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9143A - Cooking vessel - Google Patents
Cooking vess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19143A KR20140019143A KR1020120085676A KR20120085676A KR20140019143A KR 20140019143 A KR20140019143 A KR 20140019143A KR 1020120085676 A KR1020120085676 A KR 1020120085676A KR 20120085676 A KR20120085676 A KR 20120085676A KR 20140019143 A KR20140019143 A KR 201400191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outer container
- flange
- packing
- inner contai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8—Warming devices generating the heat by exothermic reactions, e.g. heat released by the contact of unslaked lime with wat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6—Shields or jackets for cooking utensils minimising the radiation of heat, fastened or movab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수단을 구비하여 물의 끓는 속도를 높여서 빠른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뚜껑이 잠금되지 아니하여 쉽고 간편하게 조리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휴대용 조리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는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후술할 내용기가 안착되도록 상측부가 단차지게 형성된 외용기; 상기 외용기의 수용공간에 수용됨과 더불어 안착되도록 외주연 상측부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는 후술할 패킹이 끼움 부착될 수 있도록 끝단이 절곡되어 "ㄱ"자 형으로 이루어진 내용기; 상기 외용기의 수용공간에 위치하며 물과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체; 상측 수평부와 하측 호형부로 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용기의 플랜지에 설치되어, 조리 시 발생되는 증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하측 호형부 자유단부가 외용기와 접촉하여 내용기가 외용기로부터 이격 위치하게 하는 패킹; 상기 내용기의 상부에 안착되는 뚜껑; 일측면에 환형 고리가 형성되며 외용기의 좌우측 외주연에 한 쌍씩 고정설치되는 고정편과, "ㄷ"자 형으로 이루어져 상하측 수평부 사이에 외용기와 내용기의 일부가 수용되며 하측 수평부 일부가 돌출되어 힌지돌기가 형성되고, 이 힌지돌기가 환형 고리에 수용됨으로써 고정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램프와, 역"U"자 형으로 이루어져 하단이 각각 클램프와 연결되어 한 쌍의 클램프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된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cooking container having a locking means to increase the boiling speed of water to enable fast cooking, and to easily and conveniently check the cooking state with the lid not being locked.
The portabl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the outer container is formed in the upper side stepped so that the contents container to be described later; A flange is formed on an upp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periphery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outer container and the flange is bent at an end thereof so that a packing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container having a “a” shape; A heating element position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outer container and generating heat by reacting with water; Consists of a ring shape consisting of an upper horizontal portion and a lower arc portion, is installed on the flange of the inner container to prevent the steam generated during cooking outflow to the outside and the free portion of the lower arc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uter container A packing that allows the container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ontainer; A lid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An annular ring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fixed piece is fixedly installed in pairs on the left and right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container, and has a "c" shape to accommodate a part of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parts, and the lower horizontal part. A part protrudes so that a hinge protrusion is formed, and the hinge protrusion is received in an annular ring, and the clamp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xed pie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ocking means consisting of connecting members connecting to each.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과 만나면 열을 발산하는 발열체를 이용한 휴대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oking container using a heating element that emits heat when it meets water.
가정이나 음식점이 아닌 장소에서의 음식을 먹는 경우에는 따끈하게 데워 먹는 방법으로 불과 같은 열에너지가 필수이며, 이러한 열에너지는 활성탄, 히터, 버너 같은 연소용 도구나 장비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으며, 상기 도구나 장비는 휴대 및 사용방법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연소시 발생하는 불꽃으로 인해 화재나 인체에 손상을 줄 수 있어 항상 위험성을 감안하여야만 한다.If you are eating at a place other than at home or a restaurant, it is necessary to heat it like a fire to warm it, and this heat energy has to depend on combustion tools or equipment such as activated carbon, heaters, and burners. The equipment is not only convenient to carry and use, but above all, it can damage the fire or human body due to the spark generated during combustion.
그러나, 통상적으로 등산 또는 야외에서 놀 때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 이러한 도구를 사용하고 있으나, 등산의 경우 산림 보호를 위해 불을 이용한 취사 행위가 금지되어 있다.However, although such tools are commonly used for cooking food when climbing or playing outdoors, mountain climbing is prohibited from cooking using fire to protect forests.
따라서, 불을 사용하지 않고 음식을 바로 익혀 조리할 수 있는 기능, 즉 일반 취사도구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자체 취사도구가 절실히 요구되었고,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불이 필요하지 아니한 휴대용 조리 용기(국내특허공개 2005-110514)가 제공된 바 있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ability to cook and cook food without using a fire, that is, a self-cooking tool that can replace the general cookware function. Patent Publication 2005-110514) has been provided.
이러한 휴대용 조리 용기는 뚜껑이 록킹수단에 의해 파지됨으로써 조리 중 조리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때 록킹수단을 조작하여 뚜껑 잠금상태를 해제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Such a portable cooking container has a cumbersome problem of releasing the lid lock state by operating the locking means when the lid is gripped by the locking means to visually check the cooking state during cooking.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잠금수단을 구비하여 물의 끓는 속도를 높여서 빠른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뚜껑이 잠금되지 아니하여 쉽고 간편하게 조리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휴대용 조리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 is provided with a locking means to increase the boiling speed of water to enable fast cooking, the lid is not locked easily and simply check the cooking state with the naked ey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ortable cooking container that can b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는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후술할 내용기가 안착되도록 상측부가 단차지게 형성된 외용기; 상기 외용기의 수용공간에 수용됨과 더불어 안착되도록 외주연 상측부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는 후술할 패킹이 끼움 부착될 수 있도록 끝단이 절곡되어 "ㄱ"자 형으로 이루어진 내용기; 상기 외용기의 수용공간에 위치하며 물과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체; 수평부와 호형부로 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용기의 플랜지에 설치되어, 조리 시 발생되는 증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호형부 자유단부가 외용기와 접촉하여 내용기가 외용기로부터 이격 위치하게 하는 패킹; 상기 내용기의 상부에 안착되는 뚜껑; 일측면에 환형 고리가 형성되며 외용기의 좌우측 외주연에 한 쌍씩 고정설치되는 고정편과, "ㄷ"자 형으로 이루어져 상하측 수평부 사이에 외용기와 내용기의 일부가 수용되며 하측 수평부 일부가 돌출되어 힌지돌기가 형성되고, 이 힌지돌기가 환형 고리에 수용됨으로써 고정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램프와, 역"U"자 형으로 이루어져 하단이 각각 클램프와 연결되어 한 쌍의 클램프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된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ortabl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the outer container is formed in the upper side stepped so that the contents to be described later; A flang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portion so as to be receiv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outer container and to be seated thereon, the flange having a "A" shape having a "B" shape bent at an end so that a packing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fitted; A heating element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outer container and generating heat by reacting with water; Consists of a ring shape consisting of a horizontal portion and an arc portion, is installed on the flange of the inner container to prevent the steam generated during cooking outflow to the outside and the free end of the arc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uter container to A packing for positioning away from the container; A lid seated on the top of the container; An annular ring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fixed piece is fixedly installed in pairs on the left and right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container, and has a "c" shape to accommodate a part of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parts, and the lower horizontal part. A part protrudes to form a hinge protrusion, and the hinge protrusion is accommodated in an annular ring, and the clamp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xed pie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cking means consisting of connecting members to connect each.
또한, 상기 클램프의 상측수평부에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고, 이 돌기 또는 홈과 대응되는 내용기에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or the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horizontal portion of the c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or the projection is formed in the inner container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or the groove.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수평부 중앙을 감싸도록 단열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eat insulating member is further formed to surround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또한, 상기 외용기의 외주연 상측부에 증기 배출 밸브와, 안전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team discharge valve and a safety valve are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upper side of the outer container.
또한, 상기 패킹이 내용기의 플랜지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패킹의 수평부 상면에 에어갭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ir gap is furth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packing to prevent the packing from falling off the flange of the container.
또한, 상기 외용기의 외부를 감싸도록 단열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further provid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outer container.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는 외용기와 내용기만 클램프로 파지함으로써 쉽고 간편하게 뚜껑을 열고 조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ortabl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asily and simply opening the lid and checking the cooking state by holding only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with a clamp.
또한, 두 쌍의 클램프가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용이하게 클램프를 회전하여 잠금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wo pairs of clamps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mber and can be easily rotated to lock or unlock the clamps.
또한, 연결부재에 단열부재가 더 구비되어 손잡이로 이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heat insulat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in the connection member has an effect that can be used as a handle.
또한, 클램프와 내용기에 돌기 또는 홈이 더 구비되어 더욱 견고하게 잠금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lamp and the inner contain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protrusion or groove there is an effect that is more securely locked.
또한, 패킹의 수평부에 에어갭이 더 형성됨으로써, 탄력이 더 부가되어 내용기의 플랜지에 견고히 고정되고, 조리 시 에어갭에 존재하는 공기가 압축되어 더욱 견고히 고정된다.In addition, the air gap is further formed in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packing, the elasticity is further added to be firmly fixed to the flange of the inner container, the air present in the air gap during cooking is compressed and more firmly fixed.
또한, 단열재가 더 구비됨으로 물을 끓이는 시간이 단축되어 발열체(에너지) 절약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further provided, the time for boiling water is shortened, thereby saving the heating element (energ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의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의 측면도이고,
도 5는 고정판과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고정판과 클램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리브가 더 구비된 패킹의 평단면도이고,
도 8은 클램프와 내용기에 돌기와 홈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연결부재에 단열부재가 더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증기배출밸브와 안전밸브가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외용기를 감싸도록 단열재가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portabl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FIG. 1;
3 is a plan view of a portabl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 portabl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xing plate and the clamp,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late and the clamp are coupled,
7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packing further provided with ribs,
8 is a view showing that protrusions and grooves are formed in the clamp and the inner container,
9 is a view showing that the insulating member is further formed on the connecting member,
10 is a view showing that the steam discharge valve and the safety valve is further provided,
11 is a view showing that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further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containe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ortabl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의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의 측면도이고, 도 5는 고정판과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고정판과 클램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리브가 더 구비된 패킹의 평단면도이고, 도 8은 클램프와 내용기에 돌기와 홈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연결부재에 단열부재가 더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증기배출밸브와 안전밸브가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도 11은 외용기를 감싸도록 단열재가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portabl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ure 1, Figure 3 is a plan view of a portabl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ortabl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plate and a clamp,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late and a clamp are coupled, FIG. 7 is a plan sectional view of a packing further provided with ribs, and FIG. 9 is a view showing that the projection and the groove is formed, Figure 9 is a view showing that the heat insulating member is further formed in the connection member, Figure 10 is a view showing the steam discharge valve and the safety valve is further provided, Figure 11 wraps the outer container It is a view showing that the insulation is further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외용기(10)와, 내용기(20)와, 발열체(30)와, 패킹(40)과, 뚜껑(50)과, 잠금수단(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S. 1 to 6, the portabl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an
상기 외용기(10)는 상면이 개방된 형태의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후술할 내용기(20)가 안착되도록 상측부가 단차지게 형성된다.
The
상기 내용기(20)는 상기 외용기(10)의 수용공간에 수용됨과 더불어 안착되도록 외주연 상측부에 플랜지(21)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21)는 후술할 패킹(40)이 부착 설치될 수 있도록 끝단이 수직 하향 절곡되어 "ㄱ"자 형으로 이루어진다.The
이러한 내용기(20)는 조리 가능하도록 상면이 개방된 형태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저면이 외용기(10)의 수용공간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The
상기 발열체(30)는 상기 외용기(10)의 수용공간 바닥면에 위치하며, 물과 반응하여 발열한다.
The
상기 패킹(40)은 조리 시 발생되는 증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물품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부(41)와 호형부(43)로 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이러한 패킹(40)은 증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내용기(20)가 외용기(10)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하게 한다. 즉, 호형부(43)의 자유단부가 수평부(41)와 연결되는 고정단부에 비해 하측에 위치하도록 호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자유단부가 외용기(10)의 단차지게 형성된 부분과 접촉하여 내용기(20)가 외용기(10)와 이격(S)되도록 한다. 그 이유는 후술할 잠금수단(60)의 클램프(63)가 회전하여 외용기 일부와, 내용기(20)의 플랜지(21) 일부를 파지할 때 내용기(20)가 외용기(10) 방향으로 하향이동하여 용이하게 파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내용기(20)가 외용기(10)와 이격(S) 크기는 3~4㎜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한편, 내용기(20)가 외용기(10)에 안착될 때 패킹(40)의 형태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평부(41)와 호형부(43)와 연결되도록 내측에 리브(44)가 형성되며, 이 리브(44)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간격으로 두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좋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패킹(40)이 내용기(20)의 플랜지(21)에 견고히 끼움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수평부 상면에 "u"자형 에어갭(45)이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도 2 참조) 이러한 에어갭(45)은 탄력을 더 부가하여 패킹(40)이 플랜지(21)에 견고히 끼움 결합되도록 하며, 조리 시에 에어갭(45)에 존재하는 공기가 압축되도록 하여 더욱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
상기 뚜껑(50)은 상기 내용기(20)의 상부에 안착되어 조리 시 내용기(20)의 수용부에 담기는 조리물을 불결한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The
상기 잠금수단(60)은 외용기(1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회전 조작 시 내용기(20)를 파지한다.The locking means 60 is installed in the
이러한 잠금수단(60)은 크게 고정편(61)과, 클램프(63)와, 연결부재(66)로 이루어진다.The locking means 60 is largely composed of a
상기 고정편(61)은 사각형 판체 또는 원형 강선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면에 환형 고리(62)가 형성된다. 그리고, 외용기(10)의 좌우측 외주연 상부에 한 쌍씩 고정설치된다.The
이러한 고정편(61)은 후술할 클램프(63)가 회전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클램프(63)가 외용기(10)에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따라서, 고정편(61)은 용접 또는 볼트, 스크류에 의해 외용기(10)에 고정설치된다.
The
상기 클램프(63)는 판체 또는 원형 강선을 절곡하여 "ㄷ"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하측 수평부 사이 공간에 외용기(10)와 내용기(20)의 일부가 수용되고, 하측 수평부에 힌지돌기(64)가 돌출형성되어 이 힌지돌기(64)가 고정편(61)의 환형 고리(62)에 관통수용됨으로써 고정편(6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즉,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며, 이 회전에 의해 단차지게 형성된 외용기(10) 일부와 내용기(20)의 플랜지(21)를 파지하여 잠금하거나, 외용기(10) 일부 및 내용기(20)의 플랜지(21) 파지가 해제되어 잠금이 해제된다.
That is, it rotates by a user's operation and grips and locks a part of the
이러한 클램프(63)는 외용기(10)와 내용기(20)의 일부를 파지할 때 더욱 견고히 파지될 수 있도록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수평부에 돌기(65) 또는 홈(미도시함)이 형성되고, 이 돌기(65) 또는 홈과 대응되는 내용기(20)의 플랜지(21) 일부분에 홈(20a) 또는 돌기(미도시함)가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돌기(65)와 홈(20a)에 의해 클램프(63)가 의도하지 아니한 외압에 의해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또한, 클램프(63)가 단차지게 형성된 외용기(10) 일부와 내용기(20)의 플랜지를 파지할 때 패킹(40)이 눌리면서 내용기(20)가 외용기(10) 방향으로 하향되어 용이하게 파지된다.
In addition, when the
상기 연결부재(66)는 역"U"자 형으로 이루어져 하단이 각각 클램프(63)와 연결되어 한 쌍의 클램프(63)를 각각 연결한다.The connecting
즉, 외용기(10) 좌우측에 설치되는 두 쌍의 클램프(63)에 각각 설치되어 손잡이의 역할도 하게 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66)의 수평부 중앙을 감싸도록 단열부재(6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한편, 발열체(30)의 발열 작용에 의해 물이 증기로 변환하면 외용기(10)와 내용기(20) 사이의 압력이 증가함으로써 폭발의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용기(10)의 외주연 상측부에 증기 배출 밸브(68)와, 안전밸브(69)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ater is converted to steam by the heat generating action of the
상기 증기 배출 밸브(68)와 안전밸브(69)는 일반적인 구성으로 상세한 도면은 생략한다.
The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용기(10)를 감싸도록 단열재(11)가 더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단열재(11)는 외용기(10)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발열체(30)의 발열 시 열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 물이 빨리 끓어 조리 시간이 단축되고, 발열체(에너지) 절약 효과도 제공한다.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11,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state of use of the portabl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외용기(10)의 수용공간에 물을 부어 넣는다.First, water is poured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그런 다음, 내용기(20)의 플랜지(21)에 패킹을 위치시킨다. Then, the packing is placed on the
그런 다음, 내용기(20)을 외용기(10)에 안착시킨다.Then, the
이때, 내용기(20)는 플랜지(21)에 설치된 패킹(40)에 의해 외용기(10)와 이격된다.At this time, the
즉, 패킹(40) 호형부(43)의 자유단부가 단차지게 형성된 외용기(10) 일부분과 접촉하여 내용기(20)가 3~4㎜정도 떠 있는 상태로 외용기(10)에 위치한다.That is, the free end of the packing 40 arc-shaped
그런 후, 클램프(63)를 회전하여 클램프(63)의 상하측수평부 사이에 외용기(10)와 내용기(20)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하여 외용기(10)와 내용기(20)를 견고히 파지하여 잠금시킨다.Then, the
이때, 클램프(63)의 회전에 의해 내용기(20)가 클램프(63)와 접촉하면 탄성재질의 패킹(40)이 눌러짐으로써 내용기(20)가 이격된 길이 즉, 3~4㎜정도 하향이동하여 용이하게 잠금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when the
계속해서, 내용기(20)에 조리하고자하는 음식을 넣고 뚜껑을 닫는다.Subsequently, put the food to be cooked in the
일정 시간 경과 후, 발열체(30)에 의해 물이 끓게 되며, 이로 인해 클램프(63)는 증기 압력에 의해 강력하게 잠기게 되고, 내용기(20)에 담긴 음식물은 조리된다.
After a certain time, the water is boiled by the
조리 시 사용자는 뚜껑(50)을 열어서 조리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조리 완료 시 연결부재(66)를 파지하여 휴대용 조리용기를 이동시킨 후 완성된 음식을 섭취한다.
When cooking,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cooking state by opening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 외용기, 11 : 단열재, 20 : 내용기, 20a : 홈, 21 : 플랜지, 30 : 발열체, 40 : 패킹, 41 : 수평부, 43 : 호형부, 44 : 리브, 45 : 에어갭, 50 : 뚜껑, 60 : 잠금수단, 61 : 고정편, 62 : 환형 고리, 63 : 클램프, 64 : 힌지돌기, 65 : 돌기, 66 : 연결부재, 67 : 단열부재, 68 : 증기배출밸브, 69 : 안전밸브10: outer container, 11: heat insulating material, 20: inner container, 20a: groove, 21: flange, 30: heating element, 40: packing, 41: horizontal part, 43: arc part, 44: rib, 45: air gap, 50 : Lid, 60: locking means, 61: fixing piece, 62: annular ring, 63: clamp, 64: hinge protrusion, 65: protrusion, 66: connecting member, 67: insulating member, 68: steam discharge valve, 69: safety valve
Claims (7)
상기 외용기의 수용공간에 수용됨과 더불어 안착되도록 외주연 상측부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는 후술할 패킹이 끼움 부착될 수 있도록 끝단이 절곡되어 "ㄱ"자 형으로 이루어진 내용기;
상기 외용기의 수용공간에 위치하며 물과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체;
상측 수평부와 하측 호형부로 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용기의 플랜지에 설치되어, 조리 시 발생되는 증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호형부의 자유단부가 외용기와 접촉하여 내용기가 외용기로부터 이격 위치하게 하는 패킹;
상기 내용기의 상부에 안착되는 뚜껑;
일측면에 환형 고리가 형성되며 외용기의 좌우측 외주연에 한 쌍씩 고정설치되는 고정편과, "ㄷ"자 형으로 이루어져 상하측 수평부 사이에 외용기와 내용기의 일부가 수용되며 하측 수평부 일부가 돌출되어 힌지돌기가 형성되고, 이 힌지돌기가 환형 고리에 수용됨으로써 고정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램프와, 역"U"자 형으로 이루어져 하단이 각각 클램프와 연결되어 한 쌍의 클램프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된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리용기.
An outer container provided with an accommodation space, the upper side of which is stepped so that a content group to be described later is seated;
A flange is formed on an upp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periphery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outer container and the flange is bent at an end thereof so that a packing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container having a “a” shape;
A heating element position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outer container and generating heat by reacting with water;
Consists of a ring shape consisting of an upper horizontal portion and a lower arc shaped portion, is installed on the flange of the inner container to prevent the steam generated during cooking outflow to the outside and the free end of the arc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uter container A packing that allows the container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ontainer;
A lid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An annular ring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fixed piece is fixedly installed in pairs on the left and right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container, and has a "c" shape to accommodate a part of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parts, and the lower horizontal part. A part protrudes so that a hinge protrusion is formed, and the hinge protrusion is received in an annular ring, and the clamp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xed piece. A portable cooking container comprising a; locking means consisting of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each.
상기 클램프의 상측 수평부에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고, 이 돌기 또는 홈과 대응되는 내용기의 플랜지 상면에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리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rojection or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horizontal portion of the clamp, the portable cook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or the projection is formed on the flang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 or groove.
상기 연결부재의 수평부 중앙을 감싸도록 단열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리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Portable cook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ulating member is further formed to surround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상기 외용기의 외주연 상측부에 증기 배출 밸브와, 안전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리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Portable cook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am discharge valve and the safety valve is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upper side of the outer container.
상기 패킹은 수평부와 호형부와 연결되도록 리브가 형성되며, 이 리브는 등간격으로 두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리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cking is formed ribs to be connected to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arc portion, the rib is a portable cook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wo or more at equal intervals.
상기 패킹이 내용기의 플랜지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패킹의 수평부 상면에 에어갭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리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And an air gap is furth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packing to prevent the packing from falling off the flange of the container.
상기 외용기의 외부를 감싸도록 단열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리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Portable cook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ulat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outer contain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5676A KR101374133B1 (en) | 2012-08-06 | 2012-08-06 | Cooking vess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5676A KR101374133B1 (en) | 2012-08-06 | 2012-08-06 | Cooking vesse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9143A true KR20140019143A (en) | 2014-02-14 |
KR101374133B1 KR101374133B1 (en) | 2014-03-14 |
Family
ID=50266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5676A Expired - Fee Related KR101374133B1 (en) | 2012-08-06 | 2012-08-06 | Cooking vesse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74133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204517A1 (en) * | 2015-06-15 | 2016-12-22 | 주식회사 쓰리스타 | Cooking container having steam removing function |
KR101690687B1 (en) * | 2016-02-01 | 2016-12-29 | 박현옥 | Portable Cooker |
CN109171432A (en) * | 2018-09-29 | 2019-01-11 | 深圳市饭之宝科技有限公司 | Film pot clamp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8731B1 (en) * | 2007-09-03 | 2008-01-29 | (주)유티앤케미칼 | Instant cooking vessel with adjustable pressure |
KR100917694B1 (en) * | 2007-11-08 | 2009-09-21 | 홍경애 | Portable cooking vessel heating with a heating agent |
KR100851378B1 (en) * | 2007-12-20 | 2008-08-08 | (주)유티앤케미칼 | Instant cooking vessel with adjustable pressure |
KR20110008099U (en) * | 2010-02-10 | 2011-08-18 | 이경희 | Clamping Material of Portable Cooker |
-
2012
- 2012-08-06 KR KR1020120085676A patent/KR10137413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204517A1 (en) * | 2015-06-15 | 2016-12-22 | 주식회사 쓰리스타 | Cooking container having steam removing function |
CN106998958A (en) * | 2015-06-15 | 2017-08-01 | 三颗星株式会社 | With the Container for cooking for removing steam performance |
KR101690687B1 (en) * | 2016-02-01 | 2016-12-29 | 박현옥 | Portable Cooker |
CN109171432A (en) * | 2018-09-29 | 2019-01-11 | 深圳市饭之宝科技有限公司 | Film pot clamping device |
CN109171432B (en) * | 2018-09-29 | 2024-04-23 | 深圳市饭之宝科技有限公司 | Film pot clamp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74133B1 (en) | 2014-03-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83498B2 (en) | Slow cooker with fastening mechanism | |
EP0392940A2 (en) | Heat insulating cooking vessel | |
KR200467604Y1 (en) | instant cooking vessel using heating element | |
KR101572533B1 (en) | Portable vacuum bottle having heating apparatus | |
KR101374133B1 (en) | Cooking vessel | |
EP1738675A1 (en) | A beverage-boiling kettle, an electrical heating kettle and a beverage-boiling cordless electrical heating kettle | |
CN205072654U (en) | Spontaneous heating culinary art pot | |
KR101706103B1 (en) | A folding handle for cookware | |
KR20170039330A (en) | cover for cookware | |
KR200460722Y1 (en) | Kitchen tongs | |
KR20130002000U (en) | self-heating outdoor cooker | |
KR101526944B1 (en) | cover for cookware | |
TWI544886B (en) | Insulated food jar with campfire or stove heatable inner container | |
KR20160125206A (en) | cover for cookware | |
JP5962966B2 (en) | Electric cooker | |
KR101362343B1 (en) | Electric cooking device for stone pot | |
KR200475452Y1 (en) | cook pot | |
CN216256815U (en) | Cooking container | |
KR200482007Y1 (en) | Prepared food heater | |
CN201123746Y (en) | Device for lifting bowl | |
KR20070061492A (en) | Multi-purpose cooker using ocher far infrared | |
KR20110011636U (en) | Portable heating cookers | |
TWM480327U (en) | Electric pot with thermal insulation function | |
KR200491406Y1 (en) | Food tray | |
JP3191693U (en) | Exothermic container (HEATING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3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