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11104A -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1104A
KR20140011104A KR1020120077801A KR20120077801A KR20140011104A KR 20140011104 A KR20140011104 A KR 20140011104A KR 1020120077801 A KR1020120077801 A KR 1020120077801A KR 20120077801 A KR20120077801 A KR 20120077801A KR 20140011104 A KR20140011104 A KR 20140011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reflective layer
emitting diode
light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인
김래영
오선희
하상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7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1104A/ko
Priority to US13/861,317 priority patent/US9063372B2/en
Publication of KR20140011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10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21V13/02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 F21V13/04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the elements being reflectors and ref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08Reflectors for light sources providing for indirect ligh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반사층, 상기 반사층과 대향하는 면에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위치하는 광투과 플레이트, 상기 광투과 플레이트 위에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위치하는 광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생한 빛은 상기 반사층에서 반사된 이후에 상기 광투과 플레이트를 통과하여 상기 광학 부재에 도달한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BACKLIGHT UNIT AND LIQUI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도록 광의 투과량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대표적인 평판표시장치이다. 그런데, 액정 표시 장치는 스스로 빛을 낼 수 있는 자발광 소자가 아니기 때문에 인해 화상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는 액정화면의 배면(背面)에서 빛을 제공하는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 때,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모듈의 후면(後面)으로부터 전면(前面)의 액정 패널로 빛을 조사시키기 위하여 광원 자체, 즉 램프를 포함하여 광원의 구동을 위한 전원 회로 및 균일한 평면 광을 이루도록 해주는 일체의 부속물 복합체인 백라이트 장치(Back-light Unit)를 포함한다.
이러한 백라이트 장치는 빛의 조사 방식에 따라 직하형(Direct Type) 및 에지형(Edge Type)의 두 가지 형태로 분류되고 있는데, 최근 들어서는 LED(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면 광원을 채용하는 직하형 및 에지형 평판 백라이트도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특히, 직하형 백라이트에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을 사용하여 전체 광원을 형성하는 경우에 인접하는 발광 다이오드 사이의 거리에 의해 스팟성 외관 불량이 나타난다. 이러한 스팟성 외관 불량을 해소하기 위해 발광 다이오드의 개수를 늘릴 수 있으나,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발광 다이오드 사이의 간격에 의한 스팟성 외관 불량을 해결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반사층, 상기 반사층과 대향하는 면에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위치하는 광투과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광투과 플레이트 위에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위치하는 광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생한 빛은 상기 반사층에서 반사된 이후에 상기 광투과 플레이트를 통과하여 상기 광학 부재에 도달한다.
상기 광투과 플레이트는 유리, ITO 및 IZO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은 기판과 상기 기판 가장자리 부분에서 상부로 돌출된 지지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측벽을 감싸는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지지 측벽 위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돌출된 끝부분에 상기 광학 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의 돌출된 부분만큼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과 상기 지지 측벽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투과 플레이트는 개구부 없이 통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수평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제1 발광 다이오드와 수평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배치되어 있는 제2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는 랜덤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 위에 형성된 렌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반사층, 상기 반사층과 대향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상기 반사층 위에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지지하는 복수의 서포터 그리고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위에 위치하는 광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생한 빛은 상기 반사층에서 반사된 이후에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위치하는 면을 통과하여 상기 광학 부재에 도달한다.
상기 복수의 서포터는 유리, ITO 및 IZO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을 감싸는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반사층 위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돌출된 끝부분에 상기 광학 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수평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제1 발광 다이오드와 수평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배치되어 있는 제2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는 랜덤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 위에 형성된 렌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패널 그리고 상기 액정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반사층, 상기 반사층과 대향하는 면에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위치하는 광투과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광투과 플레이트 위에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위치하는 광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면은 상기 반사층을 향해 있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생한 빛은 상기 반사층에서 반사된 이후에 상기 광학 부재에 도달한다. 하는 액정 표시 장치.
상기 광투과 플레이트는 유리, ITO 및 IZO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은 기판과 상기 기판 가장자리 부분에서 상부로 돌출된 지지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측벽을 감싸는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지지 측벽 위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돌출된 끝부분에 상기 광학 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백라이트 모듈 두께 및 발광 다이오드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백라이트 유닛의 스팟성 외관 불량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비교예에 따른 직하영 백라이트 유닛에서 시뮬레이션 결과 그래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의 위치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 그래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또한,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바텀 커버(100), 지지 프레임(130), 반사층(110), 발광 다이오드(LED)가 형성된 광투과 플레이트(140), 광학 부재(70), 액정 패널(300) 및 탑 커버(2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 프레임(130), 반사층(110), 발광 다이오드(LED)가 형성된 광투과 플레이트(140) 및 광학 부재(70)는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 요소가 될 수 있고,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은 자체적으로 발광하지 못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빛을 조사하는 장치이다.
탑 커버(200)는 광학 부재(70)의 가장자리를 둘러쌀 수 있으며, 바텀 커버(100)에 조립하여 체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서 반사층(110) 위에 광투과 플레이트(140)가 위치한다. 광투과 플레이트(140) 위에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가 위치한다. 이 때, 발광 다이오드(LED)에서 출광한 빛이 반사층(110)을 향하도록 발광 다이오드(LED)는 반사층(110)가 대향하는 광투과 플레이트(140) 면 위에 위치한다.
발광 다이오드(LED)에서 발생한 빛(light)이 반사층(110)에서 반사되어 광투과 플레이트(140)를 통과하기 위해 광투과 플레이트(140)는 유리, 인듐-주석 산화물(ITO), 및 인듐-아연 산화물(IZO)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한다.
추가적인 광경로의 간격(h)을 갖도록 하기 위해 광투과 플레이트(140)가 백라이트 모듈 중간에 배치되어야 한다. 이 때, 광투과 플레이트(140)는 가장자리 부분이 반사층(11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층(110)은 기판(110a)과 기판(110a) 가장자리 부분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지지 격벽(110b)을 포함하고, 광투과 플레이트(140)의 가장자리 부분이 지지 격벽(110b)에 체결되거나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지지 격벽(110b)에 부착될 수 있다.
광투과 플레이트(140)는 개구부 없이 하나의 통판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나의 통판으로 형성된 광투과 플레이트(140)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 형성된 광투과 플레이트(140) 각각은 지지 격벽(110b)에 체결되거나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지지 격벽(110b)에 부착될 수 있다.
반사층(110)의 기판(110a)과 지지 격벽(110b)은 사출 성형법 등을 사용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LED)는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해 배선(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배선은 광투과 플레이트(140)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형성되는 배선은 광경로를 위해서 투명 재질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리 등으로 형성된 광투과 플레이트(140)에 인듐-주석 산화물(ITO) 또는 인듐-아연 산화물(IZO)과 같이 투명 재질로 배선이 형성될 수 있다.
광투과 플레이트(140) 위에는 프리즘 시트(50) 및 확산 시트(60)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70)가 위치한다. 확산 시트(60)는 반사층(110)의 상면에 배치되어 반사층(110)에서 반사된 빛을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확산 시트(60)의 상면에는 프리즘 시트(50)가 배치되는데, 이러한 프리즘 시트(50)는 확산 시트(60)로부터의 빛을 영상이 구현되는 액정 패널(미도시)의 표시 영역으로 유도한다.
반사층(110)의 기판(110a) 및 지지 격벽(110b)을 감싸도록 지지 프레임(130)이 형성된다. 지지 프레임(130)은 지지 격벽(110b) 위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고, 돌출된 부분 끝에 광학 부재(70)가 위치한다. 지지 프레임(130)의 돌출된 부분에 위치하는 광학 부재(70)와 광투과 플레이트(140) 사이는 공기층(AL)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사층(110)과 광학 부재(70) 사이의 거리(D)를 백라이트 모듈 두께라고 할 때, 백라이트 모듈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광투과 플레이트(140)를 이용하여 발광 다이오드(LED)를 고정한다. 그리고, 광학 부재(70) 위에 위치하는 액정 패널이 아닌 반사층(110)을 향해 역방향으로 발광 다이오드(LED)에서 발생한 빛이 출광하도록 발광 다이오드(LED)를 형성함으로써 광경로의 수직 방향 두께가 제1 두께(D)에서 제2 두께(h)를 더한 값이 되도록 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 다이오드(LED)의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광경로를 늘림으로써 발광 다이오드(LED) 사이의 간격에 의한 스팟성 외관 불량을 감소할 수 있다. 제2 두께(h)는 0보다 크고 제1 두께(D)보다 작다. 더 나아가, 가격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의 개수를 적게 설계하는 경우에는 제2 두께(h)를 크게 함으로써 핫 스팟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의 실시예는 대체로 도 2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고 이하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도 2의 실시예와 달리 광투과 플레이트가 형성되지 않는다. 대신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와 반사층(110) 사이에 서포터(120)가 형성된다. 서포터(120)는 유리, 인듐-주석 산화물(ITO), 및 인듐-아연 산화물(IZO)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포터(120)를 반사층(110)의 기판(110a)에 체결하거나 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기판(110a)에 부착하여 발광 다이오드(LED)를 고정할 수 있다. 서포터(120)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역방향으로 배치하면서 반사층(110)에 발광 다이오드(LED)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서 반사층(110)이 지지 격벽(110b)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서포트(120)를 이용하여 발광 다이오드(LED)를 반사층(110)의 기판(110a)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지지 격벽(110b)을 생략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차이점 외에 도 2에서 설명한 내용은 도 3의 실시예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을 형성한 경우에 빛의 진행 모습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비교예에 따른 직하영 백라이트 유닛에서 시뮬레이션 결과 그래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의 위치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 그래프들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발광 다이오드의 바로 윗부분에 대응하는 제1 영역(A)과, 이웃하는 발광 다이오드 사이의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영역(B)에서의 광량은 많은 차이가 있다. 제1 영역(A) 및 제2 영역(B)은 도 2에서 설명한 공기층(AL)과 광학 부재(70)의 경계 부분을 나타낼 수 있고, 제1 영역(A)과 제2 영역(B)에서의 광량 차이는 외부에서 볼 때 핫스팟과 같은 화면 결함으로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도 2의 실시예에서 제1 두께(D)를 20mm로 설계하고, 제2 두께(h)를 각각 7mm와 10mm로 설계하였을 때, 제1 영역(A)과 제2 영역(B)의 광량 차이가 비교예 대비하여 현저히 그 차이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는 수평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제1 발광 다이오드(LED1)와 수평면에 대하여 제1 각도(θ)로 기울어져 배치되어 있는 제2 발광 다이오드(LE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 다이오드(LED1)와 제2 발광 다이오드(LED2)는 랜덤하게 배열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실시예를 참고할 때, 제1 방향(D1)을 따라 바라보았을 때 나타나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나지 않았지만, 복수의 광투과 플레이트(140)가 형성되어 있고, 광투과 플레이트(140)의 가장자리 부분은 도 1에서처럼 반사층(110)의 지지 격벽(110b)에 체결되거나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지지 격벽(110b)에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평면과 각도를 가지면서 기울어져 배치된 제2 발광 다이오드(LED2)을 형성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광경로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의 실시예는 대체로 도 7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고 이하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고하면, 도 7의 실시예와 달리 광투과 플레이트가 형성되지 않는다. 대신 제1 발광 다이오드(LED1) 및 제2 발광 다이오드(LED2)와 반사층(110) 사이에 서포터(120)가 형성된다. 서포터(120)는 유리, 인듐-주석 산화물(ITO), 및 인듐-아연 산화물(IZO)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포터(120)를 반사층(110)의 기판(110a)에 체결하거나 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기판(110a)에 부착하여 제1 발광 다이오드(LED1) 및 제2 발광 다이오드(LED2)를 고정할 수 있다. 서포터(120)는 제1 발광 다이오드(LED1) 및 제2 발광 다이오드(LED2)를 역방향으로 배치하면서 반사층(110)에 제1 및 제2 발광 다이오드(LED1, LED2)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8에서 반사층(110)이 지지 격벽(110b)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서포트(120)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발광 다이오드(LED1, LED2)를 반사층(110)의 기판(110a)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지지 격벽(110b)을 생략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차이점 외에 도 7에서 설명한 내용은 도 8의 실시예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도 9의 실시예는 도 2의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고, 다만 발광 다이오드(LED)가 출광하는 부분에 렌즈부(LP)가 형성된 점에 차이가 있다.
렌즈부(LP)는 발광 다이오드(LED)에서 출광된 빛의 지향각을 증가시켜 빛의 균일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렌즈부(LP)의 구성은 도 3, 7, 8의 실시예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50 확산 시트 60 프리즘 시트
70 광학 부재 110 반사층
120 서포터 130 지지 프레임
140 광투과 플레이트 AL 공기층
LED 발광 다이오드

Claims (20)

  1. 반사층,
    상기 반사층과 대향하는 면에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위치하는 광투과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광투과 플레이트 위에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위치하는 광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면은 상기 반사층을 향해 있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생한 빛은 상기 반사층에서 반사된 이후에 상기 광학 부재에 도달하는 백라이트 유닛.
  2. 제1항에서,
    상기 광투과 플레이트는 유리, ITO 및 IZO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백라이트 유닛.
  3. 제2항에서,
    상기 반사층은 기판과 상기 기판 가장자리 부분에서 상부로 돌출된 지지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측벽에 고정되어 있는 백라이트 유닛.
  4. 제3항에서,
    상기 지지 측벽을 감싸는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지지 측벽 위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돌출된 끝부분에 상기 광학 부재가 위치하는 백라이트 유닛.
  5. 제4항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돌출된 부분만큼 공기층이 형성되는 백라이트 유닛.
  6. 제5항에서,
    상기 기판과 상기 지지 측벽은 일체로 형성되는 백라이트 유닛.
  7. 제1항에서,
    상기 광투과 플레이트는 개구부 없이 통판으로 형성된 백라이트 유닛.
  8.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수평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제1 발광 다이오드와 수평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배치되어 있는 제2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9. 제8항에서,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는 랜덤하게 배열되어 있는 백라이트 유닛.
  10. 제1항에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 위에 형성된 렌즈부를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11. 반사층,
    상기 반사층과 대향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상기 반사층 위에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지지하는 복수의 서포터 그리고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위에 위치하는 광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면은 상기 반사층을 향해 있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생한 빛은 상기 반사층에서 반사된 이후에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위치하는 면을 통과하여 상기 광학 부재에 도달하는 백라이트 유닛.
  12. 제11항에서,
    상기 복수의 서포터는 유리, ITO 및 IZO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백라이트 유닛.
  13. 제12항에서,
    상기 반사층을 감싸는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반사층 위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돌출된 끝부분에 상기 광학 부재가 위치하는 백라이트 유닛.
  14. 제11항에서,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수평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제1 발광 다이오드와 수평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배치되어 있는 제2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15. 제14항에서,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는 랜덤하게 배열되어 있는 백라이트 유닛.
  16. 제11항에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 위에 형성된 렌즈부를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17. 액정 패널 그리고
    상기 액정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반사층,
    상기 반사층과 대향하는 면에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위치하는 광투과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광투과 플레이트 위에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위치하는 광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면은 상기 반사층을 향해 있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생한 빛은 상기 반사층에서 반사된 이후에 상기 광학 부재에 도달하는 액정 표시 장치.
  18. 제17항에서,
    상기 광투과 플레이트는 유리, ITO 및 IZO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액정 표시 장치.
  19. 제18항에서,
    상기 반사층은 기판과 상기 기판 가장자리 부분에서 상부로 돌출된 지지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측벽에 고정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20. 제19항에서,
    상기 지지 측벽을 감싸는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지지 측벽 위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돌출된 끝부분에 상기 광학 부재가 위치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120077801A 2012-07-17 2012-07-17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eased KR2014001110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801A KR20140011104A (ko) 2012-07-17 2012-07-17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13/861,317 US9063372B2 (en) 2012-07-17 2013-04-11 Back-light unit and liqui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801A KR20140011104A (ko) 2012-07-17 2012-07-17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104A true KR20140011104A (ko) 2014-01-28

Family

ID=49946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801A Ceased KR20140011104A (ko) 2012-07-17 2012-07-17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63372B2 (ko)
KR (1) KR201400111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2617B2 (en) 2019-12-27 2022-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75268B (zh) * 2012-12-21 2017-03-2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背光模組
CN105156941A (zh) 2015-07-06 2015-12-16 高创(苏州)电子有限公司 背光模组和显示装置
KR20170085174A (ko) * 2016-01-13 2017-07-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90033658A1 (en) * 2017-07-27 2019-01-31 Advanced Optoelectronic Technology, Inc.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JP7370319B2 (ja) * 2017-08-24 2023-10-27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ダイナミックレンジのマイクロledバックライティング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1913320A (zh) * 2019-05-09 2020-11-10 北京易美新创科技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以及显示装置
CN112578589A (zh) * 2019-09-27 2021-03-30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和背光模组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1344A (ja) 2004-07-06 2006-01-26 Fuji Photo Film Co Ltd 光定着器
KR20060037637A (ko) 2004-10-28 2006-05-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소자 조명장치
JP2006156039A (ja) 2004-11-26 2006-06-15 Nec Lcd Technologies Ltd 面状光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6245955A (ja) 2005-03-02 2006-09-14 Ricoh Co Ltd 画像読取り装置
US7311431B2 (en) * 2005-04-01 2007-12-25 Avago Technologies Ecbu Ip Pte Ltd Light-emitt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adjacent, overlapping light-guide plates
TW200641465A (en) * 2005-05-20 2006-12-01 Sanyo Epson Imaging Devices Co Display device
JP2008053660A (ja) 2006-08-28 2008-03-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発光モジュール
JP4444258B2 (ja) 2006-09-19 2010-03-31 財団法人工業技術研究院 Led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
US8251529B2 (en) * 2006-10-10 2012-08-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hin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luminary device
KR20080092146A (ko) 2007-04-11 2008-10-15 안기대 Led모듈을 이용한 간판
US8520164B2 (en) 2007-07-27 2013-08-27 Sharp Kabushiki Kaisha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light guide plate
WO2009084325A1 (ja) * 2007-12-28 2009-07-09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Led素子およびled素子の製造方法
KR101460273B1 (ko) 2008-05-19 2014-11-13 주식회사 아모센스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조명 장치
KR20080080975A (ko) 2008-08-18 2008-09-05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 리써치 인스티튜트 Led 백라이트 모듈
JP2010123540A (ja) 2008-11-21 2010-06-0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床面発光装置
KR101519669B1 (ko) 2009-12-24 2015-05-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US8058782B2 (en) 2010-03-10 2011-11-15 Chicony Power Technology Co., Ltd. Bulb-type LED lam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2617B2 (en) 2019-12-27 2022-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63372B2 (en) 2015-06-23
US20140022490A1 (en) 201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380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9746602B2 (en) Backlight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40011104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869897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20287355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9053650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US8985799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KR102078808B1 (ko)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12005063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18091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1093119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テレビ受信装置
KR102089970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US20120200798A1 (en) Liquid crystal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11092953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20140004881A (ko) 백라이트 유닛
WO2012063917A1 (ja) 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US10860277B2 (en) Coupled display device
JP6203518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これを含む液晶表示装置
KR102253797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120087409A (ko) 백라이트 유닛
KR20130001522A (ko) 커버버툼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50075689A (ko) 액정표시장치
WO2012035898A1 (ja) 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KR101096765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113614B1 (ko) 백 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5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7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3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9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