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8605A - 다목적 키 성장 농구대 - Google Patents
다목적 키 성장 농구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38605A KR20140038605A KR1020120104855A KR20120104855A KR20140038605A KR 20140038605 A KR20140038605 A KR 20140038605A KR 1020120104855 A KR1020120104855 A KR 1020120104855A KR 20120104855 A KR20120104855 A KR 20120104855A KR 20140038605 A KR20140038605 A KR 201400386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riable
- shaft
- height
- hole
- hoo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8—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 A63B63/083—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for basketball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2063/002—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variable in siz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1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37—Basketball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중심에 축삽입구(116)가 관통 형성된 수용관체(115)를 구비하는 지지대본체(10)와, 수용관체(115)의 내부로 인입되는 가변축대(120)로 인해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높이가변지지부(100);와, 농구공이 투입되는 링(240)이 결합되는 레일이동체(220)와, 레일이동체(220)를 체결하여 높이 조절을 관장하기 위한 가이드레일(215)이 사면에 설치되는 위치제어박스(210)와, 위치제어박스(210)의 상단에 거치 고정되는 하우징고정체(230)로 구성되어 상기 높이가변지지부(100) 상에 고정 체결되는 위치가변슈팅부(200);와, LED전광판(320)과 음향스피커(330)가 장착된 디스플레이박스(310)로 구성되어 상기 가변축대(12)의 상부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높이가변지지부의 내부 구성과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위치가변슈팅부의 내부 구성과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위치가변슈팅부의 결합과 배치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의 내부 구성과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다목적 키 성장 농구대의 각부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7a는 본 발명의 다목적 키 성장 농구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b는 본 발명의 다목적 키 성장 농구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목적 키 성장 농구대의 다른 사용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100: 높이가변지지부 110: 지지대본체
111: 하부패널 112: 지지빔
113: 접지판 114: 회전부재장착구
115: 수용관체 116: 축삽입구
117: 핀결속구 120: 가변축대
121: 환봉축 122: 관통구
123: 이탈방지턱 130: 고정핀
140: 회전부재 141: 회전체
142: 결속축 200: 위치가변슈팅부
210: 위치제어박스 211: 제어하우징
212: 유동로 213: 나사결합단턱
214: 체결홈 215: 가이드레일
216: 위치고정구 220: 레일이동체
221: 레일안착부 222: 핀관통홀
223: 링삽입구 224: 위치감지센서
225: 결합블럭 230: 하우징고정체
231: 덮개패널 232: 고정관체
233: 이음나사 240: 링
241: 고정축 250: 샌드백
300: 디스플레이부 310: 디스플레이박스
311: 체결하우징 312: 전광판삽입부
313: 스피커홈 314: 고정홀
315: 체결관통 320: LED전광판
330: 음향스피커
Claims (9)
- 중심에 축삽입구(116)가 관통 형성된 수용관체(115)를 구비하는 지지대본체(10)와, 수용관체(115)의 내부로 인입되는 가변축대(120)로 인해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높이가변지지부(100);와,
농구공이 투입되는 링(240)이 결합되는 레일이동체(220)와, 레일이동체(220)를 체결하여 높이 조절을 관장하기 위한 가이드레일(215)이 사면에 설치되는 위치제어박스(210)와, 위치제어박스(210)의 상단에 거치 고정되는 하우징고정체(230)로 구성되어 상기 높이가변지지부(100) 상에 고정 체결되는 위치가변슈팅부(200);와,
LED전광판(320)과 음향스피커(330)가 장착된 디스플레이박스(310)로 구성되어 상기 가변축대(12)의 상부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부(300);를 포함하는 다목적 키 성장 농구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가변지지부(100)는 지면에 접지되는 면적을 넓히기 위해 하부에 접지판(113)을 형성시킨 지지빔(112)과, 지지빔(112)을 사면에 형성시켜 지면으로부터 직립할 수 있도록 하는 사각형의 하부패널(111)과, 하부패널(111) 상에 연이어 관통되도록 축삽입구(116)를 형성한 원통형의 수용관체(115)와, 수용관체(115)의 상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천공 형성되는 핀결속구(117)로 이루어지는 지지대본체(110);와,
원형의 축 형태로 상기 축삽입구(116)에 인입되는 환봉축(121)과, 환봉축(121)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등간격 배치되어 천공 형성되는 다수개의 관통구(122)로 형성되는 가변축대(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변축대(120)의 관통구(122)가 지지대본체(110)의 핀결속구(117)와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고정핀(130)으로 일괄 관통 체결되어 고정됨으로써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키 성장 농구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변슈팅부(200)는 사면을 가진 사각형의 박스형태로 내부가 공간을 가지도록 천공 형성되고 상단 모서리마다 체결홈(214)을 구비하는 제어하우징(211)과, 제어하우징(211)의 각 사면 중심의 상부에서 하단까지 천공 형성되는 유동로(212)와, 유동로(212)의 좌, 우측에 수직방향으로 등간격 배치 형성되는 다수개의 위치고정구(216)와, 위치고정구(216)와 유동로(212)가 형성된 양측 사이 공간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레일(215)로 이루어지는 위치제어박스(210);와,
양측에 레일안착부(211)를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레일(215)에 결합 됨으로써 이동수단으로 활용되는 직사각형의 결합블럭(225)과, 결합블럭(225)의 양 측면에 관통형성되는 핀관통홀(222)과, 핀관통홀(222)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링(240)을 삽입하는 링삽입구(223)과, 링삽입구(223)의 하부에 배치되는 위치감지센서(224)로 이루어지는 레일이동체(220);와,
사각의 패널로 형성되되 각 모서리마다 체결홈(214)을 형성하여 상기 제어하우징(211)의 상부에 결합하는 덮개패널(231)과, 덮개패널(231)의 중심에서부터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관체로써 내부에 축삽입구(116)를 관통 형성하는 고정관체(232)와, 고정관체(232)의 상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천공 형성되는 핀결속구(117)가 구비되는 하우징고정체(2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위치고정구(216)가 핀관통홀(222)과, 상기 관통구(122)가 핀결속구(117)과 각각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고정핀(130)으로 일괄 관통 체결되어 고정됨으로써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키 성장 농구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사각 박스의 형태로 상부 중심에 스피커홈(313)을 천공 형성하고 하부 중심에 고정홀(314)를 형성한 체결관통(315)을 구비하는 체결하우징(311)과, 체결하우징(311)의 각 사면 외측에 형성되는 전광판삽입부(312)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박스(310);와,
상기 스피커홈(313)에 결합되어 위치감지센서(224)에 의해 전해진 전기적 신호로 음향효과를 출력하는 음향스피커(330);와,
상기 전광판삽입부(312)에 결합되어 위치감지센서(224)에 의해 전해진 전기적 신호로 점수를 출력하는 LED전광판(3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키 성장 농구대.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판(113)은 내부 중심으로 함몰 형성되는 회전부재장착구(114)를 형성하여 회전부재장착구(114)에 결착되는 결속축(142)을 구비한 회전부재(140)가 장착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키 성장 농구대.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환봉축(121)은 하단에 원형의 링 형상으로 돌출형성되는 이탈방지턱(123)을 형성하여 수용관체(115) 외부로 환봉축(12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키 성장 농구대.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링(240)은 직경의 크기별로 각각 다르게 형성하여 링삽입구(223)에 선택결합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키 성장 농구대.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링삽입구(223)는 고정축(241)이 형성된 샌드백(250)이 결합 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키 성장 농구대.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우징(211)은 상부 모서리부 마다 하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나사결합단턱(213)을 형성함으로써 제어하우징(211)의 각 모서리부의 결속력을 높이는 보로 활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키 성장 농구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4855A KR101390503B1 (ko) | 2012-09-21 | 2012-09-21 | 다목적 키 성장 농구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4855A KR101390503B1 (ko) | 2012-09-21 | 2012-09-21 | 다목적 키 성장 농구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8605A true KR20140038605A (ko) | 2014-03-31 |
KR101390503B1 KR101390503B1 (ko) | 2014-04-30 |
Family
ID=50646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4855A Expired - Fee Related KR101390503B1 (ko) | 2012-09-21 | 2012-09-21 | 다목적 키 성장 농구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90503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4644B1 (ko) * | 2012-12-20 | 2014-08-25 | 김치열 | 타격미트를 구비하는 다목적 키 성장 농구대 |
CN108939479A (zh) * | 2018-09-21 | 2018-12-07 | 三力伟业(天津)体育用品有限公司 | 一种多功能篮球架 |
CN110075496A (zh) * | 2019-05-08 | 2019-08-02 | 钟锡威 | 一种体育用篮球运球训练装置 |
CN118393433A (zh) * | 2024-05-07 | 2024-07-26 | 嘉兴市驭信嘉科技有限公司 | 一种高精度三通道时差定位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306530B2 (en) * | 2005-07-18 | 2007-12-11 | Gared Holdings, Llc | Adjustable height basketball goal |
KR100654746B1 (ko) * | 2005-09-08 | 2006-12-08 | 채종관 | 훈련 및 연습용 농구대 |
KR100910094B1 (ko) * | 2007-12-11 | 2009-07-30 | 금영숙 | 벽 부착식 농구대 |
KR100940735B1 (ko) * | 2009-07-02 | 2010-02-04 | 이종석 | 높이조절농구대 |
-
2012
- 2012-09-21 KR KR1020120104855A patent/KR101390503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4644B1 (ko) * | 2012-12-20 | 2014-08-25 | 김치열 | 타격미트를 구비하는 다목적 키 성장 농구대 |
CN108939479A (zh) * | 2018-09-21 | 2018-12-07 | 三力伟业(天津)体育用品有限公司 | 一种多功能篮球架 |
CN110075496A (zh) * | 2019-05-08 | 2019-08-02 | 钟锡威 | 一种体育用篮球运球训练装置 |
CN118393433A (zh) * | 2024-05-07 | 2024-07-26 | 嘉兴市驭信嘉科技有限公司 | 一种高精度三通道时差定位设备 |
CN118393433B (zh) * | 2024-05-07 | 2024-10-11 | 嘉兴市驭信嘉科技有限公司 | 一种高精度三通道时差定位设备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90503B1 (ko) | 2014-04-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11310B2 (en) | Interchangeable modular ball game apparatus | |
US2889149A (en) | Coordination training device for small children | |
AU2002362514B2 (en) | A training device for ball games | |
KR101390503B1 (ko) | 다목적 키 성장 농구대 | |
US7841958B2 (en) | Modular table tennis game | |
US20100320692A1 (en) | Bag toss game | |
US7766771B2 (en) | Circonic game | |
US11331550B1 (en) | Game set and method for playing the same | |
KR101434644B1 (ko) | 타격미트를 구비하는 다목적 키 성장 농구대 | |
US7270327B1 (en) | Game playing device for rolling balls | |
KR200448579Y1 (ko) | 태권도용 운동기구 | |
GB2536890A (en) | Ball training apparatus and facilitating devices | |
KR200429703Y1 (ko) | 축구 및 농구 겸용 운동기구 | |
KR101882816B1 (ko) | 필드 볼 및 피칭 볼 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 | |
KR20080002858U (ko) | 레슨 전용 연타석 스크린골프 연습장 | |
US7566059B2 (en) | Tabletop basketball game | |
KR101882810B1 (ko) | 암벽등반과 필드 볼 및 테이블 볼 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 | |
KR101529079B1 (ko) | 다용도 게임대 | |
KR200465389Y1 (ko) | 공놀이대 | |
KR101882812B1 (ko) | 자가 발전 기능을 구비한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 | |
CN210904898U (zh) | 接球器 | |
KR20180022486A (ko) | 종합 탁구 연습대 | |
KR200269857Y1 (ko) | 골프 핫퍼팅 연습용 실내 레저 스포츠 기구 | |
JP2548100B2 (ja) | サッカー用リフティングトレーナー | |
KR200280922Y1 (ko) | 농구코트의 링설치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0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404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4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