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41215A - 슬래그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슬래그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1215A
KR20140041215A KR20120108293A KR20120108293A KR20140041215A KR 20140041215 A KR20140041215 A KR 20140041215A KR 20120108293 A KR20120108293 A KR 20120108293A KR 20120108293 A KR20120108293 A KR 20120108293A KR 20140041215 A KR20140041215 A KR 20140041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brush
slag
motor
guide ra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20120108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5850B1 (ko
Inventor
이종민
이윤모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108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850B1/ko
Publication of KR20140041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85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50Cleaning
    • B07B1/52Cleaning with brushes or scrapers
    • B07B1/522Cleaning with brushes or scrapers with brushes
    • B07B1/524Cleaning with brushes or scrapers with brushes the brushes being ro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4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슬래그 선별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슬래그를 선별하는 제1 스크린, 상기 제1 스크린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한 슬래그를 배출하는 제1 이송 컨베이어, 상기 제1 스크린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스크린을 통과한 슬래그를 2차 선별하는 제2 스크린, 상기 제2 스크린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한 슬래그를 배출하는 제2 이송 컨베이어 및 상기 제2 스크린에 고착된 슬래그를 제거하는 이동청소부를 포함하는 슬래그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슬래그 선별장치{DEVICES FOR SELECTING SLAG}
본 발명은 슬래그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강공정에서 발생되는 슬래그는 슬래그 포트에 담아 배출되고, 1 ~ 2일 정도 연속적으로 냉각수를 뿌려주면서 냉각시킨다. 그 후 중장비를 이용한 1차 파쇄와 재활용 용도에 따른 골재 사이즈 선별을 위한 2차 파쇄 및 선별 과정을 거치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69432호(2003.01.24, 제강 슬래그를 이용한 골재 제조방법 및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슬래그 선별 효율을 향상시키고 인력 투입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슬래그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슬래그를 선별하는 제1 스크린, 상기 제1 스크린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한 슬래그를 배출하는 제1 이송 컨베이어, 상기 제1 스크린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스크린을 통과한 슬래그를 2차 선별하는 제2 스크린, 상기 제2 스크린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한 슬래그를 배출하는 제2 이송 컨베이어 및 상기 제2 스크린에 고착된 슬래그를 제거하는 이동청소부를 포함하는 슬래그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이동청소부는 상기 제2 스크린의 상면에 접촉하는 브러시, 상기 브러시를 회전시키는 브러시 구동부 및 상기 브러시 및 상기 브러시 구동부를 탑재하고, 상기 제2 스크린의 상면과 평행하게 배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브러시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러시 이송부는 상기 브러시 및 상기 브러시 구동부를 탑재하는 프레임, 상기 가이드 레일에 형성된 래크 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프레임에 탑재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러시 구동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 동력을 상기 브러시의 회전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형성된 제1 풀리, 상기 브러시의 회전축에 형성된 제2 풀리 및 상기 제1 풀리의 회전 동력을 상기 제2 풀리에 전달하는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부에는 보호커버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청소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탈 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슬래그, 특히 수분 함량이 많은 슬래그를 선별하는 과정에서 스크린에 고착된 슬래그를 최소한의 인력 투입으로 제거할 수 있고, 스크린에 고착된 슬래그로 인하여 슬래그 선별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선별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이동청소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선별장치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선별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이동청소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선별장치(10)는 제1 스크린(100), 제1 이송 컨베이어(200), 제2 스크린(300), 제2 이송 컨베이어(400) 및 이동청소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크린(100)은 파쇄 공정을 거친 제강 슬래그(20)를 1차 선별하는 기능을 하고, 제1 기준입도 이하의 슬래그는 통과시키고 제1 기준입도 이상의 슬래그는 통과시키지 않는다.
상기 제1 기준입도는 약 13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요구되는 선별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200)는 컨베이어 장치로서, 상기 제1 스크린(100)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스크린(100)을 통과하지 못한 슬래그를 제1 배출부(미도시)로 배출한다.
상기 제2 스크린(300)은 상기 제1 스크린(100)을 통과한 슬래그를 2차 선별하는 기능을 하고, 제2 기준입도 이하의 슬래그는 통과시키고 제2 기준입도 이상의 슬래그는 통과시키지 않는다.
상기 제2 기준입도는 상기 제1 기준입도보다 작게 설정되고 약 5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요구되는 선별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 컨베이어(400)는 컨베이어 장치로서, 상기 제2 스크린(300)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스크린(300)을 통과하지 못한 슬래그를 제2 배출부(미도시)로 배출한다.
도 2는 이동청소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청소부(500)는 상기 제2 스크린(300)에 고착된 슬래그를 제거하는 기능을 하고, 브러시(510), 브러시 이송부(520) 및 브러시 구동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러시(510)는 상기 제2 스크린(300)의 상면에 접촉하고, 상기 브러시 구동부(530)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 스크린(300)에 고착된 슬래그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브러시 이송부(520)는 상기 브러시(510)를 탑재하고, 상기 제2 스크린(300)의 상면과 평행하게 배치된 가이드 레일(310)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브러시(510)는 상기 브러시 이송부(520)에 탑재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310)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 스크린(300)의 상면 전체를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브러시 이송부(520)는 상기 브러시(510) 및 상기 브러시 구동부(530)를 탑재하는 프레임(522), 상기 가이드 레일(310)에 형성된 래크 기어(320)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524) 및 상기 프레임(522)에 탑재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524)를 회전시키는 모터(5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크 기어(320)는 상기 제2 스크린(30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3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310)의 상부에는 보호커버(330)가 설치됨으로써 슬래그 선별 공정 중 상기 제1 스크린(100)을 통과한 슬래그가 상기 가이드 레일(310)에 형성된 상기 래크 기어(320)에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524)는 상기 모터(526)의 회전축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526)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속도 조절이 가능한 서보모터(servo motor)일 수 있다.
상기 모터(526)가 상기 피니언 기어(524)를 회전시키면, 상기 피니언 기어(524)는 상기 래크 기어(320)에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래크 기어(320)가 형성된 상기 가이드 레일(310)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524)가 이동하면 상기 피니언 기어(524)를 회전시키는 상기 모터(526) 및 상기 모터(526)가 탑재된 상기 프레임(522)도 상기 피니언 기어(524)와 함께 이동한다. 상기 프레임(522)이 이동하면 상기 브러시(510) 및 상기 브러시 구동부(530)를 포함한 상기 이동청소부(500) 전체가 이동한다.
상기 브러시 구동부(530)는 상술한 것처럼 상기 브러시(520)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브러시 구동부(530)는 상기 모터(526)의 회전 동력을 상기 브러시(51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모터(526)의 회전축에 형성된 제1 풀리(532), 상기 브러시(510)의 회전축에 형성된 제2 풀리(534) 및 상기 제1 풀리(532)의 회전 동력을 상기 제2 풀리(534)에 전달하는 벨트(5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모터(526)가 아닌 다른 모터(미도시)의 회전 동력을 상기 브러시(510)에 전달할 수 있고, 이때 상기 브러시 이송부(520)와 상기 브러시 구동부(530)는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즉, 상기 브러시 이송부(520)와 상기 브러시 구동부(530)는 다른 모터에 의해 각각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이동청소부(500)는 상기 가이드 레일(310)에 탈 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후술하는 것처럼, 상기 이동청소부(500)는 진동이 발생하는 슬래그의 선별 공정 중에는 하우징(600)의 외부로 분리되고, 선별 공정 중간의 쉬는 시간에 상기 하우징(600) 내에 배치되는 상기 가이드 레일(310)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스크린(300)의 청소 작업을 수해하게 된다.
상기 스크린 선별장치(10)는 상기 제1 스크린(100) 및 상기 제2 스크린(200)이 내부에 고정됨으로써 선별 공정이 수행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스크린(100) 및 상기 제2 스크린(200)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하우징(6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600)은 상기 제1 스크린(100)을 통과하지 못한 슬래그를 배출하는 제1 배출구(610), 상기 제2 스크린(200)을 통과하지 못한 슬래그를 배출하는 제2 배출구(620), 상기 이동청소부(500)가 상기 하우징(600)을 출입할 수 있는 브러시출입구(630) 및 상기 이동청소부(500)에 선별 공정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상기 하우징(600)의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이동청소부(500)를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브러시보관소(6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슬래그 선별장치
20: 슬래그
100: 제1 스크린
200: 제1 이송 컨베이어
300: 제2 스크린
400: 제2 이송 컨베이어
500: 이동청소부
510: 브러시
520: 브러시 이송부
530: 브러시 구동부

Claims (7)

  1. 슬래그를 선별하는 제1 스크린;
    상기 제1 스크린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한 슬래그를 배출하는 제1 이송 컨베이어;
    상기 제1 스크린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스크린을 통과한 슬래그를 2차 선별하는 제2 스크린;
    상기 제2 스크린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한 슬래그를 배출하는 제2 이송 컨베이어; 및
    상기 제2 스크린에 고착된 슬래그를 제거하는 이동청소부를 포함하는 슬래그 선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청소부는,
    상기 제2 스크린의 상면에 접촉하는 브러시;
    상기 브러시를 회전시키는 브러시 구동부; 및
    상기 브러시 및 상기 브러시 구동부를 탑재하고, 상기 제2 스크린의 상면과 평행하게 배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브러시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선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이송부는,
    상기 브러시 및 상기 브러시 구동부를 탑재하는 프레임;
    상기 가이드 레일에 형성된 래크 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프레임에 탑재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선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구동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 동력을 상기 브러시의 회전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선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형성된 제1 풀리;
    상기 브러시의 회전축에 형성된 제2 풀리; 및
    상기 제1 풀리의 회전 동력을 상기 제2 풀리에 전달하는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선별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부에는 보호커버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선별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청소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탈 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선별장치.
KR20120108293A 2012-09-27 2012-09-27 슬래그 선별장치 Active KR101455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8293A KR101455850B1 (ko) 2012-09-27 2012-09-27 슬래그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8293A KR101455850B1 (ko) 2012-09-27 2012-09-27 슬래그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215A true KR20140041215A (ko) 2014-04-04
KR101455850B1 KR101455850B1 (ko) 2014-10-27

Family

ID=50651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08293A Active KR101455850B1 (ko) 2012-09-27 2012-09-27 슬래그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8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6348A (zh) * 2020-10-12 2021-03-16 安徽哈特三维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粉末加工用筛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050B1 (ko) * 2017-09-21 2018-02-09 공조기특판산업 주식회사 굴착용 이송장치
JP7378256B2 (ja) 2019-09-26 2023-11-13 ニチハ株式会社 建材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5116A (en) 1979-06-11 1980-12-23 Ando Screen Seisakusho:Kk Brush driving device of screen for solid-liquid separation
JPH09150118A (ja) * 1995-11-28 1997-06-10 Nippon Steel Corp 水砕製造設備の水切りフィルタ清掃装置
KR20010105860A (ko) * 2000-05-19 2001-11-29 이구택 입도 선별용 스크린 눈 청소 장치
KR100369432B1 (ko) * 2002-08-02 2003-01-24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제강 슬래그를 이용한 골재 제조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6348A (zh) * 2020-10-12 2021-03-16 安徽哈特三维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粉末加工用筛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5850B1 (ko) 2014-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5850B1 (ko) 슬래그 선별장치
KR20160056698A (ko) 밸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처리 장치
CN201390518Y (zh) 一种埋刮板输送机
KR101421280B1 (ko) 진개물 파쇄장치를 갖는 제진기
CN209565874U (zh) 一种加工用排屑机构
CN104815721A (zh) 一种土木工程用碎石机
JP5848167B2 (ja) 研削装置
CN211100410U (zh) 一种多槽式超声波清洗机
KR101228684B1 (ko) 잔류물 제거 장치
CN103878136B (zh) 垂直输送的滚轮装置
CN105964399A (zh) 一种五金电器零件分拣装置
CN108500404B (zh) 一种螺纹加工机
CN205093536U (zh) 腰果开壳机用给料机构
CN206676831U (zh) 一种玻璃深加工清洗装置
CN106514417A (zh) 一种应用于机床加工集中排屑的装置系统
CN213798270U (zh) 一种高密度焦炭压球机
CN205413562U (zh) 一种蔬菜碎末筛选机
CN104108586B (zh) 一种可振动的水果送料装置
CN104099626A (zh) 阳极材料清洗筛选机
KR20070091805A (ko) 빌렛 연마기용 스케일 배출장치
CN206939691U (zh) 一种返料装置及波状挡边带式输送机
KR101148219B1 (ko) 자기력 슬러지 분리 장치
CN217920019U (zh) 一种硅原石加工输送装置
CN217664465U (zh) 一种高效低污染的振动磨光装置
KR101277871B1 (ko) 이동식 스크랩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1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9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0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