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51120A - Wheel loader - Google Patents

Wheel loa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1120A
KR20140051120A KR1020137020848A KR20137020848A KR20140051120A KR 20140051120 A KR20140051120 A KR 20140051120A KR 1020137020848 A KR1020137020848 A KR 1020137020848A KR 20137020848 A KR20137020848 A KR 20137020848A KR 20140051120 A KR20140051120 A KR 20140051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mode
arm
operating lever
spe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08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82406B1 (en
Inventor
고지 효도
마사키 요시카와
에이 다카하시
와타루 이사카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51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1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40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02F9/2012Setting the functions of the control levers, e.g. changing assigned functions among operations levers, setting functions dependent on the operator or seat orien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283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single arm pivoted directly on the chassi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bucket-arms, i.e. a pair of 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 geometry, material of bucket-arms directly pivoted on the frames of tractors or self-propelled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02F3/43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 E02F3/431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for bucket-arms, front-end loaders, dumper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2Travelling-gear, e.g. associated with slewing gea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02F9/2066Control of propulsion units of the type combustion eng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79Control of mechanical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53Controlling the travelling speed of vehicles, e.g. adjusting travelling speed according to implement loads, control of hydrosta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차륜(113, 114)을 가지는 차체(110)와, 차체(110)의 전부에 장착된 아암(121) 및 버킷(122)과 이들을 구동하는 아암 실린더(123) 및 버킷 실린더(124)를 가지는 작업기(120)와, 이 작업기(120)의 동작을 지시하는 작업기 조작장치(20)를 구비한 휠 로더(100)에 있어서, 이 작업기 조작장치(20)가, 운전석(21)의 우측에 설치한 아암 조작용의 아암 조작 레버(11)와, 이 아암 조작 레버(11)의 그립(11a)의 상면 및 좌측면에 각각 설치한 2개의 킥다운 스위치(16, 17)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A vehicle body 110 having wheels 113 and 114 and a working machine 120 having an arm 121 and a bucket 122 mounted on the entire body 110 and an arm cylinder 123 and a bucket cylinder 124 for driving them, And a work machine operating device 20 for instructing the operation of the working machine 120. The work machine operating device 20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driver's seat 21 Arm-operated lever operation lever 11 and two kick-down switches 16 and 17 provided on the upper and left surfaces of the grip 11a of the arm operation lever 11, respectively. Thus, the oper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Description

휠 로더{WHEEL LOADER}Wheel Loader {WHEEL LOADER}

본 발명은, 피굴삭물을 퍼올려 운반하는 휠 로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 loader for piling up and transporting a workpiece.

휠 로더의 작업기는, 일반적으로 아암을 부앙동(俯仰動)시키는 아암 실린더와 버킷을 덤프 동작 또는 클라우드 동작시키는 버킷 실린더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아암 실린더 및 버킷 실린더의 동작을 지시하는 조작장치로서, 아암 조작용 및 버킷 조작용의 2개의 조작 레버(이하, 각각 「아암 조작 레버」, 「버킷 조작 레버」라고 한다)를 예를 들면 운전석의 오른쪽에 구비한 것이 있다(특허문헌 1 등 참조).The working machine of the wheel loader generally includes an arm cylinder for depressing the arm and a bucket cylinder for performing a dump operation or a cloud operation of the bucket and an operation device for instructing the operation of the arm cylinder and the bucket cylind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 arm operation lever " and " bucket operation lever ", respectively) are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driver's seat (see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국제공개 제WO 2010/147232호International Publication No. WO 2010/147232

여기에서, 휠 로더의 전형적인 동작으로서는, (A)토사 등의 피굴삭물의 흙더미(이하, 적절하게 「흙더미」(mound)라고 한다) 근처로 이동하여, (B)버킷의 입을 전방을 향하여 아암을 내린 상태에서 흙더미를 파고들어가, (C)흙더미에 버킷을 파고들어간 상태에서 더 전진하면서, 아암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버킷을 클라우드 동작시켜 버킷으로 피굴삭물을 퍼올려, (D)버킷에 피굴삭물을 실으면 후진하여 흙더미로부터 멀어져 소정의 장소로 이동하여 피굴삭물을 덤프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 중에서, (A) 및 (D)의 동작에는 피굴삭물을 누르기 위한 큰 주행 구동력(견인력)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연비가 중시되나, (B) 또는 (C)의 동작에는 피굴삭물을 퍼올리기 위해 큰 주행 구동력이 적시에 요구될 수 있다.Here, the typical operation of the wheel loader is as follows. (A) Moving to the vicinity of a pile of digging materi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und" as appropriate) of gravel or the like, (B) (C) While pushing the bucket into the dirt, pushing the bucket, the arm is raised while the arm is lifted. At the same time, the bucket is operated in the cloud, and the bucket is pushed up by the bucket. (D) When water is loaded, it moves backward and moves away from the soil and moves to a predetermined place to dump the digger. Among these series of operations, the operation of (A) and (D) does not require a large driving force (pulling force) for pressing the workpiece, so fuel economy is emphasized. A large driving driving force may be required in a timely manner to raise the driving force.

그에 비하여,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재빠르게 시프트 다운시키기 위한 킥다운 스위치를 아암 조작 레버의 상부에, 엔진 최고 회전 속도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하여 최대 주행 구동력을 올리는(주행 모드를 전환한다) 모드 전환 스위치를 버킷 조작 레버의 상부에 각각 설치한 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 예에 의하면, (A)의 동작으로부터 (B)의 동작으로 이행함에 있어서 킥다운 스위치를 조작하여 저속도단으로 떨어뜨려 소요의 주행 구동력을 확보함과 함께, (C)의 동작을 할 때 상황에 따라 모드 전환 스위치를 조작하면 더 큰 주행 구동력을 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Patent Document 1, the kick-down switch for rapidly shifting down the gear is temporarily relea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rm operating lever to temporarily release the limitation of the engine top speed to raise the maximum driving driving force And an example in which the change-over switch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ucket operating lever, respectively. According to this example, when shifting from the operation of (A) to the operation of (B), the kickdown switch is operated to drop to the low speed stage to secure the required driving force, A larger driving force can be obtained by operating the mode changeover switch.

이 때, 작업기를 조작함에 아암용 및 버킷용의 2개의 조작 레버를 가지는 이 종류의 휠 로더에 있어서는, (B)의 동작시에는 아암 조작 레버, (C)의 동작시에는 주로 버킷 조작 레버를, 각각 조작하게 된다.At this time, in the wheel loader of this kind having two operation levers for the arm and the bucket for operating the working machine, the arm operating lever during operation of (B), mainly the bucket operating lever during operation of (C) , Respectively.

(B)의 동작시에 행하는 조작은, 버킷의 자세 조정과 시프트 다운이다. 이들의 조작은 모두 굴삭 동작에 대한 예비적인 것으로서 진척에 따라 미묘한 조정을 필요로 하는 듯한 섬세한 조작이 아닌, 아암 조작 레버에 가볍게 손을 댄 상태에서도 가능한 조작이기 때문에, 아암 조작 레버를 확실히 쥘지, 가볍게 손을 댈지, 또는 위에서 쥘지, 가로로 쥘지는 조작자에 의해 가지각색이다.(B) are the posture adjustment and the shift down of the bucket. These operations are preliminary to the excavation operation, and are not delicate operations that require subtle adjustment according to progress, but are operations that can be performed even when the arms are leaned lightly on the lever. Therefore, It is varied in color by the hand, or by the operator gripping it from above, and being gripped horizontally.

한편, (C)의 동작시에 행하는 조작은, 아암을 상승시키면서, 버킷 클라우드와 기체의 전진을 병행하여 지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C)의 동작에 있어서, 최대주행 구동력은 반드시 커진다고 좋은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피굴삭물에 버킷을 밀어넣는 후에는 큰 주행 구동력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는 한편, 피굴삭물에 의한 주행 부하가 높을 때 과도하게 큰 주행 구동력으로 주행하면, 차륜의 슬립(slip)에 의해 노면이 푹 패여 버려 이후의 작업에 영향을 남길 수 있다. (C)의 동작 중은, 아암의 상승 동작에 따라 버킷의 클라우드 동작을 하면서도, 이와 같은 문제를 잘 회피하면서 필요에 따라 최대 주행 구동력을 올릴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performed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C) is to simultaneously instruct the bucket cloud and the advancement of the gas while raising the arm. In the operation (C), it is not good that the maximum driving driving force necessarily increases. For example, there is a case where a large driving force is required after the bucket is pushed into the workpie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vehicle is driven with an excessively large driving force when the driving load due to the workpiece is high, The road surface is pinched by the road surface, which can affect the subsequent operation. (C),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maximum driving driving force as necessary while avoiding such a problem, while performing the cloud operation of the bucket according to the ascending operation of the arm.

그 때문에, (B)의 동작 지시에 비해 (C)의 동작 지시는 미묘한 조작을 필요로 하며 집중하여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조작자는 확실히 버킷 조작 레버를 쥐고 조작하는 경향이 있다.Therefore, the operation instruction of (C) is required to be performed in a concentrated manner requiring a subtle operation as compared with the operation instruction of (B). Therefore, most operators tend to grasp and operate the bucket operation lever surely.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사용하기 쉬운 견지에 서서 조작자의 조작 태양의 실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조작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휠 로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ctual operating conditions of the operator standing on an easy-to-use stand, and aims to provide a wheel loader capable of further improving operability.

(1)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륜을 가지는 차체와, 이 차체의 전부에 장착된 작업기와, 이 작업기의 동작을 지시하는 작업기 조작장치를 구비하고, 당해 작업기 조작장치가, 운전석의 측부에 설치한 상기 작업기의 동작 지시용의 조작 레버와, 상기 조작 레버의 그립의 상면 및 상기 운전석측의 측면에 설치한, 견인력에 관한 조작을 하기 위한 2개의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comprising: a vehicle body having wheels; a working machine mounted on the entire body of the vehicle; and a working machine operating device for instructing the operation of the working machine, An operation lever for indicating operation of the working machin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driver's seat and two switche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p of the operation lever and on the side of the driver's seat for operating the pulling force. do.

(2)상기 (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업기는, 아암 및 버킷과 이들 아암 및 버킷을 구동하는 아암 실린더 및 버킷 실린더를 가지고 있고, 상기 작업기 조작장치가, 상기 조작 레버이며 상기 아암 실린더의 동작 지시용의 아암 조작 레버와, 이 아암 조작 레버의 상기 운전석측에 병설된, 상기 버킷 실린더의 동작 지시용의 버킷 조작 레버와, 상기 아암 조작 레버의 그립의 상면 및 상기 운전석측의 측면에 설치한 상기 2개의 스위치이며, 속도단을 강제적으로 시프트 다운시키는 2개의 킥다운 스위치와, 상기 버킷 조작 레버의 그립의 상기 운전석측의 측면에 설치한, 엔진 최대 회전 속도의 상한치가 다른 복수의 주행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2) In the above (1), it is preferable that the working machine has an arm and a bucket, an arm cylinder for driving the arm and the bucket, and a bucket cylinder, A bucket operating lever for guiding the operation of the bucket cylinder and an upper surface of the grip of the arm operating lever and a side surface on the driver's seat side of the driver operating lever, Down switch for forcibly downshifting the speed stage and a plurality of kick down switche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driver's seat side of the grip of the bucket operating lever and having a plurality of upper limit values And a mode changeover switch for changing the running mode.

(3)상기 (2)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 전환 스위치가, 상기 버킷 조작 레버의 그립의 상기 운전석측의 측면 대신 또는 당해 운전석측의 측면에 부가하여, 당해 그립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 In the above-mentioned (2), preferably, the mode changeover switch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p in addition to the driver's seat side surface or the driver's seat side surface of the grip of the bucket operation lever .

(4)상기 (2) 또는 (3)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 전환 스위치는 누름 버튼이며, 엔진 최대 회전 속도를 상한이 다른 복수의 주행 모드의 전환을 단체(單體)로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4) In the above (2) or (3), it is preferable that the mode changeover switch is a push button, and the changeover of a plurality of running modes having different maximum engine speeds .

(5)상기 (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 전환 스위치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주행 모드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5) In any one of (2) to (4), preferably,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 running mode selected by the mode changeover switch is provided.

(6)상기 (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아암 올림 동작을 지시하는 포지션으로 상기 아암 조작 레버의 자세를 유지하는 디텐트(detent)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6) In any one of (2) to (5), preferably, a detent mechanism is provided for maintaining the posture of the arm operating lever at a position instructing the arm lifting operation do.

본 발명에 의하면, 킥다운 스위치나 모드 전환 스위치를 조작자의 조작 태양의 실정에 따라 유연하게 배치함으로써, 보다 좋은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ick-down switch or the mode changeover switch can be flexibly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of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so that better operability can be ensu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휠 로더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휠 로더에 구비된 구동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휠 로더에 있어서 액셀 페달을 최대로 세게 밟았을 때의 엔진 회전 속도와 토크의 관계를 나타낸 주행성능선 도면(토크선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휠 로더에 있어서의 각 속도단에서의 차속과 주행 구동력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휠 로더에 구비된 운전실 내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휠 로더에 구비된 주행 모드 전환용의 메인 스위치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휠 로더에 구비된 작업기 조작장치의 후방에서 본 외관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휠 로더로 토사 또는 자갈 등의 피굴삭물을 덤프 등에 실을 때의 피굴삭물의 퍼올림 작업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1 is a side view of a wheel lo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rive system provided in a wheel lo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unning ridge diagram (torque line drawing)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gine rotational speed and torque when the accelerator pedal is stepped on to the maximum extent in the wheel loa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hicle speed and the driving force at each speed stage in the wheel loa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a cab of a wheel lo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ain switch for switching the traveling mode provided in the wheel loa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rear view of the appearance of a machine-operating device provided in a wheel lo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work load such as gravel or gravel is loaded on a dump or the like with a wheel lo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휠 로더의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wheel lo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나타낸 휠 로더(100)는, 차체(110)와, 이 차체(101)의 전부에 장착된 작업기(120)를 구비하고 있다.The wheel loader 100 shown in Fig. 1 includes a vehicle body 110 and a working machine 120 mounted on the whole of the vehicle body 101. Fig.

차체(110)는, 전부 차체(111)와 후부 차체(112)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전부 차체(111) 및 후부 차체(112)는, 각각 전륜(타이어)(113) 및 후륜(타이어)(114)을 구비하고 있고, 연직 방향으로 늘어나는 센터 핀(115)을 거쳐 서로 굴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전부 차체(111)와 후부 차체(112)에는 스티어링 실린더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스티어링 실린더의 신축 구동에 따라 후부 차체(112)에 비하여 전부 차체(111)가 좌우로 굴곡한다. 또한, 후부 차체(112) 상에는, 전부에 운전실(116), 후부에 엔진실(117)이 탑재되어 있다. 엔진실(117)에는, 후술하는 원동기로서의 엔진(131), 이 엔진(131)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134), 이 유압 펌프(134)로부터 토출된 압유(壓油)의 방향 및 유량을 제어하는 컨트롤 밸브(135) 등이 수용되어 있다.The vehicle body 110 is entirely provided with a vehicle body 111 and a rear vehicle body 112. These front and rear vehicle bodies 111 and 112 are provided with front wheels (tires) 113 and rear wheels (tires) 114, respectively, and are capable of bending through the center pins 115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connected. Although not shown, all of the vehicle body 111 and the rear body 112 are connected to a steering cylinder, and the vehicle body 111 is entirely bent to the left and right as compared with the rear body 112 due to the extension and retraction of the steering cylinder. On the rear body 112, a cab 116 and a rear engine room 117 are all mounted. The engine room 117 is provided with an engine 131 as a prime mov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 hydraulic pump 134 driven by the engine 131, a direction and a flow rate of pressurized oil discharged from the hydraulic pump 134 And a control valve 135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ngine.

작업기(120)는, 아암(121) 및 버킷(122)과 이들 아암(121) 및 버킷(122)을 구동하는 아암 실린더(123) 및 버킷 실린더(124)를 가진다. 아암(121)은 아암 실린더(123)의 신축 구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회동(부앙동)하고, 버킷(122)은 버킷 실린더(124)의 신축 구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회동(덤프 동작 또는 클라우드 동작)한다.The working machine 120 has an arm 121 and a bucket 122 and an arm cylinder 123 and a bucket cylinder 124 for driving these arms 121 and the bucket 122. The arm 121 rotates vertically in accordance with the extension and retraction of the arm cylinder 123 and the bucket 122 rotates vertically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drive of the bucket cylinder 124 (a dump operation or a cloud operation )do.

도 2는 휠 로더(100)의 구동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rive system of the wheel loader 100. As shown in Fig.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휠 로더(100)의 구동 시스템(130)은, 엔진(131), 토크 컨버터(132), 트랜스미션(133), 유압 펌프(134), 컨트롤 밸브(35), 컨트롤러(136), 엔진 제어부(137), 트랜스미션 제어부(138) 등을 구비하고 있다.2, the drive system 130 of the wheel loader 100 includes an engine 131, a torque converter 132, a transmission 133, a hydraulic pump 134, a control valve 35, a controller 136, an engine control unit 137, a transmission control unit 138, and the like.

엔진(131)의 출력축에는 토크 컨버터(132)의 입력축이 연결되며, 토크 컨버터(132)의 출력축은 트랜스미션(133)에 연결되어 있다. 토크 컨버터(132)는 주지의 임펠러(impeller), 터빈(turbine), 스테이터(stator)로 이루어지는 유체 클러치이며, 엔진(131)의 회전은 토크 컨버터(132)를 거쳐 트랜스미션(133)에 전달된다. 트랜스미션(133)은, 그 속도단을 변속하는 액압 클러치를 가지며, 토크 컨버터(132)의 출력축의 회전은 트랜스미션(133)에서 변속된다. 변속 후의 회전은, 프로펠러 샤프트(141) 및 액슬(axles)(142)을 거쳐 전륜(113) 및 후륜(114)에 전달되며, 이것에 의해 휠 로더(100)가 주행한다.The input shaft of the torque converter 132 is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engine 131 and the output shaft of the torque converter 132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133. The torque converter 132 is a fluid clutch composed of a well-known impeller, a turbine and a stator, and the rotation of the engine 131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133 via the torque converter 132. The transmission 133 has a hydraulic clutch for shifting its speed stage and the rotation of the output shaft of the torque converter 132 is shifted at the transmission 133. [ The rotation after the shifting is transmitted to the front wheels 113 and the rear wheels 114 via the propeller shaft 141 and the axles 142 so that the wheel loader 100 travels.

유압 펌프(134)는 가변 용량형의 것으로서, 엔진(131)에 의해 구동되어 압유를 토출한다. 유압 펌프(134)로부터의 토출유는 컨트롤 밸브(135)를 거쳐 방향 및 유량이 제어되어 아암 실린더(123)나 버킷 실린더(124) 등의 작업용 액추에이터에 공급되며, 그들 작업용 액추에이터가 구동된다. 컨트롤 밸브(135)는 아암 조작 레버(11) 및 버킷 조작 레버(12)(후술)에 의해 조작되며, 각각 아암 조작 레버(11) 및 버킷 조작 레버(12)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따라 아암 실린더(123) 및 버킷 실린더(124)로의 압유의 흐름을 제어한다. 또한, 유압 펌프(134)의 펌프 용량은 레귤레이터(도시 생략)에 의해 변경된다. 레귤레이터는 펌프 토출압에 따라 펌프 용량을 변경하고, 예를 들면 작업 토크가 일정하게 되는 듯한 정(定) 토크 제어를 행한다. 또한, 유압 펌프(134)에 기어 펌프 등의 고정 용량형 펌프를 이용할 수도 있다.The hydraulic pump 134 is of a variable displacement type and is driven by the engine 131 to discharge the pressurized oil. The discharge oil from the hydraulic pump 134 is supplied to the working actuator such as the arm cylinder 123 and the bucket cylinder 124 by controlling the direction and the flow rate via the control valve 135, and these working actuators are driven. The control valve 135 is operated by the arm operating lever 11 and the bucket operating lever 12 (described later) and is operated by the arm cylinder 11 and the bucket operating lever 12 in accordance with operation signals from the arm operating lever 11 and the bucket operating lever 12, 123 and the bucket cylinder 124. The bucket cylinder 124, Further, the pump capacity of the hydraulic pump 134 is changed by a regulator (not shown). The regulator changes the pump capacity according to the pump discharge pressure and performs constant torque control such that the working torque becomes constant, for example. Further, a fixed capacity type pump such as a gear pump may be used for the hydraulic pump 134. [

컨트롤러(136)는, CPU, ROM, RAM, 그 밖의 주변 회로 등을 가지는 연산 처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컨트롤러(136)에는, 액셀 페달(13)의 조작량을 검출하는 액셀 조작량 검출기(143), 트랜스미션(133)의 출력축(또는 프로펠러 샤프트(141))의 회전 속도를 차속으로서 검출하는 차속 검출기(144), 토크 컨버터(132)의 입력축의 회전 속도(Ni)를 검출하는 회전 속도 검출기(145), 토크 컨버터(132)의 출력축의 회전 속도(Nt)를 검출하는 회전 속도 검출기(146), 휠 로더(100)의 전진(F)·후진(R)·뉴트럴(N)을 전환하는 전후진 전환 스위치(14), 1속-4속의 사이에서 속도단의 상한을 지령하는 속도단 스위치(15), 변속단의 저속측으로의 전환을 지령하는 킥다운 스위치(16, 17), 작업성을 중시한 파워 모드(이하 「P모드」라고 한다) 또는 연비를 중시한 이코노미 모드(이하 「E모드」라고 한다) 중 어느 한쪽의 주행 모드를 선택하는 메인의 모드 전환 스위치(18)(이하 「메인 스위치(18)」라고 한다) 및 동일한 P모드 또는 E모드 중 어느 한쪽의 주행 모드를 선택하는 서브의 모드 전환 스위치(19)(이하 「서브 스위치(19)」라고 한다)로부터의 신호가 각각 입력된다.The controller 136 includes an arithmetic processing unit having a CPU, a ROM, a RAM, and other peripheral circuits. The controller 136 is provided with an accelerator operation amount detector 143 for detecting the operation amount of the accelerator pedal 13 and a vehicle speed detector 144 for detec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utput shaft of the transmission 133 (or the propeller shaft 141) A rotation speed detector 145 for detecting the rotation speed Ni of the input shaft of the torque converter 132, a rotation speed detector 146 for detecting the rotation speed Nt of the output shaft of the torque converter 132, A forward / reverse switching switch 14 for switching forward (F), reverse (R), and neutral (N) of the speed range switch 100, speed range switch 15 for commanding the upper limit of the speed range between the first speed and fourth speed, Kick down switches 16 and 17 for instructing switching to the low speed side of the vehicle, a power mode for emphasizing workabil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 mode ") or an economy mode A main mode switch 18 (hereinafter referred to as " main switch 18 ") for selecting either one of the traveling modes And a mode changeover switch 19 (hereinafter referred to as " sub-switch 19 ") for selecting a running mode of the same P mode or E mode, respectively.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킥다운 스위치(16, 17), 서브 스위치(19)는 모두 누름 버튼형의 스위치이다. 이 때, 킥다운 스위치(16, 17)나 서브 스위치(19)는, 이들을 걸쳐 조작자의 손가락이나 손바닥이 덮였을 때 약간 압하된 경우에 조작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조작자가 의도하지 않은 조작을 회피하기 위해), 일정한 유격을 확보하여 소요 스트로크만큼 압하하지 않으면 조작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kick-down switches 16 and 17 and the sub-switch 19 are all push-button switches. At this time, the kick-down switches 16, 17 and the sub-switch 19 are operated so that the operation signal is not output when the finger or palm of the operator is slightly pressed down , The operation signal is not output unless the predetermined clearance is secured and the required stroke is not reduced.

토크 컨버터(132)는 입력 토크에 비해 출력 토크를 증대시키는 기능, 즉 토크비를 1 이상으로 하는 기능을 가진다. 토크비는, 토크 컨버터(132)의 입력축과 출력축의 회전 속도의 비인 토크 컨버터 속도비(e)(출력 회전 속도(Nt)/입력 회전 속도(Ni))의 증가에 따라 작아진다. 예를 들면 엔진 회전 속도가 일정 상태로 주행 중에 주행 부하가 커지면, 토크 컨버터(132)의 출력 회전 속도(Nt) 즉 차속이 감소하여, 토크 컨버터 속도비(e)가 작아진다. 이 때, 토크비는 증가하기 때문에,보다 큰 주행 구동력(견인력)으로 차량 주행이 가능해진다. 즉 차속이 느리면 주행 구동력은 커지고(저속 고토크), 차속이 빠르면 주행 구동력은 작아진다(고속 저토크).The torque converter 132 has a function of increasing the output torque in comparison with the input torque, that is, a function of making the torque ratio 1 or more. The torque ratio becomes smaller as the torque converter speed ratio e (output rotation speed Nt / input rotation speed Ni), which is the ratio of the rotation speeds of the input shaft and the output shaft of the torque converter 132, increases. For example, when the running load increases during running while the engine rotational speed is constant, the output rotational speed Nt of the torque converter 132, that is, the vehicle speed decreases, and the torque converter speed ratio e becomes small. At this time, since the torque ratio increases, the vehicle can be driven with a larger driving force (traction force). That is, if the vehicle speed is slow, the driving force becomes large (low speed and high torque), and if the vehicle speed is high, the driving force becomes small (high speed low torque).

트랜스미션(133)은, 1속-4속의 각 속도단에 대응한 클러치 및 솔레노이드 밸브를 가지는 자동변속기이다. 이들 솔레노이드 밸브는, 컨트롤러(136)로부터 트랜스미션 제어부(138)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대응하는 클러치에 압유를 작용시켜 클러치를 전환한다. 컨트롤러(136)에는, 미리 시프트업의 기준이 되는 토크 컨버터 속도비(e1)와, 시프트 다운의 기준이 되는 토크 컨버터 속도비(e2)가 기억되어 있다. 자동 변속 모드에 있어서, 컨트롤러(136)는, 회전 속도검출기(145, 146)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토크 컨버터 속도비(e)를 산출하고, 산출한 속도비(e)가 기준 속도비(e1)보다 커지면 시프트업 신호를, 기준 속도비(e2)보다 작아지면 시프트 다운 신호를, 각각 트랜스미션 제어부(138)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트랜스미션(133)의 속도단이 토크 컨버터 속도비(e)에 따라 1속-4속의 사이에서 자동적으로 변경된다.The transmission 133 is an automatic transmission having a clutch and a solenoid valve corresponding to each speed stage of the first speed-fourth speed. These solenoid valves are driven by control signals output from the controller 136 to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38, and apply pressure to the corresponding clutches to switch the clutches. The controller 136 stores in advance a torque converter speed ratio e1 as a reference for shifting up and a torque converter speed ratio e2 as a reference for a shift down. In the automatic shift mode, the controller 136 calculates the torque converter speed ratio e by a signal from the rotational speed detectors 145 and 146, And outputs a shift-down signal to the transmission controller 138 when the speed ratio becomes smaller than the reference speed ratio e2. Thereby, the speed end of the transmission 133 is automatically changed between the first speed and the fourth speed according to the torque converter speed ratio e.

이 때, 속도단은, 속도단 스위치(15)에 의해 선택된 속도단을 상한으로 하여 자동 변속된다. 예를 들면, 속도단 스위치(15)에 의해 2속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 속도단은 속도비(e)에 따라 1속 또는 2속이 되고, 1속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 속도단은 1속에 고정된다. 또한, 특별히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이러한 자동 변속 모드에서 수동 변속 모드로 전환되는 기능을 설치하고, 수동 변속 모드에 있어서는 속도단 스위치(15) 또는 별도 설치한 스위치의 수동 조작에 의해 임의의 속도단으로 변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생각된다.At this time, the speed stage is automatically shifted with the speed stage selected by the speed stage switch 15 as the upper limit. For example, when the second speed is selected by the speed step switch 15, the speed end is set to one speed or two speeds according to the speed ratio e, and when the first speed is selected, the speed level is fixed to one speed .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function of switching from the automatic shift mode to the manual shift mode is provided. In the manual shift mode, the speed stage switch 15 or a switch It is also conceivable to allow a shift.

또한, 킥다운 스위치(16, 17)는 속도단을 강제적으로 시프트 다운시키기 위한 스위치이며, 컨트롤러(136)는, 킥다운 스위치(16 또는 17) 중 어느 한쪽이 1회 조작될 때마다 트랜스미션 제어부(138)에 시프트 다운 신호를 출력하고, 그 때의 속도비(e)에 따르지 않고 속도단을 강제적으로 1단씩 시프트 다운시킨다. 자동 변속 모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차속이 저속도일 때에 킥다운 스위치(16 또는 17)를 조작함으로써, 속도단을 강제적으로 시프트 다운 할 수 있다.The kick-down switches 16 and 17 are switches for forcibly down-shifting the speed stage. The controller 136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not shown) whenever one of the kick-down switches 16 and 17 is operated once 138, and forcibly downshifts the speed stage by one stage, regardless of the speed ratio e at that time. In the automatic shift mode, the speed stage can be forcibly shifted down by operating the kick down switch 16 or 17 when, for example, the vehicle speed is low.

이상에서는, 토크 컨버터 속도비(e)가 소정치(e1 또는 e2)를 넘으면 변속하도록 하였으나, 차속이 소정치에 도달한 경우에 변속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예를 들면 차속 검출기(144)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트랜스미션 제어부(138)에 시프트업 신호 또는 시프트 다운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shift is made when the torque converter speed ratio e exceeds the predetermined value (e1 or e2), but the shift may be made when the vehicle speed reaches the predetermined value.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shift-up signal or the shift-down signal may be outputted to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38 in accordance with a signal from the vehicle speed detector 144. [

또한, 컨트롤러(136)는, 액셀 페달(13)의 조작량에 따른 목표 엔진 속도로 엔진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즉 액셀 페달(13)의 밟음량이 커지면 목표 엔진 속도가 커지며, 컨트롤러(136)는 이 목표 엔진 속도에 대응한 제어 신호를 엔진 제어부(137)에 출력하여, 엔진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Further, the controller 136 controls the engine rotation speed to the target engine spe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amount of the accelerator pedal 13. The target engine speed becomes larger when the amount of depression of the accelerator pedal 13 is increased and the controller 136 output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arget engine speed to the engine control unit 137 to control the engine rotation speed.

도 3은 액셀 페달(13)을 최대로 세게 밟았을 때의 엔진 회전 속도와 토크의 관계를 나타낸 주행성능선 도면(토크선 도면)이다.3 is a running ridge diagram (torque line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gine rotational speed and the torque when the accelerator pedal 13 is stepped on to the maximum degree.

도 3 중, 특성 Ap, Ae는 각각 주행 모드를 P모드, E모드로 하였을 때의 토크 선 도면이다. P모드에서는 엔진 최고 회전 속도가 제한되지 않는 것에 대해, E모드에서는 P모드에 비해 엔진 최고 회전 속도가 저속측으로 제한된다.3, the characteristics Ap and Ae are torque line diagrams when the running mode is P mode and E mode, respectively. In the P mode, the engine maximum rotation speed is not limited, whereas in the E mode, the engine maximum rotation speed is limited to the low speed side as compared with the P mode.

특성 B0-B2는, 엔진(131)에 의해 트랜스미션(133)이 구동될 때의 입력 토크의 일례이며, 엔진 회전 속도가 상승함에 따라 입력 토크는 증대하고 있다. 이 입력 토크는 유압 펌프(134)의 입력 토크를 포함하며, 토크 컨버터 속도비(e)와 유압 펌프(134)의 흡수 토크에 따라, 입력 토크는 특성 B0-B2와 같이 변화된다. 구체적으로는, 토크 컨버터 속도비(e)가 작아지면 입력 토크는 커지며(특성 B0), 토크 컨버터 속도비(e)가 커지면 입력 토크는 작아진다(특성 B2).The characteristics B0 to B2 are an example of the input torque when the transmission 133 is driven by the engine 131, and the input torque increases as the engine rotation speed increases. This input torque includes the input torque of the hydraulic pump 134. Depending on the torque converter speed ratio e and the absorption torque of the hydraulic pump 134, the input torque is changed as the characteristics B0-B2. Specifically, when the torque converter speed ratio e becomes smaller, the input torque becomes larger (characteristic B0), and when the torque converter speed ratio e becomes larger, the input torque becomes smaller (characteristic B2).

특성 Ap, Ae와 특성 B0-B2의 교점은 매칭점이며, 엔진 회전 속도는 이 매칭 점의 값이 된다. 이 때문에 소정의 입력 토크에 대한 엔진 회전 속도는, E모드보다 P모드의 쪽이 높아진다. 엔진 회전 속도가 매칭점에 있을 때, 주행 구동력은 이 엔진 회전 속도(N)의 2승에 비례한다. 따라서, P모드에서는 E모드보다 주행 구동력이 커지며, 엔진 회전 속도가 높은 분만큼 각 속도단에서의 최고 차속도 빨라진다.The intersection of the characteristics Ap and Ae and the characteristic B0-B2 is a matching point, and the engine rotation speed is the value of the matching point. Therefore, the engine rotation speed for a predetermined input torque becomes higher in the P mode than in the E mode. When the engine rotational speed is at the matching point, the running driving force is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is engine rotational speed N. [ Therefore, in the P mode, the traveling driving force becomes larger than the E mode, and the maximum vehicle speed at each speed stage is increased by the engine speed.

도 4는 각 속도단에서의 차속과 주행 구동력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중, 실선은 P모드, 점선은 E모드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4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hicle speed at each speed stage and the driving driving force. In the figure, the solid line indicates the P mode and the dotted line indicates the characteristic of the E mode.

도 4에 있어서 동일 속도단으로 비교하면, 차속이 느리면 주행 구동력은 커지고(저속 고토크), 차속이 빠르면 주행 구동력은 작아진다(고속 저토크). 또한, 속도단이 작을수록, 동일 차속에 있어서 큰 주행 구동력을 얻을 수 있다. 즉, E모드보다 P모드의 쪽이 최대 주행 구동력은 크며, 최고 차속도 빠르다. 예를 들면 2속도단에 있어서의 P모드의 최대 주행 구동력(F2)은 E모드의 최대 주행 구동력(F2')보다 크고, P모드의 최고 차속(V2hi)은 E모드의 최고 차속(V2'hi)보다 빠르다.4, when the vehicle speed is low, the traveling driving force becomes large (low speed and high torque), and when the vehicle speed is high, the traveling driving force becomes small (high speed low torque). Further, as the speed step is smaller, a larger driving driving force can be obtained in the same vehicle speed. That is, the maximum driving force is larger in the P mode than in the E mode, and the maximum vehicle speed is faster. For example, the maximum driving force F2 of the P mode at the second speed stage is greater than the maximum driving force F2 'of the E mode, and the maximum vehicle speed V2hi of the P mode is greater than the maximum vehicle speed V2'hi ).

도 5는, 운전실(116) 내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the cab 116. Fig.

운전석(21)의 우측에는, 사이드 콘솔 패널(22)과 작업기 조작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석(21)의 전방의 프론트 패널(23)에는 스티어링 핸들(27), 상기 전후진 전환 스위치(14) 및 모니터 패널(24)이 설치되어 있고, 모니터 패널(24)에는 E모드와 P모드 중 어느 한쪽이 선택되어 있는지를 표시하는 표시부(25)가 구비되어 있다. 전후진 전환 스위치(14)의 선단부에는, 상기 속도단 스위치(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석(21)의 전방에서 프론트 패널(23)의 하방에는, 액셀 페달(13)과 좌우의 브레이크 페달(26)이 설치되어 있다.On the right side of the driver's seat 21, a side console panel 22 and a working machine operating device 20 are provided. The front panel 23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21 is provided with a steering handle 27, the forward / rearward switching switch 14 and a monitor panel 24. The monitor panel 24 is provided with an E mode and a P And a display unit 25 for displaying which one of the modes is selected. At the front end of the forward / reverse switching switch 14, the above-mentioned speed stage switch 15 is provided. An accelerator pedal 13 and left and right brake pedals 26 are provided below the front panel 23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21.

상기의 사이드 콘솔 패널(22)에는, 전술한 모드 전환용의 메인 스위치(18)(도 6 참조)가 배치되어 있다. 메인 스위치(18)는, P모드를 지시하는 P위치 또는 E모드를 지시하는 E위치 중 어느 한쪽으로 전환 조작 가능한 얼터네이터(alternate)식 스위치이다. 작업기 조작장치(20)는, 사이드 콘솔 패널(22)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고, 버킷 실린더(124)의 동작 지시용의 상기 버킷 조작 레버(12)와, 아암 실린더(123)의 동작 지시용의 상기 아암 조작 레버(11)와, 엔진 최대 회전 속도의 상한치가 다른 E모드/P모드를 전환하는 상기 서브 스위치(19)와, 속도단을 강제적으로 시프트 다운 시키는 2개의 상기 킥다운 스위치(16, 17)를 포함하고 있다.In the side console panel 22, the above-mentioned main switch 18 (see FIG. 6) for mode switching is disposed. The main switch 18 is an alternate type switch which can be switched to either the P position for indicating the P mode or the E position for indicating the E mode. The working machine operating device 2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ide console panel 22 and includes the bucket operating lever 12 for instructing the operation of the bucket cylinder 124 and the bucket operating lever 12 for indicating the operation of the arm cylinder 123 Switch 19 for switching the E mode / P mode in which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engine maximum rotation speed is different, and two kick down switches 16 and 17 for forcibly downshifting the speed stage ).

도 7은 작업기 조작장치(20)의 후방에서 본 외관을 나타낸 개략도이다.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machine operation device 20 viewed from the rear side.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암 조작 레버(11)는, 운전석(21)의 우측에 설치한 버킷 조작 레버(12)의 우측에 병설되어 있다. 아암 조작 레버(11)의 그립(11a)의 상면(정상부) 및 좌측면(운전석(21) 측의 측면)에는, 전술한 킥다운 스위치(16, 17)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버킷 조작 레버(12)의 그립(12a)의 좌측면(운전석(21) 측의 측면)에는, 모드 전환용의 상기 서브 스위치(1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서브 스위치(19)는, 버킷 조작 레버(12)의 그립(12a)의 좌측면 대신 또는 좌측면에 부가하여, 이 그립(12a)의 상면에 설치해도 된다(즉, 그립(12a)의 상면(정상부)에만 설치해도 되고, 킥다운 스위치(16, 17)와 같이 그립(12a)의 상면 및 좌측면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아암 조작 레버(11)에는, 아암 올림 동작을 지시하는 포지션으로 그 자세를 유지하는 디텐트 기구(1lb)(도 2에 모식적으로 도시)가 구비되어 있다.7, the arm operating lever 11 is juxta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bucket operating lever 12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driver's seat 21. As shown in Fig. The above kick down switches 16 and 17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top portion) and the left surface (the side surface on the driver's seat 21 side) of the grip 11a of the arm operating lever 11. On the other hand, the sub switch 19 for switching the mode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the side of the driver's seat 21 side) of the grip 12a of the bucket operating lever 12. The sub switch 19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p 12a in addition to the left side surface or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grip 12a of the bucket operation lever 12 Or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eft surface of the grip 12a like the kick-down switches 16 and 17). Further, the arm operating lever 11 is provided with a detent mechanism 11b (schematically shown in Fig. 2) for maintaining the posture at a position for instructing the arm elevating operation.

전술한 바와 같이 킥다운 스위치(16, 17), 서브 스위치(19)는 누름 버튼형의 스위치이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두 얼터네이터식의 누름 버튼이다. 따라서, 1속 이외의 속도단으로 주행하고 있는 경우(좀 더 저속의 속도단이 존재하는 경우)는, 킥다운 스위치(16, 17) 중 어느 한쪽이 1회 조작될 때마다, 그 조작 신호에 따라 컨트롤러(136)로부터 트랜스미션 제어부(138)에 시프트 다운 신호가 출력되며, 1단씩 저속으로 시프트 다운 해가며, 1단에서 킥다운 스위치(16 또는 17)가 조작되면 속도단 스위치(15)에서 선택한 속도단으로 되돌아간다. 단, 속도단 스위치(15)에서 1속이 선택되어 있을 때는, 킥다운 스위치(16, 17)의 조작 유무에 관계없이 속도단은 1속에서 변속하지 않는다. 또한, 서브 스위치(19)에 대해서는, 메인 스위치(18)에서 E모드가 선택되어 있을 때에만 그 조작이 컨트롤러(136)에 받아들여진다. 즉, 메인 스위치(18)에서 P모드가 선택되어 있을 때는 주행 모드가 P모드에 고정되며, 서브 스위치(19)를 조작하더라도 컨트롤러(136)로부터 엔진 제어부(137)에 주행 모드의 전환 신호가 출력되지 않아, 주행 모드는 E모드로는 전환되지 않는다. 이 때, 엔진(131)의 최고 회전 속도는 제한되지 않으며, 그 능력의 범위에서 주행 구동력을 크게 할 수 있고, 또한 최고 차속을 빠르게 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스위치(18)에서 E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주행 중에 서브 스위치(19)가 압하되면 컨트롤러(136)로부터 엔진 제어부(137)에 모드 전환 신호가 출력되어 주행 모드가 P모드로 전환되며, 한번 더 서브 스위치(19)가 압하되면 E모드로 되돌아간다. E모드에서는, 엔진(131)의 최고 회전 속도가 저속측에 제한되며, 본래의 최대 주행 구동력 및 최고 차속이 억제되어 연비가 향상한다. 그 후에도, 메인 스위치(18)가 E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서브 스위치(19)가 1회 조작될 때마다, 주행 모드가 P모드, E모드, P모드…로 반복하여 전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kick-down switches 16 and 17 and the sub-switch 19 are push-button type switches,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y are all alternator-type push buttons. Therefore, when one of the kick down switches 16 and 17 is operated once, that is,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at a speed other than the first speed (when there is a lower speed step) The shift-down signal is outputted from the controller 136 to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38 and is shifted down by one step at a low speed. When the kick down switch 16 or 17 is operated at the first step, Go back to speed. However, when the first speed is selected in the speed stage switch 15, the speed stage does not shift in one speed regardless of whether the kick down switches 16 and 17 are operated or not. For the sub-switch 19, the operation is received by the controller 136 only when the E-mode is selected in the main switch 18. That is, when the P mode is selected in the main switch 18, the running mode is fixed to the P mode, and even if the sub switch 19 is operated, the switching signal of the running mode is outputted from the controller 136 to the engine control section 137 And the traveling mode is not switched to the E mode. At this time, the maximum rotation speed of the engine 131 is not limited, the driving driving force can be increased within the range of the capability, and the maximum vehicle speed can be increas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E mode is selected in the main switch 18, the mode switch signal is outputted from the controller 136 to the engine control unit 137 when the sub switch 19 is pressed while the vehicle is traveling, When the sub-switch 19 is pressed again, the mode returns to the E mode. In the E mode, the maximum rotational speed of the engine 131 is limited to the low speed side, and the original maximum driving driving force and the maximum vehicle speed are suppressed, thereby improving the fuel economy. After that, every time the sub switch 19 is operated once with the main switch 18 at the E position, the driving mode is P mode, E mode, P mode ... Lt; / RTI >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휠 로더에 의한 전형적인 굴삭 동작의 일례를 설명한다.Next, an example of a typical excavating operation by the wheel loader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8은 휠 로더(100)로 토사 또는 자갈 등의 피굴삭물을 덤프 등에 실을 때의 피굴삭물의 퍼올림 작업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ork load such as sand or gravel is loaded on a dump or the like by the wheel loader 100. FIG.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굴삭물을 퍼올릴 때, 전형적으로는, 먼저 (A)피굴삭물의 흙더미(P)(이하 단순히 「흙더미(P)」라고 한다)를 향해 예를 들면 2속도단 정도로 전진하여, 흙더미(P)에 접근한다. 그 때, 메인 스위치(18)는 E위치로 해 놓고, 주행 모드는 E모드를 선택해 놓는다. 계속하여 (B)아암 조작 레버(11) 및 버킷 조작 레버(12)를 조작하고 아암(121)을 내려 버킷(122)의 개구를 전방을 향하게 함과 함께, 흙더미(P)에 돌입하기 직전에 킥다운 스위치(16 또는 17)를 압하하여 2속에서 1속으로 킥다운한다. 1속으로 킥다운하는 것은 피굴삭물을 버킷(122)에 실음에 있어서 큰 주행 구동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As shown in Fig. 8, when the workpiece is pumped up, typically, (A) the pumice mass P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 pumice P & And approaches the dirt (P). At this time, the main switch 18 is set to the E position, and the traveling mode is set to the E mode. (B) The arm operating lever 11 and the bucket operating lever 12 are operated to lower the arm 121 so that the opening of the bucket 122 faces forward, and immediately before entering the soil puddle The kick down switch 16 or 17 is pressed to kick down from the second speed to the first speed. The reason for kicking down to the first speed is that a large driving driving force is required in order to suck the digger into the bucket 122. [

흙더미(P)에 돌입하면, 다음으로 (C)아암 조작 레버(11)의 디텐트 기구(1lb)를 사용하여 아암 올림 동작을 유지한다. 이것으로 아암(121)은 조작자가 아암 조작 레버(11)로부터 손을 떼더라도 아암 올림 동작이 계속된다. 또한, 아암 올림 동작 중, 버킷 조작 레버(12)를 동작하여 버킷(122)을 클라우드 동작시킴으로써 피굴삭물을 버킷(122) 내로 퍼올린다. 이 피굴삭물을 퍼올릴 때는 액셀 페달(13)의 밟음 가속으로 주행 구동력(견인력)을 조정한다. 이 때, 피굴삭물의 퍼올림 작업으로 피굴삭물의 성질과 상태나 노면의 상태에 따라 필요 이상으로 주행 구동력이 오르지 않는 편이 좋은 경우와 보다 큰 주행 구동력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조작자는 상황 판단으로 E모드와 P모드를 적시에 전환하여, 슬립에 의해 노면이 푹 패이는 것을 회피하면서 버킷(122)에 피굴삭물을 퍼올린다. 이렇게 하여 버킷(122)에 피굴삭물을 실으면, 조작자는 (D)전후진 전환 스위치(14)를 조작하여 주행 방향을 후방으로 전환한 뒤 후진하여 흙더미(P)로부터 멀어지며, 다시 주행 방향을 전방으로 전환하여 덤프 트럭(도시 생략)의 근처로 이동하고, 아암 조작 레버(11) 및 버킷 조작 레버(12)를 조작하여 덤프 트럭의 짐받이 등에 피굴삭물을 투입한다.The arm elevating operation is maintained by using the detent mechanism 11b of the arm operating lever 11 (C). As a result, the arm 121 continues to raise the arm even if the operator releases his / her hand from the arm operating lever 11. In addition, during the arm lifting operation, the bucket operation lever 12 is operated to cause the bucket 122 to perform a cloud operation to thereby lift the work piece into the bucket 122. [ When pulling up the workpiece, the driving force (pulling force) is adjusted by accelerating the accelerator pedal (13). At this time, since there is a case where the driving driving force does not rise more than necessary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work and the state of the road surface due to the scooping of the workpiece, and there is a case where a larger driving driving force is required, The E mode and the P mode are timely switched so that the excavated material is pushed up to the bucket 122 while avoiding the slip of the road surface. When the operator pushes the bucket 122 in the bucket 122, the operator manipulates the forward / reverse switch 14 to switch the traveling direction backward and then backward to move away from the soil pile P, (Not shown), and the arm operating lever 11 and the bucket operating lever 12 are operated to feed the digging truck into the load carrier of the dump truck.

또한, 주행 모드로서 E모드와 P모드 중 어느 한쪽이 선택되어 있는지는, 메인 스위치(18) 및 서브 스위치(19)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기초로 컨트롤러(136)로부터 출력되는 표시 신호에 의해, 운전석(21)의 전방의 표시부(25)에 표시된다.Whether either the E mode or the P mode is selected as the traveling mode can be determined by the display signal outputted from the controller 136 based on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main switch 18 and the sub switch 19, 21 on the display section 25 in front of the display section.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llowing operational effects can be obtained.

(1)조작성의 향상(1) Improvement of operability

상기한 바와 같이 큰 주행 구동력을 일시적으로 필요로 하는 경우, 서브 스위치(19)를 가압 조작하면 주행 모드가 P모드로 전환되므로, 굴삭 작업 중에 작업기 조작장치(20)로부터 손을 떼어 사이드 콘솔 패널(22)의 메인 스위치(18)를 P모드로 전환 조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양호한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스위치(19)의 가압 조작에 의해 속도단에 관계없이 바로 주행 모드를 P모드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2속으로 등판(登板) 주행을 하고 있는 경우에 일시적으로 주행 구동력을 증대시키는 경우에도 유용하다. 또한, 서브 스위치(19)의 조작에 의해 주행 모드가 P모드로 전환된 후, 한번 더 서브 스위치(19)를 조작하면 주행 모드를 E모드로 되돌릴 수 있다. 이 때문에 메인 스위치(18)를 E모드로 조작한 채의 상태에서, 조작자의 희망으로 주행 모드를 임의로 전환할 수 있으며, 모드 전환의 조작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행하여 유연하게 주행 구동력을 컨트롤할 수 있다.When the sub-switch 19 is depressed, the traveling mode is switched to the P mode, so that the hands are released from the working machine operating device 20 during the excavation work, It is not necessary to switch the main switch 18 in the P mode to the P mode, so that good workability can be ensured. In addition, since the running mode can be immediately switched to the P mode regardless of the speed stage by the pushing operation of the sub-switch 19,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vehicle is running on the back plate in two speeds, It is also useful to increase. When the sub-switch 19 is operated again after the traveling mode is switched to the P mode by the operation of the sub-switch 19, the traveling mode can be returned to the E mode. Therefore, in the state in which the main switch 18 is operated in the E mode, the traveling mode can be arbitrarily switched as desired by the operator, the mode switch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easily, and the traveling driving force can be controlled flexibly have.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아암 조작 레버(11)에 대해서는, 그립(11a)을 확실히 쥘지 가볍게 손을 댈지, 또는 위에서 쥘지 가로로 쥘지는, 상황이나 조작자의 희망에 따라 가지각색이 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버킷 조작 레버(12)를 조작자에게 가까운 좌측에, 아암 조작 레버(11)를 조작자에게서 먼 우측에 배치함과 함께, 속도단을 강제적으로 시프트 다운하는 킥다운 스위치(16, 17)를 아암 조작 레버(11)의 그립(11a)의 상면과 좌측면(즉 운전석(21)에 가까운 측의 측면)의 2군데에 설치하고, 어느 쪽의 킥다운 스위치(16, 17)이더라도 킥다운 조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때문에, 그립(11a)을 위에서 쥘 경우에는 그립(11a)의 좌측에 오는 오른손 엄지 손가락으로 그립(11a)의 좌측면에 배치한 킥다운 스위치(17)를 조작하기 쉬우며, 그립(11a)을 가로(우측)로 쥔 경우에는, 그립(11a)의 상면에 설치한 킥다운 스위치(16)를 오른손 엄지 손가락으로 조작하기 쉽다. 이와 같이 하여 아암 조작 레버(11)의 그립(11a)의 상면 및 좌측면에 2개의 킥다운 스위치(16, 17)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그립(11a)의 쥐는 법에 따르지 않아 시프트 다운 조작이 용이하게 행해진다.Here, generally, the arm operating lever 11 tends to vary in color depending on the situation or the operator's desire, such as grasping the grip 11a firmly or grasping the grip 11a lightly or grasping it from above.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ucket operating lever 12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closer to the operator, the arm operating lever 11 on the far side from the operator, and the kick down switches 16 and 17 for forcibly down- 17 are provided at two places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eft side surface (i.e., the side near the driver's seat 21) of the grip 11a of the arm operating lever 11, and neither of the kick down switches 16, Kick-down operation was made possible. Therefore, when the grip 11a is gripped from above, the kick-down switch 17 disposed on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grip 11a is easily operated by the thumb of the right hand coming to the left of the grip 11a, It is easy to manipulate the kick-down switch 16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p 11a with the right-hand thumb. By providing two kick down switches 16 and 17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eft surface of the grip 11a of the arm operating lever 11 in this manner, the shift down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Is done.

또한, 버킷(122)으로 피굴삭물을 퍼올릴 때에는, 버킷 클라우드, 아암 상승, 기체 전진의 동작을 병행하여 행할 필요가 있으나, 아암 상승 조작에 아암 조작 레버(11)의 디텐트 기구(1lb)를 이용할 경우에는, 조작자는 아암 조작 레버(11)로부터 손을 떼어 그립(12a)을 위에서 잡고 버킷 조작 레버(12)를 조작하는 경향이 있다. 이 버킷 조작 레버(12)의 조작이 한창일 때에는 상황에 따라 적시에 큰 주행 구동력이 요구될 수 있으나, 그와 같은 경우이더라도, 조작 중의 버킷 조작 레버(12)에 모드 전환용의 서브 스위치(19)가 있기 때문에, 버킷 조작 레버(12)를 쥔 채 서브 스위치(19)를 조작할 수 있으며, 주행 모드를 전환하는데도 작업기 조작장치(20)로부터 손을 떼거나 조작 레버를 바꿔 쥐거나 할 필요가 없다. 게다가, 그립(12a)의 좌측면에 서브 스위치(19)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그립(12a) 위에 둔 오른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주행 모드의 전환 조작을 하기 쉽다.When the workpiece is lifted up by the bucket 122,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operation of bucket cloud, arm elevation and gas advance simultaneously. However, in the arm elevation operation, the detent mechanism 11b of the arm operation lever 11, The operator tends to pull the grip 12a away from the arm operating lever 11 to operate the bucket operating lever 12. [ When the operation of the bucket operating lever 12 is in full operation, a large driving force may be required in a timely manner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Even in such a case, the mode switching sub- The sub switch 19 can be operated while holding the bucket operating lever 12 and it is not necessary to release the operating lever 20 or to change the operating lever to switch the traveling mode . In addition, since the sub switch 19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grip 12a, it is easy to switch the traveling mode with the thumb of the right hand placed on the grip 12a.

이와 같이, 피굴삭물의 굴삭 작업의 실정을 고려하여 킥다운 스위치(16, 17)나 주행 모드 전환용의 서브 스위치(19)를 아암 조작 레버(11) 및 버킷 조작 레버(12)로 나누면서, 그들의 위치나 수를 적정하게 함으로써, 조작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킥다운 스위치(16, 17)와 주행 모드 전환용의 서브 스위치(19)를 아암 조작 레버(11)와 버킷 조작 레버(12)로 나눔으로써, 킥다운 조작과 주행 모드의 전환 조작을 실수하기 어렵게 할 수 있어, 오조작을 억제할 수도 있다.The kick down switches 16 and 17 and the sub mode switch 19 for switching the traveling mode are divided into the arm operation lever 11 and the bucket operation lever 12 in consideration of the actual operation of the excavation work, By appropriately setting the position and number, the oper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By dividing the kick down switches 16 and 17 and the sub mode switch 19 for the traveling mode into the arm operation lever 11 and the bucket operation lever 12, An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erroneous operation.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보다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per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추가로, 이러한 굴삭 작업 이외의 주행시 등, 작업기 조작장치(20)를 조작하지 않는 경우에도, 예를 들면 등판 주행하는 듯한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주행 구동력을 올리고 싶은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에도, 모드 전환용의 서브 스위치(19)가 조작자에게 가까운 버킷 조작 레버(12)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 모드의 전환조작을 하기 쉽다. 이것도 양호한 조작성을 확보함에 있어 유용하다.In addition, even when the operating device 20 is not operated, for example, when driving other than the excavation work, there is a case where it is desired to temporarily increase the driving driving force in the case of running on the back plate. In this case, Since the sub-switch 19 is provided in the bucket operating lever 12 close to the operator, it is easy to switch the traveling mode. This is also useful in securing good operability.

(2)얼터네이트식 스위치의 효과(2) Effect of alternate switch

킥다운 스위치(16, 17)나 모드 전환용의 서브 스위치(19)를 얼터네이트식 스위치로 함으로써, 각 스위치(16, 17, 19)가 각각 단체로 속도단이나 주행 모드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므로, 킥다운 조작 및 주행 모드의 전환 조작의 각 수단의 설치 스페이스를 억제할 수 있으며, 아암 조작 레버(11)나 버킷 조작 레버(12)의 각 그립(11a, 12a)의 작은 설치 스페이스에 그들 스위치(16, 17, 19)를 알맞게 배치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그립(11a, 12a)에 스위치(16, 17, 19)를 배치할 수 있었던 것이 상기의 높은 조작성의 실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또한, 이들 스위치(16, 17, 19)가 얼터네이트식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각 속도단을 각각 직접 선택하기 때문에 복수의 킥다운 스위치를 설치하거나, E모드 및 P모드 선택용의 2개의 서브 스위치를 설치하거나 하는 경우에 비해, 1개의 스위치로 주행 모드나 속도단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조작도 간단하다.The kick-down switches 16 and 17 and the mode switching sub-switch 19 are alternate-type switches, so that each of the switches 16, 17 and 19 can arbitrarily select a speed stage or a traveling mod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installation space of each means of the kickdown operation and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traveling mode and to provide a small installation space of the grips 11a and 12a of the arm operation lever 11 and the bucket operation lever 12, 16, 17 and 19 can be appropriately arranged. The fact that the switches 16, 17, and 19 can be arranged in the grips 11a and 12a in this way contributes greatly to the realization of the above-described high operability. Since the switches 16, 17, and 19 are of the alternate type, for example, each of the speed stages is directly selected. Therefore, a plurality of kick down switches may be provided, or two sub-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witch is installed, the operation mode is simple because one mode can arbitrarily set the running mode or the speed stage.

(3)주행 모드의 판별성의 확보(3) Ensuring discrimination of driving mode

선택되어 있는 주행 모드가 모니터 패널(24)의 표시부(25)에 수시로 표시되므로, 서브 스위치(19)에 의해 빈번하게 주행 모드를 전환하더라도, 조작자는 적절하게 표시부(25)에서 주행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자는 적절하게 주행 모드를 확인하면서 조작을 행함으로써, 본인의 의도에 따른 주행 모드의 설정 조작을 하기 쉬우며, 예를 들면 주행 모드가 P모드로 되어 있는데, E모드가 선택되어 있다고 착각하여 액셀 페달(13)을 세게 밟았을 때 등으로, 조작자의 뜻에 반해 주행 구동력이 상승하여 노면을 파버리는 등의 오조작을 억제할 수 있다.The selected traveling mod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ection 25 of the monitor panel 24 at any time so that the operator can appropriately check the traveling mode on the display section 25 even if the traveling mode is frequently switched by the sub- have. This makes it easy for the operator to set the traveling mode according to his / her intention by performing the operation while confirming the traveling mode appropriately. For example, when the traveling mode is the P mode and the E mode is selected When the driver depresses the accelerator pedal 13 by mistake and the like, the erroneous operation such as rubbing the road surface due to the rise of the driving force against the operator's intention can be suppressed.

또한, 이상으로 예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주행 모드 전환용의 서브 스위치(19)를 버킷 조작 레버(12)의 그립(12a)의 좌측면에만 설치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 태양에 한정되지 않으며, 서브 스위치(19)를 그립(12a)의 상면에만 1개, 또는 상면 및 좌측면에 1개씩(2개)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버킷 조작 레버(12)의 그립(12a)을 가로로부터 쥔 경우를 상정하면, 모드 전환용의 서브 스위치(19)가 버킷 조작 레버(12)의 그립(12a)의 상부에 있으면 오른손 엄지 손가락으로 누르기 쉽다. 또한, 조작자에 의해 버킷 조작 레버(12)의 쥐는 법이 달라지면, 서브 스위치(19)가 버킷 조작 레버(12)의 그립(12a)의 상면 및 좌측면의 쌍방에 있으면 유용하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case where the sub-switch 19 for switching the traveling mode is provided only on the left side of the grip 12a of the bucket operating lever 12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And the sub switches 19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p 12a or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eft surface, respectively (two). Assuming that the grip 12a of the bucket operating lever 12 is gripped from the side, if the mode switching sub switch 19 is located above the grip 12a of the bucket operating lever 12, easy. It is also useful if the sub-switch 19 is located on both the upper and left sides of the grip 12a of the bucket operating lever 12, if the operator grasps the bucket operating lever 12. [

또한, 서브 스위치(19)에 얼터네이트식 스위치를 채용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서브 스위치(19)는 주행 모드의 일시적이면서 단시간의 전환용의 조작을 상정하고 있으므로, 동일한 누름 버튼형의 스위치더라도 모멘터리식 스위치로 하는 것도 생각된다. 모멘터리식 스위치를 채용한 경우, 메인 스위치(18)에서 E모드가 선택되어 있을 때에 서브 스위치(19)가 압하되면, 그 조작 신호에 따라 컨트롤러(136)로부터 엔진 제어부(137)에 모드 전환 신호가 출력되며, 서브 스위치(19)가 압하되어 있는 동안만 주행 모드가 P모드로 전환되고, 서브 스위치(19)의 압하가 정지되면 주행 모드가 E모드로 되돌아간다.Further, although the case where the sub-switch 19 is an alternate-type switch is exemplified, the sub-switch 19 is assumed to be a temporary and short-time switching operation of the traveling mode. Therefore, even if the same push- It is also conceivable to use a Lys switch. When the momentary switch is employed and the sub switch 19 is depressed when the E mode is selected in the main switch 18, the controller 136 sends a mode switching signal The traveling mode is switched to the P mode only while the sub switch 19 is being depressed and the traveling mode is returned to the E mode when the pressing down of the sub switch 19 is stopped.

나아가서는, 컨트롤러(136)로부터 엔진 제어부(137)로의 제어신호의 출력에 의해, P모드가 선택되어 있을 때는 엔진(131)의 최고 회전 속도를 제한하지 않고, E모드가 선택되어 있을 때는 엔진(131)의 최고 회전 속도를 저속측에 제한하도록 하였으나, P모드 시의 엔진 최고 회전 속도가 E모드 시의 그것보다 고속측으로 시프트하면 되므로, P모드 시에 엔진 최고 회전 속도를 무제한으로 할 필요는 없다. 또한, 주행 모드가 E모드 및 P모드의 2개인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엔진 최고 회전속도의 상한이 다른 3개 이상의 주행 모드를 준비해도 된다. 이 경우, 킥다운 스위치(16 또는 17)를 1회 조작할 때마다 속도단이 1단씩 바뀌도록, 서브 스위치(19)를 1회 조작할 때마다 주행 모드가 순서대로 전환되어 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when the P mode is selected by the output of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136 to the engine control section 137, the maximum rotation speed of the engine 131 is not limited. When the E mode is selected, 131 is limited to the low speed side. However, since the engine maximum rotation speed in the P mode must be shifted to the higher speed side than that in the E mode, it is not necessary to make the engine maximum rotation speed unlimited in the P mode . In addition, although the case where there are two traveling modes E mode and P mode is exemplified, three or more traveling modes in which the upper limit of the engine maximum rotational speed is different may be prepare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in order each time the sub-switch 19 is operated once so that the speed steps are changed by one step each time the kick-down switch 16 or 17 is operated once .

또한, 회전 속도 검출기(145, 146)에 의해 토크 컨버터 속도비(e)를 검출하도록 하였으나, 속도비 검출 수단의 구성은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엔진(131)의 회전을 토크 컨버터(132), 트랜스미션(133), 프로펠러 샤프트(141), 액슬(142)을 거쳐 전륜(113) 및 후륜(114)에 전달하도록 하였으나, 주행 구동력의 전달기구의 구성은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Further, although the torque converter speed ratio e is detected by the rotation speed detectors 145 and 146, the configuration of the speed ratio detection means may be any. The rotation of the engine 131 is transmitted to the front wheels 113 and the rear wheels 114 via the torque converter 132, the transmission 133, the propeller shaft 141 and the axle 142. However, The configuration may be any.

또한, 킥다운 스위치(16, 17)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드 전환 스위치인 서브 스위치(19)도 조작 레버의 그립의 상면 및 운전석(21) 측의 측면의 2군데에 설치할 수 있다. 킥다운 스위치(16, 17)에 의한 시프트 다운 조작과 동일하게, 서브 스위치(19)에 의한 변속 조작도 견인력에 관한 조작으로서 공통되어 있어, 서브 스위치(19)가 그립의 2군데에 설치되어 있으면 오퍼레이터나 상황에 의해 토사 등의 퍼올림 작업시의 조작성의 향상에 공헌할 수 있다.Further, not only the kick-down switches 16 and 17 but also the sub-switch 19, which is a mode changeover switch, can be provided at two positions,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grip of the operation lever and the side surface of the driver's seat 21 side. As in the shift-down operation by the kick-down switches 16 and 17, the shift operation by the sub-switch 19 is also common as an operation related to the pulling force. When the sub-switch 19 is provided at two points of the grip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operability at the time of scooping up the soil or the like by the operator or the situation.

나아가서는, 아암 조작 레버(11) 및 버킷 조작 레버(12)를 운전석(21)의 우측에 설치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운전석(21)의 좌측에 설치한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한, 버킷 조작 레버(12)를 아암 조작 레버(11)의 운전석(21) 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아암 조작 레버(12)를 운전석 측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Further, although the arm operating lever 11 and the bucket operating lever 12 are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driver's seat 21 as an example, they may be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driver's seat 21 as well.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bucket operating lever 12 is disposed on the driver's seat 21 side of the arm operating lever 11 but the arm operating lever 12 may be provided on the driver's seat side.

이 때, 킥다운 스위치(16, 17) 및 서브 스위치(19) 중 아암 조작 레버(11)의 그립(11a)의 측면 또는 버킷 조작 레버(12)의 그립(12a)의 측면에 배치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립을 위에서 쥐었을 때에 엄지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그립(11a, 12a)의 운전석(21) 측의 측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운전석(21)의 좌측에 아암 조작 레버(11) 및 버킷 조작 레버(12)를 설치한 경우에는, 킥다운 스위치(16, 17)는 아암 조작 레버(11)의 그립(11a)의 상면 및 우측면에 배치된다. 동일하게, 운전석(21)의 좌측에 배치한 버킷 조작 레버(12)의 그립(12a)의 측면에 서브 스위치(19)를 설치한 경우에는, 그 서브 스위치(19)는 그립(12a)의 운전석(21) 측의 측면, 즉 우측면에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kick-down switches 16 and 17 and the sub-switch 19 ar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grip 11a of the arm operating lever 11 or the side of the grip 12a of the bucket operating lever 12, The grips 11a and 12a ar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driver's seat 21 side because the grip is assumed to be operated with the thumb when the grip is gripped from above. Therefore, when the arm operating lever 11 and the bucket operating lever 12 are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driver's seat 21, the kick down switches 16 and 17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p 11a of the arm operating lever 11 And the right side surface. Similarly, when the sub-switch 19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grip 12a of the bucket operating lever 12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driver's seat 21, the sub- That is, on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21 side.

11: 아암 조작 레버 11a: 그립
1lb: 디텐트 기구 12: 버킷 조작 레버
12a: 그립 16, 17: 킥다운 스위치
19: 서브 스위치(모드 전환 스위치) 20: 작업기 조작장치
21: 운전석 25: 표시부(표시 수단)
100: 휠 로더 110: 차체
113: 전륜 114: 후륜
120: 작업기 121: 아암
122: 버킷 123: 아암 실린더
124: 버킷 실린더
11: arm operation lever 11a: grip
1 lb: detent mechanism 12: bucket operating lever
12a: grip 16, 17: kick down switch
19: Sub switch (mode changeover switch) 20: Machine operation device
21: driver's seat 25: display (display means)
100: Wheel loader 110: Body
113: front wheel 114: rear wheel
120: working machine 121: arm
122: bucket 123: arm cylinder
124: Bucket cylinder

Claims (6)

차륜을 가지는 차체와,
이 차체의 전부에 장착한 작업기와,
이 작업기의 동작을 지시하는 작업기 조작장치를 구비하고,
당해 작업기 조작장치가,
운전석의 측부에 설치한 상기 작업기의 동작 지시용의 조작 레버와,
상기 조작 레버의 그립의 상면 및 상기 운전석측의 측면에 설치한 견인력에 관한 조작을 하기 위한 2개의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로더.
A vehicle body having wheels,
A working machine mounted on the entire body of the vehicle,
And a work machine operating device for instructing the operation of the work machine,
The apparatus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 operating lever for instructing operation of the working machin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driver's seat,
And two switches for operating on an upper surface of the grip of the operation lever and a pulling forc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driver's seat 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는, 아암 및 버킷과 이들 아암 및 버킷을 구동하는 아암 실린더 및 버킷 실린더를 가지고 있고,
상기 작업기 조작장치가,
상기 조작 레버로서 상기 아암 실린더의 동작 지시용의 아암 조작 레버와,
이 아암 조작 레버의 상기 운전석측에 병설된, 상기 버킷 실린더의 동작 지시용의 버킷 조작 레버와,
상기 아암 조작 레버의 그립의 상면 및 상기 운전석측의 측면에 설치한 상기 2개의 스위치로서, 속도단을 강제적으로 시프트 다운시키는 2개의 킥다운 스위치와,
상기 버킷 조작 레버의 그립의 상기 운전석측의 측면에 설치한, 엔진 최대 회전 속도의 상한치가 다른 복수의 주행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로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orking machine has an arm and a bucket, and an arm cylinder and a bucket cylinder for driving the arms and the bucket,
Wherein said machine operation device comprises:
An arm operating lever for indicating an operation of the arm cylinder as the operating lever,
A bucket operating lever provided on the driver's seat side of the arm operating lever for indicating operation of the bucket cylinder,
Two kick down switches for forcibly downshifting the speed end, the two switche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p of the arm operating lever and on the side of the driver's seat side,
And a mode changeover switch provided on a side of the driver's seat side of the grip of the bucket operating lever for switching a plurality of running modes having different upper limit values of the engine maximum rotational spe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 스위치가, 상기 버킷 조작 레버의 그립의 상기 운전석측의 측면 대신에 또는 당해 운전석측의 측면에 부가하여, 당해 그립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로더.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ode changeover switch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p in addition to the driver's seat side surface or the driver's seat side surface of the grip of the bucket operation lever.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 스위치는 누름 버튼이며, 엔진 최대 회전 속도를 상한이 다른 복수의 주행 모드의 전환을 단체로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로더.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mode changeover switch is a push button and instructs the switching of a plurality of travel modes different in upper limit of the engine maximum rotation speed as a single unit.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 스위치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주행 모드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로더.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And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 running mode selected by the mode changeover switch.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암 올림 동작을 지시하는 포지션에서 상기 아암 조작 레버의 자세를 유지하는 디텐트(detent)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로더.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And a detent mechanism for maintaining the posture of the arm operating lever at a position indicating the arm lifting operation.
KR1020137020848A 2011-03-15 2012-03-15 Wheel loader Active KR10188240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57076 2011-03-15
JP2011057076 2011-03-15
PCT/JP2012/056714 WO2012124767A1 (en) 2011-03-15 2012-03-15 Wheel ro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120A true KR20140051120A (en) 2014-04-30
KR101882406B1 KR101882406B1 (en) 2018-07-26

Family

ID=46830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0848A Active KR101882406B1 (en) 2011-03-15 2012-03-15 Wheel loader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003900A1 (en)
EP (1) EP2687638B1 (en)
JP (1) JP5814258B2 (en)
KR (1) KR101882406B1 (en)
CN (1) CN103370479B (en)
WO (1) WO201212476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4773B2 (en) * 2013-11-13 2016-11-30 株式会社クボタ Working machine
CN103671888A (en) * 2013-12-18 2014-03-26 徐州凯尔农业装备股份有限公司 Electric control gear shifting device of roller tractor
US9458603B2 (en) 2014-10-31 2016-10-04 Komatsu Ltd. Wheel loader and control method for wheel loader
JP6587279B2 (en) * 2015-07-03 2019-10-09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Travel control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ry
US10041229B2 (en) * 2015-11-02 2018-08-07 Caterpillar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machine
JP6487822B2 (en) * 2015-11-05 2019-03-20 ヤンマー株式会社 Tractor
CN108301457B (en) * 2018-03-14 2021-02-19 华侨大学 A kind of excavator start-stop control method
JP6806726B2 (en) * 2018-03-27 2021-01-06 日立建機株式会社 Work vehicle
WO2020003948A1 (en) * 2018-06-29 2020-01-02 株式会社クボタ Work machine
CN109515537B (en) * 2018-11-16 2020-06-09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crawler vehicle travelling mechanism and crawler vehicle
EP4015277A1 (en) * 2020-12-15 2022-06-22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7482766B2 (en) * 2020-12-15 2024-05-14 株式会社クボタ Work vehicle
JP2022102299A (en) * 2020-12-25 2022-07-07 株式会社クボタ Work vehicle
CN112982538B (en) * 2021-02-24 2022-06-21 索特传动设备有限公司 A wheel loader control method, device, wheel loader and storage medium
CN113513582A (en) * 2021-08-27 2021-10-19 德州德工机械有限公司 Electric control gear shifting handle for automatic gearbox of engineering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23082323A (en) 2021-12-02 2023-06-1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Cab and work machi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0276A (en) * 2005-12-22 2007-07-05 Komatsu Ltd Engine control device for working vehicle
US7784581B1 (en) * 2006-09-14 2010-08-31 Deere & Company Machine control interlocks for an electrohydraulically controlled vehicle
WO2010147232A1 (en) 2009-06-19 2010-12-23 日立建機株式会社 Motor control device for working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5618A (en) * 1998-07-28 2000-04-11 Komatsu Ltd Lever type signal generator
US6098481A (en) * 1998-12-15 2000-08-08 Caterpillar Inc. High force variable position detent mechanism
US6643577B1 (en) * 2002-08-22 2003-11-04 Caterpillar Inc Operator control station and method for a work machine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FR2858861B1 (en) * 2003-08-11 2007-06-22 Manitou Bf INTERACTION CONTROL DEVICE WITH THE HAND OF AN OPERATOR
KR100621982B1 (en) * 2004-04-13 2006-09-14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Function switch pattern setting device of heavy equipment
US7497298B2 (en) * 2004-06-22 2009-03-03 Caterpillar Inc. Machine joystick control system
US9074352B2 (en) * 2006-03-27 2015-07-07 John R. Ramun Universal control scheme for mobile hydraulic equipment and method for achieving the same
WO2009048364A1 (en) * 2007-10-08 2009-04-16 Svab Hydraulik Ab A control lever for operating a machine, a procedure for operating a machine via a control lever and the use of the control lever
US8230757B2 (en) * 2008-07-29 2012-07-31 Deere & Company Lever lockout assembly
JP5238448B2 (en) * 2008-10-20 2013-07-17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Work vehicle
DE102009034154A1 (en) * 2009-07-20 2011-02-03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Multi-function hand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0276A (en) * 2005-12-22 2007-07-05 Komatsu Ltd Engine control device for working vehicle
US7784581B1 (en) * 2006-09-14 2010-08-31 Deere & Company Machine control interlocks for an electrohydraulically controlled vehicle
WO2010147232A1 (en) 2009-06-19 2010-12-23 日立建機株式会社 Motor control device for working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70479B (en) 2016-06-01
WO2012124767A1 (en) 2012-09-20
EP2687638A1 (en) 2014-01-22
EP2687638A4 (en) 2014-12-17
JPWO2012124767A1 (en) 2014-07-24
JP5814258B2 (en) 2015-11-17
KR101882406B1 (en) 2018-07-26
EP2687638B1 (en) 2017-05-10
US20140003900A1 (en) 2014-01-02
CN103370479A (en) 201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2406B1 (en) Wheel loader
KR101694328B1 (en) Working vehicle control apparatus
US7865288B2 (en) Engine control device for working vehicle
US8775034B2 (en) Shift control system for industrial vehicle
KR101435697B1 (en) Speed change control system for industrial vehicle
JP5503954B2 (en) Clutch control device for work vehicle
EP2444636B1 (en) Motor control device for working vehicle
KR20090083486A (en) Speed change control system for industrial vehicle
CN110168175B (en) Work vehicle and control method
US9383002B2 (en) Operation vehicle travel control device
JP5113921B2 (en) Wheel loader
JP2000233659A (en) Transmission of vehicle
JP5029244B2 (en) Industrial vehicle cargo handling control device
JP2011122706A (en) Clutch control device for working vehicle
KR20160133322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wheel loa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2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702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15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7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