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586U - Multi digital door lock apparatus - Google Patents
Multi digital door lock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02586U KR20140002586U KR2020120009651U KR20120009651U KR20140002586U KR 20140002586 U KR20140002586 U KR 20140002586U KR 2020120009651 U KR2020120009651 U KR 2020120009651U KR 20120009651 U KR20120009651 U KR 20120009651U KR 20140002586 U KR20140002586 U KR 2014000258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door lock
- digital door
- digital
- lock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4—Arrangement of several locks or locks with several bolts, e.g. arranged one behind the other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멀티 디지털 도어락 장치가 개시된다. 잠금부는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를 조절함으로서 도어를 벽체에 고정시킨다. 디지털 도어락 본체부는 도어에 설치되어 방문자 인식 결과에 따라 잠금부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어하한다. 이때, 디지털 도어락 본체부와 잠금부는 서로 상이한 높이에 배치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도어 손잡이와 개폐 동작과 디지털 도어락 동작을 분리시킴으로써 외부에서 디지털 도어락을 파손하여 강제적으로 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A multi-digital door lock device is disclosed. The locking part is installed on the door to fix the door to the wall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The digital door lock main body is installed on the door, and controls the lock part using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visitor recognition result. At this time, the digital door lock main body portion and the lock portion are disposed at different heigh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eparating the door handle from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and the digital door lock operation, the door can be forcibly broken by damaging the digital door lock from the outside, thereby enhancing the security.
Description
본 고안은 멀티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도어락에 의해 도어 손잡이의 개폐 동작과 분리된 멀티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digital door lock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digital door lock device which is separated from a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a door handle by a digital door lock.
일반적으로, 건물의 출입문에는 다양한 잠금 장치가 설치된다. 사용되는 잠금장치는 열쇠형, 홍체인식형, 지문인식형, 전자식이나 기계식의 번호키형 등이 있다. 그 가운데 최근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잠금장치 중 하나는 디지털 도어락 이다. 디지털 도어락은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나, 사용자의 지문, 음성 및 기타 인증정보를 구비한 장치로서, 열쇠 분실의 염려가 없고 정상적인 사용자가 손쉽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안성이 뛰어나서 최근에 급성장하고 있다. Generally, various locks are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The locking devices used are key type, iris recognition type, fingerprint recognition type, and electronic or mechanical number key type. One of the most popular locking devices in recent years is digital door locks. A digital door lock is a device equipped with a preset password, user's fingerprint, voice, and oth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re is no fear of losing a key, a normal user can easily open and close a door, .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이중 잠금이란 기구적인 작동과 전자적인 작동을 한 동작에 의하여 동시에 잠금 또는 기능을 정지시켜줌으로써 외부에서 전자키, 암호버튼, 리모컨 등을 동작시키더라도 디지털 도어의 개방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어 방범 기능을 보다 강화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In such a digital door lock device, the double locking is a function of stopping the locking or the function at the same time by the mechanical opera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operation, thereby making it impossible to open the digital door even if the electronic key, And it is a function that can strengthen the crime prevention function.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한국공개공보 제2007-0115081호(발명의 명칭 : 실내/실외 구조 디지털 도어락 및 그 동작방법)에는 실내모듈과 실외모듈로 구성된 이중 구조의 도어락 및 그 동작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때, 실내모듈과 실외모듈간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면서 외부에서 입력되는 비상전원을 바이패스/차단시켜 두 개의 배터리 전원을 이용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킨다. A door lock and a method of operation of the dual door structure including an indoor module and an outdoor module are disclosed in Korean Laid-Open Publication No. 2007-0115081 (entitled " indoor / outdoor structure digital door lock and its operation method "Lt; / RTI > In this case, infrared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indoor module and the outdoor module, and the emergency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bypassed / blocked to improve the security by using two battery power sources.
또한, 한국등록공보 제10-1127549호(발명의 명칭 :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는 디지털 도어락을 본체와 락셋인 모티스 및 핸들 부분을 분리하여 벽에는 도어폰 기능을 내장한 디지털 도어락 본체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도어에는 핸들과 모티스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형 디지털 도어락을 개시하고 있다. In addition, in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127549 (entitled "Digital Door Loc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 digital door lock main body, a lockset, and a door handle function are separated to form a digital door lock main body So that only the handle and the mote can be installed on the door.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어 손잡이의 개폐 동작과 디지털 도어락 동작을 분리시킴으로써 외부에서 디지털 도어락을 파손하여 강제적으로 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는 멀티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digital door lock device capable of enhancing security by preventing the door from being forcibly opened by breaking the digital door lock from the outside by sepa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handle and the digital door lock operation .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멀티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잠금부; 및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방문자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잠금부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디지털 도어락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도어락 본체부와 상기 잠금부는 서로 상이한 높이에 배치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digital door lock device comprising: a door; at least one lock portion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a digital door lock unit installed on the door and controlling the lock unit using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 visitor recognition result, wherein the digital door lock body unit and the lock unit are disposed at different heights.
본 고안에 따른 멀티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의하면, 도어 손잡이의 개폐 동작과 디지털 도어락 동작을 분리시킴으로써 외부에서 디지털 도어락을 파손하여 강제적으로 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ulti-digital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epa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handle and the digital door lock operation, the digital door lock is broken from the outside, and the door can not be forcibly open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본체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잠금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손잡이와 잠금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gital door lock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gital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ock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door handle and a lock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본체부(15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는 잠금부(110)와 디지털 도어락 본체부(150)를 포함한다. 잠금부(110)는 도어(10)에 설치되어 도어(10)의 개폐를 조절하면서 도어(10)를 벽체(20)에 고정시킨다. 이때 잠금부(110)는 하나 이상의 복수 개로 존재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는 도어(1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제1잠금부(110)와 도어(1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제2잠금부(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잠금부(110)와 제2잠금부(120)는 서로 상이한 위치, 구체적으로 상이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잠금부(110, 120)는 데드락(400)을 통해 벽체(20)와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도 4 참조). The digital
디지털 도어락 본체부(150)는 잠금부(110)와 동일하게 도어(10)에 설치되어 방문자 인식 결과에 따라 잠금부(110)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제어하게 된다. 이때, 디지털 도어락 본체부(150)는 입력부(210)와 제어부(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부(210)는 키패드로 구성되어 방문자(사용자)로부터 암호키를 입력받을 수 있다. 키패드는 숫자키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로서, 키패드를 통해 미리 설정된 암호키를 올바르게 입력하는 경우 도어(10)를 오픈할 수 있다. 이때, 키패드는 터치패널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입력 신호를 토대로 잠금부(110)를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잠금부(110)를 조절함으로써 도어(10)의 개폐 여부를 제어부(220)에서 결정하게 된다.The digital door lock
이러한 하나 이상의 잠금부(110, 120)와 디지털 도어락 본체부(150)는 도어(10) 상에서 서로 상이한 높이에 배치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잠금부(110, 120)는 디지털 도어락 본체부(150)와 동일한 도어(10)에 배치되는데, 배치되는 높이가 서로 상이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통해 도어(10)의 개폐(출입)를 제어하는 디지털 도어락 본체부(150)를 외부에서 파손하여 강제적으로 도어(10)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one or more locking
즉,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는 도어(10)의 실외측에 설치된 도어 손잡이(500)의 개폐 동작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디지털 도어락의 경우 도어 손잡이의 개폐 동작과 디지털 도어락부는 위치가 일치된 상태로 설치되어 서로 연관되어 개폐 동작이 함께 동작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경우 도어 손잡이(500)는 도어(10) 개폐시 사용되는 하나의 도구일 뿐이고, 도어(10) 개폐를 위한 잠금부(110, 120)의 데드락(400)은 디지털 도어락 본체부(150)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a)의 경우 도어 손잡이(500)는 도어(10) 개폐시 사용되는 하나의 도구에 불과하고, (b)의 경우 도어 손잡이(500)의 개폐에 따라 데드락(400)이 동작하는 제3잠금부(130)가 추가로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제3잠금부(130)는 도어 손잡이(500)의 개폐 동작과 대응하여 동작해야 하므로 도어 손잡이(500)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게 된다. That is, the digital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잠금부(110, 120, 13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잠금부(110, 120, 130)는 전동 모터(미도시)와 데드락(400)으로 구성되어 제어부(220)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전동 모터(미도시)가 동작하여 데드락(400)을 동작시킨다. 정당한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210)를 통해 올바른 입력키가 입력되면 정당한 입력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220)는 하나 이상의 잠금부(110, 120, 130)로 유선/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도어(10)의 개폐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22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잠금부는 제1잠금부(110) 및 제2잠금부(120)일 수 있고, 도어 손잡이(500)와 연관된 제3잠금부(130)는 제어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제1잠금부(110) 및 제2잠금부(120)와는 별도로 제3잠금부(130)는 방문자(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 도어 손잡이(500) 개폐와 연관되어 조절될 수 있기 때문이다. 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잠금부(110, 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도어락 본체부(150)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데드락(400)을 제어함으로서 도어(10)의 개폐 여부를 결정한다. 이때, 잠금부(110, 120)는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디지털 도어락 본체부(15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방식은 저전력 무선 통신 방식인 블루투스, UWB(Ultra Wide Band), zigbee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도어(10)의 실외측에 도어 손잡이(500)가 배치되고 도어 손잡이(500)와 연관된 제3잠금부(130)가 존재할 수 있다.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gital
이상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지만,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each componen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at is, the terms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 Also, the term " and / or " is used in the sense of including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the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100 : 디지털 도어락 장치 110, 120, 130 : 잠금부
150 : 디지털 도어락 본체부 210 : 입력부
220 : 제어부 400 : 데드락
500 : 도어 손잡이 100: Digital
150: Digital door lock main unit 210: Input unit
220: control unit 400: deadlock
500: Door handle
Claims (7)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방문자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잠금부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디지털 도어락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도어락 본체부와 상기 잠금부는 서로 상이한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지털 도어락 장치.At least one locking part installed on the door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And a digital door lock main body installed in the door and controlling the locking part using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visitor recognition result,
Wherein the digital door lock main body and the locking portion are disposed at different heights.
상기 잠금부는 상기 도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제1잠금부와 상기 도어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제2잠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지털 도어락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cking portion comprises a first locking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door and a second locking portion provided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door.
상기 디지털 도어락 본체부는 상기 도어의 실외측에 설치된 도어 손잡이의 개폐 동작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지털 도어락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igital door lock main body is separated from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handle installed on the outdoor side of the door and operates independently.
상기 잠금부는 상기 도어 손잡이의 개폐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를 조절하고 상기 도어 손잡이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하는 제3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지털 도어락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ock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a third locking portion that adjusts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in correspondence with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door handle and arranges the door at the same height as the door handle.
상기 디지털 도어락 본체부는,
키패드로 구성되어 암호키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입력 신호를 토대로 상기 잠금부를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잠금부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지털 도어락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digital door lock main body unit includes:
An input unit configured by a keypad to input a cipher key;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locking unit is opened or closed using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with the locking unit based on the input signal inputted from the input unit.
상기 잠금부는 전동 모터와 데드락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동 모터가 동작하여 상기 데드락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지털 도어락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ock unit comprises an electric motor and a deadlock,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to operate the electric motor to operate the deadlock.
상기 잠금부는 상기 디지털 도어락 본체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지털 도어락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locking unit further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performing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igital door lock main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9651U KR20140002586U (en) | 2012-10-24 | 2012-10-24 | Multi digital door lock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9651U KR20140002586U (en) | 2012-10-24 | 2012-10-24 | Multi digital door lock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2586U true KR20140002586U (en) | 2014-05-07 |
Family
ID=52443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9651U Ceased KR20140002586U (en) | 2012-10-24 | 2012-10-24 | Multi digital door lock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02586U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45905A (en) | 2018-10-23 | 2020-05-06 | 김덕헌 | Multi door lock system and its unlocking method |
KR102526943B1 (en) | 2022-11-30 | 2023-05-02 | (주)동화이엔씨 | Crime prevention system of apartment houses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
-
2012
- 2012-10-24 KR KR2020120009651U patent/KR20140002586U/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45905A (en) | 2018-10-23 | 2020-05-06 | 김덕헌 | Multi door lock system and its unlocking method |
KR102526943B1 (en) | 2022-11-30 | 2023-05-02 | (주)동화이엔씨 | Crime prevention system of apartment houses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737708B (en) | Auxiliary authentication input device for use with an electronic lockset, lockset, and method for installing or operating an auxiliary authentication input device for use with an electronic lockset | |
CN104832010B (en) | door lock system | |
KR20180131134A (en) | biometic recognition safe system having IoT and its control methods | |
KR20140002586U (en) | Multi digital door lock apparatus | |
KR20200045905A (en) | Multi door lock system and its unlocking method | |
KR101208744B1 (en) | Intelligent security doorlock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JP3178941U (en) | Remote control system with multi-function mobile terminal | |
KR100728656B1 (en) | Digital door lock with control panel and lock separated | |
KR101633394B1 (en) | Enhanced security triple locking system having stopper | |
KR101456214B1 (en) | Touch switch for an automatic door and method thereof | |
JP2011196076A (en) | Electric lock system | |
KR20110136549A (en) | Digital door lock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 |
KR200407889Y1 (en) | Electronic door lock device with home automation mode selection | |
KR200392382Y1 (en) | Door lock apparatus | |
KR200257691Y1 (en) | Electronic locking apparatus | |
KR20010090074A (en) | Electronic locking apparatus | |
KR101633390B1 (en) | Enhanced security triple locking system | |
KR101633393B1 (en) | Enhanced security triple locking system having dual keypad | |
KR101953538B1 (en) | Smart door lock and method to control same | |
KR102348441B1 (en) | Digital doorlock system having fingerprint recognition function and motion recognition function | |
JP7385903B2 (en) | Lock device and lock control system | |
KR101528224B1 (en) | Smart door-lock device and control method | |
KR20130126357A (en) | Door lock system | |
JP2010265584A (en) | Building shutter control device | |
KR102087521B1 (en) | A Password changing apparatus of Digital doorlo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21024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0930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2D Patent event date: 20140328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40918 |
|
U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code: UJ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17 Patent event code: UJ02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18 Appeal identifier: 2014101006407 Request date: 20141017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017 Effective date: 20150130 |
|
U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date: 20150130 Patent event code: UJ13011S01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4101006407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50130 Request date: 2014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