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5170A - Water treatment apparatus - Google Patents
Water treatment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55170A KR20140055170A KR1020120121586A KR20120121586A KR20140055170A KR 20140055170 A KR20140055170 A KR 20140055170A KR 1020120121586 A KR1020120121586 A KR 1020120121586A KR 20120121586 A KR20120121586 A KR 20120121586A KR 20140055170 A KR20140055170 A KR 2014005517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heating means
- temperature
- flow rate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여과수단, 가열수단 및 냉각수단을 모두 소형화로 구성하여, 장치의 규모가 소형화된 수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수처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정수필터를 구비하여, 공급받는 원수를 여과하는 여과부; 순간가열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공급받아 가열하는 온수생성부; 및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공급받아 전자냉각하는 냉수생성부;를 포함한다.A water treatment apparatus in which the filtration means, the heating means and the cooling means are all made compact and the scale of the apparatus is miniaturized is disclosed.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t least one water filter to filter raw water to be supplied; A hot water generating unit provided with an instantaneous heating means for receiving and heating the purified water filtered by the filtering unit; And a cold water generating unit for receiving the purified water filtered by the filtering unit and electronically cooling the purified wat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과수단, 가열수단 및 냉각수단을 모두 소형화로 구성하여, 장치의 규모가 소형화된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in which the filtration means, the heating means, and the cooling means are all miniaturized and the size of the apparatus is reduced.
일반적으로 수처리 장치는 물을 공급받아 여과하여 정수를 만드는 여과기능과, 물을 냉각시켜 냉수를 만드는 냉각기능, 물을 가열시켜 온수를 만드는 가열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정수, 냉수 및 온수 처리된 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수처리 장치에는 정수기, 온수기, 냉수기, 냉온수기 등 다양한 장치가 있다.Generally,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filtration function of supplying purified water by filtration by water, a cooling function of making cold water by cooling the water, and a heating function of making hot water by heating water to provide the user with purified water, It is a device that can provide water. These water treatment devices include various devices such as water purifier, water heater, water cooler, and cold / hot water heater.
여기서, 종래의 수처리 장치는 통상적으로 여과기능을 위해 전처리 침전 필터, 프리카본 필터, 중공사막 필터 및 포스트카본 필터 등 여러 개의 필터모듈을 구비한다.Conventional water treatment apparatuses generally include several filter modules such as a pretreatment sedimentation filter, a pre-carbon filter, a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and a post-carbon filter for filtering function.
또한, 냉각기능을 위해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및 증발기와 열교환하며 냉수를 저장하는 냉수탱크를 구비고, 가열기능을 위해 전기히터와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탱크를 구비한다.Also, a cold water tank for exchanging heat with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vaporator and an evaporator for cooling function and a cold water tank for storing cold water, and a hot water tank for storing an electric heater and hot water for a heating function are provid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수처리 장치는 부품의 수가 많고 부피가 커서 장치 전체의 규모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일반 가정에서도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공간을 조금만 차지하는 소형화된 가전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크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apparatus is disadvantageous in that it has a large number of parts, a large volume, and a large scale of the entire apparatus. In particular, recently, there is a great tendency to prefer small-sized household appliances that occupy a small space for installation so that they can be easily used in ordinary households.
따라서, 수처리 장치도 제품의 소형화 기술이 대두되고 있는 추세이다.Therefore, the miniaturization technology of a water treatment apparatus is also becoming a tren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소형화된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iniaturized water treatment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공급받는 원수의 온도가 다양한 설치환경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물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stably providing water at a temperature desired by a user even in an installation environment in which the temperature of supplied raw water is varied.
상기한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정수필터를 구비하여, 공급받는 원수를 여과하는 여과부; 순간가열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공급받아 가열하는 온수생성부; 및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공급받아 전자냉각하는 냉수생성부;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purifier comprising: a filtering unit having at least one water filter for filtering raw water to be supplied; A hot water generating unit provided with an instantaneous heating means for receiving and heating the purified water filtered by the filtering unit; And a cold water generating unit for receiving and cooling the purified water filtered by the filtering unit.
또한, 상기 수처리 장치는 외부의 원수공급원에 연결되어, 원수를 상기 여과부에 급수하는 원수유입부; 및 상기 온수생성부 및 냉수생성부에 연결되어, 생성된 온수 및 냉수가 추출되는 추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raw water inlet connected to an external raw water supply source to supply raw water to the filtration unit; And an extractor connected to the hot water generator and the cold water generator to extract the hot water and the cold wat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여과부는 나노트랩 필터 및 카본블럭 필터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나노트랩 필터는 상기 카본블럭 필터의 전단에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ltration unit may include a nanotrap filter and a carbon block filter, and preferably, the nanotrap filter may be disposed at a front end of the carbon block filter.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순간가열수단은 각각이 독립적으로 가열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가열파트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순간가열수단은 복수의 가열파트를 가지는 루테녹스 히터(Ruthenox Heater)로 구성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instantaneous heating means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lurality of heating parts, each of which independently performs a heating operation. In one embodiment, the instant heating means comprises a ruthenox heater having a plurality of heating parts Ruthenox Heater).
한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온수생성부는 상기 순간가열수단에 급수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 및 상기 순간가열수단에서 생성되어 출수되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출수온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the hot water generator includes a flow control valve for regulating a flow rate of water supplied to the instantaneous heating means; And an outflow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generated and delivered by the instantaneous heating means.
이때, 상기 수처리 장치는 상기 유량조절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수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온수의 온도를 기초로 상기 유량조절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control valve, an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flow rate control valve based on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measured by the outflow temperature senso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수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온수의 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순간가열수단에 공급되는 정수의 유량이 증가하도록 상기 유량조절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flow rate control valve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instantaneous heating means increase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measured by the outflow temperature sensor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수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온수의 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순간가열수단에 공급되는 정수의 유량이 감소하도록 상기 유량조절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Further,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flow rate control valve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instantaneous heating means decrease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measured by the outflow temperature sensor is low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
한편, 상기 온수생성부는 상기 순간가열수단에 공급되는 정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급수온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hot water generator may include a water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instantaneous heating means.
이때, 상기 수처리 장치는 상기 순간가열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정수의 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순간가열수단의 복수의 가열파트 중에서 일부의 가열파트만 작동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instantaneous heating means,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purified water measured by the water supply temperature sensor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Only some of the heating parts can be operated.
반면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정수의 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순간가열수단의 복수의 가열파트 전체를 작동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purified water measured by the water supply temperature sensor is low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the controller can operate all the plurality of heating parts of the instantaneous heating means.
한편, 상기 냉수생성부는 내부공간에 물을 수용가능한 탱크본체; 상기 탱크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탱크본체에 수용된 물을 냉각시키는 열전모듈; 상기 열전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열전모듈의 열을 방출시키는 히트싱크; 및 상기 히트싱크에 공기를 송풍시켜, 상기 히트싱크의 냉각을 보조하는 냉각팬;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may include a tank body capable of receiving water in an inner space thereof; A thermoelectric module connected to the tank body to cool the water contained in the tank body; A heat sink connected to the thermoelectric module to discharge heat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a cooling fan for blowing air to the heat sink to assist cooling of the heat sink.
바람직하게, 상기 냉수생성부는 상기 탱크본체로 정수가 유입되는 유로에 급수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may include a water supply valve in a flow path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flows into the tank main body.
여기서, 상기 탱크본체는 상단에 내부공간과 연결된 입수관과 출수관을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tank main body may include a water inlet pipe and a water outlet pipe connected to the internal space at an upper end thereof.
바람직하게, 상기 출수관은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공간의 하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Preferably, the water pipe may extend to a lower end of the inner space of the tank body.
한편, 상기 원수유입부는 원수공급원으로부터 유입되는 원수의 수압을 조정하는 레귤레이터; 및 상기 추출부의 출수 및 단수 동작에 따라 개방 및 폐쇄되는 급수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raw water inflow section may include a regulator for adjusting the water pressure of the raw water flowing in from the raw water supply source; And a water supply valve that is opened and closed in accordance with an outflow and a water operation of the extraction unit.
또한, 상기 여과부의 후단에는 상기 온수생성부 및 냉수생성부로 공급되는 정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가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flow meter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hot water generating unit and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may b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filtration unit.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물의 여과에 나노트랩 필터와 카본블럭 필터를 사용하고, 물의 가열에 순간가열수단을 사용하며, 물의 냉각에 전자냉각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장치가 소형화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by using a nanotrap filter and a carbon block filter for water filtration, using an instantaneous heating means for heating water, and using an electronic cooling system for cooling water, The effect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순간가열수단을 각각이 독립적으로 가열동작하는 복수의 가열파트로 구성하여, 장치의 설치환경에 따라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ntaneous heating means can be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heating parts, each of which independently performs a heating operation, so that the effect of efficiently operating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apparatus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생성된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를 기초로 순간가열수단에 급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제공할 수 있고, 과열된 온수가 출수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of the generated hot water is measured and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instantaneous heating means is adjusted based on the measured temperature, so that the user can provide hot water of a desired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preventing head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탱크본체의 상단에 입수관과 출수관을 구비하는 냉수탱크 구조를 통해, 냉수탱크의 전단에 구비된 하나의 급수밸브로 냉수의 급수 및 단수를 제어할 수 있어, 장치가 소형화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and the number of stages of cold water are controlled by a single water supply valv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cold water tank through a cold water tank structure having an inlet pipe and an outlet pipe at the upper end of the tank body So that the effect of miniaturization of the device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의 계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에 포함된 냉수탱크의 출수 및 입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utgoing and incoming structure of the cold water tank included i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Furthermore,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본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의 계통도이다.Referring to FIG. 1, a configuration of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is a system diagram of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는 원수유입부(110), 여과부(120), 온수생성부(140), 냉수생성부(130) 및 추출부(150)를 포함한다.1, the
상기 원수유입부(110)는 외부의 원수공급원(200)에 연결되어, 원수공급원(200)으로부터 공급받은 원수를 후술할 여과부(120)에 급수할 수 있다. 여기서, 원수공급원(200)은 수도전과 같이 원수를 공급할 수 있는 설비이다.The raw
일 실시예에서, 원수유입부(110)는 어댑터(111), 레귤레이터(112) 및 급수밸브(1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여기서, 상기 어댑터(111)는 장치 외부의 원수공급원(200)에 연결된 유로가 장치에 연결되는 부품에 해당한다.Here, the adapter 111 corresponds to a part where a flow path connected to the raw
또한, 상기 레귤레이터(112)는 원수공급원(200)으로부터 유입되는 원수의 수압을 조정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레귤레이터(112)는 유입되는 원수를 일정 수압(예를 들어, 3 kg/cm2 )으로 감압시킬 수 있다.Also, the
또한, 상기 급수밸브(113)는 레귤레이터(112)의 후단에 구비되어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급수밸브(113)는 후술할 추출부(150)와 연동되어, 출수부의 출수 및 단수 동작에 따라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에서 물 공급을 원하여 추출부(150)를 작동시키면 동시에 급수밸브(113)가 개방될 수 있고, 추출부(150)가 단수상태일 때에는 급수밸브(113)가 폐쇄될 수 있다. The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가 직수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This indicates that the
한편, 상기 여과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정수필터를 구비하고 원수유입부(110)의 후단에 연결되어, 원수유입부(110)로부터 공급받은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할 수 있다. The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여과부(120)는 나노트랩 필터(Nano Trap Filter, 122)와 카본블럭 필터(Carbon Block Filter, 124)를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여기서, 나노트랩 필터(122)는 정전기를 이용하여 원수 속의 유해 물질들을 흡착하는 방식으로 원수를 여과할 수 있으며, 2nm(10억분의 1)의 신소재를 포함하여 부피에 비해 표면적이 커서 높은 유량을 확보하면서도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을 99.95% 제거할 수 있는 성능도 가지고 있다. Here, the
이를 통해, 나노트랩 필터(122)는 종래의 중공사막필터를 대체할 수 있으며, 전기세 및 수도세가 절감되는 장점을 가진다.Accordingly, the
또한, 카본블럭 필터(124)는 다수의 카본 알갱이가 열과 압력에 의해 압축되어 블럭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충진형(가루형)의 카본 필터보다 카본의 양이 훨씬 많아서 원수 속의 염소, 유기화합물, 중금속 등을 여과시키는 기능이 우수하다.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는 기존의 수처리 장치와 같이 3~4개의 필터모듈을 구비하지 않고 나노트랩 필터(122)와 카본블럭 필터(124)로만 구성되어, 여과성능을 확보하면서도 장치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일 실시예에서, 여과부(120)에 포함된 나노트랩 필터(122)는 카본블럭 필터(124)의 전단에 배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한편, 상기 온수생성부(140)는 여과부(120)의 후단에 구비되어, 여과부(120)에서 여과된 정수를 공급받아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온수생성부(140)는 공급받은 물을 순간적으로 고온으로 가열시킬 수 있는 순간가열수단(142)을 구비한다.The hot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순간가열수단(142)은 각각이 독립적으로 가열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가열파트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가열파트는 각각의 가열파트에 공급되는 물을 다른 가열파트로부터 독립적으로 가열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such instantaneous heating means 142 may have a plurality of heating parts, each of which independently performs a heating operation. Here, the plurality of heating parts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water supplied to each heating part can be heated independently from the other heating parts.
일 실시예에서, 순간가열수단(142)은 루테녹스 히터(Ruthenox Heater)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루테녹스 히터는 복수의 가열파트를 가지기 위해, 복수의 가열판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루테녹스 히터에 포함된 가열판은 공급받은 물을 순간적으로 가열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다른 가열판과 독립적으로 가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stantaneous heating means 142 may comprise a Ruthenox heater, which may have a plurality of heating plates to have a plurality of heating parts. Here, the heating plate included in the Ruthenox heater is configured to instantaneously heat the supplied water, and the hea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independently of the other heating plates.
일 예로서, 순간가열수단(142)이 루테녹스 히터로 구성된 경우, 루테녹스 히터는 2개의 가열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2개의 가열판 중에서 하나의 가열판은 1400W, 다른 하나의 가열판은 1000W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1400W 가열판과 1000W 가열판은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As an example, when the instantaneous heating means 142 is constituted by a ruthenox heater, the ruthenox heater may be composed of two heating plates, one of the two heating plates being 1400 W and the other heating plate being 1000 W . Here, the 1400 W heating plate and the 1000 W heating plate can be operated independently.
이를 통해, 순간가열수단(142)은 공급받는 물의 가열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instantaneous heating means 142 can control the degree of heating of the supplied water.
또한, 일 실시예에서, 온수생성부(140)는 유량조절밸브(144)와, 출수온도센서(14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lso, in one embodiment, the
여기서, 상기 유량조절밸브(144)는 순간가열수단(142)의 전단의 유로 상에 구비되어, 순간가열수단(142)에 급수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Here, the flow
또한, 상기 출수온도센서(147)는 순간가열수단(142)의 후단의 유로 상에 구비되어, 순간가열수단(142)에서 생성되어 출수되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The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에는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출수온도센서(147)에서 측정한 온수의 온도를 기초로 유량조절밸브(144)를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에 포함된 순간가열수단(142)에 의하면, 공급받는 물의 유량과 생성되는 온수의 온도가 일반적으로 반비례 관계로 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stantaneous heating means 142 included in the
이와 같은 동작특성 하에서, 제어부는 출수온도센서(147)에서 측정한 온수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보다 높은 경우에, 순간가열수단(142)에 공급되는 정수의 유량이 증가하도록 유량조절밸브(144)를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measured by the
즉, 출수온도센서(147)에서 측정한 온수의 온도가 기준온도(예를 들어, 100˚C 이상)보다 높은 경우에, 제어부는 순간가열수단(142)에 급수되는 물의 유량을 증가시켜, 순간가열수단(142)을 통과하는 물의 유속을 상승시킴으로써, 가열되는 물의 가열시간을 줄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온수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measured by the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온수의 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높게 되어, 추출부(150)로 많은 양의 증기가 배출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supplied to the user becomes high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and a safety accident that may be caused by discharging a large amount of steam to the
이와 반대로, 출수온도센서(147)에서 측정한 온수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제어부는 순간가열수단(142)에 공급되는 정수의 유량이 감소하도록 유량조절밸브(144)를 제어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measured by the
즉, 출수온도센서(147)에서 측정한 온수의 온도가 기준온도(예를 들어, 85˚C 이하)보다 낮은 경우에, 제어부는 순간가열수단(142)에 급수되는 물의 유량을 감소시켜, 순간가열수단(142)을 통과하는 물의 유속을 감소시킴으로써, 가열되는 물의 가열시간을 늘려 높은 온도의 온수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measured by the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제공할 수 있다.This allows the user to provide hot water of a desired temperature.
한편, 일반적으로 수처리 장치(100)가 설치되는 환경이 여름철 또는 중동지역과 같이 원수공급원(200)에서 공급되는 원수의 온도가 높은 환경인 경우에는, 높은 온도의 원수를 가열시킴으로 인해 생성되는 온수의 온도가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없을 정도로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가열에 과도하게 많은 양의 에너지가 소비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 하에서는 수처리 장치(100)의 온수생성부(140)에서 가열 정도를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이와 반대로, 수처리 장치(100)가 설치되는 환경이 겨울철 또는 추운지역과 같이 원수공급원(200)에서 공급되는 원수의 온도가 낮은 환경인 경우에는, 온수생성부(140)에서 가열 정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contrary, whe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온수생성부(140)는 순간가열수단(142)의 전단에 구비되어 순간가열수단(142)에 공급되는 정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급수온도센서(14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one embodiment, the hot
이와 같이, 순간가열수단(142)에 공급되는 정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은 순간가열수단(142)에 공급되는 정수의 온도에 맞추어 순간가열수단(142)의 가열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가 설치된 환경에 따라 알맞게 가열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this manner, the temperature of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instantaneous heating means 142 is measured to control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instantaneous heating means 142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of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instantaneous heating means 142. That is, the heating operation can be appropriate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순간가열수단(14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o this end,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section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nstantaneous heating means 142.
이러한 제어부는 급수온도센서(146)에서 측정한 정수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보다 높은 경우, 순간가열수단(142)의 복수의 가열파트 중에서 일부의 가열파트만 작동시켜, 가열 정도를 낮출 수 있다.When the temperature of the purified water measured by the water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순간가열수단(142)이 1400W 가열판과 1000W 가열판을 가지는 루테녹스 히터로 이루어진 구성에서, 순간가열수단(142)으로 급수되는 정수의 온도가 40˚C 이상인 경우에는, 제어부는 1400W 가열판만 ON시키고 1000W 가열판은 OFF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instantaneous heating means 142 is composed of a ruthenox heater having a 1400 W heating plate and a 1000 W heating plat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instant heating means 142 is 40 ° C or higher, The controller can turn ON only the 1400W heating plate and turn off the 1000W heating plate.
이와 반대로, 급수온도센서(146)에서 측정한 정수의 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낮은 경우에, 제어부는 순간가열수단(142)의 복수의 가열파트 전체를 작동시켜, 가열 정도를 높여 사용자가 원하는 충분한 온도의 온수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purified water measured by the water
한편, 순간가열수단(142)의 후단에는 생성된 온수가 출수되는 추출밸브(145)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유량조절밸브(144)와 급수온도센서(146)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추출밸브(145)와 출수온도센서(147)도 일체로 구성되어,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1, the
한편, 상기 냉수생성부(130)는 탱크본체(131), 열전모듈(132), 히트싱크(133) 및 냉각팬(13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자냉각방식 냉각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ld
여기서, 상기 탱크본체(131)는 내부공간에 물을 수용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131)의 내부공간에 연결되는 입수관(131a)과 출수관(131b)은 탱크본체(131)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입수관(131a)으로 입수되는 수압에 의해 출수관(131b)으로 물이 출수될 수 있고, 입수관(131a)에서 물이 유입되지 않으면 출수관(131b)을 통해 물이 출수되지 않을 수 있다. Here, the
이때, 입수관(131a)에 연결된 유로 상에는 탱크본체(131)에 대한 정수 공급을 통제하기 위한 급수밸브(136)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출수관(131b)과 추출부(150) 사이에는 별도의 밸브가 구비되지 않는다.At this time, a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입수관(131a)과 출수관(131b)이 탱크본체(131)의 상단에 구비되어 가능한 구성으로서, 급수밸브(136)의 급수 및 단수 제어만을 통해 탱크본체(131)에 수용되어 있던 냉수의 출수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is is because the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는 냉수의 급수 동작을 하나의 밸브를 통해 구현함으로써, 구성이 간단하고 장치가 더욱 소형화될 수 있다.Thus, the
한편, 상기 출수관(131b)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131)의 내부공간의 하단부까지 연장된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탱크본체(131)의 하단부에 존재하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냉수가 첫잔으로 추출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원하는 온도의 첫잔 냉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또한, 탱크본체(131)에는 유지보수를 위해 탱크본체(131)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드레인관이 구비될 수 있다.The tank
그리고, 상기 열전모듈(132)은 탱크본체(131)에 연결되어 즉, 흡열면이 탱크본체(131)에 장착되어, 탱크본체(131)와 열교환하여 탱크본체(131)에 수용된 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The
또한, 상기 히트싱크(133)는 열전모듈(132)의 발열면에 연결되어, 열전모듈(132)의 열을 방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히트싱크(133)는 방열면적을 넓히는 다수의 방열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냉각팬(134)은 히트싱크(133)에 공기를 송풍시켜, 히트싱크(133)의 냉각을 보조할 수 있다.Also, the cool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는 냉수생성부(130)가 전자냉각방식으로 구성되어, 장치 전체의 규모가 소형화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한편, 상기 추출부(150)는 여과부(120), 온수생성부(140) 및 냉수생성부(130)에 연결되어, 생성된 정수, 온수 및 냉수가 사용자의 작동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이러한 추출부(150)는 특별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정수, 온수 및 냉수가 하나의 출수구를 통해 추출될 수 있고, 버튼으로 구성되는 전자 파우셋(또는 코크)로 구성될 수 있다.The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추출부(150)가 작동되면, 원수유입부(110)에 구비된 급수밸브(113)가 개방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가 정수 추출 동작을 수행시키면, 여과부(120)와 추출부(150) 사이의 유로 상에 구비된 급수밸브(170)가 개방된다.Here, when the
또한, 사용자가 냉수 추출 동작을 수행시키면 냉수생성부(130)에 구비된 급수밸브(136)가 개방되고, 사용자가 온수 추출 동작을 수행시키면 온수생성부(140)에 구비된 추출밸브(145)가 개방된다.When the user performs the cold water extraction operation,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는, 여과부(120)에서 여과된 물의 양을 측정하여 필터교체시기를 파악하고, 추출부(150)에서 추출되는 물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여과부(120)의 후단에 유량계(16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량계(160)는 온수생성부(140) 및 냉수생성부(130)로 공급되는 정수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 would like to make it clear.
100 : 수처리 장치 110 : 원수유입부
111 : 어댑터 112 : 레귤레이터
113 : 급수밸브 120 : 여과부
122 : 나노트랩 필터 124 : 카본블럭 필터
130 : 냉수생성부 131 : 탱크본체
131a : 입수관 131b : 출수관
132 : 열전모듈 133 : 히트싱크
134 : 냉각팬 136 : 급수밸브
140 : 온수생성부 142 : 순간가열수단
144 : 유량조절밸브 145 : 추출밸브
146 : 급수온도센서 147 : 출수온도센서
150 : 추출부 160 : 유량계
170 : 급수밸브 200 : 원수공급원100: water treatment apparatus 110: raw water inlet
111: Adapter 112: Regulator
113: water supply valve 120:
122: Nano trap filter 124: Carbon block filter
130: cold water generating unit 131: tank body
131a:
132: thermoelectric module 133: heat sink
134: cooling fan 136: water supply valve
140: hot water generating unit 142: instantaneous heating means
144: Flow control valve 145: Extraction valve
146: water supply temperature sensor 147: outflow temperature sensor
150: Extractor 160: Flowmeter
170: water supply valve 200: raw water supply source
Claims (19)
순간가열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공급받아 가열하는 온수생성부; 및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공급받아 전자냉각하는 냉수생성부;
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A filtration unit having at least one water filter for filtering raw water supplied thereto;
A hot water generating unit provided with an instantaneous heating means for receiving and heating the purified water filtered by the filtering unit; And
A cold water generating unit for receiving the purified water filtered by the filtration unit and electronically cooling the filtered purified water;
.
외부의 원수공급원에 연결되어, 원수를 상기 여과부에 급수하는 원수유입부; 및
상기 온수생성부 및 냉수생성부에 연결되어, 생성된 온수 및 냉수가 추출되는 추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aw water inflow portion connected to an external raw water supply source for supplying raw water to the filtration portion; And
An extracting unit connected to the hot water generating unit and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to extract the generated hot water and cold water;
Wherein the water treatment system further comprises:
상기 여과부는 나노트랩 필터 및 카본블럭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ration unit comprises a nanotrap filter and a carbon block filter.
상기 나노트랩 필터는 상기 카본블럭 필터의 전단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nanotrap filter is disposed at a front end of the carbon block filter.
상기 순간가열수단은 각각이 독립적으로 가열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가열파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tantaneous heating means has a plurality of heating parts, each of which independently performs a heating operation.
상기 순간가열수단은 복수의 가열파트를 가지는 루테녹스 히터(Ruthenox Heater)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instantaneous heating means comprises a Ruthenox heater having a plurality of heating parts.
상기 온수생성부는,
상기 순간가열수단에 급수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 및
상기 순간가열수단에서 생성되어 출수되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출수온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t-
A flow rate regulating valve for regulating a flow rate of water supplied to the instantaneous heating means; And
And an outflow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generated and discharged from the instantaneous heating means.
상기 유량조절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수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온수의 온도를 기초로 상기 유량조절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control valv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low rate control valve based on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measured by the outflow temperature sens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수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온수의 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순간가열수단에 공급되는 정수의 유량이 증가하도록 상기 유량조절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nd controls the flow rate control valve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instantaneous heating means increase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measured by the outflow temperature sensor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수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온수의 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순간가열수단에 공급되는 정수의 유량이 감소하도록 상기 유량조절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nd controls the flow rate control valve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instantaneous heating means decrease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measured by the outflow temperature sensor is low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상기 온수생성부는 상기 순간가열수단에 공급되는 정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급수온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hot water generator comprises a water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instantaneous heating means.
상기 순간가열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정수의 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순간가열수단의 복수의 가열파트 중에서 일부의 가열파트만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stantaneous heating means,
Wherein,
Wherein only a part of the heating parts of the plurality of heating parts of the instant heating means is operate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purified water measured by the water supply temperature sensor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정수의 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순간가열수단의 복수의 가열파트 전체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purified water measured by the water supply temperature sensor is low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the plurality of heating parts of the instantaneous heating means are operated.
상기 냉수생성부는,
내부공간에 물을 수용가능한 탱크본체;
상기 탱크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탱크본체에 수용된 물을 냉각시키는 열전모듈;
상기 열전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열전모듈의 열을 방출시키는 히트싱크; 및
상기 히트싱크에 공기를 송풍시켜, 상기 히트싱크의 냉각을 보조하는 냉각팬;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includes:
A tank body capable of receiving water in an inner space;
A thermoelectric module connected to the tank body for cooling water contained in the tank body;
A heat sink connected to the thermoelectric module to discharge heat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And a cooling fan for blowing air to the heat sink to assist cooling of the heat sink.
상기 냉수생성부는 상기 탱크본체로 정수가 유입되는 유로에 급수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수처리 장치.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has a water supply valve in a flow path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flows into the tank main body.
상기 탱크본체는 상단에 내부공간과 연결된 입수관과 출수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tank body includes a water inlet pipe and a water outlet pipe connected to an inner space at an upper end thereof.
상기 출수관은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공간의 하단부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water pipe extends to a lower end of the inner space of the tank body.
상기 원수유입부는,
원수공급원으로부터 유입되는 원수의 수압을 조정하는 레귤레이터; 및
상기 추출부의 출수 및 단수 동작에 따라 개방 및 폐쇄되는 급수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raw-
A regulator for adjusting the water pressure of the raw water flowing from the raw water supply source; And
And a water supply valve that is opened and closed in accordance with an outgoing and a water operation of the extraction unit.
상기 여과부의 후단에는 상기 온수생성부 및 냉수생성부로 공급되는 정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low meter for measuring a flow rate of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hot water generating unit and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is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filtration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1586A KR20140055170A (en) | 2012-10-30 | 2012-10-30 | Water treatment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1586A KR20140055170A (en) | 2012-10-30 | 2012-10-30 | Water treatment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5170A true KR20140055170A (en) | 2014-05-09 |
Family
ID=50886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1586A Ceased KR20140055170A (en) | 2012-10-30 | 2012-10-30 | Water treatment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55170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04971A1 (en) * | 2015-12-15 | 2017-06-22 | 주식회사 리빙케어 | Instantaneous heating and instantaneous cooling type water purifier |
KR20180005422A (en) * | 2016-07-06 | 2018-01-16 | 코웨이 주식회사 | Instance water heating device,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stance water heating device |
KR20180039987A (en) * | 2016-10-11 | 2018-04-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pparatus for generating cold water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41711A (en) * | 2007-10-24 | 2009-04-29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Instantaneous heating hot water device of water purifier |
KR20090043785A (en) * | 2007-10-30 | 2009-05-07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Cold and hot water supply with automatic temperature extraction |
KR20100018986A (en) * | 2008-08-08 | 2010-02-18 | 김완수 | Travelling water purifier for large cookroom |
KR20100102828A (en) * | 2009-03-12 | 2010-09-27 | 주식회사 하이필 | Cold and hot water purifier equipped a airtight cooling tank |
KR20120112060A (en) * | 2011-04-01 | 2012-10-11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warm water |
-
2012
- 2012-10-30 KR KR1020120121586A patent/KR20140055170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41711A (en) * | 2007-10-24 | 2009-04-29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Instantaneous heating hot water device of water purifier |
KR20090043785A (en) * | 2007-10-30 | 2009-05-07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Cold and hot water supply with automatic temperature extraction |
KR20100018986A (en) * | 2008-08-08 | 2010-02-18 | 김완수 | Travelling water purifier for large cookroom |
KR20100102828A (en) * | 2009-03-12 | 2010-09-27 | 주식회사 하이필 | Cold and hot water purifier equipped a airtight cooling tank |
KR20120112060A (en) * | 2011-04-01 | 2012-10-11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warm water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04971A1 (en) * | 2015-12-15 | 2017-06-22 | 주식회사 리빙케어 | Instantaneous heating and instantaneous cooling type water purifier |
KR20170071368A (en) * | 2015-12-15 | 2017-06-23 | 주식회사 리빙케어 | Water Purifier For Instantaneous Cooling And Instantaneous Heating |
CN108472564A (en) * | 2015-12-15 | 2018-08-31 | 利宾科爱有限公司 | The water purifier of transient heating and instantaneous cooling mode |
KR20180005422A (en) * | 2016-07-06 | 2018-01-16 | 코웨이 주식회사 | Instance water heating device,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stance water heating device |
KR20180039987A (en) * | 2016-10-11 | 2018-04-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pparatus for generating cold water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95457B1 (en) | cold water creation module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 |
CN107923158A (en) | Portable device for producing drinking water from atmospheric moisture | |
KR20140055170A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20110008627A (en) | Cold water purifier | |
KR20150141038A (en) | Purifier for instantaneous cooling and instantaneous heating | |
KR20120131403A (en) | Air-conditioning system using vortex tube | |
KR102163335B1 (en) | Module type water purifier | |
CN104748256A (en) | Multi-connected air conditioner cooling system and multi-connected air conditioner with same | |
US11148084B2 (en) | Sterilization kit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 |
CN104197418A (en) | Fresh air machine and fresh air machine control method | |
CN104724774B (en) | Water purifier | |
JP5563627B2 (en) | Water supply | |
KR101374778B1 (en) | Water purifier | |
CN201723836U (en) | Integrated instantaneously heating water tap | |
CN204963163U (en) | Instant heating type boiling water device | |
CN205825397U (en) | The hottest constant temperature water boiler | |
CN103196191B (en) | The system and the processing method that regulate and provide bath water can be carried out to room air | |
CN202537175U (en) | Reverse osmosis air-source heat pump water dispenser | |
KR20120062556A (en) | Ion filter device in fuel cell electric vehicle | |
KR20170106784A (en) | Instantaneous water cooling and heating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 |
CN208998587U (en) | A kind of air heat exchanger water-cooling cooling device | |
CN206630457U (en) | A kind of constant temperature energy-saving centralization direct drinking feed system | |
CN204675903U (en) | Water-purifying machine and drinking equipment | |
CN101093105A (en) | Drinking water apparatus with no heat bag and multistage heating function | |
JP3088613U (en) | A cool / hot air heater that combines a water purifier and a humidifi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0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0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907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3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7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5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9090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8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7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5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90306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19100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9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7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200525 Appeal identifier: 2019101003314 Request date: 20191004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331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1004 Effective date: 20200525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200525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91004 Decision date: 20200525 Appeal identifier: 2019101003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