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925A - A chair having a variable back rest - Google Patents
A chair having a variable back res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04925A KR20140004925A KR1020120072326A KR20120072326A KR20140004925A KR 20140004925 A KR20140004925 A KR 20140004925A KR 1020120072326 A KR1020120072326 A KR 1020120072326A KR 20120072326 A KR20120072326 A KR 20120072326A KR 20140004925 A KR20140004925 A KR 201400049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riable
- shell member
- back shell
- guide means
- ch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705 lumbosacral regi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2—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djustable in heigh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5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with a central column, e.g. rocking office 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47C7/465—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by pulling an elastic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가변형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는, 착석자의 등에 접촉되는 쿠션부재, 상기 쿠션부재의 둘레 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프레임부재, 상기 쿠션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고 상기 착석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착석자의 등을 향한 방향으로 굴곡되어 변형되는 가변등판쉘부재 및 상기 가변등판쉘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가변등판쉘부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승하강가이드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해 가변등판쉘부재가 쿠션부재와 프레임부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가변등판쉘부재가 착석자의 등을 향한 방향으로 굴곡지게 변형될 수 있어 착석자의 등 형태에 맞춰 등받이의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chair having a variable back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a cushioning member contacting a seated person's back, a frame member coupl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ushioning member, the cushioning member and the frame member, and supporting the seated person's back. And a descending guide means coupled to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and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which are bent and deform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back of the seat by the operation of the seated occupant, and move up and down along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Include.
According to this,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cushion member and the frame member to support the back of the seated person, and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can be bent in a direction toward the back of the seated person to fit the shape of the seated person's back.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modify the shape of the backrest.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변형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석자의 등이 지지되어 편안함과 안락감을 느낄 수 있도록 등받이의 굴곡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형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having a variable backres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ir having a variable backrest capable of adjusting the degree of backrest of the seat back so that the seated person's back is supported to feel comfortable and comfortable.
일반적으로 의자는 시트와, 시트의 뒤편에 세워져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를 포함한다. 등받이는 일반적으로, 합판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베이스등판과, 쿠션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쿠션등판을 포함한다. 이러한 등받이는 베이스등판에 쿠션등판이 부착 고정된 후 천으로 포장하여 마감함으로써 제조된다. The chair generally includes a seat and a backrest that stands on the back of the seat to support the back of the seated person. The backrest generally includes a base back plate formed of plywood or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 cushion back plat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cushion to support a back of a seated person. The backrest is manufactured by wrapping and finishing the cloth with a cushion backing attached to the base backing.
그러나 이러한 등받이는 의자에 착석하는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최소한의 지지역할만을 하기 때문에 착석자가 의자에 오랜 시간 착석하는 경우, 착석자의 자세가 흐트러지며 착석자의 등에 무리가 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However, such a backrest is only a minimal area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seated person seated on the chair, so when the seated person is seated on the chair for a long time, the posture of the seated person is disturbed and the back of the seated person is unreasonable.
선출원된 한국특허공개번호 제2006-0120965호에는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의자의 경우 높낮이 및 거리조절이 가능한 허리지지대를 착석자의 허리부에 밀착시켜 사용자의 통증을 저감시키는 구조이나, 허리 지지대를 착석자의 요추 부분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착석자의 등이나 허리의 특정 부분만을 지지하여 착석자의 등을 전체적으로 편안하게 지지할 수 없어 안락감이 저하되며, 복잡한 구조로 인해 부품점수가 증가하여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6-0120965 discloses a chair having a variable back.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structure that reduces the pain of the user by closely contacting the waist support that can adjust the height and distance to the seat of the seat, or the inconvenience to operate the back support to accurately position the lumbar region of the seat For example, the comfort of the seated person cannot be comfortably supported by supporting only a specific part of the seat or the back of the seated person, and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due to the complicated structure.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의자에 착석하는 착석자의 등의 형태 등에 맞춰 등받이의 굴곡도를 조절하여 편안함 및 안락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자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는 상황이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 chair that can improve the comfort and comfort by adjusting the degree of backres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eat of the seated person seated on the chair.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의자에 착석한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가 착석자의 등이 지지되어 편안함과 안락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굴곡되며, 착석자가 직접 자신의 등이 지지되어 편안함과 안락감을 느낄 수 있도록 등받이의 굴곡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형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rest supporting the back of the seated seated on the chair is bent to support the back of the seated seater to feel the comfort and comfort, the seated person is directly supported by his back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ir having a variable backrest that can adjust the degree of flexion of the backrest so as to feel the comfort.
본 발명에 가변형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는, 착석자의 등에 접촉되는 쿠션부재, 상기 쿠션부재의 둘레 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프레임부재, 상기 쿠션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고 상기 착석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착석자의 등을 향한 방향으로 굴곡되어 변형되는 가변등판쉘부재 및 상기 가변등판쉘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가변등판쉘부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승하강가이드수단을 포함한다. The chair having a variable back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a cushioning member contacting a seated person's back, a frame member coupl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ushioning member, the cushioning member and the frame member, and supporting the seated person's back. And a descending guide means coupled to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and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which are bent and deform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back of the seat by the operation of the seated occupant, and move up and down along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Include.
또한, 상기 가변등판쉘부재는, 상기 가변등판쉘부재의 일측단이 절개되도록 상기 일측단으로부터 상기 가변등판쉘부재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가변등판쉘부재의 횡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복수 형성되는 절개 슬릿 및 상기 절개 슬릿과 상기 절개 슬릿 사이에 상기 가변등판쉘부재와 결합되는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의 상하 방향 이동을 안내하도록 복수 개 형성된 가이드레일홀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is formed along the vertical length direction of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from the one end so that one end of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is cu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A plurality of cutout slits and a plurality of guide rail holes may be formed to guide a vertical movement of the lifting guide means coupled with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between the cutoff slits and the cutoff slits.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는,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해 가변등판쉘부재가 쿠션부재와 프레임부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가변등판쉘부재가 착석자의 등을 향한 방향으로 굴곡지게 변형될 수 있어 착석자의 등 형태에 맞춰 등받이의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다.In the chair having a variable back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cushion member and the frame member to support the back of the seated member, and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is deformed to ben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back of the seated person. The shape of the backrest can be modified to match the shape of the seat of the seated person.
특히, 착석자가 승하강가이드수단을 통해 가변등판쉘부재의 굴곡 변형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착석자의 등이나 허리의 특정 부분이 아닌 착석자의 등을 전체적으로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어 착석자의 편안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particular, the seated person can easily manipulate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through the elevating guide means, and can comfortably support the seated person's back, not the specific part of the back of the seated person or the wai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가변형 등받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변형 등받이의 승하강가이드수단의 상측방향 이동에 따른 가변등판쉘부재의 변형과정을 도시한 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가변형 등받이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가변형 등받이의 승하강가이드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승하강가이드수단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승하강가이드수단의 작동 방향을 도시한 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chair equipped with a variable back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ariable back of the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deformation process of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according to the upward movement of the lifting guide means of the variable backrest shown in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variable backrest shown in FIG. 2.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levating guide means of the variable backrest shown in FIG.
6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elevating guide unit shown in FIG. 5.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direction of the elevating guide unit illustrated in FIG. 5.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착석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부재(1)와, 상기 시트부재(1)의 일측, 즉 상기 시트부재(1)의 후방측에 상기 시트부재(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변형 등받이(100)와, 상기 시트부재(1)의 양 측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부재(3)에 착석한 착석자의 팔을 지지할 수 있는 팔걸이(3)와, 상기 시트부재(1)의 하측에 상기 시트부재(1)와 연결되는 다리부재(5)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형 등받이(100)는, 쿠션부재(110), 프레임부재(130), 가변등판쉘부재(150, 도 2 참조) 및 승하강가이드수단(170)을 포함한다.
1 is a side view of a chair equipped with a variable back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가변형 등받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변형 등받이의 승하강가이드수단의 상측방향 이동에 따른 가변등판쉘부재의 변형과정을 도시한 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가변형 등받이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가변형 등받이의 승하강가이드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승하강가이드수단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backrest of the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deformation process of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according to the upward movement of the lifting guide means of the variable backrest shown in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variable backrest shown in FIG. 2,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levating guide means of the variable backrest shown in FIG. 2, and FIG. 6 is a part of the elevating guide means shown in FIG. 5.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등받이(100)는, 쿠션부재(110), 프레임부재(130), 가변등판쉘부재(150) 및 승하강가이드수단(170)을 포함한다.2 to 6, the
상기 쿠션부재(110)는 의자에 착석하는 착석자의 등에 접촉되는 것으로, 착석자가 의자에 앉아 상기 가변형 등받이(100)에 등이 지지되면 상기 쿠션부재(110)를 통해 안락감을 느낄 수 있다. The
상기 쿠션부재(110)는 상기 프레임 부재(130)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 부재(130)는 상기 쿠션부재(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결합된다. The
상기 프레임 부재(130)와 상기 쿠션부재(110) 사이에는 상기 가변등판쉘부재(150)와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170)이 배치된다. 상기 프레임 부재(130)는 상기 쿠션부재(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 부재(130)와 상기 쿠션부재(11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가변등판쉘부재(150)와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170)이 배치될 수 있다. The variable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 부재(130)에는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170)과 맞물림 결합될 수 있는 물림치부(13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170)이 상기 프레임 부재(130)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단계적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물림치부(131)에 의해 특정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상기 물림치부(131)는 상기 프레임 부재(130)가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호 이격 형성되는 복수 개의 물림 요철(131a)과, 상기 물림 요철(131a)과 상기 물림 요철(131a) 사이에 형성되는 물림 요홈(131b)으로 이루어진다. 후술되겠지만, 상기 물림 요철(131a)은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170)에 형성된 맞물림치부의 맞물림 요홈(175b)에 결합되고, 상기 물림 요홈(131b)에는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170)에 형성된 맞물림치부(175a, 175b)의 맞물림 요철(175a)이 결합된다.The
상기 가변등판쉘부재(150)는 상기 쿠션부재(110)와 상기 프레임부재(13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가변등판쉘부재(150)는 상기 의자에 착석한 착석자의 등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착석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착석자의 등을 향한 방향으로 굴곡지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가변등판쉘부재(150)가 굴곡지게 변형되는 것은 후술될 승하강가이드수단(170)에 의해 이루어진다. The variabl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변등판쉘부재(150)는 절개 슬릿(151)과, 가이드레일홀(153)을 포함한다. 상기 절개 슬릿(151)은 상기 가변등판쉘부재(150)의 일측단이 절개되도록 상기 일측단으로부터 상기 가변등판쉘부재(150)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절개 슬릿(151)은 상기 가변등판쉘부재(150)의 횡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절개 슬릿(151)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등판쉘부재(150)의 하측이 절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2 and 3, the variabl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변등판쉘부재(150)는 상기 절개 슬릿(151)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단위쉘(150a 내지 150i)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등판쉘부재(150)에는 상기 가변등판쉘부재(150)가 굴곡지게 변형될 수 있도록 승하강가이드수단(170)이 결합된다. 상기 복수의 단위쉘(150a 내지 150i)은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170)의 상하 이동에 의해 순차적으로 굴곡되어 변형될 수 있다. 2 and 3, the variable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170)이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 착석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170)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상기 복수의 단위셀(150a 내지 150i) 중 최외측의 단위셀(150a, 150i)이 최초로 굴곡되어 변형되기 시작하고,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170)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할수록 인접하는 단위쉘들이 순차적으로 굴곡 변형되며, 최종적으로 상기 단위셀(150a 내지 150i)들 중 중앙의 단위셀(150e)이 굴곡 변형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when the elevating guide means 170 is located at the bottom, when the elevating guide means 170 starts to move upward by an occupant's operation. The
또한,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170)이 상기 가변등판쉘부재(150)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굴곡 변형되는 각각의 단위셀(150a 내지 150i)의 곡률 반경은 점점 감소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170)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상기 복수의 단위셀(150a 내지 150i) 중 최외측의 단위셀(150a, 150i)이 최초로 굴곡되어 변형되기 시작하며, 변형이 진행되면서 곡률 반경은 점점 작아져서 굴곡 변형의 정도, 즉 굽힘 정도가 커지게 된다. In addition, as the elevating guide means 170 is moved upward along the variable
한편, 상기 절개 슬릿(151)과 상기 절개 슬릿(151) 사이의 복수의 단위셀(150a 내지 150i)에는 각각 가이드레일홀(15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홀(153)은 상기 가변등판쉘부재(150)와 결합되는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170)의 상하 방향 이동을 안내한다. Meanwhil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레일홀(153)은 복수 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가이드레일홀(153)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특히, 복수 개의 상기 가이드레일홀(153) 중에서, 중앙의 단위셀(150e)에 형성된 가이드레일홀(153)의 길이가 가장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가변등반쉘부재(150)의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가이드레일홀(153)의 길이가 점점 짧아진다. 그리고 상기 중앙의 단위셀(150e)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레일홀(153)을 기준으로 나머지 상기 가이드레일홀(153)이 상호 대칭되어 형성되는데, 상호 대칭되는 상기 가이드레일홀(153)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2 and 3, the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170)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길이가 가장 짧은 가이드레일홀(153)이 형성된 최외측 단위쉘(150a 및 150i)부터 굴곡되기 시작하여 최종적으로 길이가 가장 긴 가이드레일홀(153)이 형성된 중앙의 단위셀(150e)이 굴곡되면서 각각의 단위쉘마다 곡률반경이 점차 감소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가이드레일홀(153)의 서로 다르고, 특히 중앙의 단위셀(150e)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레일홀(153)의 길이가 가장 길고, 외측으로 갈수록 단위셀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레일홀(153)의 길이가 짧아지는 구성으로 인해,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170)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외측에 배치된 단위쉘의 곡률반경보다 중앙에 배치된 단위쉘의 곡률반경이 더 크게 된다. 즉,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170)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할수록, 최외측의 단위쉘부터 먼저 굴곡 변형이 시작되면서 곡률반경의 감소가 시작되고, 이후 변형되는 단위쉘의 곡률반경보다 더 작은 곡률반경을 갖게 되어 굴곡되는 정도가 더 커지게 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elevating guide means 170 moves upwards, it starts to bend from the
이와 같이, 상기 복수의 단위셀(150a 내지 150i)의 굴곡 변형 시점이 서로 상이하고, 그 곡률반경도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변형되는 가변등판쉘부재(150)의 전체 형상이 착석자의 등을 안락하게 지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변하게 되고, 착석자는 변형되는 가변등판쉘부재(150)의 형상을 감지하면서 편암함을 느끼는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170)의 이동 조작을 멈추고 고정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ending deformation points of the plurality of
한편,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17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변등판쉘부재(150)에 결합되어 착석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가변등판쉘부재(15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170)은 물림가이드블록(171)과, 커버블록(173)과, 록킹블록(175)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elevating guide means 170, as described above is coupled to the variable back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가변등판쉘부재(150)가 상기 쿠션부재(110)를 향하는 면이 전면이고, 상기 프레임부재(130)를 향하는 면이 후면이라고 정의할 때, 상기 물림가이드블록(171)은 상기 가변등판쉘부재(150)의 전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블록(173)과 상기 록킹블록(175)은 상기 가변등판쉘부재(150)의 후면측에 배치되며, 상기 물림가이드블록(171)과 상기 커버블록(173)은 서로 결합된다. 특히 상기 록킹블록(175)은 상기 커버블록(173)과 결합될 뿐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재(130)의 물림치부(131)와도 결합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when the surface of the variable
상기 물림가이드블록(171)은 상기 가변등판쉘부재(150)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레일홀(153)의 위치에 대응되는 돌기(171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기(171a)가 상기 가이드레일홀(153)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한편, 상기 돌기(171a)에는 체결홀(171b)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물림가이드블록(171)이 후술될 상기 커버블록(173)과 결합이 되면, 상기 체결홀(171b)에 체결부재(172)를 체결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The
상기 커버블록(173)은 상기 가변등판쉘부재(150)의 후면 측에서 상기 가변등판쉘부재(150)에 결합된 상기 물림가이드블록(171)과 결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블록(173)에는 상기 커버블록(173)이 상기 가변등판쉘부재(150)를 향하는 면에 맞물림돌기(173a)가 형성된다. 상기 물림가이드블록(171)이 상기 가변등판쉘부재(150) 및 상기 커버블록(173)과 결합할 때, 상기 물림가이드블록(171)에 형성된 돌기(171a)가 상기 가변등판쉘부재(150)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레일홀(153)을 관통하면 상기 물림가이드블록(171)의 돌기(171a)가 상기 커버블록(173)의 맞물림돌기(173a)와 결합되어 고정된다. The
상기 커버블록(173)의 횡 방향 양 측에는 상기 록킹블록(175)이 결합될 수 있는 록킹블록 수용홈(173b)이 형성된다. 상기 록킹블록 수용홈(173b)에는 상기 커버블록(173)과 결합되는 록킹블록(175)의 일부가 관통하면서 수용되어 결합된다. 상기 록킹블록 수용홈(173b)은 일부가 관통하여 수용 결합된 상기 록킹블록(175)을 착석자가 조작하고자 할 때, 상기 록킹블록 수용홈(173b) 내에서 충분이 탄성 이동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Both sides of the
상기 커버블록(173)이 상기 가변등판쉘부재(150)를 향하는 면에는 상기 맞물림돌기(173a) 외에 탄성부재 지지돌기(173c)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블록(173)과 결합될 상기 록킹블록(175)은 탄성부재(177)가 고정되어 연결되며, 상기 록킹블록(175)이 가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 후에는 상기 탄성부재(177)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177)가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탄성부재(177)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커버블록(173)에 탄성부재 지지돌기(173c)가 형성되는 것이다. An elastic
상기 록킹블록(175)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블록(173)에 형성된 록킹블록 수용홈(173b)에 일부가 수용되게 결합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록킹블록(175)은 상기 커버블록(173)에 형성된 록킹블록 수용홈(173b)에 수용되는 손잡이부(175c)와 상기 프레임부재(130)의 물림치부(131)와 맞물림 결합되는 맞물림치부(175a, 175b)로 이루어진다. 상기 록킹블록(175)은 상기 손잡이부(175c)와 상기 맞물림치부(175a, 175b)가 절곡되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손잡이부(175c)는 상기 커버블록(173)의 록킹블록 수용홈(173b)에 수용되게 결합되어 상기 의자에 착석한 착석자가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17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조작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록킹블록(175)과 상기 커버블록(173) 사이에는 탄성부재(177)가 구비되어 상기 록킹블록(175)이 상기 커버블록(173)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고, 착석자는 상기 손잡이부(175c)를 상기 탄성부재(177)가 인장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그리고 착석자가 상기 록킹블록(175)의 손잡이부(175c)에서 손을 떼면 상기 탄성부재(177)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록킹블록(175)이 초기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The
보다 구체적으로는, 착석자가 상기 손잡이부(175c)를 상기 탄성부재(177)가 인장되는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상기 맞물림치부(175a, 175b)와 상기 물림치부(131)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17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반대로, 착석자가 상기 손잡이부(175c)에서 손을 떼면 상기 탄성부재(177)가 압축되어 상기 록킹블록(175)은 초기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맞물림치부(175a, 175b)와 상기 물림치부(131)는 다시 맞물림 결합되어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170)을 고정시킨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seated person pulls the
상기 맞물림치부(175a, 175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재(130)에 형성된 물림치부(131)와 맞물림 결합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맞물림치부는 상호 이격된 복수 개의 맞물림 요철(175a)과, 상기 맞물림 요철(175a)과 상기 맞물림 요철(175a) 사이에 맞물림 요홈(175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맞물림치부(175a, 175b)의 상기 맞물림 요철(175a)은 상기 물림치부(131)의 물림 요홈(131b)에 맞물리고, 상기 맞물림 요홈(175b)은 상기 물림치부(131)의 물림 요철(131a)과 맞물린다.
As described above, th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등받이(100)의 승하강가이드수단(170)의 작동방향을 도시한 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착석자에 의해 상기 록킹블록(175)의 상기 손잡이부(175c)가 상기 탄성부재(177)가 인장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도 7의 가로 방향 화살표 참조). 이때 상기 록킹블록(175)의 상기 맞물림치부(175a, 175b)는 상기 프레임부재(130)의 상기 물림치부(131)와 맞물림이 해제된다. 착석자는 상기 록킹블록(175)의 상기 손잡이부(175c)를 잡은 상태로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170)은 상 방향(도 7의 세로 방향 화살표 참조) 또는 하 방향으로 착석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을 시킨다.7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elevating guide means 170 of the
여기서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170)이 이동되면서 상기 가변등판쉘부재(150)의 변형이 발생되고, 착석자는 상기 가변등판쉘부재(150)의 굴곡 변형으로 인해 편암함을 느낄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170)을 고정시킨다. Wherein the lifting guide means 170 is moved while the deformation of the variable
즉, 착석자가 편암함을 느끼는 위치까지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170)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손잡이부(175c)에서 손을 떼면 상기 록킹블록(175)은 상기 탄성부재(177)가 압축되면서 초기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록킹블록(175)이 초기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록킹블록(175)의 맞물림치부(175a, 175b)가 상기 프레임부재(130)의 물림치부(131)와 맞물리면서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170)의 위치가 고정된다.
That is, after moving the elevating guide means 170 to a desired position until the seated person feels unbiased, when the hand is released from the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등받이를 의자에 적용하면, 의자에 착석한 착석자가 자신의 등이 지지되어 편안함과 안락감을 느낄 수 있도록 등받이의 굴곡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편안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착석자 개개인의 체형이나 안락감에 맞춰, 착석자가 직접 승하강가이드수단를 조작하여 등받이의 굴곡도를 조절할 수 때문에 다양한 착석자들의 안락감에 대응할 수 있다.
When the variable back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hair, the seated person seated on the chair can improve the comfort when seated on the chair because the back can be adjusted so that his back can be supported and feel comfortable and comfortable. have.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body shape and comfort of each seated person, the seated person can directly adjust the elevating guide by adjusting the elevating guide means can cope with the comfort of the various seated peopl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 시트부재 3: 팔걸이
5: 다리부재 100: 가변형 등받이
110: 쿠션부재 130: 프레임 부재
131: 물림치부 150: 가변등판쉘부재
151: 절개 슬릿 153: 가이드레일홀
170: 승하강가이드수단 171: 물림가이드블록
173: 커버블록 175: 록킹블록
177: 탄성부재 1: seat member 3: armrest
5: leg member 100: variable backrest
110: cushion member 130: frame member
131: bite portion 150: variable back shell member
151: incision slit 153: guide rail hole
170: descending guide means 171: bite guide block
173: cover block 175: locking block
177: elastic member
Claims (11)
상기 착석자의 등에 접촉되는 쿠션부재;
상기 쿠션부재의 둘레 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프레임부재;
상기 쿠션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고 상기 착석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착석자의 등을 향한 방향으로 굴곡되어 변형되는 가변등판쉘부재; 및
상기 가변등판쉘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가변등판쉘부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승하강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A chair having a variable backrest for supporting a seated person's back,
A cushion member in contact with the seated person's back;
A frame member coupl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ushion member;
A variable back shell member provided between the cushion member and the frame member to support the seated person's back and bend and deform in a direction toward the seated person's back by the seated person's operation; And
Coupled to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the chair having a variable backres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fting guide means for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상기 가변등판쉘부재는,
상기 가변등판쉘부재의 일측단이 절개되도록 상기 일측단으로부터 상기 가변등판쉘부재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가변등판쉘부재의 횡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복수 형성되는 절개 슬릿; 및
상기 절개 슬릿과 상기 절개 슬릿 사이에 상기 가변등판쉘부재와 결합되는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의 상하 방향 이동을 안내하도록 복수 개 형성된 가이드레일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A cutting slit formed along the vertical length direction of the variable back plate shell member from one side end such that one end of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is cut,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of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And
And a plurality of guide rail holes formed between the incision slit and the incision slit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elevating guide means coupled with the variable back plate shell member.
상기 가변등반쉘부재의 중앙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레일홀의 길이가 가장 길게 형성되며, 상기 가변등반쉘부재의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가이드레일홀의 길이가 점점 짧아지며, 상기 가변등판쉘부재의 중앙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레일홀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상기 가이드레일홀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length of the guide rail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variable climbing shell member is formed longest, the length of the guide rail hole is gradually shortened toward the outside of the variable climbing shell member, the guid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variable climbing shell member Chairs having a variable backrest,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guide rail hol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rail hole is formed in the same.
상기 가변등판쉘부재는 상기 절개 슬릿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단위쉘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쉘은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의 상하 이동에 의해 순차적으로 굴곡되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shells partitioned by the incision slits,
The plurality of unit shell is a chair having a variable backres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ent and deformed sequentially b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elevating guide means.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이 상기 가변등판쉘부재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단위셀 중 최외측의 단위셀이 최초로 굴곡되어 변형되기 시작하고, 인접하는 단위쉘들이 순차적으로 굴곡 변형되면서 상기 복수의 단위셀 중 중앙의 단위셀이 최후에 굴곡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The method of claim 4,
As the elevating guide means moves upward along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the outermost unit cell of the plurality of unit cells is first bent and deformed, and adjacent unit shells are sequentially bent and deformed. A chair having a variable backrest,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unit cell of the plurality of unit cells are bent and deformed last.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이 상기 가변등판쉘부재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굴곡 변형되는 각각의 단위셀의 곡률 반경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The method of claim 4,
As the lifting and lowering guide means is moved upward along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the radius of curvature of each unit cell to be bent and deformed is reduced.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이 상기 가변등판쉘부재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최외측에 배치된 단위쉘의 곡률반경보다 중앙에 배치된 단위쉘의 곡률반경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The method of claim 4,
As the elevating guide means is moved upward along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unit shell disposed in the center is larg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unit shell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One chair.
상기 프레임부재에는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이 상하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물림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member is a chair having a variable backrest,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lifting and lowering guide means can be moved stepwise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물림치부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된 물림 요철; 및
상기 물림 요철과 상기 물림 요철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물림 요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bite portion,
A plurality of bite bumps form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And
A chair having a variable backres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bite grooves formed between the bite irregularities and the bite irregularities.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은,
상기 가이드레일홀의 위치에 대응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가이드레일홀을 관통하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가변등판쉘부재의 전면에 결합되는 물림가이드블록;
상기 물림가이드블록의 상기 돌기와 결합되는 돌기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변등판쉘부재의 후면에 결합되는 커버블록; 및
상기 커버블록에 일부가 수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물림치부와 맞물림되어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맞물림치부가 형성된 록킹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elevating guide means,
A protrusion guide block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guide rail hole, the protrusion penetrating the guide rail hole, and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by a fastening member;
A cover block coupled to the protrusion of the bite guide block, the cover block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And
And a locking block coupled to the cover block so as to be accommodated, the locking block having an engaging portion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bite and fix the position of the elevating guide means.
상기 록킹블록과 상기 커버블록 사이에는 상기 록킹블록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가 인장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인장 방향으로 상기 록킹블록이 이동하여 상기 물림치부와 상기 맞물림치부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면 상기 록킹블록이 초기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물림치부와 상기 맞물림치부가 맞물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The method of claim 10,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cking block is provided between the locking block and the cover block.
When the elastic member is tensioned, the locking block is moved in the tension direction of the elastic member to release engagement between the bite portion and the engagement portion.
And the locking block returns to an initial position when the elastic member is compressed so that the engagement portion and the engagement portion engage with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2326A KR20140004925A (en) | 2012-07-03 | 2012-07-03 | A chair having a variable back res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2326A KR20140004925A (en) | 2012-07-03 | 2012-07-03 | A chair having a variable back res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4925A true KR20140004925A (en) | 2014-01-14 |
Family
ID=50140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72326A Ceased KR20140004925A (en) | 2012-07-03 | 2012-07-03 | A chair having a variable back res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04925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4669B1 (en) * | 2014-10-02 | 2015-01-20 | 부호체어원(주) | Apparatus for adjusting support position of lumbar |
KR101581333B1 (en) * | 2015-07-31 | 2015-12-31 |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 Back of chair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
KR20210063789A (en) * | 2019-11-25 | 2021-06-02 |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 Transformable seatback |
KR20230089424A (en) * | 2021-12-13 | 2023-06-20 |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A posture correction chair that helps maintain the right posture |
-
2012
- 2012-07-03 KR KR1020120072326A patent/KR20140004925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4669B1 (en) * | 2014-10-02 | 2015-01-20 | 부호체어원(주) | Apparatus for adjusting support position of lumbar |
KR101581333B1 (en) * | 2015-07-31 | 2015-12-31 |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 Back of chair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
KR20210063789A (en) * | 2019-11-25 | 2021-06-02 |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 Transformable seatback |
KR20230089424A (en) * | 2021-12-13 | 2023-06-20 |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A posture correction chair that helps maintain the right pos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594046B2 (en) | Posture support device | |
US6283551B1 (en) | Pivoting armrest with cupholder | |
KR102206733B1 (en) | Chair lumbar support device capable of three-dimensional position adjustment | |
KR20140013899A (en) | Control device for chair | |
KR101976348B1 (en) | Mesh type chair | |
JP2008506486A (en) | Chairs, especially office chairs | |
JP7514276B2 (en) | Chair with lumbar support | |
KR101009490B1 (en) | A chair having a moving structure of a seat plate portion in which a sitting position is adjusted | |
KR20140004925A (en) | A chair having a variable back rest | |
KR102111209B1 (en) | Back cushion | |
KR101733982B1 (en) | Chair including lumbar support | |
KR200469537Y1 (en) | Back of chair having lumbar support | |
JP2002119364A (en) | Chair | |
JP5054917B2 (en) | Chair | |
KR101296612B1 (en) | Waist support for chair back | |
JP5116948B2 (en) | Chair backrest device | |
JP5600151B2 (en) | Chair backrest device | |
JP4255804B2 (en) | Chair | |
CN210810080U (en) | Chair with adjustable waist rest height and chair back thereof | |
KR101069769B1 (en) | chair | |
JP2006280416A (en) | Backrest device for chair | |
KR101052551B1 (en) | chair | |
KR101974525B1 (en) | Backrest Chair | |
JP6059505B2 (en) | Lumber support device and chair provided with the same | |
JP4563111B2 (en) | Chair backres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403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9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