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07049A - Case with support function for portable device - Google Patents

Case with support function for portab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7049A
KR20140007049A KR1020120073905A KR20120073905A KR20140007049A KR 20140007049 A KR20140007049 A KR 20140007049A KR 1020120073905 A KR1020120073905 A KR 1020120073905A KR 20120073905 A KR20120073905 A KR 20120073905A KR 20140007049 A KR20140007049 A KR 20140007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portable terminal
plate
support
operation li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9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요섭
Original Assignee
박요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요섭 filed Critical 박요섭
Priority to KR1020120073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7049A/en
Publication of KR20140007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049A/en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storing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1516Holders or carriers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로써, 휴대단말기를 보호하면서 휴대단말기의 사용시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는, 바닥에 배치되는 고정판과; 일단이 상기 고정판에 힌지결합되는 작동링크와; 상기 작동링크의 타단에 힌지결합되고, 일면에 휴대단말기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작동링크는 상기 고정판에 힌지결합된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작동링크의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결합부가 개폐되며, 상기 지지판을 상기 고정판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시킬 때, 상기 지지판과 작동링크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a mounting function,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case has a mounting function that can be mounted obliquely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used while protecting the portab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a mount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a mount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xed plate disposed on the bottom; An operation link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fixed plate; A support plate which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link and has a coupling part on one surface thereof detachably coupled to the mobile terminal; It is made, including, the operation link is rotated about one end hinged to the fixed plate, the support plate is rotated about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link to open and close the coupling portion, the support plat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xed plate When placed, the support plate and the actuating link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Description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 Case with support function for portable device }Terminal Case with Mounting Function {Case with support function for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로써, 휴대단말기를 보호하면서 휴대단말기의 사용시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a mounting function,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case has a mounting function that can be mounted obliquely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used while protecting the portable terminal.

태블릿 컴퓨터나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터치 방식으로 손가락 또는 펜으로 명령을 입력하고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등의 작업을 통해 웹서핑, 동영상 또는 음악 등을 감상하는 용도에 특화되어 있다.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tablet computer or a smart phone is specialized in the use of a web surfing, video or music through a task such as inputting a command with a finger or a pen by a touch method and executing a program.

최근에는 유명 상표의 태블릿 컴퓨터 및 다양한 스마트폰이 출시되어 그 사용자가 급격히 증가하였다.Recently, brand name tablet computers and various smart phones have been released, and the number of users thereof has increased rapidly.

하지만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주로 사용자가 손에 들고 사용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에 불편함이 있고,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 및 보관시 손상의 우려가 있다.However, such a portable terminal is mainly inconvenient to use for a long time because it is used by a user, and the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n image is exposed to the outside, which may cause damage in carrying and storing.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11985호에는 휴대단말기를 편리하게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1-0011985 discloses a portable terminal case which can conveniently store and use the 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의 휴대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cas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단말기 케이스는 케이스본체(110)와 커버(12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case includes a case body 110 and a cover 120.

상기 케이스본체(110)에는 휴대단말기(20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The case body 110 has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200 is accommodated.

상기 커버(120)는 일측이 상기 케이스본체(110)에 적어도 1회 이상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배면과 접촉되고, 타측은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마련된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전면을 덮으며, 일측에서부터 접철되면 상기 케이스본체(110)를 지지한다.The cover 120 is foldably coupled to the case body 110 at least once so that the cover 120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othe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200 is provided with a display panel 210. Cover the front of the case, and folded from one side to support the case body 110.

이러한 상기 커버(120)는 베이스커버부(121), 제1절곡커버부(122), 밀폐지지커버부(124) 및 제2절곡커버부(123)로 이루어진다.The cover 120 includes a base cover part 121, a first bent cover part 122, an airtight support cover part 124, and a second bent cover part 123.

상기 베이스커버부(121)는 상기 커버(120)의 일측을 이루며, 상기 케이스본체(110)와 결합되어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배면 일부와 접촉한다.The base cover part 121 forms one side of the cover 120 and is coupled to the case body 110 to be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상기 제1절곡커버부(122)는 상기 커버(120)의 일측을 이루며, 상기 베이스커버부(121)와 함께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배면에 접촉하며, 상기 베이스커버부(121)의 단부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연장된다.The first bent cover portion 122 forms one side of the cover 120, and contacts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200 together with the base cover portion 121, and an end portion of the base cover portion 121. It extends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from.

상기 밀폐지지커버부(124)는 상기 커버(120)의 타측을 이루며, 상기 휴대단말기(120)의 전면에 접촉한다.The closed support cover 124 forms the other side of the cover 120 and contacts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20.

그리고 상기 밀폐지지커버부(124)에는 상기 케이스본체(110)의 하측을 지지하는 스토퍼홈(124b)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In addition, at least one stopper groove 124b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case body 110 is formed in the sealed support cover part 124.

구체적으로 상기 스토퍼홈(124b)은 상기 케이스본체(110)에 결합된 휴대단말기(200)의 하측을 지지한다.Specifically, the stopper groove 124b supports the lowe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200 coupled to the case body 110.

상기 제2절곡커버부(123)는 상기 제1절곡커버부(122)와 밀폐지지커버부(124)가 각각 접철 가능하게 상호 연결된다.The second bent cover part 123 is foldably connected to the first bent cover part 122 and the sealing support cover part 124, respectively.

그러나 종래의 휴대단말기 케이스는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를 다양하고 세밀하게 조절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스토퍼홈(124b)에 의해 상기 케이스본체(110)에 결합된 휴대단말기(200)가 충분히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case, it is difficult not only to adjust the mounting angle of the mobile terminal in various ways in detail, but also the mobile terminal 200 coupled to the case body 110 by the stopper groove 124b is not sufficiently stably supported. There is a problem.

즉, 상기 휴대단말기(200)와 스토퍼홈(124b) 사이에 슬립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휴대단말기(2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한다.That is, since the slip may occur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200 and the stopper groove 124b, the portable terminal 200 may not be stably support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단말기의 휴대 및 보관시 외부 충격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면서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를 다양하고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거치할 수 있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while preventing the damage to the external shock when carrying and storage of the mobile terminal, the mounting angle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variously finely adjusted and can be stably supported and mount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a.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는, 바닥에 배치되는 고정판과; 일단이 상기 고정판에 힌지결합되는 작동링크와; 상기 작동링크의 타단에 힌지결합되고, 일면에 휴대단말기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작동링크는 상기 고정판에 힌지결합된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작동링크의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결합부가 개폐되며, 상기 지지판을 상기 고정판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시킬 때, 상기 지지판과 작동링크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a mount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plate disposed on the bottom; An operation link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fixed plate; A support plate which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link and has a coupling part on one surface thereof detachably coupled to the mobile terminal; It is made, including, the operation link is rotated about one end hinged to the fixed plate, the support plate is rotated about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link to open and close the coupling portion, the support plat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xed plate When placed, the support plate and the operating link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상기 작동링크는, 일단이 상기 고정판에 힌지결합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힌지부; 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부가 상기 고정판의 상면과 대면하여 닫힌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로드부의 일단보다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판이 상기 고정판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로드부의 일단보다 전방에 배치된다.The actuating link includes: a rod portion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fixed plate; A hinge part integrally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od part and hinged to the support plate to adjust a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plate; The hinge portion is disposed rearward than one end of the rod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portion is closed to 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plate, and the hinge portion is disposed more than one end of the rod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lat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xed plate. Placed in front.

상기 지지판은, 상기 결합부가 형성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와 힌지결합되는 지지부; 로 이루어지되,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힌지부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와 힌지결합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지지판의 회전각도에 따라 다수의 상기 걸림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걸림부가 돌출 형성된다.The support plate, the cover portion formed with the coupling portion; A support part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ver part and hinged to the hinge part; The hinge portion has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round the center of the hinge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hinged to the hinge portion has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plate. A locking portion inserted into one of the protrusions is formed.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걸림홈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체; 로 이루어진다.The locking portion, the locking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An elastic body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cking proj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locking groove; .

상기 지지부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의 중심부에는 관통구가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는 상기 관통구를 통해 휴대단말기용 터치펜이 삽입 배치된다.The support is formed in a hollow shape,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hinge portion, the touch pen for a mobil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through the through hole.

상기 고정판의 측면에는 상기 지지판이 상기 고정판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작동링크의 회전을 저지하는 링크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다.A side surface of the fixing plate is provided with a link stopper for preventing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link to maintain the support plat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xing plate.

상기 지지판에는 배터리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지지판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휴대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상기 휴대단말기에 공급된다.A battery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support plate, and the support plat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rtable terminal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so that power of the battery is su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a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작동링크가 고정판에 힌지결합된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지지판이 작동링크의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개폐됨으로써, 휴대단말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휴대단말기를 보호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휴대단말기를 사용할 때는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를 다양하고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지지판이 작동링크에 의해 미끄러짐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operation link rotates about one end hinged to the fixed plate, and the support plate rotates about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link to open and close the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coupled, thereby protecting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is not in use. Damage can be prevented, and when using a mobile terminal, the mounting angle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variously and finely adjusted, and the support plate is stably supported without slipping by the operation link, and thus can be conveniently used.

또한, 지지판이 고정판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힌지부는 로드부의 일단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고정판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일정거리 이상 이격되고, 지지판과 힌지결합된 힌지부의 후방으로 고정판이 돌출되어 배치됨으로써, 고정판이 힌지부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는 길이만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판을 지지하여 고정판과 지지판이 함께 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late is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xed plate, the hinge portion is disposed in front of one end of the rod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rear end of the fixed pl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and the fixed plate protrudes to the rear of the hinge portion hinged to the support plate. The fixing plate can support the support plate more stably as long as the length of the fixing plate protrudes to the rear of the hinge portion to prevent the fixing plate and the support plate from falling backward together.

또한, 힌지부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걸림홈 중 어느 하나에 걸림부가 삽입됨으로써, 지지판이 임의로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된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를 조절하기 용이하다.In addition, the locking portion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formed in the hinge portion, it is easy to adjust the mounting angle of the mobile terminal by maintaining a constant rotated angle so that the support plate does not rotate arbitrarily.

또한, 관통구를 통해 지지부의 내부에 터치펜이 삽입 배치됨으로써, 터치펜의 보관이 용이하다.In addition, the touch pen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ortion through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touch pen can be easily stored.

또한, 지지판이 고정판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을 때 링크스토퍼가 작동링크와 접하여 작동링크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지지판이 고정판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upport plate is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xed plate, the link stopper contacts the operation link and prevents the operation link from rotating arbitrarily, thereby stably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 plat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xed plate.

또한, 지지판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배터리가 결합부에 결합된 휴대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의 전원이 휴대단말기에 공급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detachably mounted on the support plat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so that the battery power is su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ereby increasing the use time of the 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의 휴대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는 지지판이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측면도,
도 5는 도 3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닫혀 있는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cas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a mounting function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a mounting func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is clos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a mounting func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is inclined dispos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case in which the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는 지지판이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닫혀 있는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a mounting function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mounting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upling part to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4 is a sid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a function, and FIG. 4 is a sid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a mounting func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plate to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coupled is incl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case in which a coupling unit to which a portable terminal is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0), 작동링크(20) 및 지지판(30)으로 이루어진다.As illustrated in FIGS. 2 to 6, the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a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plate 10, an operation link 20, and a support plate 30.

상기 고정판(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책상이나 테이블 등에 배치된다.The fixing plate 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s shown in Figure 2, it is disposed on a desk or a table.

상기 고정판(10)에는 상기 작동링크(20)가 힌지결합되고, 휴대단말기(1)가 결합되는 결합부(31)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지지판(30)이 상기 고정판(10)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The support plate 30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xing plate 10, the operation plate 20 is hinged to the fixing plate 10, the coupling portion 31 is formed to which the mobile terminal 1 is coupled. .

그리고 상기 작동링크(20)가 힌지결합되는 상기 고정판(10)의 측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스토퍼(11)가 형성된다.And a link stopper 11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ixing plate 10 to which the operation link 20 is hinged as shown in FIG.

상기 링크스토퍼(11)는 상기 고정판(10)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상기 작동링크(20)의 일단을 기준으로 전방(도면에서 좌측방향)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작동링크(20)의 회전을 저지한다.The link stopper 11 is spaced apart in the front (left direction in the drawing) with respect to one end of the operation link 20 hinged to the fixing plate 10 to prevent rotation of the operation link 20. .

구체적으로 상기 링크스토퍼(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30)이 상기 고정판(10)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작동링크(20)와 접하여 상기 작동링크(20)의 회전을 저지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the link stopper 11 is rotated in contact with the operation link 20 when the support plate 30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xed plate 10. To stop.

즉, 상기 링크스토퍼(11)는 상기 작동링크(2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여 상기 지지판(30)이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해준다.That is, the link stopper 11 prevents the operation link 20 from rotating arbitrarily, thereby stably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 plate 30 is inclined.

이러한 상기 링크스토퍼(11)는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링크(20)를 상기 자석과의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는 금속체로 형성하거나, 금속체 또는 자석을 상기 작동링크(20)에 장착하여 상기 링크스토퍼(11)에 상기 작동링크(20)가 접촉했을 때 자석의 인력에 의해 상기 작동링크(20)가 임의로 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link stopper 11 is made of a magnet, and the operation link 20 is formed of a metal body with an attractive force between the magnet, or a metal body or magnet is mounted on the operation link 20 When the operation link 20 contacts the link stopper 11, the operation link 20 may not be arbitrarily rotated by the attraction force of the magnet.

이 외에도 상기 링크스토퍼(11)는 상기 작동링크(2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스토퍼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link stopper 11 may be formed of various stopper structures that can prevent the operation link 20 from rotating arbitrarily.

상기 작동링크(20)는 일단이 상기 고정판(10)의 측면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판(30)의 측면에 힌지결합된다.One end of the operation link 20 is hinged to the side of the fixing plate 10,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side of the support plate (30).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링크(20)는 일단이 상기 고정판(10)에 힌지결합되는 로드부(21)와 상기 로드부(21)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된 힌지부(22)로 이루어진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the operation link 20 has a rod portion 21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fixing plate 10 and a hinge portion 22 integrally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od portion 21. )

상기 로드부(21)는 긴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링크스토퍼(11)와 접하여 임의로 회전하는 것이 저지된다.The rod portion 21 is formed in an elongate rod shape, and as described above, the rod portion 21 is prevented from rotating arbitrarily in contact with the link stopper 11.

상기 힌지부(22)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 관통구(23)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30)에 힌지결합된다.The hinge portion 22 is formed in a disc shape, a through-hole 23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is hinged to the support plate 30.

상기 힌지부(22)에는 상기 관통구(23)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걸림홈(24)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24)에는 상기 지지판(30)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34)가 삽입된다.The hinge portion 22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24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around the through hole 23, and the locking groove 24 is a lock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upport plate 30 34 is inserted.

이와 같이 다수의 상기 걸림홈(24)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걸림부(34)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지지판(30)이 임의로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된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As such, the locking portion 34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24, thereby maintaining the rotated angle constant so that the support plate 30 does not rotate arbitrarily.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로드부(21)의 일단은 상기 고정판(10)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힌지결합된다.One end of the rod portion 21 as described above is hinged to a point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ar end of the fixed plate 10 to the front.

그리고 상기 힌지부(22)는, 상기 고정판(10)의 상부에 상기 지지판(30)이 배치되어 상기 결합부(31)가 닫혀 있을 때 상기 로드부(21)의 일단보다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30)이 상기 고정판(1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로드부(21)의 일단보다 전방에 배치된다.The hinge part 22 is disposed behind the rod part 21 when the support plate 30 is disposed above the fixing plate 10 and the coupling part 31 is closed. When the supporting plate 30 is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xing plate 10, the supporting plate 30 is disposed in front of one end of the rod part 21.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30)이 상기 고정판(1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힌지부(22)는 상기 고정판(10)의 후단(도면에서 우측방향 끝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일정거리 이상 이격되고, 상기 지지판(30)과 힌지결합된 상기 힌지부(22)의 후방으로 상기 고정판(10)이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단말기(1)의 하중 또는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판(30)이 상기 고정판(10)과 함께 후방으로 잘 넘어지지 않게 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4, when the support plate 30 is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xing plate 10, the hinge portion 22 is the rear end of the fixing plate 10 (the right end in the drawing). Since the fixing plate 10 is projected from the rear of the hinge portion 22 hinged to the support plate 30 and spaced apart from the fron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the load or external force of the mobile terminal 1 As a result, the support plate 30 does not fall well behind the fixing plate 10.

상기 지지판(30)은 상기 힌지부(22)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고정판(1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힌지부(22)가 상기 고정부의 후단에 가까이 배치되어 있을수록 휴대단말기(1)의 하중 또는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판(10)과 지지판(30)이 상기 고정판(10)의 후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방으로 넘어질 우려가 있다.When the support plate 30 is rotated about the hinge portion 22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xed plate 10, the closer the hinge portion 22 is to the rear end of the fixed portion, the more the portable terminal. Due to the load or external force of (1), the fixing plate 10 and the supporting plate 30 may rotate around the rear end of the fixing plate 10 and fall to the rear.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22)가 상기 로드부(21)의 일단 후방에서 상기 로드부(21)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로드부(21)의 일단 전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판(10)이 상기 힌지부(22)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는 길이만큼 더욱 안정적으로 상기 지지판(30)을 지지하여 상기 고정판(10)과 지지판(30)이 함께 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inge part 22 is rotated about one end of the rod part 21 at one rear of the rod part 21 and disposed in front of the one end of the rod part 21. The fixing plate 10 supports the support plate 30 more stably by the length of the fixing plate 10 protruding to the rear of the hinge portion 22 to prevent the fixing plate 10 and the support plate 30 from falling backward together. can do.

상기 지지판(30)은 상기 고정판(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판(10)의 상면과 대면하게 되는 일면에 휴대단말기(1)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31)가 형성되며, 회전하여 상기 고정판(1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The support plate 3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plate 10, the coupling portion 3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obile terminal 1 is formed on one surface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0, It is rotated an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xing plate 10.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판(30)은 커버부(32)와 지지부(33)로 이루어진다.In detail, the support plate 30 includes a cover 32 and a support 33.

상기 커버부(32)에는 상기 결합부(31)가 형성되어 휴대단말기(1)가 결합된다.The coupling part 31 is formed in the cover part 32 to which the mobile terminal 1 is coupled.

상기 결합부(31)는 휴대단말기(1)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coupling part 31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ortable terminal 1.

상기 지지부(33)는 상기 커버부(32)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30)이 상기 고정판(1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때, 상기 고정판(10)의 상면에 접하여 상기 지지판(30)이 상방향으로 지지된다.The support part 33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ver part 32, and when the support plate 30 is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xed plate 10, the support plate 30 is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fixed plate 10. It is supported upwards.

그리고 상기 지지부(33)는 양측방향으로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구(23)를 통해 휴대단말기(1)용 터치펜(40)이 삽입 배치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33 is formed in a hollow shape that is open in both directions so that the touch pen 40 for the mobile terminal 1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23 as shown in FIG. 5.

그리고 상기 힌지부(22)와 힌지결합된 상기 지지부(33)에는 상기 지지판(30)의 회전각도에 따라 다수의 상기 걸림홈(24)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걸림부(34)가 돌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33 hinged to the hinge part 22 has a locking part 34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24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plate 30. .

상기 걸림부(34)는 상기 작동링크(2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24)에 삽입되는 걸림돌기(35)와, 상기 걸림돌기(35)를 상기 걸림홈(24)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체(36)로 이루어진다.The locking portion 34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locking protrusion 35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24 formed in the operation link 20 and the locking protrusion 35 in the direction of the locking groove 24. It is made of an elastic body 36.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체(36)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33)의 측면에 상기 탄성체(36)가 삽입되는 안착홈(37)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36)는 상기 걸림돌기(35)를 상기 힌지부(22) 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In detail, the elastic body 36 is formed of a coil spring, and a seating groove 37 into which the elastic body 36 is inserted is formed at a side of the support part 33, and the elastic body 36 is the locking protrusion 35. )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hinge portion 22 direction.

상기 지지판(3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안착홈(37)과 걸림홈(24)이 일치하지 않을 때는 상기 걸림돌기(35)가 상기 힌지부(22)의 내측면에 접하여 상기 안착홈(37) 방향으로 밀려나면서 상기 탄성체(36)를 압축시키고, 상기 안착홈(37)과 걸림홈(24)이 일치할 때는 상기 탄성체(3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35)가 상기 걸림홈(24)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판(30)이 임의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As the support plate 30 rotates, when the mounting groove 37 and the locking groove 24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locking protrusion 35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hinge portion 22 so that the mounting groove 37 When the elastic body 36 is compressed while being pushed in the direction, and the seating groove 37 and the locking groove 24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locking protrusion 35 is caus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body 36. It is inserted into 24 so that the support plate 30 does not rotate arbitrarily.

상기 작동링크(20)와 지지판(30)의 각도조절 방법은 전술한 구조 이외에도 다양한 기술을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Angle adjustment method of the operation link 20 and the support plate 30 can be carried out by applying a variety of technique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그리고 상기 지지판(30)에는 배터리(5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The battery 5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support plate 30.

상기 배터리(50)가 장착된 상기 지지판(30)은 상기 결합부(31)에 결합된 휴대단말기(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50)의 전원이 상기 휴대단말기(1)에 공급된다.The support plate 30 on which the battery 50 is mounte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31 so that the power of the battery 50 is su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1. do.

이에 따라 휴대단말기(1)의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 time of the mobile terminal 1 can be increased.

그리고 상기 고정판(10)에는 수납부(미도시)를 형성하여 카드나 신분증 등의 수납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n accommodating portion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fixing plate 10 to allow storing of a card or an ID.

이하, 전술할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본다.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a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a mount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10)의 상부에 상기 지지판(30)이 배치되어 상기 결합부(31)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힌지부(22)가 상기 로드부(21)의 일단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support plate 30 is disposed on the fixing plate 10 and the coupling part 31 is closed, the hinge part 22 is rearward of one end of the rod part 21. Is placed on.

즉, 상기 힌지부(22)는 상기 고정판(10)과 지지판(30)의 후단에 배치된다.That is, the hinge portion 22 is disposed at the rear ends of the fixed plate 10 and the support plate 30.

그리고 휴대단말기(1)를 거치기시키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30)을 상기 힌지부(22)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힌지부(22)를 상기 로드부(21)의 일단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And in order to mount the portable terminal 1, as shown in Figure 4, while rotating the support plate 30 in the 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hinge portion 22 to rotate the hinge portion 22 to the rod portion 21 Rotate counterclockwise around one end.

이때, 상기 힌지부(22)는 상기 로드부(21)의 일단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로드부(21) 일단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로드부(21)는 상기 링크스토퍼(11)에 의해 임의로 회전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hinge portion 22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round one end of the rod portion 21 to move forward from the rear of one end of the rod portion 21, the rod portion 21 is the link The stopper 11 does not rotate arbitrarily.

그리고 상기 지지부(33)가 상기 고정판(10)의 상면에 접하여 상기 지지판(30)이 상방향으로 지지되고, 상기 결합부(31)가 개방되어 휴대단말기(1)를 결합시킨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33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0 so that the support plate 30 is supported upward, and the coupling part 31 is opened to couple the mobile terminal 1.

상기 지지판(30)을 회전시킬 때는 상기 걸림돌기(35)가 다수의 상기 걸림홈(24)을 삽입 및 이탈하게 되고, 사용자가 휴대단말기(1)를 거치하여 사용하기 편리한 각도로 조절한 후에는 상기 걸림돌기(35)가 어느 하나의 상기 걸림홈(24)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고정판(1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판(30)의 회전각도를 유지하게 된다.When the support plate 30 is rotated, the locking protrusion 35 inserts and detaches a plurality of the locking grooves 24, and after the user adjusts the angle at a convenient angle by mounting the portable terminal 1. The locking protrusion 35 is inserted into and disposed in any one of the locking grooves 24 to maintain the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plate 30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xing plate 10.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결합부(31)에 휴대단말기(1)를 결합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conveniently combine the portable terminal 1 with the coupling part 31.

또한, 상기 터치펜(40)을 따로 휴대할 필요 없이 상기 지지부(33)에 삽입되어 있는 터치펜(40)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1)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 may be conveniently used by using the touch pen 40 inserted into the support 33 without having to carry the touch pen 40 separately.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3)가 상기 고정판(10)의 상면에 접하여 상기 지지판(30)이 상방향으로 지지되고 상기 고정판(10)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힌지부(22)의 후방으로 상기 고정판(10)이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결합부(31)에 결합된 휴대단말기(1)의 하중 또는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판(10)과 지지판(30)이 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휴대단말기(1)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거치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where the support part 33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0 and the support plate 30 is supported upward and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xing plate 10, the hinge part 22 Since the fixing plate 10 protrudes rearward, the fixing plate 10 and the supporting plate 30 fall backward by the load or the external force of the mobile terminal 1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31. By preventing it, the mobile terminal 1 can be more stably supported and mounted.

한편, 휴대단말기(1)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31)에 휴대단말기(1)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판(30)이 상기 고정판(10)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시켜 상기 휴대단말기(1)를 휴대하거나 보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ortable terminal 1 is not used, as shown in FIG. 6, the support plate 30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plate 10 in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31. The mobile terminal 1 may be carried or stored by placing the cover to cover the mobile terminal 1.

이때, 상기 힌지부(22)는 상기 로드부(21)의 일단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지지판(30)은 상기 힌지부(22)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고정판(10)의 상부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고정판(10)의 상면을 덮는다.At this time, the hinge portion 22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about the one end of the rod portion 21, the support plate 3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round the hinge portion 22 to the fixed plate ( It is disposed in parallel to the upper portion of 10)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0).

이와 같이 휴대단말기(1)를 상기 고정판(10)과 지지판(30) 사이에 삽입 배치하여 휴대 또는 보관함으로써, 휴대단말기(1) 표면의 긁힘 및 휴대단말기(10) 디스플레이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As such, the portable terminal 1 is inserted between the fixed plate 10 and the support plate 30 to be carried or stored, thereby preventing scratches on the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 and damage to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10. .

그리고 상기 걸림홈(24)에 상기 걸림돌기(35)가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지지판(30)이 상기 힌지부(22)를 중심으로 임의로 회전하여 휴대단말기(1)가 개방되지 않고, 상기 지지판(30)이 상기 고정판(10)의 상면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작동링크(20)가 상기 로드부(21)의 일단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한다.In addition, since the locking protrusion 35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24, the support plate 30 is arbitrarily rotated around the hinge portion 22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1 does not open. Since the 3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plate 10, the operation link 20 does not rotate about the one end of the rod portion 21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또한, 사용하지 않는 상기 터치펜(40)은 상기 지지부(33)에 삽입하여 휴대단말기(1)와 함께 보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used touch pen 40 may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33 to be stored together with the mobile terminal 1.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는, 상기 작동링크(20)가 상기 고정판(10)에 힌지결합된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지지판(30)이 상기 작동링크(20)의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휴대단말기(1)가 결합되는 결합부(31)가 개폐됨으로써, 휴대단말기(1)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휴대단말기(1)를 보호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휴대단말기(1)를 사용할 때는 휴대단말기(1)의 거치각도를 다양하고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판(30)이 작동링크(20)에 의해 미끄러짐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the mount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link 20 is rotated about one end hinged to the fixed plate 10, and the support plate 30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link 20. By rotating around the other end to open and close the coupling portion 31 to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 is coupled, the portable terminal 1 can be protected when not using the portable terminal 1 to prevent damage from external impact. In addition, when using the mobile terminal 1, the mounting angle of the mobile terminal 1 can be adjusted in various ways in detail, and the support plate 30 is stably supported by the operation link 20 without slipping, which is convenient to use. have.

본 발명인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the mount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 : 휴대단말기,
10 : 고정판, 11 : 링크스토퍼,
20 : 작동링크, 21 : 로드부, 22 : 힌지부, 23 : 관통구, 24 : 걸림홈,
30 : 지지판, 31 : 결합부, 32 : 커버부, 33 : 지지부, 34 : 걸림부, 35 : 걸림돌기, 36 : 탄성체, 37 : 안착홈,
40 : 터치펜,
50 : 배터리,
1: a mobile terminal,
10: fixed plate, 11: link stopper,
20: operation link, 21: rod portion, 22: hinge portion, 23: through hole, 24: locking groove,
30: support plate, 31: coupling part, 32: cover part, 33: support part, 34: locking part, 35: locking protrusion, 36: elastic body, 37: seating groove,
40: touch pen,
50: battery,

Claims (7)

바닥에 배치되는 고정판과;
일단이 상기 고정판에 힌지결합되는 작동링크와;
상기 작동링크의 타단에 힌지결합되고, 일면에 휴대단말기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작동링크는 상기 고정판에 힌지결합된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작동링크의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결합부가 개폐되며,
상기 지지판을 상기 고정판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시킬 때, 상기 지지판과 작동링크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A fixed plate disposed on the bottom;
An operation link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fixed plate;
A support plate which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link and has a coupling part on one surface thereof detachably coupled to the mobile terminal;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operation link rotates about one end hinged to the fixed plate,
The support plate is rotated about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link to open and close the coupling portion,
When the support plate is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xed plate, the support plate and the operation link is a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링크는,
일단이 상기 고정판에 힌지결합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힌지부; 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부가 상기 고정판의 상면과 대면하여 닫힌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로드부의 일단보다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판이 상기 고정판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로드부의 일단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link is,
A rod portion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fixing plate;
A hinge part integrally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od part and hinged to the support plate to adjust a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plate; Lt; / RTI >
The hinge part is disposed behind the one end of the rod part while the coupling part is closed to 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And the hinge portion is disposed in front of one end of the rod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lat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xed plat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결합부가 형성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와 힌지결합되는 지지부; 로 이루어지되,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힌지부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와 힌지결합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지지판의 회전각도에 따라 다수의 상기 걸림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걸림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upport plate
A cover part formed with the coupling part;
A support part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ver part and hinged to the hinge part; Lt; / RTI >
The hinge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arranged in a circle around the center of the hinge portion,
The support unit hinged to the hinge portion is a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he locking groove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plat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걸림홈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체;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0027]
A lock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An elastic body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cking proj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locking groove; Mobile terminal case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의 중심부에는 관통구가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는 상기 관통구를 통해 휴대단말기용 터치펜이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in a hollow shape,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hinge portion,
The mobile terminal case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ouch pen for the mobil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through the through ho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측면에는 상기 지지판이 상기 고정판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작동링크의 회전을 저지하는 링크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of the fixing plate is a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k stopper for preventing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link is formed so as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 plate is dispos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xing plat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배터리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지지판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휴대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상기 휴대단말기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support plate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battery,
The support plat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is a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of the battery is su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KR1020120073905A 2012-07-06 2012-07-06 Case with support function for portable device Abandoned KR201400070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905A KR20140007049A (en) 2012-07-06 2012-07-06 Case with support function for port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905A KR20140007049A (en) 2012-07-06 2012-07-06 Case with support function for portab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049A true KR20140007049A (en) 2014-01-16

Family

ID=50141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905A Abandoned KR20140007049A (en) 2012-07-06 2012-07-06 Case with support function for portab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7049A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899B1 (en) * 2014-03-31 2015-03-12 박성남 Portable terminal holder
KR101641913B1 (en) * 2015-04-02 2016-07-22 정성길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whose Opening Angle can be fixed to a desired angle
WO2017179895A1 (en) * 2016-04-12 2017-10-19 삼성전자 주식회사 Protection cover
KR20180054132A (en) * 2016-11-15 2018-05-24 홍장태 Case for mobile phone
KR20190080692A (en) * 2017-12-28 2019-07-08 (주)연우피씨엔지니어링 Virtual·augmented reality system which generate 3d-drawings·3d-shapes of frame and operate construction information based on 2d-drawing an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mobile application implementing thereof
KR20200000003U (en) * 2018-06-22 2020-01-02 주희양 Supporting apparatus for smart device
KR102166405B1 (en) * 2019-06-11 2020-10-15 황지선 Portable device holder of display device
WO2021020842A1 (en) * 2019-07-29 2021-02-04 삼성전자 주식회사 Cover including pen receiving par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WO2025005464A1 (en) * 2023-06-30 2025-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ot
US12271235B2 (en) 2021-09-27 2025-04-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cover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899B1 (en) * 2014-03-31 2015-03-12 박성남 Portable terminal holder
KR101641913B1 (en) * 2015-04-02 2016-07-22 정성길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whose Opening Angle can be fixed to a desired angle
WO2017179895A1 (en) * 2016-04-12 2017-10-19 삼성전자 주식회사 Protection cover
EP3445025A4 (en) * 2016-04-12 2019-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TECTION COVER
US10722014B2 (en) 2016-04-12 2020-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tection cover
KR20180054132A (en) * 2016-11-15 2018-05-24 홍장태 Case for mobile phone
KR20190080692A (en) * 2017-12-28 2019-07-08 (주)연우피씨엔지니어링 Virtual·augmented reality system which generate 3d-drawings·3d-shapes of frame and operate construction information based on 2d-drawing an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mobile application implementing thereof
KR20200000003U (en) * 2018-06-22 2020-01-02 주희양 Supporting apparatus for smart device
KR102166405B1 (en) * 2019-06-11 2020-10-15 황지선 Portable device holder of display device
WO2021020842A1 (en) * 2019-07-29 2021-02-04 삼성전자 주식회사 Cover including pen receiving par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US12271235B2 (en) 2021-09-27 2025-04-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cover
WO2025005464A1 (en) * 2023-06-30 2025-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o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7049A (en) Case with support function for portable device
KR200493314Y1 (en) Mobile device and computer device stand
KR101892082B1 (en) Universal dock for portable phone
US861488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support mechanism thereof
KR101927201B1 (en) Portable terminal with support plate
KR101243217B1 (en) Combination case and supporter for handheld terminal
CN202168290U (en) Shell structure and protective shell and back shell with the shell structure
TW201304663A (en) Supporting apparatus of electronic device
US8988872B2 (en) Cradle for a portable device having a connector rotatably mounted on a base
KR20130002875U (en) Cellphone Case
JP2010161742A (en) Table holder for cellular phone and structure thereof
KR200461377Y1 (en) A case for tablet pc
KR101491978B1 (en) Cas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lding a pen
KR101187187B1 (en) Multi-purpose pouch for portable terminal
JP2015032975A (en) Portable phone protective case in which dust-proof plug can be inserted and earphone cord can be housed
CN204795949U (en) Adapter and charger
KR200490062Y1 (en) Fingering accessory and case with the same
KR20140082546A (en) Desk Having A Mounting Device for Mobile Device
CN219997516U (en) General tablet personal computer protective sleeve
KR101938258B1 (en) Mobile phone case
KR101169232B1 (en) An apparatus for supporting mobile phone
CN215221785U (en) Multifunctional travel charging device
KR200474423Y1 (en) Mobile phone case and support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1979822B1 (en) A portable terminal case capable of being stationed
KR102298206B1 (en) Tablet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