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30476A -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 - Google Patents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0476A
KR20140030476A KR1020120095470A KR20120095470A KR20140030476A KR 20140030476 A KR20140030476 A KR 20140030476A KR 1020120095470 A KR1020120095470 A KR 1020120095470A KR 20120095470 A KR20120095470 A KR 20120095470A KR 20140030476 A KR20140030476 A KR 20140030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re tower
upper structure
mounting
crane
superstruc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2595B1 (ko
Inventor
정재영
곽정호
윤봉만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5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595B1/ko
Publication of KR20140030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59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4Slings with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은 해상 구조물에 플레어 타워를 탑재하는 방법에 있어서, 플레어 타워를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로 분할하여 탑재하되,
1) 하부 구조를 해상 구조물의 데크에 이송하여 제1 크레인으로 세워서 해상 구조물에 고정하는 하부 구조 탑재 단계;
2) 상부 구조를 운반선으로 해상 구조물에 이송하여 제2 크레인에 마련된 한 쌍의 붐과 상부 구조를 연결하여 상부 구조를 하부 구조의 상부에 세우는 상부 구조 탑재 단계; 및
3) 상부 구조와 하부 구조를 일체의 플레어 타워를 이루도록 고정하는 일체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Divided Erection Method Of Flare Tower}
본 발명은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상 구조물에 플레어 타워를 탑재할 때에 플레어 타워를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로 분할하여 탑재한 후 이를 일체화시키는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유나 LNG 등의 생산 또는 저장하기 위한 설비들에는 원유나 가스를 소각시키기 위한 플레어 타워(Flare Tower)가 마련된다.
이러한 플레어 타워는 크게 직립형과 경사형으로 구분되는데, 직립형의 플레어 타워는 육상에서 대형 크롤러 크레인(crawler crane)을 이용하여 직립시킨 다음, 고정 작업을 거친 후, 해상크레인을 이용하여 다시 본 탑재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플레어 타워 설치 방법은 플레어 타워의 직립을 위한 육상 작업장의 확보 및 고정 작업이 필요하고, 큰 중량을 가진 리프팅 프레임(lifting frame)과 리깅(rigging) 등을 필요로 하며, 크레인의 사용 횟수 및 작업 일수가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비용 증가를 초래하는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그리하여 플레어 타워의 직립과 탑재를 위한 설치 작업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해상 탑재가 제안되었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의 플레어 타워의 탑재 작업 과정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1 및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플레어 타워(1) 설치 방법은 제1 해상크레인(10)에 마련된 붐(11)을 운반선(30)에 눕혀서 운반된 플레어 타워(1)의 양측에 위치하게 하여, 붐(11) 각각의 후크(미도시)를 플레어 타워(1)의 양측에 연결하고, 제2 해상크레인(20)의 후크(미도시)도 플레어 타워(1)에 연결한다. 제1 및 제2 해상크레인을 조작하여 플레어 타워(1)를 인양하여 기울어지게 가이드하여 직립시킨 후, 세워진 플레어 타워(1)를 선박이나 부유식 구조물 등의 해상 구조물(50)에 탑재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플레어 타워의 탑재 방법은 해상크레인들의 높이와, 후크 사이의 간격에 의한 제약으로 인해, 플레어 타워를 수직으로 세우는 작업의 난이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높이에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일정 높이나 폭 이상의 구조물은 이와 같은 일체화된 탑재가 불가능하였고, 일체화된 탑재가 가능한 경우에도 플레어 타워 구조물의 규모가 커서 구조물 하부 기반의 정도 관리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체화된 플레어 타워의 탑재가 이루어진 후에야 데크 위에 의장 장비류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어, 공정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해상 구조물에 플레어 타워를 탑재할 때에 플레어 타워를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로 분할하여 탑재한 후 이를 일체화함으로써, 종래의 일체화된 플레어 타워 탑재 방법이 지닌 한계를 극복하여 대형 플레어 타워도 탑재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상 구조물에 플레어 타워를 탑재하는 방법에 있어서,
플레어 타워를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로 분할하여 탑재하되,
1) 상기 하부 구조를 상기 해상 구조물의 데크에 이송하여 제1 크레인으로 세워서 상기 해상 구조물에 고정하는 하부 구조 탑재 단계;
2) 상기 상부 구조를 운반선으로 상기 해상 구조물에 이송하여 제2 크레인에 마련된 한 쌍의 붐과 상기 상부 구조를 연결하여 상기 상부 구조를 상기 하부 구조의 상부에 세우는 상부 구조 탑재 단계; 및
3) 상기 상부 구조와 상기 하부 구조를 일체의 플레어 타워를 이루도록 고정하는 일체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플레어 타워에서 상기 하부 구조와 상기 상부 구조는 상기 플레어 타워에서 버티컬 파이프 라인이 올라가기 시작하는 높이와 의장 상류화가 가능한 높이를 기준으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 탑재 단계에서 상기 제1 크레인에 마련된 복수의 후크를 상기 하부 구조에 연결하되, 상기 후크가 상기 하부 구조에 연결된 지점과 상기 후크의 연결된 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하부 구조를 기울이면서 상기 해상 구조물의 데크에 세워서 탑재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조 탑재 단계는
a) 운반선에 눕혀진 상기 상부 구조의 상측에, 제2 크레인에 마련된 한 쌍의 붐을 나란히 위치시키되, 상기 붐 사이에 상기 상부 구조가 위치하도록 하는 정렬 단계;
b) 상기 붐 각각의 후크를 상기 상부 구조의 양측에 각각 연결하고, 제3 크레인의 후크를 상기 상부 구조에 연결하는 연결 단계;
c) 상기 제2 및 제3 크레인으로 상기 상부 구조를 상기 운반선에서 인양하여 상기 붐 사이를 통해서 수직으로 세우는 직립 단계; 및
d) 상기 직립 단계로 세워진 상기 상부 구조를 상기 해상 구조물에 고정된 상기 하부 구조에 탑재하는 탑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단계에서 상기 붐 각각의 후크는 상기 상부 구조에서 무게 중심의 상측에 연결하고, 상기 제3 크레인의 후크는 상기 상부 구조에서 무게 중심의 하측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단계에서 상기 상부 구조에 수평으로 양측에 연장되는 지지바를 가지며, 상기 지지바 각각의 단부에 상기 붐의 후크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마련된 리프팅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구조가 상기 제2 크레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프레임은 상기 지지바가 상기 상부 구조의 세로 부재와 가로 부재에 다수의 보강바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상부 구조에 일체를 이루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직립 단계는 상기 제2 및 제3 크레인이 상기 상부 구조를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상부 구조가 설치될 높이까지 인양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크레인이 상기 상부 구조를 기울어지게 가이드하면서 상기 제2 크레인이 상기 붐 사이에 상기 상부 구조를 인양하여 직립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해상 구조물에 플레어 타워를 탑재하는 방법에 있어서,
높이 130m 이상 또는 무게 900톤(t) 이상인 상기 플레어 타워를 의장 상류화가 가능한 높이를 기준으로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로 분할하여 제작하고,
상기 하부 구조는 도크에서 상기 해상 구조물에 탑재시키고, 상기 상부 구조는 운반선으로 이송하고 해상 크레인으로 인양하여 상기 해상 구조물에 탑재시킨 후, 상기 하부 구조와 상기 상부 구조를 고정시켜 일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은, 해상 구조물에 플레어 타워를 탑재할 때에 플레어 타워를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로 분할하여 탑재한 후 이를 일체화함으로써, 종래의 일체화된 플레어 타워 탑재 방법이 지닌 한계를 극복하여 대형 플레어 타워도 탑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플레어 타워의 탑재 작업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 중 하부 구조 탑재 단계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 중 상부 구조 탑재 단계의 원리를 순서대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 중 일체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크레인에 플레어 타워의 상부 구조를 연결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플레어 타워의 상부 구조 설치에 이용되는 리프팅 프레임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어 타워(100)의 분할 탑재 방법이 순서대로 도시된다.
도면들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어 타워(100)의 분할 탑재 방법은, 해상 구조물(S)에 플레어 타워(100)를 탑재하는 방법에 있어서, 플레어 타워(100)를 하부 구조(110)와 상부 구조(120)로 분할하여 탑재하되,
1) 하부 구조(110)를 해상 구조물(S)의 데크(D)에 이송하여 제1 크레인(200)으로 세워서 해상 구조물(S)에 고정하는 하부 구조(110) 탑재 단계;
2) 상부 구조(120)를 운반선(330)으로 해상 구조물(S)에 이송하여 제2 크레인(310)에 마련된 한 쌍의 붐(311)과 상부 구조(120)를 연결하여 상부 구조(120)를 하부 구조(110)의 상부에 세우는 상부 구조(120) 탑재 단계; 및
3) 상부 구조(120)와 하부 구조(110)를 일체의 플레어 타워(100)를 이루도록 고정하는 일체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해상 구조물(S)은 원유나 LNG 등을 생산 또는 저장하기 위한 선박이나 부유식 해상 구조물(S)들로써, 공정 과정에서 원유나 가스를 소각시키기 위한 플레어 타워(Flare Tower, 100)가 마련되는 설비를 말한다.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플레어 타워(100)에서 하부 구조(110)와 상부 구조(120)는 플레어 타워(100)에서 버티컬 파이프 라인(미도시)이 올라가기 시작하는 높이와 의장 상류화가 가능한 높이를 기준으로 분할될 수 있다.
플레어 타워(100)를 하부 구조(110)와 상부 구조(120)로 분할하여, 하부 구조(110) 탑재 단계를 통해 하부 구조(110)는 해상 구조물(S)의 데크(D)에 도크에서 먼저 탑재시킴으로써, 플레어 타워(100)의 하부 토대 부분의 정도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하부 구조(110) 탑재 후 상부 구조(120) 탑재에 앞서, 플레어 타워(100)의 하부 토대 부분이나 플레어 타워(100)로 연결되는 의장 작업을 상류화시킴으로써 공정 시간을 단축하고 생산력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선행 탑재 가능한 하부 구조(110)와 상부 구조(120)의 분할은, 플레어 타워(100)에 설치되는 버티컬 파이프 라인(vertical pipe line)이 올라가기 시작하는 높이와 선행 의장이 가능한 최대 높이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선행 탑재 가능한 하부 구조(110)와 상부 구조(120)는 높이 20 내지 25 m에서 분할할 수 있다.
하부 구조(110) 탑재 단계에서 제1 크레인(200)에 마련된 복수의 후크(미도시)를 하부 구조(110)에 연결하되, 후크가 하부 구조(110)에 연결된 지점과 후크의 연결된 길이를 조정하여 하부 구조(110)를 기울이면서 해상 구조물(S)의 데크(D)에 세워서 탑재할 수 있다.
복수의 후크(미도시)는 제1 크레인에 연결된 케이블(210) 각각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크레인(200)에서 복수의 후크를 하부 구조(110)에 연결하여 수평하게 들어올리고,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후크의 연결 지점을 서서히 변경하고 연결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하부 구조(110)를 서서히 수직하게 세우고 해상 구조물(S)의 데크(D) 상에 고정한다.
이러한 하부 구조(110) 탑재 단계의 원리를 도 3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하부 구조(110) 탑재 단계는 일부 또는 전부가 해상 구조물(S)이 건조되는 도크(미도시)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구조(110)를 도크 내에서 선행 탑재하고 플레어 타워(100) 하부 토대 부근이나 플레어 타워(100)로 연결되는 많은 의장 작업들을 상류화시켜 도크 내에서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 구조(110)의 탑재 후, 상부 구조(120) 탑재 단계에서 상부 구조(120)가 탑재되는 모습을 도 4 내지 도 7에 순차적으로 도시하였다.
상부 구조(120) 탑재 단계는,
a) 운반선(330)에 눕혀진 상부 구조(120)의 상측에, 제2 크레인(310)에 마련된 한 쌍의 붐(311)을 나란히 위치시키되, 붐(311) 사이에 상부 구조(120)가 위치하도록 하는 정렬 단계;
b) 붐(311) 각각의 후크(미도시)를 상부 구조(120)의 양측에 각각 연결하고, 제3 크레인(320)의 후크(미도시)를 상부 구조(120)에 연결하는 연결 단계;
c) 제2 및 제3 크레인(310, 320)으로 상부 구조(120)를 운반선(330)에서 인양하여 붐(311) 사이를 통해서 수직으로 세우는 직립 단계; 및
d) 직립 단계로 세워진 상부 구조(120)를 해상 구조물(S)에 고정된 하부 구조(110)에 탑재하는 탑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 단계에서는, 운반선(330)에 상부 구조(120)가 눕혀진 상태에서, 상부 구조(120)가 붐(311)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해상크레인인 제2 크레인(310)의 붐(311) 한 쌍을 상부 구조(120)의 상측에 위치시킨다. 붐(311)과 플레어 타워(100)를 서로 정렬시키기 위해 운반선(330)을 접안시킨 상태로 제2 크레인(310)을 이동시킬 수 있는데, 운반선(330)은 안벽에 접안된 상태에서 계류라인(331)으로 고정되며, 제2 및 제3 크레인(310, 320)도 작업을 위해 계류라인(313, 323)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단계에서 제2 크레인(310)에 마련된 붐(311)에 연결된 케이블(312) 단부에 있는 각각의 후크(미도시)를 상부 구조(120)에서 무게 중심의 상측에 연결하고, 제3 크레인(320)에 연결된 케이블(322)의 후크(미도시)는 상부 구조(120)에서 무게 중심의 하측에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크레인(310)은 상부 구조(120)의 인양시 상부 구조(120)가 세워지는 방향으로 인양되게 하며, 제3 크레인(320)은 상부 구조(120)가 수직이 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후크들은 각각의 케이블들(312, 322)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크레인(310)의 붐(311)으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이 서로 교차하지 않고 나란히 상부 구조(120)의 양측에 연결되는데, 연결되는 부분에 리프팅 프레임(125)이 마련된다.
즉, 연결 단계에서 상부 구조(120)에 수평으로 양측에 연장되는 지지바(125a)를 가지며, 지지바(125a) 각각의 단부에 붐(311)의 후크(미도시)가 체결되는 체결부(125b)가 마련된 리프팅 프레임(125)을 이용하여 상부 구조(120)가 제2 크레인(310)에 연결될 수 있다.
리프팅 프레임(125)은 지지바(125a)가 상부 구조(120)의 세로 부재(120a)와 가로 부재(120b)에 다수의 보강바(125c)로 연결됨으로써 상부 구조(120)에 일체를 이루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부 구조(120)는 통상 세로 부재(120a) 3개를 가지는데, 리프팅 프레임(125)이 설치된 하나의 세로 부재(120a)를 제외한 나머지 2개의 세로 부재(120a)에는 체결부(125b)와 마찬가지로 제3 크레인(320)으로부터의 후크가 연결될 수 있는 또 다른 체결부(125d)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리프팅 프레임(125)을 확대한 모습을 도 10에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 단계에서는 제2 및 제3 크레인(320)으로 상부 구조(120)를 운반선(330)에서 인양하여 제2 크레인(310)의 붐(311) 사이에 수직으로 세우게 된다.
이러한 직립 단계는 제2 및 제3 크레인(310, 320)이 상부 구조(120)를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상부 구조(120)가 설치될 높이까지 인양하는 단계와, 제3 크레인(320)이 상부 구조(120)를 기울어지게 가이드하면서 제2 크레인(310)이 붐(311) 사이에 상부 구조(120)를 인양하여 직립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탑재 단계에서는, 직립 상태인 상부 구조(120)를 해상 구조물(S)에 선행 탑재된 하부 구조(110)의 상단에 탑재하여 서로 고정시킨다. 이때 상부 구조(120)가 인양된 제2 및 제3 크레인(310, 320)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로, 플레어 타워(100)가 설치되는 해상 구조물(S)을 이동시켜 상부 구조(120)가 고정될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는데,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해상 구조물에 플레어 타워를 탑재하는 방법에 있어서,
높이 130m 이상 또는 무게 900톤(t) 이상인 플레어 타워를 의장 상류화가 가능한 높이를 기준으로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로 분할하여 제작하고,
하부 구조는 도크에서 해상 구조물에 탑재시키고, 상부 구조는 운반선으로 이송하고 해상 크레인으로 인양하여 해상 구조물에 탑재시킨 후,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를 고정시켜 일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이 제공된다.
플레어 타워에 설치되는 버티컬 파이프 라인을 고려할 때, 의장 상류화가 가능한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의 분할 지점은 20 내지 25m가 최적의 높이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어 타워(100)의 분할 탑재 방법은 플레어 타워(100)를 상부와 하부의 두 구조로 분할하여 하부 구조(110)를 도크 내에서 선행 탑재시킴으로써, 플레어 타워(100)를 일체로 해상 탑재할 때의 크레인 높이와 크레인의 후크 간격에 의한 구조물 탑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이러한 분할 탑재 방법은 CLOV(Cravo, Lirio, Orquidea, Violeta) FPSO와 같이, 기존의 일체화된 플레어 타워(100) 탑재 방식이 적용되기 어려운 대형화된 FPSO에서 특히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도크 내에서 하부 구조(110)를 선행 탑재하여, 플레어 타워(100) 하부 토대 부근이나 플레어 타워(100)로 연결되는 의장 작업을 상류화시킴으로써, 공정 시간을 단축하고 효율성과 생산성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더불어 일체화된 대형 플레어 타워 탑재에 비해 하부 구조(110)만을 선행 탑재하므로, 플레어 타워 하부 토대 부분의 정도 관리가 용이한 장점도 지닌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S: 해상 구조물
D: 데크
100: 플레어 타워
110: 하부 구조
120: 상부 구조
120a: 세로 부재
120b: 가로 부재
125: 리프팅 프레임
125a: 지지바
125b: 체결부
125c: 보강바
125d: 체결부
200: 제1 크레인
210: 케이블
310: 제2 크레인
311: 붐
312: 케이블
313: 계류라인
320: 제3 크레인
322: 케이블
323: 계류라인
330: 운반선
331: 계류라인

Claims (9)

  1. 해상 구조물에 플레어 타워를 탑재하는 방법에 있어서,
    플레어 타워를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로 분할하여 탑재하되,
    1) 상기 하부 구조를 상기 해상 구조물의 데크에 이송하여 제1 크레인으로 세워서 상기 해상 구조물에 고정하는 하부 구조 탑재 단계;
    2) 상기 상부 구조를 운반선으로 상기 해상 구조물에 이송하여 제2 크레인에 마련된 한 쌍의 붐과 상기 상부 구조를 연결하여 상기 상부 구조를 상기 하부 구조의 상부에 세우는 상부 구조 탑재 단계; 및
    3) 상기 상부 구조와 상기 하부 구조를 일체의 플레어 타워를 이루도록 고정하는 일체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어 타워에서 상기 하부 구조와 상기 상부 구조는 상기 플레어 타워에서 버티컬 파이프 라인이 올라가기 시작하는 높이와 의장 상류화가 가능한 높이를 기준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 탑재 단계에서
    상기 제1 크레인에 마련된 복수의 후크를 상기 하부 구조에 연결하되, 상기 후크가 상기 하부 구조에 연결된 지점과 상기 후크의 연결된 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하부 구조를 기울이면서 상기 해상 구조물의 데크에 세워서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 탑재 단계는
    a) 운반선에 눕혀진 상기 상부 구조의 상측에, 제2 크레인에 마련된 한 쌍의 붐을 나란히 위치시키되, 상기 붐 사이에 상기 상부 구조가 위치하도록 하는 정렬 단계;
    b) 상기 붐 각각의 후크를 상기 상부 구조의 양측에 각각 연결하고, 제3 크레인의 후크를 상기 상부 구조에 연결하는 연결 단계;
    c) 상기 제2 및 제3 크레인으로 상기 상부 구조를 상기 운반선에서 인양하여 상기 붐 사이를 통해서 수직으로 세우는 직립 단계; 및
    d) 상기 직립 단계로 세워진 상기 상부 구조를 상기 해상 구조물에 고정된 상기 하부 구조에 탑재하는 탑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계에서 상기 붐 각각의 후크는 상기 상부 구조에서 무게 중심의 상측에 연결하고, 상기 제3 크레인의 후크는 상기 상부 구조에서 무게 중심의 하측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계에서
    상기 상부 구조에 수평으로 양측에 연장되는 지지바를 가지며, 상기 지지바 각각의 단부에 상기 붐의 후크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마련된 리프팅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구조가 상기 제2 크레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프레임은 상기 지지바가 상기 상부 구조의 세로 부재와 가로 부재에 다수의 보강바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상부 구조에 일체를 이루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 단계는
    상기 제2 및 제3 크레인이 상기 상부 구조를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상부 구조가 설치될 높이까지 인양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크레인이 상기 상부 구조를 기울어지게 가이드하면서 상기 제2 크레인이 상기 붐 사이에 상기 상부 구조를 인양하여 직립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
  9. 해상 구조물에 플레어 타워를 탑재하는 방법에 있어서,
    높이 130m 이상 또는 무게 900톤(t) 이상인 상기 플레어 타워를 의장 상류화가 가능한 높이를 기준으로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로 분할하여 제작하고,
    상기 하부 구조는 도크에서 상기 해상 구조물에 탑재시키고, 상기 상부 구조는 운반선으로 이송하고 해상 크레인으로 인양하여 상기 해상 구조물에 탑재시킨 후, 상기 하부 구조와 상기 상부 구조를 고정시켜 일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
KR1020120095470A 2012-08-30 2012-08-30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722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470A KR101722595B1 (ko) 2012-08-30 2012-08-30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470A KR101722595B1 (ko) 2012-08-30 2012-08-30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476A true KR20140030476A (ko) 2014-03-12
KR101722595B1 KR101722595B1 (ko) 2017-04-04

Family

ID=50642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470A Expired - Fee Related KR101722595B1 (ko) 2012-08-30 2012-08-30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59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81214A (zh) * 2016-05-27 2016-07-20 中船澄西船舶(广州)有限公司 Fpso大型火炬塔建造工艺
CN105819351A (zh) * 2016-05-24 2016-08-03 中船澄西船舶(广州)有限公司 Fpso船的大型火炬塔的吊装工艺
KR20160103407A (ko) 2015-02-24 2016-09-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구조물의 탑재 방법 및 이를 위한 크레인 결속장치
CN106114754A (zh) * 2016-07-22 2016-11-16 中船澄西船舶(广州)有限公司 油轮改装成fpso的方法
CN106184798A (zh) * 2016-07-22 2016-12-07 中船澄西船舶(广州)有限公司 Fpso直升飞机平台吊装工艺
KR20160146002A (ko) * 2015-06-11 2016-12-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의 레그 설치 공법
CN114542394A (zh) * 2022-01-20 2022-05-27 保利长大工程有限公司港航分公司 一种固定臂架起重船吊装立运导管架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0573A (en) * 1974-05-20 1975-04-29 Hudson Engineering Corp Flare tower
KR20120019175A (ko) * 2010-08-25 2012-03-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플레어 타워의 설치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0573A (en) * 1974-05-20 1975-04-29 Hudson Engineering Corp Flare tower
KR20120019175A (ko) * 2010-08-25 2012-03-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플레어 타워의 설치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407A (ko) 2015-02-24 2016-09-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구조물의 탑재 방법 및 이를 위한 크레인 결속장치
KR20160146002A (ko) * 2015-06-11 2016-12-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의 레그 설치 공법
CN105819351A (zh) * 2016-05-24 2016-08-03 中船澄西船舶(广州)有限公司 Fpso船的大型火炬塔的吊装工艺
CN105781214A (zh) * 2016-05-27 2016-07-20 中船澄西船舶(广州)有限公司 Fpso大型火炬塔建造工艺
CN106114754A (zh) * 2016-07-22 2016-11-16 中船澄西船舶(广州)有限公司 油轮改装成fpso的方法
CN106184798A (zh) * 2016-07-22 2016-12-07 中船澄西船舶(广州)有限公司 Fpso直升飞机平台吊装工艺
CN106114754B (zh) * 2016-07-22 2017-10-10 广州中船文冲船坞有限公司 油轮改装成fpso的方法
CN114542394A (zh) * 2022-01-20 2022-05-27 保利长大工程有限公司港航分公司 一种固定臂架起重船吊装立运导管架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2595B1 (ko) 201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2010B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erecting an offshore wind turbine assembly
KR101722595B1 (ko)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
KR101213756B1 (ko) 플레어 타워의 설치 방법
CN112770995B (zh) 用于使具有纵向方向的管状元件在外端竖立的装置和方法
KR101266913B1 (ko) 해상 풍력발전 시설의 시공방법
KR20120047740A (ko) 갑판승강식작업대선 및 이를 이용한 해상풍력발전시설의 시공방법
CN102912730B (zh) 一种大跨度钢筋混凝土拱桥单肋合龙缆索吊装施工方法
CN106320182B (zh) 悬索桥岸坡梁段长吊索荡移安装装置和方法
CN109689561A (zh) 起重机、包括这种起重机的船舶以及用于竖立纵向结构的方法
EP3580121B1 (en) Upending device for upending an elongate support structure
CN103193163A (zh) 船厂龙门式起重机的坞口安装方法
CN109236012B (zh) 一种输电线路干字型拉线塔吊装方法
CN105460796A (zh) 海上平台风机吊装系统及吊装方法
CN205257825U (zh) 海上平台风机吊装系统
US10167852B2 (en) Saddle and hook system
CN103171976B (zh) 船厂龙门式起重机的吊装方法
CN201809032U (zh) 带可组合式吊架的自调整拉索装置
CN115071908A (zh) 一种海上平台上部模块的结构及其设计方法和安装方法
CN104627326A (zh) 一种格型钢板桩大圆筒副格整打专用起重、振沉船
JP2015229850A (ja) 作業用足場及びその設置方法
CN114808897B (zh) 一种龙门吊承吊安装风电安装平台桩腿的方法
CN114542394B (zh) 一种固定臂架起重船吊装立运导管架的方法
CN104386586A (zh) 水工预制构件的陆上安装方法及安装设备
KR100554298B1 (ko) 영구케이블을 이용한 사장교의 비대칭 주두부 가설방법
JP7197118B2 (ja) クレーンを備えた作業台船及びそのクレーン運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2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8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