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4705A - Knob of vehicle - Google Patents
Knob of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44705A KR20140044705A KR1020120110986A KR20120110986A KR20140044705A KR 20140044705 A KR20140044705 A KR 20140044705A KR 1020120110986 A KR1020120110986 A KR 1020120110986A KR 20120110986 A KR20120110986 A KR 20120110986A KR 20140044705 A KR20140044705 A KR 201400447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operation part
- vehicle
- operation portion
- pres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노브의 갭단차 유지 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정전기 차단장치는, 하우징부의 내측에 장착되는 작동부, 작동부에 결합되고, 압력 또는 회전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여 작동부에 전달하는 전달부, 전달부에 결합되어, 전달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외측조작부, 외측조작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전달부에 결합되는 내측조작부 및 외측조작부와 내측조작부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vention relating to a gap step maintenance device of a knob is disclosed. The disclosed static electricity blocking device includes an operating part mounted inside the housing part, a transmitting part coupled to the operating part, converting a pressure or rotational forc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operating part to the operating part, coupled to the transmitting part, and transmitting the rotating force to the transmitting part. The outer operation portion, which is located inside the outer operation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ner operation portion coupled to the transmission unit and the interval maintaining portion for maintaining the interval between the outer operation portion and the inner operation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작부의 갭(Gap)단차(段差)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차량의 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오디오, 네비게이션 등의 전기,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노브(Knob)장치는 노브장치에 작용하는 압력 및 회전력을 전기적 신호로 바꿀 수 있어서, 하나의 입력 장치로 다양한 방식의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In general, knob devices applied to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such as audio and navigation, may convert pressure and rotational force acting on the knob device into electrical signals, thereby enabling various types of input with one input device.
노브장치를 누르는 압력은 내측조작부를 통하여 입력되며, 압전소자에 의해서 전기적 신호로 전환된다. 노브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은 외측조작부를 통하여 입력되며, 장치 내부의 위치 센서 등에 의하여 측정되어 전기적 신호로 전환된다. The pressure for pressing the knob device is input through the inner operation portion, and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by the piezoelectric element. Rotation force for rotating the knob is input through the outer operation unit, and is measured by a position sensor or the like inside the apparatus and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3969호(2009.11.03. 공개, 발명의 명칭: 멀티미디어기기 조작기 및 그 작동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Background Art [0002]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9-0113969 (published on November 3, 2009, entitled: Multimedia device manipulator and its operation method).
종래의 멀티미디어 장치는, 외측조작부와 내측조작부의 갭단차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아서, 외관이 불량하고, 노브의 조작감이 저하되며, 차량의 진동에 따라 이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The conventional multimedia apparatus has a problem in that the gap between the outer and inner operation portions is not kept constant, so that the appearance is poor, the operation feeling of the knob is lowered, and noise is generated due to vibration of the vehicle.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본 발명은 외측조작부와 내측조작부 사이에 간격유지부를 마련하여, 외측조작부와 내측조작부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차량의 노브장치의 외관 불량을 방지하고, 조작감을 유지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p maintaining portion between an outer operation portion and an inner operation portion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outer operation portion and the inner operation portion to prevent a poor appearance of the knob device of the vehicle and to maintain a feeling of operation.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노브장치는: 하우징부의 내측에 장착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에 결합되고, 압력 또는 회전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여 상기 작동부에 전달하는 전달부; 상기 전달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달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외측조작부; 상기 외측조작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전달부에 결합되는 내측조작부: 및 상기 외측조작부와 상기 내측조작부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 를 포함한다. A knob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on unit mounted inside the housing part; A transmission unit coupled to the operation unit and converting pressure or rotational forc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operation unit; An outer operation unit coupled to the transfer unit and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transfer unit; An inner operation part positioned inside the outer operation part and coupled to the transmission part; and a gap maintaining part configured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outer operation part and the inner operation part; .
본 발명에서 간격유지부는, 상기 내측조작부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ap maintain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operation portion.
본 발명에서 간격유지부는, 상기 외측조작부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ap maintain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operation portion.
본 발명에서 간격유지부는, 복수 개 구비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gap maintaining portions are provided.
본 발명에서 간격유지부는, 상기 외측조작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동일 간격으로 배치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val maintaining portions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n the circumference around the rotation axis of the outer operation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노브장치는, 외측조작부와 내측조작부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외관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knob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appearance quality by keeping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operation part and the inner operation part constant.
또한, 본 발명은 외측조작부와 내측조작부 사이에 복수 개의 간격유지부를 구비하여 노브의 조작감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ap holding portion between the outer operation portion and the inner operation portion to maintain a constant feeling of operation of the knob.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노브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노브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조작부와 간격유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조작부와 간격유지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조작부와 간격유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knob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knob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ner operation part and a gap maintaining par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 inner operation part and a gap maintaining par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1.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uter operation part and a gap maintaining par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노브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차량의 오디오 장치에 장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knob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case in which the vehicle is mounted on the audio device of the vehicl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노브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노브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knob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knob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노브장치(1)는, 하우징부(10)의 내측에 장착되는 작동부(20), 전달부(30), 외측조작부(40), 내측조작부(50) 및 간격유지부(60)를 포함한다. 1 to 2, the
하우징부(10)는 작동부(20)를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로써, 작동부(20) 등의 내부 구성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 및 재질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부(10)는 합성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부(10)는 내측조작부(50) 및 외측조작부(40)가 인입되는 조작부홀부(11) 및 하우징본체(13)를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작동부(20)는 하우징부(10)의 내측에 볼팅 등의 방법으로 장착된다. 작동부(20)는 전달부(30) 등을 통하여 전달받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오디오, 비디오 멀티미디어 등의 전기, 전자 장치 등을 작동시킨다. The
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의 작동부(20)는, 전달부(30)에서 회전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여 작동부(20)에 전달하면, 볼륨을 높이거나 주파수를 바꾸는 등의 방식으로 장치를 작동시킨다. For example, the
전달부(30)는 작동부(20)에 볼팅 또는 본딩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고, 내측조작부(50) 또는 외측조작부(40)에서 전달되는 압력 또는 회전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여 작동부(20)에 전달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전달부(30)는 외측조작부(40)가 끼워진 후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외측조작부결합홈부(33) 및 내측조작부(50)가 인입되는 내측조작부인입홀부(31)를 포함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외측조작부(40)는 전달부(30)에 결합되어 전달부(3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외측조작부(40)는 전달부(30)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입력하는 회전력을 전달부(30)에 전달하는 기술 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 변경이 가능하다. The
본 실시예에서 외측조작부(40)는 내측조작부(50)가 인입되는 외측조작부홀부(41), 외측조작부(40)를 회전시킬 때 미끄럼을 방지하는 마찰부(43), 외측조작부본체부(45) 및 전달부(30)에 결합되는 외측조작부걸림부(47)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내측조작부(50)는 외측조작부(40)의 내측에 위치하며 전달부(30)에 결합된다. 내측조작부(50)는 내측조작부(50)가 장착되는 장치에 따라 외부의 압력을 전달부(3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서 내측조작부(50)는 외부에서 작용하는 압력이 작용하는 가압부(51), 가압부(51)에 작용하는 압력을 전달하는 내측조작부본체부(53)와 작동부(20)에 삽입되어 유동을 방지하는 내측조작부걸림부(55)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간격유지부(60)는 외측조작부(40)와 내측조작부(50) 사이에 위치하여 내측조작부(50)의 외주면과 외측조작부(40)의 내주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또한 간격유지부(60)는 외측조작부(40)와 내측조작부(5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므로, 내측조작부(50)가 외측조작부(40) 내부에서 일측으로 편중되어 발생하는 단차를 줄인다.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조작부와 간격유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조작부와 간격유지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A-A'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ner operation part and a gap maintain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inner operation part and a gap maintain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of FIG.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 'cross section.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간격유지부(60)는 내측조작부(50)의 외주면에 위치한다.3 to 5, the
본 실시예에서 간격유지부(60)는 내측조작부(5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다. 간격유지부(60)는 내측조작부(5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외측조작부(40)와의 간격을 d1에서 d2로 줄이는 역할을 한다. 간격유지부(60)는 돌기 형상 이외에 내측조작부(5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띠 형상도 가능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간격유지부(60)는 외측조작부(40)와 내측조작부(50) 사이에 위치하여, 외측조작부(40) 또는 내측조작부(5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조작부와 간격유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uter operation part and a gap maintaining par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간격유지부(60)는 외측조작부(4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외측조작부(40)와 내측조작부(50)의 간격을 줄일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6,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서 간격유지부(60)는 복수 개 구비된다. 간격유지부(60)는 외측조작부(40)와 내측조작부(50)의 작동에 방해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 복수 개 구비되어 내측조작부(50)와 외측조작부(4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서 간격유지부(60)는 외측조작부(4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동일 간격으로 배치하여 내측조작부(50)가 외측조작부(40)에 대하여 한쪽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노브장치(1)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사용자가 오디오 장치 등의 볼륨을 키우는 등의 원하는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내측조작부(50)를 누르거나 외측조작부(40)를 회전시키면, 전달부(30)에 압력 또는 회전력이 전달되고, 전달부(30)에 가해지는 기계적 힘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작동부(20)에 전달한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작동부(20)는 전달된 신호에 따라 오디오의 볼륨을 키우는 등의 작동을 한다. The
간격유지부(60)는 내측조작부(50)와 외측조작부(40) 사이에 위치하여 내측조작부(50)와 외측조작부(4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므로, 외측조작부(40) 또는 내측조작부(50)의 유동이 있더라도 외측조작부(40)와 내측조작부(50)의 상대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노브장치(1)는, 외측조작부(40)와 내측조작부(5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외관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또한, 본 발명은 외측조작부(40)와 내측조작부(50) 사이에 복수 개의 간격유지부(60)를 구비하여 차량의 노브장치(1)의 조작감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또한, 자동차의 오디오에 설치되는 차량의 노브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노브장치를 사용하는 다른 장치에도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노브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knob device of the vehicle installed in the audio of the vehicl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his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e knob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other devices using the knob devic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 져야 할 것이다.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1: 차량의 노브장치 10: 하우징부
11: 조작부홀부 13: 하우징본체
20: 작동부 30: 전달부
31: 내측조작부인입홀부 33: 외측조작부결합홈부
40: 외측조작부 41: 외측조작부홀부
43: 마찰부 45: 외측조작부본체부
47: 외측조작부걸림부 50: 내측조작부
51: 가압부 53: 내측조작부본체부
55: 내측조작부걸림부 60: 간격유지부1: Knob device 10: Housing part
11: Control panel hole 13: Housing body
20: operating part 30: transmitting part
31: Inner operation part inlet hole 33: Outer operation part engaging groove
40: outer operation part 41: outer operation part hole
43: friction part 45: outer operation part main body
47: outer operation part catching part 50: inner operation part
51: pressurizing portion 53: inner operating portion main body
55: inner operating portion engaging portion 60: gap holding portion
Claims (5)
상기 작동부에 결합되고, 압력 또는 회전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여 상기 작동부에 전달하는 전달부;
상기 전달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달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외측조작부;
상기 외측조작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전달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달부에 압력을 전달하는 내측조작부: 및
상기 외측조작부와 상기 내측조작부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노브장치.
An operating part mounted inside the housing part;
A transmission unit coupled to the operation unit and converting pressure or rotational forc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operation unit;
An outer operation unit coupled to the transfer unit and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transfer unit;
Located inside the outer operation portion, coupled to the transfer portion, the inner operation portion for transmitting the pressure to the transfer portion: And
A gap maintaining unit for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outer operation unit and the inner operation unit;
Knob device of a vehicle comprising a.
상기 내측조작부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노브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terval maintaining unit,
Knob device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operation portion.
상기 외측조작부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노브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terval maintaining unit,
Knob device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operation portion.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노브장치.
The said space | interval maintenance part of any one of Claims 1-3,
Knob device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plurality.
상기 외측조작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동일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노브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terval maintaining unit,
Knob device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n the circumference around the rotation axis of the outer operation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0986A KR20140044705A (en) | 2012-10-05 | 2012-10-05 | Knob of vehicle |
CN201310301286.2A CN103715002B (en) | 2012-10-05 | 2013-07-18 | Knob of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0986A KR20140044705A (en) | 2012-10-05 | 2012-10-05 | Knob of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4705A true KR20140044705A (en) | 2014-04-15 |
Family
ID=50407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0986A Ceased KR20140044705A (en) | 2012-10-05 | 2012-10-05 | Knob of vehicl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44705A (en) |
CN (1) | CN103715002B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181410A1 (en) * | 2005-10-12 | 2007-08-09 | E.G.O. Elektro-Geraetebau Gmbh | Operating device for an electrical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ical appliance |
KR20090056463A (en) * | 2007-11-30 | 2009-06-03 |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 Car rotary switch |
KR20090113969A (en) * | 2008-04-29 | 2009-11-03 |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 Multimedia device controller and its operation method |
KR20110012414A (en) * | 2009-07-30 | 2011-02-09 | 한국델파이주식회사 | switch |
WO2012104702A1 (en) * | 2011-01-31 | 2012-08-09 |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 Control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45293A (en) * | 2001-05-21 | 2003-02-14 | Sony Corp | Operation device |
JP2004327296A (en) * | 2003-04-25 | 2004-11-18 | Omron Corp | Switch |
CN101751063A (en) * | 2008-11-28 | 2010-06-23 | 阿尔派株式会社 | Input device |
-
2012
- 2012-10-05 KR KR1020120110986A patent/KR20140044705A/en not_active Ceased
-
2013
- 2013-07-18 CN CN201310301286.2A patent/CN103715002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181410A1 (en) * | 2005-10-12 | 2007-08-09 | E.G.O. Elektro-Geraetebau Gmbh | Operating device for an electrical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ical appliance |
KR20090056463A (en) * | 2007-11-30 | 2009-06-03 |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 Car rotary switch |
KR20090113969A (en) * | 2008-04-29 | 2009-11-03 |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 Multimedia device controller and its operation method |
KR20110012414A (en) * | 2009-07-30 | 2011-02-09 | 한국델파이주식회사 | switch |
WO2012104702A1 (en) * | 2011-01-31 | 2012-08-09 |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 Control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715002B (en) | 2017-05-24 |
CN103715002A (en) | 2014-04-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D1028013S1 (en) | Display screen with icon | |
EP2822293B1 (en) | Tunable earphone | |
JP3169183U (en) | Transmission assembly and wheel thereof | |
TWI554742B (en) | Sensor device and encoder | |
US20100213798A1 (en) | Encoder assembly | |
CN103872835B (en) | motor | |
CN101863200B (en) | Signal transmitting device with air tap tire pressure meter | |
US8483421B2 (en) | Narrow-angle directional microphone | |
US8054063B2 (en) | Motorcycle wheel speed transmission mechanism for speedmeter | |
TWM407474U (en) | Keypad structure | |
JP2018190644A (en) | Operating device | |
JP2018505109A5 (en) | ||
KR20140044705A (en) | Knob of vehicle | |
KR101870638B1 (en) | Blocking device of static electricity | |
WO2009016201A3 (en) | Transmitter cover with a mounting ring | |
KR101801899B1 (en) | Cable protecting apparatus | |
EP3184865B1 (en) | Sealing structure | |
ITMI20090357U1 (en) | ANGULAR POSITION DETECTOR FOR MOUNTING IN A TURNING AXIS | |
US20080271531A1 (en) | Measuring Device | |
KR102163066B1 (en) | ear tip and ear phone having the same | |
JP6692892B2 (en) | Acoustic sensor having a housing and a diaphragm element arranged in the housing | |
JP2021068627A (en) | Structure of tamper switch | |
KR102010737B1 (en) | Knob device | |
JP2020051811A5 (en) | ||
KR102001498B1 (en) | Knob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0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0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0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9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7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