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3711A - 소프트 페일에 의한 비정상 표시를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소프트 페일에 의한 비정상 표시를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23711A KR20140023711A KR1020120090010A KR20120090010A KR20140023711A KR 20140023711 A KR20140023711 A KR 20140023711A KR 1020120090010 A KR1020120090010 A KR 1020120090010A KR 20120090010 A KR20120090010 A KR 20120090010A KR 20140023711 A KR20140023711 A KR 201400237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gate
- controller
- driver
- lev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1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102100029361 Aromatase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101000919395 Homo sapiens Aromatas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21417 amorphous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9 sus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8—Timing circuits for raster scan display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89—Details of voltage level shift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8—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in a matrix display other than LCD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4—Display protection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6—Handl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s [EMI], covering emitted as well as received electromagnetic radiation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8—Details of image data interface between the display device controller and the data line driver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선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 게이트선에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게이트 구동부로 인가되는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경하는 레벨 쉬프터, 상기 데이터 구동부, 상기 레벨 쉬프터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고, 정전기로 인해 상기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신호 제어부 사이의 신호 교환에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신호 제어부가 상기 레벨 쉬프터로 인가하는 제어 신호를 오프 레벨로 유지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Information Technology) 제품들의 사양이 경박화하고, 고기능화되어 감에 따라 고질적인 품질 이슈에 대한 대응 설계가 중요해 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와 같은 전자기적 노이즈에 대한 대책과 ESD(electro static discharge) 즉, 정전기에 대한 대책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정전기로 인한 불량은 크게 하드 페일(hard fail)과 소프트 페일(soft fail)로 분류되는데, 하드 페일은 정전기로 인하여 소자 자체가 손상을 받아서 기기를 다시 시작하더라도 원상 회복이 되지 않는 불량을 말하며, 소프트 페일은 소자가 손상되지는 않으나, 정전기로 인해 화면에 비정상적인 표시가 나타나는 불량을 말한다. 정전기에 대한 대책으로 부품 설계시부터 다양한 대응책이 마련되고 있으나, 소프트 페일의 경우 부품 내부적인 문제라기보다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정전기로 인한 신호 잡음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관련 부품들이 오작동하는 경우가 많아서 해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소프트 페일이 발생하면, 신호 제어부(Tcon)나 구동 IC 등이 정상적인 신호를 잃어버리게 되어 화면에 비정상적인 이미지가 표시된다. 소프트 페일이 발생하여 표시 장치가 비정상적인 상태가 되면, 자동으로 리셋(reset)을 수행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이 경우 역시 리셋을 수행하는 동안 비정상적인 이미지가 표시되는 것은 막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 장치에서 소프트 페일이 발생하더라도 비정상 이미지가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데이터선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 게이트선에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게이트 구동부로 인가되는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경하는 레벨 쉬프터, 상기 데이터 구동부, 상기 레벨 쉬프터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고, 정전기로 인해 상기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신호 제어부 사이의 신호 교환에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신호 제어부가 상기 레벨 쉬프터로 인가하는 제어 신호를 오프 레벨로 유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데이터선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 게이트선에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게이트 구동부로 인가되는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경하는 레벨 쉬프터, 상기 데이터 구동부, 상기 레벨 쉬프터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가 상기 신호 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출력 영상 신호(DAT)가 기설정되어 있는 포맷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록(LOCK) 신호를 로(low) 상태로 만들어서 상기 신호 제어부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록(LOCK) 신호가 로(low) 상태인 경우, 상기 레벨 쉬프터로 인가하는 제어 신호를 오프 레벨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프트 페일이 발생하였을 때, 레벨 쉬프터로 하여금 주사 시작 신호(STV)와 게이트 클록 신호들(CPV1, CPV2)을 오프 전압(Voff)으로 유지하도록 하여, 소프트 페일이 발생하기 직전의 이미지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비정상 이미지가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레벨 쉬프터를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의 신호 제어부와 레벨 쉬프터의 신호 파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의 데이터 구동부와 신호 제어부의 신호 파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레벨 쉬프터를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의 신호 제어부와 레벨 쉬프터의 신호 파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의 데이터 구동부와 신호 제어부의 신호 파형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는 신호 제어부(Tcon, 10), 데이터 구동부(20), 레벨 쉬프터(30) 및 게이트 구동부(40)를 포함한다.
신호 제어부(10)는 외부로부터 입력 영상 신호 및 그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이들 신호를 기초로 하여 출력 영상 신호(DAT), 게이트 제어 신호와 데이터 제어 신호 등을 생성한다. 입력 제어 신호의 예로는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 메인 클록 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등이 있다. 신호 제어부(10)는 생성된 게이트 제어 신호를 레벨 쉬프터(30)로 내보내고, 데이터 제어 신호와 출력 영상 신호(DAT)를 데이터 구동부(20)로 내보낸다. 게이트 제어 신호에는 게이트 온 펄스의 출력 시작을 지시하는 수직 동기 시작 신호(STV)와 게이트 온 펄스의 출력 시기를 제어하는 수직 클록 신호(CPV1, CPV2) 등이 포함되어 있고, 데이터 제어 신호에는 출력 영상 신호(DAT)의 입력 시작을 지시하는 수평 동기 시작 신호(STH)와 데이터선에 해당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라는 로드 신호(TP) 등을 포함한다. 출력 영상 신호(DAT)에는 주기적으로 타이밍을 확인할 수 있는 클록 신호가 내포되어 있다.
데이터 구동부(20)는 신호 제어부(10)로부터의 데이터 제어 신호에 따라 한 화소 행에 대한 출력 영상 신호(DAT)를 수신하고, 각 출력 영상 신호(DAT)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한 다음, 이를 해당 데이터선(도시하지 않음)에 인가한다. 또한, 데이터 구동부(20)는 출력 영상 신호(DAT)에 내포되어 있는 클록 신호를 이용하여, 출력 영상 신호(DAT)가 미리 정해져 있는 포맷(format)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일치하면 정상적인 신호로 인식하여 신호 제어부(10)로 내보내는 록(LOCK) 신호를 로(low)에서 하이(high)로 전환한다. 데이터 구동부(20)는 신호 제어부(10)로부터의 입력되는 출력 영상 신호(DAT)가 미리 정해져 있는 포맷(format)과 일치하지 않으면, 신호 제어부(10)로 내보내는 록(LOCK) 신호를 하이(high)에서 로(low)로 전환하여 출력 영상 신호(DAT)가 비정상적으로 수신되고 있음을 신호 제어부(10)에 알린다.
레벨 쉬프터(30)는 수직 동기 시작 신호(STV)와 수직 클록 신호(CPV1, CPV2)를 수신하여 그 전압을 증폭함으로써 게이트 펄스 시작 신호(STVP)와 한 쌍의 게이트 클록 신호(CKV, CKVB)를 생성하고, 이를 게이트 구동부(40)로 출력한다.
게이트 구동부(40)는 레벨 쉬프터(30)가 출력하는 게이트 펄스 시작 신호(STVP)와 한 쌍의 게이트 클록 신호(CKV, CKVB)를 이용하여 게이트 온 전압과 게이트 오프 전압을 생성하고, 이들을 타이밍에 맞춰 게이트선(도시하지 않음)에 인가한다. 게이트 구동부(40)는 게이트선, 데이터선 및 스위칭 소자 등과 함께 표시 패널(도시하지 않음)에 직접 형성되어 있는 ASG(amorphous silicon gate)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에서 정전기가 발생하거나 유입되어 데이터 구동부로 가는 출력 영상 신호(DAT)에 이상이 발행하면, 출력 영상 신호(DAT)가 미리 정해져 있는 포맷과 일치하지 않게 되고, 이를 감지한 데이터 구동부(20)는 신호 제어부(10)로 내보내는 록(LOCK) 신호를 하이(high)에서 로(low)로 전환하여 비정상적인 출력 영상 신호(DAT)가 수신되고 있음을 신호 제어부(10)에 알린다. 로(low) 상태인 록(LOCK) 신호를 수신한 신호 제어부(10)는 레벨 쉬프터(30)로 출력하는 수직 동기 시작 신호(STV)와 수직 클록 신호(CPV1, CPV2)를 오프(off) 레벨로 잡아 둔다. 이에 따라, 게이트 구동부(40)로 출력되는 게이트 펄스 시작 신호(STVP)와 한 쌍의 게이트 클록 신호(CKV, CKVB)도 모두 오프(off) 레벨로 유지되어, 게이트 오프 전압이 모든 게이트선에 지속적으로 인가되어 화면에는 정전기로 인한 이상이 발생하기 직전의 이미지가 계속해서 표시된다. 이후, 출력 영상 신호(DAT)가 정상을 되찾아서 미리 정해져 있는 포맷과 일치하게 되면, 데이터 구동부(20)는 신호 제어부(10)로 내보내는 록(LOCK) 신호를 로(low)에서 하이(high)로 전환하여 출력 영상 신호(DAT)가 정상을 되찾았음을 신호 제어부(10)에 알린다. 이에 따라 신호 제어부(10)는 수직 동기 시작 신호(STV)와 수직 클록 신호(CPV1, CPV2)를 레벨 쉬프터(30)로 정상적으로 내보낸다. 그러면 수직 동기 시작 신호에 맞춰 다음 프레임이 시작하면서 정상적인 표시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정전기로 인하여 소프트 페일이 발생하면, 수직 동기 시작 신호(STV)와 수직 클록 신호(CPV1, CPV2)를 오프(off) 레벨로 잡아 둠으로써 게이트 구동부(40)의 동작을 멈추도록 하여 비정상적인 표시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소비 전력 절감을 위하여 블랭크(H-blank, V-blank) 구간에서 챠지 쉐어(charge share)가 수행되도록 설계되어 있는 구동 회로의 경우에는 수직 동기 시작 신호(STV)와 수직 클록 신호(CPV1, CPV2)를 오프(off) 레벨로 잡아 놓는 것만으로는 비정상적인 이미지가 표시되는 것을 막을 수 없다. 이는 신호 제어부(10)로부터 신호가 인가되지 않을 경우, 챠지 쉐어(charge share) 동작으로 인해 한 쌍의 게이트 클록 신호(CKV, CKVB)가 그 중간 수준인 약 5V 정도의 전압 레벨을 가지게 되어, 화소 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 소자를 통해 다량의 전류 누설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아래에서는 챠지 쉐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에서 소프트 페일에 의한 비정상 표시를 방지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레벨 쉬프터를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의 신호 제어부와 레벨 쉬프터의 신호 파형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신호 제어부(10)로부터 레벨 쉬프터(30)로 인가되는 제어 신호로서 게이트 구동부 오프 신호(Goff) 더 포함하고, 레벨 쉬프터(30)의 구성이 다르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실시예와 다른 부분을 위주로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고로 하여, 레벨 쉬프터(30)의 구성을 살펴본다.
레벨 쉬프터(30)는 제어부(31), OR 게이트(32) 및 챠지 쉐어부(33)를 포함한다.
제어부(31)는 수직 동기 시작 신호(STV)와 수직 클록 신호(CPV1, CPV2)를 신호 제어부(10)로부터 수신하고, 게이트 차단 신호(Gm)를 OR 게이트(32)로부터 수신하여, 이들 신호를 바탕으로 하여 챠지 쉐어부(33)를 제어하여 게이트 펄스 시작 신호(STVP)와 한 쌍의 게이트 클록 신호(CKV, CKVB)를 생성하고, 이를 게이트 구동부(40)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31)는 게이트 차단 신호(Gm)가 하이(high) 레벨일 경우, 챠지 쉐어부(33)를 제어하여 게이트 펄스 시작 신호(STVP)와 게이트 클록 신호(CKV, CKVB)를 오프 전압(Voff)으로 만들어서 게이트 구동부(40)로 출력한다.
OR 게이트(32)는 수직 동기 시작 신호(STV) 및 수직 클록 신호(CPV1, CPV2)와 함께 게이트 구동부 오프 신호(Goff)를 수신하고, 수직 동기 시작 신호(STV) 및 수직 클록 신호(CPV1, CPV2) 모두가 로(low) 레벨이고, 게이트 구동부 오프 신호(Goff)는 하이(high) 레벨일 경우에만 게이트 차단 신호(Gm)를 하이(high) 레벨로 하고, 다른 경우에는 게이트 차단 신호(Gm)를 로(low) 레벨로 하여 제어부(31)로 출력한다. 이러한 OR 게이트(32)를 포함시킴으로써, 정전기 등으로 인하여 게이트 구동부 오프 신호(Goff)가 왜곡되더라도 게이트 차단 신호(Gm)가 하이(high) 레벨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신호 제어부(10)가 수직 동기 시작 신호(STV) 및 수직 클록 신호(CPV1, CPV2)는 로(low) 레벨로 하고 게이트 구동부 오프 신호(Goff)는 하이(high) 레벨로 만들어서 레벨 쉬프터(30)로 출력한 경우에만, 레벨 쉬프터(30)가 게이트 펄스 시작 신호(STVP)와 게이트 클록 신호(CKV, CKVB)를 Voff로 만들어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챠지 쉐어부(33)는 제어부(31)의 제어에 따라 수직 동기 시작 신호(STV)와 수직 클록 신호(CPV1, CPV2)의 전압을 증폭하여 게이트 펄스 시작 신호(STVP)와 한 쌍의 게이트 클록 신호(CKV, CKVB)를 생성하고, 이를 게이트 구동부(40)로 출력하거나, 게이트 펄스 시작 신호(STVP)와 게이트 클록 신호(CKV, CKVB)를 오프 전압(Voff)으로 만들어서 게이트 구동부(40)로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도 2의 레벨 쉬프터(30)는 수직 동기 시작 신호(STV) 및 수직 클록 신호(CPV1, CPV2) 모두가 로(low) 레벨이고, 게이트 구동부 오프 신호(Goff)는 하이(high) 레벨일 경우에만, 게이트 펄스 시작 신호(STVP)와 게이트 클록 신호(CKV, CKVB)를 Voff로 만들어서 게이트 구동부(40)로 출력함으로써, 게이트선에 게이트 오프 전압이 유지되도록 하고, 다른 경우에는 정상적인 게이트 신호가 게이트선에 인가되도록 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정상적인 구동 중에 정전기로 인한 소프트 페일이 발생하면, 데이터 구동부(20)가 록(ROCK) 신호를 하이(high)에서 로(low)로 전환하여 신호 제어부(10)로 출력하고(Unlock), 이에 따라 신호 제어부(10)가 수직 동기 시작 신호(STV) 및 수직 클록 신호(CPV1, CPV2)는 로(low) 레벨로 전환하고, 게이트 구동부 오프 신호(Goff)는 하이(high) 레벨로 전환하여 레벨 쉬프터(30)로 출력한다. 레벨 쉬프터(30)는 수직 동기 시작 신호(STV) 및 수직 클록 신호(CPV1, CPV2)가 로(low) 레벨이고, 게이트 구동부 오프 신호(Goff)는 하이(high) 레벨인 경우, 게이트 펄스 시작 신호(STVP)와 게이트 클록 신호(CKV1, CKV1B, CKV2, CKV2B)를 모두 Voff로 만들어서 출력한다. 여기서, 게이트 클록 신호(CKV1, CKV1B, CKV2, CKV2B)가 네 개인 것은 이웃하는 게이트선에 인가되는 게이트 온 펄스가 겹치도록 하여 선충전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하였기 때문이다.
이후, 신호 제어부(10)와 데이터 구동부(20) 사이의 신호 교환이 정상을 되찾으면 데이터 구동부(20)가 록(ROCK) 신호를 로(low)에서 하이(high)로 전환하여 신호 제어부(10)로 출력하고(Lock), 이를 수신한 신호 제어부(10)는 수직 동기 시작 신호(STV) 및 수직 클록 신호(CPV1, CPV2)를 정상적으로 출력하기 시작한다. 레벨 쉬프터(30)는 록(ROCK) 신호가 로(low)에서 하이(high)로 전환된 이후 처음으로 나타나는 수직 동기 시작 신호(STV)의 온 펄스(on pulse)에 맞춰 정상적인 게이트 펄스 시작 신호(STVP)와 게이트 클록 신호(CKV1, CKV1B, CKV2, CKV2B)를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신호 제어부(10)로부터 레벨 쉬프터(30)로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게이트 구동부 오프 신호(Goff)를 추가함으로써, 챠지 쉐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에서도 소프트 페일에 의한 비정상 표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의 데이터 구동부와 신호 제어부의 신호 파형도이다.
도 5의 실시예는 도 1 또는 도 2 내지 도 3의 구성을 가지는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에서 DAT는 신호 제어부(10)로부터 데이터 구동부(20)로 출력되는 출력 영상 신호이고, LOCK는 데이터 구동부(20)가 신호 제어부(10)로 내보내는 록(LOCK) 신호이며, TP는 로드 신호이다. S-IC는 데이터 구동부(2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전기로 인한 소프트 페일이 발생하였을 때, 데이터 구동부(20)의 동작도 정지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정상적인 구동 중에 정전기로 인한 소프트 페일이 발생하면, 데이터 구동부(20)가 록(ROCK) 신호를 하이(high)에서 로(low)로 전환하여 신호 제어부(10)로 출력하고(Unlock), 이에 따라 신호 제어부(10)가 로드 신호(TP)를 로(low) 상태로 잡아 놓음으로써, 데이터 구동부(20)의 데이터 전압 인가 동작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데이터선에는 더 이상 데이터 전압이 흐르지 않게 된다. 또한, 앞서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게이트선에는 게이트 오프 전압이 지속적으로 인가되게 되므로 정전기로 인한 이상이 발생하기 직전의 이미지가 계속해서 표시된다. 이후, 출력 영상 신호(DAT)가 정상을 되찾아서 미리 정해져 있는 포맷과 일치하게 되면, 데이터 구동부(20)는 신호 제어부(10)로 내보내는 록(LOCK) 신호를 로(low)에서 하이(high)로 전환하여 출력 영상 신호(DAT)가 정상을 되찾았음을 신호 제어부(10)에 알린다. 이에 따라 신호 제어부(10)는 로드 신호(TP)를 데이터 구동부(20)로 정상적으로 내보낸다. 그러면, 데이터 구동부(20)는 로드 신호(TP)에 맞춰 다음 프레임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을 버퍼에 저장하였다가 데이터선에 인가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신호 제어부 20: 데이터 구동부
30: 레벨 쉬프터 40: 게이트 구동부
31: 제어부 32: OR 게이트
33: 챠지 쉐어부
30: 레벨 쉬프터 40: 게이트 구동부
31: 제어부 32: OR 게이트
33: 챠지 쉐어부
Claims (15)
- 데이터선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
게이트선에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게이트 구동부로 인가되는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경하는 레벨 쉬프터,
상기 데이터 구동부, 상기 레벨 쉬프터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
를 포함하고,
정전기로 인해 상기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신호 제어부 사이의 신호 교환에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신호 제어부가 상기 레벨 쉬프터로 인가하는 제어 신호를 오프 레벨로 유지하는 표시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제어 신호는 수직 동기 시작 신호(STV)와 수직 클록 신호(CPV1, CPV2)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2항에서,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레벨 쉬프터로 게이트 구동부 오프 신호(Goff)를 더 출력하고,
상기 정전기로 인해 상기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신호 제어부 사이의 신호 교환에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신호 제어부가 게이트 구동부 오프 신호(Goff)를 하이(high) 레벨로 하여 상기 레벨 쉬프터로 전송하며, 상기 레벨 쉬프터는 상기 게이트 구동부 오프 신호가 하이(high) 레벨인 경우, 상기 게이트 구동부로 인가하는 신호(Goff)를 오프 레벨로 유지하는 표시 장치. - 제3항에서,
상기 레벨 쉬프터는
상기 수직 동기 시작 신호(STV)와 수직 클록 신호(CPV1, CPV2)를 수신하는 제어부,
상기 수직 동기 시작 신호(STV)와 수직 클록 신호(CPV1, CPV2)와 함께 상기 게이트 구동부 오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직 동기 시작 신호(STV)와 수직 클록 신호(CPV1, CPV2)는 로(low) 레벨이고, 상기 게이트 구동부 오프 신호(Goff)는 하이(high) 레벨일 때, 게이트 차단 신호(Gm)를 하이 레벨로 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OR 게이트,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직 동기 시작 신호(STV)와 수직 클록 신호(CPV1, CPV2)의 전압을 증폭하여 게이트 펄스 시작 신호(STVP)와 한 쌍의 게이트 클록 신호(CKV, CKVB)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게이트 구동부로 출력하거나, 상기 게이트 펄스 시작 신호(STVP)와 게이트 클록 신호(CKV, CKVB)를 오프 전압(Voff)으로 만들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부로 출력하는 챠지 쉐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4항에서,
상기 챠지 쉐어부는 상기 게이트 차단 신호(Gm)가 하이 레벨일 때, 상기 게이트 펄스 시작 신호(STVP)와 게이트 클록 신호(CKV, CKVB)를 오프 전압(Voff)으로 만들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부로 출력하는 표시 장치. - 제5항에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신호 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출력 영상 신호(DAT)가 기설정되어 있는 포맷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일치하면 록(LOCK) 신호를 하이(high) 상태로 만들어서 상기 신호 제어부로 출력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록(LOCK) 신호를 로(low) 상태로 만들어서 상기 신호 제어부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신호 제어부 사이의 신호 교환에 이상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표시 장치. - 제6항에서,
상기 록(LOCK) 신호가 로(low) 상태인 경우,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로 출력하는 로드 신호(TP)를 로(low) 상태로 유지하는 표시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신호 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출력 영상 신호(DAT)가 기설정되어 있는 포맷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일치하면 록(LOCK) 신호를 하이(high) 상태로 만들어서 상기 신호 제어부로 출력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록(LOCK) 신호를 로(low) 상태로 만들어서 상기 신호 제어부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신호 제어부 사이의 신호 교환에 이상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표시 장치. - 제8항에서,
상기 록(LOCK) 신호가 로(low) 상태인 경우,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로 출력하는 로드 신호(TP)를 로(low) 상태로 유지하는 표시 장치. - 데이터선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
게이트선에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게이트 구동부로 인가되는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경하는 레벨 쉬프터,
상기 데이터 구동부, 상기 레벨 쉬프터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가 상기 신호 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출력 영상 신호(DAT)가 기설정되어 있는 포맷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록(LOCK) 신호를 로(low) 상태로 만들어서 상기 신호 제어부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록(LOCK) 신호가 로(low) 상태인 경우, 상기 레벨 쉬프터로 인가하는 제어 신호를 오프 레벨로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 제10항에서,
상기 제어 신호는 수직 동기 시작 신호(STV)와 수직 클록 신호(CPV1, CPV2)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 제11항에서,
상기 신호 제어부가 상기 레벨 쉬프터로 출력하는 게이트 구동부 오프 신호(Goff)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록(LOCK) 신호가 로(low) 상태인 경우, 상기 신호 제어부가 게이트 구동부 오프 신호(Goff)를 하이(high) 레벨로 하여 상기 레벨 쉬프터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 제12항에서,
상기 수직 동기 시작 신호(STV)와 수직 클록 신호(CPV1, CPV2)는 로(low) 레벨이고, 상기 게이트 구동부 오프 신호(Goff)는 하이(high) 레벨이면, 상기 레벨 쉬프터가 게이트 펄스 시작 신호(STVP)와 게이트 클록 신호(CKV, CKVB)를 오프 전압(Voff)으로 만들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 제13항에서,
상기 록(LOCK) 신호가 로(low) 상태인 경우, 상기 신호 제어부가 상기 데이터 구동부로 출력하는 로드 신호(TP)를 로(low)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 제10항에서,
상기 록(LOCK) 신호가 로(low) 상태인 경우, 상기 신호 제어부가 상기 데이터 구동부로 출력하는 로드 신호(TP)를 로(low)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0010A KR20140023711A (ko) | 2012-08-17 | 2012-08-17 | 소프트 페일에 의한 비정상 표시를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US13/734,324 US9013468B2 (en) | 2012-08-17 | 2013-01-04 | Display device able to prevent an abnormal display caused by a soft fail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0010A KR20140023711A (ko) | 2012-08-17 | 2012-08-17 | 소프트 페일에 의한 비정상 표시를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23711A true KR20140023711A (ko) | 2014-02-27 |
Family
ID=50099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0010A Withdrawn KR20140023711A (ko) | 2012-08-17 | 2012-08-17 | 소프트 페일에 의한 비정상 표시를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013468B2 (ko) |
KR (1) | KR20140023711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538001A (zh) * | 2014-10-24 | 2015-04-22 |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 显示器驱动装置及显示装置的驱动方法 |
US9478171B2 (en) | 2013-05-15 | 2016-10-25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display device |
KR20220151576A (ko) * | 2018-02-14 | 2022-11-1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게이트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US11715440B2 (en) | 2020-12-29 | 2023-08-01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7139B1 (ko) * | 2014-09-17 | 2020-10-1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
KR102263014B1 (ko) * | 2015-08-20 | 2021-06-09 |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 디스플레이 장치 |
US10283065B2 (en) | 2015-11-25 | 2019-05-07 | L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US10529295B2 (en) | 2017-06-17 | 2020-01-07 | Richtek Technology Corporation | Display apparatus and gate-driver on array control circuit thereof |
CN107452320B (zh) * | 2017-09-25 | 2021-01-26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电平转移电路及其控制方法、显示装置及其驱动电路 |
CN108962119B (zh) * | 2018-08-01 | 2021-11-02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电平转移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
CN109300448B (zh) * | 2018-12-18 | 2020-06-02 |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电平转换模块及信号转换方法 |
JP2020101709A (ja) * | 2018-12-21 | 2020-07-02 | シナプ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表示ドライバ及びその動作方法 |
CN111161664B (zh) * | 2020-02-13 | 2023-04-07 |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显示装置和终端 |
KR102749345B1 (ko) * | 2020-04-24 | 2025-01-0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전원 전압 생성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200683A (ja) | 1990-11-30 | 1992-07-21 | Ebara Infilco Co Ltd | 硝酸性窒素除去方法 |
KR100927013B1 (ko) | 2002-11-22 | 2009-11-1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KR100973807B1 (ko) | 2003-07-14 | 2010-08-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KR101112063B1 (ko) | 2005-01-20 | 2012-02-1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게이트드라이버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
KR101166816B1 (ko) | 2005-06-30 | 2012-07-1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쉬프트 레지스터 및 이의 구동방법 |
KR101237789B1 (ko) | 2006-03-02 | 2013-02-2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액정표시장치 구동회로 및 그 구동방법 |
KR101281667B1 (ko) | 2006-05-11 | 2013-07-0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액정표시장치의 소프트 페일 처리 회로 및 방법 |
KR101225434B1 (ko) | 2006-11-01 | 2013-01-2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
KR101325982B1 (ko) * | 2006-11-22 | 2013-11-0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
US8253721B2 (en) | 2006-11-28 | 2012-08-28 | Lg Display Co., Ltd.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source voltage generator and method of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JP2008287194A (ja) | 2007-05-21 | 2008-11-27 | Sony Corp | 表示装置 |
KR101374084B1 (ko) | 2007-11-01 | 2014-03-1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게이트 구동회로 및 이를 구비한 표시 기판 |
KR101373861B1 (ko) * | 2008-11-19 | 2014-03-1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액정표시장치 |
KR101542506B1 (ko) * | 2009-03-02 | 2015-08-0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액정 표시 장치 |
KR101610002B1 (ko) | 2009-12-31 | 2016-04-2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
TW201322230A (zh) * | 2011-11-22 | 2013-06-01 |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 顯示裝置及其控制方法 |
TWI427590B (zh) * | 2010-09-02 | 2014-02-21 |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 顯示裝置及其顯示方法 |
KR101759985B1 (ko) * | 2010-10-20 | 2017-07-2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게이트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
KR101332484B1 (ko) * | 2010-12-13 | 2013-11-2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타이밍 콘트롤러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및 그 타이밍 콘트롤러의 구동방법 |
-
2012
- 2012-08-17 KR KR1020120090010A patent/KR20140023711A/ko not_active Withdrawn
-
2013
- 2013-01-04 US US13/734,324 patent/US9013468B2/en active Active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478171B2 (en) | 2013-05-15 | 2016-10-25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display device |
CN104538001A (zh) * | 2014-10-24 | 2015-04-22 |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 显示器驱动装置及显示装置的驱动方法 |
KR20220151576A (ko) * | 2018-02-14 | 2022-11-1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게이트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US11715440B2 (en) | 2020-12-29 | 2023-08-01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013468B2 (en) | 2015-04-21 |
US20140049532A1 (en) | 2014-0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023711A (ko) | 소프트 페일에 의한 비정상 표시를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
US9478171B2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display device | |
US10056024B2 (en) | Display device | |
KR102223438B1 (ko) | 터치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표시패널 | |
KR101622207B1 (ko) | 디스플레이 구동장치, 디스플레이 구동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 |
JP6425115B2 (ja) | タイミングコントローラ及び表示装置 | |
CN103680378B (zh) | 时序控制器、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 |
KR101325982B1 (ko) |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 |
US8184085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 |
JP5762330B2 (ja) | 駆動制御装置、それを備える表示装置、および駆動制御方法 | |
KR20080068420A (ko) |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
KR20090023311A (ko) |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전자기기 | |
KR20090009586A (ko) |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
KR102156767B1 (ko) | 터치 센서를 갖는 표시장치 | |
US20110001752A1 (en) | Display panel drive circui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panel | |
JP2009109955A (ja) | マトリクス表示装置用タイミングコントローラ、及びこれを採用した液晶表示装置 | |
US20160284309A1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 |
KR20170080232A (ko) | 타이밍 컨트롤러 및 그 구동 방법과, 그를 이용한 표시 장치 | |
US20110102395A1 (en) | Method and system of controlling halt and resume of scanning an lcd | |
KR101658144B1 (ko) | 내장회로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 |
KR101765864B1 (ko) | 타이밍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 |
CN113053330B (zh) | 源极驱动电路 | |
KR102513369B1 (ko) | 표시 패널 구동 장치,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 구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
JP2007093695A (ja) | 表示駆動装置及びその駆動制御方法 | |
KR102465513B1 (ko) | 표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1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