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7503A -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 Google Patents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37503A KR20140037503A KR1020120103728A KR20120103728A KR20140037503A KR 20140037503 A KR20140037503 A KR 20140037503A KR 1020120103728 A KR1020120103728 A KR 1020120103728A KR 20120103728 A KR20120103728 A KR 20120103728A KR 20140037503 A KR20140037503 A KR 201400375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e
- wire
- corrugated pipe
- corrugated
- fix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Landscapes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측단면도.
도 4는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관의 상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관에서 전선을 분리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동방지부재를 보인 도면이다.
30 : 제1삽입부 32 : 제1진입면부
34 : 제2진입면부 36 : 덮개부
40 : 고정관 44 : 유동방지부재
50 : 제1삽입부 52 : 제1고정면부
54 : 제2고정면부 60 : 결속부
62 : 걸림돌부 64 : 걸림홈부
70 : 구속부 72 : 끼움공
74 : 나비볼트 76 : 나비너트
Claims (9)
-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측 방향으로 전선이 삽입되도록 개구가 형성되는 관부재; 및
상기 관부재의 일단과 이웃하는 다른 관부재의 타단에 마련되고, 상기 관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부재는,
상기 전선이 개구로 삽입되도록 제1삽입부가 하부에 형성되고, 전체 또는 일부 길이 구간이 주름지게 형성되는 파형관; 및
상기 파형관의 양측에 상기 파형관의 직경보다 협소하게 형성되어 상기 전선의 둘레가 고정되고, 상기 제1삽입부와 연결되어 전선이 개구를 통해 삽입되도록 제2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속부가 양단에 구비되는 고정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는,
상기 파형관의 개구 틈새로 전선이 진입하도록 상기 파형관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진입면부; 및
상기 제1진입면부와 마주 보도록 상기 파형관의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2진입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진입면부와 상기 제2진입면부는 역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선이 삽입될수록 상기 개구가 점차적으로 벌려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는 상기 파형관의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되, 상기 제2진입면부와 절곡되게 연결되어 삽입된 전선이 이탈 방지되도록 상기 파형관 내부에 배치되는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진입면부 누름시, 상기 파형관의 타측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상기 파형관 내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파형관의 내측 둘레면과 전선을 분리하는 개방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은 상기 파형관의 중심방향으로 오므려지게 형성되어 상기 파형관의 중심 부위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관의 내주 면에는 상기 전선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전선의 둘레면을 감싸는 유동방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재는,
상기 고정관의 내주 면에 형성되는 패드부; 및
상기 패드부의 내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전선을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탄성접촉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접촉돌부는 상기 패드부의 내측면에 일측 방향으로 휘어지게 설정 간격으로 다수 개 부착되고, 단부가 패드부의 내주 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고정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관의 외측 둘레면에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부; 및
상기 걸림돌부가 걸려지도록 상기 고정관의 외측 둘레면에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부는 이웃하는 다른 걸림홈부에 걸려짐에 따라 상기 고정관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부는 상기 고정관으로 진입하는 개구를 갖도록 상기 고정관의 양측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제1,제2고정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제2고정면부는 구속부에 의해 상기 고정관을 오므려주어 삽입된 상기 전선을 가압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제1,제2고정면부에 각각 형성되는 끼움공;
상기 끼움공으로 끼워지는 나비볼트; 및
상기 나비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제1,제2고정면부를 각각 오므려 주는 나비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3728A KR101999093B1 (ko) | 2012-09-19 | 2012-09-19 |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3728A KR101999093B1 (ko) | 2012-09-19 | 2012-09-19 |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7503A true KR20140037503A (ko) | 2014-03-27 |
KR101999093B1 KR101999093B1 (ko) | 2019-07-11 |
Family
ID=50646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3728A Active KR101999093B1 (ko) | 2012-09-19 | 2012-09-19 |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99093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098680A (zh) * | 2015-09-22 | 2015-11-25 | 国网浙江宁波市鄞州区供电公司 | 一种卡瓦牙电缆保护装置 |
CN111092398A (zh) * | 2019-12-28 | 2020-05-01 | 安庆市晶科电子有限公司 | 一种易拆分式晶体管用线缆安装支架 |
KR20200139432A (ko) * | 2019-06-04 | 2020-12-14 | 한국전력공사 | 전주 방호장치 |
KR20220162264A (ko) * | 2021-06-01 | 2022-12-08 | 이강섭 |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 |
KR20240018708A (ko) * | 2022-08-02 | 2024-02-14 | 에스엠파워텍 주식회사 | 방호관 체결 클램프 |
CN118739142A (zh) * | 2024-09-03 | 2024-10-01 | 河南途舜建筑工程有限公司 | 一种建筑电气管线装置及其使用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98367A (ja) * | 1994-09-28 | 1996-04-12 | Inoac Corp | 電線カバー |
KR200145697Y1 (ko) * | 1996-03-02 | 1999-06-15 | 오광석 | 통풍식 잠바선 보호덮개 |
KR200339034Y1 (ko) * | 2003-10-08 | 2004-01-16 | 한국전력공사 | 애자 방호관 |
KR20120003193U (ko) * | 2010-10-29 | 2012-05-09 | 한국전력공사 | 절연전선용 슬리브커버 |
-
2012
- 2012-09-19 KR KR1020120103728A patent/KR10199909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98367A (ja) * | 1994-09-28 | 1996-04-12 | Inoac Corp | 電線カバー |
KR200145697Y1 (ko) * | 1996-03-02 | 1999-06-15 | 오광석 | 통풍식 잠바선 보호덮개 |
KR200339034Y1 (ko) * | 2003-10-08 | 2004-01-16 | 한국전력공사 | 애자 방호관 |
KR20120003193U (ko) * | 2010-10-29 | 2012-05-09 | 한국전력공사 | 절연전선용 슬리브커버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098680A (zh) * | 2015-09-22 | 2015-11-25 | 国网浙江宁波市鄞州区供电公司 | 一种卡瓦牙电缆保护装置 |
CN105098680B (zh) * | 2015-09-22 | 2018-01-19 | 国网浙江宁波市鄞州区供电公司 | 一种卡瓦牙电缆保护装置 |
KR20200139432A (ko) * | 2019-06-04 | 2020-12-14 | 한국전력공사 | 전주 방호장치 |
CN111092398A (zh) * | 2019-12-28 | 2020-05-01 | 安庆市晶科电子有限公司 | 一种易拆分式晶体管用线缆安装支架 |
CN111092398B (zh) * | 2019-12-28 | 2021-04-09 | 安庆市晶科电子有限公司 | 一种易拆分式晶体管用线缆安装支架 |
KR20220162264A (ko) * | 2021-06-01 | 2022-12-08 | 이강섭 |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 |
KR20240018708A (ko) * | 2022-08-02 | 2024-02-14 | 에스엠파워텍 주식회사 | 방호관 체결 클램프 |
CN118739142A (zh) * | 2024-09-03 | 2024-10-01 | 河南途舜建筑工程有限公司 | 一种建筑电气管线装置及其使用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99093B1 (ko) | 2019-07-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037503A (ko) |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 |
KR200428931Y1 (ko) | 전선관 커넥터 | |
KR20210032098A (ko) | 건축용 방호관장치 및 그 설치방법 | |
US20220390042A1 (en) | Conduit management device | |
KR101399036B1 (ko) | 완금 밴드 | |
KR20210113215A (ko) | 쿠션 슬리브 | |
KR102143127B1 (ko) | 방호관 취부장치 | |
KR20210030682A (ko) | 전선방호용 커버장치 | |
KR100820595B1 (ko) | 와이어 하네스의 프로텍터 | |
JP2013225981A (ja) | ワイヤハーネス分岐部の保護具 | |
KR20210132449A (ko) | 연장형 전선 방호관 구조체 | |
KR200179924Y1 (ko) | 전선부설용 홈통 | |
KR20230044988A (ko) | 주름형 건축용 방호관 구조체 | |
JP6536272B2 (ja) | 絶縁カバー | |
KR200489056Y1 (ko) | 전선포설용 캡 | |
JP3678029B2 (ja) | プロテクタ | |
KR20140146404A (ko) | 체결성을 증진시킨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 | |
KR102685978B1 (ko) | 방호관 체결 클램프 | |
KR20210086752A (ko) | 와이어 인출부 고정 밴드 결합 구조 | |
CN221552711U (zh) | 一种用于门槛位置的护线槽结构 | |
JP7504254B1 (ja) | ケーブル曲がり部用移動抑制装置 | |
JP6069007B2 (ja) | 破断配電線の垂下防止具 | |
KR101061809B1 (ko) | 이지행거 | |
KR200426812Y1 (ko) |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 | |
KR101549841B1 (ko) | 선박용 배관부재의 가설 보호커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9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9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4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7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