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56508A - 연필깎이를 구비한 연필꽂이 겸 필통 - Google Patents

연필깎이를 구비한 연필꽂이 겸 필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6508A
KR20140056508A KR1020120120068A KR20120120068A KR20140056508A KR 20140056508 A KR20140056508 A KR 20140056508A KR 1020120120068 A KR1020120120068 A KR 1020120120068A KR 20120120068 A KR20120120068 A KR 20120120068A KR 20140056508 A KR20140056508 A KR 20140056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cil
side wall
case
lid
sharpe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수영
Original Assignee
양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수영 filed Critical 양수영
Priority to KR1020120120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6508A/ko
Publication of KR20140056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508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연필깎이를 구비한 연필꽂이 겸 필통은, 내부에 필기구 수납공간이 구비되어 필통의 몸체 역할을 수행하는 상향 개방형 함체상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일측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싱 내부를 외부에 대하여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면 일측에 상향 개방형 홈이 구비된 뚜껑으로 구성된 필통과;
상기 필통 뚜껑의 홈 내부에 결합되며 상단부에 회동 가능한 꽂이 뚜껑이 구비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벽과, 상기 홈의 바닥면으로 이루어진 연필꽂이; 그 측면에는 연필의 단부를 수용하는 안내공과 연필의 심을 깎을 수 있는 칼날, 연필을 깎으며 나오는 연필찌꺼기를 수용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연필깎이;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연필깎이를 구비한 연필꽂이 겸 필통{The pencil case}
본 발명은 연필깎이가 구비되는 연필꽂이를 겸하는 필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시에는 필기구를 보관하여 필통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연필꽂이의 사용이 필요할 때에는 뚜껑에 형성되는 연필꽂이를 빼내어 필기구를 꽂아 사용이 가능하며, 필통의 측면에 형성되는 연필깎이를 활용하여 필기구의 심을 날카롭게 깎는 것을 가능토록 하는 연필깎이가 구비되는 연필꽂이를 겸하는 필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통이라 함은 연필이나 볼펜 따위의 필기도구나 지우개나 소형자 따위의 학용품을 넣어 가지고 다니는 기구이다.
이러한 종래의 필통은 단순히 필기구 류의 일시 보관과 휴대 용도로만 사용될 뿐 다양한 활용태의 부족이라는 문제와 함께 수납부의 단순화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필을 구비해 다닐 때에는 연필심을 뾰족하게 만들어 예쁘게 필기하기 위해 연필깎이를 함께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에 연필깎이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휴대하여 이동할 경우 연필깎이의 뚜껑이 빠져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내용물이 쏟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필기류를 휴대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필통에 연필꽂이의 기능을 구비하여 필요시에는 필기구를 꽂아 놓은 상태에서 연필꽂이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필기구를 바꿀 필요가 있을 때마다 필통을 열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연필깎이를 구비하여 별도로 연필깎이를 구비해야 했던 불편함을 해소하며, 휴대하고 있는 연필의 무뎌진 심을 뾰족하게 깎는 것이 편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필깎이를 구비한 연필꽂이 겸 필통은, 내부에 필기구 수납공간이 구비되어 필통의 몸체 역할을 수행하는 상향 개방형 함체상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일측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싱 내부를 외부에 대하여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면 일측에 상향 개방형 홈이 구비된 뚜껑으로 구성된 필통과;
상기 필통 뚜껑의 홈 내부에 결합되며 상단부에 회동 가능한 꽂이 뚜껑이 구비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벽과, 상기 홈의 바닥면으로 이루어진 연필꽂이; 그 측면에는 연필의 단부를 수용하는 안내공과 연필의 심을 깎을 수 있는 칼날, 연필을 깎으며 나오는 연필찌꺼기를 수용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연필깎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필깎이를 구비한 연필꽂이 겸 필통은 필요에 따라 필통 또는 연필꽂이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한 번에 다수의 필기구를 연필꽂이에 가지런히 꽂아 놓은 상태에서 필기구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필기구를 바꿀 필요가 있을 때마다 필통을 열어야 하는 불편함이 없고, 필통 뚜껑을 빈번히 열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기 위하여 필통 뚜껑을 열어 놓은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함께 필통의 측면에 연필깎이가 구비되어 있어 보관하고 있는 필기구를 깎을 수 있어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가)는 사시도이고,
(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보조뚜껑이 열린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필깎이를 구비한 연필꽂이 겸 필통의 단면도.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필깎이를 구비한 연필꽂이 겸 필통은, 내부에 필기구 수납공간(R)이 구비되어 필통의 몸체 역할을 수행하는 상향 개방형 함체상의 케이싱(11A)과, 상기 케이싱(11A)의 일측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싱(11A) 내부를 외부에 대하여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면(SU) 일측에 상향 개방형 홈(G)이 구비된 뚜껑(11B)으로 구성된 필통(11)과;
상기 필통 뚜껑(11B)의 홈(G) 내부에 결합되며 상단부에 회동 가능한 꽂이 뚜껑(C)이 구비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벽(12A)과, 상기 홈(G)의 바닥면(SB)으로 이루어진 연필꽂이(12); 그 측면에는 연필의 단부를 수용하는 안내공(21)과 연필의 심을 깎을 수 있는 칼날(22), 연필을 깎으며 나오는 연필찌꺼기를 수용하는 수납부(23)를 포함하는 연필깎이(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벽(12A)은, 필통 뚜껑(11B)의 홈(G) 바닥면(SB)으로부터 일체로 상향 연장 형성된 원통형 고정 측벽(12A1)과; 상기 고정측벽(12A1)과 동심원을 이루며, 직경이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고정측벽(12A1)을 순차적으로 감싸고, 직경이 작은 내측 소측벽의 외주면을 따라 이에 접하며 직경이 큰 외측 소측벽의 내주면이 상ㅇ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2∼5개의 유동측벽(12A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소측벽(전체 측벽의 일부분을 이루는 고정측벽 또는 유동측벽)의 수평 방향 단면 형상은 원의 형상을 할 수도 있으나, 타원형이나 다각형 등 그 형상은 필요와 미관을 위해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측벽의 구조에서, 직경이 큰(또는, 내부 공간 단면적이 큰) 외측 소측벽이, 이에 접하며 직경이 작은(또는, 내부 공간 단면적이 작은) 내측의 소측벽 상단부를 벗어나게 되면 연필꽂이를 이루는 전체 측벽이 분리되는 상태가 되므로, 서로 접한 두 소측벽의 대응하는 외주면 상단부와 내주면 하단부 각각에, 두 소측벽이 슬라이딩에 의해 서로 분리되지 않고 서로에게 걸리게 되는, 단턱과 같은 걸림수단(도면 미도시)을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걸림수단이 있는 경우에는 소측벽을 분리하고 재조립하는 경우 조립하는 과정이 상기 걸림수단에 의해 방해받을 수도 있는 바, 소측벽의 경우 경도가 높고 탄성계수가 커 탄성 변형이 어려운 재질보다는 다소의 탄성 변형이 쉽게 일어날 수 있는 합성수지로 만드는 것이 좋을 수도 있다.
또는, 상기와 같은 걸림수단을 구비하는 대신, 각 소측벽의 직경을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는 형태로 만들고, 직경이 큰 소측벽의 하단부 내경을, 이에 접하며 직경이 작은 내측의 소측벽의 상단부 외경보다 작게함으로써, 직경이 큰 외측의 소측벽이 이에 접한 내측의 소측벽의 상단부를 통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최상단에 위치하게 되는 소측벽의 내부로, 그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소측벽들이 순차적으로 삽입 조립되는 바, 이러한 경우 필통 뚜껑의 홈(G) 바닥면(SB)에 일체로 상향 돌출 형성된 고정측격(12A1)의 상단부가 유동측벽(12A2) 중 최하단 유동측벽의 하단 내경부로 삽입이 불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에 소측벽들이 하나의 측벽으로 조립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필통 뚜껑(11B)의 홈(G) 바닥면(SB)으로부터 일체로 상향 연장 형성된 원통형 고정측벽(12A1) 역시 유동측벽으로 하되, 그 하단부가 홈(G)의 바닥면(SB)에, 예를 들어, 나사결합이나 돌기와 홈과 같이 상호 형합 결합되는 방식을 통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상ㅇ하 슬라이딩식 구조의 경우, 직경이 작은 내측 소측벽의 상단부까지 상향 이동한 외측 소측벽이 자연적으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측 소측벽의 내주면 하단부에 돌기(E)를 돌출 형성시키고, 내측 소측벽의 외주면에는 상기 돌기(E)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향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홈(U)을 형성시키되, 그 상단부에서 원호 방향으로 꺽이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외측 소측벽 내주면의 상기 돌기(E)가 내측 소측벽 외주면의 가이드 홈(U)을 따라 내측 소측벽의 상단부까지 상향 이동한 후 회전에 의해 돌기(E)가 가이드 홈(U)의 꺽임부로 이동함으로써, 외측 소측벽의 자연적인 하강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필통 뚜껑(11B)에 연필꽂이의 측벽(12A)이 결합되기 위해서는 뚜껑(11B) 역시 낮아진 측벽이 위치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위하여 판상의 형태가 아닌 함체와 같이 적정한 높이를 가져야 하는 바, 측벽(12A)이 결합되지 않은 뚜껑의 타 부위에 보조 뚜껑(11B')이 결합된 보조 수납공간(R')을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필꽂이(12)는 필통 뚜껑(11B)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도 있는 바,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보조 수납공간(R')을 둘로 분리하여 연필꽂이(12)의 양 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연필깎이(20)는 안내공(21)이 형성되고, 이 안내공(21)의 하부에 일측이 개방되는 슬라이드공간이 형성되며, 이 슬라이드공간의 하부에 지면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지지판이 형성된 받침부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부의 슬라이드공간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안착되어 상기 연필깎이(20)에서 깎여진 나무를 수용하며 단부에 손잡이(24)가 돌출된 수납부(23)가 구비되며,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소정길이 이격되도록 돌출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을 중심으로 안내핀이 방사상으로 돌출되며, 상기 안내핀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부가 개방되도록 받침부의 상면에 장착되어 연필과 같은 필기구를 수용하여 보관하는 수용부재가 구성된다.
11 : 필통 11A : 케이싱
11B : 필통 뚜껑 11B' : 보조뚜껑
12 : 연필꽂이 12A : 측벽
12A1 : 고정측벽 12A2 : 유동측벽
20 : 연필깎이 21 : 안내공
22 : 칼날 23 : 수납부
SU : 뚜껑 상면 G : 홈
C : 꽂이뚜껑 SB : 홈바닥면

Claims (2)

  1. 내부에 필기구 수납공간(R)이 구비된 상향 개방형 함체상의 케이싱(11A)과, 상기 케이싱(11A)의 일측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뚜껑(11B)으로 구성된 필통(11)에 있어서,
    상기 필통 뚜껑(11B)의 일측면에 연필의 단부를 수용하는 안내공(21)의 일측에 연필심의 두께를 조절하도록 칼날(22)이 형성되며, 그 타측 하부에는 연필찌꺼기가 수용되는 수납부(23)를 포함하는 연필깎이(20);가 형성되며,
    상면(SU) 일측에 형성된 상향 개방형 홈(G) 내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단부에 회동 가능한 꽂이 뚜껑(C)이 구비된 측벽(12A)(12A')(12A")이 결합되어 상기 홈(G)의 바닥면(SB)과 함께 연필꽂이(12)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필깎이를 구비한 연필꽂이 겸 필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12A)은, 필통 뚜껑(11B)의 홈(G) 바닥면(SB)으로부터 일체로 상향 연장 형성되는 형태 또는 바닥면(SB)에 하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 중의 어느 한 형태인 고정측벽(12A1)과;
    상기 고정측벽(12A1)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하며, 내부 공간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고정측벽(12A1)을 순차적으로 감싸고, 내부 공간 단면적이 작은 내측 소측벽의 외주면을 따라 이에 접하며 내부 공간 단면적이 큰 외측 소측벽의 내주면이 상ㅇ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2∼5개의 유동측벽(12A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필깎이를 구비한 연필꽂이 겸 필통.


KR1020120120068A 2012-10-29 2012-10-29 연필깎이를 구비한 연필꽂이 겸 필통 Withdrawn KR201400565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068A KR20140056508A (ko) 2012-10-29 2012-10-29 연필깎이를 구비한 연필꽂이 겸 필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068A KR20140056508A (ko) 2012-10-29 2012-10-29 연필깎이를 구비한 연필꽂이 겸 필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508A true KR20140056508A (ko) 2014-05-12

Family

ID=50887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068A Withdrawn KR20140056508A (ko) 2012-10-29 2012-10-29 연필깎이를 구비한 연필꽂이 겸 필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650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7717A1 (ko) * 2018-07-17 2020-01-23 전원 펜 보관용 휴대용 키트
KR102076491B1 (ko) 2018-11-09 2020-02-1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도체 회로를 이용한 연필깎이 기능이 구비된 연필꽂이
KR102129092B1 (ko) * 2019-12-24 2020-07-01 정민영 다목적 분실방지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7717A1 (ko) * 2018-07-17 2020-01-23 전원 펜 보관용 휴대용 키트
KR102076491B1 (ko) 2018-11-09 2020-02-1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도체 회로를 이용한 연필깎이 기능이 구비된 연필꽂이
KR102129092B1 (ko) * 2019-12-24 2020-07-01 정민영 다목적 분실방지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7070B1 (ja) ペンホルダー
US7980387B2 (en) Telescoping case
US20170311695A1 (en) Button-Type Pencil Cosmetic Dispenser
EP3199055A2 (en) Container for storing different types of contents
KR20140056508A (ko) 연필깎이를 구비한 연필꽂이 겸 필통
US7886395B2 (en) Pencil sharpener with eraser
US20060226324A1 (en) Balancing holder for writing instrument
KR101707604B1 (ko) 립스틱 용기
JP2015214136A (ja) 蓋部自動開閉装置
KR20100000507A (ko) 화장품 용기
JP4119819B2 (ja) 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ー
KR101211996B1 (ko) 필기구의 개별 삽입이 가능한 투명필통
JP5452281B2 (ja) 棒状化粧料テスター
JP2012170570A (ja) 棒状化粧料容器
KR101784337B1 (ko) 쿠션 콤팩트 용기
CN102415832B (zh) 烹饪制备家电设备的容器或盖的固定装置
KR102481645B1 (ko) 재활용 및 리필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20150128235A (ko) 필통
CN217649215U (zh) 一种素描工具盒
KR200456900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필통
JP6227902B2 (ja) 筆記具
CN109527769A (zh) 一种化妆粉盒
KR101320822B1 (ko) 큐빅 콤팩트 색조 화장품 용기
KR20220107656A (ko) 샤프연필 다기능
KR101389373B1 (ko) 필기구 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