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02198U -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198U
KR20140002198U KR2020120009053U KR20120009053U KR20140002198U KR 20140002198 U KR20140002198 U KR 20140002198U KR 2020120009053 U KR2020120009053 U KR 2020120009053U KR 20120009053 U KR20120009053 U KR 20120009053U KR 20140002198 U KR20140002198 U KR 201400021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earphone
case
case body
phone c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0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곤
Original Assignee
김재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곤 filed Critical 김재곤
Priority to KR20201200090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198U/ko
Publication of KR201400021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198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storing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1525Holders or carriers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s, tablets or calc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폰 케이스가 개시된다. 접철부를 구비하여 접철가능한 판상의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휴대폰이 끼워 수납되는 거치부;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면 일측에 설치되며, 이어폰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이어폰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이어폰을 상기 이어폰 수납부에 수납하여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폰 케이스 {MOBILE PHONE CASE}
본 고안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어폰을 수납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이동통신 서비스 지역 내에서 임의로 이동하면서 기지국을 통해 일반 전화 가입자 또는 다른 이동통신 전화기와 통화할 수 있는 전화기를 말하며, 최근에는 음성통화뿐 아니라, 영상통화, 무선 인터넷기능을 갖는 휴대폰(일명 "스마트폰"이라 함)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폰은 외부충격에 의한 휴대폰의 스크래치나 기기손상을 방지하도록 휴대폰에 보호 케이스를 끼워 사용하였으며. 공개실용신안 20-2012-0003895, 등록실용신안 20-0451310에는 휴대폰 케이스가 개시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휴대폰 케이스는 단순히 휴대폰을 감싸서, 충격에 의한 스크래치나 기기손상으로부터 휴대폰을 보호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요즘에는 휴대폰에 이어폰을 꽂아 음악을 듣거나 동영상을 보는 경우가 많은데,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 이어폰을 보관할 곳이 마땅치가 않아, 바지 주머니나 가방에 넣어 두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휴대폰 케이스에 이어폰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여, 이어폰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휴대폰 케이스는 접철부를 구비하여 접철가능한 판상의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휴대폰이 끼워 수납되는 거치부;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면 일측에 설치되며, 이어폰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이어폰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어폰 수납부는 상기 접철부 내측에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수납부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
상기 이어폰 수납부는 상하부가 막힌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어폰 수납부 상면 중심에는 와이어 통과홀이 형성되고, 상기 이어폰 수납부 상면에는 상기 와이어 통과홀로부터 상면 가장자리까지 절개된 절개선이 형성되며, 상기 이어폰 수납부 측방 외주면에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절개선의 끝단과 연결되도록 지퍼부재가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는 두 겹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지폐 입출 개방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 내면 일측에는 각종 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카드 삽입 포켓 및, 신분증을 삽입하는 투명 포켓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휴대폰 케이스는 유연재질로 이루어지며, 휴대폰이 끼워져 수납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의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어폰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이어폰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어폰 수납부는 상하가 막힌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어폰 수납부 상면 중심에는 와이어 통과홀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와이어 통과홀로부터 상면 가장자리까지 절개된 제 1 절개선이 형성되고, 측방 외주면에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절개선의 끝단과 연결되도록 제 2 절개선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의하면, 이어폰 미사용시, 휴대폰 케이스에 형성된 이어폰 수납부에 이어폰을 용이하게 수납하여 보관하고, 이어폰 사용시, 이어폰을 휴대폰 케이스의 이어폰 수납부로부터 용이하게 빼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어폰의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이어폰 수납부는 상하가 개방된 원통형으로서, 케이스 본체의 접철부 내측에 설치됨으로써, 설치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휴대폰 케이스에 이어폰이 수납된 상태에서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휴대폰 케이스에 이어폰이 수납된 상태에서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를 설명한다. 휴대폰 케이스(1)는 휴대폰을 감싸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휴대폰은 3G폰, 스마트폰, 테블릿 피씨를 말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휴대폰 케이스(1)는 케이스 본체(10), 휴대폰 거치부(20), 이어폰 수납부(30)를 포함한다.
케이스 본체(10)는 케이스 본체(10)는 제 1 판부(11a)와 제 2 판부(11b)가 접철부(12)에 의해 서로 접혀지거나 펴도록 구성되고, 또한, 케이스 본체(10)는 두 겹이 포개진 형태로 이루어지되, 일측이 지폐 입출 개방부(13)가 형성된 지갑형태로 구성된다.
케이스 본체(10)는 일측단에 잠금 끈(14)이 형성되고, 잠근끈(13)의 끝단부에는 똑딱이 단추(스프링 도트) 또는 자석 단추와 같은 제 1 결합수단(15)이 설치된다. 이 경우, 케이스 본체(10)의 타측단에는 제 1 결합수단(15)에 대응되는 제 2 결합수단(미도시)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잠금끈(14)에 제 1 결합수단(15) 및 제 2 결합수단(미도시)을 설치하여, 케이스 본체(10)의 접힌 상태를 유지시키는 구성은 통상의 다이어리 또는 지갑에 개시된 잠근끈과 똑딱이 단추 또는 자석 단추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구성은 생략한다.
케이스 본체(10)의 제 1 판부(11a) 내면에는 각종 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카드 삽입 포켓(19)이 다수개 형성되고, 또한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과 같은 신분증을 삽입하는 투명 포켓(18)이 형성된다.
케이스 본체(10)는 천연 또는 인조 가죽이나 플렉시블한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거치부(20)는 케이스 본체(10)의 제 2 판부(11b) 내면에 설치되어, 휴대폰이 끼워져 지지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거치부(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휴대폰이 스냅결합방식을 끼워져 지지될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어폰 수납부(30)는 이어폰(E)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인조 또는 천연 가죽이나 플렉시블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어폰 수납부(30)는 접철부(12)의 내측에 접착제 또는 재봉질에 의해 결합된다.
이 경우, 이어폰 수납부(30)는 원통 형상이 아니더라도, 내부에 이어폰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갖추기만 하면 어떠한 형상이 되어도 무방하며, 설치위치에 있어서도, 케이스 본체(10)의 접철부(12) 내측에 설치되지 않고 제 1 판부(11a) 또는 제 2 판부(11b) 내측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이어폰 수납부(30)가 접철부(12) 내측에 설치될 경우, 케이스 본체(10) 내측의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것보다, 설치 공간의 확보가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이어폰 수납부(30)는 도 3 과 같이, 이어폰(E)의 와이어 부분만이 수납되게 구성될 수도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어폰 수납부(30)의 내부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여 이어폰(E) 전체가 이어폰 수납부(30)에 수납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본 고안의 휴대폰 케이스(1)는 거치부(20)에 휴대폰(미도시)을 끼워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지폐 입출 개방부(13)를 통해 지폐를 두겹의 케이스 본체(13) 사이에 넣어 보관하고, 카드 삽입 포켓(19)에 카드를 넣거나 투명 포켓(18)에 신분증을 넣어 지갑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휴대폰 케이스(1)는 이어폰 수납부(12)가 형성되어 있어, 이어폰(E)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3과 같이, 이어폰(E)을 이어폰 수납부(12)에 삽입하여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를 설명한다.
제 2 실시 예와 제 1 실시 예는 이어폰 수납부(30')의 구성에 있어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므로, 상호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에 동일한 참조부호를 표시하고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실시 예의 휴대폰 케이스(1')의 이어폰 수납부(3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상하가 막힌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중심에 와이어 통과홀(31)이 형성되고, 와이어 통과홀(31)로부터 상면 가장자리까지 절개된 절개선(32)이 형성된다. 아울러, 이어폰 수납부(30')의 측방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지퍼부재(35)가 형성된다. 이때, 지퍼부재(35)의 상단과 절개선(32)의 외측 끝단은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지퍼부재(35)를 벌리면 절개선(32)도 벌어지게 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사용자는 지퍼 손잡이(35a)를 내려 지퍼부재(35)의 록킹을 해제시키고, 지퍼부재(35) 및 절개선(32)을 벌린 다음, 이어폰(E)의 와이어를 이어폰 수납부(30') 내부에 손쉽게 밀어 넣어 수납한 후, 지퍼 손잡이(35a)를 올려 지퍼부재(35)를 록킹함으로써, 이어폰(E)을 이어폰 수납부(30')에 보관할 수 있다.
이처럼 제 2 실시 예의 이어폰 수납부(30')는 제 1 실시 예의 이어폰 수납부(30)에 비해, 이어폰(E)을 수납하는 동작이 용이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를 설명한다.
제 1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는 지갑형태로서 케이스 본체(10)를 포함하고 있는 구성이었으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는 제 1 실시 예의 케이스 본체(10)가 생략되고, 거치부(20') 자체가 휴대폰 보호 케이스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제 3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는 거치부(20') 및 이어폰 수납부(30'')를 포함한다.
거치부(20')는 일종의 젤리타입 휴대폰 케이스로서, 실리콘과 같은 말랑말랑한 유연성 재질로 구성되어, 휴대폰이 끼워져 수납된다.
거치부(20')의 구성은 휴대폰 즉 스마트폰의 기종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폰 수납부(30'')는 상하가 막힌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중심에 와이어 통과홀(37)이 형성되고, 와이어 통과홀(37)로부터 상면 가장자리까지 절개된 제 1 절개선(38)이 형성되며, 이어폰 수납부(30'')의 측방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절개선(38)과 연결되게 제 2 절개선(39)이 형성된다.
이때, 이어폰 수납부(30'')는 거치부(20')와 일체로 형성되어, 거치부(20')와 동일한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 1 및 제 2 절개선(38,39)을 벌렸다가 놓으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사용자는 제 1 및 제 2 절개선(38,39)을 벌린 후, 이어폰을 이어폰 수납부(30'') 내부에 손쉽게 집어넣어 보관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케이스 본체
11a,11b...제 1 판부 및 제 2 판부
12...접철부
20...거치부
30...이어폰 수납부
31...와이어 통과홀
32...절개선
35...지퍼부재
35a...지퍼 손잡이

Claims (8)

  1. 접철부를 구비하여 접철가능한 판상의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휴대폰이 끼워 수납되는 거치부;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면 일측에 설치되며, 이어폰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이어폰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수납부는 상기 접철부 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수납부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수납부는 상하부가 막힌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어폰 수납부 상면 중심에는 와이어 통과홀이 형성되고,
    상기 이어폰 수납부 상면에는 상기 와이어 통과홀로부터 상면 가장자리까지 절개된 절개선이 형성되며,
    상기 이어폰 수납부 측방 외주면에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절개선의 끝단과 연결되도록 지퍼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두 겹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지폐 입출 개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 내면 일측에는 각종 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카드 삽입 포켓 및, 신분증을 삽입하는 투명 포켓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7. 유연재질로 이루어지며, 휴대폰이 끼워져 수납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의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어폰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이어폰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수납부는 상하가 막힌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어폰 수납부 상면 중심에는 와이어 통과홀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와이어 통과홀로부터 상면 가장자리까지 절개된 제 1 절개선이 형성되고, 측방 외주면에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절개선의 끝단과 연결되도록 제 2 절개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KR2020120009053U 2012-10-09 2012-10-09 휴대폰 케이스 Ceased KR2014000219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053U KR20140002198U (ko) 2012-10-09 2012-10-09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053U KR20140002198U (ko) 2012-10-09 2012-10-09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198U true KR20140002198U (ko) 2014-04-18

Family

ID=52442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053U Ceased KR20140002198U (ko) 2012-10-09 2012-10-09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19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145A (ko) * 2015-03-18 2016-09-28 최상효 휴대폰용 플립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145A (ko) * 2015-03-18 2016-09-28 최상효 휴대폰용 플립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120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51310Y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US9004333B2 (en) Cases and cover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20130344925A1 (en) Phone case with key slot
US20150102073A1 (en) Cases for electronic devices
KR20130061531A (ko) 카드 수납이 가능한 핸드폰 보호 케이스
KR20140003803U (ko) 가변형 지갑이 구비된 안전 수납 구조의 휴대폰 케이스
KR101461004B1 (ko)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73012Y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74129Y1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472573Y1 (ko) 지갑이 내장된 핸드폰 보호케이스
KR20130004713U (ko) 휴대폰 케이스
US20140117820A1 (en) Protective case of electronic device
KR20140002198U (ko) 휴대폰 케이스
KR102072676B1 (ko) 영상 및 음악이 내장된 카드형태 앨범 장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101591302B1 (ko) 지갑겸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392058B1 (ko) 휴대폰용 케이스
KR101239088B1 (ko)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용하는 케이스 어셈블리
KR200472574Y1 (ko) 케이스와 지갑이 결합된 핸드폰 보호케이스
KR20140003714U (ko) 휴대폰 케이스
KR101190159B1 (ko) 신축형 수납부가 형성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1938258B1 (ko) 핸드폰 케이스
KR200472575Y1 (ko) 핸드폰 부착형 보관장치
KR200472569Y1 (ko) 지갑이 내장된 핸드폰 보호케이스
KR101620780B1 (ko) 이중플립형 스마트폰 보호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2100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1120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4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