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1566A - A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A refrige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51566A KR20140051566A KR1020120117745A KR20120117745A KR20140051566A KR 20140051566 A KR20140051566 A KR 20140051566A KR 1020120117745 A KR1020120117745 A KR 1020120117745A KR 20120117745 A KR20120117745 A KR 20120117745A KR 20140051566 A KR20140051566 A KR 201400515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artment
- refrigerator
- door
- freezing
- refriger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2—Bask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4—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subatmospheric pres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7—Eg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2—Refrigerators including a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의 온도를 갖는 냉장실, 영하의 온도를 갖는 냉동실, 냉장실 및 냉동실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단열부가 구비되는 구획부, 구획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식품의 수납이 가능한 수납부, 및 수납부와 냉장실의 사이, 또는 수납부와 냉동실 사이에 제공되는 제 2 단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냉장실 및 냉동실 사이의 구획벽에 추가적인 수납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얇아진 구획벽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having a refrigerator compartment having an image temperature, a freezer compartment having a temperature of minus zero, a compartment located betwee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er compartment and having a first adiabatic part, a compartment located inside the compartment, And a second heat insulat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or between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dditional storage space can be provided in the partition wall between the refrigerating chamber and the freezing chamber, and the heat insulating performance of the relatively thin partition wall can be improv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냉장실 및 냉동실 사이에 위치하는 구획벽에 함몰 형성된 수납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고효율의 단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including a highly efficient heat insulating portion located in a lower portion of a receiving portion formed in a partition wall located between a refrigerating chamber and a freezing chamber.
냉장고는 일반적으로 냉장실 및 냉동실을 포함하며, 냉장실에는 영상의 온도로 보관되어야 하는 식품이 보관되고 냉동실에는 영하의 온도로 보관되어야 하는 식품이 보관된다.The refrigerator generally includes a refrigerator and a freezer. Foods to be stored at the image temperature are stored i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foods that should be stored at a subzero temperature are stor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따라서, 냉장실 내부의 온도와 냉동실 내부의 온도는 차이를 갖게 되며, 이에 따라 냉장실 및 냉동실 사이에는 단열을 위한 단열부를 포함하는 구획벽이 위치하게 된다.Accordingly, the temperature inside the freezing compartment is different from the temperature inside the freezing compartment, so that a partition wall including a heat insulating part for heat insulation is positioned between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최근에는 냉장고의 수납량을 늘리기 위해 구획벽에 함몰 형성된 수납 공간을 만드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In recent years, an attempt has been made to make a storage space recessed in the partition wall to increase the storage capacity of the refrigerator.
다만, 이 경우 구획벽 및 단열부의 두께가 얇아지는 결과가 되어 냉장실 및 냉동실 사이의 단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partition wall and the heat insulating portion is reduced, resulting in insufficient heat insulation between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그 결과, 냉장실에 이슬이 발생하고, 냉장고의 소비 전력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dew is generat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refrigerator is increased.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획벽에 함몰 형성된 수납부에 의해 상대적으로 얇아진 단열부 부분의 단열 효율을 향상시킨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improved insulation efficiency at a portion of a heat insulating portion which is relatively thinned by a receiving portion formed in a partition wall.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영상의 온도를 갖는 냉장실; 영하의 온도를 갖는 냉동실; 상기 냉장실 및 상기 냉동실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단열부가 구비되는 구획부; 상기 구획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식품의 수납이 가능한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와 상기 냉장실의 사이, 또는 상기 수납부와 상기 냉동실 사이에 제공되는 제 2 단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refrigerating chamber having a temperature of an image; A freezing chamber having a sub-zero temperature; A compartment positioned betwee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having a first heat insulating part; A receiving portion located inside the partition and capable of storing food; And a second heat insulating part provided between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or between the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또한,상기 제 2 단열부는 상기 구획부의 외면과 상기 수납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adiabatic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partition portion and the storage portion.
또한,상기 냉장실은 냉장고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냉동실은 상기 냉장고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납부는, 상기 냉장실의 바닥을 형성하는 구획벽의 상면으로부터 하부로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is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efrigerator, the freezing compartment is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efrigerator, and the compartment is recessed down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forming the bottom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또한,상기 제 2 단열부는 상기 구획부의 하면과 상기 수납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adiabatic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partition portion and the storage portion.
또한,상기 냉장실의 바닥을 형성하는 구획벽에는 미닫이 방식으로 상기 수납부를 개폐할 수 있는 수납부 도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artment wall forming the bottom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is provided with a compartment door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compartment in a sliding manner.
또한,상기 제 1 단열부는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는 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단열부는 상기 다수의 기공이 진공 상태인 진공 단열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heat insulating part may include a heat insulating material including a plurality of pores, and the second heat insulating part may include a vacuum insulating material in which the plurality of pores are in a vacuum state.
또한,상기 제 2 단열부는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adiabatic portion may include a heater for generating heat.
또한,상기 수납부와 상기 냉장실의 온도 차, 또는 상기 수납부와 상기 냉동실 온도 차에 따라, 상기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according to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or a difference betwee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또한,상기 냉장실 및 상기 냉동실의 전방에 위치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는 상기 구획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efrigerator further comprises a door positioned in front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and the freezing chamber, and the receiving portion is disposed in front of the partition.
또한,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냉장실 도어의 내측면에는 상기 냉장실 방향으로 돌출된 도어 바스켓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 도어는, 상기 냉장실 도어가 닫힌 상태일 때 상기 도어 바스켓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refrigerator includes a refrigerator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a door basket protruding towar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And the storage compartment door is located below the door basket whe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is in a closed state.
또한,상기 도어 바스켓 후방에는,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야채박스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vegetable box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n open top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oor basket.
또한, 상기 수납부는 계란 수납부이며, 상기 계란 수납부의 내부는, 상기 제 2 단열부가 상기 냉동실로부터의 냉기를 차단하여 영상의 온도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storage unit is an egg storage unit, and the temperature of the image is maintained by interrupting the cool air from the freezing chamber of the second heat insulating unit inside the egg storage uni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구획벽의 단열 성능을 정상화하여, 냉장실 및 수납부에서 이슬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한다.As described above, the heat insulating performance of the partition wall is normaliz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ew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and the receiving portion.
또한, 냉장고의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현상을 방지한다.Further, the phenomenon tha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refrigerator increases is prevented.
나아가, 냉장실 및 냉동실 사이의 구획벽에 추가적인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결과가 되어, 냉장고의 수납 공간이 증가한다.
Further, as a result of providing an additional storage space in the partition wall betwee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the freezer compartment, the storage space of the refrigerator increase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해 구성요소 간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in order to explain a controlle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1st 실시예Exampl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tructur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100), 냉동실(200), 구획벽(300), 수납부(400), 및 진공단열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일례로서, 냉장실(100)은 냉장고의 상부, 냉동실(200)은 냉장고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냉장실(100)이 냉동실(2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사용빈도가 높은 냉장실(100)에 식품을 넣거나 꺼낼 때 사용자는 몸을 구부릴 필요가 없어 편리한 장점이 있다.As an example, the
냉장실(100)은 영상의 온도를 유지하며, 영상의 온도에서 보관되어야할 식품이 수납되어 저장된다.The refrigerating
냉장실(100)의 온도는 사용자가 냉장실 온도 조작 레버(미도시)를 조작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영하의 온도로 조작될 수도 있다.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냉장실(100)에는 냉장실 도어(110) 및 다수의 선반(120)이 포함될 수 있다.The
냉장실 도어(110)는 냉장실(10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냉장실(100)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The
냉장실 도어(110)는 일례로서 도어 바스켓(111)을 포함한다.The
도어 바스켓(111)은 냉장실 도어(110)로부터 냉장실 방향, 즉 후방으로 돌출형성된다. 도어 바스켓(1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야채박스(121)의 전방까지 연장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도어 바스켓(111)은 물병, 1.5L이상의 용량을 담는 음료수병 등이 수납될 수 있을 정도의 폭과 너비를 갖는다.The
후술할 것이나, 도어 바스켓(111)의 하부에 수납부(400)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선반(120)은 냉장실(100)에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선반(120)의 개수는 일례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선반(120)은 사용자에 의해 냉장실(100)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선반(120)은 상대적으로 넓은 냉장실(100) 전체 공간을 구획하는 역할을 하며, 선반(120)에는 식품 등이 올려져 보관될 수 있다.A plurality of
바람직하게, 냉장실(100)의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선반(120)의 하부에는 야채박스(121)가 위치한다.Preferably, the
야채박스(121)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야채박스(121)는 채소가 수납되어 쏟아지지 않도록 상부로 연장된 측벽을 갖는 케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야채박스(121)의 손잡이부(미도시)를 잡고 전방으로 당기는 경우, 야채박스(121)는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야채박스(121)에 채소 등의 식재품을 수납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채소 등의 식재품을 수납한 후 후방으로 미는 경우, 야채박스(121)의 오픈된 상부가 냉장실(100)의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선반(120)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도록 후방으로 슬라이딩된다.The
냉동실(200)은 영하의 온도를 유지하며, 영하의 온도에서 보관되어야할 식품이 수납되어 저장된다.The
냉동실(200)의 온도는 사용자가 냉동실 온도 조작 레버(미도시)를 조작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영상의 온도로 조작될 수도 있다.The temperature of the
냉동실(200)에는 냉동실 도어(210) 및 선반(220)이 포함될 수 있다.The
냉동실 도어(210)는 냉동실(20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냉동실(200)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냉동실 도어(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서 위아래로 회전하여 개폐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좌우로 회전하는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The
선반(220)은 냉장실(100)에서와 마찬가지로 다수가 위치할 수 있으며, 선반(220) 위에는 식품이 수납된다.A plurality of shelves 220 can be positioned as in the refrigerating
구획벽(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100) 및 냉동실(200) 사이에 위치하여 냉장실(100) 및 냉동실(200) 사이를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1, the
구획벽(300)은, 제 1 단열부(310)를 포함하여 냉장실(100) 및 냉동실(200) 사이를 단열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단열부(310)에서 "제 1"의 기재는 이후 사용될 제 2 단열부와 구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제 2 단열부는, 진공단열재(500) 및 히터(600)를 통칭하기 위한 용어로서, 양자의 공통된 특징인 단열 성능에 의해 호칭된 것이다.The
냉장실(100)은 일반적으로 영상의 온도로 유지되며, 냉동실(200)은 일반적으로 영하의 온도로 유지되므로, 냉동실(200)은 냉장실(100) 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general, the
구획벽(300)의 제 1 단열부(310)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동실(200)의 냉기가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냉장실(100)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The first
따라서, 제 1 단열부(310)는 일정 크기 이상의 두께를 가질 것이 요구된다. 제 1 단열부(310)가 너무 얇은 경우에는 단열 효과가 제대로 제공되지 못해, 냉장실(100)로 냉동실(200)의 냉기가 유입되게 된다.Therefore, the first
수납부(400)는 구획벽(300)의 내부에 위치하며 식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다.The
수납부(400)는, 일례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벽(300)에 함몰 형성된다. The
수납부(400)는, 냉장고의 상부가 냉장실(100)이고 하부가 냉동실(200)인 경우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100)의 바닥을 형성하는 구획벽(300)의 상면(320)으로부터 냉동실(200) 방향으로, 즉 하부로 함몰 형성된다.4, when the upper part of the refrigerator is the
이 경우, 수납부(400)를 개폐하기 위한 수납부 도어(41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100)의 바닥을 형성하는 구획벽(300)의 상면(320)에 형성된다.In this case, a
수납부 도어(410)는, 일례로서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되는 미닫이 방식으로 수납부(400)를 개폐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수납부(40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다.The
수납부 도어(410)가 미닫이 방식으로 수납부(400)를 개폐하는 경우, 수납부 도어(410)가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수납부 도어 수용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ing
또한, 수납부 도어(410)는 손잡이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손잡이부(411)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어 수납부 도어(410)가 개폐되도록 한다.The
바람직하게, 수납부(400)는 냉장고의 상부에 위치하는 냉장실(100)의 냉장실 도어(11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도어 바스켓(111)의 하부에 위치한다.Preferably, the receiving
이 경우, 도어 바스켓(111)에 의해 사용할 수 없게 된 도어 바스켓(111) 하부의 공간을 사용하는 것이 된다.In this case, the space below the
수납부(400)의 가로길이, 세로길이, 높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수납부(400)에 대한 수납의 용이성 측면에서 수납부(400)는 후방에 위치하는 야채박스(121)의 하부에 미치지 않는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ength, length, and height of the
수납부(400)의 용도는 일례로서, 계란 수납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계란 수납부는 계란을 수납하는 용도로 사용되므로, 영상의 온도로 유지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 2 단열부(500)에 의해 냉동실(200)로부터의 냉기가 수납부(4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계란 수납부의 계란이 영상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The use of the
진공단열재(500)는, 수납부(400)와 냉장실(100) 사이의 단열을 위해, 수납부(400)와 냉장실(100) 사이에 위치한다. 또는, 진공단열재(500)는, 수납부(400)와 냉동실(200) 사이의 단열을 위해, 수납부(400)와 냉동실(200) 사이에 위치한다. 진공단열재(500)는, 수납부(400)의 온도가 영하인 경우 수납부(400)와 냉장실(100) 사이를 단열하고, 수납부(400)의 온도가 영상인 경우 수납부(400)와 냉동실(200) 사이를 단열한다.The
진공단열재(500)는, 일례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4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진공단열재(500)는 수납부(400) 및 구획벽(300)의 하면(3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냉장실(100)이 상부, 냉동실(200)이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라면, 이 경우 진공단열재(500)는 수납부(400)와 냉동실(200) 사이를 단열하는 역할을 한다. 냉장실(100)이 하부, 냉동실(200)이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라면, 진공단열재(500)는 수납부(400)와 냉장실(100) 사이를 단열하는 역할을 한다.The
진공단열재(5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납부(4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수납부(400)와 냉장실(100), 또는 수납부(400)와 냉동실(200) 사이의 단열을 할 수 있는 어떠한 위치라도 위치할 수 있다.The
진공단열재(500)는, 제 1 단열부(310)를 구성하는 단열재 보다 단열 성능이 뛰어나다. 따라서, 제 1 단열부(310) 보다 상대적으로 감소된 두께에서도 제 1 단열부(310)에 상응하는 단열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The
일례로서, 제 1 단열부(310)는 내부에 다수의 기포를 포함하는 단열재일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이 경우, 진공단열재(500)는 상기한 다수의 기포를 외부와 연통되도록 터뜨린 후, 상기 기포가 터뜨려진 단열재를 알루미늄 팩 내부에서 공기를 빨아들여 다수의 기포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 제조한다. 이를 통해, 진공 상태가 된 다수의 기포는 열의 전도는 물론 열의 대류까지도 방지한다. 따라서, 진공단열재(500)는 제 1 단열부(310) 보다 향상된 단열 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제 2 Second 실시예Exampl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tructur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100), 냉동실(200), 구획벽(300), 수납부(400), 및 히터(6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frigerating
냉장실(100), 냉동실(200), 구획벽(300), 및 수납부(400)에 대한 설명은, 앞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The description of the refrigerating
히터(600)는 열을 발생시켜 단열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히, 수납부(400)와 냉장실(100), 또는 수납부(400)와 냉동실(200) 사이에서 단열을 제공한다. 또한, 히터(600)는 히터 안착부(610) 내벽에 이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The
히터(600)는, 일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 안착부(610)에 안착되어 수납부(4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히터(600)는 수납부(400) 및 구획벽(300)의 하면(3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냉장실(100)이 상부, 냉동실(200)이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라면, 이 경우 히터(600)는 수납부(400)와 냉동실(200) 사이를 단열하는 역할을 한다. 냉장실(100)이 하부, 냉동실(200)이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라면, 히터(600)는 수납부(400)와 냉장실(100) 사이를 단열하는 역할을 한다.The
히터(6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납부(4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수납부(400)와 냉장실(100), 또는 수납부(400)와 냉동실(200) 사이의 단열을 할 수 있는 어떠한 위치라도 위치할 수 있다.The
히터(600)는, 제 1 단열부(310)를 구성하는 단열재 보다 단열 성능이 뛰어나다. 따라서, 제 1 단열부(310) 보다 상대적으로 감소된 두께에서도 제 1 단열부(310)에 상응하는 단열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The
히터(600)는 열을 발생시키기 위해 별도의 전원을 포함할 수 있으나, 냉장고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20), 냉장실 온도 센서(630), 및 냉동실 온도 센서(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이 경우, 제어부(620)는, 냉장실 온도 센서(630)에 의해 측정된 냉장실 온도 및 냉동실 온도 센서(640)에 의해 측정된 냉동실 온도의 차를 이용하여 히터(600)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유지한다. In this case, the
또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수납부 온도 센서(650)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620)는, 냉장실 온도 및 수납부 온도의 차, 또는 냉동실 온도 및 수납부 온도의 차를 이용하여 히터(600)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have a separat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부(400)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the
이하에서는, 냉장실(100)이 상부, 냉동실(200)이 하부에 위치하는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the refrigerating
먼저, 사용자는 냉장실 도어(110)를 오픈한다.First, the user opens the
그 후, 사용자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닫이 방식의 수납부 도어(410)의 손잡이부(411)를 파지하여, 수납부 도어(410)를 수납부 도어 수용부(412) 측으로 밀어 수용시킨다.Thereafter, the user grasps the
수납부 도어(410)가 수납부 도어 수용부(412) 내부로 수용되어, 오픈된 수납부(400)는 일례로서 계란의 수용을 위한 계란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The
사용자는 계란받침대 위에 계란을 수용시킨 후, 수납부 도어(410)의 손잡이부(411)를 파지하여 당겨, 수납부 도어(410)를 닫을 수 있다.The user can grasp the
수납부(400)에 수용된 식품을 꺼내는 과정도 상기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rocess of taking out the food stored in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numer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should also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냉장실
110 : 냉장실 도어
111 : 도어 바스켓
120 : 선반
121 : 야채박스
200 : 냉동실
210 : 냉동실 도어
300 : 구획벽
310 : 제 1 단열부
320 : 상면
330 : 하면
400 : 수납부
410 : 수납부 도어
411 : 손잡이부
412 : 수납부 도어 수용부
500 : 진공단열재
600 : 히터
610 : 히터 안착부
620 : 제어부
630 : 냉장실 온도 센서
640 : 냉동실 온도 센서
650 : 수납부 온도 센서100: Refrigerator room
110: Refrigerator door
111: Door basket
120: Shelf
121: Vegetable box
200: Freezer
210: Freezer door
300: compartment wall
310:
320: upper surface
330: When
400:
410: the door of the storage compartment
411: Handle portion
412: Receiver Door Portion
500: Vacuum insulation
600: heater
610: Heater seating portion
620:
630: Refrigerator room temperature sensor
640: Freezer temperature sensor
650: Receiver temperature sensor
Claims (12)
영하의 온도를 갖는 냉동실;
상기 냉장실 및 상기 냉동실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단열부가 구비되는 구획부;
상기 구획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식품의 수납이 가능한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와 상기 냉장실의 사이, 또는 상기 수납부와 상기 냉동실 사이에 제공되는 제 2 단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 refrigerator having an image temperature;
A freezing chamber having a sub-zero temperature;
A compartment positioned betwee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having a first heat insulating part;
A receiving portion located inside the partition and capable of storing food; And
A second heat insulat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or between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freezing chamber,
≪ / RTI >
Refrigerator.
상기 제 2 단열부는 상기 구획부의 외면과 상기 수납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adiabatic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partition and the accommodating portion.
Refrigerator.
상기 냉장실은 냉장고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냉동실은 상기 냉장고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납부는, 상기 냉장실의 바닥을 형성하는 구획벽의 상면으로부터 하부로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eezing compartment is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efrigerator, the freezing compartment is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efrigerator,
Wherein the storage compartment is recessed down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a partition wall forming a bottom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Refrigerator.
상기 제 2 단열부는 상기 구획부의 하면과 상기 수납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second adiabatic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partition and the accommodating portion.
Refrigerator.
상기 냉장실의 바닥을 형성하는 구획벽에는 미닫이 방식으로 상기 수납부를 개폐할 수 있는 수납부 도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compartment wall defining a bottom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is provided with a compartment door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compartment with a sliding door.
Refrigerator.
상기 제 1 단열부는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는 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단열부는 상기 다수의 기공이 진공 상태인 진공 단열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heat insulating portion includes a heat insulating material including a plurality of pores,
Characterized in that said second adiabatic part comprises a vacuum insulation material in which said plurality of pores are in a vacuum state.
Refrigerator.
상기 제 2 단열부는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adiabatic part comprises a heater for generating heat.
Refrigerator.
상기 수납부와 상기 냉장실의 온도 차, 또는 상기 수납부와 상기 냉동실 온도 차에 따라, 상기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according to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torage unit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or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accommodation uni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Refrigerator.
상기 냉장실 및 상기 냉동실의 전방에 위치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는 상기 구획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oor positioned in front of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accommodating portion is disposed in front of the partition portion.
Refrigerator.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냉장실 도어의 내측면에는 상기 냉장실 방향으로 돌출된 도어 바스켓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 도어는, 상기 냉장실 도어가 닫힌 상태일 때 상기 도어 바스켓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refrigerator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 door basket protruding towar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is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Lt; / RTI &
Wherein the storage compartment door is located below the door basket whe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is in a closed state.
Refrigerator.
상기 도어 바스켓 후방에는,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야채박스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The method of claim 10,
Characterized in that a vegetable box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n open top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oor basket,
Refrigerator.
상기 수납부는 계란 수납부이며,
상기 계란 수납부의 내부는, 상기 제 2 단열부가 상기 냉동실로부터의 냉기를 차단하여 영상의 온도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orage portion is an egg storage portion,
Wherein the temperature of the image is maintained by intercepting the cold air from the freezing chamber in the inside of the egg storage portion.
Refrigerat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7745A KR20140051566A (en) | 2012-10-23 | 2012-10-23 | A refrige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7745A KR20140051566A (en) | 2012-10-23 | 2012-10-23 | A refrigera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1566A true KR20140051566A (en) | 2014-05-02 |
Family
ID=50885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7745A Ceased KR20140051566A (en) | 2012-10-23 | 2012-10-23 | A refriger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51566A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64449A (en) * | 1991-12-12 | 1993-06-29 | Matsushita Refrig Co Ltd | Refrigerator |
JP2003056979A (en) * | 2001-08-21 | 2003-02-26 | Mitsubishi Electric Corp | Refrigerator |
JP2004053152A (en) * | 2002-07-22 | 2004-02-19 | Matsushita Refrig Co Ltd | Refrigerator |
JP2006138487A (en) * | 2004-11-10 | 2006-06-01 | Mitsubishi Electric Corp | Refrigerator |
-
2012
- 2012-10-23 KR KR1020120117745A patent/KR20140051566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64449A (en) * | 1991-12-12 | 1993-06-29 | Matsushita Refrig Co Ltd | Refrigerator |
JP2003056979A (en) * | 2001-08-21 | 2003-02-26 | Mitsubishi Electric Corp | Refrigerator |
JP2004053152A (en) * | 2002-07-22 | 2004-02-19 | Matsushita Refrig Co Ltd | Refrigerator |
JP2006138487A (en) * | 2004-11-10 | 2006-06-01 | Mitsubishi Electric Corp | Refrigerat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29927B2 (en) | Refrigerator | |
US10465975B2 (en) | Refrigerator | |
CN102121782B (en) | Refrigerator and ice-making system thereof | |
US20080307823A1 (en) | Refrigerator | |
CN102374745B (en) | Refrigerator | |
CN103292539A (en) | Storage uni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CN202902736U (en) | Refrigerated storage | |
JP5502548B2 (en) | refrigerator | |
US20110232317A1 (en) | Insulation front of ice storage compartment | |
JP6717622B2 (en) | refrigerator | |
JP6622980B2 (en) | refrigerator | |
US20160282036A1 (en) | Refrigerator | |
KR20120011162A (en) | Ice tray and refrigerator including it | |
JP4295197B2 (en) | refrigerator | |
JP2008304076A (en) | Refrigerator | |
KR20140051566A (en) | A refrigerator | |
CN102607233A (en) | Refrigerator and egg storage case | |
JP5202207B2 (en) | refrigerator | |
KR20080006268U (en) | Refrigerator | |
WO2014036838A1 (en) | Refrigerator | |
JP2013148274A (en) | Refrigerator | |
JP2003021448A (en) | Refrigerator | |
JP4665977B2 (en) | refrigerator | |
JP6505483B2 (en) | refrigerator | |
JP6179987B2 (en) | refrige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9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0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904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11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