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38037A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8037A
KR20140038037A KR1020120104134A KR20120104134A KR20140038037A KR 20140038037 A KR20140038037 A KR 20140038037A KR 1020120104134 A KR1020120104134 A KR 1020120104134A KR 20120104134 A KR20120104134 A KR 20120104134A KR 20140038037 A KR20140038037 A KR 20140038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ve temperature
temperature element
battery
case
battery pa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4393B1 (ko
Inventor
김영인
조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20104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393B1/ko
Publication of KR20140038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39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와 연결되는 전극리드 및 상기 전극리드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셀 케이스를 포함하며 서로 인접하여 적층되는 한 쌍의 배터리 셀; 상기 전극리드가 인출되는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전극리드와 결합되는 도전 패드를 구비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양성 온도소자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으로서, 상기 셀 케이스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를 커버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셀 케이스의 테두리 영역에 형성되는 실링부 중 적어도 상기 전극리드가 인출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테라스부는 상기 제1 케이스의 측면과 마주보도록 벤딩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도전 패드는 상기 회로기판의 양 면 중 배터리 셀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 면에 형성되고, 상기 양성 온도소자는 상기 배터리 셀과 마주보는 제2 면에 실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차전지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배터리 팩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 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일부 부품의 생략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배터리 팩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감소시킴으로써 배터리 팩의 부피 대비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팩{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피 대비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화학 에너지와 전기 에너지의 가역적 상호 변환을 이용해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 수 있는 화학 전지를 의미한다. 고성능 이차 전지에는 Ni-MH 이차전지와 리튬 이차전지가 있으며, 리튬 이차전지에는 리튬 금속 이차전지, 리튬 이온 이차전지(각형, 원통형, 파우치형), 리튬 이온 폴리머 이차전지 등이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휴대 전화,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은 이동성이 편리한 IT(Information Technology) 제품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리튬계 이차전지를 중심으로 소형 이차전지의 수요가 전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으며, 소형 이차전지는 그중에서도 IT 기기의 소형화, 경량화, 고성능화 요구에 따라 리튬 이온 이차전지 또는 리튬 이온 폴리머 이차전지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온 이차전지나 리튬 이온 폴리머 이차전지는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는 리튬이 항상 이온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리튬 금속 이차전지에 비해 월등히 안전성이 높은 전지이다. 그러나, 주요 구성 재료가 가연성이기 때문에 안전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 배터리 팩 형태로 제작함에 있어서 여러 가지 안전 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안전 장치의 하나로 양성 온도소자가 있다. 상기 양성온도소자는 온도가 일정 레벨을 넘으면 전기 저항이 무한대에 가깝게 증가되는 소자로서, 이것을 배터리 팩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전지 이상에 의한 고온 현상 발생 시에 충/방전 전류를 즉각 차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양성 온도소자는 가역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 소자가 동작하여 전류가 정지한 후 전지 온도가 다시 내려가면 소자의 저항이 감소하게 됨으로써 전지는 다시 정상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다만, 양성 온도소자가 배터리 셀에 밀착되지 않는 경우 배터리 셀의 온도 상승을 신속하게 감지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전류가 차단되기 전에 폭발이나 발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양성 온도소자(4)가 회로기판(3)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경우 양성 온도소자(4)와 배터리 셀(2) 사이의 간격이 넓어 양성 온도소자(4)가 배터리 셀(2)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히 감지할 수 없게 되어 배터리 팩(1)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양성 온도소자(4)가 커넥팅 플레이트(5)를 통해 회로기판(3)과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양성 온도소자(4)와 배터리 셀(2)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 수는 있으나, 부품 제조시에 발생되는 치수상의 공차로 인해 모든 제품에 대해 양성 온도소자(4)가 배터리 셀(2)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커넥팅 플레이트(5)를 사용함으로써 제조 비용이 상승하고 제조 공정이 더 복잡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공정상의 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양성 온도소자가 배터리 셀에 확실하게 밀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을 간소화시키고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화학 에너지와 전기 에너지의 가역적 상호 변환을 이용해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 수 있는 화학 전지를 의미한다. 고성능 이차 전지에는 Ni-MH 이차전지와 리튬 이차전지가 있으며, 리튬 이차전지에는 리튬 금속 이차전지, 리튬 이온 이차전지(각형, 원통형, 파우치형), 리튬 이온 폴리머 이차전지 등이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휴대 전화,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은 이동성이 편리한 IT(Information Technology) 제품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리튬계 이차전지를 중심으로 소형 이차전지의 수요가 전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으며, 소형 이차전지는 그중에서도 IT 기기의 소형화, 경량화, 고성능화 요구에 따라 리튬 이온 이차전지 또는 리튬 이온 폴리머 이차전지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온 이차전지나 리튬 이온 폴리머 이차전지는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는 리튬이 항상 이온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리튬 금속 이차전지에 비해 월등히 안전성이 높은 전지이다. 그러나, 주요 구성 재료가 가연성이기 때문에 안전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 배터리 팩 형태로 제작함에 있어서 여러 가지 안전 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안전 장치의 하나로 양성 온도소자가 있다. 상기 양성온도소자는 온도가 일정 레벨을 넘으면 전기 저항이 무한대에 가깝게 증가되는 소자로서, 이것을 배터리 팩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전지 이상에 의한 고온 현상 발생 시에 충/방전 전류를 즉각 차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양성 온도소자는 가역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 소자가 동작하여 전류가 정지한 후 전지 온도가 다시 내려가면 소자의 저항이 감소하게 됨으로써 전지는 다시 정상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다만, 양성 온도소자가 배터리 셀에 밀착되지 않는 경우 배터리 셀의 온도 상승을 신속하게 감지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전류가 차단되기 전에 폭발이나 발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양성 온도소자(4)가 회로기판(3)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경우 양성 온도소자(4)와 배터리 셀(2) 사이의 간격이 넓어 양성 온도소자(4)가 배터리 셀(2)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히 감지할 수 없게 되어 배터리 팩(1)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양성 온도소자(4)가 커넥팅 플레이트(5)를 통해 회로기판(3)과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양성 온도소자(4)와 배터리 셀(2)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 수는 있으나, 부품 제조시에 발생되는 치수상의 공차로 인해 모든 제품에 대해 양성 온도소자(4)가 배터리 셀(2)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커넥팅 플레이트(5)를 사용함으로써 제조 비용이 상승하고 제조 공정이 더 복잡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공정상의 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양성 온도소자가 배터리 셀에 확실하게 밀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을 간소화시키고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와 연결되는 전극리드 및 상기 전극리드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셀 케이스를 포함하며 서로 인접하여 적층되는 한 쌍의 배터리 셀; 상기 전극리드가 인출되는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전극리드와 결합되는 도전 패드를 구비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양성 온도소자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으로서, 상기 셀 케이스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를 커버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셀 케이스의 테두리 영역에 형성되는 실링부 중 적어도 상기 전극리드가 인출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테라스부는 상기 제1 케이스의 측면과 마주보도록 벤딩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도전 패드는 상기 회로기판의 양 면 중 배터리 셀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 면에 형성되고, 상기 양성 온도소자는 상기 배터리 셀과 마주보는 제2 면에 실장된다.
상기 한 쌍의 배터리 셀은, 상기 제2 케이스가 서로 마주보도록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양성 온도소자는, 상기 테라스부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양성 온도소자는, 상기 테라스부 중 상기 전극리드와 중첩되는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양성 온도소자와 테라스부 사이에는 접착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는, 열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양성 온도소자는 한 쌍의 배터리 셀 각각의 테라스부 모두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양성 온도소자는, 상기 한 쌍의 배터리 셀 중 어느 하나의 테라스부에 부착되는 제1 양성 온도소자; 및 상기 한 쌍의 배터리 셀 중 다른 하나의 테라스부에 부착되는 제2 양성 온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은, 상기 테라스부가 벤딩된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배터리 셀을 준비하는 단계; 제1 면에 양성 온도소자가 실장되고 상기 제1 면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면에 도전 패드가 형성된 회로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도전 패드에 상기 배터리 셀의 전극리드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배터리 셀이 적층되도록 상기 회로기판을 중심으로 상기 한 쌍의 배터리 셀을 회전키는 단계; 및 상기 테라스부 상에 상기 양성 온도소자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은, 상기 양성 온도소자에 접착부재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상 현상 발생에 따른 배터리 셀의 과도한 온도 상승이 있는 경우 양성 온도소자가 신속히 작동하여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이차전지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팩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 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부 부품의 생략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팩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감소시킴으로써 배터리 팩의 부피 대비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배터리 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 적용되는 배터리 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배터리 셀의 완성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 적용되는 회로기판의 제1 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 적용되는 회로기판의 제2 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배터리 셀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서로 인접하도록 적층되는 한 쌍의 배터리 셀(10), 배터리 셀(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20) 및 회로기판(20) 상에 실장되는 양성 온도소자(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팩(100)은 양성 온도소자(30)가 배터리 셀(10)에 부착/고정되도록 하는 접착부재(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배터리 셀(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 적용되는 배터리 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배터리 셀의 완성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셀(10)은 전극 탭(11a)을 구비하는 전극조립체(11), 전극 탭(11a)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전극 리드(12) 및 전극 리드(12)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전극조립체(11)를 수용하는 셀 케이스(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셀 케이스(13)는 전극조립체(11)의 수용 공간(R)을 구비하는 제1 케이스(13a) 및 제1 케이스(13a)를 커버함으로써 수용 공간(R)을 밀폐시키는 제2 케이스(13b)를 포함한다.
상기 셀 케이스(13)의 테두리 영역에는 실링부(S)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케이스(13a) 및 제2 케이스(13b) 각각의 테두리 영역은 서로 접한 상태로 열융착됨으로써 실링부(S)를 형성하는데, 실링부(S) 중 전극 리드(12)가 인출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영역을 테라스부(T)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실링부(S)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테라스부(T)는 제1 케이스(13a)의 측면(A)과 마주보도록 벤딩된 형상을 갖는다.
다음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회로기판(2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다른 부품들과의 연결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 적용되는 회로기판의 제1 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회로기판(20)은 제1 면에 형성되는 도전 패드(21)를 구비하며, 상기 도전 패드(21)는 앞서 설명한 전극 리드(12)와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회로기판(20) 상에는 과충전 및/또는 과방전을 방지하는 등의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소자가 실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충전기나 전자기기 등의 외부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외부 단자 또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20)은 통상의 경성 인쇄회로기판, 연성 인쇄회로기판 또는 그 등가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다만 여기서 회로기판(20)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회로기판(20)이 예를 들어 인쇄 회로기판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도전 패드(21), 전자 소자 및 외부 단자 등은 회로기판(20)의 내부 또는 표면에 형성된 도선 패턴(미도시)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회로기판(20)은 배터리 셀(10)과 결합될 때, 도전 패드(21)가 형성된 제1 면이 배터리 셀(10)을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테라스부(T)를 통해 셀 케이스(13)의 외부로 인출된 전극 리드(12)는 대략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그 일측 단부가 도전 패드(21)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된다.
다음은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양성 온도소자(30)의 구체적인 특성 및 다른 부품들과의 연결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 적용되는 회로기판의 제2 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양성 온도소자(30)는 회로기판(20)의 양 면 중 제2 면, 즉 앞서 설명한 도전 패드(21)가 형성된 면의 반대측 면에 실장되어 회로기판(20)에 형성된 도선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양성 온도소자(30)는 단락 등으로 인한 과전류에 의해 배터리 셀(10)의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과전류를 차단함으로써 배터리 셀(10)의 온도가 안전 범위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양성 온도소자(30)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저항 값이 증가하되,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저항 값이 급격히 상승함으로써 거의 무한대에 가까운 저항 값을 갖는다. 이러한 양성 온도소자(30)는 구성 물질의 종류 및 조성비를 조절함으로써 저항 값이 급격히 상승되는 온도(큐리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양성 온도소자(30)가 적용되는 배터리 팩(100)의 안전 온도 범위를 고려하여 큐리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배터리 팩(100)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양성 온도소자(30)는 회로기판(20)과 전극 리드(12)가 결합됨에 따라 한 쌍의 배터리 셀(10) 각각의 테라스부(T)와 인접하게 되는데, 배터리 셀(10)의 온도 상승에 따른 신속한 동작의 측면에서 테라스부(T)에 밀착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양성 온도소자(30)와 테라스부(T) 사이에는 열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부재(40)가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성 온도소자(30)는 발열량이 상대적으로 큰 부품에 인접하도록 부착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테라스부(T) 중에서도 발열량이 가장 큰 영역, 즉 전극리드(12)와 중첩되는 영역에 부착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양성 온도소자(30)는 한 쌍의 배터리 셀(10) 각각의 온도를 개별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양성 온도소자(30)는 회로기판(20)의 제2 면 중 어느 하나의 배터리 셀(10)의 테라스부(T)와 대응되는 영역에 실장되는 제1 양성 온도소자(30a) 및 다른 하나의 배터리 셀(10)의 테라스부(T)와 대응되는 영역에 실장되는 제2 양성 온도소자(30b)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테라스부(T)가 벤딩되고, 전극리드(12)와 도전 패드(21) 사이의 접합이 양성 온도소자(30)가 실장된 면과 반대측 면에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고 우수한 과전류 차단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작은 사이즈로 구현이 가능하다.
다음은,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배터리 팩(100)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배터리 셀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먼저,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의 제조 방법은 배터리 셀(10)을 준비하는 단계(S1), 회로기판(20)을 준비하는 단계(S2), 배터리 셀(10)과 회로기판(20)을 연결하는 단계(S3), 배터리 셀(10)을 회전시키는 단계(S4) 및 양성 온도소자(30)를 고정시키는 단계(S5)를 포함한다.
상기 S1단계는, 테라스부(T)가 벤딩된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배터리 셀(10)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S2 단계는, 제1 면에 양성 온도소자(30)가 실장되고 제1 면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면에 도전 패드(21)가 형성된 회로기판(20)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S3 단계는, 도전 패드(21)에 배터리 셀(10)의 전극 리드(12)를 용접 등에 의해 부착함으로써 배터리 셀(10)과 회로기판(2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S4 단계는, 한 쌍의 배터리 셀(10)이 적층되도록 회로기판(20)을 중심으로 하여 배터리 셀(10) 각각을 화살표 방향(도 13 참조)으로 회전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S5 단계는, 테라스부(T) 상에 양성 온도소자(30)를 부착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양성 온도소자(30)의 부착은 예를 들어 열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40, 도 6 참조)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접착부재(40)는 양성 온도소자(30)가 회로기판(20)에 실장되기 전이나 그 이후에 양성 온도소자(30)의 일 면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배터리 팩(100)의 제조 방법은 양성 온도소자(30)의 일 면에 접착부재(40)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배터리 셀(10)과 회로기판(20)의 전기적 연결 및 양성 온도소자(30)의 실장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배터리 셀(10)의 적층 공정을 통해서 양성 온도소자(30)가 배털리 셀(10)에 자연히 밀착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배터리 팩 10: 배터리 셀
11: 전극조립체 11a: 전극 탭
12: 전극 리드 13: 셀 케이스
13a: 제1 케이스 R: 수용 공간
A: 제1 케이스의 측면 14a: 제2 케이스
S: 실링부 T: 테라스부
20: 회로기판 21: 도전 패드
30: 양성 온도소자 30a: 제1 양성 온도소자
30b: 제2 양성 온도소자 40: 접착부재

Claims (10)

  1.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와 연결되는 전극리드 및 상기 전극리드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셀 케이스를 포함하며 서로 인접하여 적층되는 한 쌍의 배터리 셀; 상기 전극리드가 인출되는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전극리드와 결합되는 도전 패드를 구비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양성 온도소자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있어서,
    상기 셀 케이스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를 커버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셀 케이스의 테두리 영역에 형성되는 실링부 중 적어도 상기 전극리드가 인출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테라스부는 상기 제1 케이스의 측면과 마주보도록 벤딩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도전 패드는 상기 회로기판의 양 면 중 배터리 셀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 면에 형성되고, 상기 양성 온도소자는 상기 배터리 셀과 마주보는 제2 면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배터리 셀은,
    상기 제2 케이스가 서로 마주보도록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성 온도소자는,
    상기 테라스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성 온도소자는,
    상기 테라스부 중 상기 전극리드와 중첩되는 영역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성 온도소자와 테라스부 사이에는 접착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열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성 온도소자는 상기 한 쌍의 배터리 셀 각각의 테라스부 모두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성 온도소자는,
    상기 한 쌍의 배터리 셀 중 어느 하나의 테라스부에 부착되는 제1 양성 온도소자; 및
    상기 한 쌍의 배터리 셀 중 다른 하나의 테라스부에 부착되는 제2 양성 온도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팩을 제조하기 위한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테라스부가 벤딩된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배터리 셀을 준비하는 단계;
    제1 면에 양성 온도소자가 실장되고 상기 제1 면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면에 도전 패드가 형성된 회로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도전 패드에 상기 배터리 셀의 전극리드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배터리 셀이 적층되도록 상기 회로기판을 중심으로 상기 한 쌍의 배터리 셀을 회전키는 단계; 및
    상기 테라스부 상에 상기 양성 온도소자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양성 온도소자에 접착부재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
KR1020120104134A 2012-09-19 2012-09-19 배터리 팩 Active KR101474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134A KR101474393B1 (ko) 2012-09-19 2012-09-19 배터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134A KR101474393B1 (ko) 2012-09-19 2012-09-19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037A true KR20140038037A (ko) 2014-03-28
KR101474393B1 KR101474393B1 (ko) 2014-12-19

Family

ID=50646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134A Active KR101474393B1 (ko) 2012-09-19 2012-09-19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39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8523A (ko) * 2015-09-30 2017-04-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US9991567B2 (en) 2015-04-17 2018-06-05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CN111200095A (zh) * 2018-11-19 2020-05-26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
KR20200129463A (ko) * 2019-05-08 2020-11-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20210036295A1 (en) * 2018-10-26 2021-02-04 Lg Chem, Ltd. Battery module having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battery cell damag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battery module
US12237539B2 (en) 2019-06-25 2025-02-25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953A (ko) * 2020-06-17 2021-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구조체 및 배터리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6897B2 (ja) 1998-09-11 2005-04-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3806696B2 (ja) 2003-02-14 2006-08-09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KR101145735B1 (ko) 2007-10-27 2012-05-16 주식회사 엘지화학 팩 케이스를 사용하지 않은 전지팩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1567B2 (en) 2015-04-17 2018-06-05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KR20170038523A (ko) * 2015-09-30 2017-04-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US20210036295A1 (en) * 2018-10-26 2021-02-04 Lg Chem, Ltd. Battery module having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battery cell damag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battery module
US12261325B2 (en) * 2018-10-26 2025-03-25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having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battery cell damag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battery module
CN111200095A (zh) * 2018-11-19 2020-05-26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
KR20200129463A (ko) * 2019-05-08 2020-11-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12237539B2 (en) 2019-06-25 2025-02-25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4393B1 (ko) 2014-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8574B1 (en) Battery pack comprising a pouch-type cell secondary battery and sai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circuit board
KR101474393B1 (ko) 배터리 팩
EP3001483B1 (en) Secondary battery pack containing connector with non-projecting structure
KR101261769B1 (ko) 배터리 팩
KR102152364B1 (ko) 배터리 팩
CN105684183B (zh) 包括用于保护电极突片-引线接合部的膜件的袋状电池单元
EP2760064B1 (en) Battery pack
US20160268649A1 (en) Battery pack
JP2010147021A (ja) バッテリパック
EP2706588B1 (en) Lead tab, battery pack having the lead tab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ead tab
CN211238309U (zh) 电池模块
US9240618B2 (en) Rechargeable battery and battery module
KR101539694B1 (ko)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 팩
JP7259202B2 (ja) 電池パック及び電子機器
KR20180082748A (ko) 고온에서 단전을 유도하는 온도 퓨즈가 장착된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531323B1 (ko) 단자 보호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KR20150006650A (ko) 전지 팩
CN104282861B (zh) 电池组的保护装置和制造该保护装置的方法
US20140349141A1 (en) Battery pack
KR20140131222A (ko) 배터리팩
KR101539690B1 (ko) 이차 전지용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070097144A (ko) 이차전지
KR101483130B1 (ko) 전지 팩
KR20160147346A (ko) 외부 입출력 양극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각형 전지팩
KR20150058807A (ko) 배터리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11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9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