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070U - Outer socke for preventing horny - Google Patents
Outer socke for preventing horn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04070U KR20140004070U KR2020120012169U KR20120012169U KR20140004070U KR 20140004070 U KR20140004070 U KR 20140004070U KR 2020120012169 U KR2020120012169 U KR 2020120012169U KR 20120012169 U KR20120012169 U KR 20120012169U KR 20140004070 U KR20140004070 U KR 20140004070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tern
- foot
- sewing
- along
- li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10000003371 to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10000004744 fore-foo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1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12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780 kerati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02000011782 Kerat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76876 Kerat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434 stratum corneum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2287 Keratocon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2883 Tumor Necrosis Factor Ligand Superfamily Member 14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5158 Tumor Necrosis Factor Ligand Superfamily Member 14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53 anti-keratin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66 anti-perspi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13 antiperspi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0 moistu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08 shea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16 zygoma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0—Stocking protector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8—Hosiery with an anti-slip coat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20—Air permeability; Venti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2—Therapeutic use
- A41B2400/322—Massag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500/00—Materials for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질 방지용 덧버선에 관한 것으로, 발등을 감싸며 다수의 관통 홀이 형성되는 발등 패턴과, 복사뼈의 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 패턴과, 상기 측면 패턴과 발등 패턴을 재봉하여 일체로 형성하되 발등 패턴의 후단을 따라 한 쌍의 측면 패턴을 중첩시켜 트임을 형성시키는 제 1 재봉선과, 발가락에서 발바닥을 지나 복사뼈가 위치한 발목까지 연장되며 지면과 대면하는 앞꿈치와 뒤꿈치에 논슬립 부재가 마련되며, 앞꿈치와 뒤꿈치 사이의 아치에 지압 부재가 마련되는 바닥 패턴 및 상기 바닥 패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발등 패턴과 측면 패턴을 재봉하여 일체로 형성시키는 제 2 재봉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방지용 덧버선이 개시된다. 이에 따라서, 2회의 재봉에 의해 덧버선을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벗고 신기 편리하고 땀을 신속하게 건조시켜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keratoprotic padding, which comprises a foot pattern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to surround a foot, a pair of side patterns formed on a side of a radiating bone, and a side pattern and a foot pattern, A first seam line that overlaps a pair of side patterns along a trailing edge of the foot pattern to form a trim; a non-slip member extending from the toe to the ankle where the trabecular bone is located and extending from the toe to the toe, And a second sewing line for sewing the foot pattern and the side pattern along the edge of the bottom pattern and integrally forming the second sewing line integrally with the foot patter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padding by two times of sewing, which not only improves the productivity but also facilitates the wearing off and drying of the sweat quickly, so that odor does not occur.
Description
본 고안은 각질 방지용 덧버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등을 덮는 발등 패턴에 다수의 관통 홀을 형성하고, 이러한 발등 패턴은 한 쌍의 측면 패턴과 재봉되며, 이렇게 재봉된 일체로 형성된 발등 패턴 및 측면 패턴이 바닥 패턴과 재봉됨으로써, 땀을 신속하게 건조시켜 악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최소의 공수로 덧버선을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각질 방지용 덧버선에 관한 것이다.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keratomotive append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enetration hole formed in a foot pattern covering a foot, such a foot pattern being sewn with a pair of side patter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perspirant for improving the productivity because the sweat is quickly dried by sewing the side pattern with the bottom pattern so that odor is not generated and the pad can be manufactured with a minimum number of air holes.
일반적으로 발바닥 피부의 각질화(角質化, keratinization)는 피부의 표피 외층이 경 단백질인 케라틴(keratin)화 되는 현상으로 피부조직의 노화 또는 생리적인 현상에 의하여 발바닥이 각질화 된다.Generally, the keratinization of the soles of the soles (keratinization) is a keratinization of the outer skin of the skin as a light protein, and the soles of the soles are keratinized by aging or physiological phenomenon of the skin tissue.
부연하자면, 발바닥 피부의 각질은 피부의 물리적 자극과 수분 부족(피부 건조증)이 주된 원인으로써, 하이힐과 같은 굽이 높은 신발을 자주 착용하게 되면 발바닥에 물리적 자극이 가해지고 이러한 자극이 지속되는 경우 신체는 이를 보호하기 위해 각질층을 형성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keratin of the soles of the feet is caused by the physical stimulation of the skin and the lack of water (dryness of the skin). When the heeled shoes such as high heels are frequently worn, physical stimulation is applied to the soles. To protect it, it forms a stratum corneum.
또한, 발바닥은 우리 몸의 피부 중에서도 피지 분비가 적고 각질층이 두꺼워 각질이 잘 일어나는 부위로, 특히 오랜 시간 서 있거나 걷는 경우에는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굳은살이 쉽게 생기게 된다.In addition, the sole of the body of our body is less sebaceous secretion, thicker the stratum corneum is thicker part of the horny, especially when standing or walking for a long time because the blood circulation is not smooth and easy to flesh.
특히, 겨울에는 춥고 건조한 날씨로 인해 피부의 수분이 부족해지며 이러한 물리적 자극과 건조함에 의해 발바닥의 각질이 굳은살로 변하게 되고, 이 굳은살이 갈라져 틈새가 벌어지게 되면 갈라진 피부를 통해 세균이 감염되어 2차 합병증(合倂症)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In winter, cold and dry weather causes the lack of moisture in the skin. By this physical stimulation and drying, the keratin of the sole becomes hardened flesh. When this hard flesh is split and the gap is opened, the bacteria are infected through the cracked skin, Causing problems such as complications (syneresis).
이에 따라서, 발바닥에 보습성이 있는 커버가 씌워지도록 하여 발바닥의 각질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덧버선이 선행기술로 제안되었다. 이를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Accordingly, a padding has been proposed as a prior art in which a sole cover is covered with a moisturizing cover to prevent the sole from being stratified.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덧버선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선행기술에 따른 덧버선(1)은 발바닥부와 발등 및 측면부(20)로 각각 재단 및 재봉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상기 발등 및 측면부(20)는 발 뒤꿈치부(30)를 제외하는 전면에 땀 배출을 위한 다수개의 통풍구(21)가 마련되는 한편, 상기 발등 및 측면부(20)는 내, 외측면에 통기성 및 신축성을 갖는 천(22)이 부착되어 재봉되는 구조를 갖는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d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The padding 1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manufactured by cutting and sewing the foot portion, the foot portion and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덧버선(1)은 각질이 재발할 수 있는 발바닥과 발 뒤꿈치를 제외한 부분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는 있지만 신고 벋는데 불편함이 있다.However, the padding 1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can improve the feeling of wearing of the portion except for the soles and heels where the skin may recur, but it is inconvenient to report.
또한, 발등 및 측면부(20)의 내, 외측면에 통기성 및 신축성을 갖는 천(22)이 부착되어 있지만 상기 천(22)의 통기성에 한계가 있어 발등 내지 발가락 사이에서 발생하는 땀이 덧버선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남아 악취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Although the
그리고, 선행기술에 따른 덧버선의 경우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돌기가 저면에 형성되지만 이러한 돌기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미세한 직경(대략 0.5~2㎜)을 갖는 반구의 형태로 덧버선 저면의 전체 영역에 걸쳐 분포된다.In the case of the padd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projection for preventing slippag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but these projections are distribut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overlapping portion in the form of a hemisphere having a fine diameter (approximately 0.5 to 2 mm) made of synthetic resin.
이때, 상기 돌기는 덧버선의 저면에 접착되기 때문에 덧버선을 신고 보행하거나 덧버선이 오염되어 세탁하는 경우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돌기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protrusions are adher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ppos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trusions for slip prevention fall when the apposition is walked or the dirt is contaminated and washed.
특히, 선행기술에 따른 덧버선은 발등 및 측면부와 발 뒤꿈치부를 일체로 재봉하여 발의 형태에 맞는 형상을 갖도록 수차례에 걸쳐 재봉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Particularly, the padd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productivity is low because the foot, the side portion and the heel portion are integrally sewn together and sewed several times so as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oot shape.
부연하자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기술의 덧버선(1)은 발등을 감싸는 발등부와 발가락과 뒤꿈치를 일체로 감싸는 바닥부 및 발의 양측면을 감싸는 측면부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the paddle 1 of the prior art comprises a foot portion for covering the foot, a bottom for integrally covering the toe and the heel, and a side portion for covering both sides of the foot.
이때, 상기 발등부와 바닥부가 1차 재봉되며 일측의 측면부가 발등부 및 바닥부와 2차 재봉된다. 또한, 2차 재봉된 측면부의 반대쪽에 위치한 타측의 측면부가 발등부 및 바닥부와 3차 재봉됨으로써, 덧버선의 형태를 갖추도록 재봉하는 과정이 많아 덧버선을 신속하게 생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At this time, the foot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are firstly sewn, and one side portion is secondarily sewn to the foot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quickly produce stitches because the side of the other side, which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ary sewed side portion, is thirdly sewn to the stalk and the bottom portion.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신고 벗기 편리한 구조를 갖는 각질 방지용 덧버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nti-keratoconus having a convenient structure for a user to wear off and peel off.
또한, 발등과 발가락이 인접한 부분의 통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각질 방지용 덧버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ntioxidant padding which can further improve air permeability of the foot and adjacent parts of the toe.
또한, 덧버선의 저면으로부터 논슬립 부재가 떨어지지 않도록 형성되는 각질 방지용 덧버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nti-corrugation pad which is formed so that the non-slip member does not fall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ad.
그리고, 여러 조각으로 이루어진 덧버선을 발의 형태에 맞도록 재봉할 때 최소의 재봉선을 갖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각질 방지용 덧버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i-horny padding which can improve productivity by having a minimum number of seams when sewing a plurality of pieces of padding to fit the foot shap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발등을 감싸며 다수의 관통 홀이 형성되는 발등 패턴과, 복사뼈의 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 패턴과, 상기 측면 패턴과 발등 패턴을 재봉하여 일체로 형성하되 발등 패턴의 후단을 따라 한 쌍의 측면 패턴을 중첩시켜 트임을 형성시키는 제 1 재봉선과, 발가락에서 발바닥을 지나 복사뼈가 위치한 발목까지 연장되고 지면과 대면하는 앞꿈치와 뒤꿈치에 논슬립 부재가 마련되며, 앞꿈치와 뒤꿈치 사이의 아치에 지압 부재가 마련되는 바닥 패턴 및 상기 바닥 패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발등 패턴과 측면 패턴을 재봉하여 일체로 형성시키는 제 2 재봉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방지용 덧버선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adlamp comprising: a headlamp pattern surrounding a foot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 pair of side patterns formed on a side of the radioulnth; A first seam line which is formed by sewing and integrally forming a pair of side patterns along a trailing end of the foot pattern to form a trim; and a non-slip line extending from the toe to the ankle where the bone is located, And a second sewing line for sewing the foot pattern and the side pattern along the edge of the bottom pattern so as to integrally form the floor pattern. Prevention < / RTI >
여기서, 상기 발등 패턴과 측면 패턴은 통기 홀이 분포된 완충부재의 외면과 내면에 직물이 부착된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oot pattern and the side pattern are formed of a fabric having a fabric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ushioning member having the vent holes.
또한, 상기 논슬립 부재는 상기 바닥 패턴의 마찰계수보다 큰 재질로 이루어진 마찰층과, 상기 마찰층과 바닥 패턴 사이에 개재되어 마찰층을 바닥 패턴으로부터 도톰하게 돌출시키는 수지층 및 상기 마찰층의 가장자리를 따라 바닥 패턴을 재봉하여 일체로 형성시키는 제 3 재봉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on-slip member may include a friction layer made of a material having a coefficient of friction larger than that of the bottom pattern, a resin layer sandwiched between the friction layer and the bottom pattern and projecting the friction layer from the bottom pattern, and an edge of the friction layer And a third seam line which is formed integrally by sewing the bottom pattern.
또한, 상기 지압 부재는 상기 발등 패턴과 측면 패턴의 외면과 내면에 부착된 직물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발바닥과 대면하는 발등 패턴의 내측에 위치하는 안감과, 상기 안감과 바닥 패턴 사이에 개재되어 안감을 바닥 패턴으로부터 도톰하게 돌출시키는 수지층 및 상기 안감의 가장자리를 따라 바닥 패턴을 재봉하여 일체로 형성시키는 제 4 재봉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essure-applying member may include a lining which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abric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oe pattern and the side pattern, and is located inside the toe pattern facing the sole of the user, And a fourth seam line which is integrally formed by sewing the bottom pattern along the edge of the lining.
이때, 상기 수지층은 접착력을 갖고 건조 후 완충력이 발휘되는 접착용 합성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sin layer is an adhesive synthetic resin having an adhesive force and exhibiting a buffering force after drying.
본 고안에 의한 각질 방지용 덧버선은, 발등 패턴과 한 쌍의 측면 패턴 및 바닥 패턴이 2번의 재봉에 의해 제조되기 때문에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발등 패턴에 한 쌍의 측면 패턴이 재봉될 때 측면 패턴이 겹쳐지게 포개진 상태에서 재봉되어 측면 패턴과 측면 패턴 사이에 트임이 형성되어 덧버선을 신고 벗기에 편리하다.Since the foot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quickly because the foot pattern, the pair of side patterns and the bottom pattern are manufactured by two stitches, not only the productivity is improved, but also a pair of side patterns When sewing, side patterns are superimposed so as to overlap with each other, so that a trim is formed between the side pattern and the side pattern, which is convenient for peeling off the pebbles.
또한, 땀의 발생이 많고 환기가 어려운 발등과 발가락이 인접한 발등 패턴에 관통 홀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발등 패턴 및 측면 패턴의 원단 자체에 의한 통기성 외에 관통 홀에 의한 통기성이 향상되어 땀을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으며 덧버선의 내부를 신속하게 환기시켜 악취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foot pattern adjacent to the toe of which the sweat is much generated and the toe is difficult to ventilate, the air permeability by the through holes is improved in addition to the air permeability by the fabric itself of the foot pattern and the side pattern, So that the inside of the stuffing box is quickly ventilated, thereby preventing odor from being generated.
그리고, 바닥 패턴에 저면에 마련되는 논슬립 부재가 수지층에 의해 마찰층과 바닥 패턴이 접착되고 상기 마찰층은 재봉에 의해 바닥 패턴과 다시 한번 부착되기 때문에 접착과 재봉에 의한 2중 접합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되어 장시간 덧버선을 사용하더라도 논슬립 부재가 떨어지지 않는다.
Since the friction layer and the bottom pattern are adhered to each other by the resin layer and the friction layer is once again attached to the bottom pattern by sewing, the non-slip member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attern is firmly bonded by double bonding by adhesion and sewing So that the non-slip member does not fall even when a long-time padding is used.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덧버선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각질 방지용 덧버선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각질 방지용 덧버선의 저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각질 방지용 덧버선의 재봉 전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고안에 따른 각질 방지용 덧버선 중 발등 패턴에 형성되는 관통 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d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nti-keratinizing b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above. FIG.
Fig. 3 is a photograph showing the undersurface of an antiphlogic shea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cutting of the diaper for preventing an exorc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A to 8E are plan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foot pattern of the peeling preventing str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design in the best possible way It must be construed as a meaning and a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각질 방지용 덧버선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각질 방지용 덧버선의 저면을 나타낸 사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nti-keratomotive append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and FIG. 3 is a photograph showing the underside of the anti-keratinous append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각질 방지용 덧버선의 재봉 전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corrugated barrier ri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sewing.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각질 방지용 덧버선(100)은 크게 발등을 감싸며 다수의 관통 홀(112)이 형성되는 발등 패턴(110)과, 복사뼈의 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 패턴(120)과, 상기 측면 패턴(120)과 발등 패턴(110)을 재봉하여 일체로 형성하되 발등 패턴(110)의 후단을 따라 한 쌍의 측면 패턴(120)을 중첩시켜 트임(102)을 형성시키는 제 1 재봉선(130)과, 발가락에서 발바닥을 지나 복사뼈가 위치한 발목까지 연장되며 지면과 대면하는 앞꿈치와 뒤꿈치에 논슬립 부재(142)가 마련되며, 앞꿈치와 뒤꿈치 사이의 아치에 지압 부재(144)가 마련되는 바닥 패턴(140) 및 상기 바닥 패턴(14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발등 패턴(110)과 측면 패턴(120)을 재봉하여 일체로 형성시키는 제 2 재봉선(150)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n
부연하자면, 상기 발등 패턴(110)은 발등을 감싸며 다수의 관통 홀(112)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 패턴(12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복사뼈의 측면을 감싸도록 재단된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은 발등 패턴(110)과 측면 패턴(120)은 땀의 배출은 원활하게 하고, 신고 벗기 편리하도록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발등 패턴(110)과 측면 패턴(120)은 미세한 통기 홀(106)이 형성된 완충부재(104)의 외면과 내면에 직물(108)이 부착된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The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완충부재(104)는 스폰지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져 외력이 가해졌을 때 압축되었다가 외력이 사라지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며, 대략 0.5~2㎜ 정도의 지름을 갖는 미세한 통기 홀(106)이 분포된다.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104)의 양 측면에 직물(108)이 부착되는데, 상기 직물(108)은 신축성을 갖으며 완충부재(104)에 형성된 통기 홀(106)을 통해 흐르는 공기의 소통을 방해하지 않는 조직을 갖는다.The
한편, 상기 발등 패턴(110)에는 관통 홀(112)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 홀(112)은 완충부재(104)에 형성된 통기 홀(106)에 비해 매우 큰 크기를 갖는다. 이와 같이 발등 패턴(110)에 관통 홀(112)이 형성되면 발등 패턴(110)이 발등에 덮였을 때 피부가 관통 홀(112)을 통해 외부로 직접 노출된다.The through
이렇게, 관통 홀(112)을 통해 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발등에서 발생하는 땀을 통기 홀에 비해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관통 홀(112)을 통해 많은 양의 공기가 소통하게 되어 덧버선(100)의 내부를 신속하게 환기시켜 악취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skin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이와 같은 발등 패턴(110)에 형성된 관통 홀(11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의 형태를 갖고 다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원형의 형태를 갖고 발등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배열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through
상기와 같은 발등 패턴(110)과 한 쌍의 측면 패턴(120)은 제 1 재봉선(130)에 의해 연결되는데, 특히 상기 측면 패턴(120)이 발등 패턴(110)의 후단을 따라 재봉될 때 한 쌍의 측면 패턴(120)이 서로 중첩되도록 재봉되어 측면 패턴(120)과 측면 패턴(120) 사이에 트임(102)을 형성하게 된다.The
즉, 발등 패턴(110)의 후단에 한 쌍의 측면 패턴(120)이 재봉될 때 측면 패턴(120)의 일측과 또 다른 측면 패턴(120)의 일측이 겹쳐지게 포개진 상태에서 발등 패턴(110)의 후단에 재봉되어 측면 패턴(120)과 측면 패턴(120) 사이에 트임(102)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측면 패턴(120)에 트임(102)이 형성되도록 발등 패턴(110)의 후단에 재봉되면 덧버선(100)이 완성된 후 신고 벗기 편리하게 된다.That is, when one pair of
한편, 상기 바닥 패턴(140)은 사용자의 발바닥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이러한 바닥 패턴(140)은 발가락에서 발바닥을 지나 복사뼈가 위치한 발목까지 연장되며 지면과 대면하는 앞꿈치와 뒤꿈치에 논슬립 부재(142)가 마련된다.The
또한, 앞꿈치와 뒤꿈치 사이의 아치에는 지압 부재(144)가 마련되어 덧버선(100)을 사용자가 신고 보행하게 될 때 논슬립 부재(142)가 지면과 긴밀하게 접촉하여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지압 부재(144)가 지속적으로 사용자 발의 아치를 가압해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게 된다.In addition, a pressure-applying
이러한 논슬립 부재(14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패턴(140)의 마찰계수보다 큰 재질로 이루어진 마찰층(142a)과, 상기 마찰층(142a)과 바닥 패턴(140) 사이에 개재되어 마찰층(142a)을 바닥 패턴(140)으로부터 도톰하게 돌출시키는 수지층(142b) 및 상기 마찰층(142a)의 가장자리를 따라 바닥 패턴(140)을 재봉하여 일체로 형성시키는 제 3 재봉선(142c)으로 구성된다.5, the
부연하자면, 상기 마찰층(142a)은 고무와 같은 마찰계수가 비교적 큰 재질로 이루어진 박막의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마찰층(142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이거나 내지 원형일 수 있는데, 논슬립 부재(142)가 마련되는 위치에 맞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예를 들어, 상기 마찰층(142a)은 덧버선(100)을 제조하는 업체의 상호나 상표의 형태를 갖거나 또는 심벌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마찰층(142a)의 표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지면과 접촉할 때 더욱 우수한 접지력을 갖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또한, 상기 수지층(142b)은 바닥 패턴(140)의 저면으로부터 마찰층(142a)이 도톰하게 돌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수지층(142b)은 접착력을 갖고 건조 후에 완충력이 발휘되는 접착용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마찰층(142a)과 바닥 패턴(140)을 접착시킴과 동시에 완충이 발휘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보행 중 이질감을 느끼지 않으며 편안하게 걸을 수 있도록 하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제 3 재봉선(142c)은 수지층(142b)에 의해 바닥 패턴(140)에 접착된 마찰층(142a)이 더욱 견고하게 바닥 패턴(140)에 마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마찰층(142a)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 3 재봉선(142c)이 형성되어 마찰층(142a)과 바닥 패턴(140)이 재봉된다.The
이와 같이 바닥 패턴(140)의 저면에 논슬립 부재(142)가 형성되면 덧버선을 신고 보행할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논슬립 부재(142)는 사람이 서 있을 때 지면과의 접촉 하중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앞꿈치와 뒤꿈치에 위치하기 때문에 지면과 바닥 패턴(140)의 접지력을 향상시켜 사용자가 덧버선(100)을 신고 보행하는 중에 미끄러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한편, 지압 부재(14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등 패턴(110)과 측면 패턴(120)의 외면과 내면에 부착된 직물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발바닥과 대면하는 발등 패턴(110)의 내측에 위치하는 안감(144a)과, 상기 안감(144a)과 바닥 패턴(140) 사이에 개재되어 안감(144a)을 바닥 패턴(140)으로부터 도톰하게 돌출시키는 수지층(144b) 및 상기 안감(144a)의 가장자리를 따라 바닥 패턴(140)을 재봉하여 일체로 형성시키는 제 4 재봉선(144c)으로 구성된다.6, the pressure-applying
부연하자면, 상기 안감(144a)은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되는 것으로 이러한 안감(144a)은 발등 패턴(110)과 측면 패턴(120)의 외면과 내면에 부착된 직물(108)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피부와 접촉될 때 이질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며 신축성을 갖는다.The
또한, 상기 수지층(144b)은 바닥 패턴(140)의 상면으로 안감(144a)이 도톰하게 돌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수지층(142b)은 앞서 설명한 논슬립 부재(142)의 수지층(142b)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안감(144a)과 바닥 패턴(140)을 접착시키는 한편 완충력이 발휘되는 접착용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The
그리고, 상기 제 4 재봉선(144c)은 수지층(144b)에 의해 바닥 패턴(140)에 접착된 안감(144a)이 더욱 견고하게 바닥 패턴(140)에 마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안감(144a)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 4 재봉선(144c)이 형성되어 안감(144a)과 바닥 패턴(140)이 재봉된다.The
이와 같이 바닥 패턴(140)의 상면에 지압 부재(144)가 형성되면 지압 부재(144)가 사용자의 아치부를 지속적으로 가압하여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게 된다.When the
상기와 같은 바닥 패턴(140)은 발등 패턴(110) 및 측면 패턴(120)과 재봉되어 덧버선(100)의 형태를 갖게 된다. 즉, 상기 발등 패턴(110) 및 측면 패턴(120)은 제 1 재봉선(130)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바닥 패턴(140)의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되어 제 2 재봉선(150)이 형성됨으로써 덧버선(100)이 제조된다.The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각질 방지용 덧버선(100)은 발등 패턴(110)과 한 쌍의 측면 패턴(120) 및 바닥 패턴(140)이 2번의 재봉에 의해 제조되기 때문에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발등 패턴(110)에 한 쌍의 측면 패턴(120)이 재봉될 때 측면 패턴(120)이 겹쳐지게 포개진 상태에서 재봉되어 측면 패턴(120)과 측면 패턴(120) 사이에 트임(102)이 형성되어 덧버선(100)을 신고 벗기에 편리하다.Since the
또한, 땀의 발생이 많고 환기가 어려운 발등과 발가락이 인접한 발등 패턴(110)에 관통 홀(112)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발등 패턴(110) 및 측면 패턴(120)의 원단 자체에 의한 통기성 외에 관통 홀(112)에 의한 통기성이 향상되어 땀을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으며 덧버선(100)의 내부를 신속하게 환기시켜 악취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By forming the through
그리고, 바닥 패턴(140)에 저면에 마련되는 논슬립 부재(142)가 수지층(142b)에 의해 마찰층(142a)과 바닥 패턴(140)이 접착되고 상기 마찰층(142a)은 재봉에 의해 바닥 패턴(140)과 다시 한번 부착되기 때문에 접착과 재봉에 의한 2중 접합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되어 장시간 덧버선(100)을 사용하더라도 논슬립 부재(142)가 떨어지지 않는다.The
한편,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modified and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also considered to belo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예를 들어, 발등 패턴(110)에 형성되는 관통 홀(112)은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이를 도 8a 내지 도 8e에 의거하여 설명한다.For example, the through
도 8a 내지 도 8e는 본 고안에 따른 각질 방지용 덧버선 중 발등 패턴에 형성되는 관통 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발등 패턴(110)에 형성되는 관통 홀(112)은 타원형의 형태를 갖고 발등 패턴(110)에 다양한 형태로 분포될 수 있다.8A to 8E are plan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foot pattern of the peeling preventing str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through
즉,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등 패턴(110)의 중심에 타원형의 관통 홀(11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 홀(112)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다수의 관통 홀이 형성된다. 또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등 패턴(110)의 중심에서 사방으로 다수의 관통 홀(112)이 형성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8A, an elliptical through
이와 같이 발등 패턴(110)에 관통 홀(112)이 분포되면 발등 전체에 걸쳐 발생하는 땀을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으며, 넓게 분포된 관통 홀(112)에 의해 덧버선의 내부를 용이하게 환기시킬 수 있게 된다.If the through
또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등 패턴(110)의 가장자리와 인접하게 타원형의 관통 홀(112)이 분포된다. 이와 같이 발등 패턴(110)에 관통 홀(112)이 분포되면 발등 패턴(110)과 바닥 패턴(140)을 연결하는 제 2 재봉선(150)과 가깝게 관통 홀(112)들이 형성되어 쉽게 오염될 수 있는 덧버선 내부의 모서리진 부분에 대한 환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발등에서 발생하는 땀을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 8C, elliptical through
또한,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등 패턴(110)의 양측을 따라 타원형의 관통 홀(112)이 분포된다. 이때, 상기 관통 홀(112)의 장축이 발등 패턴(110)의 선단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덧버선 내부의 모서리진 부분과 덧버선 내부의 중앙과 인접한 부분에 대한 환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발등에서 발생하는 땀을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8D, elliptical through
그리고,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등 패턴(110) 중 발등의 바깥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을 따라 관통 홀(112)이 분포된다. 즉, 상기 관통 홀(112)은 발등 패턴(110)과 바닥 패턴(140)이 연결되는 제 2 재봉선(150)과 인접한 부분을 따라 일렬로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관통 홀(112)은 사용자가 덧버선을 착용했을 때 발등의 외측에 해당하는 부분에 형성되되, 발가락과 가까워질수록 관통 홀(112)의 지름이 커지거나 작아지게 된다.Then, as shown in FIG. 8E, the through-
이와 같이 관통 홀(112)이 발등 패턴(110)의 발등 바깥 부분을 따라 형성되면, 땀을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덧버선 내부의 환기를 용이하게 하여 덧버선 내부를 청결하게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When the through
100 : 덧버선 102 : 트임
110 : 발등 패턴 112 : 관통 홀
120 : 측면 패턴 130 : 제 1 재봉선
140 : 바닥 패턴 142 : 논슬립 부재
142a : 마찰층 142b, 144b : 수지층
142c : 제 3 재봉선 144 : 지압 부재
144a : 안감 144c : 제 4 재봉선
150 : 제 2 재봉선100: Addition 102:
110: foot pattern 112: through hole
120: side pattern 130: first seam
140: bottom pattern 142: non-slip member
142a:
142c: third seam line 144: pressure member
144a: lining 144c: fourth seam
150: Second seam
Claims (5)
복사뼈의 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 패턴(120);
상기 측면 패턴(120)과 발등 패턴(110)을 재봉하여 일체로 형성하되 발등 패턴(110)의 후단을 따라 한 쌍의 측면 패턴(120)을 중첩시켜 트임(102)을 형성시키는 제 1 재봉선(130);
발가락에서 발바닥을 지나 복사뼈가 위치한 발목까지 연장되고 지면과 대면하는 앞꿈치와 뒤꿈치에 논슬립 부재(142)가 마련되며, 앞꿈치와 뒤꿈치 사이의 아치에 지압 부재(144)가 마련되는 바닥 패턴(140); 및
상기 바닥 패턴(14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발등 패턴(110)과 측면 패턴(120)을 재봉하여 일체로 형성시키는 제 2 재봉선(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방지용 덧버선.
A foot pattern 110 surrounding a foot and form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2;
A pair of side patterns 120 formed on side surfaces of the radiating bone;
A first seam line (not shown) is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the side pattern 120 and the foot pattern 110 and forming a pair of side patterns 120 along the rear end of the foot pattern 110 130);
A bottom pattern 140 extending from the toes through the soles to the ankle where the bone is located and provided with a non-slip member 142 on the forefoot and heel facing the ground, and a pressure member 144 on the arch between the forefoot and the heel; And
And a second seam line (150)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the foot pattern (110) and the side pattern (120) along the edge of the bottom pattern (140).
상기 발등 패턴(110)과 측면 패턴(120)은,
통기 홀(106)이 분포된 완충부재(104)의 외면과 내면에 직물(108)이 부착된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방지용 덧버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ot pattern 110 and the side pattern 120 may be formed of,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ushioning member (104) in which the ventilation holes (106) are distributed are made of a fabric having a fabric (108) attached thereto.
상기 논슬립 부재(142)는,
상기 바닥 패턴(140)의 마찰계수보다 큰 재질로 이루어진 마찰층(142a);
상기 마찰층(142a)과 바닥 패턴(140) 사이에 개재되어 마찰층(142a)을 바닥 패턴(140)으로부터 도톰하게 돌출시키는 수지층(142b); 및
상기 마찰층(142a)의 가장자리를 따라 바닥 패턴(140)을 재봉하여 일체로 형성시키는 제 3 재봉선(142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방지용 덧버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on-slip member (142)
A friction layer (142a) made of a material having a coefficient of friction larger than that of the bottom pattern (140);
A resin layer 142b sandwiched between the friction layer 142a and the bottom pattern 140 to protrude the friction layer 142a from the bottom pattern 140; And
And a third seam line (142c) formed by sewing the bottom pattern (140) along the edge of the friction layer (142a).
상기 지압 부재(144)는,
상기 발등 패턴(110)과 측면 패턴(120)의 외면과 내면에 부착된 직물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발바닥과 대면하는 발등 패턴(110)의 내측에 위치하는 안감(144a);
상기 안감(144a)과 바닥 패턴(140) 사이에 개재되어 안감(144a)을 바닥 패턴(140)으로부터 도톰하게 돌출시키는 수지층(144b); 및
상기 안감(144a)의 가장자리를 따라 바닥 패턴(140)을 재봉하여 일체로 형성시키는 제 4 재봉선(144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방지용 덧버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ure-applying member 144,
A lining 144a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abric attached to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of the foot pattern 110 and the side pattern 120 and positioned inside the foot pattern 110 facing the user's sole;
A resin layer 144b sandwiched between the lining 144a and the bottom pattern 140 to protrude the lining 144a from the bottom pattern 140; And
And a fourth seam line (144c) formed by integrally sewing the bottom pattern (140) along the edge of the lining (144a).
상기 수지층(142b)(144b)은 접착력을 갖고 건조 후 완충력이 발휘되는 접착용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방지용 덧버선.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resin layer (142b) (144b) is an adhesive synthetic resin having an adhesive force and exhibiting a buffering force after dry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12169U KR20140004070U (en) | 2012-12-24 | 2012-12-24 | Outer socke for preventing horn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12169U KR20140004070U (en) | 2012-12-24 | 2012-12-24 | Outer socke for preventing horn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4070U true KR20140004070U (en) | 2014-07-02 |
Family
ID=52445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12169U Abandoned KR20140004070U (en) | 2012-12-24 | 2012-12-24 | Outer socke for preventing horn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04070U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5707Y1 (en) * | 2017-11-30 | 2018-02-09 | 양우석 | Tool for foot washing and keratin removal |
-
2012
- 2012-12-24 KR KR2020120012169U patent/KR20140004070U/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5707Y1 (en) * | 2017-11-30 | 2018-02-09 | 양우석 | Tool for foot washing and keratin removal |
WO2019107886A1 (en) * | 2017-11-30 | 2019-06-06 | 양우석 | Foot bath and exfoliation too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7949063U (en) | It is a kind of to wear quick and safe shoes | |
US11140944B2 (en) | Multi-style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shoe | |
JP5120743B1 (en) | Jumping sho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jumping shoes | |
CN112638190B (en) | Footwear convertible into sandals or slippers | |
KR20140004070U (en) | Outer socke for preventing horny | |
KR100978201B1 (en) | Overshoes and that manufacturing method | |
KR20220000308U (en) | Multifunctional socks | |
KR20200072698A (en) | Slip-on socks with anti-peeling function | |
EP1749455A1 (en) | Breathable and waterproof shoe | |
JP2011229643A (en) | Sockliner for shoe | |
KR101188698B1 (en) | Shoes for gips patient | |
KR20170111774A (en) | Deotbeoseon type peanut production method | |
JP2004180746A (en) | Shoe | |
KR200180532Y1 (en) | Heel profection pad | |
JP4619056B2 (en) | Footwear products and their sole members and sole pads | |
JP5538615B1 (en) | shoes | |
KR102127328B1 (en) | Foot pack | |
KR101967597B1 (en) | Upper of High-Heeled Shoes for Preventing Deformation of Big Toe | |
JP2020529907A (en) | shoes | |
KR200495829Y1 (en) | Functional Shoes | |
KR200225749Y1 (en) | Shoe upper structure | |
KR20130011699A (en) | Adhesive slipp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0457108Y1 (en) | Indoor overstress | |
JPH09140403A (en) | Footware for health | |
JP3106113U (en) | Drying sock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21224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311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