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34833A - 건설기계용 유압제어밸브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용 유압제어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4833A
KR20140034833A KR20137033531A KR20137033531A KR20140034833A KR 20140034833 A KR20140034833 A KR 20140034833A KR 20137033531 A KR20137033531 A KR 20137033531A KR 20137033531 A KR20137033531 A KR 20137033531A KR 20140034833 A KR20140034833 A KR 20140034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pressure
swing
hydraulic pump
center bypa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137033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욱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40034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83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 F15B13/042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with fluid-operated pilot valves, i.e. multiple stage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02F9/2225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pressure-compensat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82Systems using center bypass type changeove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2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 F15B11/028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for controlling the actuating fo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 F15B13/043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with electrically-controlled pilo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58Pilot or servo controlled
    • Y10T137/7762Fluid pressure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917Flow path with serial valves and/or closures
    • Y10T137/87925Separable flow path section, valve or closure in ea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스윙과 아암을 동시조작하는 복합작동시 센터바이패스통로가 차단되지않고 언로딩되어 유압펌프 압력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유압제어밸브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용 유압제어밸브에 있어서, 엔진에 연결되는 유압펌프와, 유압펌프의 토출유로에 연통되는 센터바이패스통로 상류측에 설치되며 절환시 스윙 모터의 기동, 정지 및 방향전환을 제어하는 스윙 스풀과, 센터바이패스통로 하류측에 설치되며 절환시 아암실린더의 기동, 정지 및 방향전환을 제어하는 아암 스풀과, 아암 스풀 내에 설치되며 스윙과 아암을 동시 조작하는 복합작동시 상승되는 유압펌프의 토출유량 압력에 의해 절환되고, 절환시 스윙측 상승된 압력을 센터바이패스통로로 언로딩시키는 센터바이패스 조정밸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제어밸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설기계용 유압제어밸브{HYDRAULIC CONTROL VALVE FOR CONSTRUCTION MACHINERY}
본 발명은 건설기계용 유압제어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윙과 아암 등의 작업장치를 동시조작하는 복합작동시 센터바이패스통로(center by pass line)가 차단되지않고 언로딩(unloading)되어 유압펌프 압력 상승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설기계용 유압제어밸브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건설기계용 유압제어밸브는, 엔진(미도시됨)에 연결되는 유압펌프(1)와,
유압펌프(1)의 토출유로(2)와 연통되는 센터바이패스통로(5) 상류측에 설치되며, 절환시 스윙 모터(미도시됨)의 기동, 정지 및 방향전환을 제어하는 스윙 스풀(swing spool)(3)과,
유압펌프(1)의 센터바이패스통로(5) 하류측에 설치되며, 절환시 아암실린더(미도시됨)의 기동, 정지 및 방향전환을 제어하는 아암 스풀(arm spool)(4)을 구비한다.
이때, 전술한 토출유로(2)는 이와 연통되는 센터바이패스통로(5)와 토출유로(2)에 분기접속되는 병렬통로(parallel line)(6)로 이뤄진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14는 실린더통로(12,13)에 각각 설치되는 릴리프밸브이다.
장비를 선회 구동시키기 위해 포트(al1)에 공급되는 파일럿 신호압에 의해 스윙 스풀(3)이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절환된다. 이때 유압펌프(1)로부터 토출되는 유량은 스윙 스풀(3)의 입구라인에 설치된 체크밸브(7)와, 절환된 스윙 스풀(3)을 차례로 통과한 후, 통로(8)를 경유하여 포트(AL1)에 공급된다. 이로 인해 스윙모터가 구동되므로 장비를 선회시킬 수 있다.
이때, 스윙 모터로부터 리턴되는 유량은 포트(BL1)로 유출되므로, 통로(9)를 경유하여 절환된 스윙 스풀(3)을 통과하여 리턴통로(10)를 통해 유압탱크로 리턴된다.
이와같이 관성체인 유압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초기에 충분한 기동압력을 필요로 한다. 즉 스윙 스풀(3)을 설계시에 유압펌프(1)에서 스윙 모터로 연결되는 통로를 충분히 작게하여 유압펌프(1) 압력을 상승시키게 된다.
한편, 상대적으로 부하가 작은 아암의 작업장치와 동시에 스윙을 동시에 구동시킬 경우에, 유압펌프(1)의 유량이 상대적으로 부하가 작은 아암측으로 모두 공급되므로 스윙측으로는 유량이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아암측으로 유량을 공급하는 병렬통로(6)에 오리피스(11)를 설치하여 아암측으로 공급되는 유량을 제한하고, 동시에 유압시스템 전체에 스윙 구동이 우선적으로 작동되도록 함에 따라, 아암 스풀(4) 절환에 따른 센터바이패스통로(5)의 차단으로 인해 유압펌프(1)의 압력을 상승시켜 기동 압력에 맞춰 스윙 모터에 유량이 우선적으로 공급되도록 한 유압시스템이다.
아암을 단독으로 구동시킬 경우에 병렬통로(6)의 오리피스(11)를 경유하여 아암 스풀(4)에 유량이 공급되므로, 유압펌프(1) 압력 상승과 함께 압력 손실이 발생된다. 이와같이 스윙 우선 구동을 확보하기 위해 오리피스(11)가 사용되므로 유압펌프(1) 압력 상승을 초래하여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도 2의 그래프에서와 같이, 아암 스풀(4)에 아암-인(arm in) 파일럿 신호압(a)이 유입되어 절환되는 경우, 유압펌프(1)측 압력(b)이 아암측 압력(c)과 유사한 패턴으로 형성된 후, 스윙 스풀(3)에 선회 파일럿 신호압(d)이 유입될 경우 유압펌프(1)의 압력은 스윙측 부하(e)와 동일한 압력(300Kgf/㎠)까지 상승하는 패턴이 형성된다. 이때 아암측 압력(c)은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60∼80Kgf/㎠)의 영역에서 부하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유압펌프(1) 압력은 스윙 작동시에 높은 스윙 압력을 추종하면서 아암-인측 부하는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을 형성하므로, 유압펌프(1) 압력과 과다한 압력 손실이 발생하여 에너지 손실을 초래하므로 연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네가티브 컨트롤방식에서는 방향절환밸브가 중립위치에 있고, 유압펌프의 토출유량이 제어밸브의 센터바이패스통로로 언로딩되어 유압펌프의 토출유량을 최소로 유지시켜주게 된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제어밸브가 절환되는 경우에, 센터바이패스통로를 통과하는 언로딩 유량은 차단되고 유압펌프 토출유량은 증대되면서 동시에 유압펌프 압력은 상승된다.
이때, 스윙 모터와 같은 관성체를 구동 또는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초기에 높은 구동압력이 필요하게 되므로 릴리프밸브 압력까지 상승하는 경우도 발생된다. 따라서 스윙 구동 또는 스윙과 아암실린더 등의 유압 액츄에이터의 복합작동시에는 스윙측의 높은 부하압력이 제어밸브 시스템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제어밸브 조작에 따른 토출유량 증대에 따라서 압력은 더욱 상승하게 된다.
이로 인해 장비의 적정한 요구마력보다도 휠씬 높은 마력을 사용하게 되어 연비가 떨어지면서 과다한 에너지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이는 포지티브 제어방식에서도 제어밸브의 조작량에 따라 유압펌프의 토출유량이 증대되므로 유압펌프의 압력이 동일하게 과다하게 상승되어 에너지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윙과 아암 등의 작업장치를 동시조작하는 복합작동시 아암측 센터바이패스통로가 차단되지않고 언로딩되어, 유압펌프의 과다한 압력 상승을 방지하여 에너지 손실을 줄여 연비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건설기계용 유압제어밸브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용 유압제어밸브는,
엔진에 연결되는 유압펌프와,
유압펌프의 토출유로에 연통되는 센터바이패스통로 상류측에 설치되며, 절환시 스윙 모터의 기동, 정지 및 방향전환을 제어하는 스윙 스풀과,
센터바이패스통로 하류측에 설치되며, 절환시 아암실린더의 기동, 정지 및 방향전환을 제어하는 아암 스풀과,
아암 스풀 내에 설치되며, 스윙과 아암을 동시조작하는 복합작동시 상승되는 유압펌프의 토출유량 압력에 의해 절환되고, 절환시 스윙측 상승된 압력을 센터바이패스통로로 언로딩시키는 센터바이패스 조정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유압제어밸브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센터바이패스 조정밸브의 셋팅압력은 아암 부하압력으로 셋팅하여, 스윙시 스윙 파일럿 압력에 따라 스윙측 기동압력으로 선형적으로 압력이 증가되도록 제어된다.
전술한 센터바이패스 조정밸브는,
아암 스풀 내에 설치되며, 유압펌프의 토출유로에 연통되도록 통로가 형성되는 슬리브와,
슬리브에 슬라이딩 절환가능하게 내설되며, 스윙과 아암을 동시조작하는 복합작동시 절환되어 유압펌프측 토출유량 일부를 센터바이패스통로로 언로딩시켜 아암측 부하 압력으로 유지하는 제1피스톤과,
제1피스톤 일단부에 밀착되며, 스윙과 아암을 동시조작하는 복합작동시 아암측 부하 압력에 대해 추가적으로 가해지는 스윙측 파일럿 압력에 따라 가변적으로 상승시킨 부하압력에 의해 절환되어 제1피스톤을 가압하는 제2피스톤과,
제1피스톤 타단부에 밸브스프링에 의해 탄설되는 제3피스톤을 구비하여 이뤄진다.
전술한 제3피스톤을 지지하는 밸브스프링의 셋팅압력은 아암 작동시 유압펌프측 부하 압력보다는 크고, 스윙 작동시 유압펌프측 부하 압력보다는 작게 설정된다.
전술한 유압펌프의 토출유로에 연통되도록 유압제어밸브에 브릿지형태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센터바이패스통로는 아암 스풀에 형성되는 통로와 센터바이패스 조정밸브를 경유하여 유압펌프의 토출유로에 연통되는 센터바이패스통로로 연통된다.
전술한 유압펌프는 센터바이패스통로에 설치되는 유압제어밸브의 절환량에 비례하여 토출유량을 제어하는 포지티브 제어방식에 의해 제어된다.
전술한 유압펌프는 센터바이패스통로 하류측에 설치되는 압력형성수단에 의해 형성되는 토출유량 압력에 반비례하여 토출유량을 제어하는 네가티브 제어방식에 의해 제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의한 건설기계용 유압제어밸브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아암측 제어밸브 스풀 내에 센터바이패스 조정밸브를 설치하여, 스윙과 아암 등의 작업장치를 동시조작하는 복합작동시 고부하의 유압펌프 압력이 센터바이패스 조정밸브를 통하여 언로딩되면서 압력이 줄어들어, 유압펌프에 발생되는 고부하 압력을 줄임에 따라 에너지 손실을 줄여 연비를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건설기계용 유압제어밸브의 유압회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건설기계용 유압제어밸브에서, 선회 및 아암 복합작동시 압력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용 유압제어밸브의 유압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용 유압제어밸브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 부호의 설명〉
1; 유압펌프
3; 스윙 스풀(swing spool)
5; 센터바이패스통로
7; 체크밸브
9; 통로
11; 오리피스
13; 실린더통로
15; 아암 스풀(arm spool)
17; 통로
19; 제1피스톤
21; 밸브스프링
23; 유압제어밸브
25; 센터바이패스통로
27; 통로
31; 통로
33; 밸브스프링
35; 병렬통로(parallel line)
37; 오리피스(orifice)
39; 스풀 노치(spool notch)
41; 통로
43; 스풀 노치
45; 포켓(pocke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용 유압제어밸브는, 엔진(미도시됨)에 연결되는 유압펌프(1)와,
유압펌프(1)의 토출유로(2)에 연통되는 센터바이패스통로(5) 상류측에 설치되며, 절환시 스윙 모터(미도시됨)의 기동, 정지 및 방향전환을 제어하는 스윙 스풀(3)과,
센터바이패스통로(5) 하류측에 설치되며, 절환시 아암실린더(미도시됨)의 기동, 정지 및 방향전환을 제어하는 아암 스풀(15)과,
아암 스풀(15) 내에 설치되며, 스윙과 아암을 동시조작하는 복합작동시 상승되는 유압펌프(1)의 토출유량 압력에 의해 절환되고, 절환시 스윙측 상승된 압력을 센터바이패스통로(5)로 언로딩시키는 센터바이패스 조정밸브(16)를 포함한다.
이때, 전술한 센터바이패스 조정밸브(16)의 셋팅압력은 아암 부하압력으로 셋팅하여, 스윙시 스윙 파일럿 압력에 따라 스윙측 기동압력으로 선형적으로 압력이 증가되도록 제어된다.
전술한 센터바이패스 조정밸브(16)는,
아암 스풀(15) 내에 설치되며, 유압펌프(1)의 토출유로(2)에 연통되도록 통로(17)가 형성되는 슬리브(18)와,
슬리브(18)에 슬라이딩 절환가능하게 내설되며, 스윙과 아암을 동시조작하는 복합작동시 절환되어 유압펌프(1)측 토출유량 일부를 센터바이패스통로(5)로 언로딩시켜 아암측 부하 압력으로 유지하는 제1피스톤(19)과,
제1피스톤(19) 일단부에 밀착되며, 스윙과 아암을 동시조작하는 복합작동시 아암측 부하 압력에 대해 추가적으로 가해지는 스윙측 파일럿 압력에 따라 가변적으로 상승시킨 부하압력에 의해 절환되어 제1피스톤(19)을 가압하는 제2피스톤(20)과,
제1피스톤(19) 타단부에 밸브스프링(21)에 의해 탄설되는 제3피스톤(22)을 구비하여 이뤄진다.
전술한 제3피스톤(22)을 지지하는 밸브스프링(21)의 셋팅압력은 아암 작동시 유압펌프(1)측 부하 압력보다는 크고, 스윙 작동시 유압펌프(1)측 부하 압력보다는 작게 설정된다.
전술한 유압펌프(1)의 토출유로(2)에 연통되도록 유압제어밸브(23)에 브릿지형태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센터바이패스통로(24,25)는 아암 스풀(15)에 형성되는 통로(26)와 센터바이패스 조정밸브(16)를 경유하여 유압펌프(1)의 토출유로(2)에 연통되는 센터바이패스통로(5)로 연통된다.
전술한 유압펌프(1)는 센터바이패스통로(5)에 설치되는 유압제어밸브(MCV의 스풀을 말함)의 절환량에 비례하여 토출유량을 제어하는 포지티브 제어방식(positive control system)에 의해 제어된다.
전술한 유압펌프(1)는 센터바이패스통로(5) 하류측에 설치되는 압력형성수단에 의해 형성되는 토출유량 압력에 반비례하여 토출유량을 제어하는 네가티브 제어방식(negative control system)에 의해 제어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용 유압제어밸브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서와 같이, 아암과 스윙을 동시 조작하는 복합구동시킬 경우에, 포트(al2)에 공급되는 아암-인(arm-in) 파일럿 신호압에 의해 아암 스풀(15)이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절환된다. 따라서 유압펌프(1)의 토출유량은 토출유로(2)와, 병렬통로(6)의 오리피스(11)와, 체크밸브를 차례로 경유하여 절환된 아암 스풀(15)을 통과하여 실린더통로(12)를 따라 포트(AL2)에 공급되므로, 미도시된 아암실린더에 공급되어 이를 아암-인 구동시킨다.
한편, 유압펌프(1)로부터 센터바이패스통로(5)로 공급되는 유량은 아암 스풀(15)의 절환에 따라 센터바이패스통로(5)가 차단된 상태이므로 병렬통로(6)에만 유량이 공급된다.
이때, 아암측에 형성되는 부하압은 유압펌프(1) 압력이 그대로 전달되며, 센터바이패스통로(5)에도 압력이 형성되는데, 이 압력은 통로(27)를 경유하여 센터바이패스 조정밸브(16)의 입구측에 공급되며, 동시에 통로(28)를 통해 센터바이패스 조정밸브(16)를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절환시키는 압력으로 작용한다. 센터바이패스 조정밸브(16)를 절환시키는 압력은 밸브스프링(21)과 압력 평형을 이루고 있으나, 밸브스프링(21)의 셋팅압력은 아암 작동시의 유압펌프(1)측 부하압력보다는 크고, 스윙 작동시의 부하압력보다는 작게 미리 설정하게 된다.
한편, 아암을 단독으로 동작시킬 경우에는 센터바이패스 조정밸브(16)의 작동은 없으나, 동시에 스윙을 작동시킬 경우에는 포트(al1)에 공급되는 파일럿 신호압에 의해 스윙 스풀(3)을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절환시킴에 따라, 유압펌프(1)의 토출유량은 스윙 스풀(3)의 입구라인에 설치된 체크밸브(7)와, 절환된 스윙 스풀(3)을 차례로 통과한 후, 통로(8)를 경유하여 포트(AL1)에 공급된다. 이로 인해 스윙 모터가 구동되므로 장비를 선회시킬 수 있다.
이때, 스윙 모터로부터 리턴되는 유량은 포트(port)(BL1)로 유출되므로, 통로(9)를 경유하여 절환된 스윙 스풀(3)을 통과하여 리턴통로(10)를 통해 유압탱크(T)로 리턴된다. 따라서 아암과 스윙을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아암 스풀(15)이 이미 완전하게 절환된 상태이므로 센터바이패스통로(5)도 이미 차단되어 있다. 이로 인해 조작레버 조작량에 따른 유압펌프측 토출유량 증대로 유압펌프(1) 압력 또한 점차 증대되고 있으나, 포트(al1)에 파일럿 신호압을 공급할 경우 셔틀밸브(30)와 파일럿 통로(31)를 경유하여 센터바이패스 조정밸브(16)에 인접한 제3피스톤(22)에 압력이 전달된다.
이와같이 제3피스톤(22)에 압력이 전달될 경우에, 제3피스톤(22) 우측에 아암측 압력이상으로 셋팅된 밸브스프링(21)의 탄성력에 대해, 포트(al1)에 가해지는 스윙 파일럿 압력이 제3피스톤(22)의 단면적에 가변적으로 전달된다. 밸브스프링(21)의 초기 아암 부하 이상의 압력에 추가적으로 스윙측의 파일럿 압력에 따라 가변적으로 부하 압력을 상승시킨다.
이때 유압펌프(1)측에 걸리는 스윙측의 부하압력은 충분히 큰 압력으로 센터바이패스 조정밸브(16)를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절환시킨다. 이로 인해 스윙 스풀(3)의 센터바이패스통로(3a)를 통과한 유량은 절환된 센터바이패스 조정밸브(16)를 통과하여, 통로(32)를 통해 아암 스풀(15)을 경유한 센터바이패스통로(5)로 유출되므로 유압탱크(T)로 귀환된다.
도 4에서와 같이, 포트(a)에 아암-인(arm-in) 파일럿 신호압이 공급될 경우에, 아암 스풀(15)에 전달되는 파일럿 신호압이 밸브스프링(33)의 탄성력을 초과하여 아암 스풀(15)을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절환시킨다. 토출유로(2)에서 공급된 유량은 포펫(poppet)(34)을 도면상, 상방향으로 가압하므로 병렬통로(35)에 공급되며, 동시에 토출유로(6)에 공급된 유량은 플러그(36)의 오리피스(37)를 경유하여 포펫(38)을 가압한다. 이로 인해 포펫(38)의 슬라이딩 외측면에 형성된 홈을 경유하여 병렬통로(35)에 합류된 후, 절환된 아암 스풀(15)에 형성된 스풀 노치(spool notch)(39)를 경유하여 실린더통로(12)에 공급된다. 따라서 포트(AL2)를 경유하여 미도시된 아암실린더로 공급되어 아암-인 구동시키며, 아암실린더에서 리턴되는 작동유는 포트(BL2)를 경유하여 실린더통로(13)로 공급되므로, 절환된 아암 스풀(15)에 형성된 스풀 노치(40)를 경유하여 탱크통로(50)를 통하여 유압탱크로 리턴된다.
이때,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절환된 아암 스풀(15) 내에 장착된 센터바이패스 조정밸브(16)의 작동을 설명한다.
토출유로(2)의 압력은 아암 스풀(15)에 형성된 통로(41)를 통하여 슬리브(18)에 형성된 통로(42)를 통해 제1피스톤(19)의 그루브(groove)(19a)에 공급된다. 센터바이패스통로(24,25)는 브릿지 형태로 유압제어밸브(23) 내부에서 서로 연통되어 있어 유압펌프(1)에서 공급된 압력이 동일하게 가압된다. 센터바이패스통로(24)에 유압펌프(1) 압력이 가압되면 절환된 아암 스풀(15)의 스풀 노치(43) 및 통로(28)에 공급되어 슬리브(18)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제1피스톤(19)과 밀착되어 있는 제2피스톤(20) 좌측에 가압된다.
제2피스톤(20)은 플러그(44)에 인접하여 제3피스톤(22)에 의해 지지된 밸브스프링(21)의 탄성력을 초과해야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절환된다. 이때 밸브스프링(21)의 초기 제어압력은 아암의 부하압력(60∼80Kgf/㎠) 정도로 셋팅된 후, 셋팅압력을 초과할 경우에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절환된다. 이때 제1피스톤(19)이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절환됨에 따라 제1피스톤(19)의 그루브(19a)에 가압된 유압펌프 압력은 슬리브(18)의 통로(17)와 연통되고, 아암 스풀(16)의 통로(26)를 경유하여 센터바이패스통로(25)와 연통된 후, 유압제어밸브(23) 내부에서 브릿지 형태로 센터바이패스통로(24)와 연통되어 바이패스되어 유압탱크로 리턴된다. 즉 유압펌프(1)측 일부 유량을 센터바이패스통로(5)로 언로딩시킴에 따라 아암측 부하압력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아암과 스윙을 동시에 조작할 경우에는, 스윙 포트(sw)에 스윙 파일럿 압력이 공급되면서 통로(31)를 경유하여 포켓(45)에 공급되며,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절환된 아암 스풀(15)의 통로(46)를 경유하여 제3피스톤(22)의 우측 단부를 가압하여 밸브스프링(21)을 압축한다. 이로 인해 초기에 셋팅된 아암 부하압력에 추가적으로 스윙측의 파일럿 압력에 따라 가변적으로 부하압력을 상승시킨다.
한편, 아암-인 단독 작동과 동일하게 스윙 작동에 따른 유압펌프(1)측에 걸리는 충분히 큰 고부하 압력이 절환된 아암 스풀(15)에 내장된 제2피스톤(20)의 좌측에 가압되어진다. 이때 아암 부하압력에 추가적으로 스윙측의 파일럿 압력에 따라 가변적으로 상승시킨 부하압력을 초과하고, 제2피스톤(20)이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절환되는 경우, 동시에 제1피스톤(19)이 우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동일하게 제1피스톤(19)의 그루브(19a)에 가압된 유압펌프(1) 압력은 슬리브(18)의 통로(17)와 연통되고, 아암 스풀(15)의 통로(26)를 경유하여 센터바이패스통로(25)와 연통된 후, 센터바이패스통로(24)와 브릿지 형태로 연통되어 바이패스된 후 유압탱크로 리턴된다. 즉 유압펌프(1)측 일부 유량을 센터바이패스통로(5)로 언로딩시킴에 따라 스윙 작동에 따른 과부하를 방지하고, 스윙 파일럿 압력에 비례하여 가변적으로 스윙측 부하압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스윙 우선에 따른 유압펌프측의 과다한 압력 상승을 방지하여 과다한 마력 소비 및 에너지 손실을 줄이므로 연비를 개선시킬 수 있다.
따라서, 네가티브 컨트롤시스템일 경우에는, 센터바이패스 유량 증대에 따른 네가티브 컨트롤 압력 증대로 유압펌프의 사판 경전각을 줄임에 따라 유압펌프 토출유량을 줄여 유압펌프의 과도한 압력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포지티브 컨트롤시스템일 경우에는, 조작량 증대에 따라 증대된 유압펌프 유량을 센터바이패스통로로 유출시킴에 따라 유압펌프의 과다한 압력 상승을 줄이고, 아암과 스윙을 동시 작동시킬 경우 센터바이패스통로 차단에 따른 유압펌프의 과다한 압력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센터바이패스 조정밸브를 아암 스풀 내에 설치하여 아암과 스윙을 동시 조작시에 센터바이패스통로가 차단되지않고 언로딩시켜 유압펌프 압력 과다한 상승을 방지하여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용 유압제어밸브에 의하면, 스윙 스풀이 아암 스풀보다 상류측에 설치되며 네가티브 컨트롤시스템 또는 포지티브 컨트롤시스템에 의해 토출유량이 제어되는 유압제어밸브에 있어서, 아암 스풀 내에 센터바이패스 조정밸브를 설치하여, 스윙과 아암 등의 작업장치를 동시 조작하는 복합작동시 고부하의 유압펌프 압력이 센터바이패스 조정밸브를 통하여 언로딩되면서 압력이 줄어들어, 유압펌프에 발생되는 고부하 압력을 줄임에 따라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Claims (7)

  1. 엔진에 연결되는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의 토출유로에 연통되는 센터바이패스통로 상류측에 설치되며, 절환시 스윙 모터의 기동, 정지 및 방향전환을 제어하는 스윙 스풀과,
    상기 센터바이패스통로 하류측에 설치되며, 절환시 아암실린더의 기동, 정지 및 방향전환을 제어하는 아암 스풀과,
    상기 아암 스풀 내에 설치되며, 스윙과 아암을 동시조작하는 복합작동시 상승되는 유압펌프의 토출유량 압력에 의해 절환되고, 절환시 스윙측 상승된 압력을 상기 센터바이패스통로로 언로딩시키는 센터바이패스 조정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유압제어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바이패스 조정밸브의 셋팅압력은 아암 부하압력으로 셋팅하여, 스윙시 스윙 파일럿 압력에 따라 스윙측 기동압력으로 선형적으로 압력이 증가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유압제어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바이패스 조정밸브는,
    상기 아암 스풀 내에 설치되며, 상기 유압펌프의 토출유로에 연통되도록 통로가 형성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에 슬라이딩 절환가능하게 내설되며, 스윙과 아암을 동시조작하는 복합작동시 절환되어 유압펌프측 토출유량 일부를 센터바이패스통로로 언로딩시켜 아암측 부하 압력으로 유지하는 제1피스톤과,
    상기 제1피스톤 일단부에 밀착되며, 스윙과 아암을 동시조작하는 복합작동시 아암측 부하 압력에 대해 추가적으로 가해지는 스윙측 파일럿 압력에 따라 가변적으로 상승시킨 부하압력에 의해 절환되어 제1피스톤을 가압하는 제2피스톤과,
    상기 제1피스톤 타단부에 밸브스프링에 의해 탄설되는 제3피스톤을 구비하여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유압제어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피스톤을 지지하는 밸브스프링의 셋팅압력은 아암 작동시 유압펌프측 부하 압력보다는 크고, 스윙 작동시 유압펌프측 부하 압력보다는 작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유압제어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펌프의 토출유로에 연통되도록 유압제어밸브에 브릿지형태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센터바이패스통로는 상기 아암 스풀에 형성되는 통로와 상기 센터바이패스 조정밸브를 경유하여 상기 유압펌프의 토출유로에 연통되는 센터바이패스통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유압제어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펌프는 상기 센터바이패스통로에 설치되는 유압제어밸브의 절환량에 비례하여 토출유량을 제어하는 포지티브 제어방식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유압제어밸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펌프는 상기 센터바이패스통로 하류측에 설치되는 압력형성수단에 의해 형성되는 토출유량 압력에 반비례하여 토출유량을 제어하는 네가티브 제어방식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유압제어밸브.
KR20137033531A 2011-06-27 2011-06-27 건설기계용 유압제어밸브 Ceased KR201400348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4659 WO2013002429A1 (ko) 2011-06-27 2011-06-27 건설기계용 유압제어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833A true KR20140034833A (ko) 2014-03-20

Family

ID=47424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7033531A Ceased KR20140034833A (ko) 2011-06-27 2011-06-27 건설기계용 유압제어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137956A1 (ko)
EP (1) EP2725239B1 (ko)
JP (1) JP5739066B2 (ko)
KR (1) KR20140034833A (ko)
CN (1) CN103620233B (ko)
WO (1) WO201300242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3916A (ko) * 2015-03-26 2017-09-13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유압 제어 회로
WO2018044099A1 (ko) * 2016-08-31 2018-03-0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제어 시스템 및 건설기계의 제어 방법
WO2018048291A1 (ko) * 2016-09-12 2018-03-1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제어 시스템 및 건설기계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03951B2 (en) 2011-10-05 2015-04-14 Caterpillar Inc. Hydraulic system with bi-directional regeneration
WO2015012423A1 (ko) * 2013-07-24 2015-01-29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유압회로
US20170276151A1 (en) * 2014-09-19 2017-09-28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Hydraulic circuit for construction equipment
WO2017122836A1 (ko) * 2016-01-11 2017-07-20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유압시스템
JP6777317B2 (ja) * 2017-05-16 2020-10-28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油圧システム及び制御弁
US10422358B2 (en) * 2017-10-31 2019-09-24 Deere & Company Method for improving electro-hydraulic system response
JP7198072B2 (ja) * 2018-12-13 2022-12-28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建設機械の油圧制御回路
US11624452B2 (en) 2019-04-12 2023-04-11 Barko Hydraulics, LLC System for adjusting rate of spool centering in a pilot-controlled hydraulic spool valve
CN113446279B (zh) * 2021-06-30 2024-05-17 北京航空航天大学宁波创新研究院 高压油路切换装置及液压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8946A (en) * 1981-04-20 1983-06-21 Linde Aktiengesellschaft Valves
JP2556998B2 (ja) * 1990-05-15 1996-11-2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回路
WO1994010456A1 (fr) * 1992-10-29 1994-05-11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Dispositif a soupapes de regulation hydraulique et dispositif a entrainement hydraulique
KR0145142B1 (ko) * 1992-12-04 1998-08-01 오까다 하지메 유압재생장치
KR100208736B1 (ko) * 1994-04-30 1999-07-15 토니헬샴 유압식 기계장비의 제어밸브
DE19605992A1 (de) * 1996-02-17 1997-08-21 Rexroth Mannesmann Gmbh Hydraulische Steueranordnung, insbesondere für ein mobiles Arbeitsgerät
JP3501902B2 (ja) * 1996-06-28 2004-03-02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制御回路
JP3264651B2 (ja) * 1998-04-28 2002-03-11 東芝機械株式会社 油圧制御装置
JP3868112B2 (ja) * 1998-05-22 2007-01-1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駆動機械の制御装置
JP3545626B2 (ja) * 1999-02-04 2004-07-21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作動油の供給制御装置
KR100379863B1 (ko) * 1999-04-26 2003-04-11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유압회로장치
JP2002088823A (ja) * 2000-09-12 2002-03-27 Yanmar Diesel Engine Co Ltd 掘削旋回作業車の油圧回路
DE10253131B4 (de) * 2002-10-31 2014-03-13 Linde Hydraulics Gmbh & Co. Kg Zylinderanbauventil
JP4453411B2 (ja) * 2004-03-18 2010-04-2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油圧制御装置
KR100621983B1 (ko) * 2004-07-23 2006-09-14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중장비용 가변 재생밸브
JP2006183413A (ja) * 2004-12-28 2006-07-13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の制御回路
KR100929421B1 (ko) * 2007-10-22 2009-12-03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중장비용 유압제어밸브
JP4783393B2 (ja) * 2008-04-15 2011-09-28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油圧制御装置
CN101929177A (zh) * 2008-07-02 2010-12-29 沃尔沃建造设备控股(瑞典)有限公司 用于挖掘机的液压控制系统
EP2157245B1 (en) * 2008-08-21 2021-03-17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Hydraulic system for construction equipment
US8607557B2 (en) * 2009-06-22 2013-12-17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Holding Sweden Ab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excavato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3916A (ko) * 2015-03-26 2017-09-13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유압 제어 회로
WO2018044099A1 (ko) * 2016-08-31 2018-03-0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제어 시스템 및 건설기계의 제어 방법
US10982691B2 (en) 2016-08-31 2021-04-20 Doosan Infracore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struction machine
WO2018048291A1 (ko) * 2016-09-12 2018-03-1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제어 시스템 및 건설기계의 제어 방법
US11105348B2 (en) 2016-09-12 2021-08-31 Doosan Infracore Co., Ltd. System for controlling construction machinery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struction machin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20233B (zh) 2016-04-20
CN103620233A (zh) 2014-03-05
US20140137956A1 (en) 2014-05-22
JP5739066B2 (ja) 2015-06-24
EP2725239A1 (en) 2014-04-30
EP2725239A4 (en) 2015-02-11
JP2014521025A (ja) 2014-08-25
WO2013002429A1 (ko) 2013-01-03
EP2725239B1 (en) 201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4833A (ko) 건설기계용 유압제어밸브
KR100929421B1 (ko) 중장비용 유압제어밸브
KR100753990B1 (ko) 주행직진용 유압회로
KR101721097B1 (ko) 건설기계용 유압시스템
KR20130133773A (ko) 건설기계용 유량 제어밸브
KR20150036001A (ko) 건설기계용 유량 컨트롤밸브
KR20140034756A (ko) 파이프 레이어용 유압회로
KR101718835B1 (ko) 건설기계의 유압제어밸브
JP6514522B2 (ja) アンロード弁および油圧ショベルの油圧駆動システム
KR100890984B1 (ko) 주행중 버킷의 버킷레스트 이탈방지용 유압회로
JP4446822B2 (ja) 作業車両の油圧駆動装置
EP3859168B1 (en) Fluid circuit
JP2018084196A (ja) 油圧駆動システム
JP5622243B2 (ja) 流体圧制御回路および作業機械
JP2011153527A (ja) 油圧装置
CN108884843B (zh) 挖土机及挖土机用控制阀门
JP5353464B2 (ja) フォークリフト用油圧装置及び油圧ポンプ
JPH1082368A (ja) ローダの油圧装置
JP5334509B2 (ja) 建設機械用油圧回路
KR100816661B1 (ko) 에너지 절감형 유압회로
KR101281232B1 (ko) 가변용량형 유압펌프의 용량 제어장치
KR102074092B1 (ko) 펌프 장치
JP2009097536A (ja) 建設機械の油圧回路
JP4657004B2 (ja) 作業車両の油圧回路
JP2004346999A (ja) 液圧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6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2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11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