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1068A - System for mobile device management in place of business - Google Patents
System for mobile device management in place of busines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11068A KR20140011068A KR1020120077648A KR20120077648A KR20140011068A KR 20140011068 A KR20140011068 A KR 20140011068A KR 1020120077648 A KR1020120077648 A KR 1020120077648A KR 20120077648 A KR20120077648 A KR 20120077648A KR 20140011068 A KR20140011068 A KR 201400110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 client device
- mobile device
- mobile client
- device manage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04W12/37—Managing security policies for mobile devices or for controlling mobile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업장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업장 내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보안관리, 자산관리, 분실관리 등의 기능을 구현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버 솔루션과 상기 서버의 통제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에 상주하며 이를 제어하는 클라이언트 솔루션으로 구성함으로써 서버에서 사업장에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보안관리, 자산관리, 분실관리 등의 기능을 관리할 수 있어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의 효율적인 구현이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device management system in the workpla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device management system for implementing functions such as application management, security management, asset management, loss management, etc. of the mobile terminal in the workpl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solution and the client solution that resides in and controls the mobile device under the control of the server to control the functions of application management, security management, asset management, loss management, etc. of the mobile device in the workplace on the server It can be managed to enabl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mobile device management system.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업장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업장 내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보안관리, 자산관리, 분실관리 등의 기능을 구현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device management system in the workpla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device management system for implementing functions such as application management, security management, asset management, loss management, etc. of the mobile terminal in the workplace.
일반적으로, 모바일 장치는 각 개인이 언제 어디에서나 소지하고 다닐 수 있는 소형 및 경량화된 디지털 기기를 말한다.In general, a mobile device refers to a compact and lightweight digital device that each individual can carry with him anywhere, anytime.
모바일 기기 즉, 하드웨어는 이미 세계적으로도 한국에서도 수많은 기업이 도전하고 있는 분야이며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미 휴대폰은 소형, 경량화의 수준이 휴대기기로서의 소비자의 요구를 넘어서고 있으며 보다 진보된 기능의 수행이 가능한 스마트폰, PDA, 휴대용 PC등 역시 포켓 사이즈의 범주에 접근하고 있다.Mobile devices, that is, hardware, are already being challenged by numerous companies in Korea and are developing differently every day. Already, mobile phones are becoming smaller and lighter than consumer demands as mobile devices, and smartphones, PDAs, and portable PCs, which can perform more advanced functions, are also approaching the pocket size category.
또한, 무선 통신망 역시 음성 통화를 위한 서킷통신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패킷으로 진화하여 통신의 속도는 현재 기존 유선 모뎀의 속도에 근접해 있으며 세계적인 관심을 받고 있는 IMT-2000은 무선을 통한 2Mbps라는 유선 네트웍 이상의 통신속도를 보장하는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In additio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has also evolved from circuit communication for voice call to packet for data transmission, and the speed of communication is close to the speed of existing wired modem, and IMT-2000, which is attracting worldwide attention, is more than wired network of 2Mbps through wireless. It is developing into a system that guarantees communication speed.
특히, 한국의 경우 전체지역이 CDMA라는 단일망으로 구축되어 있는 세계에서 전례가 없는 진보적인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세계적인 하드웨어 사업자들은 앞을 다투어 한국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즉, 한국시장은 세계 모바일 트랜드를 주도하는 가장 좋은 기술적 시험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Korea, an unprecedented advanced system has been established in a world where the entire area is constructed by a single network called CDMA, so global hardware providers are entering the Korean market. In other words, the Korean market is playing the role of the best technical testing ground to lead the global mobile trend.
한편, 각 기업에서는 이러한 모바일 기술의 발전에 따라 업무 시스템에 모바일 디바이스를 적용하여 업무의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Meanwhile, each company is making efforts to maximize work efficiency by applying mobile devices to work system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mobile technology.
그러나, 각 모바일 디바이스들 마다 운영체제 및/또는 통신 환경이 달라 각 기업의 업무 구조를 모바일로 확장시키기에는 부족하였다. However, operating systems and / or communication environments for each mobile device were not sufficient to expand the business structure of each company to mobile.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게 되면 기업의 보안을 엄격하게 통제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use of mobile devices has a problem that the security of the enterprise can not be strictly controlled.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각 모바일 디바이스들 마다 운영체제 및/또는 통신 환경이 다르더라도 각 기업의 사업장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보안관리, 자산관리, 분실관리 등의 기능이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even if the operating system and / or communication environment for each mobile device is different, the application management, security management, asset management, loss management, etc.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obile device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the function of.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더라도 사업장의 보안을 엄격하게 통제 유지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mobile device management system that can strictly control and maintain the security of the workplace even when using a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위에서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사업장에서의 관리자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 솔루션과 서버의 통제에 의해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상주하며 이를 제어하는 클라이언트 솔루션으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device management system consisting of a server solution that provides a manager function in the workplace and a client solution that resides in and controls the mobile client device under the control of the server, in order to achieve the problems raised above.
이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은, MDM(Mobile Device Management) 클라이언트 모듈이 설치되는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MDM 클라이언트 모듈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받아 응답하는 모바일 미들웨이 모듈와, 상기 모바일 미들웨이 모듈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받아 응답하며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MDM 클라이언트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을 관리 및 제어하는 MDM 서비스 모듈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서버;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서버를 연결하는 통신망; 및 상기 통신망과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통신망 사이를 중계하는 중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mobile device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mobile client device on which a mobile device management (MDM) client module is installed; The mobile middleway module receives and responds to a service request from the MDM client module of the mobile client device, and receives and responds to a service request from the mobile middleway module. A mobile device management server having an MDM service module for managing and controlling;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ng the mobile client device and the mobile device management server; And a repeater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relay between the mobile client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여기서, 상기 MDM 서비스 모듈은,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화이트 리스트(white list) 및 차단되는 블랙 리스트(black list)로 구분하여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MDM service module may control the mobile client device by dividing the mobile client device into a white list and a blocked black list.
여기서, 상기 MDM 서비스 모듈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서버에 저장된 사업장의 업무 스케쥴에 따라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전원 제어 또는 애플리케이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Here, the MDM service module may perform power control or application control of the mobile client device according to a work schedule of a business place stored in the mobile device management server.
여기서, 상기 MDM 서비스 모듈은,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분실되면 원격 제어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하여 알람, 락(Lock) 또는 저장된 데이터 삭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Herein, when the mobile client device is lost, the MDM service module may perform alarm, lock, or delete stored data on the mobile client device by using a remote control.
여기서, 상기 MDM 서비스 모듈은,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 제어 및 부가 디바이스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DM service module may perform communication control and additional device control for the mobile client device.
여기서, 상기 MDM 서비스 모듈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상에서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SOAP over Http) 기반 프로토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Here, the MDM service module may provide a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SOAP) based protocol service over a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본 발명에 따르면, 서버 솔루션과 상기 서버의 통제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에 상주하며 이를 제어하는 클라이언트 솔루션으로 구성함으로써 서버에서 사업장에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보안관리, 자산관리, 분실관리 등의 기능을 관리할 수 있어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의 효율적인 구현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solution and the client solution that resides in and controls the mobile device under the control of the server to control the functions of application management, security management, asset management, loss management, etc. of the mobile device in the workplace on the server It can be managed to enabl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mobile device management system.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더라도 서버의 인증없이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을 불가능하게 함으로서 사업장의 보안을 엄격하게 통제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In addition,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even if the mobile device is used, the security of the workplace can be strictly controlled by disabling the use of the mobile device without authentication of the serv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서버(100)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50)의 애플리케이션 관리를 보여주는 화면예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50)의 사용 제한을 설정하는 화면예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서버(150)에 디스플레이되는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50)의 상태를 보여주는 화면예이다. 1 is a network diagram of a mobile devi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mobile
3 is a screen example showing application management of a
4 is an example of a screen for setting a usage restriction of the
FIG. 5 is a screen example showing a state of th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업장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obile device management system in a workp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는,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50);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50)와 요청 및/또는 응답을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서버(100);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50)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서버(100)를 연결하는 통신망(130); 및 상기 통신망(130)과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50)와 통신망(130) 사이를 중계하는 중계기(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1 is a network diagram of a mobile devi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device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50)는 안드로이드, 애플 계열의 스마트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이 될 수 있다. The
중계기(140)는 WiFi, 2G/3G/4G LTE 등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중계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망(130)과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50)와 통신망(130) 사이의 신호를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통신망(130)은 공중교환 전화망(PSTN), 공중교환 데이터망(PSDN), 종합정보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s),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BISDN: Broadband ISDN),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대도시 지역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무선 통신망인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WiFi(Wireless Fidelity),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망일 수 있다. 또는, 이들 유선 통신망 및 무선 통신망의 조합일 수 있다. The
따라서,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50)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서버(100)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refore, the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서버(100)는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50)에 대하여 애플리케이션, 보안, 자산, 분실 등의 관리 및/또는 제어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mobile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서버(100)에는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50)와 관련된 디바이스 정보, 사용자 정보, 통계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03) 및 이러한 데이터베이스(103)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서버(101) 등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데이터베이스 관리 서버(101)를 별도로 두지 않고,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서버에 데이터베이스(103)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mobile
방화벽(120)은 사업장 내부의 네트워크를 보호하기 위해 외부에서의 불법적인 트래픽 유입을 막고, 허가되고 인증된 트래픽만을 허용하려는 적극적인 방어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관리자(110)는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서버(100)의 관리자로서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서버(100)를 관리한다. 물론, 관리자(110)가 되기 위해서는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서버(100)로부터 권한을 할당받아야 한다. Th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서버(100)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서버(100)는, MDM(Mobile Device Management) 클라이언트 모듈(251)이 설치되는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50)의 MDM 클라이언트 모듈(251)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받아 응답하는 모바일 미들웨이 모듈(200)과, 상기 모바일 미들웨이 모듈로(200)부터 서비스 요청을 받아 응답하며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50)의 MDM 클라이언트 모듈(251)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50)의 애플리케이션을 관리 및 제어하는 MDM 서비스 모듈(210)로 구성된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mobile
모바일 미들웨이 모듈(200)은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50) 와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서버(100) 간의 관리 데이터, 메시지 송수신, MDM(Mobile Device Management) 기능별 서비스 로직(Service Logic) 처리 등을 수행한다. The
MDM 서비스 모듈(210)은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50)를 기본적으로 관리하는 디바이스 매니져(220a),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50)의 구성을 관리하는 구성 매니져(220b),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50)에 대한 사용 정보, 품질 상태, 위치 정보 통계, 통화 사용량 등을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통계 매니져(220d),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5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매니져(220d),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유저 매니져(220e),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는 웹 유저 인터페이스(220f) 등으로 구성된다. The
부연하면, 다비이스 매니져(220a)는 디바이스 등록 및 수정, 삭제, 디바이스 상태 관리, GeoFence 관리, 이탈관리, 분실관리, 그룹별 관리 정책 적용을 위한 Main/Sub 그룹 설정, 이탈, 분실 디바이스에 대한 실시간 및 이동 이력 추적, 배터리 충전 상태 관리 및 충전기 연결 관리 등을 수행한다. In other words, the
구성 매니져(220b)는, 그룹별 GeoFence 영역 설정, 그룹별 WiFi AP SSID(SubSystem IDentification) MAC(Media Access Control) 등록, 작업 시간별 전원 절약 모드 설정, 사용자 App.(어플, 애플리케이션) 실행제어(차단), 신규 버전 App.(어플, 애플리케이션) 배포, 디바이스 비밀번호, 배터리 모니터링 기준 값, App.(어플, 애플리케이션) 종료 설정 등을 수행한다. The
통계 매니져(220d)는 연간, 월간, 일일 통계, Device(MAC,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별 통계, 그룹별 통계, App 종류, 버전(Version)별 통계 등을 수행한다. The
인증 매니져(220d)는, 디바이스 접속 인증, MAC, IMEI 방식의 클라이언트 인증기능, 비즈니스 App. 실행제어, 사용자 관리 기능 등을 수행한다. . The
또한, 상기 MDM 서비스 모듈(은,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50)를 보호되는 화이트 리스트(white list) 및 차단하는 블랙 리스트(black list)로 구분하여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을 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DM service module may divide the
따라서, MDM 서비스 모듈(210)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서버(100)에 저장된 사업장의 업무 스케쥴에 따라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50)의 전원 제어 또는 애플리케이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또한, 상기 MDM 서비스 모듈(210)은,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50)가 분실되면 원격 제어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하여 알람, 락(Lock) 또는 저장된 데이터 삭제를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또한, 상기 MDM 서비스 모듈(210)은,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50)에 대한 통신 제어 및 부가 디바이스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MDM 서비스 모듈(210)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상에서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SOAP over Http) 기반 프로토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50)의 애플리케이션 관리를 보여주는 화면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이름 입력항(300), 작업자 선택메뉴(310), 통신 간격 메뉴(320) 등이 구성되어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50)의 애플리케이션 설정관리가 가능하다. 여기서 선택메뉴는 롤다운 방식 및/또는 롤업 방식이 가능하다. 3 is a screen example showing application management of a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50)의 사용 제한을 설정하는 화면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설정화면에는 카메라 사용제한(400), SD CARD 사용제한(410), WiFI 사용제한(420) 등이 구성된다. 4 is an example of a screen for setting a usage restriction of the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서버(150)에 디스플레이되는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50)의 상태를 보여주는 화면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이름(500), 전화번호(510), 사용여부, 분실상태, 이탈상태, 배터리 상태, 위치 등의 통계 정보들이 디스플레이된다. 물론, 도 5에 도시된 화면예는 관리자(도 1의 110)가 확인할 수 있도록 관리자에게 제공된다. FIG. 5 is a screen example showing a state of the
100: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서버
101: 데이터베이스 관리 서버
103: 데이터베이스
110: 관리자
120: 방화벽
130: 통신망
140: 중계기
150: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200: 모바일 모듈 미들웨이 모듈
210: MDM(Mobile Device Management) 서비스 모듈
251: MDM 클라이언트 모듈100: mobile device management server
101: database management server
103: database
110: manager
120: firewall
130: communication network
140: repeater
150: mobile client device
200: mobile module middleway module
210: MDM (Mobile Device Management) service module
251: MDM client module
Claims (6)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MDM 클라이언트 모듈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받아 응답하는 모바일 미들웨이 모듈과, 상기 모바일 미들웨이 모듈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받아 응답하며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MDM 클라이언트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을 관리 및 제어하는 MDM 서비스 모듈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서버;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서버를 연결하는 통신망; 및
상기 통신망과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통신망 사이를 중계하는 중계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장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A mobile client device on which a mobile device management (MDM) client module is installed;
An application of the mobile client device using a mobile middleway module that receives a service request from the MDM client module of the mobile client device and responds to the service request from the mobile middleway module A mobile device management server having an MDM service module for managing and controlling the service;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ng the mobile client device and the mobile device management server; And
A repeater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relay between the mobile client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Mobile device management system in the workplace, comprising a.
상기 MDM 서비스 모듈은,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보호되는 화이트 리스트(white list) 및 차단되는 블랙 리스트(black list)로 구분하여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장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DM service module,
And controlling the mobile client device by dividing the mobile client device into a protected white list and a blocked black list.
상기 MDM 서비스 모듈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서버에 저장된 사업장의 업무 스케쥴에 따라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전원 제어 또는 애플리케이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장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DM service module,
The mobile device management system at the workplace,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power control or application control of the mobile client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work schedule of the workplace stored in the mobile device management server.
상기 MDM 서비스 모듈은,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분실되면 원격 제어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하여 알람, 락(Lock) 또는 저장된 데이터 삭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장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DM service module,
And if the mobile client device is lost, alarm, lock, or delete stored data on the mobile client device using a remote control.
상기 MDM 서비스 모듈은,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 제어 및 부가 디바이스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장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DM service module,
And a communication control and an additional device control for the mobile client device.
상기 MDM 서비스 모듈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상에서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SOAP over Http) 기반 프로토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장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MDM service module,
A mobile device management system in a workplace,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SOAP) based protocol service over a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7648A KR20140011068A (en) | 2012-07-17 | 2012-07-17 | System for mobile device management in place of busines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7648A KR20140011068A (en) | 2012-07-17 | 2012-07-17 | System for mobile device management in place of busines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1068A true KR20140011068A (en) | 2014-01-28 |
Family
ID=50143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77648A Withdrawn KR20140011068A (en) | 2012-07-17 | 2012-07-17 | System for mobile device management in place of busines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11068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3813B1 (en) * | 2014-03-11 | 2015-03-18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Mobile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
CN107766156A (en) * | 2017-10-20 | 2018-03-06 | 北京小度信息科技有限公司 | Task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
US10599410B2 (en) | 2015-12-08 | 2020-03-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updating configuration settings |
-
2012
- 2012-07-17 KR KR1020120077648A patent/KR20140011068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3813B1 (en) * | 2014-03-11 | 2015-03-18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Mobile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
US10599410B2 (en) | 2015-12-08 | 2020-03-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updating configuration settings |
CN107766156A (en) * | 2017-10-20 | 2018-03-06 | 北京小度信息科技有限公司 | Task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
CN107766156B (en) * | 2017-10-20 | 2020-07-10 | 北京星选科技有限公司 | Task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95058B2 (en) | Selective management of mobile device data in an enterprise environment | |
US9326173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machine-to-machine based communication service classes | |
US20100299152A1 (en) | Selective Management of Mobile Devices in an Enterprise Environment | |
US9066230B1 (en) | Trusted policy and charging enforcement function | |
US9451473B2 (en) | Analyzing and forecasting network traffic | |
US9351236B2 (en) | UICC carrier switching via over-the-air technology | |
KR101136525B1 (en) | Security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apparatus | |
WO2017128728A1 (en) | Service network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 |
US12052656B2 (en) | Shim application for enclave separation | |
CN101022657A (en) | Controlling alternative communication pathway utiliz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
KR20090034549A (en) | Security device and method for composite terminal using security profile | |
KR20140011068A (en) | System for mobile device management in place of business | |
US20180205762A1 (en) | Automatically securing data based on geolocation, network or device parameters | |
US9264843B2 (en) | Simp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 |
CN111049860A (en) | Remote equipment centralized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 |
US9026649B2 (en) | Determining presence status based on user analytics data | |
KR20140014576A (en) | System for mobile device management in place of business | |
US12284074B2 (en) | Network resiliency and impact coordination | |
CN106357455B (en) | A kind of method and system controlling application access network | |
US11871443B1 (en) | Public stewardship entity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ortal | |
CN104185160A (en) | Mobile service application migration system and agent terminal thereof | |
US9781541B2 (en) |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a user device and a client device via a common services platform | |
KR102280450B1 (en) | Mobile device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ng method | |
US9819787B2 (en) | Mobile device inhibitor | |
Peraković et al. | Employee’s awareness on security aspects of use bring your own device paradigm in Republic of Croati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1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