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25076A - 신축형 오일펜스 - Google Patents

신축형 오일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5076A
KR20140025076A KR1020120091208A KR20120091208A KR20140025076A KR 20140025076 A KR20140025076 A KR 20140025076A KR 1020120091208 A KR1020120091208 A KR 1020120091208A KR 20120091208 A KR20120091208 A KR 20120091208A KR 20140025076 A KR20140025076 A KR 20140025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oil fence
oil
membrane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5959B1 (ko
Inventor
박환석
임선빈
주경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1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959B1/ko
Publication of KR20140025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95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Details of conn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 E02B15/0878Air and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신축형 오일펜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축형 오일펜스는 길이방향으로 신축시킬 수 있는 주름부를 구비하고 내부에 공기나 물을 주입할 수 있는 공간을 갖춘 부유체; 부유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차단막; 차단막 하부에 상호 이격 상태로 설치된 복수의 무게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축형 오일펜스{EXTENSIBLE OIL FENCE}
본 발명은 사용할 때 길이를 연장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 길이를 줄일 수 있는 신축형 오일펜스에 관한 것이다.
선박 사고 등으로 해상에 유출된 오일(oil)은 파도나 조류의 영향으로 급속히 퍼져 나간다. 따라서 해상에 오일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는 오염원 주위에 신속히 오일펜스를 설치하여 오일의 확산을 방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통상의 오일펜스는 수면 위에 부상하는 원통형태의 부유체와, 부유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차단막, 그리고 차단막의 하부에 설치되는 무게추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오일펜스는 다수가 띠형태로 연결됨으로써 수면에 부상한 상태에서 오염원 주위를 포위하여 오일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 평11-107259호(1999. 4. 20. 공개) 및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0-0031848호(2000. 6. 5. 공개)는 이러한 유형의 오일펜스를 제시한 바 있다.
오일펜스의 부유체로는 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로 마련되어 항상 그 형체를 유지하는 고형식 부유체와, 사용할 때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킬 수 있는 가변식 부유체가 이용되어 왔다.
고형식 부유체는 항상 그 형체를 유지하기 때문에 해상의 상황이 열악한 경우에도 양호하게 부유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오일을 차단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하지만, 고형식 부유체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보관이나 취급이 어렵다.
가변식 부유체는 보관이나 운송시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해상 상황이 열악한 경우 접혀서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오일의 누설을 야기할 수 있다.
특허문헌1: 일본 공개특허공 평11-107259호(1999. 4. 20. 공개) 특허문헌2: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0-0031848호(2000. 6. 5.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부유체의 신축이 가능하여 보관과 취급이 용이하고, 부유체를 신장시킨 상태에서 높은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신축형 오일펜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길이방향으로 신축시킬 수 있는 주름부를 구비하고 내부에 공기나 물을 주입할 수 있는 공간을 갖춘 부유체; 상기 부유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차단막; 상기 차단막 하부에 상호 이격 상태로 설치된 복수의 무게추를 포함하는 신축형 오일펜스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주름부는 상기 부유체의 둘레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골과 산이 상기 부유체의 길이방향으로 교호적으로 배치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부유체는 인접하여 설치되는 다른 오일펜스의 부유체와 연결하기 위해 그 양단에 마련된 연결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부유체의 한쪽 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롯형태의 연결홈과, 상기 부유체의 다른 쪽 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홈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진입하여 결합되는 연결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막은 인접하여 설치되는 다른 오일펜스의 차단막과 연결하기 위해 그 양단에 각각 마련된 부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유체는 내부로 공기나 물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와, 상기 주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축형 오일펜스는 부유체를 길이방향으로 신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할 때 부유체를 길게 신장시키고 사용하지 않을 때 부유체의 길이를 짧게 축소시킬 수 있다. 즉 사용하지 않을 때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축형 오일펜스는 부유체의 외면에 골과 산형태의 다수의 주름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신축이 가능하면서도 반경방향의 외력에 견딜 수 있는 높은 강성을 가진다. 따라서 심한 파도가 발생하고 기상여건이 악화하는 경우에도 부유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축형 오일펜스를 해상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축형 오일펜스를 신장시켜 해상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축형 오일펜스의 길이를 축소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소개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예로서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을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축형 오일펜스(100)는 해상에 부유하는 부유체(110)와, 부유체(1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차단막(130)과, 차단막(130)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무게추(140)를 포함한다.
부유체(110)는 원통형태로 마련되며 길이방향으로 신축시킬 수 있는 주름부(111)를 구비하고, 내부에 공기나 물을 주입할 수 있는 공간(114)을 구비한다. 주름부(111)는 부유체(110)의 둘레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골(112)과 산(113)이 부유체(110)의 길이방향으로 교호적으로 배치되고, 골(112)과 산(113)이 굽힘 가능하게 연결된다.
부유체(110)는 사용할 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신장시킬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름부(111)를 접어서 전체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부유체(110)는 소정의 강성을 가지는 수지재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또 골(112)부분과 산(113)부분은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부유체(110)의 형상이 전체적으로 원통형태인 경우를 예시하지만, 부유체(110)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유체는 사각, 오각 등 다각 기둥 형태일 수도 있다.
부유체(110)는 내부의 공간(114)에 공기나 소정량의 물을 채운 상태에서 밀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부유체(110)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주입구(115)가 형성될 수 있고, 주입구(115)에는 주입구(115)를 개폐하는 마개(116)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부유체(110)는 주입구(115)를 통해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길이를 신장시킨 후 마개(116)를 체결하여 밀봉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다. 또 주입구(115)를 통해 물을 주입하여 부유체(110) 내부에 소정량의 물을 채우는 방식으로 부유체(110)의 부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부유체(110)에는 인접하여 설치되는 다른 오일펜스의 부유체와 연결할 수 있도록 양단에 연결장치(120)가 마련된다. 연결장치(1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유체(110)의 한쪽 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슬롯형태의 연결홈(121)과, 부유체(110)의 다른 쪽 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연결홈(121)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진입하여 결합되는 연결레일(1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연결레일(122)을 연결홈(121)에 끼우는 방식으로 상호 인접하는 오일펜스의 부유체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연결장치(1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부유체(110)를 연결한 상태에서 그 상단이 수면 위에 위치하고 하단이 수면 아래에 잠기게 됨으로써 수면에 부유하는 오일이 오일펜스(100)의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연결홈(121)과 연결레일(122) 형태의 연결장치(120)를 제시하였으나, 연결장치(120)가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장치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부유체(110)의 양단에 각각 상하로 길게 마련된 연결판과, 각 부유체의 연결판이 겹치도록 한 상태에서 연결판들을 체결하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차단막(130)은 접거나 펼칠 수 있는 비닐과 같은 소재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차단막(130)의 상단은 부유체(110)의 하부에 일체화된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또 차단막(130)은 부유체(110)의 주름부(111)와 마찬가지로 접거나 펼 수 있는 주름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막(130) 양단에는 인접하여 설치되는 다른 오일펜스의 차단막과 연결하기 위한 부착부(131)가 마련될 수 있다. 부착부(131)는 양면 접착테이프나 벨크로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무게추(140)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차단막(130) 하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무게추(140)는 납과 같은 금속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무게추(140)는 차단막(130)이 수중에서 하방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파도에 의해 부유체(110)의 상하운동이 발생하더라도 오일이 오일펜스(100) 밖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음은 이러한 신축형 오일펜스의 사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오일펜스(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보관하거나 운송할 때)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일펜스(100)를 개별단위로 분리한 상태에서 부유체(110) 내부의 공기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또 이 상태에서 부유체(110)의 주름부(111)를 접어 부유체(110)의 길이를 최소화시킨다. 이때는 차단막(130)도 부유체(110)와 함께 접어서 부피를 줄인다. 이처럼 본 실시 예의 오일펜스(100)는 사용하지 않을 때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다.
오일펜스(100)를 해상에 설치할 때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유체(110)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부유체(110)를 길이방향으로 신장시킨다. 부유체(110)를 신장시키면, 부유체(110)와 연결된 차단막(130)도 넓게 펼쳐진다. 이때는 부유체(110)의 주입구(115)를 개방하여 공기를 주입한 후 마개(116)로 주입구(115)를 폐쇄함으로써 부유체(110)가 신장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부유체(110)의 부력을 조절하고자 할 때는 이 과정에서 부유체(110) 내부로 소정량의 물을 주입할 수도 있다.
한편, 위에서는 부유체(110)의 신장을 위해 부유체(110) 내부로 공기를 강제 주입하는 방식을 설명하였지만, 부유체(110)는 소정의 강성을 가진 수지재로 마련되기 때문에 단지 주입구(115)를 개방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당겨 주는 동작만으로도 길이를 신장시킬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부유체(1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부유체(110)를 신장시킨 후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오일펜스(100)를 상호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해상에 오일펜스(100)를 설치한다. 이때는 부유체(110) 양단의 연결홈(121)과 연결레일(122)을 이용해 다수의 오일펜스(100)를 띠형태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차단막(130)은 부착부(131)를 이용해 인접하는 다른 오일펜스(100)의 차단막(130)과 연결할 수 있다.
이처럼 오일펜스(100)를 설치하면, 부유체(110)는 대부분이 수면 위로 부상하고 하부가 약간 수면 아래에 잠긴 상태를 유지한다. 차단막(130)은 수중에 잠긴 상태에서 무게추(140)에 의해 하방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따라서 이러한 오일펜스(100)는 해상에 부유하는 오일을 그 내측에 가두어 오일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는 오일펜스(100)가 해상에 설치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오일펜스(100)는 해상뿐 아니라 강이나 호수에도 설치될 수 있다.
부유체(110)는 소정의 강성을 가진 수지재에 의해 마련될 뿐 아니라, 외면에 다수의 골(112)과 산(113)을 포함하는 주름부(111)를 구비하기 때문에 반경방향의 외력에 견딜 수 있는 높은 강성을 가진다. 따라서 심한 파도가 발생하고 기상여건이 악화하는 경우에도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태로 찌그러지는 등의 변형은 발생하지는 않는다. 즉 길이방향으로 약간의 휨이 발생할 수 있겠으나 반경방향의 변형은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종래 고형식 부유체에 버금갈 정도로 양호한 부유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100: 오일펜스, 110: 부유체,
111: 주름부, 115: 주입구,
116: 마개, 120: 연결장치,
121: 연결홈, 122: 연결레일,
130: 차단막, 131: 부착부,
140: 무게추.

Claims (6)

  1. 길이방향으로 신축시킬 수 있는 주름부를 구비하고 내부에 공기나 물을 주입할 수 있는 공간을 갖춘 부유체;
    상기 부유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차단막;
    상기 차단막 하부에 상호 이격 상태로 설치된 복수의 무게추를 포함하는 신축형 오일펜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상기 부유체의 둘레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골과 산이 상기 부유체의 길이방향으로 교호적으로 배치된 형태인 신축형 오일펜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는 인접하여 설치되는 다른 오일펜스의 부유체와 연결하기 위해 그 양단에 마련된 연결장치를 더 포함하는 신축형 오일펜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부유체의 한쪽 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롯형태의 연결홈과, 상기 부유체의 다른 쪽 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홈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진입하여 결합되는 연결레일을 포함하는 신축형 오일펜스.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인접하여 설치되는 다른 오일펜스의 차단막과 연결하기 위해 그 양단에 각각 마련된 부착부를 더 포함하는 신축형 오일펜스.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는 내부로 공기나 물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와, 상기 주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신축형 오일펜스.
KR1020120091208A 2012-08-21 2012-08-21 신축형 오일펜스 Expired - Fee Related KR101465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208A KR101465959B1 (ko) 2012-08-21 2012-08-21 신축형 오일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208A KR101465959B1 (ko) 2012-08-21 2012-08-21 신축형 오일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076A true KR20140025076A (ko) 2014-03-04
KR101465959B1 KR101465959B1 (ko) 2014-11-28

Family

ID=50640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208A Expired - Fee Related KR101465959B1 (ko) 2012-08-21 2012-08-21 신축형 오일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95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681B1 (ko) * 2014-05-07 2015-04-07 대한민국 오일 확산 방지 장치
KR20170132365A (ko) * 2016-05-23 2017-12-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쓰레기 포집장치
CN108797538A (zh) * 2018-06-07 2018-11-13 蔡宇平 水利工程用河道拦截器
CN111042078A (zh) * 2019-12-29 2020-04-21 泗洪仁益自来水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用清污栅栏及其使用方法
KR20200081655A (ko) * 2018-12-28 2020-07-08 이용준 밸러스트 및 이를 구비한 펜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501B1 (ko) 2018-12-06 2021-02-22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경량 오일 펜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2726U (ja) * 1991-04-23 1992-11-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緊急展張型水上フエンス
KR100581715B1 (ko) * 2003-11-27 2006-05-22 김이중 오일 펜스
KR20080000246U (ko) * 2008-01-23 2008-02-29 이귀희 해상 유출 유 차단 및 수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681B1 (ko) * 2014-05-07 2015-04-07 대한민국 오일 확산 방지 장치
KR20170132365A (ko) * 2016-05-23 2017-12-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쓰레기 포집장치
CN108797538A (zh) * 2018-06-07 2018-11-13 蔡宇平 水利工程用河道拦截器
KR20200081655A (ko) * 2018-12-28 2020-07-08 이용준 밸러스트 및 이를 구비한 펜스
CN111042078A (zh) * 2019-12-29 2020-04-21 泗洪仁益自来水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用清污栅栏及其使用方法
CN111042078B (zh) * 2019-12-29 2021-11-02 泗洪仁益自来水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用清污栅栏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5959B1 (ko) 2014-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959B1 (ko) 신축형 오일펜스
US851763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crude oil from leaking underwater oil wells
US9340941B2 (en) Floating standoff collection basin
KR101149032B1 (ko) 오일펜스 및 그 보관방법
US3191386A (en) Hovering bag breakwater
JP6066271B2 (ja) 浮体式桟橋構造体及びその設置方法
US3710943A (en) Variable displacement fence for oil spill containment and recovery
KR101751312B1 (ko) 팽창형 오일펜스
KR101353950B1 (ko) 롤링을 방지하는 복합 다기능 피이 부잔교
KR20210115833A (ko) 김 양식용 부구와 이를 이용한 김발지지유닛
EP3017117B1 (en) Device for the damming of a liquid in a liquid basin
CN101287883A (zh) 用于水中运动的漂浮场站
JP7459350B2 (ja) 水がベイスン(basin)に入らないようにするためのチューブ
KR200423736Y1 (ko) 공기 팽창식 오일펜스 구조물
US9708785B1 (en) Portable flood control apparatus
US8550022B2 (en) Transportable and built on-site container apparatus with controlled floatation and with self-collecting means for water flooding emergency
WO2011133041A9 (en) Oil boom
KR101253886B1 (ko) 신축식 방벽부를 이용한 에어캐비티 선박
US10648144B2 (en) Universal dock and watercraft protection system
WO2021240168A1 (en) Fluid containment apparatus
US3795315A (en) Control of waterborne oil slicks
JPS5813430B2 (ja) 貯油装置
KR20150116597A (ko) 오일 펜스
JP3426772B2 (ja) 漏洩油防油シート
KR20140037619A (ko) 해수유입 차단부가 구비된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