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0656A - Air dome type greenhouse using cold and hot ventilation - Google Patents
Air dome type greenhouse using cold and hot ventil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40656A KR20140040656A KR1020130113313A KR20130113313A KR20140040656A KR 20140040656 A KR20140040656 A KR 20140040656A KR 1020130113313 A KR1020130113313 A KR 1020130113313A KR 20130113313 A KR20130113313 A KR 20130113313A KR 20140040656 A KR20140040656 A KR 201400406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house
- supply pipe
- water
- outsi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5—Conduits for heating by means of liquids, e.g. used as frame members or for soil heat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물의 생육에 적합한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하도록 자동으로 비닐하우스 내부의 공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는 동시에, 지층에 매설된 다수의 가습 공급관을 통해 내부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냉온 통풍을 이용한 에어 하우스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비닐필름의 내부에 공기를 채워서 외부와 격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동 및 내부동과, 상기 외부동과 상기 내부동으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부와, 상기 외부동 및 상기 내부동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로 구성된 냉온 통풍을 이용한 에어 하우스로서, 상기 내부동에는 다수의 가습 공급관이 매설되되, 상기 가습 공급관은 상기 급기부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가습 공급관의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가습 공급관의 내부에는 일정 수위의 물이 공급되어 상기 가습 공급관을 통해 내부동의 습도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discharges the air inside the plastic house to the outside to automatically mainta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uitable for the growth of the crop, and at the same time to control the humidity inside the room through a plurality of humidifying supply pipes embedded in the ground floor The used air house is started. The present invention is filled with air in the inside of the vinyl film to form a space isolated from the outside and the inner cavity, the ai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outside air to the outer and the inner cavity, and the outer and inner An air house using a cold and hot ventilation consisting of an exhaust unit for discharging the air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humidification supply pipe is embedded in the inner dong, the humidification supply pipe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to supply the outside air, the humidification A part of the supply pip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water of the predetermined level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humidification supply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umidity control of the internal cavity is made through the humidification supply pipe.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온 통풍을 이용한 에어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물의 생육에 적합한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하도록 자동으로 비닐하우스 내부의 공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는 동시에, 지층에 매설된 다수의 가습 공급관을 통해 내부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냉온 통풍을 이용한 에어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house using cold and hot ventil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quickly discharge the air inside the plastic house to the outside to maintain a temperature and humidity suitable for the growth of crops, It relates to an air house using cold and hot air ventilation that can control the humidity inside the humidification supply pipe.
일반적으로 난방시설을 갖춘 유리실을 온실이라고 하는데, 유리로 건조되었어도 난방시설이 없는 것은 온실과 구분하여 유리실이라고 하며 난방장치가 되어 있는 비닐하우스를 온실에 포함시킨다. 그러나 최근 온실은 난방과 냉방장치를 동시에 갖추어 온도의 조절폭이 넓어지고 있으며, 온도ㆍ공중습도 및 광선까지를 완전히 조절할 수 있는 온실은 인공 기상실이라고 한다.Generally, a glass room with heating facilities is called a greenhouse. A glass room with a heating system is distinguished from a greenhouse even if it is dried with glass. Recently, however, greenhouses are equipped with both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s, and the temperature range is widening. The greenhouse, which can control temperature, air humidity, and even light rays, is called an artificial meteorological chamber.
온실은 작물의 촉성재배와 억제재배가 가능하여 일년 내내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고, 노지에서는 재배가 되지 않는 특수 농작물의 재배ㆍ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정한 면적에서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으며, 여러 농작물의 생육단계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교배육종(交配育種)에 널리 이용되고, 온도ㆍ습도ㆍ광선을 조절하여 작물의 반응을 조사함으로써 환경과 작물생육의 관계를 연구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Greenhouses can produce crops all year round, with the ability to promote cultivation and restraint cultivation of crops, and cultivate and produce special crops that are not cultivated on the open ground. It is widely used in breeding breeding by controlling the stage freely, and has the advantage of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 and crop growth by examining the reaction of crops by adjusting temperature, humidity and light.
온실을 건축할 장소를 선택할 때에는 태양광선의 이용가능성, 지하수위의 높이, 수질, 통풍상태, 각종 작업수행상의 편리성 등을 고려해야 하는데, 온실은 동서로 길게 하거나 남북으로 길게 건축하는 것이 보통인데, 동서동(棟)은 겨울철에 태양열의 이용이 유리하므로 온도가 낮은 계절에만 집중적으로 온실을 이용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적합하지만, 남북동은 저온기의 보온과 고온기의 환기 및 냉방이 용이하므로 연중 계속해서 온실을 이용해야 할 경우에는 남북동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When choosing a place to build a greenhouse,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availability of sunlight, the height of the groundwater level, the quality of the water, the ventilation conditions, and the convenience of performing various tasks. The greenhouse is usually long east-west or north-south. Copper is suitable for the use of solar heat during the winter season, so it is suitable when the greenhouse needs to be intensively used in the low temperature season. If it is necessary to use it, it can be said that north and south east is suitable.
그러나, 일반적인 온실은 시설비와 관리 유지비가 많이 소요되며, 폭우ㆍ폭설 또는 태풍 등의 기상재해에 취약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However, general greenhouses require a lot of facility and maintenance costs, and are vulnerable to meteorological disasters such as heavy rain, heavy snow, and typhoon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개발된 공기 충전식 비닐하우스는 에어돔과 비닐하우스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128228호에는 이러한 공기 충전식 비닐하우스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The air-filled vinyl house developed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is to combine the advantages of the air dome and the vinyl house,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0228228 patent application registered by the applicant for the technology of such air-filled vinyl house Is disclosed.
이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동(21)을 형성하는 외부비닐(21a)의 외부에는 그물망으로 이루어지는 비닐 보호용 고정네트(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네트(24)는 그 가장자리가 외부비닐(21a)과 함께 땅속에 매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부동(21)의 내부에는 그 외부동(21)과 소정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내부동(23)이 위치하고 있다. 이 내부동(23)을 이루는 내부비닐(23a) 역시 그 가장자리가 땅속에 매설되어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22'는 출입문이다.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outer side of the outer vinyl (21a) forming the
상기 외부비닐(21a) 및 내부비닐(23a)의 지중 매설 구조를 보면, 외부비닐(21a)과 내부비닐(23a)의 양측 가장자리에 안전파이프(26,26')가 연결되어 땅속에 소정 깊이로 매설되어 있고, 이 안전 파이프(26,26')는 다시 복수 개의 고정구(27)에 의해 지반에 고정 및 지지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27)는 안전파이프(26,26')를 약 2m 간격으로 고정하고 있는바, 약 16mm 정도의 지름을 갖는 철근의 상단 부위를 10cm 정도 구부리고 하단 부위를 20cm 정도 구부린 구조를 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약 90cm의 깊이로 땅속에 매몰되어 안전 파이프(26,26')를 고정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비닐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종래와 같은 비닐 매설부에서의 비닐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underground embedding structure of the
한편, 상기 외부비닐(21a)의 외부에 설치되는 고정네트(24)는 소정의 굵기를 갖는 로프를 사각 형상의 격자 구조로 연속, 직조한 매듭이 없는 망사로 이루어지나, 이를 꼭 사각 형상의 격자 구조로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마름모꼴이나 원형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고정네트(24)는 외부비닐(21a)과 함께 그 양측 가장자리가 안전 파이프(26,26')에 결착되어 땅속에 매설된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상기 안전파이프(26,26')는 통상 그 길이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수개의 안전 파이프를 약 20cm 정도의 길이로 된 연결봉(26a)으로 연결하여 설치한다. 즉 양측의 안전 파이프에 연결봉을 끼우고 피스로 고정하여 설치하는 것이다.Since the
또한 상기 내부비닐(23a)은 다수개의 지지로프(23b)가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일체로 부착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지지로프(23b)는 비닐의 세로 방향으로 2m의 간격을 유지하여 양측 비닐 사이에 접착되어 있는 바, 이 지지로프(23b)의 양단을 안전 파이프(26,26')에 결착하여 땅속에 매설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상기 비닐의 양측 매설부에는 그 비닐(21a,23a)의 내측에 소정의 특정 공간, 예컨대 외부동(21) 및 내부동(23)이 형성되도록 외부 공기를 불어 넣는 송풍기(28,28')가 설치되어 있는 바, 이는 외부동용 제1송풍기(28)와 내부동용 제2송풍기(28')로 구분되어 각각 매설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송풍기(28,28')는 설치한 비닐 하우스의 크기에 따라 그 수를 가감하여 설치할 수 있다.
송풍기(28,28')는 보온용 고무박스에 내장되어 있고, 송풍관에 의해 외부와 연통되어 있으며, 이 송풍관의 단부에는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갓(30a)이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해충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등이 내장되어 있다.The
상기와 같은 송풍기(28,28')에 의한 공기 주입으로 형성된 외부동(21) 및 내부동(23)의 천정부에는 비닐하우스 내부를 환기시킴과 아울러 내부의 기압조정을 위한 환기구(31,3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부동용 환기구(31)는 한개의 개폐구당 10cm 간격의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와 같은 환기구(31)는 외부동(21)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환기구(31)가 형성된 외부동(21)의 상부에는 상기 환기구(31)를 개폐하기 위한 환기구 개폐수단이 설치되어 있다.The outer
상기 내부동용 환기구(33)는 회전 대청인 부채꼴 형상의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와 같은 내부동 환기구(33)의 중심에는 상기 구멍에 대응하는 부채꼴 형상의 개구부를 갖는 회전 원판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환기구(33)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원판은 감속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The inner-ventilating
그러나, 종래의 공기 충전식 비닐하우스의 경우에는 송풍기(28,28')가 비닐하우스의 좌ㆍ우 양측에 위치되고, 상기 송풍기(28,28')의 수직 상부에 환기구(31,33)가 형성되므로, 비닐하우스의 좌ㆍ우 양측에 설치된 송풍기(28,28')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이 간섭되어 섞이면서 와류를 형성하게 되어 상기 환기구(31,33) 쪽으로 원활한 배기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ir-filled plastic house, the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작물의 생육에 적합한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하도록 자동으로 비닐하우스 내부의 공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는 동시에, 지층에 매설된 다수의 가습 공급관을 통해 내부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냉온 통풍을 이용한 에어 하우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t the same time to automatically discharge the air inside the plastic house to the outside automatically to mainta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uitable for the growth of crops, a plurality of humidifying supply pipes buried in the ground lay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house using the cold and hot air ventilation can control the humidity inside.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비닐필름의 내부에 공기를 채워서 외부와 격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동 및 내부동과, 상기 외부동과 상기 내부동으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부와, 상기 외부동 및 상기 내부동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로 구성된 냉온 통풍을 이용한 에어 하우스로서, 상기 내부동에는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다수의 가습 공급관이 매설되고, 상기 가습 공급관에는 외부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급기장치가 연결되고, 상기 가습 공급관의 내부에는 일정 수위의 물이 공급되도록 물공급부가 연결되어 상기 급기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외부 공기에 의해 상기 가습 공급관 내의 물을 기화시켜 상기 내부동으로 공급하는 냉온 통풍을 이용한 에어 하우스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outer and inner dong to fill the air inside the vinyl film to form a space isolated from the outside, and the outside air to the outer and the inner dong An air house using a cold and hot ventilation consisting of an ai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air, and an exhaust unit for discharging the air of the outer and inner dongs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humidification supply pipes are embedded in the inner dong so tha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An air supply unit for injecting external air is connected to the humidification supply pipe, and a water supply unit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humidification supply pipe so that water of a predetermined level is supplied to the water in the humidification supply pipe by the external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device. It provides an air house using the cold and hot ventilation to be vaporized and supplied to the inner cavity.
상기 가습 공급관은, 상기 급기장치와 연결된 주관, 및 상기 주관에서 다수 개로 분기되며 상부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분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umidifying supply pipe may include a main pipe connected to the air supply device, and a branch pipe branched into a plurality of main pipes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급기부와 상기 배기부는 서로 대향하도록 비닐 하우스의 전후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배기부는 상기 비닐 하우스의 전후면 중 어느 하나에 다수의 송풍팬이 서로 이격되고 수직하게 각각 배치될 수 있다. The air supply unit and the exhaust unit may be disposed in front and rear of the vinyl house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the exhaust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blowing fa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vertically in any on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vinyl house.
상기 급기장치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의 내부에 장착된 흡기팬,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급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다수의 노즐을 통해 하부로 상기 물을 분사하는 물공급 라인, 상기 프레임 본체의 측벽에 각각 장착되며 복수의 통공이 패턴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통공은 평면상에서 서로 교차하는 방향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물공급 라인으로부터 떨어지는 상기 물을 흡수하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 및 상기 물공급 라인에서 떨어지는 상기 물을 회수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air supply device, the frame body; An intake fan mounted inside the frame body, a water supply line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body, receiving water through a supply pipe, and spraying the water downward through a plurality of nozzles, respectively, and mounted on sidewalls of the frame body;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to form a pattern, The through holes are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each other on a plane and made of a material for absorbing the water falling from the water supply lin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And It may include a drain lin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body to recover the water falling from the water supply line.
상기 필터는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서로 교차하여 다수 개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제1부재는 일정 폭을 갖는 다수의 곡면이 고저차를 갖도록 연속되게 형성되되, 상기 곡면은 평면상에서 사선방향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1부재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되, 상기 제1부재의 상기 곡면의 상기 사선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lter may be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first members and a second member to cross each other, and the first member may be formed to have a plurality of curved surfaces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n order to have a height difference, and the curved surfaces may have an oblique direction on a plane. The second member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first member, and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curved surface of the first member.
상기 프레임 본체에는 상기 필터의 전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해충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보호망이 장착될 수 있다. The frame body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filter may be equipped with a protective net to block the introduction of pests from the outside.
상기 흡기팬의 하부로 연통하도록 지층에 매설되어, 상기 흡기팬으로 도입된 외기를 지열로 열교환시켜 상기 가습 공급관으로 공급하는 열교환관을 더 포함하여이루어질 수 있다. It may be further comprises a heat exchanger tube buried in the ground layer so as to communicat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take fan, the heat exchanger to heat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intake fan to geothermal heat supply to the humidification supply pipe.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부분이 지층에 매설된 가습 공급관을 통해 내부동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습기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물의 생육에 적합한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moisture by injecting air into the inner cavity through a humidifying supply pipe embedded in a portion of the strata, thereby maintaining a temperature and humidity suitable for the growth of crops.
도 1은 종래의 공기 충전식 비닐하우스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도 1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 통풍을 이용한 에어 하우스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 통풍을 이용한 에어 하우스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 통풍을 이용한 에어 하우스의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 통풍을 이용한 에어 하우스의 가습 공급관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 통풍을 이용한 에어 하우스의 급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 통풍을 이용한 에어 하우스의 급기장치의 필터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 통풍을 이용한 에어 하우스의 급기장치의 필터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 통풍을 이용한 에어 하우스의 급기장치의 여과필터의 공기흐름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ir-filled plastic house,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house using cold and hot venti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of Fig. 3,
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house using cold and hot venti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house using cold and hot venti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humidification supply pipe of the air house using cold and hot air venti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ir supply unit of the air house using cold and hot 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filter of the air supply unit of the air house using cold and hot 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showing a filter of the air supply unit of the air house using cold and hot 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11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air flow of the filtration filter of the air supply unit of the air house using cold and hot 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본 발명은 하우스 본체(10)가 전체적으로 비닐 필름(12)로 덮인 상태로 이루어지며, 전방에는 배기부(13)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급기부(14)가 형성된다. 3 to 5,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하우스 본체(10)의 전방에는 출입문(11)이 형성되고, 출입문(11)의 전방의 양측으로는 배풍기(13a,13b)가 설치된다. 이 배풍기(13a,13b)는 다수의 송풍팬이 일정간격으로 적층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시킨다.In addition, the
이에 따라, 하우스 본체(10)의 내부에 공기가 체류되거나 하우스 본체(10)의 출입구(11) 측에서 와류되어 정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ir from staying inside the house
한편, 하우스 본체(10)는 내부동(10a)과 외부동(10b)으로 구분된다. 내부동(10a)은 작업자가 작물을 재배하거나 작업이 이루어지는 공간이고, 외부동(10b)은 하우스 본체(10)를 형성하고 지지하는 공간이다. On the other hand, the
구체적으로, 외부동(10b)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다수의 필름층이 일정간격을 두고 적층되어 다층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외부동(10b)은 급기부(14; 하나 또는 다수개의 급기팬; '15'으로 구성됨)의 송풍라인(17)에 각각 연결되고, 이 송풍라인(17)은 배기라인(16)과 연결되어, 급기부(14)를 통해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외부동(10b)의 각 층(A,B,C)으로 각각 주입하여 외부동(10b)을 부풀려진 상태로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배기부(13)의 배기라인(16)을 통해 외부로 배기되도록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이때, 급기부(14)와 배기부(13)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하우스 본체의 전후방)에 설치됨으로써 유입된 외부 공기를 동일방향으로 배기되도록 하는 공기흐름을 갖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원활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한편, 도 7과 같이 급기부(14)의 전방에 설치된 물공급부(60)에는 가습 공급관(50)의 주관(55)이 연결된다. Meanwhile, the main pipe 55 of the
여기서, 가습 공급관(50)은 절반 정도가 지층에 매설된 상태를 이루고, 상부는 내부동(10a)에 노출된 상태를 이룬다. 또한 가습 공급관(50)은 도 7과 같이 주관(55)에서 다수 개로 분기된 분기관(51,52,53)들이 지층에 일부가 매설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고, 분기관(51,52,53)에는 일정간격마다 통공(56)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한편, 가습 공급관(50)은 물 공급부(60; 도 7 참조)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가습 공급관(50)은 주관(55)을 통해 각 분기관(51,52,53)의 내부로 일정량의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가습 공급관(50)에는 급기장치(20; 도 7 및 도 8 참조)의 열교환관(600)이 연결되어 가습 공급관(50)으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즉 급기장치(20)로부터 외기를 급기하여 지층에 매설된 열교환관(600)을 통해 토출하여 가습 공급관(50)으로 공급함으로써 외기를 열교환관(600)을 통과시킴으로써 가습 공급관(50)을 통해 내부동(10a)으로 공급될 수 있다. (열교환관(600)의 지열을 이용함). On the other hand, the
즉, 가습 공급관(50)은 물공급부(60)를 통해 가습 공급관(50)으로 일정량의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게 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가습 공급관(50)에는 급기장치(20)의 열교환관(600)이 연결되어, 가습 공급관(50)으로 외부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지열을 이용한 냉온풍 송풍)하고, 공급된 외기가 내부의 물을 기화시켜 내부동(10a)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내부동(10a)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That is,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지층에 매설된 열교환관(600)을 갖는 급기장치(20)와, 이 열교환관(600)에 연결된 가습 공급관(50)을 통해, 실내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는 꽃가루나 황사 등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동시에 가습 공급관(50) 내의 물을 기화시켜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pollen or yellow sand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또한, 지층에 메설된 열교환관(600)을 통해 외기를 지열로 열교환시켜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내부동(10a)의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에어 하우스에 대한 쾌적하고 청정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heat-exchanging the outside air with geothermal heat through the
한편, 도 8 내지 도 1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온 통풍을 이용한 에어 하우스의 급기장치(20)는 프레임형태의 본체(프레임 본체)에 물공급 라인(70), 필터(30), 배수라인(21), 및 흡기팬(100)이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8 to 11, the
구체적으로 급기장치(20)는, 상부가 밀폐되고 측면이 개방되고 이 개방된 측면에 필터(30a,30b)가 장착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중심에는 흡기팬(100)이 장착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이에 따라 흡기팬(100)의 가동에 따라 외부 공기를 열교환관(600)으로 도입할 수 있다. 이때 열교환관(600)은 지층(300)에 매설되어 가습 공급관(50)의 주관(55)과 연결됨으로써 외부에서 도입된 공기를 가습 공급관(50)으로 공급한다. Accordingly, the outside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한편, 도 8과 같이 급기장치(20)의 상단 가장자리로는 물공급 라인(70)이 형성된다. 이 물공급 라인(70)은 하부로 다수의 노즐이 형성될 수 있어 급수모터(80)를 통해 물을 끌어들여 공급관(81)을 통해 물공급 라인(7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공급 라인(70)을 통해 물이 낙수되어 하부로 흐르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공급관(81)에는 제어밸브(V1)가 설치될 수 있어 공급량 및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a
또한, 급기장치(20)의 하부에는 배수라인(21)이 형성된다. 이 배수라인(21)은 물공급 라인(70)으로부터 떨어지는 물을 회수하기 위한 수단으로 회수된 물은 별도의 저장용 수조에 저장되어 재순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바람직하게, 물공급 라인(70)은 급기장치(20)에 설치된 필터(30a,30b)의 직상방에 설치되어 공급된 물을 필터(30a,30b) 상에 낙수되도록 함으로써 필터(30a,30b)에 물기가 스며들게 한다. 이때 공급되는 물은 냉수 또는 온수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온수가 공급되면 필터(30a,30b)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온풍이 배기될 수 있고, 반대로 냉수가 공급되면 배출되는 공기는 냉풍이 배기될 수 있다.Preferably, the
또한, 급기장치(20)에는 필터(30)의 전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해충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보호망(25)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외부 환경에 설치되는 흡입부를 통해 해충(모기나 하루살이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한 구성중 필터(30)는,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제1부재(31)와 제2부재(32)와 같은 요소가 다수 개가 형성되어 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구체적으로 제1부재(31)는 일정 폭을 갖는 다수의 곡면(31a,31b)이 고저차를 갖도록 연속되게 형성된다. 이 곡면(31a,31b)은 평면상에서 사선방향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2부재(32)는 제1부재(31)와 동일한 형태(즉 상하 고저차를 갖는 곡면을 갖는 형태)를 가지되, 제1부재(31)의 곡면(31a,31b)의 상기 사선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곡면이 형성된다. Specifically, the
이에 따라, 제1부재(31)와 제2부재(32)가 서로 접합되면 서로 평면상에서 교차하는 복수의 통공(36,37)이 형성된다. 이때 통공(36,37)은 관통된 각도가 서로 교차된다. 즉 제1통공(36)과 제2통공(37)은 서로 다른 사선방향으로 관통방향을 갖는다. 아울러 필터(30)는 종이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어 물공급 라인(70)으로부터 떨어지는 상기 물을 흡수한 상태로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따라서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 속에서 서로 다른 방향(서로 다른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통공(36,37)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 유속을 지연시키게 된다. 따라서 물을 흡수한 상태의 필터(30)에 흡입된 공기의 체류시간을 높이는 효과가 있고, 아울러 필터(30)가 물을 흡수한 상태에 있으므로 흡입된 공기에 존재하는 이물질은 필터(30)의 각각의 통공면에 흡착되기 용이하다. 이를 통해 외부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매우 효율적으로 여과시키고, 이를 통해 청정공기를 지층(300)에 매설된 열교환 관(600)을 통해 유입시켜 열교환 시킬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ocess of sucking the outside air, the suction flow rate of the air sucked through the through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하우스 본체 10a: 내부동
10b: 외부동 13: 배기부
14: 급기부 15: 급기팬
50: 가습 공급관 51,52,53: 분기관
55: 주관 60: 물공급부 10:
10b: external building 13: exhaust
14: air supply unit 15: air supply fan
50:
55: host 60: water supply unit
Claims (6)
상기 내부동에는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가습 공급관이 매설되고,
상기 가습 공급관에는 외부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급기장치가 연결되고,
상기 가습 공급관의 내부에는 일정 수위의 물이 공급되도록 물공급부가 연결되어,
상기 급기장치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외부 공기에 의해 상기 가습 공급관 내의 물을 기화시켜 상기 내부동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내부동을 가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통풍을 이용한 에어 하우스. Cold and hot ventilation consisting of an outer cavity and an inner cavity filling the air inside the vinyl film to form a space isolated from the outside, an air supply unit for supplying external air to the external cavity, and an exhaust unit for discharging the air of the external cavity to the outside In the air house using,
Humidification supply pipe is embedded in the inner dong so tha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humidifier supply pipe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for injecting outside air,
The water supply unit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humidification supply pipe so that water of a predetermined level is supplied,
Air house using the cold and hot air ventila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humidifying the internal cavity by supplying the internal cavity by vaporizing the water in the humidification supply pipe by the external air introduced from the air supply.
상기 가습 공급관은,
상기 급기장치와 연결된 주관, 및
상기 주관에서 다수 개로 분기되며 상부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분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통풍을 이용한 에어 하우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humidification supply pipe,
A main pipe connected to the air supply device, and
Branched into a plurality in the main pipe and the air house using cold and hot ventil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ranch pip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n the upper surface.
상기 급기부와 상기 배기부는, 서로 대향하도록 비닐 하우스의 전후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배기부는, 상기 비닐 하우스의 전후면 중 어느 하나에 다수의 송풍팬이 서로 이격되고 수직하게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통풍을 이용한 에어 하우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supply unit and the exhaust unit are respectively disposed before and after the vinyl house so as to face each other,
The exhaust unit, the air house using the cold and hot 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blowing fa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vertically disposed on any on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vinyl house.
상기 급기장치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의 내부에 장착된 흡기팬,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급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다수의 노즐을 통해 하부로 상기 물을 분사하는 물공급 라인,
상기 프레임 본체의 측벽에 각각 장착되며 복수의 통공이 패턴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통공은 평면상에서 서로 교차하는 방향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물공급 라인으로부터 떨어지는 상기 물을 흡수하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 및
상기 물공급 라인에서 떨어지는 상기 물을 회수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통풍을 이용한 에어 하우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supply device includes:
A frame body;
An intake fan mounted in the frame body,
A water supply line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body and receiving water through a supply pipe and spraying the water downward through a plurality of nozzles;
Each through hole is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frame body,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to form a pattern. The through holes are formed to have directions crossing each other on a plane and are made of a material absorbing the water falling from the water supply line. A filt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 contained therein, and
And a drain line formed under the frame body to recover the water falling from the water supply line.
상기 필터는,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서로 교차하여 다수 개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제1부재는, 일정 폭을 갖는 다수의 곡면이 고저차를 갖도록 연속되게 형성되되, 상기 곡면은 평면상에서 사선방향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1부재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되, 상기 제1부재의 상기 곡면의 상기 사선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통풍을 이용한 에어 하우스.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lter includes: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is made of a plurality of laminated cross each other,
The first member, a plurality of curved surfaces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continuously to have a height difference, the curved surface is formed to form an oblique direction on a plane,
The second member has the same shape as the first member, the air house using cold and hot ventila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curved surface of the first member.
상기 흡기팬의 하부로 연통하도록 지층에 매설되어, 상기 흡기팬으로 도입된 외기를 지열로 열교환시켜 상기 가습 공급관으로 공급하는 열교환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통풍을 이용한 에어 하우스.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heat exchange tube embedded in the ground layer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intake fan, and heat-exchanging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intake fan to the humidification supply pi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6617 | 2012-09-25 | ||
KR20120106617 | 2012-09-2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0656A true KR20140040656A (en) | 2014-04-03 |
KR101519464B1 KR101519464B1 (en) | 2015-05-12 |
Family
ID=50650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3313A Active KR101519464B1 (en) | 2012-09-25 | 2013-09-24 | Air Dome Type Greenhouse using cold and hot ventil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19464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347443A (en) * | 2017-07-20 | 2017-11-17 | 古田县晟农食用菌农民专业合作社 | A kind of plumbing installation of the wet control gas of the temperature automatically controlled control of factory culture white fungus |
KR102041575B1 (en) | 2018-05-15 | 2019-11-06 | 정영훈 | Cooling system for cultivation greenhouse |
CN112889544A (en) * | 2021-01-21 | 2021-06-04 | 纪晓军 | Double-film pressurizing greenhouse with low energy consumption |
KR102381853B1 (en) * | 2021-04-15 | 2022-04-01 | 김동열 | Mushroom cultivation room composing with asepsis, positive pressure and fixed be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5248B1 (en) * | 2018-08-22 | 2019-12-12 | 주식회사 에너지아이 | Smart Vinyl House control system |
KR101931524B1 (en) | 2018-08-29 | 2018-12-21 | 주식회사 국제기구에어돔 | air dome |
KR102391486B1 (en) | 2019-04-19 | 2022-04-27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Air house to improve plant growth and simulation device for mak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2455B1 (en) * | 2006-03-17 | 2006-09-12 | 권광용 | Ventilation system of unsupported multi-storey vinyl house |
KR100724787B1 (en) | 2006-04-14 | 2007-06-04 | 위태욱 | Greenhouse and indoor temperature control system |
-
2013
- 2013-09-24 KR KR1020130113313A patent/KR101519464B1/en active Active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347443A (en) * | 2017-07-20 | 2017-11-17 | 古田县晟农食用菌农民专业合作社 | A kind of plumbing installation of the wet control gas of the temperature automatically controlled control of factory culture white fungus |
KR102041575B1 (en) | 2018-05-15 | 2019-11-06 | 정영훈 | Cooling system for cultivation greenhouse |
CN112889544A (en) * | 2021-01-21 | 2021-06-04 | 纪晓军 | Double-film pressurizing greenhouse with low energy consumption |
CN112889544B (en) * | 2021-01-21 | 2023-11-21 | 纪晓军 | Low-energy-consumption double-film supercharging greenhouse |
KR102381853B1 (en) * | 2021-04-15 | 2022-04-01 | 김동열 | Mushroom cultivation room composing with asepsis, positive pressure and fixed be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19464B1 (en) | 2015-05-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040656A (en) | Air dome type greenhouse using cold and hot ventilation | |
US9010019B2 (en) | Plant air purification enclosure apparatus and method | |
US8371073B2 (en) | Building with integrated natural systems | |
JP2545007B2 (en) | High-rise building | |
US9127468B2 (en) | Building | |
KR101479400B1 (en) | Multipurpose greenhouse dome | |
US20170231169A1 (en) | Growing System | |
ES2958517T3 (en) | Greenhouse | |
US4262656A (en) | Solar climate control for greenhouses | |
WO2017135655A1 (en) | Natural circulation type air house using geothermal heat | |
KR101750305B1 (en) | Air house | |
JP3690605B2 (en) | greenhouse | |
KR20130058144A (en) | Panel and system for planting | |
KR101028827B1 (en) | Heating and cooling system of vinyl house | |
KR100622455B1 (en) | Ventilation system of unsupported multi-storey vinyl house | |
JP6692851B2 (en) | Outdoor facilities with air conditioning equipment | |
KR101576903B1 (en) | Energy-saving Mushrooms Cultivation Facilities Using Groundwater Heat | |
KR101532737B1 (en) | Openable air house using double layer | |
JP4638831B2 (en) | Floor heating system | |
US20230354755A1 (en) | Cladding element, building cladding system and method of air purification | |
KR101870868B1 (en) | Circling Structure of Ground Water in Energy-saving Mushrooms Cultivation Facilities Using Groundwater Heat | |
GB2497917A (en) | Home in a dome with rainwater harvesting | |
CN207574149U (en) | A kind of New-type green house | |
KR20200028272A (en) | Air house system for blowing geothermal heat | |
CN214657676U (en) | Safety air conditioning stand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5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