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44347A - Self- tightning pipe clamp - Google Patents

Self- tightning pipe clam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4347A
KR20140044347A KR1020140022481A KR20140022481A KR20140044347A KR 20140044347 A KR20140044347 A KR 20140044347A KR 1020140022481 A KR1020140022481 A KR 1020140022481A KR 20140022481 A KR20140022481 A KR 20140022481A KR 20140044347 A KR20140044347 A KR 20140044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or
ring
inclined portion
self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4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연우
김현석
Original Assignee
정연우
김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우, 김현석 filed Critical 정연우
Priority to KR1020140022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4347A/en
Publication of KR20140044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347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1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 pressure ring being arranged between the clamping ring and the threaded member or the connect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the wedging action being effected by means of a 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중앙에 통공(111)이 형성되어 있고, 배관(10)이 삽입되며 상기 통공(111)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배관 삽입부(112)와, 상기 배관 삽입부(112)에 연이어 형성되며 외측으로 확장되는 경사를 지니는 경사부(113)를 구비하고, 외주연을 따라 나사산부(114)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110);와, 상기 배관 삽입부(112)에 삽입된 상기 배관(10)과 상기 경사부(113) 사이에 그 외경이 하측으로 가며 좁아지는 제 1 경사부(121)가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측에는 그 외경이 상측으로 가며 좁아지는 제 2 경사부(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과 상측 내부에 각각 제 1 오링(123)과 제 2 오링(124)이 설치되어 있는 배관 밀착 부재(120);와, 상기 나사산부(114)에 나사 결합되는 내부 나사산부(131)가 하측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 중앙에는 상기 배관(10)이 통과하는 배관 통공(132)이 형성되고, 하강시 상기 제 2 경사부(122)와 접촉하여 압박하는 클램프 경사부(133)가 상기 배관 통공(132)에 연이어 하측으로 가면 그 직경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 너트(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100)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adhesive piping connector, the through hole 111 is formed in the center, the pipe 10 is inserted and the pipe insertion portion 112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through hole 111 and the pipe insertion A connector 110 having a slant portion 113 formed in series with the inclined portion 112 and having an inclined portion extending outwardly, and having a threaded portion 114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the pipe insertion portion 112. The first inclined portion 121 is inserted between the pipe 10 and the inclined portion 113 inserted into the lower side is narrowed down, the upper diameter is narrowed to the upper side, A pipe contact member 120 having two inclined portions 122 and provided with a first O-ring 123 and a second O-ring 124 in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side, respectively; and on the threaded portion 114. The inner threaded portion 131 to be screwed is formed in the lower side, the upper center When the pipe through hole 132 through which the existing pipe 10 passes, and the clamp inclined portion 133 that is press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22 when descending, the pipe through hole 132 successive downwards A clamp nut 130 formed to widen its diameter; It relates to a self-contact piping connector 10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scription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Self- Tightning Pipe Clamp}Self-Tightning Pipe Clamps

본 발명은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중앙에 통공(111)이 형성되어 있고, 배관(10)이 삽입되며 상기 통공(111)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배관 삽입부(112)와, 상기 배관 삽입부(112)에 연이어 형성되며 외측으로 확장되는 경사를 지니는 경사부(113)를 구비하고, 외주연을 따라 나사산부(114)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110);와, 상기 배관 삽입부(112)에 삽입된 상기 배관(10)과 상기 경사부(113) 사이에 그 외경이 하측으로 가며 좁아지는 제 1 경사부(121)가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측에는 그 외경이 상측으로 가며 좁아지는 제 2 경사부(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과 상측 내부에 각각 제 1 오링(123)과 제 2 오링(124)이 설치되어 있는 배관 밀착 부재(120);와, 상기 나사산부(114)에 나사 결합되는 내부 나사산부(131)가 하측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 중앙에는 상기 배관(10)이 통과하는 배관 통공(132)이 형성되고, 하강시 상기 제 2 경사부(122)와 접촉하여 압박하는 클램프 경사부(133)가 상기 배관 통공(132)에 연이어 하측으로 가면 그 직경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 너트(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100)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adhesive piping connector, the through hole 111 is formed in the center, the pipe 10 is inserted and the pipe insertion portion 112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through hole 111 and the pipe insertion A connector 110 having a slant portion 113 formed in series with the inclined portion 112 and having an inclined portion extending outwardly, and having a threaded portion 114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the pipe insertion portion 112. The first inclined portion 121 is inserted between the pipe 10 and the inclined portion 113 inserted into the lower side is narrowed down, the upper diameter is narrowed to the upper side, A pipe contact member 120 having two inclined portions 122 and provided with a first O-ring 123 and a second O-ring 124 in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side, respectively; and on the threaded portion 114. The internal threaded portion 131 to be screwed is formed in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center A pipe through-hole 132 through which the pipe 10 passes is formed, and when the clamp inclined portion 133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22 and presses down goes down the pipe through-hole 132 downwards. A clamp nut 130 formed to have a wider diameter; It relates to a self-contact piping connector 10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일반적으로, 물이나 기름과 같은 유체 또는 가스와 같은 기체를 이송하는데 파이프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파이프는 운반이나 취급상의 제약에 의해 일정 규격(길이)으로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다. 따라서 파이프의 규격 길이보다 긴 구간을 시공한다든가 굽은 구간을 시공할 경우에는 배관 연결 장치를 사용하거나 파이프를 서로 연결 용접하여야만 한다.Generally, pipes are widely used for transporting gases such as fluids or gases such as water or oil. These pipes are manufactured and sold to a certain standard (length) due to transportation or handling restrictions. Therefore, when constructing a section longer than the standard length of the pipe or constructing the bent section, it is necessary to use a pipe connection device or weld the pipes to each other.

배관 연결 장치는 배관에 사용되는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서,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특히 그립 링(grip ring)을 이용하여 연결구 내에 삽입된 파이프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된 배관연결장치가 연결작업의 용이성으로 인하여 배관작업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 piping connection device is a device for connecting pipes used in piping. There are various types, and in particular, a piping connection device having a structure for preventing a pipe inserted in a connection port from being escaped by using a grip ring is connected Due to the ease of operation, it is widely used for plumbing work.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배관 연결 방법은 파이프(3)를 암나사부(2a)가 구비된 너트(2)에 삽입한 다음 파이프(3)에 오링(6) 및 와셔(5) 그리고 그립 링(4)을 차례로 설치한 상태에서 너트(2)를 배관(1)의 숫나사부(1a)에 대고 나사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파이프(3)에 설치된 그립 링(4)이 배관(1)의 제 1 스토퍼(1b)에 밀착된 상태에서 너트(2)의 돌출부(2b)가 오링(6)을 압축하면 오링(6) 및 파이프(3)의 외주면이 기밀이 유지되게 실링(sealing)됨과 동시에, 와셔(5)가 그립 링(4)을 밀어주게 되므로 그립 링(4)의 그립(4a)이 파이프(3)를 눌러 배관 연결 장치에서 파이프(3)가 분리되지 않도록 클램핑(clamping)되도록 하는데, 이러한 동작은 너트(2)가 배관(1)에 완전히 나사 조임될 때까지 이루어지게 된다.1 and 2, a conventional pipe connecting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pipe 3 is inserted into a nut 2 provided with a female thread 2a and then an O-ring 6 and a washer 5 are fastened to the pipe 3, The nut 2 is screwed onto the male thread 1a of the pipe 1 in a state where the grip ring 4 is installed in order. Thus, when the protruding portion 2b of the nut 2 compresses the O-ring 6 in a state where the grip ring 4 provided on the pipe 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stopper 1b of the pipe 1, 6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3 are sealed so that the grip 4 of the grip ring 4 is pressed against the pipe 3 as the washer 5 pushes the grip ring 4, So that the pipe 3 is clamp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pipe connecting device. This operation is performed until the nut 2 is completely screwed into the pipe 1. [

첫째, 배관연결장치와 파이프의 클램핑이 1개의 그립 링에 의해 의존하므로 고압의 유체 또는 기체가 흐르는 파이프이거나, 그립 링에 결함이 발생된 경우에는 파이프를 지지하는 클램핑력이 떨어져 배관연결장치에서 파이프가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First, since the clamping of the pipe connection device and the pipe is dependent on one grip ring, the pipe is a high-pressure fluid or gas flow, or in the case of a defect in the grip ring, the clamping force supporting the pipe is reduced and the pipe in the pipe connection device There was a case where is separated.

만약, 가스가 통과하는 파이프를 실내에 설치한 상태에서 파이프가 분리되거나, 기밀이 유지되지 못하여 가스가 샌다면 엄청난 재난을 일으키는 치명적인 결함을 나타내게 된다.
If the pipe is separated while the pipe through which the gas passes is installed, or the gas is leaked due to the inability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it is a fatal defect that causes a great disaster.

둘째, 파이프에 끼워지는 그립 링의 삽입(설치) 깊이가 소정의 깊이를 유지하여야 되는데, 만약 그립 링의 삽입깊이가 짧으면 배관연결장치에서 파이프가 빠지고, 이와는 반대로 그립 링의 삽입 깊이가 깊으면 배관에 너트를 나사 결합할 때 파이프의 선단이 배관의 제2 스토퍼에 밀착된 상태에서 너트를 조임에 따라 그립 링이 손상되거나, 파이프의 외주면이 그립에 의해 긁히거나, 오링의 과다 압축으로 파이프의 병목현상이 유발되므로 파이프의 이탈 원인이 된다.
Second, the insertion (installation) depth of the grip ring fitted to the pipe must be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depth. If the insertion depth of the grip ring is short, the pipe is pulled out from the pipe connection device, and conversely, if the insertion depth of the grip ring is deep, When screwing the nut into the pipe, the grip ring is damaged by tightening the nut while the tip of the pip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topper of the pip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is scratched by the grip, or the bottleneck of the pipe is caused by excessive compression of the O-ring. The phenomenon is caused and causes the pipe to escape.

셋째, 너트를 배관에 나사 결합하는 과정에서 배관의 제2 스토퍼에 밀착되게 파이프를 밀어주는 기능이 없어 배관과 파이프의 선단이 도 2b와 같이 이격되어 틈새(t)가 발생되므로 틈새를 통해 유체 또는 기체가 누설되는 원인으로 작용되었다.
Third, in the process of screwing the nut to the pipe, there is no function of pushing the pip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topper of the pipe, so that the tip of the pipe and the pipe are spaced apart as shown in FIG. It caused the gas to leak.

넷째, 너트의 내부를 실링하는 기능이 없어 내부로 습기가 침투되므로 장기간 사용에 따라 그립 링 및 와셔가 부식되어 클램핑력을 떨어뜨리게 된다.
Fourth, since there is no function to seal the inside of the nut, moisture penetrates into the inside, and thus, the grip ring and the washer are corroded with prolonged use, thereby reducing the clamping forc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배관 연결 방법은 파이프(3)에 끼워지는 그립 링(4)의 삽입(설치) 깊이가 소정의 깊이를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어 그립 링(4)의 삽입 깊이가 짧으면 배관연결장치에서 파이프(3)가 빠지고, 이와는 반대로 그립 링(4)의 삽입 깊이가 깊으면 배관(1)에 너트(2)를 나사 결합할 때 파이프(3)의 선단이 배관의 제 2 스토퍼(1c)에 밀착된 상태에서 너트를 조임에 따라 그립 링(4)이 손상되거나, 파이프(3)의 외주면이 그립(4a)에 의해 긁히거나, 오링(6)의 과다 압축으로 파이프의 병목현상이 유발되므로 파이프가 이탈되는 원인으로 작용되었다. 더욱이 종래의 배관 연결 방법은 작업자의 실수나 작업숙련도가 떨어질 경우 부품의 조립 순서를 달리함에 따라 배관 연결 장치에서 파이프(3)가 분리되는 치명적인 결함을 나타낸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ipe connection method, when the insertion depth of the grip ring 4 inserted into the pipe 3 is limit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epth and the insertion depth of the grip ring 4 is short, When the pipe 3 is detached and the insertion depth of the grip ring 4 is deeper on the contrary, when the nut 2 is screwed into the pipe 1, the tip of the pipe 3 is connected to the second stopper 1c of the pipe The grip ring 4 is damaged by tightening the nut in the close contact state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3 is scratched by the grip 4a or excessive compression of the O-ring 6 causes bottleneck of the pipe, Which is the cause of the separation. Moreover, the conventional piping connection method shows a fatal defect in which the pipe 3 is separated from the piping connection apparatus by varying the assembling order of the parts when the operator's mistake or work skill is lowered.

이러한 기존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 특허문헌 1의 " 배관연결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71692호)"에는, 너트에 끼워진 파이프의 외주면에는 그립을 갖는 제1 그립 링 및 와셔 그리고 오링을 차례로 설치하여 상기 너트에 끼워진 파이프를 배관에 결합한 다음 너트를 배관에 나사 결합하는 배관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링의 후단으로 내향 절곡편 및 돌출부를 갖는 탄성편이 구비된 제2 그립 링을 설치하고 너트에는 상기 탄성편이 수용됨과 동시에 경사면이 구비된 피난홈을 형성하여 배관에 너트가 나사 조임 완료되기 직전에 경사면에 의해 탄성편이 내측으로 눌려 파이프와 클램핑됨과 동시에 파이프 를 배관 측으로 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장치가 제안되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invention, "Pipe connection device (Korean Patent No. 10-1171692)" of Patent Document 1, the first grip ring and washer and O-ring having a grip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fitted to the nut In the pipe connecting device for installing the pipes fitted to the nut in order to connect to the pipe and then screwing the nut to the pipe, the second grip ring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iece having an inwardly bending piece and a projection to the rear end of the O-ring and the nut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piece is accommod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evacuation groove provided with the inclined surface, the elastic piece is pressed inward by the inclined surface and clamped with the pipe immediately before the nut is screwed in the pipe, and at the same time pushing the pipe to the pipe side A connection device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상기한 특허문헌 1의 기존 발명 역시, 제 2 그립링이 복잡한 형상을 가지므로 그 가공이 어렵고 단가가 높아지는 것은 물론, 너트(2)와 파이프(3)사이의 이격된 틈으로 습기가 침투되므로 장기간 사용에 따라 그립 링 및 와셔가 부식되어 클램핑력을 떨어뜨리게 된다는 기존 발명의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게 된다. 한편, 요입홈에 삽입된 오링을 구비하는 경우라 하여도 습기 침투의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이 가능할 수 있으나, 오링과 파이프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너트를 체결하여 시공하는 것이 대단히 곤란해 진다는 문제점이 새로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파이프의 지지는 탄성을 가진 오링에 의해서만 지지되므로, 파이프가 배관에 대하여 움직이거나 흔들리는 것이 가능하여 그 결합이 쉽게 풀리거나 유체의 누출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existing invention of Patent Document 1 also has a complicated shape, so that the second grip ring is difficult to process and the unit cost increases, and moisture penetrates into the spaced gap between the nut 2 and the pipe 3. As a result, the grip ring and the washer may be corroded with a prolonged use, thereby reducing the clamping force. On the other hand, even with an O-ring inserted into the recessed groove, the problem of moisture penetration may be solved to some extent, but it is very difficult to fasten and install the nut by friction between the O-ring and the pipe. A new occurrence will occur. In addition, in this case, since the support of the pipe is supported only by the elastic O-ring, the pipe may move or shake with respect to the pipe, so that the coupling may be easily released or the fluid may leak.

또한, 파이프와 배관 사이의 밀폐는 오로지 그립링들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압착되는 오링의 팽창에만 의지하게 되나, 그립 링은 그 구조 및 기능상 탄성편을 구비하여야 하는 얇은 판재로 제작될 수밖에 없으므로 쉽게 파손이 일어나 누출이 쉽게 일어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sealing between the pipe and the pipe only depends on the expansion of the O-ring, which is squeez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grip rings, but the grip ring is easily broken because it has to be made of a thin plate having an elastic piece in structure and function. This happen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leakage occurs easily.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71692호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171692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대단히 단순하고도 견고한 구조로 다양한 배관 연결구조에 사용이 가능하면서, 클램프 너트를 체결하는 작동에 의하여 그 상측과 하측이 내측 방향으로 변형되며 인입되는 배관 밀착부재를 통하여 소정 간격 이격한 상태에서 배관의 상하를 견고하게 지지하면서도 확실한 밀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inventions described above, and can be used in a variety of pipe connection structure in a very simple and robust structure,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deformed inward by the operation to fasten the clamp nut is introduc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lf-adhesive piping connector that securely seals the pipe up and down while being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rough the pipe adhesion member, thereby enabling a reliable sealing.

또한, 배관 밀착부재의 변형에 의하여 클램핑 너트와 배관 밀착부재가 서로 밀착하게 압착된 상태로 접촉되어, 기계적 강성 유지는 물론 내부로의 습기 또는 이물질의 인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In addition, the clamping nut and the pipe contact member are brought into tight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deformation of the pipe contact member, thereby maintaining a mechanical rigidity and a self-adhesive pipe connector that can prevent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into the inside. Let it be the subject.

또한, 체결시 배관을 클램핑하여 하측으로 밀착시켜 배관이 In addition, when tightening, the pipe is clamped to the lower side to close the pipe.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중앙에 통공(111)이 형성되어 있고, 배관(10)이 삽입되며 상기 통공(111)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배관 삽입부(112)와, 상기 배관 삽입부(112)에 연이어 형성되며 외측으로 확장되는 경사를 지니는 경사부(113)를 구비하고, 외주연을 따라 나사산부(114)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110);와, 상기 배관 삽입부(112)에 삽입된 상기 배관(10)과 상기 경사부(113) 사이에 그 외경이 하측으로 가며 좁아지는 제 1 경사부(121)가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측에는 그 외경이 상측으로 가며 좁아지는 제 2 경사부(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과 상측 내부에 각각 제 1 오링(123)과 제 2 오링(124)이 설치되어 있는 배관 밀착 부재(120);와, 상기 나사산부(114)에 나사 결합되는 내부 나사산부(131)가 하측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 중앙에는 상기 배관(10)이 통과하는 배관 통공(132)이 형성되고, 하강시 상기 제 2 경사부(122)와 접촉하여 압박하는 클램프 경사부(133)가 상기 배관 통공(132)에 연이어 하측으로 가면 그 직경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 너트(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ough hole 111 is formed in the center, the pipe 10 is inserted and the pipe insertion portion 112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through hole 111, and the pipe insertion A connector 110 having a slant portion 113 formed in series with the inclined portion 112 and having an inclined portion extending outwardly, and having a threaded portion 114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the pipe insertion portion 112. The first inclined portion 121 is inserted between the pipe 10 and the inclined portion 113 inserted into the lower side is narrowed down, the upper diameter is narrowed to the upper side, A pipe contact member 120 having two inclined portions 122 and provided with a first O-ring 123 and a second O-ring 124 in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side, respectively; and on the threaded portion 114. An internal threaded portion 131 to be screwed is formed inside the lower side, and the pipe 10 in the upper center thereof. Pipe through hole 132 through which the through) is formed, and when the clamp inclined portion 133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22 and descends downwards in succession to the pipe through hole 132, the diameter becomes wider. Clamp nut 130 is formed to have; And a control unit.

또한, 상기 연결구(110)는 중앙 외주면에 렌치 결착부(117)가 더 형성되면서, 상기 렌치 결착부(117)의 양측에 상기 배관 삽입부(112,112'), 경사부(113,113') 및 나사산부(114,114')를 구비하고, In addition, the connector 110, the wrench binding portion 117 is further formed on the center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pipe insertion portion (112, 112 '), the inclined portion (113, 113') and the threaded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wrench binding portion 117. (114, 114 '),

상기 연결구(110)의 양측에 각각 배관 밀착 부재(120,120') 및 클램프 너트(130, 13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ipe contact members 120 and 120 'and clamp nuts 130 and 130'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onnector 110, respectively.

또한, 상기 연결구(110)의 상기 통공(111)에 연이어 형성되며, 배관연결부(20)의 말단 경사부(21)에 밀착될 수 있는 밀폐 경사부(118); In addition, the sealing inclined portion 118 is formed in succession to the through-hole 111 of the connector 110, which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tal end portion 21 of the pipe connection portion 20;

상기 배관연결부(20)의 체결 나사부(22)에 나사 체결가능하도록 상기 연결구(110)에 더 형성되는 결합 나사부(119);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coupling screw part 119 which is further formed at the connector 110 so as to be screwable to the coupling screw part 22 of the pipe connection part 20; And further comprising:

또한, 상기 배관 밀착 부재(120)의 내주면에 상기 제 1 오링(123)과 상기 제 2 오링(124) 사이에 각각 더 형성되는 제 1 함입 홈(125) 및 제 2 함입홈(126);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irst recessed groove 125 and the second recessed groove 126 are further formed between the first O-ring 123 and the second O-ring 124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contact member 120; And further comprising:

또한, 상기 배관 삽입부(112) 내측 말단에 더 형성되는 압착 오링 설치홈(115);In addition, the crimping O-ring installation groove 115 is further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pipe insertion portion 112;

상기 압착 오링 설치홈(115)에 설치되는 압착 오링(11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mpressed o-ring installation groove 115 is installed in the compressed o-ring 116;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대단히 단순하고도 견고한 구조로 다양한 배관 연결구조에 사용이 가능하면서, 클램프 너트를 체결하는 작동에 의하여 그 상측과 하측이 내측 방향으로 변형되며 인입되는 배관 밀착부재를 통하여 소정 간격 이격한 상태에서 배관의 상하를 견고하게 지지하면서도 확실한 밀폐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being able to be used in a variety of pipe connection structure in a very simple and robust structure,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deformed inward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ightening the clamp nut through the pipe contact member is introduced In the spaced apart state, while firmly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pip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sealed tightly.

또한, 배관 밀착부재의 변형에 의하여 클램핑 너트와 배관 밀착부재가 서로 밀착하게 압착된 상태로 접촉되어, 기계적 강성 유지는 물론 내부로의 습기 또는 이물질의 인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lamping nut and the pipe contact member are brought into tight contact with each other by a deformation of the pipe contact member, thereby maintaining mechanical rigidity and blocking the ingress of moisture or foreign matter into the inside.

도 1: 기존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관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 도 1의 종단면도
도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longitudinal section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lf-adhesive pipin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lf-adhesive pipin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lf-adhesive piping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lf-adhesive piping connec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lf-adhesive pipin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self-adhesive pip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크게 연결구(110), 배관 밀착 부재(120) 및 클램프 너트(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elf-contained piping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3 and 4, largely the connector 110, the pipe contact member 120 and the clamp nut 130; And a control unit.

먼저, 연결구(1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연결구(11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중앙에 통공(111)이 형성되어 있고, 배관(10)이 삽입되며 상기 통공(111)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배관 삽입부(112)와, 상기 배관 삽입부(112)에 연이어 형성되며 외측으로 확장되는 경사를 지니는 경사부(113)를 구비하고, 외주연을 따라 나사산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연결구는 다양한 배관 연결구의 일 말단이 상기한 구성을 가지도록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엘보우, 티-연결구, 매니폴드(다기관) 등 다양한 형태의 배관 연결부재의 일 말단이 상기한 구성을 가지도록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First, the connector 11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connector 110 has a through hole 111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pipe 10 is inserted into the pipe insert 112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through hole 111. And an inclined portion 113 formed in series with the pipe insertion portion 112 and having an inclined portion extending outwardly, and a threaded portion 114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or can be implemented by processing so that one end of the various pipe connectors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at is,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by processing so that one end of the pipe connecting member of various forms, such as elbow, tee-connector, manifold (manifold).

한편, 상기 연결구(110)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한 구성이 양 말단에 각각 가공되도록 하여 2개의 배관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연결구(110)는 양측에 상기 배관 삽입부(112,112'), 경사부(113,113') 및 나사산부(114,114')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구(110)의 양측에 각각 배관 밀착 부재(120,120') 및 클램프 너트(130, 130')가 연결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연결구(110)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중앙 외주면에 렌치 결착부(117)가 더 형성되도록 하여, 체결시 렌치로 고정하거나 돌리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구(110)는 사로 직경이 다른 배관(10,10')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양측의 상기 배관 삽입부(112, 112')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가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or 110, as shown in Figure 5, it is also possible to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two pipes so that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respectively processed at both ends. That is, the connector 110 includes the pipe insertion parts 112 and 112 ', the inclined parts 113 and 113', and the threaded parts 114 and 114 'on both sides, and the pipe contact members 120 and 120 on both sides of the connector 110, respectively. ') And clamp nuts 130, 130' are also possible to be connected. In this case, the connector 110, as shown in Figure 5, so that the wrench binding portion 117 is further formed on the center outer peripheral surface, it is preferable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fixing or turning with a wrench when tightening. In addition, the connector 110 may be processed to have different diameters of the pipe insertion portions 112 and 112 'on both sides so as to connect pipes 10 and 10' having different diameters.

상기 연결구(110)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기존의 배관 연결부(20)에 장착이 가능한 일종의 어댑터의 기능을 가지도록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연결구(110)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배관연결부(20)의 체결 나사부(22)에 나사 체결가능하도록 상기 연결구(110)에 더 형성되는 결합 나사부(11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관연결부(20)가 서비스 밸브의 배관 연결부와 같이 말단 경사부(21)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구(110)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배관연결부(20)의 말단 경사부(21)에 밀착될 수 있는 밀폐 경사부(11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illustrated in FIG. 6, the connector 110 may be implemented to have a function of a kind of adapter that can be mounted on the existing pipe connection 20.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the connector 110 further includes a coupling screw part 119 further formed on the connector 110 to be screwable to the coupling screw part 22 of the pipe connection part 20.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In addition, when the pipe connecting portion 20 has a terminal inclined portion 21, such as a pipe connecting portion of the service valve, the connector 110 is a terminal inclined portion (20) of the pipe connecting portion 20 as shown in FIG. 21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losed inclined portion 118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한편, 상기 연결구(110)와 상기 배관(10)의 말단 사이에도 밀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더욱 효과적인 밀폐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구(110)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배관 삽입부(112) 내측 말단에 더 형성되는 압착 오링 설치홈(115)과, 상기 압착 오링 설치홈(115)에 설치되는 압착 오링(11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ensure a more effective sealing performance by allowing sealing between the end of the connector 110 and the pipe 10, the connector 110 is the pipe insertion portion 112 as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ression o-ring installation groove 115 further formed at the inner end, and the compression o-ring installation groove 115 is further provided to the compression o-ring installation groove 115.

다음으로, 배관 밀착 부재(12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배관 밀착 부재(12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배관 삽입부(112)에 삽입된 상기 배관(10)과 상기 경사부(113) 사이에 그 외경이 하측으로 가며 좁아지는 제 1 경사부(121)가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측에는 그 외경이 상측으로 가며 좁아지는 제 2 경사부(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과 상측 내부에 각각 제 1 오링(123)과 제 2 오링(12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관 밀착 부재(120)는 밀착력이 좋으며 외력에 의하여 적절한 변형이 가능한 금속 소재(예를 들어 황동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한 강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재로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다.
Next, the pipe close contact member 12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pipe contact member 120 has an outer diameter narrowed downward between the pipe 10 inserted into the pipe insertion unit 112 and the inclined portion 113. The first inclined portion 121 is inserted and installed, and on the upper side, a second inclined portion 122 is formed, the outer diameter of which is narrowed upward, and the first o-ring 123 and the second inside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respectively. O-ring 124 is provided. The pipe contact member 120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brass) that can be appropriate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with good adhesion, but is not limited to this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an appropriate rigidity. Do.

한편, 상기 배관 밀착 부재(120)에는 상기 클램프 너트(130)의 체결시 상기 배관 밀착 부재(120)의 상측과 하측이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더욱 용이하게 상내측 방향으로 변형되며 인입되는어 상기 배관(10)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 1 오링(123)과 제 2 오링(124)이 더욱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배관 밀착 부재(120)의 내주면에 상기 제 1 오링(123)과 상기 제 2 오링(124) 사이에 각각 더 형성되는 제 1 함입 홈(125) 및 제 2 함입홈(12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lamp nut 130 is fastened to the pipe contact member 120,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ipe contact member 120 is deformed in the upper and inward direction more easily as shown in FIG. The first O-ring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contact member 120 as shown in FIG. 3 so that the first O-ring 123 and the second O-ring 124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ipe 10 more firmly.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recessed groove 125 and the second recessed groove 126 further formed between the 123 and the second O-ring 124, respectively.

다음으로, 클램프 너트(13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클램프 너트(13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나사산부(114)에 나사 결합되는 내부 나사산부(131)가 하측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 중앙에는 상기 배관(10)이 통과하는 배관 통공(132)이 형성되고, 하강시 상기 제 2 경사부(122)와 접촉하여 압박하는 클램프 경사부(133)가 상기 배관 통공(132)에 연이어 하측으로 가면 그 직경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Next, the clamp nut 130 is demonstrated. 3 and 4, the clamp nut 130 has an internal threaded portion 131 which is screwed to the threaded portion 114 is formed in the lower side, the pipe 10 in the upper center A pipe through hole 132 that passes through is formed, and when the clamp inclined part 133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22 and descends after the pipe through hole 132 goes downward, the diameter is widened. It i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100)의 작동에 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elf-adhesive piping connec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배관(10)을 상기 배관 삽입부(112)에 삽입한 후, 상기 배관 밀착 부재(120)를 상기 배관(10)에 끼운다.
First, the pipe 10 is inserted into the pipe insertion part 112, and then the pipe close contact member 120 is inserted into the pipe 10.

그 후, 상기 클램프 너트(130)를 끼운 후 상기 연결구(110)에 돌려 체결하기 시작한다.
After that, the clamp nut 13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110 and starts to tighten.

상기 클램프 너트(130)가 상기 연결구(110)에 체결되면서 하강하면, 상기 배관 밀착 부재(120)가 상기 연결구(110)와 상기 클램프 너트(130) 사이에서 상하로 압착된다.
When the clamp nut 130 is lowered while being fastened to the connector 110, the pipe contact member 120 is pressed up and down between the connector 110 and the clamp nut 130.

이때, 상기 경사부(113)에 의하여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 1 경사부(121)가 내측으로 압착되고, 상기 클램프 경사부(133)에 의하여 상기 제 2 경사부(122) 역시 내측으로 압착되면서 상기 배관(1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기 제 1 오링(123)과 제 2 오링(124)이 밀착되며 밀폐된다. 한편, 상기 경사부(113)와 상기 제 1 경사부(121) 사이 역시 압착력에 의하여 밀착되어 밀폐되며, 상기 클램프 경사부(133)와 상기 제 2 경사부(122) 사이 역시 압착력에 의하여 밀착되어 밀폐된다. 또한, 체결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제 1 경사부(121)의 하측 말단 및 상기 제 2 경사부(122)의 상측 말단 역시 상기 배관(10)에 접촉할 정도로 내측으로 인입하며 상기 배관(10)을 기계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관(10)의 상측과 하측이 모두 소정 간격을 두고 기계적으로 대단히 견고하게 밀폐 상태를 유지하며 지지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inclined portion 121 is pressed inward by the inclined portion 113,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22 is also inward by the clamp inclined portion 133. The first O-ring 123 and the second O-ring 124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sealed to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pipe 10 while being compressed. 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inclined portion 113 and the first inclined portion 121 is also tightly closed by the pressing force, the clamp between the inclined portion 133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22 is also in close contact by the pressing force It is sealed. In addition, as the fastening proceeds, the lower end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121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22 are also drawn inwardly to be in contact with the pipe 10 and the pipe 10 is opened. Mechanically supported. Therefore, both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pipe 10 are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hile maintaining a very tightly sealed state mechanically.

한편, 상기 제 1 경사부(121)와 상기 제 2 경사부(122)가 내측으로 인입됨에 따라, 상기 배관 밀착 부재(120)의 상하 방향 길이는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클램프 너트(130)가 체결되면서 상기 배관 밀착 부재(120)가 상기 배관(10)에 압착 지지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 길이가 줄어들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배관(10)을 아래로 끌어당겨 상기 압착 오링(116)에 밀착시며 추가적으로 더욱 효율적인 밀폐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s the first inclined portion 121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22 is drawn inward, the vertical length of the pipe contact member 120 is shortened. Therefore, since the clamp nut 130 is fastened, the length of the up-down direction is reduced in the state in which the pipe contact member 120 is crimped and supported by the pipe 10. As a result, the pipe 10 is shown in FIG. 7. Pulls down to closely contact the crimped O-ring 116 and additionally provides a more efficient sealing structure.

이상에서는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In the foregoing, optimal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employed herein, they are u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배관
20: 배관 연결부 21: 말단 경사부
22: 경사면
100: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
110: 연결구 111: 통공
112: 배관 삽입부 113: 경사부
114: 나사산부 115: 압착 오링 설치홈
116: 압착 오링 117: 렌치 결착부
118: 밀폐 경사부 119: 결합 나사부
120: 배관 밀착 부재 121: 제 1 경사부
122: 제 2 경사부 123: 제 1 오링
124: 제 2 오링
125: 제 1 함입홈 126: 제 2 함입홈
130: 클램프 너트 131: 내부 나사산부
132: 배관 통공 133: 클램프 경사부
134: 렌치 결합부
10: Piping
20: pipe connection 21: end slope
22: slope
100: self-contained piping connection
110: connector 111: through hole
112: pipe insertion portion 113: inclined portion
114: thread 115: crimping O-ring mounting groove
116: crimped O-ring 117: wrench binding portion
118: sealing inclination 119: coupling screw
120: piping contact member 121: first inclined portion
122: second inclined portion 123: first O-ring
124: second O-ring
125: first recessed groove 126: second recessed groove
130: clamp nut 131: internal thread
132: pipe through hole 133: clamp inclined portion
134: wrench coupling

Claims (5)

중앙에 통공(111)이 형성되어 있고, 배관(10)이 삽입되며 상기 통공(111)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배관 삽입부(112)와, 상기 배관 삽입부(112)에 연이어 형성되며 외측으로 확장되는 경사를 지니는 경사부(113)를 구비하고, 외주연을 따라 나사산부(114)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110);
상기 배관 삽입부(112)에 삽입된 상기 배관(10)과 상기 경사부(113) 사이에 그 외경이 하측으로 가며 좁아지는 제 1 경사부(121)가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측에는 그 외경이 상측으로 가며 좁아지는 제 2 경사부(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과 상측 내부에 각각 제 1 오링(123)과 제 2 오링(124)이 설치되어 있는 배관 밀착 부재(120);
상기 나사산부(114)에 나사 결합되는 내부 나사산부(131)가 하측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 중앙에는 상기 배관(10)이 통과하는 배관 통공(132)이 형성되고, 하강시 상기 제 2 경사부(122)와 접촉하여 압박하는 클램프 경사부(133)가 상기 배관 통공(132)에 연이어 하측으로 가면 그 직경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 너트(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100).
A through hole 111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and the pipe 10 is inserted into the pipe insertion part 112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through hole 111, and is formed in succession to the pipe insertion part 112 and extends outward. A connector 110 having an inclined portion 113 having an inclined portion and having a threaded portion 114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Between the pipe 10 inserted into the pipe inserting portion 112 and the inclined portion 113,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121 is narrowed to the lower side is inserted is installed, the outer diameter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A second inclined portion 122 which is narrowed toward the upper side and is formed, the pipe contact member 120 having a first O-ring 123 and a second O-ring 124 installed in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side, respectively;
An internal threaded portion 131 screwed to the threaded portion 114 is formed inside the lower side, and a pipe through-hole 132 through which the pipe 10 passes is formed at an upper center thereof, and when descending, the second slope A clamp nut 130 which is formed such that a diameter of the clamp inclined portion 133 that contacts and compresses the portion 122 goes downward after the piping through hole 132 is widened; Self-contained piping connector 100,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10)는 중앙 외주면에 렌치 결착부(117)가 더 형성되면서, 상기 렌치 결착부(117)의 양측에 상기 배관 삽입부(112,112'), 경사부(113,113') 및 나사산부(114,114')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구(110)의 양측에 각각 배관 밀착 부재(120,120') 및 클램프 너트(130, 13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or 110 has a wrench binding portion 117 further formed on a central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pipe insertion portions 112 and 112 ', the inclined portions 113 and 113' and the threaded portions 114 and 114 on both sides of the wrench binding portion 117. '),
Self-adhesive piping connector 100, characterized in that the pipe contact member 120, 120 'and the clamp nut (130, 130')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onnector 110, respectively.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10)의 상기 통공(111)에 연이어 형성되며, 배관연결부(20)의 말단 경사부(21)에 밀착될 수 있는 밀폐 경사부(118);
상기 배관연결부(20)의 체결 나사부(22)에 나사 체결가능하도록 상기 연결구(110)에 더 형성되는 결합 나사부(119);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aling inclined portion 118 which is formed successively in the through hole 111 of the connector 110 and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tal end portion 21 of the pipe connecting portion 20;
A coupling screw part 119 which is further formed at the connector 110 so as to be screwable to the coupling screw part 22 of the pipe connection part 20; Self-adhesive piping connector 100,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further comprises.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밀착 부재(120)의 내주면에 상기 제 1 오링(123)과 상기 제 2 오링(124) 사이에 각각 더 형성되는 제 1 함입 홈(125) 및 제 2 함입홈(126);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10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first recessed groove 125 and a second recessed groove 126 which are further formed between the first O-ring 123 and the second O-ring 124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contact member 120; Self-adhesive piping connector 100,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청구항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삽입부(112) 내측 말단에 더 형성되는 압착 오링 설치홈(115);
상기 압착 오링 설치홈(115)에 설치되는 압착 오링(11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 crimping o-ring installation groove 115 further formed at an inner end of the pipe insertion portion 112;
Self-adhesive piping connector 10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urther comprises a compressed O-ring (116) is installed in the compressed O-ring installation groove (115).
KR1020140022481A 2014-02-26 2014-02-26 Self- tightning pipe clamp Ceased KR2014004434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481A KR20140044347A (en) 2014-02-26 2014-02-26 Self- tightning pipe clam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481A KR20140044347A (en) 2014-02-26 2014-02-26 Self- tightning pipe clam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347A true KR20140044347A (en) 2014-04-14

Family

ID=50652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481A Ceased KR20140044347A (en) 2014-02-26 2014-02-26 Self- tightning pipe clam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4347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175B1 (en) * 2017-03-28 2018-04-24 손영종 under-ground pipe
WO2018174485A1 (en) * 2017-03-20 2018-09-27 전지민 Eco-friendly shank bolts for faucet
KR20210046307A (en) * 2019-10-18 2021-04-28 유학현 Ferrule assembly for fitting
CN115076473A (en) * 2022-06-16 2022-09-20 江西东塑科技有限公司 Sewage pipes jointing equipment convenient to dismouting
WO2025020240A1 (en) * 2023-07-24 2025-01-30 宁波普锐流体科技有限公司 Waterproof o-ring for press-fitting of pipe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4485A1 (en) * 2017-03-20 2018-09-27 전지민 Eco-friendly shank bolts for faucet
KR101851175B1 (en) * 2017-03-28 2018-04-24 손영종 under-ground pipe
KR20210046307A (en) * 2019-10-18 2021-04-28 유학현 Ferrule assembly for fitting
CN115076473A (en) * 2022-06-16 2022-09-20 江西东塑科技有限公司 Sewage pipes jointing equipment convenient to dismouting
CN115076473B (en) * 2022-06-16 2024-01-16 江西东塑科技有限公司 Sewage pipeline connecting equipment convenient to disassemble and assemble
WO2025020240A1 (en) * 2023-07-24 2025-01-30 宁波普锐流体科技有限公司 Waterproof o-ring for press-fitting of pip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0400B1 (en) Pipe connector assembly and pipe connection method using the same
US10571060B2 (en) Structure of resin-made pipe joint
KR20140044347A (en) Self- tightning pipe clamp
KR102066605B1 (en) Pipe connector
KR101171692B1 (en) Piping connector
US20220299134A1 (en) Fitting device for making connection tube that can fine position adjustment of the tube
KR200443803Y1 (en) Grip ring for pipe connection
KR20140091268A (en) A pipe connector
CN108474508B (en) Pipe connection assembly
KR20120008422U (en) A hose connector with improved sealing properties
KR20180030958A (en) Pipe coupler
KR20180012044A (en) Low Pressure Compression Type Pipe Fitting And Method of Compressing Thereof
KR20200065772A (en) Cable Gland with easy connection and separation
KR101316016B1 (en) One touch type pipe connection assembly kit and pipe connection method thereof
KR101393395B1 (en) Pipe and nut assembly for fixing pipe
KR101586171B1 (en) Pipe connecting device
KR100308564B1 (en) Pipe connector
KR20100124916A (en) Connecting method of small diameter size pipe, and sealing structure thereof
KR101638835B1 (en) Pipe connector
US11187365B2 (en) Connector for piping networks
KR101628997B1 (en) Pipe connector assembly
KR101540109B1 (en) Pipe connector assembly
KR20190000418A (en) Pipe fixing device
KR20190015920A (en) Connecting structure for pipe
KR0120330Y1 (en) One-touch plug-i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31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4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12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