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994U - Shoe having arch-shaped structure - Google Patents
Shoe having arch-shaped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05994U KR20140005994U KR2020130003989U KR20130003989U KR20140005994U KR 20140005994 U KR20140005994 U KR 20140005994U KR 2020130003989 U KR2020130003989 U KR 2020130003989U KR 20130003989 U KR20130003989 U KR 20130003989U KR 20140005994 U KR20140005994 U KR 20140005994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cuate structure
- arch
- shoe
- foot
- pres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43B7/22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중창의 중앙부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아치형 구조물이 부착되며, 상기 아치형 구조물은, 완만한 U자 형상부가 형성된 상부 및 평탄한 저부를 갖고, 상기 상부와 저부 사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아치형 구조물의 상부의 양 측면을 이루는 아치부는 아치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아치형 구조물은 중창과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어, 중창의 경도가 국부적으로 상이하도록 된다. 특히, 상기 아치형 구조물의 내측 아치부는 외측 아치부보다 높게 형성되고, 완만한 U자 형상부는 정상적인 발의 아치부에 대응하도록 만곡되어 있다.The invention relates to a shoe comprising a reces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a midsole and an arcuate structure attached to the recess, the arcuate structure having an upper and a flat bottom with a gentle U-shaped portion, A through hole is formed. The arcuate portions constitut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arcuate structure are formed to have an arch shape. In addition, the arcuate structure is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middle, so that the hardness of the middle is locally different. Particularly, the inner arch portion of the arcuate structure is formed higher than the outer arch portion, and the gentle U-shaped portion is curved to correspond to the arch portion of the normal foot.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에 대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전족(forefoot)과 후족(rear foot)을 이어주는 중족(midfoot)의 transverse arch(횡아치)지지하여 전족 후족의 뒤틀림을 잡아주는 생크(shank)의 역할을 하는 구조물을 갖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particularly to a foot, which can alleviate an impact on the foot and supports a transverse arch of a midfoot that connects the forefoot and the rear foot, The subject relates to a shoe having a structure that serves as a shank.
최근, 신발에 대한 일반적인 보행 기능에 더해, 발에 대한 건강 측면에서 착지시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 또는 완충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능성 신발이 출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in addition to the general walking function for shoes, various functional shoes that can mitigate or buffer the impact on the feet during landing are being released.
특히, 발 교정기구(orthotic)로서, 발의 변형으로 인해 발 통증 및 허리. 무릎 등 만성적인 통증을 가지고 있는 발 보조 기구로 기능하는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 발 교정기구는, 일대일 개인 맞춤이나 기성 맞춤 등의 디양한 목적에 맞게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발 교정기구는, 신발의 안창 대신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많은 불편함이 수반되고 있으며, 예컨대, 과도한 돌출 형태를 갖는 발 교정기구는 발의 심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발 교정기구, 일반적으로 과도한 발 변형을 가진 일반 소비자들을 위한 신발로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고, 발 변형이 심하지 않은 소비자들에 대해서는 너무 고가임은 물론 심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orthotic foot orthosis, foot pain due to deformation of the foot and back. A variety of products are being launched that function as foot aids with chronic pain, such as knees. The foot correcting mechanism has been applied to a purpose such as one-to-one personal fitting and easy fitting. However, the conventional foot correcting mechanism is generally used in place of the insole of a shoe, and many inconveniences are involved. For example, a foot correcting mechanism having an excessive protruding shape may cause severe pain in the feet. In addition, such a conventional foot correcting mechanism is generally used as a footwear for general consumers with excessive foot strain, and it is too expensive for consumers who are not very deformed fee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cause severe pain .
또한, 일반적으로 종래의 중창은 뒤꿈치부터 앞꿈치까지 모든 부위가 일정한 경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성장 중인 아동의 발에 바람직한 기능을 제공하지 못한다.Also, in general, the conventional midsole is formed with a certain hardness from the heel to the forefoot, so that it does not provide a desired function, for example, for the foot of the child in the growth.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아치형 구조물을 중창(미드솔)에 삽입함으로써, 예컨대, 발이 계속 자라고 있는 아동, 발 변형이 심하지 않은 사람 및 평발을 가진 사람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rch structure which is adapted to be inserted into a midsole to be applied to, for example, a child who continues to grow, It is intended to provide sho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하면, 갑피, 중창 및 밑창으로 구성된 신발에 있어서, 갑피, 중창 및 밑창으로 구성된 신발에 있어서, 상기 중창의 중앙부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아치형 구조물이 부착되며, 상기 아치형 구조물은, 완만한 U자 형상부가 형성된 상부 및 평탄한 저부를 갖고, 상기 상부와 저부 사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hoe consisting of an upper, a middle and a sole, in a shoe composed of an upper, a middle and a sole, a concave portio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iddle, And the arcuate structure has an upper and a flat bottom portion with a gentle U-shaped portion,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본 고안의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구조물의 상부의 양 측면은 아치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arcuate structure are preferably formed to have an arch shape.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구조물의 상부는 정상인의 발바닥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arcuate structure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sole of the normal person.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구조물은 중창의 재질과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In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cuate structure is preferably different from the material of the midsole.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구조물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cuate structure is preferably integrally formed.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구조물의 내측 아치부는 외측 아치부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arch portion of the arcuate structure is preferably formed higher than the outer arch portion.
본 고안은 아치형 구조물을 중창에 삽입함으로써, 예컨대, 발이 계속 자라고 있는 아동, 발 변형이 심하지 않은 사람 및 평발을 가진 사람에게 특히 바람직하며, 일체형으로 한 번의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저렴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장시간 보행시에도 발에 걸리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preferable for inserting an arcuate structure into a midsole, for example, a child who keeps a foot, a person who does not have a foot deformity, and a person who has a flat foot, An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mpact on the foot even when walking for a long time.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아치형 구조물을 갖는 신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한 아치형 구조물을 갖는 신발의 분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아치형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아치형 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5는 본 고안에 의한아치형 구조물이 부착된 중창/밑창의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 having an arch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a shoe having the arcuate structure shown i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rch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the arch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of a midsole / sole with an arch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아치형 구조물을 갖는 신발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hoe having an arch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아치형 구조물(40)을 갖는 신발(1)의 사시도로서, 갑피(10), 중창(20) 및 밑창(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아치형 구조물(40)은 중창(20)의 중앙부(아치부)에 삽입되며, 이 아치형 구조물(40)은 예컨대 금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도2는, 도1에 도시한 아치형 구조물(40)을 갖는 신발(10)의 분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20)의 중앙부(아치부)의 배면에 오목부(22)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22)에 아치형 구조물(40)이 부착된다.Fig.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아치형 구조물 및 이 구조물이 부착되는 중창/밑창의 사시도이고, 도4는 상기 아치형 구조물의 측면도이고, 도5는 상기 아치형 구조물이 부착된 중창/밑창의 측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rch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idsole / sole to which the structure is attached, FIG. 4 is a side view of the arched structure, and FIG. 5 is a side view of the middlesole / sole with the arched structure attached thereto.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치형 구조물(40)은, 완만한 U자 형상부가 형성된 상부(42) 및 평탄한 저부(41)를 갖고, 상기 상부(42)와 저부(41) 사이에 관통공(4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42)의 양 측면은 아치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특히,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만한 U자 형상부가 형성된 상부(42)는 일반적인 정상인의 발바닥(특히, 아치부)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42)는 오목형상을 갖되 대체로 가장자리의 아치부를 제외하고 대체로 평탄한 평면을 갖는다. 또한, 상기 아치형 구조물(40)의 하단에는 밑창(30)의 일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밑창(30)은 신발 저부의 앞뒤는 물론 상기 아치형 구조물(40)의 바닥부에도 형성된다.3 and 4, the
상기 아치형 구조물(40)은 강도와 탄력성을 동시에 부여하도록 그의 양 측면을 구성하는 내측 아치부(44a) 및 외측 아치부(44b)가 아치형으로 만곡 형성되어 있어, 평탄한 구성의 저부(41) 및 관통공(43)과 상호작용하여, 착지시 발로부터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신발의 아치부로부터 앞뒤로 균일하게 힘이 분산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착지시, 아치형 구조물(40)의 상부(42)에 가해지는 충격이 관통공(43)에 의해 완충되고 저부(41)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착지시, 아치형 구조물(40)의 상부(42)가 눌려지고, 그 충격은 관통공(43)에 의해 적절히 분산된다. The
본 고안의 1 실시예에서, 특히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아치부(44a)는 외측 아치부(44b)보다 높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는 인체공학적 측면에서 아치형 구조물(40)을 인체의 발에 맞춰 형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아치형 구조물(40)의 양측 아치부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발을 더욱 편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더욱 효과적으로 완충 및 분산시키도록 한다. 또한, 완만한 U자 형상부가 형성된 상부(42)는 정상적인 발바닥의 아치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어, 발의 아치부가 상기 완만한 U자 형상부가 형성된 상부(42)에 확실히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in particular, the
더욱이, 상기 아치형 구조물(40)은 중창(20)의 재질과 상이하도록 형성된다. 즉, 본 고안의 1 실시예에서, 상기 아치형 구조물(40)은 고무나 발포성 수지와 같은 탄성 재질의 중창(20)보다는 열경화성 수지와 같은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아치형 구조물(40)이 삽입된 중창(20)의 전체 부위의 경도가 각 부위에 따라 상이하게 된다. 그 결과, 뒤꿈치부터 앞꿈치까지 일정한 경도로 형성되는 종래 신발과 달리, 중족 부위에 다른 경도를 부여하여 아동의 발이 정상으로 성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Furthermore, the
따라서, 상기 아치형 구조물(40)은 예컨대 경질의 열경화성 수지로, 다수개의 조각(부분)이 아닌, 금형에 의해 한번에 일체로 성형되며, 착지시 상기 아치형 구조물(40) 전체에 의한 스프링 작용에 기인한 완충 작용이 뛰어나 보행시의 충격분산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상기 아치형 구조물(40)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한 번의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저렴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장시간 보행시에도 발에 걸리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refore, the
본 고안의 아치형 구조물(40)을 갖는 신발(1)은 일반적인 발 교정기구(orthotic)와 유사한 기능을 행하며, 아치형 구조물(40)을 중창(20)에 삽입하여, 발이 계속 자라고 있는 아동 및 발의 변형이 심하지않은, 예컨대 평발을 가진 사람에게 바람직한 구조물이다. 본 아치형상 구조물(40)의 위치는, 평발 즉, 족부의 주상골(navicular)이 끝나는 위치인 중족 내측과 외측 부위에 분포하여 내측 아치부터 외측 아치까지 지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아동은 성인에 비해 평발로부터 정상 발로 성장하게되는 데, 이는 중족 내측도 착지시 많은 압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의 중창(미드솔)은 뒤꿈치부터 앞꿈치까지 일정한 경도로 형성되어 있지만, 본 고안의 아치형 구조물을 갖는 신발은 중족 부위에 다른 경도를 부여하여 아동의 발이 정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1 신발
10 갑피
20 중창
21 중창 오목부
30 밑창
40 아치형 구조물
41 저부
42 상부
43 관통공
44a 내측 아치부
44b 외측 아치부1 Shoes
10 upper
Twenty-six
21 middle concave
30 Outsole
40 arched structure
41 bottom part
42 Top
43 through hole
44a inner side arch portion
44b outer arch portion
Claims (6)
상기 중창(20)의 중앙부에 오목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21)에 아치형 구조물(40)이 부착되며,
상기 아치형 구조물(40)은, 완만한 U자 형상부가 형성된 상부(42) 및 평탄한 저부(41)를 갖고, 상기 상부(42)와 저부(41) 사이에 관통공(4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형 구조물을 갖는 신발.For shoes consisting of upper, midsole and sole,
A concave portion 2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iddle window 20 and an arcuate structure 40 is attached to the concave portion 21,
The arcuate structure 40 has an upper portion 42 and a flat bottom portion 41 formed with a gentle U-shaped portion and a through hole 43 formed between the upper portion 42 and the bottom portion 41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e has an arcuate struc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3989U KR20140005994U (en) | 2013-05-22 | 2013-05-22 | Shoe having arch-shaped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3989U KR20140005994U (en) | 2013-05-22 | 2013-05-22 | Shoe having arch-shaped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5994U true KR20140005994U (en) | 2014-12-02 |
Family
ID=52457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3989U Ceased KR20140005994U (en) | 2013-05-22 | 2013-05-22 | Shoe having arch-shaped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05994U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968226A (en) * | 2018-07-26 | 2018-12-11 | 黄贵庭 | A kind of unpowered flat foot heat-radiated shoes |
KR20240117065A (en) | 2024-07-03 | 2024-07-31 | 김경태 | The finger pressure for the footwear and impact reduction apparatus |
-
2013
- 2013-05-22 KR KR2020130003989U patent/KR20140005994U/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968226A (en) * | 2018-07-26 | 2018-12-11 | 黄贵庭 | A kind of unpowered flat foot heat-radiated shoes |
CN108968226B (en) * | 2018-07-26 | 2020-11-24 | 浙江三宝知识产权服务有限公司 | Unpowered flat foot is with heat dissipation shoes |
KR20240117065A (en) | 2024-07-03 | 2024-07-31 | 김경태 | The finger pressure for the footwear and impact reduction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56261B2 (en) | Footwear sole construction | |
KR101472734B1 (en) | Insole for correcting balance | |
CN107581708B (en) | Insole assembly, bottom part, article of footwear, assembly method and kit | |
TW201138665A (en) | Shoe construction having a rocker shaped bottom and integral stabilizer | |
CN105473017A (en) | a kind of shoe | |
CN108135325A (en) | For the method for the device and construction high-heeled shoes of high-heeled shoes | |
US20170055635A1 (en) | Midsole for dispersing pressure of midfoot and metatarsal bones and shoe having same | |
JP2009101139A (en) | Functional sockliner for high-heeled shoe | |
JP2020527368A (en) | Midsole with built-in orthodontic braces | |
US8539697B2 (en) | Suspension heel | |
KR200414204Y1 (en) | shoes | |
KR100937471B1 (en) | Insole having arch support | |
KR20140005994U (en) | Shoe having arch-shaped structure | |
KR101693773B1 (en) | The shoes considering the peculiarity of walking | |
KR200467057Y1 (en) | Insole of shoes | |
KR200461630Y1 (en) | Shoes having mid-sole with working pressure buffering element formed therein | |
KR20180001749U (en) | Non-Slip Patch For Shoes | |
KR20220010532A (en) | shoe insole | |
KR20160050595A (en) | Shoes insole | |
KR20090028341A (en) | Hallux Valgus correction and shiatsu sneakers | |
KR101480093B1 (en) | Footwear with footwear aid part | |
KR100979261B1 (en) | A running shoes for sports | |
CA2814514A1 (en) | Suspension heel | |
KR20160002087U (en) | Shoes insole | |
CN207653682U (en) | A kind of anti-skidding shock absorption soles with screen resilie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0522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0623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0826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5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