전로(300)에서 열분해되는 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작업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회전로(300)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by supplying the waste paper to the gel state by the supply control unit 930 ', the time to be pyrolyzed in the
그리고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2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기체저장부(1000)가 더 구비된다.As shown in FIG. 9, the
이 기체저장부(1000)는 회전로(300)에서 폐수지가 탄화됨에 따라 기체가 발생되고, 발생된 기체는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200)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동됨에 따라 포집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기체가 포집되기 위해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200)는 상단부가 상측으로 돌출된 공간부가 형성됨이 당연하다.As such, it is natural that the first fixing
이러한 기체저장부(1000)에 의해 포집된 기체는 연료가스가 포함됨에 따라 별도의 분리과정을 거쳐 사용되거나 응축시켜 액체연료로 사용될 수도 있다.
The gas trapped by the
10 : 유화 추출장치 100 : 제1고정부
200 : 제2고정부 300 : 회전로
310 : 회전구동부 320 : 가이드롤러
330 : 교반부 400 : 투입부
500 : 이송부 600 : 제1가열수단
700 : 제2가열수단 710 : 가열봉
720 : 열공급부 800 : 배출부
900, 900', 900" : 공급수단 1000 : 기체저장부10: Oil extraction device 100: First fixing part
200: second fixing part 300: rotating shaft
310: rotation driving part 320: guide roller
330: stir part 400:
500: transfer part 600: first heating means
700: second heating means 710: heating rod
720: heat supply part 800: discharge part
900, 900 ', 900 ": supplying means 1000: gas storage unit
Claims (15)
상기 제1고정부의 일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며, 내부에 공간부를 갖고, 상기 제1설치공에 대응되는 제2설치공이 형성된 제2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의 공간부와 상기 제2고정부의 공간부에 연통되되,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폐수지가 열분해되는 회전로;
폐수지가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제1고정부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부에 투입된 폐수지를 상기 회전로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회전로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회전로를 외측에서 가열시킴에 따라 이송된 상기 폐수지를 열분해시키기 위한 제1가열수단;
상기 회전로의 내부를 가열시킴에 따라 상기 제1가열수단과 함께 이송된 폐수지를 열분해시키기 위한 제2가열수단; 및
상기 제2고정부의 공간부에 연통되도록 구비되며, 폐수지를 열분해된 상태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유화 추출장치.
A first fixing unit having a space portion therein and formed with a first installation hole on one side;
A second fixing part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side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having a space part therein and a second installa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stallation hole;
A rotary path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part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pace part of the second fixing part, rotatably provided to thermally decompose the waste water;
An input part into which waste water is injected;
A transferring unit provided in the first fixing unit for transferring the waste paper charged into the charging unit to the rotary furnace;
A first heating means provid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rotary furnace and for pyrolyzing the waste paper conveyed by heating the rotary furnace from the outside;
Second heating means for pyrolyzing the waste paper conveyed together with the first heating means by heating the inside of the rotary furnace; And
And a discharging portion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space portion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and discharging the waste resin in a pyrolyzed state.
상기 제1고정부의 제1설치공과 상기 제2고정부의 제2설치공에 양단부가 밀폐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폐수지가 열분해되며,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되고, 다수의 가이드롤러가 외주면에 닿아 회전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유화 추출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installation hole of the first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installation hole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are rotatably installed at both ends in a sealed state so that the waste water is thermally decomposed,
And the plurality of guide rollers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guide the rotation.
내측면에 내화벽돌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유화 추출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a refractory brick is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resin emulsion extracting apparatus.
상기 제1고정부의 제1설치공에 위치된 일단부에서 상기 제2고정부의 제2설치공에 위치된 타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유화 추출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ixing portion is inclined downwardly from one end of the first fixing portion located at the first mounting hole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일단부가 상기 투입부와 연통되며, 타단부는 상기 열분해수단의 회전로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고정부에 설치되는 이송몸체;
상기 이송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외주면을 따라 이송날개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이송스크류; 및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이송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유화 추출장치.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transfer body installed at the first fixing part such that one end is communicated with the charging part and the other end is positioned at a rotary path of the pyrolyzing device;
A conveying screw rotatably provided on the conveying body and having a conveying blade formed in a spiral shape alo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nd
And a feed drive unit for rotating the feed screw.
상기 회전로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회전로와의 사이에 가열공간부가 형성된 가열로;
상기 가열로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로의 가열을 위한 다수의 점화부; 및
상기 점화부에 연소를 위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유화 추출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heating means comprises:
A heating furnace provid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rotary furnace and having a heating space part between the heating furnace and the rotary furnace;
A plurality of igniters provided in the heating furnace for heating the rotary furnace; And
And a fuel supply unit for supplying fuel to the ignition unit for combustion.
상기 회전로의 회전중심축을 따라 위치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2고정부에 구비되고, 타단은 회전로 내부에 위치되는 가열봉; 및
상기 가열봉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열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유화 추출장치.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heating rod having a first end fixed to the second fixing part so as to be positioned along 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rotary shaft and the other end positioned inside the rotary shaft; And
And a heat supply unit for supplying heat to the heating rod.
다수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유화 추출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a plurality of the resin emulsion extraction apparatuses are provided.
일정 반경을 갖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유화 추출장치.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And is formed into a spir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교반부가 형성되되, 상기 교반부는 회전로의 내면을 향해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에 절곡된 교반날개가 형성되어 상기 이송부에 의해 공급되는 폐수지를 교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유화 추출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a plurality of stirring portion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tirring portion is protruded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rotary shaft and stirring wings are formed at the protruding ends to stir the waste water supplied by the feeding portion, Extraction device.
내면을 따라 다수의 교반부가 형성되어 상기 이송부에 의해 공급되는 폐수지를 교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유화 추출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stirring portions are formed along the inner surface to stir the waste paper fed by the feeding portion.
상기 투입부로 일정량의 폐수지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공급수단은 폐수지를 일정 크기로 파쇄된 상태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유화 추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upply unit for continuously su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ste resin to the charging unit is provided,
Wherein the supplying means supplies the waste resin in a crushed state to a predetermined size.
상기 투입부로 일정량의 폐수지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공급수단은,
하측으로 갈수록 일정 크기로 파쇄된 고체상태에서 겔(gel) 상태의 폐수지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
상기 폐수지를 겔(gel)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저장탱크를 가열하는 공급가열부; 및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겔(gel) 상태의 폐수지를 상기 투입부로 공급하되, 공급량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공급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회전로로 겔(gel) 상태의 폐수지가 공급됨에 따라 열분해 시간이 단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유화 추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upply unit for continuously su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ste resin to the charging unit is provided,
Wherein the supplying means comprises:
A storage tank for storing wasted resin in a gel state in a solid state crushed to a predetermined size downward;
A supply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storage tank to bring the waste water into a gel state; And
And a supply control unit for supplying the waste water in the gel state stored in the storage tank to the charging unit and controlling the supply amount constantly,
Wherein the thermal decomposition time is shortened as the waste resin in a gel state is supplied to the rotary kiln.
상기 투입부로 일정량의 폐수지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공급수단은,
일정 크기로 파쇄된 고체상태의 폐수지가 저장되는 제1저장탱크;
겔(gel) 상태의 폐수지가 저장되는 제2저장탱크;
상기 제1저장탱크에 저장된 고체상태의 폐수지를 상기 제2저장탱크로 이송하고, 제2저장탱크에 저장된 겔(gel) 상태의 폐수지를 상기 투입부로 공급하되, 상기 투입부로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의 각 저장량을 제어하는 공급제어부;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 사이에 구비되어 제2저장탱크로 이송되는 고체상태의 폐수지가 겔(gel) 상태의 폐수지가 되도록 가열하는 공급가열부; 및
상기 제2저장탱크의 내부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폐수지를 겔(gel)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온도조절부가 포함되며,
상기 회전로로 겔(gel) 상태의 폐수지가 공급됨에 따라 열분해 시간이 단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유화 추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upply unit for continuously su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ste resin to the charging unit is provided,
Wherein the supplying means comprises:
A first storage tank in which solid waste resin shredded to a predetermined size is stored;
A second storage tank in which a waste resin in a gel state is stored;
Wherein the solid waste resin stored in the first storage tank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storage tank and the waste water in the gel state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tank is supplied to the charging unit, A suppl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ach storage amount of the first storage tank and the second storage tank;
A supply heat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first storage tank and the second storage tank for heating the solid waste water to be transferred to the second storage tank to be a waste water in a gel state; And
A temperature control unit for maintain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storage tank at a constant level to maintain the waste water in a gel state,
Wherein the thermal decomposition time is shortened as the waste resin in a gel state is supplied to the rotary kiln.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기체저장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회전로에서 폐수지가 탄화됨에 따라 발생된 기체를 포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유화 추출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further includes a gas storage part to collect the gas generated as the waste resin is carbonized in the rotary furna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8180A KR20140061045A (en) | 2012-11-13 | 2012-11-13 | Pyrolysis apparatus for oil extraction from resi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8180A KR20140061045A (en) | 2012-11-13 | 2012-11-13 | Pyrolysis apparatus for oil extraction from resi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1045A true KR20140061045A (en) | 2014-05-21 |
Family
ID=50890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8180A Abandoned KR20140061045A (en) | 2012-11-13 | 2012-11-13 | Pyrolysis apparatus for oil extraction from resi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61045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778971A (en) * | 2015-06-07 | 2016-07-20 | 高影 | Waste plastic oil refining device |
KR102098128B1 (en) * | 2019-08-07 | 2020-04-08 | 이현덕 | inflammable gas generating device using vinyl waste |
-
2012
- 2012-11-13 KR KR1020120128180A patent/KR20140061045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778971A (en) * | 2015-06-07 | 2016-07-20 | 高影 | Waste plastic oil refining device |
CN105778971B (en) * | 2015-06-07 | 2017-05-24 | 山东永平再生资源股份有限公司 | Waste plastic oil refining device |
KR102098128B1 (en) * | 2019-08-07 | 2020-04-08 | 이현덕 | inflammable gas generating device using vinyl wast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62102B2 (en) | Sludge drying apparatus | |
KR100342349B1 (en) | Thermal Decomposition Apparatus for Polymer Waste | |
KR101243191B1 (en) | Apparatus for producing fuel oil by continual pyrolysis of waste combustible materials | |
KR101006224B1 (en) | Pyrolysis system and pyrolysis method of flammable waste | |
CN111056721B (en) | A staged continuous pyrolysis experimental device for oily sludge | |
JP2012136672A (en) | Vacuum pyrolysis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inuous liquefaction carbonization equipment | |
KR20170096120A (en) | Furnace | |
JP2017075294A (en) | Waste plastic decomposition equipment and waste plastic oil conversion system | |
KR20100100366A (en) | Oil extraction device from plastics wastematerial | |
KR20140061045A (en) | Pyrolysis apparatus for oil extraction from resin | |
KR20140015772A (en) | A structural improved of oil recovery apparatus | |
WO2023223932A1 (en) | Continuous organic matter pyrolysis device and continuous organic matter pyrolysis method | |
KR20170096600A (en) | Burning device | |
JP2004035851A (en) | Liquefaction apparatus | |
KR102374303B1 (en) | Apparatus for recycling waste material | |
CN110846063B (en) | High-efficient processing system of junked tire micelle | |
KR20060102577A (en) | 4 gas cooled waste synthetic resin emulsifier | |
CN104164241B (en) | A kind of moving bed dry distilling heating furnace of multistage discharging | |
KR20210073179A (en) | Cracking furnace for waste synthetic resin emulsion device | |
KR102547205B1 (en) | Transfer equipment for Ultrasonic pyrolysis of Polymer waste | |
JPH1129774A (en) | Waste plastic thermal decomposition reactor | |
US20140246301A1 (en) | Liquefying apparatus | |
KR200369280Y1 (en) | Treatment Reactor Device of Sludge Material Generated from Pyrolysis of Waste Plastics | |
KR102783082B1 (en) | Continuous waste plastic pyrolysis apparatus with individual temperature control for producing high-quality pyrolysis oil | |
KR20210095327A (en) | Melting apparatus for waste plastic process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9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