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33839A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에서 한 손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에서 한 손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3839A
KR20140033839A KR1020120100240A KR20120100240A KR20140033839A KR 20140033839 A KR20140033839 A KR 20140033839A KR 1020120100240 A KR1020120100240 A KR 1020120100240A KR 20120100240 A KR20120100240 A KR 20120100240A KR 20140033839 A KR20140033839 A KR 20140033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area
preset
screen
exceed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선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0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3839A/ko
Priority to US14/024,488 priority patent/US9459704B2/en
Publication of KR20140033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3839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ursor position based on codes indicative of cursor displacements from one discrete location to another, e.g. using cursor control keys associated to different directions or using the tab ke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하나의 터치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터치 영역의 접촉 면적이 기 설정된 면적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터치가 기 설정된 면적을 초과한 경우, 터치스크린에 위치를 가리키는 포인터(pointer)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터치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에서 터치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에서 한 손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METHOD FOR USER'S INTERFACE USING ONE HAND IN TERMINAL HAVING TOUCHSCREEN AND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한 손으로 이용하여 조작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의 발달로, 휴대 단말기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휴대 단말기는 이용의 편의성과 휴대의 용이성으로 인해 매우 폭넓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는 정보의 입력과 표시를 하나의 스크린에서 수행하는 입력 장치 겸 표시 장치이다. 최근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는 통신 서비스 이외에 다양한 기능 예컨대, 동영상 재생, 문서 작성 등의 새로운 기능들을 다양하게 제공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모바일 네트워크의 속도가 발전함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서 재생가능한 동영상 서비스의 화질 및 선명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휴대 단말기의 화면 크기가 대형화 되면서, 태블릿 PC 등의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다. 예컨대,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단순히 통신 서비스만을 제공하여 한 손으로 조작하는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점차 소형화되는 추세였다. 하지만,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통신 서비스 이외에 동영상 서비스, 문서 작성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로 인해,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한 손으로 조작하는 기능 보다는 사용자의 요구에 맞춰 점차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의 대형화됨에 따라, 터치스크린의 화면이 커지면서 한 손으로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의 대형화에 맞춰 간편하고, 용이하게 터치스크린을 조작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터치 접촉의 면적을 측정하여 인식함으로써, 한 손으로 조작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한 손으로 터치스크린을 조작하여 터치스크린 화면에 포인터 아이콘을 표시하고, 표시된 포인터 아이콘을 이용하여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하나의 터치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터치 영역의 접촉 면적이 기 설정된 면적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터치가 기 설정된 면적을 초과한 경우, 터치스크린에 위치를 가리키는 포인터(pointer)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터치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에서 터치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검출된 터치 영역의 접촉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터치 접촉 시간이 기 설정된 접촉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접촉 시간이 기 설정된 접촉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신된 터치 영역의 좌표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영역의 최외각 좌표들로 이루어진 도형의 면적을 계산하여 접촉 면적을 측정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실행 화면에 포함된 실행 가능한 오브젝트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오브젝트의 위치에 대응되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실행 화면 내에 실행 가능한 오브젝트들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실행 가능한 오브젝트들과 상기 터치 영역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오브젝트들 중 상기 터치 영역과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들의 중심 좌표값과 터치 영역의 중심 좌표값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터치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터치 접촉의 해제가 검출된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포인터의 표시가 해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포인터가 표시된 상태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경우, 터치 영역의 접촉 면적이 기 설정된 면적을 초과하고, 기 설정된 접촉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영역이 접촉 면적이 기 설정된 면적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포인터의 위치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움직임이 멈춤 및 터치 접촉 면적의 변경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터치 입력 모드를 위한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검출되는 터치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터치 영역의 터치 접촉 면적을 측정하고, 터치 접촉 면적이 기 설정된 면적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검출된 터치가 기 설정된 면적을 초과한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위치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터치가 기 설정된 면적을 초과한 경우, 검출된 터치의 접촉 시간이 기 설정된 접촉 시간을 초과하는 지 여부를 결정하고, 기 설정된 접촉 시간이 초과된 경우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검출된 터치 영역의 좌표들로 이루어진 도형의 면적을 계산하여 접촉 면적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실행 가능한 오브젝트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오브젝트의 위치에 대응되어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 화면에 표시된 실행 가능한 오브젝트들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오브젝트들과 사이 검출된 터치 영역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오브젝트 중 상기 터치 영역과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터치 영역에서 터치 해제가 검출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포인터의 표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접촉이 유지된 상태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의 접촉 면적이 이 기 설정된 면적이 초과한 경우, 상기 포인터가 가리키는 위치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움직임의 멈춤 및 터치 접촉 면적의 변경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장치에 있어서, 터치 접촉 면적 터치 접촉 시간 및 터치 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한 손으로 기능을 실행하는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손으로 터치스크린의 입력 대기 화면에 가상의 마우스와 같은 가상의 포인터을 표시하고, 포인터를 이동하고, 포인터를 이용하여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단말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두 손을 이용하지 않고 한손으로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한 손으로 사용 조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나타내 보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터 아이콘을 제어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한 손으로 사용 조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나타내 보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한 손으로 사용 조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나타내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장치에 있어서, 터치 접촉 면적을 이용하여 한 손으로 조작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을 한 손으로 조작하여 터치스크린에 가상의 마우스와 같은 가상의 포인터 아이콘을 표시하는 기능, 터치 움직임에 따라 포인터 아이콘을 이동하는 기능, 포인터를 이용하여 객체를 실행시키는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핸드헬드(hand-held)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가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110), 키 입력부(120), 저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100)는 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하는 오디오 처리부, 피사체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 그리고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등의 근거리 통신, 인터넷 및 이동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터치스크린(110)은 휴대단말기(100)와 사용자의 인터렉션을 위한 터치 패널(111) 및 표시 패널(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10)은 터치 기반의 입력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스크린(110)의 터치 패널(111)은 사용자 입력 정보(예, 터치)에 응답하는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터치 입력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터치 및 터치 제스처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검출된 터치 및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터치패널(111)은 표시패널에 안착(place on the display unit)될 수 있으며, 터치 센서를 구비하여 터치된 접촉점을 인식하여 터치 입력 신호를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터치패널(111)은 표시패널(112) 위에 위치하는 애드 온 타입(add-on type)이나 표시패널(112) 내에 삽입되는 온 셀 타입(on-cell type) 또는 인 셀 타입(in-cell typ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제스처는 터치(Touch)와 터치 제스처(Touch gesture)로 구분된다. 다시 터치 제스처는 탭(Tap), 더블 탭(Double Tap), 롱 탭(long tap), 드래그(Drag), 드래그 앤 드롭(Drag&Drop), 플릭(Flick) 및 프레스(pres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는 사용자가 화면의 어느 한 지점에 터치 입력 수단(예,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접촉하는 조작이고, 탭은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터치 입력 수단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터치 입력 수단을 터치 해제(touch-off)하는 조작이며, 더블 탭은 어느 한 지점을 연속적으로 두 번 탭하는 조작이며, 롱 탭은 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터치한 후 터치 입력 수단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터치 입력 수단을 터치 해제하는 조작이며, 드래그는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입력 수단을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이며, 드래그 앤 드롭은 드래그한 다음 터치 입력 수단을 터치 해제하는 조작이며, 플릭은 튀기듯이, 드래그에 비해 터치 입력 수단을 빠르게 이동시킨 다음 터치 해제하는 조작을 의미한다. 프레스는 터치 입력 수단으로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해당 지점을 누르는 조작이다. 즉 터치는 터치스크린(110)에 접촉(contact)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터치제스처는 터치가 터치스크린(110)에 접촉(touch-on)해서 터치 해제(touch-off)까지의 터치의 움직임을 의미한다. 멀티 터치는 터치스크린에 여러 영역에서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멀티 터치 제스처는 여러 영역에서 접촉하고 있는 멀티 터치가 접촉해서 터치 해제까지의 터치 움직임을 의미한다.
터치패널(111)은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전자유도 방식(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표시패널(112)는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 및 그의 수행 동작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한다. 표시패널(112)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잠금 화면, 홈 화면, 앱 실행 화면, 메뉴 화면, 키패드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잠금 화면은 표시패널(112)의 화면이 켜지면 표시되는 화면을 의미한다. 잠금 해제를 위한 특정 터치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40)는 표시되는 영상을 잠금 화면에서 홈 화면 또는 앱 실행 화면 등으로 전환 할 수 있다. 홈 화면은 휴대단말기의 기능 실행 아이콘들 및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들이 나열되어 표시된 화면을 의미한다. 표시패널(112)는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홈 화면에서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들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되고, 그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표시패널(112)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실행되더라도,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하나의 앱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패널(112)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의 평판 표시 패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2)은 문자 입력 모드에 따른 화면을 표시할 시 휴대 단말기(100)의 회전 방향(또는 놓인 방향)에 따라 가로모드에 의한 화면 표시, 세로 모드에 의한 화면 표시 및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 간의 변화에 따른 적응적 화면 전환 표시를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패널(112)은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입력 대기 모드에서 마우스 커서와 같은 포인터(pointer) 아이콘을 입력 대기 화면 및 실행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대기 모드는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 중인 화면으로 홈 화면, 앱의 실행 화면 등 사용자의 입력이 가능한 모든 화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표시 패널(112)은 화살표 모양의 마우스 커서와 같은 포인터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표시 패널(112)은 오브젝트(object)들의 속성에 따라 포인터 아이콘의 모양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표시 패널(112)은 포인터 아이콘이 문서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의 위치에 표시되면, 모든 손가락을 갖는 손 모양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2)은 포인터 아이콘이 그래픽을 나타내는 오브젝트의 위치에 표시되면, 브러시, 연필과 같은 그래픽 편집 커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12)은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없는 경우, 대기 커서로 제공할 수 있으며, 창의 가장자리에서 포인터 아이콘은 두 개의 화살표 모양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12)은 포인터 아이콘이 하이퍼링크를 갖는 오브젝트 위에 표시 되면, 손가락 모양의 커서로 제공할 수 있다.
키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키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키 신호는 전원 온/오프 신호, 볼륨 조절 신호, 화면 온/오프 신호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이러한 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한다. 그리고 키입력부(120)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10)이 풀 터치스크린 형태로 지원된 경우, 휴대 단말기(100)의 케이스 측면에 형성되는, 화면 온/오프 및 휴대단말기 온/오프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키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저장부(130)는 휴대 단말기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비롯하여, 휴대 단말기에서 실행되고 처리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130)는 크게 데이터 영역과 프로그램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30)의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생성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된 데이터 및 이러한 데이터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표시 패널(112)에 의해 표시되는 상술한 화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붙여 넣기 등을 위해 복사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의 운영을 위한 다양한 설정 값(예, 화면 밝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의 프로그램 영역에는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기 위한 운영 체제(OS; Operating System), 통화 기능,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 기능, 이미지 디스플레이 기능, 카메라 촬영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영역은 방송 시청 기능, 오디오 녹음 기능, 계산기 기능, 일정 관리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휴대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40)는 배터리에서 내부 구성들 간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프로그램 영역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터치, 터치 제스처, 멀티 터치, 및 멀티 터치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되면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터치 접촉 면적 또는 터치 압력을 계산함으로써, 터치스크린에서 작은 면적의 터치 즉, 손가락 끝(finger tip)으로 터치된 경우와, 보다 큰 면적의 터치 즉, 손가락 바닥(finger flat)으로 터치된 경우를 식별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손가락 바닥 터치의 발생이 검출되면, 터치스크린에 포인터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터치 입력 검출부(141), 연산부(142) 및 포인터 처리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 검출부(141)는 터치스크린(110)과 연결되고, 터치스크린(11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검출한다. 터치 입력 검출부(110)는 검출된 터치 조작에 대응되는 터치 입력 신호를 연산부(142)로 전달한다. 터치 입력 검출부(141)는 터치된 좌표, 터치 제스처의 형태, 터치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터치 입력 검출부(141)는 터치에 대한 다수 개의 접촉점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즉, 터치 입력 검출부(141)는 터치 접촉 영역에서 최외각 접촉점들의 위치 좌표들을 검출할 수 있다.
연산부(142)는 터치 입력 검출부(142)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영역의 접촉 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연산부(142)는 터치 접촉 영역에서 최외각 접촉접들의 위치 좌표들을 기준으로 연결된 도형으로부터 접촉 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연산부(142)는 터치 입력 검출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영역의 터치 압(예, 정전용량의 세기)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연산부(142)는 터치 접촉 영역과 대기 화면에 표시된 실행 가능한 오브젝트들과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실행 가능한 오브젝트는 앱 실행 아이콘, 하이퍼링크를 갖는 실행 항목 등 단말에서 명령에 따라 작동될 수 있는 객체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산부(142)는 터치스크린(100)의 대기 화면에 표시된 오브젝트들 중에서 사용자의 입력이 가능한 즉, 실행할 수 있는 오브젝트들을 식별할 수 있다. 연산부(143)는 식별된 오브젝트들이 위치한 영역의 중심 좌표와, 터치 영역의 중심 좌표와의 사이의 거리를 계산 할 수 있다. 연산부(143)는 터치 접촉 면적 및 거리와 관련된 계산 결과를 포인터 처리부(143)로 전달할 수 있다.
포인터 처리부(143)는 터치 접촉 면적이 기 설정된 면적을 초과하는 지 여부를 결정하거나, 터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포인터 처리부(143)는 터치 접촉 면적이 기 설정된 면적을 초과하거나, 터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기 설정된 접촉 시간을 초과하는 지 여부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면적, 기 설정된 압력 및 기 설정된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또는 휴대 단말기 제조 시에 정의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포인터 처리부(143)는 터치 접촉 면적이 기 설정된 면적을 초과하는 조건, 터치 접촉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조건, 터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만을 만족하는 경우에도 포인터 아이콘을 터치스크린(1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포인터 처리부(143)는, 다른 터치 제스처와 구별하기 위해, 터치 접촉 면적에 대한 조건 이외에 터치 접촉 시간에 대한 조건을 추가하거나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포인터 처리부(143)는 터치 접촉 면적이 기 설정된 면적을 초과한 경우, 터치스크린(110)의 표시 패널(112)에 포인터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포인터 처리부(143)는 터치스크린(110)에 포인터 아이콘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 움직임을 검출하고, 이에 응답하여 포인터 아이콘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포인터 처리부(143)는 포인터 아이콘이 표시된 상태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포인터 처리부(143)은 터치 움직임이 멈추거나, 터치 접촉 면적이 변화되는 조건을 만족하면, 유지하고 있는 터치의 접촉 면적을 다시 측정할 수 있다. 포인터 처리부(143)는 터치스크린(143)에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터치 접촉 면적이 기 설정된 면적을 초과하는 경우, 포인터 아이콘이 지시하는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포인터 처리부(143)는 연산부(142)로부터 계산된 오브젝트들과 터치 접촉 영역의 사이의 거리에서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한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포인터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00)은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웹 페이지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웹 페이지 실행 화면은 웹 페이지 주소를 표시하고, 입력하는 주소 창,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개인 정보 입력 창 및, 하이퍼 링크가 설정된 문자 객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행 가능한 오브젝트는 주소 창, 개인 정보 입력 창, 문자 객체가 해당 될 수 있다. 웹 페이지 실행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엄지손가락의 바닥으로 터치스크린(100)을 넓게 터치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40)는 터치 접촉 면적 및 터치 접촉 시간을 계산하여, 기 설정된 면적 및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기 설정된 면적 및 시간을 초과한 경우, 웹 페이지 실행 화면에서 실행 가능한 오브젝트들 중에서 가장 먼 거리에 있는 오브젝트 위에 포인터 아이콘이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웹 페이지 실행 화면에서 터치 접촉 영역과 주소 창이 가장 먼 거리에 있다고 결정되면, 주소 창 위에 포인터 아이콘을 표시한다.
또한, 포인터 아이콘이 터치스크린(110)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엄지손가락의 움직임으로 포인터 아이콘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10)에 포인터 아이콘이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를 해제하지 않고, 다시 엄지손가락의 바닥으로 터치스크린을 넓게 터치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40)는 포인터 아이콘이 지시하는 앱 아이콘을 실행하거나, 입력 창에 입력 커서를 표시하여 입력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터치 접촉 면적을 이용하여 포인터 아이콘을 표시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할 수 있도록 옵션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제어부(140)의 상세한 동작 설명은 다음에 제시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상술한 기능 외에 터치 기반의 휴대 단말기의 통상적인 기능과 관련된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 변화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모듈과,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GPS 모듈과, 카메라 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입력부는 상술한 터치스크린(110) 및 키입력부(120) 이외에, 터치패드, 트랙볼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한 손으로 사용 조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나타내 보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00에서 제어부(140)는 터치스크린(110)에서 발생되는 사용자의 터치를 검출한다. 단계 210에서 제어부(140)는 터치스크린(110)에서 접촉되는 터치의 위치 및 터치 접촉 면적을 검출한다. 제어부(140)는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신된 터치 입력 신호를 통해, 터치 영역의 최외각 좌표들로부터 터치 영역의 면적을 계산하고, 터치 영역의 위치를 검출 할 수 있다.
단계 220에서 터치가 검출된 상태에서 제어부(140)는 터치 영역의 접촉 면적이 기 설정된 면적을 초과하는 지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면적은 포인터 표시 기능을 위해 설정된 터치 영역의 면적을 의미한다. 기 설정된 면적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 제조 시에 정의 될 수 있다. 터치 영역의 면적이 기 설정된 면적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스는 종료될 수 있다.
단계 230에서 제어부(140)는 터치 영역의 접촉 면적이 기 설정된 면적을 초과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한.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제스처와 식별될 수 있도록 포인터 표시 기능을 위해 설정된 터치 접촉 시간을 의미한다. 기 설정된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 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 제조 시에 정의 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접촉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스는 제어부(140)에 의해, 종료된다. 또한, 단계230은 생략될 수 있으며, 단계 220에서 터치 접촉 면적이 기 설정된 면적을 초과한다고 결정된 경우, 단계 240으로 진행된다.
단계 240에서, 제어부(140)는 터치 접촉 면적이 기 설정된 면적을 초과하고,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한 경우, 입력 대기 화면에 포인터 아이콘을 표시한다. 제어부(140)는 입력 대기 화면 내에 실행 가능한 오브젝트들을 식별하고, 실행 가능한 오브젝트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선택된 오브젝트의 위치에 포인터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 250에서 제어부(140)는 터치스크린(110)에 터치 접촉이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 움직임을 검출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터치 접촉 면적에 상관없이 터치 움직임은 검출할 수 있다. 단계 260에서 제어부(140)는 터치 움직임이 검출되면, 터치의 움직임에 따라 입력 대기 화면에 표시된 포인터 아이콘을 이동시시킨다.
단계 270에서 제어부(140)는 터치 해제가 발생됐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터치 해제는 터치스크린(110)에 터치 접촉이 해제된 경우를 의미한다. 단계 280에서 제어부(140)는 터치 해제가 발생되면, 입력 대기 화면에서 표시된 포인터 아이콘의 표시를 해제한다.
터치 해제가 발생되지 않고,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터치의 움직임이 멈추거나, 터치 접촉 면적이 변화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단계 221에서와 같이, 터치 접촉 면적이 기 설정된 면적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터치 접촉 면적이 기 설정된 면적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스는 제어부에 의해 종료될 수 있다.
단계 231에서 제어부(140)는 터치 접촉 면적이 기 설정된 면적을 초과한 상태에서, 터치 접촉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터치 접촉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스는 제어부에 의해 종료될 수 있다. 또한, 단계231은 생략될 수 있으며, 단계 221에서 터치 접촉 면적이 기 설정된 면적을 초과한다고 결정된 경우, 단계 290으로 진행될 수 있다.
단계 290에서 제어부(140)는 터치 접촉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한 경우, 포인터 아이콘을 이용하여 실행 가능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터치스크린(100)에서 홈 화면을 표시한 경우에는 포인터 아이콘을 통해 홈 화면에 표시된 앱 실행 아이콘을 선택하여 선택된 앱을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터치스크린(100)에서 웹 페이지 실행 화면을 표시한 경우에는 포인터 아이콘을 통해 주소 입력 창을 선택함으로써, 입력 모드로 전환하여 주소 창에 문자를 입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터 아이콘을 표시하는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특히, 도 3은 터치스크린에 포인터를 표시하는 과정에서 포인터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00에서 제어부(140)는 터치스크린(110)에 표시된 화면 내에 실행 가능한 오브젝트들을 식별한다. 단계 310에서 제어부(140)는 식별된 오브젝트들이 위치한 중심 좌표값과, 오브젝트들이 위치한 중심 좌표값을 이용하여 오브젝트들과 터치 영역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단계 320에서 제어부(140)는 측정된 거리 값을 기반으로 오브젝트들과 터치 영역 사이에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한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한다. 단계 330에서 제어부(140)는 선택된 오브젝트의 좌표값에 대응되는 위치에 포인터 아이콘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포인터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해, 터치 영역과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한 오브젝트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나, 사용자에 의해 오브젝트들의 우선순위를 정의하여 선택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손으로 조작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을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 중인 입력 대기 모드로 운용 중일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140)은 입력 대기 모드에서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다양한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스크린(110)은 홈 화면, 앱 실행 화면, 웹 브라우저 실행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치스크린(110)에 웹 브라우저 실행 화면이 표시된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4의 <a>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10)은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웹 브라우저 실행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실행 화면은 웹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410)과, 기능 키들을 제공하는 기능 영역(420)으로 구분된다. 기능 영역(420)에는 주소를 표시하고 입력하는 주소 창 오브젝트, 이전 단계 및 다음 단계로 전환하기 위한 키 오브젝트, 자주 가는 웹 사이트 등록 키 오브젝트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웹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410)은 이미지 오브젝트, 문자 오브젝트 및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개인 정보 입력 창 오브젝트등을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실행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엄지손가락(430)의 바닥(440)으로 터치스크린(110)을 터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엄지손가락의 끝(finger tip)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엄지손가락의 바닥(finger flat)으로 터치스크린(100)을 터치함으로써, 터치 영역의 접촉 면적을 보다 더 넓게 할 수 있다.
그러면, 터치스크린(110)은 접촉된 터치 영역의 최외각 지점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신호를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제어부(140)는 터치 입력 신호에 포함된 터치 영역의 위치 정보들로부터 터치영역의 접촉 면적 및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의 바닥으로 터치스크린을 접촉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가 기 설정된 면적 및 기 설정된 접촉 시간을 초과했다고 결정되면, 터치스크린은 도 3의 <b> 화면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포인터 아이콘(450)을 웹 브라우져 실행 화면 위에 표시한다. 이때, 포인터 아이콘(450)은 실행 가능한 오브젝트들 중 가장 먼 거리에 있는 오브젝트 위에 우선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포인트 아이콘을 표시하는 조건으로 사용자의 터치가 기 설정된 면적 및 기 설정된 접촉 시간을 초과한 경우로 예를 들었지만, 터치 면적이 기 설정된 면적만을 초과하거나, 터치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만을 초과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터치스크린과 접촉된 엄지손가락을 움직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의 끝(441) 또는 바닥을 이용해 터치 제스처 즉, 드래그 등과 같이 터치스크린과의 접촉 위치를 변경한다. 그러면, 터치스크린(110)은 도 4의 <c>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사용자의 터치 움직임에 대응하여 표시된 포인터 아이콘(450)의 위치를 변경경한다. 이때, 포인터 아이콘(450)의 위치 변경은 터치 접촉 면적에 상관없이, 터치 움직임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포인터 아이콘(450)이 표시된 상태에서 도 3의 <d>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엄지손가락의 바닥(442)으로 터치스크린(100)을 터치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터치가 기 설정된 면적 및 기 설정된 접촉 시간을 초과했다고 결정되면, 도 4의 <e>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 아이콘(450)이 표시된 위치 즉, 주소 창을 선택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조건으로 사용자의 터치가 기 설정된 면적 및 기 설정된 접촉 시간을 초과한 경우로 예를 들었지만, 터치 면적이 기 설정된 면적만을 초과하거나, 터치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만을 초과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러면, 터치스크린(110)은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주소 창이 선택된 모드 즉, 주소 창에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이때, 터치스크린(100)은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주소 창에 문자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입력 커서를 표시할 수 있으며, 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창(46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한 손으로 사용 조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나타내 보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00에서 제어부(140)는 터치스크린(110)에서 발생되는 사용자의 터치를 검출한다.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 중인 입력 대기 모드로 운용 중인 경우, 터치스크린(140)은 다양한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 510에서 제어부(140)는 검출된 터치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압력은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제스처와 식별될 수 있도록 포인터 표시 기능을 위해 설정된 터치 압력을 의미한다. 기 설정된 압력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 제조 시에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스는 제어부에 의해, 종료될 수 있다.
단계 520에서 제어부(140)는 터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을 초과한 경우, 입력 대기 화면에 포인터 아이콘을 표시한다. 상세하게, 제어부(140)는 입력 대기 화면 내에 실행 가능한 오브젝트들을 식별하고, 실행 가능한 오브젝트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그러면, 제어부(140)은 선택된 오브젝트의 위치에 포인터 아이콘을 표시한다.
단계 530에서 제어부(140)는 터치스크린(110)에 터치 접촉이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 움직임을 검출한다. 여기서, 터치 움직임은 상기 포인터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기 설정된 터치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터치 압에 의한 터치 움직임일 수 있다. 단계 540에서 제어부(140)는 터치 움직임이 검출되면, 터치의 움직임에 따라 입력 대기 화면에 표시된 포인터 아이콘을 이동시킨다. 단계 550에서 제어부(140)는 터치 해제가 발생됐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터치 해제는 터치스크린(110)에 터치 접촉이 해제된 경우를 의미한다. 단계 560에서 제어부(140)는 터치 해제가 발생되면, 입력 대기 화면에서 표시된 포인터 아이콘의 표시를 해제한다.
터치 해제가 발생되지 않고,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터치의 움직임이 멈춘 경우 제어부(140)는 단계 570에서와 같이, 다시 터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터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는 제어부(140)에 의해 종료될 수 있다.
단계 580에서 제어부(140)는 포인터 아이콘이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을 초과한 경우, 포인터 아이콘을 이용하여 실행 가능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한 손으로 사용 조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나타내 보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00에서 제어부(140)는 터치스크린(110)에서 발생되는 사용자의 터치를 검출한다. 단계 610에서 제어부(140)는 터치스크린(110)에서 접촉되는 터치의 위치 및 터치 접촉 면적을 검출한다. 제어부(140)는 터치스크린(110)으로부터 수신된 터치 입력 신호를 통해, 터치 영역의 최외각 좌표들로부터 터치 영역의 면적을 계산하고, 터치 영역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단계 620에서 터치가 검출된 상태에서 제어부(140)는 터치 영역의 접촉 면적이 기 설정된 면적을 초과하는 지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면적은 포인터 표시 기능을 위해 설정된 터치 영역의 면적을 의미한다. 즉, 기 설정된 면적은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제스처와 식별될 수 있도록 포인터 표시 기능을 위해 설정된 터치 접촉 면적을 의미한다. 기 설정된 면적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제조 시에 정의 될 수 있다. 터치 영역의 면적이 기 설정된 면적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는 종료 될 수 있다.
단계 630에서 제어부(140)는 터치 영역의 접촉 면적이 기 설정된 면적을 초과하는 경우, 입력 대기 화면에 포인터 아이콘을 표시한다. 제어부(140)는 입력 대기 화면 내에 실행 가능한 오브젝트들을 식별하고, 실행 가능한 오브젝트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선택된 오브젝트의 위치에 포인터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 640에서 제어부(140)는 터치스크린(110)에 터치 접촉이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 움직임을 검출한다. 단계 650에서 제어부(140)는 터치 움직임이 검출되면, 터치의 움직임에 따라 입력 대기 화면에 표시된 포인터 아이콘을 이동시킨다. 단계 660에서 제어부(140)는 터치 해제가 발생됐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터치 해제는 터치스크린(110)에 터치 접촉이 해제된 경우를 의미한다. 단계 670에서 제어부(140)는 터치 해제가 발생되면, 입력 대기 화면에서 표시된 포인터 아이콘의 표시를 해제한다.
터치 해제가 발생되지 않고,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터치의 움직임이 멈추거나, 터치 접촉 면적이 변화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단계 680에서와 같이, 터치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압력은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제스처와 식별될 수 있도록 포인터를 이용하여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설정된 터치 압력을 의미한다. 기 설정된 압력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 제조 시에 정의될 수 있다. 터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는 제어부(140)에 의해 종료될 수 있다.
단계 690에서 제어부(140)는 포인터 아이콘이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을 초과한 경우, 포인터 아이콘을 이용하여 실행 가능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장치에 있어서, 터치 접촉 면적 , 터치 압력 또는 터치 접촉 시간에 따른 조건을 이용하여 한 손으로 조작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손으로 터치스크린을 조작하여 가상의 마우스와 같은 포인터 아이콘을 표시하는 기능, 터치 움직임에 따라 포인터를 이동하는 기능, 포인터를 이용하여 객체를 실행시키는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단말기 대형화 추세에 따라, 두 손이 아닌 한 손으로 단말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휴대 단말기
110: 터치스크린 120: 키 입력부
130: 저장부 140: 저장부
143: 포인터 처리부

Claims (19)

  1.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하나의 터치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터치 영역이 기 설정된 터치 접촉 면적, 기 설정된 터치 접촉 시간, 기 설정된 터치 압력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터치 영역이 상기 조건을 초과한 경우, 터치스크린에 위치를 가리키는 포인터(pointer)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터치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신된 터치 영역의 좌표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영역의 최외각 좌표들로 이루어진 도형의 면적을 계산하여 접촉 면적을 측정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실행 화면에 포함된 실행 가능한 오브젝트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오브젝트의 위치에 대응되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실행 화면 내에 실행 가능한 오브젝트들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실행 가능한 오브젝트들과 상기 터치 영역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오브젝트들 중 상기 터치 영역과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들의 중심 좌표값과 터치 영역의 중심 좌표값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터치 접촉의 해제가 검출된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포인터의 표시가 해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포인터가 표시된 상태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경우, 터치 영역이 기 설정된 터치 접촉 면적 ,기 설정된 터치 접촉 시간, 기 설정된 터치 압력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영역이 상기 조건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포인터의 위치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움직임이 멈춤 및 터치 접촉 면적의 변경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영역의 접촉 면적이 기 설정된 면적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면적을 초과한 터치의 접촉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의 접촉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실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영역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압력을 초과한 터치의 접촉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의 접촉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실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11.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장치에 있어서,
    터치 입력 모드를 위한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검출되는 터치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터치 영역을 측정하고, 상기 터치 영역이 기 설정된 터치 접촉 면적, 기 설정된 터치 압력 및 기 설정된 터치 접촉 시간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초과하는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검출된 터치가 상기 조건을 초과한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위치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터치가 기 설정된 면적을 초과한 경우, 면적을 초과한 터치의 접촉 시간이 기 설정된 접촉 시간을 초과하는 지 여부를 결정하고, 기 설정된 접촉 시간이 초과된 경우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검출된 터치 영역의 좌표들로 이루어진 도형의 면적을 계산하여 접촉 면적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실행 가능한 오브젝트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오브젝트의 위치에 대응되어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 화면에 표시된 실행 가능한 오브젝트들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오브젝트들과 사이 검출된 터치 영역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오브젝트 중 상기 터치 영역과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터치 영역에서 터치 해제가 검출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포인터의 표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접촉이 유지된 상태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이 기 설정된 면적, 기 설정된 압력 및 기 설정된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초과한 경우, 상기 포인터가 가리키는 위치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움직임의 멈춤 및 터치 접촉 면적의 변경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조건을 만족한 이후의 터치 영역이 기 설정된 면적 또는 기 설정된 압력을 초과한 경우, 상기 기 설정된 면적 또는 기 설정된 압력을 초과한 터치의 접촉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접촉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실행하는 것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KR1020120100240A 2012-09-11 2012-09-11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에서 한 손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Withdrawn KR2014003383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240A KR20140033839A (ko) 2012-09-11 2012-09-11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에서 한 손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US14/024,488 US9459704B2 (en) 2012-09-11 2013-09-1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e-handed user interface in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240A KR20140033839A (ko) 2012-09-11 2012-09-11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에서 한 손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839A true KR20140033839A (ko) 2014-03-19

Family

ID=50232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240A Withdrawn KR20140033839A (ko) 2012-09-11 2012-09-11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에서 한 손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59704B2 (ko)
KR (1) KR2014003383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942A (ko) 2015-02-06 2016-08-17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 감지 방법
US10430632B2 (en) 2016-01-11 2019-10-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105B1 (ko) * 2014-10-15 2020-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11079895B2 (en) 2014-10-15 2021-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20160132139A1 (en) * 2014-11-11 2016-05-1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Cursor Based on Finger Pressure and Direction
US20170024086A1 (en) * 2015-06-23 2017-01-26 Jamdeo Canada Ltd. System and methods for detection and handling of focus elements
US10459561B2 (en) 2015-07-09 2019-10-29 Qualcomm Incorporated Using capacitance to detect touch pressure
CN106371688B (zh) * 2015-07-22 2019-10-0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全屏幕单手操作方法及装置
JP6569546B2 (ja) * 2016-01-28 2019-09-04 富士通コネクテッド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10042550B2 (en) 2016-03-28 2018-08-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ing virtual target window on mobile device based on directional gesture
US10091344B2 (en) 2016-03-28 2018-10-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ing virtual target window on mobile device based on user intent
CN108351717B (zh) * 2016-04-27 2020-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选取界面元素的方法、装置及终端
US20180121000A1 (en) * 2016-10-27 2018-05-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ing pressure to direct user input
SE542090C2 (en) * 2017-05-31 2020-02-25 Izettle Merchant Services Ab Touch input device and method
JP7309466B2 (ja) * 2019-06-11 2023-07-1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12328161A (zh) * 2020-11-04 2021-02-05 广州朗国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触摸屏幕快速截屏方法、电子设备、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4544B2 (en) * 2006-09-06 2013-10-22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category icons
KR20100010860A (ko) * 2008-07-23 2010-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이벤트 제어방법
CN102860034B (zh) * 2010-04-28 2016-05-18 Lg电子株式会社 图像显示设备和操作图像显示设备的方法
JP5708083B2 (ja) * 2011-03-17 2015-04-30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電子機器システム
US9460029B2 (en) * 2012-03-02 2016-10-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sure sensitive keys
US9584682B2 (en) * 2012-05-24 2017-02-28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data across multiple electronic devices
US8970492B2 (en) * 2012-06-08 2015-03-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mote session control using multi-touch input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942A (ko) 2015-02-06 2016-08-17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 감지 방법
US10430632B2 (en) 2016-01-11 2019-10-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0949639B2 (en) 2016-01-11 2021-03-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1676413B2 (en) 2016-01-11 2023-06-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59704B2 (en) 2016-10-04
US20140071049A1 (en) 201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97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e-handed user interface in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KR10202034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
JP5759660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る携帯式情報端末および入力方法
KR101995278B1 (ko) 터치 디바이스의 ui 표시방법 및 장치
KR101424294B1 (ko) 터치스크린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입력 및 제스쳐에 응답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컴퓨터로 구현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US967189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having touch screen with varying sensitivity regions
KR101361214B1 (ko) 터치스크린의 제어영역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JP5507494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る携帯式電子機器および制御方法
KR102021048B1 (ko) 사용자 입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4750400B (zh) 终端界面的优化操作方法和装置
CN103092502B (zh) 在便携式终端中提供用户界面的方法及其设备
US2011006098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a Touch Screen, User Interface of the Touch Screen, and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40115731A (ko) 휴대 단말기의 오브젝트 변환 방법 및 그 장치
TWI463355B (zh) 多點觸控介面之訊號處理裝置、訊號處理方法及使用者介面圖像選取方法
EP277042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object in user device
JP2014010777A (ja) 表示プログラム、表示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20140126949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메뉴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40019530A (ko) 멀티 터치 핑거 제스처를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렉션 제공 방법 및 장치
TW201331812A (zh) 電子裝置及控制電子裝置的方法
KR20140009687A (ko) 매크로 기능을 이용하는 복합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150153925A1 (en) Method for operating gestures and method for calling cursor
KR20130102670A (ko) 터치스크린 단말기의 세밀한 조작을 위한 사용자별 손가락 및 터치 펜 접촉 위치 포인트 설정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19531A (ko) 홈 화면의 오브젝트 메뉴 관리 방법 및 장치
EP3433713B1 (en) Selecting first digital input behavior based on presence of a second, concurrent, input
US20140085340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anipulating scale or rotation of graphic on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