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5595A - 화면 동기 제어 시스템, 이를 이용한 화면 동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화면 동기 제어 시스템, 이를 이용한 화면 동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35595A KR20140035595A KR1020120101969A KR20120101969A KR20140035595A KR 20140035595 A KR20140035595 A KR 20140035595A KR 1020120101969 A KR1020120101969 A KR 1020120101969A KR 20120101969 A KR20120101969 A KR 20120101969A KR 20140035595 A KR20140035595 A KR 201400355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web page
- information
- service
- control chann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title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15 scrip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1150012579 ADSL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0775 Adenylosuccinate ly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700040193 Adenylosuccinate ly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62 f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04L12/1827—Network arrangements for conference optimisation or adapt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단말 사이에서의 화면 동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 채널이 설정된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소스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소스 정보를 기초로 웹 페이지를 생성한 후 상기 단말과 제어 채널이 설정된 다른 단말로 상기 웹 페이지를 동시에 전송하고 동일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화면 동기 제어 시스템, 이를 이용한 화면 동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동기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과 제어 채널을 수립하며, 웹 페이지 생성을 위한 소스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웹 페이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말 및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소스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소스 정보를 기 저장된 페이지 템플릿과 결합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웹 페이지를 상기 단말 및 상기 단말과 제어 채널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로 각각 전송하고,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 수행 후 상기 기능 수행에 따른 처리 결과를 상기 단말 및 상기 단말과 제어 채널이 형성된 다른 단말로 각각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동기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과 제어 채널을 수립하며, 웹 페이지 생성을 위한 소스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웹 페이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말 및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소스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소스 정보를 기 저장된 페이지 템플릿과 결합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웹 페이지를 상기 단말 및 상기 단말과 제어 채널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로 각각 전송하고,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 수행 후 상기 기능 수행에 따른 처리 결과를 상기 단말 및 상기 단말과 제어 채널이 형성된 다른 단말로 각각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수의 단말 사이에서의 화면 동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 채널이 설정된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소스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소스 정보를 기초로 웹 페이지를 생성한 후 상기 단말과 제어 채널이 설정된 다른 단말로 상기 웹 페이지를 동시에 전송하고 동일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화면 동기 제어 시스템, 이를 이용한 화면 동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언제 어디서나 특정 정보를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 증대 및 정보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을 통해 다양한 정보 공유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단말 간 파일 송수신 또한 상기의 요구에 따라 개발된 기술이라 할 수 있는 데,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자 할 경우, 제1 단말 사용자가 제2 단말의 번호를 입력하고 파일을 첨부하여 전송하면, 제2 단말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을 통해 제1 단말 사용자가 송신한 파일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서 더 나아가, 최근에는 다수의 단말 사이에 화면을 공유함으로써,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기술들이 주목 받고 있다.
화면을 공유할 수 있는 기술이란 특정 단말의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면을 실시간으로 캡쳐하여 연결된 다른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화면 상의 각종 정보의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 전자 회의, 컴퓨터 원격 제어 등에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정보의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고, 보다 쉽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널리 이용되고 있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정보 공유 기술들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공유하고자 하는 정보를 생성하여 다른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해야 하며, 화면 공유 기술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더라도, 미리 사용자의 단말에 공유하고자 하는 정보를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의 정보 공유 기술들은 어느 하나의 제어 단말이 피제어 단말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피제어 단말은 단순히 제공되는 정보만을 확인할 수 있을 뿐, 그 어떠한 제어 명령을 입력하거나 전송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특히 상대방과 공유하고자 하는 정보를 사용자가 생성할 필요 없이 소스 정보만을 서비스 장치로 제공하면, 자동적으로 서비스 장치가 웹 페이지를 생성하여 제어 채널을 통해 연결된 단말로 제공할 수 있는 화면 동기 제어 시스템, 이를 이용한 화면 동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어 단말 및 피제어 단말의 구분 없이 제어 채널을 통해 연결된 단말들은 서비스 장치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 수행에 따른 처리 결과를 수신할 수 있는 화면 동기 제어 시스템, 이를 이용한 화면 동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면 동기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과 제어 채널을 수립하며, 웹 페이지 생성을 위한 소스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로부터 웹 페이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말; 및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소스 정보가 수신되면, 소스 정보를 기 저장된 페이지 템플릿과 결합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웹 페이지를 단말 및 단말과 제어 채널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로 각각 전송하고,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 수행 후 기능 수행에 따른 처리 결과를 단말 및 단말과 제어 채널이 형성된 다른 단말로 각각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는 다수의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비스 통신부; 및 제1 단말로부터 웹 페이지 생성을 위한 소스 정보가 수신되면, 소스 정보를 기 저장된 페이지 템플릿과 결합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웹 페이지를 제1 단말 및 제1 단말과 제어 채널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 각각 전송하고, 제1 단말 또는 제2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 수행 후 기능 수행에 따른 처리 결과를 제1 단말 및 제2 단말로 각각 전송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어부는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과의 제어 채널 수립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1 단말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면 제1 단말과 제2 단말 사이의 제어 채널을 할당할 수도 있다.
이때, 서비스 제어부는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채널 수립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2 단말로부터 기 수신된 제2 단말의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웹 페이지 생성을 위한 페이지 템플릿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서비스 제어부는 제1 단말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 및 소스 정보를 기 저장된 페이지 템플릿과 결합하여 생성된 웹 페이지에 주소 정보를 부여한 후 서비스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소스 정보는 이미지, 비디오 텍스트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면 동기 방법은 서비스 장치가 제1 단말로부터 웹 페이지 생성을 위한 소스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서비스 장치가 소스 정보를 기 저장된 페이지 템플릿과 결합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서비스 장치가 생성된 웹 페이지를 제1 단말 및 제1 단말과 제어 채널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제1 단말로부터 웹 페이지 생성을 위한 소스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이전에, 제1 단말이 서비스 장치로 제2 단말로부터 기 수신된 제2 단말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채널 수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서비스 장치가 제어 채널 수립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제2 단말의 인증 정보와 제2 단말로부터 기 수신된 제2 단말의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사이의 제어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도 있다.
또한, 웹 페이지를 제1 단말과 제2 단말로 각각 전송한 단계 이후에, 서비스 장치가 제1 단말 또는 제2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웹 페이지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서비스 장치가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및 서비스 장치가 기능 수행에 따른 처리 결과를 제1 단말 및 제1 단말과 제어 채널이 형성된 제2 단말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도 있다.
여기서, 웹 페이지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에서, 제1 단말 및 제2 단말로부터 동시에 제어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서비스 장치가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기 설정된 우선순위는 제어 채널 수립을 요청한 제1 단말의 제어 명령을 우선하여 처리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상술한 화면 동기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면 동기 제어 시스템, 이를 이용한 화면 동기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상대방과 화면 공유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정보를 직접 생성할 필요 없이 소스 정보만을 서비스 장치로 제공하면, 자동적으로 서비스 장치가 웹 페이지를 생성하여 제어 채널을 통해 연결된 단말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단말 판매원, 단말 장애 처리 엔지니어 등과 같은 사용자들은 상대방 단말과 화면을 공유하여 보다 쉽게 관련된 정보를 설명할 수 있으며, 설명을 듣는 상대방 단말의 사용자 또한 제어 명령을 입력하고 이에 대한 처리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보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사이에서의 인증 정보 생성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의 화면 동기 방법에 대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페이지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사이에서의 화면 동기 방법에 대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사이에서의 인증 정보 생성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의 화면 동기 방법에 대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페이지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사이에서의 화면 동기 방법에 대한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단말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이동 단말은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이 사용될 수 있으며, 통신망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단말이라면, 그 어떠한 단말도 본 발명의 단말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단말은 화면 동기화 방식을 통해 특정 정보를 다른 단말, 예컨대, 제2 단말과 공유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이며, 제2 단말은 상기 제1 단말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1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화면 동기화 방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의 단말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기능 및 동작은 동일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동기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동기 제어 시스템의 주요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면 동기 제어 시스템(100)은 다수의 단말(10), 화면 동기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20) 및 통신망(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화면 동기 제어 시스템(10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수의 단말(10)은 화면 동기화 방식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로, 여기서, 제1 단말(10a)의 요청에 따라 제1 단말(10a)이 현재 표시하고 있는 정보를 제2 단말(10b)의 화면을 통해 그대로 표시하고자 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동기 제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수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 예컨대 제1 단말(10a)이 화면 동기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20)로 제어 채널 수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 채널 수립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10a)의 식별 정보, 상기 제1 단말(10a)이 연결하고자 하는 상대방 단말, 예컨대 제2 단말(10b)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10b)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수신한 서비스 장치(20)는 상기 제1 단말(10a) 및 상기 제1 단말(10a)이 연결하고자 하는 제2 단말(10b) 사이의 제어 채널을 할당하기 위해 먼저, 제어 채널 수립을 요청한 제1 단말(10a)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제1 단말(10a)의 사용자 인증은 상기 제어 채널 수립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제2 단말(10b)의 인증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이뤄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10a)은 서비스 장치(20)로 제어 채널 수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에 앞서, 먼저, 화면 동기화 방식으로 화면을 공유하고자 하는 단말, 즉, 제2 단말(10b)로 화면 공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를 수신한 제2 단말(10b)은 제1 단말(10a)의 요청에 수락할 경우, 수락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1 단말(10a)로 전송할 수 있으며, 화면 공유를 원하지 않을 경우 거부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1 단말(10a)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단말(10b)이 제1 단말(10a)의 요청에 수락할 경우, 제2 단말(10b)은 상기 수락 메시지와 더불어 인증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증 정보를 제1 단말(10a)로 전송함과 동시에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장치(20)는 제1 단말(10a)로부터 수신된 제어 채널 수립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제2 단말(10b)의 인증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10b)로부터 수신하여 기 저장된 제2 단말(10b)의 인증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제1 단말(10a)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증 시 제1 단말(10a)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단말(10a)이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화면 동기화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인지를 더 판단할 수도 있으나, 상기의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단말(10a)의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게 되면, 서비스 장치(20)는 상기 제1 단말(10a)과 제2 단말(10b)로 제어 채널을 할당하여 제어 채널을 수립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 채널이 수립된 상태란 서비스 장치(20)가 제1 단말(10a) 및 상기 제1 단말(10a)과 연결된 다른 단말, 즉 제2 단말(10b)의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동기화시켜 제어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때, 서비스 장치(20)는 상기 각 단말 내에 저장된 모든 정보에 접근하여 화면을 동기화시켜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기초로 웹 페이지를 생성한 후, 생성된 웹 페이지를 각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웹 페이지 상에서의 동기화 과정만을 제어하게 된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어 채널이 수립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단말, 바람직하게는 제어 채널 수립을 요청한 단말, 즉 제1 단말(10a)로부터 제2 단말(10b)과 공유하고자 하는 정보(이하, 소스 정보라 함)가 수신되면, 서비스 장치(20)는 상기 소스 정보 기 저장된 페이지 템플릿과 결합하여 하나의 웹 페이지를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소스 정보는 제1 단말(10a)이 제2 단말(10b)과 공유하고자 하는 정보로, 이미지, 비디오, 텍스트 중 하나 이상의 정보가 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장치(20)는 생성된 웹 페이지를 제1 단말(10a)과 제2 단말(10b)로 각각 전송하고, 제1 단말(10a) 또는 제2 단말(10b) 중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 후 기능 수행에 따른 처리 결과를 제1 단말(10a) 및 제2 단말(10b)로 동시에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 명령은 클릭 이벤트, 드래그 이벤트, 스크롤 이벤트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 수행은 확대보기, 축소보기, 다음 페이지 보기, 이전 페이지 보기, 화면 이동 등과 같은 웹 페이지 상에서 동작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제어 명령 및 기능 수행이 이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른 사용자 단말과 특정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 예컨대 제1 단말(10a)이 소스 정보를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하게 되면, 서비스 장치(20)가 상기 소스 정보를 기초로 자동적으로 웹 페이지를 생성하여 연결된 단말로 각각 전송함으로써, 다른 단말과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은 공유 정보를 별도로 생성하지 않아도, 보다 쉽게 정보를 공유하여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른 단말과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정보만을 서비스 장치(20)의 제어 하에 화면 동기화 방식으로 공유할 수 있어, 서비스 장치(20) 또는 상대방 단말의 무조건적인 접근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화면 공유 시의 보안이 강화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인 단말(10) 및 서비스 장치(20)에서의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며, 상기 다수의 단말(10) 및 서비스 장치(20)는 통신망(30)을 통해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며, 이때의 통신망(30)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동기 방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단말, 즉 제1 단말(10a)과 제2 단말(10b) 내 상기 서비스 장치(20)에 의해 제공된 화면 동기 제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제2 단말(10b)이 제1 단말(10a)의 화면 공유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이에 수락할 경우에 인증 정보를 자동적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인증 정보를 제1 단말(10a) 및 서비스 장치(2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으며, 제1 단말(10a)의 소스 정보를 서비스 장치(20)로 전송 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말(10a)과 제2 단말(10b)은 서비스 장치(20)와 정보를 송수신할 경우, 각 단말의 식별 정보를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수신한 서비스 장치(20)는 상기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각 단말이 자신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식별 정보는 단말(10)이 가입된 이동통신 서비스 정보(전화번호),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등이 될 수 있으며, 서비스 장치(20)는 단말(1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인증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된 제어 채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은 통신부(11), 제어부(12), 입력부(13), 저장부(14), 표시부(15) 및 음원 출력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상기 단말(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동기화 방식을 통해 특정 정보를 다른 단말, 예컨대 제2 단말(10b)과 공유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 예컨대 제1 단말(10a)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단말(10a) 및 제2 단말(10b)의 기능 및 동작은 동일하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통신부(11)는 통신망(30)을 통해 다른 단말 또는 서비스 장치(2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화면 동기화 방식으로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다른 단말로 화면 공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서비스 장치(20)로 다른 단말과 공유하고자 하는 소스 정보, 예컨대 하나 이상의 이미지, 비디오, 텍스트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통신부(11)는 정보 송수신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2)는 단말(10)의 각 구성 요소에 전원 공급 및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으로,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 예컨대,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2)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화면 동기화 방식으로 특정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단말, 예컨대 제2 단말(10b)로 먼저 화면 공유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고, 상기 제2 단말(10b)로부터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제어 채널 수립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부(11)를 통해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제어 채널 수립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2 단말(10b)로부터 기 수신된 상기 제2 단말(10b)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서비스 장치(20)는 상기 인증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는 경우, 각 단말로 제어 채널을 할당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12)는 서비스 장치(20)로 상기 제2 단말(10b)과 공유하고자 하는 소스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소스 정보는 이미지, 비디오, 텍스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후술할 표시부(15)를 통해 상기 소스 정보를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페이지 템플릿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페이지 템플릿을 확인한 후 소스 정보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입력하고 제어부(12)는 상기 순차적으로 입력된 소스 정보를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컨대, 페이지 템플릿이 상단에는 이미지가 하단에는 텍스트가 위치하는 페이지 템플릿일 경우, 사용자는 상기 페이지 템플릿의 이미지 부분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먼저 선택하고, 상기 페이지 템플릿의 텍스트 부분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12)는 이를 상기 페이지 템플릿의 정보와 함께 순차적으로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상기 페이지 템플릿의 이미지 부분에 대응되는 이미지에 일련 번호, 예컨대 '10'을 할당하고, 상기 텍스트 부분에 대응되는 텍스트에 일련 번호, 예컨대 '20'을 할당한 후 상기 페이지 템플릿의 정보와 함께 상기 서비스 장치(20)로 일괄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서비스 장치(20)는 페이지 템플릿의 정보와 함께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상기 소스 정보, 또는 일련 번호를 기초로 페이지 템플릿 내에서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소스 정보와 페이지 템플릿을 결합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12)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소스 정보 또는 웹 페이지에 링크 정보를 설정하여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2)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소스 정보를 순차적으로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하거나 또는 일련 번호를 부여한 후 일괄적으로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설명하였다.
여기에 더불어, 링크 정보를 설정할 수도 있는데, 예컨대 제1 이미지에 대한 클릭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클릭 이벤트에 대응하여 제1 비디오를 재생하도록 링크 정보를 설정하여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소스 정보를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한 이후에,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상기 소스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된 웹 페이지를 수신하여 표시부(15)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입력부(13)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단말(1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2)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입력부(13)는 화면 동기화 방식으로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다른 단말로 화면 공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지원하며, 사용자로부터 소스 정보를 입력 받거나 또는 서비스 장치(20)로 화면 공유를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지원하게 된다.
이러한 입력부(13)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3)는 후술할 표시부(15)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3)는 키보드나 키패드와 같은 키 입력 수단, 터치센서나 터치 패드와 같은 터치 입력 수단,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와 근접 센서, 그리고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스처 입력 수단 또는 음성 입력 수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현재 개발 중이거나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그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저장부(14)는 웹 페이지 생성을 위한 소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 장치(1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와 같은 단말(10) 구동을 위한 관련된 정보들을 저장하며, 데이터 영역은 단말 장치(10)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 및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multimedia card micro)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ROM) 등의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5)는 단말 장치(1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예컨대, 화면 공유를 위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며,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5)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음원 출력부(16)는 전기적인 신호인 음원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것으로, 화면 공유를 위한 다양한 정보들을 출력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20)는 서비스 통신부(21), 서비스 제어부(22) 및 서비스 저장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서비스 제어부(22)는 웹 페이지 생성 모듈(22a), 화면 동기 제어 모듈(22b)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비스 통신부(21)는 통신망(30)을 통해 다수의 단말(10)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예컨대 제1 단말(10a)로 제어 채널 수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소스 정보를 수신하고, 제1 단말(10a)과 제어 채널이 수립된 다른 단말, 예컨대 제2 단말(10b)로 상기 소스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한 웹 페이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10a) 및 제2 단말(10b)로부터 상기 웹 페이지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서비스 제어부(22)는 본 발명의 화면 동기 제어를 위한 서비스 장치(2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특히, 어느 하나의 단말, 예컨대 제1 단말(10a)로부터 제2 단말(10b)과의 제어 채널 수립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1 단말(10a)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 인증은 상기 제1 단말(10a)로부터 수신된 제어 채널 수립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제2 단말(10b)에 대한 인증 정보와 제2 단말(10b)로부터 미리 수신된 제2 단말(10b)의 인증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10b)의 인증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제1 단말(10a)은 제2 단말(10b)로부터 화면 공유 요청에 대한 수락을 얻어낸 상태이므로, 서비스 제어부(22)는 상기 제1 단말(10a) 및 제2 단말(10b)과 각각 제어 채널을 수립하게 된다.
이후, 제1 단말(10a)로부터 제2 단말(10b)과 공유하고자 하는 소스 정보가 수신되면, 서비스 제어부(22)는 상기 소스 정보를 기 저장된 페이지 템플릿과 결합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제어부(22)는 상기 소스 정보를 제공한 제1 단말(10a)로 페이지 템플릿에 대한 정보를 먼저 제공하고, 이를 확인한 제1 단말(10a)로부터 페이지 템플릿 정보와 함께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소스 정보 또는 일련 번호와 함께 수신되는 소스 정보를 상기 페이지 템플릿과 결합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페이지 템플릿은 웹 페이지 생성을 위한 기본 배경 이미지, 폰트 및 색상, 소스 정보의 기본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서비스 제어부(22)는 후술할 서비스 저장부(23)에 상기와 같은 페이지 템플릿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게 된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22)는 상기 소스 정보 및 상기 소스 정보를 기 저장된 페이지 템플릿과 결합하여 생성된 웹 페이지를 서비스 저장부(23)에 저장 시 주소 정보를 부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주소 정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될 수 있으며, 서비스 저장부(23) 내의 저장된 위치 및 소스 정보 또는 웹 페이지 간의 링크 정보를 나타내게 된다.
예컨대, 제1 단말(10a)로부터 제1 페이지 템플릿 정보에 대응하여 제1 이미지 및 제1 텍스트가 수신되고, 제2 페이지 템플릿 정보에 대응하여 제1 비디오가 수신되고, 더불어 제1 이미지에 대응하여 제1 비디오에 대한 링크 정보가 수신된다 가정한다. 서비스 제어부(20)는 상기 제1 페이지 템플릿과 제1 이미지 및 제1 텍스트를 결합하여 제1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 제2 페이지 템플릿과 제1 비디오를 결합하여 제2 웹 페이지를 생성한 후 각각의 생성된 웹 페이지에 주소 정보를 부여하고 서비스 저장부(23)에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제1 웹 페이지 및 제2 웹 페이지 사이의 순서를 나타내기 위해 주소 정보는 P001, P002의 순으로 부여될 수 있으며, P001에 대응하는 제1 웹 페이지에서 다음 페이지 보기에 대한 클릭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다음 페이지는 P002이므로, 상기 P002에 대응하는 제2 웹 페이지를 서비스 저장부(23)에서 검색한 후, 검색된 제2 웹 페이지를 각각의 단말로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주소 정보를 부여한 웹 페이지를 제1 단말(10a) 및 제2 단말(10b)로 각각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10a)과 제2 단말(10b) 중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기능 수행에 따른 처리 결과를 제1 단말(10a) 및 제2 단말(10b)로 각각 전송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제1 단말(10a) 및 제2 단말(10b)은 서비스 장치(20)의 제어 하에 상대방 단말과 동일한 화면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제1 단말(10a)과 제2 단말(10b)로부터 동시에 제어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서비스 제어부(22)는 기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제어 명령을 처리할 수 있는데, 여기서 기 설정된 우선 순위는 제어 채널 수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제1 단말(10a)의 제어 명령을 우선하여 처리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으로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명령이 처리되지 않은 제2 단말(10b)로는 "제1 단말(10a)의 제어 명령을 먼저 처리합니다."와 같은 안내 메시지를 제2 단말(10b)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른 단말과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은 직접 공유하고자 하는 정보를 생성하지 않더라도 소스 정보만을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하게 되면, 서비스 장치(20)가 상기 소스 정보를 기 저장된 페이지 템플릿과 결합하여 자동적으로 하나의 웹 페이지를 생성하여 연결된 각각의 단말로 전송하고, 어느 하나의 단말의 제어 명령에 따라 동시에 동일한 화면이 연결된 단말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서비스 제어부(22)는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소스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소스 정보를 기초로 기 저장된 템플릿과 결합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는 웹 페이지 생성 모듈(22a), 단말 간의 제어 채널을 수립하고, 제어 명령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하며,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대한 처리 결과를 제어 채널로 연결된 단말로 각각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는 화면 동기 제어 모듈(22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저장부(23)는 화면 동기 제어를 위한 전반적인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저장부(23)는 제2 단말(10b)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를 상기 제2 단말(10b)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하며, 웹 페이지 생성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템플릿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채널이 수립된 상태에서의 제1 단말(10a) 및 제2 단말(10b) 사이의 송수신되는 정보를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로 각각 전송되는 웹 페이지를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동기 제어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장치(20)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20)는 서버 기반 컴퓨팅 방식 또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화면 동기 제어 시스템(100)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및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수의 단말(10)과 서비스 장치(20) 사이에 송수신되는 모든 정보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저장되고, 언제 어디서든 전송될 수 있다.
이상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단말(10) 및 서비스 장치(20)의 주요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가 모두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각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 각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화면 동기 방법에 대해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동기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먼저, 화면 동기화 방식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의 단말은 상대방 단말로 먼저 화면 공유 요청에 대한 수락을 얻어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사이에서의 인증 정보 생성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먼저, 제2 단말(10b)과 화면을 공유하고자 하는 제1 단말(10a)은 먼저, 제2 단말(10b)로 화면 공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S101). 여기서, 화면 공유 요청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과 같은 메시지 형태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단말(10a) 및 제2 단말(10b)에 구비된 화면 동기 제어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내의 팝업 형태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수신한 제2 단말(10b)은 상기 제1 단말(10a)의 요청에 수락할 경우(S103), 수락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는 데, 이때 인증 정보를 함께 제1 단말(10a)로 전송하게 된다(S105).
여기서, 인증 정보는 상기 화면 동기 제어 서비스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랜덤(random)한 형태로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서비스 장치(20)는 제어 채널 수립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S103 단계에서 제1 단말(10a)의 요청에 수락하지 않을 경우, 제2 단말(10b)은 거절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에서의 화면 동기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의 화면 동기 방법에 대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단말(10a) 및 서비스 장치(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단말(10b)로부터 화면 공유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단말(10a)이 서비스 장치(20)로 제2 단말(10b)과의 제어 채널 수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면(S301), 이를 수신한 서비스 장치(20)는 제1 단말(10a)의 제어 채널 수립 요청 메시지가 적합한 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S303).
여기서, 사용자 인증은 상기 제1 단말(10a)로부터 수신된 제어 채널 수립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제2 단말(10b)의 인증 정보와, 상기 제2 단말(10b)로부터 기 수신된 제2 단말(10b)의 인증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인증 결과, 사용자 인증에 실패하게 되면, 제1 단말(10a)로 인증 실패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S305). 이때, 제2 단말(10b)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가 서로 상이할 경우, 제1 단말(10a)로 "인증 정보가 다릅니다. 상대방 단말의 번호를 다시 한 번 확인해주세요."라는 인증 실패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제2 단말(10b)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가 없을 경우, "먼저 상대방 단말로부터 화면 공유 요청에 대해 수락을 얻으세요."라는 인증 실패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20)는 제2 단말(10b)로부터 인증 정보가 수신된 시점을 기점으로 일정 기간 경과 후 상기 인증 정보를 삭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단말(10a)이 화면 공유 요청 메시지를 제2 단말(10b)로 전송하여, 제2 단말(10b)이 수락 메시지를 생성한 경우, 일정 기간 내 예컨대 5분 이내에 제1 단말(10a)과 제2 단말(10b)은 서비스 장치(20)의 제어 하에 제어 채널이 수립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상기 인증 정보는 서비스 장치(20) 내에서 삭제되고, 일정 기간 경과 후에 제1 단말(10a)이 서비스 장치(20)로 제2 단말(10b)과의 제어 채널 수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더라도, 서비스 장치(20)는 상기 제1 단말(10a)의 인증을 수락하지 않고 "인증 가능 시간이 지났습니다. 다시 한 번 상대방 단말로 화면 공유 요청에 대해 수락을 얻으세요."라는 인증 실패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S303 단계에서 인증에 성공하게 되면, 서비스 장치(20)는 제1 단말(10a)과 제2 단말(10b)로 각각 제어 채널을 할당하고, 각각 제어 채널을 수립하게 된다(S307 ~ S313).
이후, 제1 단말(10a)로부터 제2 단말(10b)과 공유하고자 하는 소스 정보가 수신되면(S315), 서비스 장치(20)는 기 저장된 템플릿 페이지와 병합하여(S317) 웹 페이지를 생성하게 된다(S323).
여기서, 서비스 장치(20)는 상기 제1 단말(10a)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 및 생성된 웹 페이지를 영구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데, 이때, 상기 소스 정보 및 웹 페이지에 주소 정보를 부여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페이지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제1 단말(10a)로부터 제1 페이지 템플릿 정보(60)에 대응하여 제1 이미지(61) 및 제1 텍스트(62)를 포함하는 소스 정보가 수신되면, 서비스 장치(20)는 상기 제1 페이지 템플릿 정보(60)에 대응하는 제1 페이지 템플릿에 상기 제1 이미지(61) 및 제1 텍스트(62)를 결합하여 제1 웹 페이지(60a)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상기 제1 웹 페이지(60a)에는 P001, 제1 이미지(61)에는 I001, 제1 텍스트(62)에는 T001의 주소 정보를 부여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후, 제1 단말(10a)로부터 제2 페이지 템플릿 정보(69)에 대응하여 제1 비디오(64), 제2 비디오(65) 및 제2 텍스트(66)를 포함하는 소스 정보가 수신되면, 서비스 장치(20)는 상기 제2 페이지 템플릿 정보(69)에 대응하는 제2 페이지 템플릿에 상기 제1 비디오(64), 제2 비디오(65) 및 제2 텍스트(66)를 결합하여 제2 웹 페이지(69b)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2 웹 페이지(69b)가 상기 제1 웹 페이지(60a) 다음에 위치하는 웹 페이지이면, 이에 따라 주소 정보를 P002로 부여하여 저장하고, 제2 웹 페이지(69b) 내의 제1 비디오(64), 제2 비디오(65) 및 제2 텍스트(66)에도 각각 주소 정보를 부여하여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제1 웹 페이지(60a)의 다음 페이지 보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가 제3 웹 페이지이면, 서비스 장치(20)는 상기 제1 웹 페이지(60a)에 P001-P003과 같은 방식으로 주소 정보를 부여할 수도 있다.
상기의 주소 정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보다 정확하게는 "http://sktelecom.com/01011111234&where=P001&next&P003" 등과 같이 상기 웹 페이지, 소스 정보가 영구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된 서비스 장치(20)의 위치 및 디렉토리 정보를 포함하는 URL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웹 페이지가 생성되면, 생성된 웹 페이지를 제어 채널을 통해 연결된 각각의 단말로 전송하고(S321 ~ S323), 어느 하나의 단말, 예컨대 제1 단말(10a)로부터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S325),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고(S327), 그 기능 수행에 따른 처리 결과에 대한 결과 페이지를 제어 채널을 통해 연결된 각각의 단말, 제1 단말(10a) 및 제2 단말(10b)로 각각 전송하게 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10a) 및 제2 단말(10b)은 서비스 장치(20)의 제어 하에 동일한 화면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화면을 공유하고자 하는 단말은 비디오, 이미지, 텍스트 등의 정보를 서비스 장치(20)로 제공하게 되면, 서비스 장치(20)가 자동적으로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웹 페이지를 수신하여 확인함으로써, 보다 쉽게 화면 공유를 통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단말 판매원, 단말 장애 처리 엔지니어 등과 같은 사용자들은 상대방 단말과 화면을 공유하여 보다 쉽게 관련된 정보를 설명할 수 있으며, 설명을 듣는 상대방 단말의 사용자 또한 제어 명령을 입력하고 이에 대한 처리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자 회의 등에서 발표자가 회의에 참석한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에 대한 정보 및 전자 회의에서 발표하고자 하는 소스 정보만을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하면, 서비스 장치(20)가 상기 소스 정보를 회의 형식에 적합한 기 저장된 페이지 템플릿과 결합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하여 상기 전자 회의에 참석할 사용자의 단말로 각각 전송하고, 발표자의 제어 명령을 처리한 그 결과 화면을 각각의 단말로 각각 전송함으로써, 발표자는 보다 용이하게 회의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동기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 및 서비스 장치(20)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탑재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 예컨대, 화면 동기 제어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한 주제, 즉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의 특정 일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단말 사이에서의 화면 동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 채널이 설정된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소스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소스 정보를 기초로 웹 페이지를 생성한 후 상기 단말과 제어 채널이 설정된 다른 단말로 상기 웹 페이지를 동시에 전송하고 동일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화면 동기 제어 시스템, 이를 이용한 화면 동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면 동기 제어 시스템, 이를 이용한 화면 동기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상대방과 화면 공유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정보를 직접 생성할 필요 없이 소스 정보만을 서비스 장치로 제공하면, 자동적으로 서비스 장치가 웹 페이지를 생성하여 제어 채널을 통해 연결된 단말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말 판매원, 단말 장애 처리 엔지니어 등과 같은 사용자들은 상대방 단말과 화면을 공유하여 보다 쉽게 관련된 정보를 설명할 수 있으며, 설명을 듣는 상대방 단말의 사용자 또한 제어 명령을 입력하고 이에 대한 처리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 단말의 판매를 촉진하거나, 사용자의 단말과 관련된 장애 처리를 보다 쉽게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으며, 일반 사용자들 또한 상대방과 화면 동기화 방식을 통해 정보를 쉽게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단말 10a: 제1 단말 장치 10b: 제2 단말 장치
11: 통신부 12: 제어부 13: 입력부
14: 저장부 15: 표시부 16: 음원 출력부
20: 서비스 장치 21: 서비스 통신부 22: 서비스 제어부
22a: 웹 페이지 생성 모듈 22b: 화면 동기 제어 모듈
23: 서비스 저장부 30: 통신망 100: 화면 동기 제어 시스템
11: 통신부 12: 제어부 13: 입력부
14: 저장부 15: 표시부 16: 음원 출력부
20: 서비스 장치 21: 서비스 통신부 22: 서비스 제어부
22a: 웹 페이지 생성 모듈 22b: 화면 동기 제어 모듈
23: 서비스 저장부 30: 통신망 100: 화면 동기 제어 시스템
Claims (12)
-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과 제어 채널을 수립하며, 웹 페이지 생성을 위한 소스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웹 페이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말; 및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소스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소스 정보를 기 저장된 페이지 템플릿과 결합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웹 페이지를 상기 단말 및 상기 단말과 제어 채널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로 각각 전송하고,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 수행 후 상기 기능 수행에 따른 처리 결과를 상기 단말 및 상기 단말과 제어 채널이 형성된 다른 단말로 각각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동기 제어 시스템. - 다수의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비스 통신부; 및
제1 단말로부터 웹 페이지 생성을 위한 소스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소스 정보를 기 저장된 페이지 템플릿과 결합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웹 페이지를 상기 제1 단말 및 제1 단말과 제어 채널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 각각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 또는 제2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 수행 후 상기 기능 수행에 따른 처리 결과를 상기 제1 단말 및 제2 단말로 각각 전송하는 서비스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과의 제어 채널 수립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제1 단말과 제2 단말 사이의 제어 채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채널 수립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2 단말로부터 기 수신된 제2 단말의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웹 페이지 생성을 위한 페이지 템플릿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 저장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 및 상기 소스 정보를 기 저장된 페이지 템플릿과 결합하여 생성된 웹 페이지에 주소 정보를 부여한 후 상기 서비스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정보는
이미지, 비디오 텍스트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 서비스 장치가 제1 단말로부터 웹 페이지 생성을 위한 소스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소스 정보를 기 저장된 페이지 템플릿과 결합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생성된 상기 웹 페이지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1 단말과 제어 채널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동기 방법.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웹 페이지 생성을 위한 소스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서비스 장치로 상기 제2 단말로부터 기 수신된 제2 단말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채널 수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제어 채널 수립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제2 단말의 인증 정보와 상기 제2 단말로부터 기 수신된 제2 단말의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사이의 제어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동기 방법.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를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로 각각 전송한 단계 이후에,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제1 단말 또는 제2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웹 페이지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기능 수행에 따른 처리 결과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1 단말과 제어 채널이 형성된 상기 제2 단말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동기 방법.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단말 및 제2 단말로부터 동시에 상기 제어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장치가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동기 방법.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우선순위는 상기 제어 채널 수립을 요청한 제1 단말의 제어 명령을 우선하여 처리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동기 방법. - 제7 항 내지 제11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기재된 화면 동기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1969A KR20140035595A (ko) | 2012-09-14 | 2012-09-14 | 화면 동기 제어 시스템, 이를 이용한 화면 동기 방법 및 장치 |
CN201380033653.3A CN104396185B (zh) | 2012-09-14 | 2013-07-30 | 画面同步控制系统和使用该系统来同步画面的方法及装置 |
EP13837470.7A EP2897323B1 (en) | 2012-09-14 | 2013-07-30 | Screen synchroniz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a screen using same |
PCT/KR2013/006817 WO2014042357A1 (ko) | 2012-09-14 | 2013-07-30 | 화면 동기 제어 시스템, 이를 이용한 화면 동기 방법 및 장치 |
US14/567,407 US9858032B2 (en) | 2012-09-14 | 2014-12-11 | Screen synchroniz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a screen us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1969A KR20140035595A (ko) | 2012-09-14 | 2012-09-14 | 화면 동기 제어 시스템, 이를 이용한 화면 동기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5595A true KR20140035595A (ko) | 2014-03-24 |
Family
ID=50278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1969A Withdrawn KR20140035595A (ko) | 2012-09-14 | 2012-09-14 | 화면 동기 제어 시스템, 이를 이용한 화면 동기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9858032B2 (ko) |
EP (1) | EP2897323B1 (ko) |
KR (1) | KR20140035595A (ko) |
CN (1) | CN104396185B (ko) |
WO (1) | WO2014042357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2048B1 (ko) * | 2014-09-11 | 2015-12-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바이스 동작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69286A (ko) * | 2014-12-08 | 2016-06-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CN104580455A (zh) * | 2014-12-31 | 2015-04-29 | 北京酷云互动科技有限公司 | 推送方法、推送装置和服务器 |
CN105550196A (zh) * | 2015-10-28 | 2016-05-04 | 广州美渠信息科技有限公司 | 交互方法和装置 |
US11249715B2 (en) | 2020-06-23 | 2022-02-15 | Switchboard Visual Technologies, Inc. | Collaborative remote interactive platform |
CN112346799B (zh) * | 2020-10-14 | 2024-11-19 | 视联动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终端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CN113377312A (zh) * | 2021-06-17 | 2021-09-10 | 北京十一贝科技有限公司 | 同屏互动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CN114253497B (zh) * | 2021-12-08 | 2024-08-23 | 科大讯飞股份有限公司 | 多屏互动方法、装置、设备、系统及存储介质 |
US11461480B1 (en) | 2022-05-24 | 2022-10-04 | Switchboard Visual Technologies, Inc. | Synchronizing private data with reduced trust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83227A (en) * | 1997-06-12 | 1999-11-09 | Yahoo, Inc. | Dynamic page generator |
EP0997030B1 (en) * | 1997-07-15 | 2004-11-24 |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 Multimedia call handling |
US6779153B1 (en) * | 1998-12-11 | 2004-08-17 | Microsoft Corporation | Creation of web pages through synchronization |
EP1018689A3 (en) * | 1999-01-08 | 2001-01-24 | Lucent Technologies Inc. |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shared web-based interaction in stateful servers |
US20030014483A1 (en) * | 2001-04-13 | 2003-01-16 | Stevenson Daniel C. | Dynamic networked content distribution |
BRPI0419223B1 (pt) * | 2004-12-03 | 2018-06-19 | Telecom Italia S.P.A. | "método para habilitar um primeiro e um segundo terminais de uma rede de comunicação, e, método para habilitar o uso de pelo menos um serviço combinatório em pelo menos um primeiro terminal de um primeiro usuário de uma rede de comunicação” |
KR100921554B1 (ko) * | 2005-08-30 | 2009-10-14 | 주식회사 케이티 | 음성통화중에 다양한 콘텐츠를 공유 및 제어할 수 있는콘텐츠공유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0766020B1 (ko) * | 2005-10-01 | 2007-10-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제어 방법 및 이동통신 서비스 제어방법 |
US20090172172A1 (en) * | 2007-12-21 | 2009-07-02 | Erik Lambert Graham |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peer-to-peer communication among visitors to a common website |
CN101183395B (zh) * | 2007-12-25 | 2011-12-28 | 北京中企开源信息技术有限公司 | 一种实现动态页面静态化的方法和系统 |
CN101527891B (zh) * | 2008-04-30 | 2011-04-20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跨网络呼叫保持方法和设备 |
JP4748819B2 (ja) * | 2009-01-28 | 2011-08-17 |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 クライアントプログラム、端末、方法、サーバ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プログラム |
KR20100110205A (ko) * | 2009-04-02 | 2010-10-12 | 주식회사 디디에이치 | 온라인 매거진 서비스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전자문서 발행 및 배포 방법 |
KR101544136B1 (ko) * | 2011-06-28 | 2015-08-13 | 네이버 주식회사 |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CN102289494B (zh) * | 2011-08-16 | 2013-05-01 | 深圳市佳创视讯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视频点播单双向web导航页面生成系统与生成方法 |
US9098133B2 (en) * | 2011-12-30 | 2015-08-04 | Linkedin Corporation | Mobile device pairing |
US20150026257A1 (en) * | 2013-07-16 | 2015-01-22 | Dropbox, Inc. | Music box |
-
2012
- 2012-09-14 KR KR1020120101969A patent/KR20140035595A/ko not_active Withdrawn
-
2013
- 2013-07-30 CN CN201380033653.3A patent/CN104396185B/zh active Active
- 2013-07-30 EP EP13837470.7A patent/EP2897323B1/en active Active
- 2013-07-30 WO PCT/KR2013/006817 patent/WO201404235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
- 2014-12-11 US US14/567,407 patent/US9858032B2/en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2048B1 (ko) * | 2014-09-11 | 2015-12-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바이스 동작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50169278A1 (en) | 2015-06-18 |
CN104396185A (zh) | 2015-03-04 |
CN104396185B (zh) | 2017-11-17 |
EP2897323B1 (en) | 2017-11-29 |
EP2897323A4 (en) | 2016-04-20 |
US9858032B2 (en) | 2018-01-02 |
EP2897323A1 (en) | 2015-07-22 |
WO2014042357A1 (ko) | 2014-03-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035595A (ko) | 화면 동기 제어 시스템, 이를 이용한 화면 동기 방법 및 장치 | |
KR101331444B1 (ko) |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 | |
KR102013338B1 (ko) | 서비스 페이지 공유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
KR102106787B1 (ko) | 메신저 프로그램과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 |
US10375342B2 (en) | Browsing remote content using a native user interface | |
KR20130053935A (ko) | 컨텐츠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기기, 서버 | |
US2016000708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ta of electronic device | |
JP7562687B2 (ja) | マルチメディア会議データ処理方法、装置、及び電子機器 | |
KR20140107736A (ko) | 음성 메시지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 |
KR101471914B1 (ko)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 |
US20240340327A1 (en) | Metho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for interaction | |
KR102131752B1 (ko) | 메신저 프로그램에서의 정보 백업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 |
KR20140132630A (ko) |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 | |
KR102212072B1 (ko) | 메시지 기반 키워드 추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 |
CN111163455B (zh) | 用户识别号的迁移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 |
KR20120079636A (ko) | 다자간 회의에서 문서 작업 공유 방법 | |
CN105745613A (zh) | 用于在计算设备处促进动态改变定向用于编辑模式的机制 | |
US20150100629A1 (en) | Method for providing cloud service, and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 |
US11831689B2 (en) | Providing transfer and configuration of web conferencing between consumer devices | |
KR102111574B1 (ko) | 어플리케이션 기반 식별 정보 생성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 |
KR101370316B1 (ko) | 메신저 프로그램에서의 서비스 페이지 제어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 |
CN106126281A (zh) |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 |
CN103942313A (zh) | 网站页面的展示方法、装置及终端 | |
KR102166211B1 (ko) |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의 메신저 사용자 인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
KR102314583B1 (ko) |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메신저 서비스 중 상대방 상태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511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