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58125A -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8125A
KR20140058125A KR1020120124765A KR20120124765A KR20140058125A KR 20140058125 A KR20140058125 A KR 20140058125A KR 1020120124765 A KR1020120124765 A KR 1020120124765A KR 20120124765 A KR20120124765 A KR 20120124765A KR 20140058125 A KR20140058125 A KR 20140058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vision
mail
displayed
post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7012B1 (ko
Inventor
박홍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24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012B1/ko
Priority to US13/918,504 priority patent/US20140129474A1/en
Publication of KR20140058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01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1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etection ofthe dest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18Devices 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destination, e.g. by code ma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집배구 변경에 따른 구분대 정보 자동 변경과 우편물의 주소정보 또는 바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우편물의 구분칸 위치를 자동으로 알려주고, 집배원이 등기우편물에 대한 PDA작업을 생략할 수 있게 설계됨에 따라, 집배원이 집배구가 변경됨에 따라 구분칸 정보를 매번 수정할 필요 없으며 해당 우편물의 구분칸 위치를 집배원에게 알려주어 구분칸 위치가 변경되어도 집배원은 쉽게 해당우편물의 구분칸을 찾을 수 있으며 집배구가 변경되거나 새로운 집배구를 할당 받아도 해당 구분칸을 자동으로 알 수 있어 우편물 구분작업의 효율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mail sorting boxes automatically setting for Automatic Distinction}
본 발명은 우편물 배달을 위한 우편물 정보를 바탕으로 우편물 분류 관련 기술분야이다. 우편물 정보를 획득하여 최적의 우편물 배달을 수행하기 위한 우편물 분리, 분류에 관한 기술로 우편물 구분칸에 적용되는 시스템 및 방법이다.
우편물을 고객에게 배달하는 집배국에서는 집배원이 우편물 배달을 위하여 우편물 배달 경로 순서에 맞게 우편물을 구분하는 우편물 순로 구분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우편물은 순로구분기(집배국 전체 일반 우편물을 각 집배원 또는 집배팀에게 해당되는 우편물을 분류해주는 기계)에서 1차 분류되며 집배원은 1차 분류된 일반 우편물에 대해서 해당 경로에 맞게 구분칸에 투입하는 작업을 진행하며 등기우편물은 특수계에서 집배원에게 할당되는 우편물을 1차로 구분하며 집배원은 1차 구분된 기록 우편물을 배당 경로에 맞는 해당 구분칸으로 투입한 후 배달 전 할당 받은 등기우편물을 PDA를 이용하여 스캔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시스템에게 집배원에게 할당된 등기우편물 정보를 알려주기 위함.)
집배원이 담당하는 집배지역인 집배구는 인구증가, 건물증가, 행정구역 변경 및 업무량에 따라 집배국 내에서 수시로 변경되고 있다. 집배원은 자신의 집배구가 변경될 때 구분칸에 해당되는 배달 지역 주소를 변경해야 되며 이로 인해 기존의 우편물을 구분하는 구분칸의 위치 변동으로 인해 순로구분 작업 시 업무의 효율성이 떨어지며 또한 구분칸의 투입될 물량을 예측하기 어려워 구분칸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새로운 집배구를 할당 받은 집배원은 배달경로에 따른 구분칸 위치 수정과 구분칸 정보 수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업무 요소로 작용하며 새로운 구분칸의 위치 및 정보로 인해 구분작업에 어려움을 겪는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집배구 내에 해당되는 인구밀도와 우편물의 통계를 활용하여 집배원이 사용하는 구분칸 정보에 맞게 우편물 투입물량에 알맞게 구분칸 주소 정보를 자동으로 변경해주고 우편물을 스캔장치에 통과시켜 주소 또는 바코드 정보를 인식하여 우편물이 투입될 해당 구분칸에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여 구분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기 저장된 우편 정보 DB를 바탕으로 우편물이 투입되는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결정하는 구분부; 및 상기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수신받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분부의 상기 우편 정보 DB는 집배원별 집배구내 주소정보가 기 저장된 집배구 DB를 포함하며, 상기 구분부는 상기 집배구 정보에 따라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결정하는 것이 특징인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분부의 상기 우편 정보 DB는 기존 등기우편의 물량통계가 기 저장된 등기우편 통계 DB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구분부는 상기 물량통계를 더욱 고려하여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결정하는 것이 특징인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분부의 상기 우편 정보 DB는 인구밀도 통계가 기 저장된 센서스 통계 DB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구분부는 상기 인구밀도 통계를 더욱 고려하여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결정하는 것이 특징인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분부의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는 각 구분칸의 주소 정보이며 상기 구분부는 상기 각 구분칸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기존 구분칸의 주소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는 구분칸 DB를 갱신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우편물을 스캔하여 우편물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획득부의 상기 우편물의 정보는 우편물의 문자인식 정보 또는 등기우편물의 바코드 정보이며, 상기 정보획득부는 상기 문자인식 정보 또는 바코드 정보로부터 주소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분부의 상기 우편 정보 DB는 각 구분칸의 주소정보가 기 저장된 구분칸 DB를 포함하며, 상기 구분부는 상기 각 구분칸의 주소정보와 상기 정보획득부가 획득한 주소정보를 매칭하여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더욱 결정하는 것이 특징인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는 각 구분칸의 주소정보 및 상기 우편물이 투입될 구분칸이 어떤 구분칸인지를 알려주는 투입표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보획득부는 우편물의 정보를 획득하는 스캐너; 다량의 우편물을 자동으로 상기 스캐너에 공급하는 우편물 공급장치; 및 상기 스캐너의 우편물의 정보 획득이 끝난 우편물을 이송하는 우편물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기 저장된 우편 정보 DB를 바탕으로 우편물이 투입되는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수신받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정하는 단계의 상기 우편 정보 DB는 집배원별 집배구내 주소 정보가 기 저장된 집배구 DB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의 결정방법은 상기 집배구내 주소 정보에 따라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결정하는 것이 특징인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정하는 단계의 상기 우편 정보 DB는 기존 등기우편의 우편물량통계가 기 저장된 등기우편 통계 DB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의 결정방법은 상기 우편물량통계에 따라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결정하는 것이 특징인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정하는 단계의 상기 우편 정보 DB는 인구밀도 통계가 기 저장된 센서스 통계 DB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의 결정방법은 상기 인구밀도에 따라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결정하는 것이 특징인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정하는 단계의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는 각 구분칸의 주소 정보이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구분칸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기존 구분칸의 주소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는 구분칸 DB를 갱신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방법은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우편물을 스캔하여 우편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획득하는 단계의 상기 우편물의 정보는 우편물의 문자인식 정보 또는 등기우편물의 바코드 정보이며, 상기 문자인식 정보 또는 바코드 정보로부터 주소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정하는 단계의 상기 우편 정보 DB는 각 구분칸의 주소정보가 기 저장된 구분칸 DB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구분칸의 주소정보와 상기 정보획득부가 획득한 주소정보를 매칭하여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결정하는 것이 특징인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는 상기 우편물이 투입될 구분칸이 어떤 구분칸인지를 알려주는 투입표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집배구 변경에 따른 구분칸 정보 자동 변경과 우편물의 주소정보 또는 바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우편물의 구분칸 위치를 자동으로 알려주며 집배원이 기록 우편물에 대한 PDA 작업을 생략할 수 있게 설계 됨에 따라, 집배원이 집배구가 변경됨에 따라 구분칸 인덱스 정보를 매번 수정할 필요가 없으며 해당 우편물의 구분칸 위치를 집배원에게 알려주어 구분칸 위치가 변경되어도 집배원은 쉽게 해당 우편물의 구분칸을 찾을 수 있으며 집배구가 변경되거나 새로운 집배구를 할당 받아도 해당 구분칸을 자동으로 알 수 있어 우편물 순로 구분작업의 효율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 정보획득부(10)의 구조도이다.
도3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 구분부(20)의 블록도이다.
도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 표시부(30)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기술된다. 그렇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이들 제한 된 실시예를 넘어 확장되기 때문에, 이들 도면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이 예시를 위한 것임을 용이하게 알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의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1)은 정보획득부(10), 구분부(20), 표시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획득부(10)는 우편물을 스캔하여 우편물의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정보획득부(10)의 상기 우편물의 정보는 우편물의 문자인식 정보 또는 등기우편물의 바코드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획득부(10)가 스캔하는 방법은 영상 촬영을 통한 문자인식이나, RFID태그를 활용한 정보인식, 바코드 스캐너를 통한 바코드인식 등이 가능하며 상기 열거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정보획득부(10)는 상기 우편물의 문자인식 정보로부터 주소정보를 최종 획득하거나, 등기우편물 DB(미도시)를 바탕으로 상기 바코드 정보로부터 주소정보를 최종 획득한다.
특히 문자인식의 경우에 문자인식을 할 수 있는 장치로는 인쇄문자와 필기문자를 모두 인식할 수 있는 광학식 문자판독기(Optical Character Reader:OCR), 특수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광학식 마크판독기(Optical Mark Reader:OMR), 자기잉크판독기(Magnetic Ink Character Reader:MICR) 등이 있고 영상인식장치 등은 차세대 인식장치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될 수 있다.
OCR에 의한 인식은 판독한 결과의 신뢰성이 중요하므로 인식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입력되는 문자에 어느 정도의 제한이 따른다. OCR 인쇄문자의 표준 자형에는 OCR-A와 OCR-B가 있으며, 초기에는 OCR-A형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사람이 읽기 쉽지 않다는 이유로 OCR-B형이 사용되고 있다. 필기문자는 인쇄문자와 달리 기계적인 치수로 그 형상을 엄격히 규정하기 어려우므로 인식하는데 여러 문제가 있다. 일반적인 지표로는 문자를 구성하는 특징적인 선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을 것, 쓰기 쉬울 것, 자연스러운 자형일 것 등이 주로 검토되고 있다. 또한 필기문자의 크기와 형상을 안정시킬 목적으로 문자 기입란의 크기와 모양을 동시에 제한하고 있다. 종래의 문자인식 방법은 크게 패턴 정합법(pattern matching)과 구조 분석법(structure analysis)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전자는 주로 인쇄문자의 인식에, 후자는 주로 필기문자의 인식에 사용된다. 양자의 중간적인 문자인식 방식으로 특징 정합법(feature matching) 및 획 분석법(stroke analysis) 등이 있으며, 각각의 용도나 목적에 맞추어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 구분부(20)는 기 저장된 우편 정보 DB를 바탕으로 상기 우편물이 투입되는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표시부(30)로 송신한다. 상기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는 구분칸의 주소정보 및 우편물 투입표시 이다.
상기 우편 정보 DB는 우편물을 처리하거나 우편물의 주소정보 확인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DB로 등기우편물 통계 DB, 센서스 통계 DB, 집배구 DB, 구분칸 DB를 포함한다. 상기 DB의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표시부(30)는 상기 구분부(20)로부터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수신받은 정보를 각 구분칸에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30)는 각 구분칸에는 주소정보 및 우편물 투입표시가 표시되도록 한다. 우편물 투입표시는 우편물이 해당 구분칸에 투입되도록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표시부(30)의 문자표시방법은 영어 ·숫자나 한글과 같이 자형(字形)이 간단한 문자의 발생방법과 한자와 같이 자형이 복잡한 문자의 발생 방법과는 그 발생 방법이 다소 다르지만, 기본적으로는 도트방식 ·스트로크방식 ·모노스코프방식으로 나뉜다.
상기 표시부(30)의 장치 종류로는 CRT디스플레이 장치, 기억형 표시 장치, EL(electroluminescence),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중 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획득부(10)의 구조도이다.
도 2에 따른 정보획득부(10)는 스캐너(110), 우편물 공급 장치(100), 우편물 이송장치(120)을 포함한다. 우편물 공급 장치(110)는 다량의 우편물을 자동으로 스캐너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상기 우편물 공급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개별적으로 우편물을 스캐너에 통과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스캐너(110)는 상기 우편물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우편물을 스캔하여 우편물 정보를 획득한다. 앞서 서술한 것처럼 우편물 정보는 우편물의 주소 정보 또는 등기우편물의 바코드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캐너(110)를 통과한 우편물은 우편물 이송장치(120)를 통하여 구분칸으로 이송된다.
도3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분부(20)의 블록도이다.
도3의 구분부(20)는 우편정보 DB, 처리서버(220)를 포함한다.
상기 우편정보 DB로는 센서스 통계 DB(210), 집배구 DB(220), 등기우편물통계 DB(240), 구분칸 DB(2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배구DB(220)에는 집배원별 집배구내 건물 또는 행정구역 또는 도로의 주소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구분부(20)의 처리서버(220)는 상기 집배구 정보에 따라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결정한다. 상기 결정하는 방법은 한 개의 동 당 한 개의 구분칸으로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결정할 수도 있고, 2개의 동 당 한 개의 구분칸으로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결정할 수도 있다. 혹은 건물 한 채당 한 개의 구분칸으로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열거한 결정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집배구 정보가 갱신되는 경우에,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도 갱신된다.
등기우편물 통계 DB(240)에는 등기우편물의 우편물량통계가 기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구분부(20)의 처리서버(220)는 상기 우편물량통계에 따라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결정하는데, 우편물량이 많은 지역에 해당하는 구분칸일수록 우편물 구분 작업자에게 가까운 위치에 배정되도록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우편물량에 따라 각 구분칸이 균등하게 우편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결정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열거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등기우편물 통계 DB가 갱신될 경우에, 갱신된 등기우편물 통계 DB를 바탕으로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가 결정된다.
센서스 통계 DB(210)에는 인구밀도가 기 저장되어 있고, 상기 구분부(20)의 처리서버(220)는 상기 인구밀도에 따라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결정하는데, 인구 밀도가 많은 지역에 해당하는 구분칸일수록 우편물 구분 작업자에게 가까운 위치에 배정되도록,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구밀도가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열거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우편 정보 DB를 바탕으로 각 구분칸에 표시되는 정보는 각 구분칸의 주소정보이다. 상기 구분부(20)의 처리서버(220)는 상기 각 구분칸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기존 구분칸의 주소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는 구분칸 DB(250)를 갱신한다.
또한, 구분부(20)의 처리서버(220)는 상기 결정되는 각 구분칸의 주소정보와 상기 정보획득부가 획득한 주소정보를 매칭하여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결정하는데, 상기 정보는 우편물이 투입될 구분칸이 어떤 구분칸인지를 알려주는 투입표시이다.
도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30)의 간략도이다.
도4의 표시부(30)는 우편물 투입표시(300) 및 구분칸 주소표시(31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30)는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수신받은 정보를 표시한다.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는 각 구분칸의 주소정보와 우편물 투입표시이다. 각 구분칸의 주소정보가 구분칸 주소표시(310)에 표시되고, 해당 우편물이 투입될 구분칸은 우편물 투입표시(300)에 표시 또는 점등 된다.
상기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만약 집배원의 집배구가 변경되거나 인구 밀도의 증/감소, 건물, 행정구역, 도로, 주소의 변경 등으로 인하여 구분칸의 주소표시(310)를 달리해야 하는 경우, 기존의 경우에 집배원이 일일이 수작업으로 표시해야하는 불편함과 추가업무요소가 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집배구 변경이나 건물, 행정구역 등의 변경은 집배구 DB의 갱신으로, 인구 밀도의 증/감소로 인한 변경은 센서스 DB의 갱신으로, 또한 등기우편물 통계 DB가 갱신되는 경우에 처리서버(200)에서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자동으로 갱신하여 업무의 효율을 꾀할 수 있다.
또 다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은 사정으로 구분칸의 위치 및 주소정보가 바뀌었을 경우에, 기존의 경우에 집배원은 바뀐 구분칸 및 구분칸 정보에 적응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등기우편물의 경우, 집배원이 PDA로 일일히 바코드 정보를 스캔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획득부(10)에서 대량의 우편물에 대한 정보를 스캔하므로 상기의 수고를 덜 수 있고, 구분칸의 우편물 투입표시(300)의 점등여부에 따라, 점등이 있는 구분칸에 해당 우편물을 투입하면 되므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의 정보획득부(10)에서 우편물을 스캔하여 우편물의 정보를 획득한다.(S400) 상기 우편물의 정보는 우편물의 문자인식정보 또는 등기우편물의 바코드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문자인식 정보는 주소정보로 최종획득하고, 바코드 정보 또한 등기우편물 DB를 바탕으로 주소정보를 최종획득한다. 또한 스캔하는 방법은 바코드 센서를 이용한 바코드 인식이나 영상촬영판독을 통한 문자 인식이나 RFID 태그를 활용한 정보인식이 가능하다. 하지만 상기 열거된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획득한 우편물 정보를 구분부(20)로 송신한다.
또한, 정보획득부(10)는 우편물의 정보를 획득하는 스캐너; 다량의 우편물을 상기 스캐너에 자동으로 공급하는 우편물 공급 장치; 및 상기 스캔이 끝난 우편물을 자동으로 이송하는 우편물 이송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분부(20)는 기 저장된 우편정보 DB와 상기 수신된 우편물 정보를 바탕으로 우편물이 투입되는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결정한다.(S410)
상기 우편 정보 DB는 센서스 DB, 집배구 DB, 등기우편물 통계 D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는 각 구분칸의 주소정보 또는 우편물이 투입될 구분칸의 투입표시 이다.
또한, 구분부(20)는 상기 각 구분칸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기존 구분칸의 주소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는 구분칸 DB를 갱신하는 기능을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부(30)는 상기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바탕으로, 각 구분칸에 정보를 표시한다.(S420)
상기 표시하는 정보는 구분칸에 표시되는 주소 및 우편물 투입 표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기 저장된 우편 정보 DB를 바탕으로 우편물이 투입되는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결정하는 구분부; 및
    상기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수신받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부의 상기 우편 정보 DB는 집배원별 집배구내 주소정보가 기 저장된 집배구 DB를 포함하며,
    상기 구분부는 상기 집배구 정보에 따라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결정하는 것이 특징인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부의 상기 우편 정보 DB는
    기존 등기우편의 물량통계가 기 저장된 등기우편 통계 DB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구분부는
    상기 물량통계를 더욱 고려하여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결정하는 것이 특징인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부의 상기 우편 정보 DB는
    인구밀도 통계가 기 저장된 센서스 통계 DB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구분부는
    상기 인구밀도 통계를 더욱 고려하여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결정하는 것이 특징인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
  5. 제 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부의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는 각 구분칸의 주소 정보이며
    상기 구분부는 상기 각 구분칸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기존 구분칸의 주소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는 구분칸 DB를 갱신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우편물을 스캔하여 우편물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획득부의 상기 우편물의 정보는
    우편물의 문자인식 정보 또는 등기우편물의 바코드 정보이며,
    상기 정보획득부는 상기 문자인식 정보 또는 바코드 정보로부터 주소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부의 상기 우편 정보 DB는 각 구분칸의 주소정보가 기 저장된 구분칸 DB를 포함하며,
    상기 구분부는 상기 각 구분칸의 주소정보와 상기 정보획득부가 획득한 주소정보를 매칭하여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더욱 결정하는 것이 특징인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는
    각 구분칸의 주소정보 및 상기 우편물이 투입될 구분칸이 어떤 구분칸인지를 알려주는 투입표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획득부는
    우편물의 정보를 획득하는 스캐너; 다량의 우편물을 자동으로 상기 스캐너에 공급하는 우편물 공급장치; 및 상기 스캐너의 우편물의 정보 획득이 끝난 우편물을 이송하는 우편물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
  10. 기 저장된 우편 정보 DB를 바탕으로 우편물이 투입되는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수신받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의 상기 우편 정보 DB는 집배원별 집배구내 주소 정보가 기 저장된 집배구 DB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의 결정방법은
    상기 집배구내 주소 정보에 따라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결정하는 것이 특징인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의 상기 우편 정보 DB는
    기존 등기우편의 우편물량통계가 기 저장된 등기우편 통계 DB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의 결정방법은
    상기 우편물량통계에 따라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결정하는 것이 특징인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의 상기 우편 정보 DB는
    인구밀도 통계가 기 저장된 센서스 통계 DB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의 결정방법은
    상기 인구밀도에 따라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결정하는 것이 특징인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방법.
  14. 제 11항 또는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의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는 각 구분칸의 주소 정보이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구분칸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기존 구분칸의 주소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는 구분칸 DB를 갱신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방법은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우편물을 스캔하여 우편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획득하는 단계의 상기 우편물의 정보는
    우편물의 문자인식 정보 또는 등기우편물의 바코드 정보이며,
    상기 문자인식 정보 또는 바코드 정보로부터 주소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의 상기 우편 정보 DB는 각 구분칸의 주소정보가 기 저장된 구분칸 DB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구분칸의 주소정보와 상기 정보획득부가 획득한 주소정보를 매칭하여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를 결정하는 것이 특징인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분칸에 표시될 정보는
    상기 우편물이 투입될 구분칸이 어떤 구분칸인지를 알려주는 투입표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방법.
KR1020120124765A 2012-11-06 2012-11-06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2007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765A KR102007012B1 (ko) 2012-11-06 2012-11-06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 및 방법
US13/918,504 US20140129474A1 (en) 2012-11-06 2013-06-14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ally setting sorting boxes for automatic mail sor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765A KR102007012B1 (ko) 2012-11-06 2012-11-06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125A true KR20140058125A (ko) 2014-05-14
KR102007012B1 KR102007012B1 (ko) 2019-08-02

Family

ID=50623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765A Expired - Fee Related KR102007012B1 (ko) 2012-11-06 2012-11-06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129474A1 (ko)
KR (1) KR1020070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772A (ko) 2020-04-17 2021-10-27 주식회사 엔에프씨엔티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8953B (zh) * 2014-09-25 2017-04-05 江苏云柜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标准件快递柜控制模块
CN107048960B (zh) * 2016-12-21 2018-07-10 英业达科技有限公司 智能邮筒和识别邮寄数据以预先分类邮件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7712A (ja) * 1999-09-21 2001-04-03 Toshiba Corp 紙葉類区分装置
JP2007222747A (ja) * 2006-02-22 2007-09-06 Toshiba Corp 郵便物処理装置及び郵便物処理方法
KR20100032750A (ko) * 2008-09-18 2010-03-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우편물 구분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7271A (en) * 1991-08-22 1994-02-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processing system for optimized mail piece sorting and mapping to carrier walk sequence using real time statistical data
US20050119786A1 (en) * 2003-04-22 2005-06-02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ainerized shipping of mail pieces
US20090159508A1 (en) * 2007-12-20 2009-06-25 Bowe Bell + Howell Company Relational scheme assign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7712A (ja) * 1999-09-21 2001-04-03 Toshiba Corp 紙葉類区分装置
JP2007222747A (ja) * 2006-02-22 2007-09-06 Toshiba Corp 郵便物処理装置及び郵便物処理方法
KR20100032750A (ko) * 2008-09-18 2010-03-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우편물 구분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772A (ko) 2020-04-17 2021-10-27 주식회사 엔에프씨엔티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29474A1 (en) 2014-05-08
KR102007012B1 (ko) 201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5561B2 (ja) ディジタルインプリントと関連付けられるクライアントコードを用いて郵便物を処理する方法
US10369597B2 (en) Assisted manual mail sorting system
US74369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age processing
US7720256B2 (en) Idenitfication tag for postal objects by image signature and associated mail handling
US92334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ance in sorting articles into a sorting case
US20060030969A1 (en) Hand held OCR apparatus and method
ES2348009T3 (es) Procedimiento para tratamiento de envíos, incluyendo una clasificación gráfica de las firmas asociadas a los envíos.
JPH04338271A (ja) 郵便物の自動区分処理のための郵便物エンコード方法及び装置
KR102007012B1 (ko)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 및 방법
US20100318215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ransportation of an object to a receiving unit
CN102147864B (zh) 票据读取装置和票据读取方法
CN102046304B (zh) 利用信息处理来对多个邮件进行分拣的方法
JP5433470B2 (ja) 住所データベース構築装置および住所データベース構築方法
CN113962636A (zh) 物料出库方法及物料出库系统
US9421579B2 (en) Method of merging a postal article into sorted mail, the method including assistance via visual designation of the location at which the postal article is to be inserted
JP4365611B2 (ja) 物の管理システム及び物の管理方法
KR101742637B1 (ko) 반송 우편물 자동처리 시스템 및 방법
CN116756358A (zh) 一种航班舱单电子化管理方法
JP5911701B2 (ja) ビデオコーディングシステム、画像の表示優先度判定プログラムおよび小包処理装置
EP225338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tal matter
JP2000020640A (ja) 分類システム、検索システム、分類方法及び記録媒体
KR20120019706A (ko) 우편물 주소 인식 시스템
JP6390637B2 (ja) 管理装置、管理方法、および、管理装置用のプログラム
KR20230170498A (ko) 간략 배송 주소를 제공하는 배송 업무 지원 시스템, 서버,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70070719A (ko) 집배구코드 기반의 도착구분계획을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8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1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