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04434U - 조명수단이 구비된 상향 도장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수단이 구비된 상향 도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434U
KR20140004434U KR2020130000390U KR20130000390U KR20140004434U KR 20140004434 U KR20140004434 U KR 20140004434U KR 2020130000390 U KR2020130000390 U KR 2020130000390U KR 20130000390 U KR20130000390 U KR 20130000390U KR 20140004434 U KR20140004434 U KR 201400044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ver plate
opening
control unit
pain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3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03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4434U/ko
Publication of KR201400044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434U/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07At least a part of the apparatus, e.g. a container, being provided with means, e.g. wheels, for allowing its displacement relative to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2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working pl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향 도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프레임과 도료분사부 및 제어유닛이 구비된 상향 도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의 커버플레이트 양측면에 조명장치를 각각 구비하되, 상기 조명장치는 내부가 비어 있고 전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일측면이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측면에 축 결합되어 각도 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설되어 전방을 조명하는 광원부, 및 상기 하우징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투명커버로 구성됨으로써, 블록(block) 등의 상향 도장 작업시 전방을 조명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어두운 장소에서 이동이 용이한 조명수단이 구비된 상향 도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명수단이 구비된 상향 도장장치{Overhead spray machine with lighting device}
본 고안은 상향 도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향 도장장치의 양측면에 각도 조정이 가능한 조명수단을 설치하여 블록 등의 도장 작업시나 이동시 전방을 조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명수단이 구비된 상향 도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건조 과정은 먼저 선체 구조와 격벽 등의 기본 설계가 완료되면, 상기 설계에 따라 강재를 절단하고 블록(Block) 단위로 조립하게 되며, 또한 상기 블록을 드라이 도크(Dry dock)에서 블록 단위로 용접하여 탑재시킴으로써 선체를 완성하고, 이 후 선박에 필요한 각종 장비와 의장품 등의 탑재 공정을 거친 후, 마무리 도장을 실시하고 해상으로 진수시켜 시운전하는 절차를 거치게 된다.
여기서 블록의 하면 도장을 실시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상향 도장장치(Overhead spray machine)가 사용되고 있다.
상향 도장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베이스프레임(100) 상에 도료분사부(200)와 제어유닛(300)이 설치된 것으로서, 도료를 상향 분사시켜 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도장장치이다.
따라서 상향 도장장치는 도료분사부(200)에 구비된 다수의 오토건(210)을 통해 도료를 상방향으로 분사하여 블록의 하면 도장을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블록(block)의 상향 도장 작업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블록을 다수의 서포트(support)로 지지시킨 후, 블록 하부에서 상향 도장 작업을 실시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어두운 작업 환경에서 도장 작업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단순 상향 도장장치는 별도의 전방 조명용 램프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작업 편의성이 현저히 떨어질 뿐 아니라, 도장 작업시나 이동시 안전 사고의 우려가 있어 작업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상향 도장장치에 구비되는 제어유닛의 커버플레이트 양측면에 각도 조정이 가능한 전방 조명용 조명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도장 작업시 전방 조명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 조명수단이 구비된 상향 도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베이스프레임과 도료분사부 및 제어유닛이 구비된 상향 도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의 커버플레이트 양측면에 조명수단을 각각 구비하되, 상기 조명수단은 내부가 비어 있고 전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일측면이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측면에 축 결합되어 각도 조정이 가능하도록 밀착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설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방을 조명할 수 있는 램프가 구비된 광원부, 및 상기 하우징의 전면 개구부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투명커버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축결합부재를 상기 일측면에 구비하고, 상기 축결합부재가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측면에 관통 결합되어 각도 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투명커버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 일측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는 회전걸이구를 설치하여 상기 회전걸이구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조명램프가 구비된 복수의 조명수단을 이용하여 전방 조명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도장작업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동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상향 도장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구비된 조명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명수단이 상향 도장장치에 설치된 상태의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조명수단이 구비된 상향 도장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상향 도장장치에 두 개의 조명수단을 설치하여 상대적으로 어두운 장소에서의 도장 작업이나 이동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향 도장장치에 설치되는 제어유닛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하여 전방을 효과적으로 조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상향 도장장치를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상향 도장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도장장치는 개략적으로 베이스프레임(100)과 제어유닛(300) 및 도료분사부(200)로 이루어져 있으며, 베이스프레임(100) 하면에는 다수의 바퀴(110)가 설치되어 있어 작업 현장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료분사부(200)에는 도료를 상향 분사시킬 수 있는 다수의 오토건(210)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향 도장장치에는 이동을 위한 구동모터나 콤프레셔 등의 부설 장비들이 베이스프레임(100)에 설치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오토건(210)을 통해 도료를 상향 분사시킴과 동시에 핸들(320)을 이용하여 상향 도장장치를 이동시키면서 블록(block)의 도장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조명수단(1)은 상향 도장장치의 전방 조명이 용이하도록 제어유닛(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플레이트(310)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조명수단이 구비된 상향 도장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구비된 조명수단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도 2의 조명수단이 상향 도장장치에 설치된 상태의 부분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조명수단이 구비된 상향 도장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조명수단(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광원부(30) 및 투명커버(50)로 구성된다.
하우징(10)은 도장장치의 제어유닛(300) 상부에 구비된 커버플레이트(310)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부가 비어 있고 전면에는 개구부(15)가 형성된 일정 깊이의 수납 케이스 형태로 구비된다.
여기서 하우징(10)은 커버플레이트(310)의 측면에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부에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결합면(12)이 형성된다.
이때 결합면(1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플레이트(3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일정 길이의 축결합부재(13)가 설치된다.
축결합부재(13)는 하우징(10)이 커버플레이트(310)의 측면에 축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하우징(10)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각도 조정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축결합부재(13)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설치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는 하우징(10)의 결합면(12)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부는 커버플레이트(310)의 측면을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한 후, 선단부에 고정구(14)를 나사 결합시켜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고정구(14)는 결합이 용이하도록 나비 너트(wing nut)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10)의 결합면(12)을 커버플레이트(310)의 측면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체결 부재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광원부(30)가 원하는 방향을 조명할 수 있도록 하우징(10)을 이에 상응하는 각도로 조정한 후, 고정구(14)를 축결합부재(13)에 견고하게 체결하여 하우징(10)을 원하는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하우징(10)의 결합은 상기와 같은 구조 외에도 하우징(10)을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회전/고정시킬 수 있는 일반적인 다양한 형태의 체결구조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광원부(30)는 상향 도장장치의 전방을 조명할 수 있도록 하우징(10) 내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조명램프(31)가 하우징(10)의 개구부(15)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광원부(30)는 조명램프(31)의 빛이 하우징(10)의 개구부(15)를 통해 전방을 효과적으로 조명할 수 있도록 리플렉터(reflector)(35)가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조명램프(31)는 일반적인 전구 또는 엘이디(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광원부(30)는 별도의 전원라인을 통해 전원공급부(도시하지 않음)와 제어유닛(300)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하우징(10)의 개구부(15)에는 투명커버(50)가 설치된다.
투명커버(50)는 투명 플라스틱 소재의 평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단부는 하우징(10)의 결합면(12)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20) 결합되고, 타단부는 하우징(10)의 외측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회전걸이구(60)가 설치된다.
여기서 회전걸이구(60)는 하우징(10)의 외측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중앙부가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단은 투명커버(50)의 선단에 힌지(65)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은 하우징(10)의 외측면에 결합시킨다.
이때 회전걸이구(60)의 단부에는 일정 길이의 장공(67)을 세로 방향으로 설치하고, 하우징(10)의 외측면에는 장공(67)에 끼워질 수 있도록 홀더(25)를 설치한다.
여기서 홀더(25)는 화살표와 같이 헤드부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함으로써, 회전걸이구(67)의 장공(67)에 삽입시킨 후, 헤드부를 직각으로 회동시켜 회전걸이구(67)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조명수단(1)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도장장치의 제어유닛(300)의 커버플레이트(310) 양측면에 서로 대칭되도록 설치되어 상향 도장장치의 전방을 조명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작업자는 조명수단(1)의 각도를 조정하여 조명 방향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향 도장장치에 구비된 제어유닛(300)의 커버플레이트(310) 양측면에 설치된 조명수단(1)을 이용하여 상향 도장장치의 전방을 조명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어두운 작업 현장에서의 도장 작업시나 이동시 전방을 조명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도장 작업의 편의성 향상은 물론 작업 안전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상기의 실시 예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서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조명수단 10 : 하우징
12 : 결합면 13 : 축결합부재
14 : 고정구 15 : 개구부
20,65 : 힌지 25 : 홀더
30 : 광원부 31 : 조명램프
35 : 리플렉터 50 : 투명커버
60 : 회전걸이구 67 : 장공
100 : 베이스프레임 110 : 바퀴
200 : 도료분사부 210 : 오토건
300 : 제어유닛 320 : 핸들

Claims (3)

  1. 베이스프레임과 도료분사부 및 제어유닛이 구비된 상향 도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의 커버플레이트 양측면에 조명수단을 각각 구비하되,
    상기 조명수단은,
    내부가 비어 있고 전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일측면이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측면에 축 결합되어 각도 조정이 가능하도록 밀착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설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방을 조명할 수 있는 조명램프가 구비된 광원부; 및
    상기 하우징의 전면 개구부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투명커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수단이 구비된 상향 도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축결합부재를 상기 일측면에 구비하고, 상기 축결합부재가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측면에 관통 결합되어 각도 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수단이 구비된 상향 도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커버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 일측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는 회전걸이구를 설치하여 상기 회전걸이구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수단이 구비된 상향 도장장치.
KR2020130000390U 2013-01-16 2013-01-16 조명수단이 구비된 상향 도장장치 Pending KR201400044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390U KR20140004434U (ko) 2013-01-16 2013-01-16 조명수단이 구비된 상향 도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390U KR20140004434U (ko) 2013-01-16 2013-01-16 조명수단이 구비된 상향 도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434U true KR20140004434U (ko) 2014-07-24

Family

ID=52445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390U Pending KR20140004434U (ko) 2013-01-16 2013-01-16 조명수단이 구비된 상향 도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443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843B1 (ko) * 2023-06-20 2024-04-09 주식회사 월드케미칼 차량 보수 도장방법
KR102655842B1 (ko) * 2023-06-20 2024-04-09 주식회사 월드케미칼 차량 보수 도장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843B1 (ko) * 2023-06-20 2024-04-09 주식회사 월드케미칼 차량 보수 도장방법
KR102655842B1 (ko) * 2023-06-20 2024-04-09 주식회사 월드케미칼 차량 보수 도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9196B1 (en) Light assembly for spray paint gun
CN204396254U (zh) 容器内表面自动喷涂装置
CN211949436U (zh) 一种建筑施工用室内喷涂装置
RU2016114095A (ru) Пистолет для шланга
KR20140004434U (ko) 조명수단이 구비된 상향 도장장치
KR20130041004A (ko) 쉴드 스테이와 헤드가 일체형으로 된 자동차 램프 쉴드용 자동 페인팅 장치
CN105921335A (zh) 一种塑料桶喷漆烘干机构
CN209465241U (zh) 一种用于汽车表漆喷补装置
CN211992669U (zh) 一种汽车引擎盖加工用夹持机构
US20160008941A1 (en) Blast nozzle targeting apparatus
KR200316838Y1 (ko) 자동차 전조등의 램프쉐이드 자동 페인팅장치
US20200393117A9 (en) Method and system for illuminating a work area
US20120118121A1 (en) Miter saw with working lamp
CN109718970B (zh) 一种用于蓄电池壳的喷漆装置
CN103672674A (zh) 灯具
CN203963724U (zh) 可调节照射方向的led天花灯
JPH11253851A (ja) 塗装用アタッチメント
CN204294409U (zh) 组合运动式汽车保险杠喷涂工装
KR20160001771A (ko) 도장로봇용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장로봇
KR102450761B1 (ko) 절삭가공장치
CN114011621B (zh) 智能喷涂装置
CN108855697A (zh) 一种汽车方向盘盘体喷涂设备
CN210646955U (zh) 一种方便全方位喷涂的喷涂治具
CN102829440B (zh) 摇摆式照明装置
US20160178171A1 (en) Lights on a track with braking fea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0116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