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050U - 크레인의 과권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의 과권하방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00050U KR20140000050U KR2020120005366U KR20120005366U KR20140000050U KR 20140000050 U KR20140000050 U KR 20140000050U KR 2020120005366 U KR2020120005366 U KR 2020120005366U KR 20120005366 U KR20120005366 U KR 20120005366U KR 20140000050 U KR20140000050 U KR 20140000050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rope
- wire
- crane
- load
- load valu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2—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electric drives
- B66C13/23—Circuits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the loa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B66D1/485—Control devices automatic elect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려 이동시키는 크레인에 사용되고, 중량물을 내려놓을 때에 상기 와이어로프가 과도하게 권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크레인의 과권하방지장치로서, 중량물을 내려놓기 위하여 상기 와이어로프가 권하하는 동안 상기 와이어로프가 받는 부하값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와이어로프의 권하를 정지시키는 제동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와이어로프가 받는 부하값에 관한 전기적 신호를 받는 것으로서, 상기 와이어로프가 받는 부하값이 목표값에 도달할 경우에, 상기 제동부에 상기 와이어로프의 권하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전기적 신호를 보내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크레인의 과권하방지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중량물(重量物)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크레인에 있어서 와이어로프의 하강을 정지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하강시킬 때에 일정한 시점에서 와이어로프의 하강을 자동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크레인의 과권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거운 물품을 특정한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크레인과 같은 장치가 이용된다. 이러한 크레인은 중량물(重量物)을 상승시키는 권상, 상승된 중량물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주행, 횡행, 선회,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 중량물을 하강시키는 권하 등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중량물을 특정한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크레인은 통상적으로 중량물에 연결된 와이어로프를 전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드럼에 감거나 풀어서 중량물을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이러한 크레인에서는 회전하는 드럼으로부터 와이어로프를 풀어서 중량물을 하강시킬 때에 중량물이 바닥에 닿은 후에는 더 이상 와이어로프가 권하되지 않도록 조절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846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중량물의 하중에 관계없이 중량물의 상승 내지 하강 속도를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의 단수에서 운전자가 수동으로 단수를 조절할 수밖에 없어서 불편하였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크레인의 하중의 무게를 센서로 감지하고, 그 감지된 하중에 따라 자동으로 하중 인양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크레인의 자동 속도조절장치가 제안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크레인의 자동 속도조절장치는 단순히 크레인 하중의 무게에 따른 하중 인양 속도만을 조절할 수 있을 뿐이고, 와이어 로프가 회전하는 드럼으로부터 하강 과정이 진행될 경우에는 회전하는 드럼으로부터 와이어 로프가 풀리게 된다. 이때 중량물이 바닥에 도달하여 더 이상 하강되지 않음에도 회전하는 드럼으로부터 와이어 로프가 계속 풀리게 될 경우에는, 와이어로프가 바닥에 닿게 되어 이물질이 묻게 되고 이로 인해 와이어로프으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회전하는 드럼으로부터 와이어로프가 권하할 때에 바닥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크레인용 과권하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관한 크레인의 과권하방지장치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려 이동시키는 크레인에 사용되고, 중량물을 내려놓을 때에 상기 와이어로프가 과도하게 권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크레인의 과권하방지장치로서, 중량물을 내려놓기 위하여 상기 와이어로프가 권하하는 동안 상기 와이어로프가 받는 부하값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와이어로프의 권하를 정지시키는 제동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와이어로프가 받는 부하값에 관한 전기적 신호를 받는 것으로서, 상기 와이어로프가 받는 부하값이 목표값에 도달할 경우에, 상기 제동부에 상기 와이어로프의 권하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전기적 신호를 보내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와이어로프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로프가 권하하는 동안 상기 와이어로프가 받는 부하값을 감지하도록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로드셀일 수 있다.
상기 와이어로프가 권취된 와이어드럼과 상기 와이어드럼에서 상기 와이어로프가 권하하도록 상기 와이어드럼을 회전시키는 권취모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동부는 상기 권취모터의 구동 스위치를 오프시킴으로써 상기 와이어로프의 권하를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동부는 상기 와이어로프의 권하를 개시하는 권하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은 중량물이 바닥에 닿은 후에도 와이어로프가 와이어드럼으로부터 과도하게 권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한 크레인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한 크레인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한 크레인의 감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한 크레인의 과권하방지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와이어로프의 권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들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한 크레인의 과권하방지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와어어로프의 권하 제어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한 크레인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한 크레인의 감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한 크레인의 과권하방지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와이어로프의 권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들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한 크레인의 과권하방지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와어어로프의 권하 제어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한 크레인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한 크레인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한 크레인의 감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한 크레인의 과권하방지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와이어로프의 권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들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한 크레인의 과권하방지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와어어로프의 권하 제어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한 크레인(10)은,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100), 와이어드럼(200), 권취모터(300) 및 감속기(400)를 구비한다.
와이어로프(100)는 중량물에 고정되어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려놓을 수 있도록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로프이다. 중량물을 들어올리기 위하여 와이어로프(100)가 상승하는 것을 권상이라고 하고, 중량물을 내려놓기 위하여 와이어로프(100)가 하강하는 것을 권하라고 한다. 와이어로프(100)는 제1 와이어로프(110)와 제2 와이어로프(120)를 포함한다. 중량물은 제품이나 자재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중량물은 와이어로프(100)에 직접 고정되는 경우도 있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기구(950)의 고정부재(960)에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고정부재(960)에 고정된 중량물은 고정부재(960)를 지지하는 지지부(961)를 사이에 놓고 그 양측을 각각 지지하는 제1 프레임(971)과 제2 프레임(981)에 의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제1 및 제2 와이어로프(110)(120)는 권상스위치(미도시)의 조작에 의하여 권상동작을 수행하게 되고 권하스위치(미도시)의 조작에 의하여 권하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제1 프레임(971)의 내부에는 제1 권취쉬브(97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제2 프레임(981)의 내부에는 제2 권취쉬브(98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권취쉬브(971)와 제2 권취쉬브(981)에는 각각 제1 와이어로프(110)와 제2 와이어로프(120)가 연결된다. 제1 와이어로프(110)의 일 단부와 제2 와이어로프(120)의 일 단부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각 이퀄라이저(900)의 양 단부에 고정된다. 이퀄라이저(900)는 제1 와이어로프(110)와 제2 와이어로프(120)의 양 단부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이외에 제1 및 제2 와이어로프(110)(120)가 권상 및 권하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기우뚱거리는 것을 방지하여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제1 및 제2 와이어로프(110)(120)가 상하로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이에 연결된 제1 및 제2 권취쉬브(970)(980)가 회전하면서 달기구(95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달기구(950)의 고정부재(960)에 고정된 중량물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제1 와이어로프(110)와 이퀄라이저(900)의 일 단부의 사이에는 제1 와이어로프(110)에 연결되어 제1 와이어로프(110)가 받은 하중값을 검출하는 제1 감지부(150)가 배열되어 있다. 또한 제2 와이어로프(120)와 이퀄라이저(900)의 타 단부 사이에는 제2 와이어로프(120)에 연결되어 제2 와이어로프(110)(120)가 받은 하중값을 검출하는 제2 감지부(160)가 배열되어 있다. 제1 감지부(150)와 제2 감지부(160)는 각각 제1 와이어로프(110)가 달기구(950)나 중량물(990)의 하중에 의하여 받는 부하값과 제2 와이어로프(120)가 달기구(950)나 중량물(990)의 하중에 의하여 받는 부하값을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감지부(150)(160)는 로드셀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와이어로프(120)가 달기구(950)나 중량물(990) 하중에 의하여 받는 부하값을 감지할 수 있는 여러가지 다양한 장치, 예컨대, 와이어로프(120)의 장력검출장치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감지부(150)(160)를 로드셀로 구성할 경우에는, 로드셀이 과권하감지기능은 물론 과부하감지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서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로드셀로 제1 및 제2 감지부(150)(160)를 구성할 경우에는, 로드셀이 한편으로는 제1 및 제2 와이어로프(110)(120)가 과도하게 권하하는 것을 감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1 및 제2 와이어로프(110)(120)가 정격하중을 초과하는 하중으로 인하여 과도하게 부하를 받는 것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및 제2 감지부(150)(160)는 각각, 제1 및 제2 와이어로프(110)(120)가 달기구(950)나 중량물(990)의 하중에 의하여 받는 부하를 감지한 다음, 이를 전류값과 같은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후술하는 메인프레임(600) 상의 제어반(650)이 구비하고 있는 제어장치의 제어부에 전달한다.
와이어드럼(200)은 길이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드럼(210)을 구비함으로써 외주면에 와이어로프(100)를 감아 올리거나 외주면으로부터 와이어로프(100)를 풀어내리는 장치이다.
권취모터(300)는 와이어드럼(200)에 연결되어 와이어드럼(200)을 길이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권취모터(300)에 대하여는 전원스위치(미도시)에 의하여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거나 차단된다. 또한, 권취모터(300)는 구동스위치(미도시)의 온에 의하여 구동된다. 사용자가 구동스위치를 온시키면 권취모터(300)의 구동이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구동스위치를 오프시키면 권취모터(300)의 작동이 정지된다. 권취모터(300)에는 구동스위치와 별도로 권취모터(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신호가 제어반(650)의 제어장치의 제어부로부터 전달된다. 제어부가 권취모터(300)의 전력선에 연결된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신호를 보내면, 권취모터(300)는, 사용자의 구동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없더라도, 권취모터(300)의 작동을 멈추게 된다. 이에 따라 권취모터(300)의 작동이 정지되며, 와이어드럼(200)의 회전이 중지되고, 제1 및 제2 와이어로프(150)(160)의 권하가 정지된다. 이러한 권취모터(300)의 구동스위치나 전원스위치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와이어드럼(200)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와이어로프(110)(120)의 권하를 중지시키는 제동부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와이어로프(100)의 권하스위치를 오프시킴으로써 와이어로프(100)의 권하를 정지시킬 수도 있다.
감속기(400)는 권취모터(300)와 와이어드럼(200) 사이에 배치되어 권취모터(300)로부터 와이어드럼(200)으로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을 조절함으로써 와이어드럼(2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권취브레이크(500)는 감속기(400)와 권취모터(300)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권취모터(300)로부터 감속기(400)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지지프레임(600)은 와이어로프(100)가 권취된 와이어드럼(200), 권취모터(300), 감속기(400), 권취브레이크(500), 주행모터(700), 주행롤러(800), 주행브레이크(750) 및 이퀄라이저(900)를 지지하는 장치이다. 지지프레임(600)은 와이어드럼(200)에 권취되고 이퀄라이저(900)에 고정되는 와이어로프(100)를 간접적으로 지지한다.
주행모터(700)는 지지프레임(600)을 횡방향으로 주행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주행롤러(800)는 주행모터(700)에 연결되어 주행모터(700)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써, 지지프레임(600)을 평면상에서 횡방향으로 주행시킨다. 주행브레이크(750)는 주행모터(700)와 주행롤러(800) 사이에 배치되어 주행모터(700)로부터 주행롤러(800)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조절하게 된다.
그밖에 크레인(10)에는 지지프레임(600)을 종방향으로 주행시키는 장치(미도시)가 구비된다.
다음에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중량물(990)을 내려놓기 위하여 제1 와이어로프(110)가 권하하는 동안, 제1 와이어로프(110)가 과도하게 권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와이어드럼(200)의 회전에 의하여 제1 와이어로프(110)가 권하하게 되면, 제1 와이어로프(110)에 매달린 달기구(950)와 이에 고정된 중량물(990)이 하강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제1 와이어로프(110)에 연결된 제1 감지부(150)는 달기구(950)와 중량물(990)의 하중에 따른 부하값을 감지하게 된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중량물(990)이 목표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제1 와이어로프(110)에 연결된 제1 감지부(150)는 중량물(990)을 제외한 달기구(950)의 하중에 따른 부하값만을 감지하게 된다. 계속해서,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중량물(990)뿐만 아니라 달기구(950)도 목표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제1 와이어로프(110)에 연결된 제1 감지부(150)는, 중량물(990)은 물론 달기구(950)의 하중에 따른 부하값을 제외하고, 제1 와이어로프(110)의 자중에 따른 부하값만을 감지하게 된다. 이 때에는 제1 감지부(150)로부터 감지된 부하값에 관한 신호를 받은 제어부가 감지값이 목표값에 도달되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고, 제어부는 와이어드럼(20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제동부에 보내게 된다. 제어부로부터 제동신호를 받은 제동부는 권취모터(300)의 전원스위치나 구동스위치 또는 제1 와이어로프(110)의 권하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된다. 따라서 권취모터(300) 및 와어어드럼(200)의 회전이 정지되고, 제1 와이어로프(110)의 권하가 정지된다. 이에 의하여 제1 와이어로프(110)가 중량물(990) 및 달기구(950)가 목표 위치에 도달한 후에도 과도하게 권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와이어로프(110)가 바닥에 닿아 이물질에 접촉하게 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제1 와이어로프(110)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중량물(990)을 내려놓기 위하여 제2 와이어로프(120)가 권하하는 동안, 제2 와이어로프(120)가 과도하게 권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과정 및 효과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위에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는, 도 7을 참조하여, 위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크레인(10)에 있어서, 중량물(900)을 적재한 와이어로프(100)가 과도하게 권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의 지지프레임(600)의 제어반(650) 내에 구비되어 있는 제어장치의 제어부는, 지지프레임(600)이 주행모터(700) 등의 구동에 의하여 목표 위치의 상방까지 이동하게 되면(단계 S1), 지지프레임(600)의 주행을 정지시킨다(단계 S2).
계속해서, 제어부는 제1 및 제2 와이어로프(110)(120)를 권하시키기 시작한다(단계 S3). 제어부는 권취모터(300)를 구동시킴으로써 와이어드럼(200)을 회전시켜 와이어드럼(200)에 권취된 제1 및 제2 와이어로프(110)(120)를 풀기 시작한다. 이에 의하여 제1 및 제2 와이어로프(110)(120)는,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권하하기 시작하며,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와이어로프(110)(120)에 매달린 달기구(950) 및 이에 적재된 중량물(990)이 하강하기 시작한다. 이때 제1 와이어로프(110)에 연결된 제1 감지부(150)와, 제2 와이어로프(120)에 연결된 제2 감지부(160)는 각각, 제1 와이어로프(110)에 걸리는 달기구(950)와 중량물(990)의 하중에 따른 부하값과 제2 와이어로프(120)에 걸리는 달기구(950)와 중량물(990)의 하중에 따른 부하값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달하게 된다.
이어서, 제1 및 제2 와이어로프(110)(120)가 권하하는 동안에,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달기구(950) 및 중량물(990)이 목표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제1 및 제2 감지부(150)(160)는 각각 제1 및 제2 와이어로프(110)(120)의 자중에 따른 부하값을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감지된 부하값이 제어부에 전달되면, 제어부는 감지된 부하값을 제어반(650)에 연결된 조작스위치(미도시)에 의하여 셋팅되어 저장된 목표값과 비교하게 된다(단계 S4). 만일 감지된 부하값이 목표값보다 크게 되면(단계 S4에서 "NO"), 제어부는 권취모터(200)를 계속 구동시켜 와이어드럼(200)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와이어로프(110)(120)를 계속 권하시키게 된다. 그러나, 만일 감지된 부하값이 목표값과 같거나 그보다 작게 되면(단계 S4에서 "YES"), 제어부는 제동부인 권취모터(200)의 구동스위치나 전원스위치 또는 와이어로프(100)의 권하스위치를 오프시켜 권취모터(200)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와이어드럼(200)의 회전을 중지시킨다. 이에 의하여 제1 및 제2 와이어로프(110)(120)는 권하를 중지하게 된다(단계 S5).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크레인의 과권하방지장치에 의하면, 제1 감지부(150) 또는 제2 감지부(160)에 의하여 달기구(950) 및 중량물(990)이 목표 위치에 도달한 것을 감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달기구(950) 및 중량물(990)이 목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제1 와이어로프(110)와 제2 와이어로프(120)가 권하하는 것을 신속하게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달기구(950) 및 중량물(990)이 목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제어부가 권취모터(200)의 구동스위치나 전원스위치 또는 와이어로프(100)의 권하스위치를 오프시킴으로써, 제1 와이어로프(110)나 제2 와이어로프(120)가 계속해서 권하하여 과도하게 권하하는 것을 방지할 있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와이어로프(110)(120)가 달기구(950) 및 중량물(990)이 목표 위치에 도달한 후에도 과도하게 계속 권하함으로써 제1 및 제2 와이어로프(110)(120)가 바닥에 닿아 이물질에 접촉하게 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제1 와이어로프(110)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크레인의 과권하방지장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달리, 와이어로프(100)의 권하를 자동으로 정지시키는 목표값을 중량물(990)만이 목표위치에 도달하고 달기구(950)는 아직 목표위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 제1 및 제2 감지부(150)(160)이 감지하는 부하값으로 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및 제2 감지부(150)(160)는 제1 및 제2 와이어로프(110)(120)의 자중 및 달기구(950)의 하중에 따른 부하값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에는 중량물(990)은 목표위치에 도달하였지만 달기구(950)가 아직 목표위치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로 와이어로프(100)의 권하가 정지된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권하스위치를 조작하여 달기구(950)의 하강을 개시하게 된다. 이후 달기구(950)가 목표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사용자가 수동으로 권하스위치를 조작하여 와이어로프(100)의 권하를 정지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량물(990)은 목표위치에 도달하였지만 달기구(950)가 아직 목표위치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와이어로프(100)의 권하를 정지시킴으로써, 사전에 와이어로프(100)의 권하를 정지시켜 와이어로프(100)의 과도한 권하를 좀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나타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진다.
본 고안은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중량물(重量物)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크레인에 있어서 와이어로프의 하강을 정지시키는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10: 크레인 100: 와이어로프
110: 제1 와이어로프 120: 제2 와이어로프
150: 제1 감지부 160: 제2 감지부
200: 와이어드럼 300: 권취모터
400: 감속기 500: 권취브레이크
600: 지지프레임 650: 제어반
700: 주행모터 750: 주행브레이크
800: 주행롤러 900: 이퀄라이저
950: 달기구 960: 고정부재
970: 제1 권취쉬브 980: 제2 권취쉬브
990: 중량물
110: 제1 와이어로프 120: 제2 와이어로프
150: 제1 감지부 160: 제2 감지부
200: 와이어드럼 300: 권취모터
400: 감속기 500: 권취브레이크
600: 지지프레임 650: 제어반
700: 주행모터 750: 주행브레이크
800: 주행롤러 900: 이퀄라이저
950: 달기구 960: 고정부재
970: 제1 권취쉬브 980: 제2 권취쉬브
990: 중량물
Claims (5)
-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려 이동시키는 크레인에 사용되고, 중량물을 내려놓을 때에 상기 와이어로프가 과도하게 권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크레인의 과권하방지장치로서,
중량물을 내려놓기 위하여 상기 와이어로프가 권하하는 동안 상기 와이어로프가 받는 부하값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와이어로프의 권하를 정지시키는 제동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와이어로프가 받는 부하값에 관한 전기적 신호를 받는 것으로서, 상기 와이어로프가 받는 부하값이 목표값에 도달할 경우에, 상기 제동부에 상기 와이어로프의 권하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전기적 신호를 보내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크레인의 과권하방지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와이어로프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로프가 권하하는 동안 상기 와이어로프가 받는 부하값을 감지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크레인의 과권하방지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로드셀인 크레인의 과권하방지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가 권취된 와이어드럼과 상기 와이어드럼에서 상기 와이어로프가 권하하도록 상기 와이어드럼을 회전시키는 권취모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동부는 상기 권취모터의 구동 스위치를 오프시킴으로써 상기 와이어로프의 권하를 정지시키는 크레인의 과권하방지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와이어로프의 권하를 개시하는 권하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것인 크레인의 과권하방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5366U KR20140000050U (ko) | 2012-06-22 | 2012-06-22 | 크레인의 과권하방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5366U KR20140000050U (ko) | 2012-06-22 | 2012-06-22 | 크레인의 과권하방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0050U true KR20140000050U (ko) | 2014-01-07 |
Family
ID=52440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5366U Ceased KR20140000050U (ko) | 2012-06-22 | 2012-06-22 | 크레인의 과권하방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00050U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697634A (zh) * | 2021-08-19 | 2021-11-26 | 徐州瑞格电子有限公司 | 一种用于物料提升的无线防过卷装置 |
KR20220166916A (ko) * | 2021-06-11 | 2022-12-20 | 주식회사 티에스엔텍 | 침사 및 협잡물 스킵 호이스트 |
CN116750649A (zh) * | 2023-08-18 | 2023-09-15 | 太原重工股份有限公司 | 起重机钢丝绳缠绕系统补偿装置及控制方法 |
-
2012
- 2012-06-22 KR KR2020120005366U patent/KR20140000050U/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66916A (ko) * | 2021-06-11 | 2022-12-20 | 주식회사 티에스엔텍 | 침사 및 협잡물 스킵 호이스트 |
CN113697634A (zh) * | 2021-08-19 | 2021-11-26 | 徐州瑞格电子有限公司 | 一种用于物料提升的无线防过卷装置 |
CN113697634B (zh) * | 2021-08-19 | 2022-09-27 | 徐州瑞格电子有限公司 | 一种用于物料提升的无线防过卷装置 |
CN116750649A (zh) * | 2023-08-18 | 2023-09-15 | 太原重工股份有限公司 | 起重机钢丝绳缠绕系统补偿装置及控制方法 |
CN116750649B (zh) * | 2023-08-18 | 2023-11-07 | 太原重工股份有限公司 | 起重机钢丝绳缠绕系统补偿装置及控制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20168397A1 (en) | Hois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11108058A (zh) | 用于提升和/或降下尤其是起重机的升降机的负载装卸机构的方法及其升降机 | |
JP2012153507A (ja) | エレベータおよびエレベータの非常時運転方法 | |
JP2014162634A (ja) | ウェイト可変エレベータ | |
JP2011195270A (ja) |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開放装置 | |
JP2014114159A (ja) | グラブバケットの昇降制御装置、これを備えるアンローダ、及びグラブバケットの昇降制御方法 | |
CN103287805B (zh) | 料斗提升机 | |
KR100938218B1 (ko) | 무대에서의 바튼 승강 안전장치 | |
KR101379841B1 (ko) | 와이어로프 이탈 방지 장치를 구비한 권취장치 | |
KR20140000050U (ko) | 크레인의 과권하방지장치 | |
WO2007077828A1 (ja) | エレベータ | |
WO2003093156A1 (fr) | Mecanisme elevateur/abaisseur pour ascenseur et procede afferent | |
JP5969861B2 (ja) | 昇降体着床検知制御装置とそれを備えた機械式駐車設備 | |
JP2009155075A (ja) | エレベータの非常停止点検装置及び非常停止点検方法 | |
KR101930750B1 (ko) | 크레인 점검 장치 및 방법 | |
JPH07206379A (ja) | ジブクレーンの巻上げ索調整方法とその装置 | |
CN114761344B (zh) | 电梯装置 | |
CN203450729U (zh) | 料斗提升机 | |
JP2011214379A (ja) | 駐車装置の昇降機に備えた回転異常検出装置 | |
JP5612865B2 (ja) | 電動昇降式収納庫ユニット | |
JP4973945B2 (ja) | 昇降装置 | |
JP3785484B2 (ja) | 昇降装置 | |
JP7286864B1 (ja) | 駐車装置 | |
JP4851870B2 (ja) | 上限位置停止機構 | |
JP2015168565A (ja) | エレベー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20622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0826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31230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