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311U -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스테이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스테이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01311U KR20140001311U KR2020130006980U KR20130006980U KR20140001311U KR 20140001311 U KR20140001311 U KR 20140001311U KR 2020130006980 U KR2020130006980 U KR 2020130006980U KR 20130006980 U KR20130006980 U KR 20130006980U KR 20140001311 U KR20140001311 U KR 2014000131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ging
- charging module
- smart
- pad
- modu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032 molecular do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스테이션이 개시된다. 개시된 충전스테이션은 상용전원에 연결할 수 있는 플러그를 구비하며, 상기 상용전원으로부터 공급된 교류전원을 소정 전압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며,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전원연결용 제 1 소켓부를 갖는 전원공급모듈; 전후/좌우 측면에 각각 전원연결용 제 2 소켓부를 구비하고, 상부에 스마트 패드가 장착되는 패드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패드 장착홈 상에는 상기 스마트 패드의 소켓형 충전단자에 삽입되는 제 1 돌출형 충전단자가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패드용 충전모듈; 전후/좌우 측면에 각각 전원연결용 제 3 소켓부, 혹은 전원과 신호를 주고받는 접촉식입출력단자를 구비하고, 상부에 스마트 폰이 장착되는 폰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폰 장착홈 상에는 상기 스마트 폰의 소켓형 충전단자에 삽입되는 제 2 돌출형 충전단자가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폰용 충전모듈; 및, 상기 제 1 소켓부, 상기 제 2 소켓부 및, 상기 제 3 소켓부 중 서로 마주하는 둘을 연결하는 전원연결 커넥터 혹은 접촉식입출력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직류전원은 상기 전원연결 커넥터나 접촉식입출력단자에 의해 상기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 또는 상기 스마트폰용 충전모듈에 전달되어, 상기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에 장착된 상기 스마트패드 또는 상기 스마트폰용 충전모듈에 장착된 상기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의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는 각기 다른 다양한 기종의 스마트폰과 스마트패드 여러대를 사용하나, 여러 대의 스마트기기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각 기종에 맞는 여러 대의 충전장치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대의 충전장치를 이용해 여러 대의 스마트기기를 순차적으로 충전하는 방법은 있으나, 시간이 오래 걸릴 뿐 아니라, 각각의 스마트 기기에 맞는 충전장치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여러 대의 충전장치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렇게 여러 대의 충전장치를 사용할 경우, 충전장치의 수만큼 가정의 벽면에 형성된 콘센트도 필요하나, 모자란 경우가 많았으며, 다수의 콘센트에 각각의 충전장치를 꼽아서 사용함으로써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고, 플러그와 연결된 코드(전선)들이 서로 엉켜 화재의 위험성도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충전모듈을 서로 조합할 수 있도록 하고, 하나의 플러그만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다수의 스마트폰 및 스마트패드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충전스테이션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충전스테이션은 상용전원에 연결할 수 있는 플러그를 구비하며, 상기 상용전원으로부터 공급된 교류전원을 소정 전압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며,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전원연결용 제 1 소켓부를 갖는 전원공급모듈; 전후/좌우 측면에 각각 전원연결용 제 2 소켓부를 구비하고, 상부에 스마트 패드가 장착되는 패드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패드 장착홈 상에는 상기 스마트 패드의 소켓형 충전단자에 삽입되는 제 1 돌출형 충전단자가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패드용 충전모듈; 전후/좌우 측면에 각각 전원연결용 제 3 소켓부를 구비하고, 상부에 스마트 폰이 장착되는 폰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폰 장착홈 상에는 상기 스마트 폰의 소켓형 충전단자에 삽입되는 제 2 돌출형 충전단자가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폰용 충전모듈; 및, 상기 제 1 소켓부, 상기 제 2 소켓부 및, 상기 제 3 소켓부 중 서로 마주하는 둘을 연결하는 전원연결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직류전원은 상기 전원연결 커넥터에 의해 상기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 또는 상기 스마트폰용 충전모듈에 전달되어, 상기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에 장착된 상기 스마트패드 또는 상기 스마트폰용 충전모듈에 장착된 상기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공급모듈 하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용 충전모듈은 상기 전원연결커넥터를 이용해 다양하에 결합하여 여러가지 형태로 조립이 가능하며, 상기 하나의 전원공급모듈 연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용 충전모듈은 상기 하나의 전원공급모듈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스마트패드 또는 상기 스마트폰이 동시에 충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원연결 커넥터는 상기 제 1 소켓부, 상기 제 2 소켓부 및 상기 제 3 소켓부 중 서로 연결되려는 두 부재 중 어느 하나에 고정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 하나의 폭은 상기 스마트폰용 충전모듈 두 개 또는 세 개의 폭을 합한 것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은 상기 패드 장착홈에 장착된 상기 스마트패드를 지지하는 패드 거치벽이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용 충전모듈은 상기 폰 장착홈에 장착된 상기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폰 거치벽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소켓부 또는 상기 제 3 소켓부에 삽입가능한 스피커 연결 잭을 구비하며, 상기 스피커 연결잭이 상기 제 2 소켓부 또는 상기 제 3 소켓부에 연결된 경우, 상기 패드 장착폰에 장착된 상기 스마트패드 또는, 상기 폰 장착홈에 장착된 상기 스마트폰에서 재생되는 오디오가 출력되는 스피커 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소켓부 또는 상기 제 3 소켓부에 삽입가능한 와이다이 연결잭을 구비하며, 상기 와이다이 연결잭이 상기 제 2 소켓부 또는 상기 제 3 소켓부에 연결된 경우, 상기 패드 장착폰에 장착된 상기 스마트패드 또는, 상기 폰 장착홈에 장착된 상기 스마트폰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를 지정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하는 와이다이 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의하면, 하나의 플러그만을 이용해 전원을 공급받아 다수의 스마트폰 및 스마트패드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비해 여러 개의 콘센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플러그만을 콘센트로부터 빼내면 다수의 충전모듈의 전원을 한꺼번에 모두 차단하게 하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기존과 같이 여러 대의 코드들이 서로 엉켜 지저분했으나, 본 고안의 충전스테이션은 하나의 플러그만을 콘센트에 꽂아 사용하므로 미관상으로 미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안드로이드 진영과 애플 진영 등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 기기들을 각 기종에 맞는 전용모듈들을 조립하여 구성한 하나의 충전스테이션을 통해 한꺼번에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피커 모듈을 연결하여, 충전뿐 아니라 스마트기기로부터 재생되는 오디오를 외부로 출력하여 양호한 음을 감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와이다이 모듈을 이용해 스마트기기로부터 재생되는 영상 컨텐츠를 용이하게 외부의 대형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감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충전스테이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충전스테이션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과 스마트폰용 충전모듈이 결합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과 스마트폰용 충전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스마트폰과 스마트패드가 도킹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스마트폰 충전모듈에 스마트폰이 도킹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스마트폰 충전모듈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a 내지 도 8c는 여러 형태로 구성된 충전스테이션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5의 도시된 충전스테이션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충전스테이션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전스테이션의 분리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충전스테이션에 스피커모듈이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충전스테이션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과 스마트폰용 충전모듈이 결합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과 스마트폰용 충전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스마트폰과 스마트패드가 도킹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스마트폰 충전모듈에 스마트폰이 도킹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스마트폰 충전모듈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a 내지 도 8c는 여러 형태로 구성된 충전스테이션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5의 도시된 충전스테이션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충전스테이션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전스테이션의 분리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충전스테이션에 스피커모듈이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스테이션은 전원공급모듈(5),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0),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 전원연결커넥터(40)을 포함한다.
전원공급모듈(5)은 사각 블록 형태로 형성되며, 배면으로부터 연장된 코드의 끝단에 플러그(6)가 설치된다. 플러그(6)는 가정의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미도시)에 꽂아, 상용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원공급모듈(5)은 통상적으로 플러그(6)로부터 받아들여지는 교류상태의 상용전원을 소정 전압의 직류형태로 전환하는 AC/DC전환기를 내장하고 있다.
전원공급모듈(5)의 일측에는 전원연결용 제 1 소켓부(7)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 1 소켓부(7)는 전면 및 상면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제 1 소켓부(7)을 통해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0) 또는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직류전원을 전달할 수 있다.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0)은 사각 블럭 형태로 형성되며, 상면에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패드 장착홈(11)이 형성되며, 좌우/전후 측면에는 각각 전원연결용 제 2 소켓부(13)가 형성된다. 각각의 제 2 소켓부(13)들은 내부회로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은 사각 블럭 형태로 형성되되, 본 실시 예에서는 3개로 구성되며, 하나의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0)의 폭이 3개의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의 폭을 합한 것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다만,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은 2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2개로 구성될 경우, 2개의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의 폭 합이 하나의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0)의 폭과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3개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 각각은 서로 동일한 구성으로 구성되므로, 하나의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의 상면에는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폰 장착홈(21)이 형성되며, 좌우/전후 측면에는 각각 전원연결용 제 3 소켓부(23)가 형성된다. 각각의 제 3 소켓부(23)들은 내부회로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은 폰 장착홈(21) 상에 돌출형 충전단자(25,도 6 참조)가 설치된다. 이러한 돌출형 충전단자(25)는 제 3 소켓부(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돌출형 충전단자(25)는 스마트폰(s)에 형성된 소켓형 충전단자(s.t)에 삽입 즉 도킹되고, 이 경우, 도 5와 같이, 스마트폰(s)이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의 폰 장착홈(25)에 장착되어, 돌출형 충전단자(25)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은 상면에 폰 장착홈(25)에 장착된 스마트폰(S)을 지지할 수 있도록 폰 거치벽(27)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폰 거치벽(27)의 설치위치는 돌출형 충전단자(25)에 도킹된 스마트폰(S)이 거치벽(27)과 이루는 θ각이 15도가 되도록 구성하여, 스마트폰(S)이 안정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0)의 패드 장착홈(11)상에는 상기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의 돌출형 충전단자(25)와 동일한 돌출형 충전단자(이 돌출형 충전단자는 제 2 소켓부(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됨)가 설치되며, 스마트패드(P)가 상기 돌출형 충전단자에 도킹함으로써, 상기 돌출형 충전단자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아울러,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0)은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의 폰 거치벽(27)과 동일하게 패드 거치벽(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패드 장착홈(11)에 장착된 스마트패드(P)가 패드 거치벽(미도시)에 지지될 수 있다.
전원연결커넥터(40)는 제 1 소켓부(7), 제 2 소켓부(13), 제 3 소켓부(23) 중 마주하는 두 소켓부에 삽입되어 두 소켓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전원연결커넥터(40)의 후방부는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0)의 전면에 형성된 제 2 소켓부(13)에 삽입되고, 전방부는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의 후면에 형성된 제 3 소켓부(23)에 삽입됨으로써,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0)과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이 서로 결합됨과 동시에, 제 2 소켓부(13)와 제 3 소켓부(23)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새로운 전원연결커넥터(40)를 전원공급모듈(5)의 전면에 형성된 전원연결용 제 1 소켓부(7)와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0)의 후면에 형성된 제 2 소켓부(13)에 삽입하여 전원공급모듈(5)과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0)이 서로 결합됨과 동시에, 제 1 소켓부(7)와 제 2 소켓부(13)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또 다른 별도의 새로운 전원연결커넥터(40)를 전원공급모듈(5)의 제 1 소켓부(7)와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의 제 3 소켓부(23)에 삽입하여, 두 모듈을 서로 결합하면서, 제 1 소켓부(7)와 제 3 소켓부(23)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전원연결 커넥터(40)가 별도의 구성품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연결되려는 제 1 소켓부(7)와 제 2 소켓부(13)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거나, 서로 연결되려는 제 2 소켓부(13)와 제 3 소켓부(23)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거나, 서로 연결되려는 제 1 소켓부(7)와 제 3 소켓부(23)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본 고안은 다수개의 전원연결 커넥터(40)를 이용해, 하나의 전원공급모듈(5), 하나의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0) 및 3개의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을 서로 결합하고, 하나의 플러그(6)를 상용전원에 연결하여 다수의 스마트 패드와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에서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0)과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의 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가정에서는 가족 구성원들의 스마트폰과 스마트패드의 수에 맞추어,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0)과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을 준비하고, 이를 전원연결커넥터(40)로 서로 연결한 다음, 전원공급모듈(5)을 다른 전원연결커넥터(40)로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0) 또는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과 연결한 후, 플러그(6)를 상용전원에 연결한 후, 다수의 스마트패드(P)와 스마트폰(S)를 그에 맞는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0) 또는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에 도킹시켜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과 같이, 전원공급모듈(5)에 하나의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이 결합된 형태로 충전 스테이션을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고, 도 8b와 같이, 전원공급모듈(5)에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0)을 연결하고,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0)의 우측에 스마트폰용 충전모듈(10)이 연결된 형태로 충전 스테이션을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 8c와 같이, 전원공급모듈(5)에 하나의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을 연결하고, 전원공급모듈(5)에 연결된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의 우측에는 다른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을 연결하고, 전방에는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0)을 연결한 형태로 충전 스테이션을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다수의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의 돌출형 충전단자(25)는 스마트폰(S)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2에서 3개의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 중 하나의 돌출형 충전단자(25)는 아이폰 계열의 30핀 단자, 혹은 8핀단자(라이트닝)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두 개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계열의 마이크로 USB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0)이 다수개로 적용될 경우에,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0)에 설치되는 돌출형 충전단자(미도시)도 충전하려는 스마트패드의 종류에 따라 대응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은 다양한 기기와의 결합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전후로 약 5도 정도 회동가능하도록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충전스테이션은 도 9와 같이, 스피커 모듈(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모듈(50)은 일측면으로부터 제 2 소켓부(13) 또는 제 3 소켓부(23)와 연결가능한 스피커 연결잭(55)이 돌출형성된다.
스마트패드의 사용시, 사용자는 스피커 연결잭(55)을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0)의 제 2 소켓부(13)에 삽입하여 스피커 모듈(50)과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0)을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0)에 장착된 스마트패드(P)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는 제 2 소켓부(13) 및 스피커 연결잭(55)을 통해 스피커 모듈(50)에 전달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피커 연결잭(55)을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의 제 3 소켓부(13)에 연결하여,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에 장착된 스마트폰(S)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 모듈(50)로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본 고안의 충전스테이션은 스마트패드(P)나 스마트폰(S)을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0) 또는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에 도킹시켜 각종 음악을 양호한 사운드로 감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충전스테이션은 도 10과 같이, 스피커 모듈(50) 뿐 아니라, 와이다이(Wi-Di) 모듈(60)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와이다이 모듈(60)은 스피커 모듈(50)의 스피커 연결잭(55)과 같이, 와이다이 연결잭(미도시)을 구성할 수 있다. 이 와이다이 연결잭(미도시)을 제 2 소켓부(13) 또는 제 3 소켓부(23)에 삽입하여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0) 또는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과 와이다이 모듈(60)을 연결함으로써,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0) 또는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에 장착된 스마트패드(P) 또는 스마트폰(S)으로부터 재생되는 영상 콘텐츠를 지정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와이다이 기능이 없는 스마트패드(P) 또는 스마트폰(S)을 와이다이 모듈(60)에 도킹시켜서 다양한 영상 컨텐츠를 외부의 대형 디스플레이기기를 통해 감상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와이다이 모듈(60)은 스피커 모듈(50)와 같이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되지 않고,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0) 또는 스마트폰용 충전모듈(20)에 와이다이 모듈(60)의 구성이 내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전스테이션(1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의 충전스테이션(100)은 상술한 도 1의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이나 각각의 모듈의 결합방식과, 충전모듈의 전원 입출력방식에 차이가 있으며, 나머지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의 충전스테이션(1)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의 충전스테이션(110)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1에 도시된 충전스테이션(1)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하며,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의 충전스테이션(1)과 다른 구성만을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충전스테이션(100)은, 전원공급모듈(105),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10), 스마트폰용 충전모듈(120)의 단자들이 제 1 내지 제 3 접촉식입출력단자들(107,113,123)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 1 내지 제 3 접촉식입출력단자(107,113,123)의 주변에는 제 1 내지 제 3 자석(149,150,151)이 매립되어 있는 구성을 갖는다.
전원공급모듈(105)의 제 1 접촉식입출력단자(107)는 플러그(6)의 반대편 면에 사각형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 주변으로 제 1 자석(149)이 전원공급모듈(105)의 표면에서 내부방향으로 매립되어 있다.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10)은, 전면과 후면의 좌측, 중앙, 우측에 각각 3개의 제 2 접촉식입출력단자(113)와 제 2 자석(150)이 구비되어 있고 양 측면에 각각 1개의 제 2 접촉식입출력단자(113)와 자석(150)이 구비되어 있다(후면과 일측면은 미도시하였으나 대칭적으로 구성됨). 제 2 접촉식입출력단자와 자석(113,150)의 구성은 전원공급모듈(105)의 제 1 접촉식입출력단자 및 자석(107,149)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 실시 예에서는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10)의 전면 및 후면의 제 2 접촉식입출력단자와 자석(113,150)의 갯수가 각각 3개씩 전후면 총 6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스마트패드용 충전모의 길이에 따라 전후면에 각각 1개(전후면 총2개), 2개(전후면 총4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스마트폰용 충전모듈(120)은, 전면, 후면, 좌우측면에 각각 하나의 제 3 접촉식입출력단자(123)와 제 3 자석(151)이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10)의 구성과 동일한 구조로 설치된다.
따라서, 전원공급모듈(105),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10), 스마트폰용 충전모듈(120) 간의 결합은 각 모듈에 매립된 제 1 내지 제 3자석들(107,113,123)이 결합됨으로써 서로 결합된다. 즉, 전원공급모듈(105)의 제 1 자석(149)과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10) 후면 중앙에 설치된 제 2 자석(미도시)이 자력에 의해 결합되면 제 1 및 제 2 접촉식입출력단자들이(107,113) 서로 결합되어 단자간에 전력과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고, 전원공급모듈(105)과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10)도 자력에 의해 단단하게 결합된다. 양 모듈(105,110)이 결합된 이후에도 자석의 자력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10)과 스마트폰용 충전모듈(120)간의 결합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10)의 전면에 설치된 3개의 제 2 자석(150)이 각각의 스마트폰용 충전모듈(120)의 후면에 설치된 제 3 자석(151, 미도시)과 결합되면 각각의 제 2 및 제 3 접촉식입출력단자들(113,123)이 결합되어 전원과 신호를 주고 받으며, 3개의 스마트폰용 충전모듈(120)과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10)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유지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스마트패드용 충전단자(110)의 전면 및 후면에 3개의 제 2 자석(150)과 제 2 접촉식입출력단자(113)를 구성하였으나 전면 및 후변 중앙에 1개의 제 2 자석과 접촉식입출력단자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될 경우에는 3개의 스마트폰용 충전모듈(120) 중 가운데 충전모듈이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10)의 전면 중앙에 설치된 제 2 자석(150)과 결합되고 나머지 2개의 양 측 스마트폰용 충전모듈(120)은 가운데 스마트폰용 충전모듈(120)과 측면 제 3 자석(151))끼리의 결합으로 서로 연결되어 전원 및 신호를 주고 받는다.
스마트폰용 충전모듈(120) 및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10)에는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각각에 제 3 및 제 2 접촉식입출력단자(123,113)가 구비되어 있으나, 이들의 전원입력 및 출력방식은 하나의 접촉식입출력단자로 전원이 입력되면 나머지 접촉식입출력단자들은 전원의 입력이 차단된 후 전원의 출력만을 하도록 작동방식이 회로적으로 구성된다. 즉, 도 11을 참조하면,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10)의 후면 중앙의 제 2 접촉식입출력단자(미도시)가 전원공급모듈(105)의 제 1 접촉식입출력단자(107)와 접촉되어 전원이 입력되면,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10)의 나머지 후면 좌측, 우측, 전면, 양 측면에 설치된 7개의 제 2 접촉식입출력단자(113)는 전원입력이 차단되고 출력만을 하게된다. 또한, 스마트폰용 충전모듈(120)의 경우 전면, 후면 및 양측면에 각각 1개씩 총 4개의 제 3 접촉식입출력단자(123)가 구비되어 있고,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10)과 결합될 시, 3개의 스마트폰용 충전모듈(120)의 후면에 설치된 각각의 제 3 접촉식입출력단자(미도시)는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10)의 전면 3개의 제 2 접촉식입출력단자(113)와 각각 접촉 결합되어 전원이 입력된다. 그러면 각각의 스마트폰용 충전모듈(120)의 양 측면 및 전면에 설치된 나머지 3개의 제 3 접촉식입출력단자들(123)은 전원의 입력이 차단되고 전원의 출력만을 하게된다.
도 12는 도 11의 충전스테이션(100)이 결합되어 스마트패드(P) 및 스마트폰(S)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스피커모듈(170)이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스피커 모듈(170)도 스마트폰용 충전모듈(120)의 제 3 접촉식입출력단자 및 자석(123,151)의 구성과 동일한 접촉식입출력단자(155)와 자석(165)의 구성을 양 측면에 갖고 있으며,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110) 또는 스마트폰용 충전모듈(120)의 양 측 제 2 또는 제 3 접촉식입출력단자(113 또는 123)와자력으로 결합된다. 충전스테이션(100)에 장착된 스마트폰(S) 또는 태블릿 PC(P)를 통해 충전스테이션의 제 2 또는 제 3 접촉식입출력단자(113 또는 123)를 통해 출력된 오디오신호는 충전스테이션(100)의 좌우측에 연결되어 있는 스피커모듈(170)에 전달되어 스피커를 통해 재생된다. 이때 오디오 신호의 R신호는 충전스테이션(100)의 오른쪽 제 2 또는 제 3 접촉식입출력단자(113 또는 123)로만 출력되고, L신호는 왼쪽 제 2 또는 제 3 접촉식입출력단자(113 또는 123)로만 출력되며, 충전스테이션(100)의(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 및 스마트폰용 충전모듈의) 전면과 후면의 제 2 및 제 3 접촉식입출력단자는 오디오 출력기능이 없다. 충전스테이션(100)의 양 측에 설치된 접촉식입출력단자(113 또는 123)는 오디오신호를 출력할 수만 있을 뿐 입력은 받지 않는다. 오디오 신호는 각각의 충전모듈(110, 120) 간에는 전달되지 않으며, 접촉되어 있는 스피커모듈(170)로만 전달된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5,105...전원공급모듈
6...플러그
7...전원연결용 제 1 소켓부
10,110...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
11...패드 장착홈
13...전원연결용 제 2 소켓부
20,120...스마트폰용 충전모듈
21...폰 장착홈
23...전원연결용 제 3 소켓부
40...전원연결 커넥터
50,170...스피커 모듈
55...스피커 연결잭
60...와이다이 모듈
149,150,151:제 1 내지 제 3 자석
107,113,123:제 1 내지 제 3 접촉식입출력단자
6...플러그
7...전원연결용 제 1 소켓부
10,110...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
11...패드 장착홈
13...전원연결용 제 2 소켓부
20,120...스마트폰용 충전모듈
21...폰 장착홈
23...전원연결용 제 3 소켓부
40...전원연결 커넥터
50,170...스피커 모듈
55...스피커 연결잭
60...와이다이 모듈
149,150,151:제 1 내지 제 3 자석
107,113,123:제 1 내지 제 3 접촉식입출력단자
Claims (10)
- 상용전원에 연결할 수 있는 플러그를 구비하며, 상기 상용전원으로부터 공급된 교류전원을 소정 전압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며,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전원연결용 제 1 소켓부를 갖는 전원공급모듈;
전후/좌우 측면에 각각 전원연결용 제 2 소켓부를 구비하고, 상부에 스마트 패드가 장착되는 패드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패드 장착홈 상에는 상기 스마트 패드의 소켓형 충전단자에 삽입되는 제 1 돌출형 충전단자가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패드용 충전모듈;
전후/좌우 측면에 각각 전원연결용 제 3 소켓부를 구비하고, 상부에 스마트 폰이 장착되는 폰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폰 장착홈 상에는 상기 스마트 폰의 소켓형 충전단자에 삽입되는 제 2 돌출형 충전단자가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폰용 충전모듈; 및,
상기 제 1 소켓부, 상기 제 2 소켓부 및, 상기 제 3 소켓부 중 서로 마주하는 둘을 연결하는 전원연결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직류전원은 상기 전원연결 커넥터에 의해 상기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 또는 상기 스마트폰용 충전모듈에 전달되어, 상기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에 장착된 상기 스마트패드 또는 상기 스마트폰용 충전모듈에 장착된 상기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스테이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모듈 하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용 충전모듈은 상기 전원연결커넥터 혹은 접촉식입출력단자를 이용해 다양하게 결합하여 여러가지 형태로 조립이 가능하며,
상기 하나의 전원공급모듈 연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용 충전모듈은 상기 하나의 전원공급모듈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스마트패드 또는 상기 스마트폰이 동시에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스테이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 커넥터는 상기 제 1 소켓부, 상기 제 2 소켓부 및 상기 제 3 소켓부 중 서로 연결되려는 두 부재 중 어느 하나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스테이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 하나의 폭은 상기 스마트폰용 충전모듈 두 개 또는 세 개의 폭을 합한 것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스테이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은 상기 패드 장착홈에 장착된 상기 스마트패드를 지지하는 패드 거치벽이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용 충전모듈은 상기 폰 장착홈에 장착된 상기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폰 거치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스테이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소켓부 또는 상기 제 3 소켓부에 삽입가능한 스피커 연결 잭을 구비하며, 상기 스피커 연결잭이 상기 제 2 소켓부 또는 상기 제 3 소켓부에 연결된 경우, 상기 패드 장착폰에 장착된 상기 스마트패드 또는, 상기 폰 장착홈에 장착된 상기 스마트폰에서 재생되는 오디오가 출력되는 스피커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스테이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소켓부 또는 상기 제 3 소켓부에 삽입가능한 와이다이 연결잭을 구비하며, 상기 와이다이 연결잭이 상기 제 2 소켓부 또는 상기 제 3 소켓부에 연결된 경우, 상기 패드 장착폰에 장착된 상기 스마트패드 또는, 상기 폰 장착홈에 장착된 상기 스마트폰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를 지정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하는 와이다이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스테이션.
- 상용전원에 연결할 수 있는 플러그를 구비하며, 상기 상용전원으로부터 공급된 교류전원을 소정 전압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며,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전원연결용 제 1 접촉식입출력단자와 자석을 포함한 전원공급모듈;
전후/좌우 측면에 각각 제 2 접촉식입출력단자와 자석을 구비하고, 상부에 스마트 패드가 장착되는 패드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패드 장착홈 상에는 상기 스마트 패드의 충전단자에 삽입되는 제 1 돌출형 충전단자가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패드용 충전모듈; 및,
전후/좌우 측면에 각각 제3 접촉식입출력단자와 자석을 구비하고, 상부에 스마트 폰이 장착되는 폰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폰 장착홈 상에는 상기 스마트 폰의 충전단자에 삽입되는 제 2 돌출형 충전단자가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폰용 충전모듈;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모듈, 상기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 상기 스마트폰용 충전모듈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자석의 자력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접촉식입출력단자들도 상기 제 1 내지 제 3 자석의 자력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단자간의 전력과 신호를 주고 받으며,
상기 제 1 상기 직류전원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접촉식입출력단자간의 접촉에 의해 상기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 또는 상기 스마트폰용 충전모듈에 전달되어, 상기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에 장착된 상기 스마트패드 또는 상기 스마트폰용 충전모듈에 장착된 상기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스테이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용 충전모듈 또는 상기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의 전후/좌우 측면 각각에 설치된 제 2 또는 제 3접촉식입출력단자 중 어느 하나의 단자에 전원이 입력될 경우, 나머지 제 2 또는 제 3 접촉식입출력단자들은 전원 입력이 차단되고 출력의 기능만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스테이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용 충전모듈 또는 상기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의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된 제 2 또는 제 3 접촉식입출력단자는 오디오 신호의 출력 기능이 없으며,
상기 스마트폰용 충전모듈 또는 상기 스마트패드용 충전모듈의 좌측 및 우측에 설치된 제 2 또는 제 3접촉식입출력단자는 오디오 신호의 출력은 할 수 있으나 입력은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스테이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3/007483 WO2014030917A1 (ko) | 2012-08-24 | 2013-08-21 |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스테이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7538 | 2012-08-24 | ||
KR20120007538 | 2012-08-24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1311U true KR20140001311U (ko) | 2014-03-05 |
Family
ID=52441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6980U Ceased KR20140001311U (ko) | 2012-08-24 | 2013-08-21 |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스테이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01311U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9749B1 (ko) * | 2016-08-18 | 2017-03-28 | 전준서 | 일렉트릭 멀티박스 |
WO2018016758A1 (ko) * | 2016-07-18 | 2018-01-25 | 이주열 | 슬림형 충전기 |
KR20210056148A (ko) * | 2019-11-08 | 2021-05-18 |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모듈형 배터리 |
-
2013
- 2013-08-21 KR KR2020130006980U patent/KR20140001311U/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16758A1 (ko) * | 2016-07-18 | 2018-01-25 | 이주열 | 슬림형 충전기 |
KR101719749B1 (ko) * | 2016-08-18 | 2017-03-28 | 전준서 | 일렉트릭 멀티박스 |
KR20210056148A (ko) * | 2019-11-08 | 2021-05-18 |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모듈형 배터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166524U (ja) | コンセントソケット用の交換モジュール及びコンセントソケット | |
KR102545767B1 (ko) | 분리형 음향 트랜스듀서를 구비한 사운드바 장치 | |
TW200935680A (en) | Remote control duo power set | |
US20170187155A1 (en) | Wiring device with connector integrated into pcb substrate | |
JP3200505U (ja) | 電子装置 | |
JP3127310U (ja) | マルチコンセント電気装置 | |
CN104218351A (zh) | 用于模块化电气系统的低电压电力插座 | |
CN105826747A (zh) | 一种多功能电子产品组合构造 | |
CN102931538B (zh) | 连接器结构 | |
KR20140001311U (ko) |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스테이션 | |
CN202056729U (zh) | 具有模块化充电装置的台灯及充电装置 | |
CN202103290U (zh) | Usb连接线、连接端子及接头 | |
US11146882B2 (en) | Earphone | |
CN104659623B (zh) | 壁插转接器 | |
CN216903653U (zh) | 电源转接装置 | |
TW201642534A (zh) | 導電元件及電源插座 | |
TWM626270U (zh) | 電訊號轉接裝置 | |
WO2019140791A1 (zh) | 数据线连接结构、连接头、连接座、数据线及usb插接头 | |
CN205846389U (zh) | 转接连接器 | |
CN205429357U (zh) | 插座组合式多功能电子装置 | |
KR200451294Y1 (ko) | 전선 길이 연장이 용이한 플러그 분리형 멀티 콘센트 | |
WO2014030917A1 (ko) |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스테이션 | |
KR101852371B1 (ko) | 콘센트 탈부착이 가능한 모듈형 멀티 플러그 | |
CN208890032U (zh) | 音频转接头 | |
CN203983677U (zh) | 一种多功能t型数据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0821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0829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