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8730A -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 Google Patents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58730A KR20140058730A KR1020120124157A KR20120124157A KR20140058730A KR 20140058730 A KR20140058730 A KR 20140058730A KR 1020120124157 A KR1020120124157 A KR 1020120124157A KR 20120124157 A KR20120124157 A KR 20120124157A KR 20140058730 A KR20140058730 A KR 201400587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uch
- electrode assembly
- secondary battery
- heat dissipation
- hea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3—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electrically insulating o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4—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located inside the innermost case of the cells, e.g. mandrels, electrodes or electrolyt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우치 내에 방열부를 삽입하여 파우치형 셀의 방열 효율을 늘리며, 또한 전극조립체의 효과적인 보호가 가능한 수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increasing the heat radiation efficiency of a pouch-type cell by inserting a heat-
Description
본 발명은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우치형 셀의 방열 효율을 늘리며, 또한 전극조립체의 효과적인 보호가 가능한 수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more particularly, to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increasing the heat radiation efficiency of the pouch type cell and also capable of effectively protecting the electrode assembly.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하여 디지털 카메라, 휴대폰, 노트북, 하이브리드카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며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차전지로는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메탈 하이드라이드 전지, 니켈-수소 전지, 리튬 이차전지 등을 들 수 있다.Generally, unlike a primary battery, a secondary battery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and is being actively stud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 digital camera, a mobile phone, a notebook, and a hybrid car. Examples of the secondary battery include a nickel-cadmium battery, a nickel-metal hydride battery, a nickel-hydrogen battery,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이러한 이차전지 중에서도 높은 에너지 밀도와 방전 전압을 가진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고 또한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 가능한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리튬 이온 전지에 주로 사용되는 원통형(cylinder type) 및 각형(prismatic type)을 들 수 있으며, 최근 들어 각광받는 리튬 폴리머 전지는 유연성을 지닌 파우치형(pouched type)으로 제조되어서, 그 형상이 비교적 자유롭다. 이러한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전극체의 일측에 전극탭이 형성되는 전극조립체 및 전극탭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전극체를 감싸서 밀봉하는 파우치로 이루어진다. 이때 파우치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전극조립체를 보호하며, 전극조립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파우치는 유연성을 지니는 소재이며 두께 또한 두껍게 형성되지 않으므로 파우치만으로는 전극조립체를 보호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으며, 방열 또한 전극조립체와 파우치의 접촉면이 넓지 않아 열의 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평면의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표면적이 낮아 효율이 높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Among such secondary batteries, many studies have been made on lithium secondary batteries having a high energy density and a discharge voltage, and they have been commercialized and widely used. Such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Typical examples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e a cylinder type and a prismatic type which are mainly used in a lithium ion battery. In recent years, a lithium polymer battery, It is manufactured in a pouched type and its shape is relatively free.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electrode tabs formed on one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a pouch sealing the electrode assembly so that the electrode tabs are extend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pouch protects the electrode assembly from external impact and functions to dissipate heat generated from the electrode assembly to the outside. However, since the pouch is flexible and the thickness is not formed thickly, there is a limitation in protecting the electrode assembly with the pouch alone, the heat transmission is not efficient because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pouch is not wide, The surface area is low and the efficiency is not high.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효과적인 방열이 가능한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effectively dissipating hea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파우치; 및 파우치와 전극조립체의 사이에 구비되며 요철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방열을 위한 방열부; 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n electrode assembly; A pouch for receiv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at least one heat dissipat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pouch and the electrode assembly and including concavities and convexities; .
이때, 방열부는 요철이 전극조립체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스트라이프 또는 아일랜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eat dissipat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 striped or island shape along the width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이와 더불어, 상기 방열부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두께에 대한 상기 요철의 높이의 비가 1:0.1 내지 1:0.5 범위 내의 값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 dissipation unit may have a ratio of the height of the concavo-convex to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assembly within a range of 1: 0.1 to 1: 0.5.
또한, 상기 방열부는 면상의 플레이트 형태 또는 선형의 프레임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 dissipation un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anar plate or a linear frame.
이와 더불어, 상기 방열부는 10W/mK 내지 1300W/mK 범위 내의 열전도도를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heat releasing portion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thermal conductivity within the range of 10 W / mK to 1300 W / mK.
이때, 상기 방열부는 전해질을 흡수하지 않는 PE, PP, 폴리올래핀과 같은 플라스틱수지 계열의 소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소재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heat dissipating unit is formed of a material selected from plastic materials such as PE, PP, and poly olefin which do not absorb the electrolyte.
또, 상기 방열부는 상기 파우치의 일면 또는 양면에 구비된다.
The heat dissipation unit is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uch.
본 발명에 의하면, 파우치형 셀에 있어서, 파우치의 표면적을 넓혀 방열 효율을 높이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기존의 방열을 위한 방열부재를 파우치 외부에 구비하므로 발생하던 불필요한 부피의 증가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되어 전지 모듈을 구성할 때에 더욱 많은 파우치형 셀을 연결할 수 있게 되며, 내부에서 전극조립체를 보호할 수 있게 되어 보호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ouch type cell, the surface area of the pouch is widened to enhance the heat radiation efficiency. Therefore, unnecessary volume increase caused by the existing heat dissipating member for heat dissipation is provided outside the pouch,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nect more pouch-shaped cells when constructing the battery module, and to protect the electrode assembly inside So that the prote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방향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AA'방향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BB'방향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방열부 실시예.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n AA 'dir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5;
7 is a view illustrating a heat dissipa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Hereinafter,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drawing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drawings,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lso,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방향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AA'방향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BB'방향 단면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방열부 실시예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 7 is an embodiment of the heat dissipa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탭(111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극조립체(110a), 전극탭(111a)을 제외한 전극조립체(110a)를 감싸 밀봉하는 파우치(120a), 전극조립체(110a)와 파우치(120a) 사이에 구비되어 요철(131a)을 형성하는 방열부(130a)를 포함한다.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우선, 전극조립체(110a)는 전기를 충전 또는 방전할 수 있는 부분으로 양극판, 음극판으로 이루어지는 전극탭(111a), 그리고 분리막 및 전해질 등을 포함한다. First, the
이때, 파우치(120a)는 전극조립체(110a)를 밀봉하도록 형성되는데, 파우치(120a)내부에 전극탭(111a)을 제외한 전극조립체(110a)를 넣은 상태에서 파우치(120a)의 가장자리를 열 융착하여 밀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파우치(120a)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포장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포장재는 얇은 알루미늄(Al) 판에 폴리에틸렌(PE)과 같은 플라스틱 박막을 증착하여 얇고 유연한 형태로 만든 포장재로서, 전극조립체(110a)의 절연을 확보할 수 있고, 열융착을 통해 전극탭(111a)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여 밀봉이 용이하다.The
이와 더불어, 방열부(130a)는 파우치(120a)와 전극조립체(110a)의 사이에 구비되고 요철(131a)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요철(131a)을 이용하여 파우치(120a)의 방열면적을 늘려 전극조립체(110a)에서 발생되는 열에 대한 방열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상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이때, 도 1은 길이 방향으로 요철(131a)이 형성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요철(131a)은 본 발명의 파우치형셀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었을 때에 효과적인 방열이 가능하며, 파우치형셀의 강도 보강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철(131a)이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등의 예시와 같이 다양한 방향으로 요철(131a)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1 show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이와 더불어 방열부(130a)가 물결과 같은 형상의 스프라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프라이트 형태는 방열에 있어서 열이 파우치(120a) 전체를 통하여 이동을 하기 때문에 전체적 온도 조절에 강점을 갖는다. 따라서, 파우치(120a) 전체의 통합적인 열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프라이트 형태의 요철(131a)의 모서리가 둥근 형태로 처리된다. 이는 방열부(130a)가 각진 형태로 형성될 경우, 방열부(130a)의 모서리에 의하여 파우치(120a)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조립체(110a)의 두께를 a, 상기 방열부 (130a)의 두께를 b로 하였을 때, a와 b의 비는 1:0.1 내지 1:0.5 범위 내의 값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요철(131a)의 높이의 비가 상기 전극조립체(110a)의 두께보다 많이 두꺼워질 경우 파우치셀의 두께가 비효율적으로 두꺼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파우치셀의 두께가 비효율적으로 두꺼워질 경우에 열이 외부로 방열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따라서 전체적인 방열 효율이 떨어지게 되며, 또한 부피가 불필요하게 커지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인 파우치셀의 두께를 위하여 전극조립체(110a)의 두께 a와 방열부(130a)의 높이 b의 비율은 1:0.1 내지 1:0.5 범위 내의 값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2, when the thickness of the
이때, 이러한 방열부(130a)는 파우치(120a)의 일면 또는 양면에 구비된다. 이때, 도 2와 같이 일면에 구비될 경우, 방열부(130a)는 구비되지 않은 일측면의 부피가 방열부(130a)가 구비된 일측면의 부피보다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파우치(120a)의 전체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도 3과 같이 방열부(130a)가 양면에 형성될 때에는 방열 면적의 극대화 되기 때문에 신속한 방열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At this time, the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요철(13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폭 방향으로 형성된 요철(131b)은 본 발명의 파우치형셀이 폭 방향으로 형성되었을 때에 효과적인 방열이 가능하며, 파우치형셀의 강도보강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철(131b)이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등의 예시와 같이 다양한 방향으로 요철(131b)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avities and
또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열부(130b)의 일부 영역이 융기되는 형상의 아일랜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아일랜드 형태는 각각의 부위에 독립적인 방열공간이 형성되어 파우치(120c)의 일정영역 방열에 더욱 효율을 높은 장점을 갖는다. 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일랜드 형태의 요철(131c)의 형태가 선택적인 부위에 전극조립체(110b)와 접촉하여 방열하는 방열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요철(131c)을 형성하는 방열부(130b)는 모서리가 둥근 형태로 처리된다. 이는 방열부(130b)가 각진 형태로 형성될 경우, 방열부(130b)의 모서리에 의하여 파우치(120c)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a part of the
따라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상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의 형태를 가지게 될 때에는 플레이트가 전극조립체(110a)와 직접 접촉하게 되어 보다 넓은 면적으로 파우치(120a)와 접촉하여 방열하게 되어 방열 효율성이 증가 하게 되며,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부터 전극조립체(110a)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상의 플레이트 형태가 아닌 선형의 프레임 형태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 형태를 갖는 방열부(130a)가 복수개 형성될 때에는 최소한의 부피와 최소한의 무게로 파우치(120a)의 방열면적을 넓힐 수 있어 파우치(120a)의 강도를 보강하게 되어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경량화에 장점이 있다.7 (a), when the plate is in the form of a flat plate, the plate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또한, 방열부(130a)는 10 W/mK 내지 1300 W/mK 범위 내의 열전도도를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파우치(120a)내에 방열부(130a)를 삽입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방열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이다. 이때 방열부(130a)는 요철(131a)을 이용하여 파우치(120a) 표면적을 증가시켜 방열 효율을 높이기도 하지만 전극조립체(110a)의 열을 직접 파우치(120a)로 전달하여 외부로 방열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따라서 전극조립체(110a)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하기 위한 방열부(130a)의 열전도도는 10W/mK 내지 1300W/mK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또한, 방열부(130a)는 전해질을 흡수하지 않는 소재로 형성된다. 방열부(130a)가 파우치(120a) 내부에 구비되므로 전해질과의 접촉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전해질과의 접촉 시 전해질을 일정범위이상으로 흡수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되면 전극조립체(110a)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되므로 전해질을 흡수하지 않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방열부 (130a)는 PE, PP, 폴리올래핀과 같은 플라스틱수지 계열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해질로는 LiPF6, LiBF4와 같은 Lithium salts 계열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the
또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파우치(120a) 접합 전에 방열부(130a)를 파우치(120a)와 접합하는 방열부 접합 단계; 를 수행한다. 이때 방열부 접합 단계에서 접합 방법은 열 압착을 이용한다. 이러한 열 압착은 먼저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된 파우치(120a)를 방열부(130a)와 열 접합을 통하여 늘려주는 효과를 가지게 되어 별도의 접합부를 형성하지 않고서도 접합이 가능해지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파우치(120a) 크기의 변화를 주지 않고서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게 되어 기존 공정에 대한 적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Also,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 heat dissipating unit joining step of joining the
또한, 방열부 접합단계를 거치지 않았을 때, 방열부(130a)와 전극조립체(110a) 또는 파우치(120a)가 잘못 접합되어 발생될 수 있는 전극조립체(110a) 및 파우치(120a)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방열부(130a)를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되어 전극조립체(110a)의 방열 또는 보호라는 방열부(130a)의 역할에 맞는 적절한 위치에 방열부(130a)를 위치시켜 최적의 효율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When the heat dissipating unit joining step is not performed, damage to the
위와 같은 방열부 접합단계 다음으로 파우치(120a)에 전극조립체(110a)를 삽입하는 전극조립체(110a) 삽입단계; 파우치(120a)의 접합하여 밀봉하는 파우치 접합단계; 를 통하여 파우치형 셀이 제조될 수 있다.
A step of inserting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a, 100b, 100c: 파우치형 셀
110a, 110b: 전극조립체
111a, 111b, 111c: 전극탭
120a, 120b, 120c: 파우치
130a, 130b: 방열부
131a, 131b, 131c: 요철100a, 100b, 100c: pouch type cells
110a, 110b: electrode assembly
111a, 111b, 111c:
120a, 120b, 120c:
130a, 130b:
131a, 131b, 131c: concave and convex
Claims (8)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파우치; 및
상기 파우치와 상기 전극조립체의 사이에 구비되며 요철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방열부
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An electrode assembly;
A pouch for receiv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And a heat dissipat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pouch and the electrode assembly,
And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상기 요철은 상기 전극조립체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nevenness is formed in a stripe shape along the width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상기 전극조립체의 두께에 대한 상기 요철의 높이의 비가 1:0.1 내지 1:0.5 범위 내의 값으로 형성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atio of a height of the concavo-convex to a thickness of the electrode assembly is set to a value within a range of 1: 0.1 to 1: 0.5.
상기 방열부는 면상의 플레이트 형태 또는 선형의 프레임의 형태를 갖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 dissipating unit has a plate shape in the form of a plane or a linear frame shape.
상기 방열부는 1300W/mK 이하의 열전도도를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 dissipating unit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thermal conductivity of 1300 W / mK or less.
상기 방열부는 전해질을 흡수하지 않는 소재로 형성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 dissipation unit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does not absorb the electrolyte.
상기 방열부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heat dissipation unit is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 dissipation part is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uch.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4157A KR20140058730A (en) | 2012-11-05 | 2012-11-05 |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4157A KR20140058730A (en) | 2012-11-05 | 2012-11-05 |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8730A true KR20140058730A (en) | 2014-05-15 |
Family
ID=50888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4157A Ceased KR20140058730A (en) | 2012-11-05 | 2012-11-05 |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58730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63837A (en) * | 2014-11-27 | 2016-06-0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Rechargeable battery |
US10804504B2 (en) | 2015-08-13 | 2020-10-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xterior package for flexible electrochemical device and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the exterior package |
US10854857B2 (en) | 2016-03-15 | 2020-12-01 | Samsung Sdi Co., Ltd. | Secondary battery |
US11557818B2 (en) | 2018-05-15 | 2023-01-17 | Samsung Sdi Co., Ltd. | Battery pack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26601A (en) * | 2004-09-21 | 2006-03-2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Case,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
KR100870355B1 (en) * | 2007-07-19 | 2008-11-2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Pouch Type Battery Pack |
KR20110082745A (en) * | 2010-01-12 | 2011-07-2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
KR101073010B1 (en) * | 2010-04-19 | 2011-10-1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
JP2012043655A (en) * | 2010-08-19 | 2012-03-01 | Denso Corp | Battery pack |
-
2012
- 2012-11-05 KR KR1020120124157A patent/KR20140058730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26601A (en) * | 2004-09-21 | 2006-03-2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Case,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
KR100870355B1 (en) * | 2007-07-19 | 2008-11-2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Pouch Type Battery Pack |
KR20110082745A (en) * | 2010-01-12 | 2011-07-2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
KR101073010B1 (en) * | 2010-04-19 | 2011-10-1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
JP2012043655A (en) * | 2010-08-19 | 2012-03-01 | Denso Corp | Battery pack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63837A (en) * | 2014-11-27 | 2016-06-0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Rechargeable battery |
US10804504B2 (en) | 2015-08-13 | 2020-10-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xterior package for flexible electrochemical device and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the exterior package |
US10854857B2 (en) | 2016-03-15 | 2020-12-01 | Samsung Sdi Co., Ltd. | Secondary battery |
US11557818B2 (en) | 2018-05-15 | 2023-01-17 | Samsung Sdi Co., Ltd. | Battery pac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301738B1 (en) | Cell cover for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 |
KR102223514B1 (en) | Battery module | |
CN113678302B (en) | Battery Module | |
KR102824434B1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
KR101960922B1 (en) | Battery module | |
KR102256606B1 (en) |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the battery pack | |
JP2022534482A (en) | Battery modules and battery packs containing the same | |
US20160380241A1 (en) | Secondary battery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 |
JP7199778B2 (en) | Battery modules and battery packs containing the same | |
KR20210150843A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
KR20160073233A (en) |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KR20250057992A (en) | Pouch-type secondary battery | |
KR20230033628A (en) | Battery cell,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 |
KR20140058730A (en) |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 |
KR101897223B1 (en) |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 |
JP7636089B2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 |
KR101825007B1 (en) |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CN115191054A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including the same | |
KR101795704B1 (en) |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KR102016122B1 (en) |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 |
KR20210130548A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
KR20210133543A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
KR20170052059A (en) | Battery module | |
KR102193166B1 (en) | Battery module | |
KR20220144715A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0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6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1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8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1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8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4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811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0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8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4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8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