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141103A - 임플란트 시술용 상악동 거상장치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시술용 상악동 거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1103A
KR20130141103A KR1020120064230A KR20120064230A KR20130141103A KR 20130141103 A KR20130141103 A KR 20130141103A KR 1020120064230 A KR1020120064230 A KR 1020120064230A KR 20120064230 A KR20120064230 A KR 20120064230A KR 20130141103 A KR20130141103 A KR 20130141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injection
tube
supply tube
di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5170B1 (ko
Inventor
현영근
Original Assignee
현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영근 filed Critical 현영근
Priority to KR1020120064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170B1/ko
Publication of KR20130141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17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2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inus lif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2Devices for expanding tissue, e.g. skin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상악동 거상장치는, 상악동 내막까지 연장되도록 치조골에 형성된 시술구멍에 삽입되고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구멍을 갖는 주입 헤드와 주입 헤드로 액체를 안내할 수 있도록 주입 헤드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시술구멍을 밀폐할 수 있도록 주입 헤드보다 큰 폭을 갖는 노즐 바디를 포함하는 노즐, 액체를 노즐 바디로 안내하기 위해 노즐 바디에 연결되는 공급튜브, 공급튜브와 연결되는 간헐 주입기를 포함한다. 간헐 주입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공급튜브 쪽으로 액체를 토출하되 사용자의 1회 조작에 의한 액체 토출량을 설정량 이하로 제한하는 주입 조절기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주입 조절기를 반복적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액체를 상기 공급튜브를 통해 간헐적으로 상기 노즐에 공급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악동 거상장치는 액체의 간헐적인 주입을 통해 시술구멍 내부의 압력을 서서히 높일 수 있고, 상악동 내막을 조금씩 가압하여 거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시술용 상악동 거상장치{Apparatus for sinus membrane elevation for operating 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용 상악동 거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체를 일정량씩 간헐적으로 주입함으로써 상악동 내막의 파손 위험을 줄이면서 상악동 내막을 안정적으로 거상시킬 수 있는 임플란트 시술용 상악동 거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란 소실된 생물학적 조직을 대체하거나 조직으로 동작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합성된 재료를 사용하여 장기형상으로 제작하여 심는 금속 의료기기이다. 임플란트는 치과용 임플란트와 정형 외과용 임플란트로 구분될 수 있는데, 최근 시술 비용이 낮아지면서 치과용 임플란트의 시술이 많이 증가하고 있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치아가 파손되었거나 손실되었을 때 치조골에 매식하여 치근역할을 하는 매식물로 어버트먼트(abutment)와 픽스쳐(fixture)가 결합된 일체 구조물을 의미한다. 임플란트 치료는 치아가 없는 부분에 픽스쳐를 치조골에 이식하여 수 개월 동안 골유착시킨 후, 픽스쳐 위에 인공치아를 결합하는 시술 방법이다. 임플란트 시술은 종래의 건강한 인접 치아를 일정 부분 제거하고 그 위에 보철물을 씌워 그 사이에 인공치아를 걸어 연결하는 브릿지 시술이나, 틀니를 만들어 사용하는 종래 시술방법에 비해 우수한 기능성과 편리함이 있어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임플란트 시술 중 상악 구치부에서의 임플란트 성공률은 하악 구치부 등 다른 부위에서의 성공률에 비해 비교적 낮다고 알려져 있다. 이것은 상악 구치부는 골질이 비교적 약하고, 그 내측에 상악동(sinus)이 있으므로 임플란트를 식립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악 구치부의 상부에 존재하는 상악동은 내막으로 둘러싸인 공간으로서 생리적으로 치아가 상실되면 밑으로 내려오면서 확장되므로, 상악 구치부의 치아가 상실되면 치아 상실에 따른 골 흡수와 함께 하방으로의 확장으로 인해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는 골량이 부족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악 구치부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기가 어려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악 구치부에 대한 임플란트 시술의 경우, 상악동 내막을 거상시켜 공간을 확보한 후, 확보된 공간에 골이식재를 이식하고 여기에 임플란트를 매식하는 상악동 거상술(sinus elevation)이 이용된다. 상악동 거상술에 있어서 상악동 내막을 손상되지 않도록 위쪽으로 잘 거상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현재 다양한 장치와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11761호(2010. 02. 03 공개)에는 치조골에 삽입되는 본체와, 본체에 삽입되고 끝단에 치조골을 천공하기 위한 시술날부가 형성된 거상공구를 포함하는 상악동 거상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상악동 거상장치는 전동공구가 거상공구를 회전시키면 거상공구가 치조골을 천공하여 상악동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상악동 내막을 가압하여 상악동 내막을 들어올린다.
그런데 상술한 것과 같은 종래 상악동 거상장치는 끝단에 치조골을 천공하기 위한 시술날부가 구비된 거상공구가 상악동 내막을 직접 들어올리므로, 시술자의 높은 숙련도가 요구되고 상악동 내막이 파손될 위험이 크다. 이와 더불어, 상악동 내막이 파손되면 상악동에 골이식재를 이식하게 어렵게 되고, 심각한 염증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악동 내막의 파손 위험을 줄이면서 상악동 내막을 안정적으로 거상시킬 수 있는 임플란트 시술용 상악동 거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상악동 거상장치는, 상악동 내막까지 연장되도록 치조골에 형성된 시술구멍에 삽입되고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구멍을 갖는 주입 헤드와 상기 주입 헤드로 액체를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주입 헤드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술구멍을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주입 헤드보다 큰 폭을 갖는 노즐 바디를 포함하는 노즐, 액체를 상기 노즐 바디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노즐 바디에 연결되는 공급튜브, 상기 공급튜브와 연결되는 간헐 주입기를 포함한다. 상기 간헐 주입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공급튜브 쪽으로 액체를 토출하되 사용자의 1회 조작에 의한 액체 토출량을 설정량 이하로 제한하는 주입 조절기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상기 주입 조절기를 반복적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액체를 상기 공급튜브를 통해 간헐적으로 상기 노즐에 공급한다.
상기 간헐 주입기는 내부에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액체 저장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입 조절기는, 액체를 수용할 수 있는 펌프실을 구비하고 상기 공급튜브 및 상기 액체 저장통과 각각 액체의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에 의한 압축력을 받으면 수축하여 상기 펌프실의 액체를 상기 노즐 쪽으로 토출하고 사용자에 의한 압축력이 제거되면 원래 상태로 팽창하여 상기 액체 저장통의 액체를 상기 펌프실로 흡입하는 탄성 펌프체, 상기 펌프실과 상기 공급튜브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 쪽으로 토출된 액체가 상기 펌프실로 역류하는 것을 막는 제 1 체크밸브, 상기 펌프실과 상기 액체 저장통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펌프실로 흡입된 액체가 상기 액체 저장통으로 역류하는 것을 막는 제 2 체크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헐 주입기는 상기 공급튜브와 액체의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에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액체 저장실을 구비하는 주입 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입 조절기는, 상기 액체 저장실의 액체를 상기 공급튜브 쪽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주입 실린더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는 피스톤 로드, 상기 주입 실린더에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의 이동 방향을 따라 복수의 스토퍼 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가이드 면을 갖는 노브 가이드, 상기 피스톤 로드와 결합되는 노브 몸체 및 상기 노브 몸체의 외면에 상기 가이드 면 쪽으로 돌출 구비된 탄성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노브 가이드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 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헐 주입기는 내부에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액체 저장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입 조절기는, 상기 공급튜브와 상기 액체 저장통 사이에 액체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요성 튜브, 상기 가요성 튜브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 다이얼 하우징, 일부가 상기 다이얼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다이얼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이얼, 상기 다이얼 하우징 내부의 가요성 튜브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다이얼 하우징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튜브 지지부재, 상기 다이얼이 사용자에 의해 회전할 때 상기 다이얼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가요성 튜브를 상기 튜브 지지부재 쪽으로 가압하여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가요성 튜브 내부의 액체를 상기 노즐 쪽으로 토출시키기 위해 상기 다이얼에 일정 각도씩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튜브 압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헐 주입기는 상기 공급튜브와 액체의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에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액체 저장실을 구비하는 주입 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입 조절기는, 상기 액체 저장실의 액체를 상기 공급튜브 쪽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주입 실린더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고 수나사산을 갖는 나사축, 상기 주입 실린더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나사축의 수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을 구비하여 상기 나사축과 나사 결합되는 너트형 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악동 거상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액체를 토출하되 사용자의 1회 조작에 의한 액체 토출량을 설정량 이하로 제한하는 주입 조절기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주입 조절기를 반복적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액체를 치조골에 천공된 시술구멍으로 간헐적으로 주입한다. 따라서, 시술구멍 내부의 압력을 서서히 높일 수 있고, 상악동 내막을 조금씩 가압하여 안정적으로 거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상악동 거상장치를 이용하여 상악동 내막을 거상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상악동 거상장치의 간헐 주입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상악동 거상장치의 간헐 주입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상악동 거상장치의 간헐 주입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은 도 4에 도시된 간헐 주입기의 주입 조절기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상악동 거상장치의 간헐 주입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시술용 상악동 거상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상악동 거상장치를 이용하여 상악동 내막을 거상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상악동 거상장치(100)는 치조골(10)에 형성된 시술구멍(11)을 통해 상악동 내막(20) 쪽으로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110)과, 액체를 노즐(110)로 안내하기 위해 노즐(110)에 연결되는 공급튜브(120)와, 액체를 일정량씩 공급튜브(120)를 통해 노즐(110)에 공급하기 위해 공급튜브(120)와 연결되는 간헐 주입기(130)를 포함한다. 액체로는 식염수 등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다양한 종류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노즐(110)은 주입 헤드(111)와 주입 헤드(111)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노즐 바디(112)를 포함한다. 노즐 바디(112)와 주입 헤드(111) 사이에는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연결부(113)가 구비된다. 노즐 바디(112)는 시술구멍(11)을 밀폐할 수 있도록 시술구멍(11)의 폭보다 큰 폭을 갖고, 노즐 바디(112)에 공급튜브(120)가 연결된다. 주입 헤드(111)는 치조골(10)에 천공되는 시술구멍(11)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시술구멍(11)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다.
주입 헤드(111)에는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분사구멍(114)이 마련된다. 주입 헤드(111)로부터 분사되는 액체가 상악동 내막(20)의 특정 부분에 집중되면 이 부분의 충격이 커서 상악동 내막(20)이 손상되기 쉽다. 이러한 문제를 막기 위해 분사구멍(114)은 여러 개가 주입 헤드(111)에 다방향으로 배치되며, 이에 의해 액체가 특정 부분에 집중되지 않고 여러 방향으로 분산되어 분사될 수 있다. 주입 헤드(111)에 다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분사구멍(114)을 통해 액체가 분사되면 액체에 의한 시술구멍(11) 내부의 압력이 점진적으로 상승하게 되어 상악동 내막(20)을 조금씩 안정적으로 거상시킬 수 있다.
간헐 주입기(130)는 액체를 저장하는 액체 저장통(135)과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액체 저장통(135)에 저장된 액체를 일정량씩 공급튜브(120) 쪽으로 토출시키는 주입 조절기(140)를 포함한다. 액체 저장통(135)과 주입 조절기(140)는 연결튜브(137)로 연결된다.
주입 조절기(140)는 액체를 수용할 수 있는 펌프실(142)을 구비하는 탄성 펌프체(141)와, 탄성 펌프체(141)와 공급튜브(120)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체크밸브(143)와, 탄성 펌프체(141)와 액체 저장통(135)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체크밸브(144)를 포함한다. 탄성 펌프체(141)는 고무나 실리콘 등 사용자에 의한 압축력을 받으면 수축하였다가 압축력이 제거되면 원래 상태로 팽창할 수 있는 다양한 탄력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탄성 펌프체(141)를 압축하면 펌프실(142)의 액체가 공급튜브(120) 쪽으로 토출되고, 탄성 펌프체(141)가 원래 상태로 팽창하면 펌프실(142)의 압력이 낮아져 액체 저장통(135)의 액체가 연결튜브(137)를 통해 펌프실(142)로 흡입된다. 사용자가 탄성 펌프체(141)를 눌러 주입 조절기(140)를 1회 조작할 때 펌프실(142)에서 토출되는 액체의 토출량은 일정량 이하로 제한되는데, 액체의 1회 토출량은 펌프실(142)의 용량이나 탄성 펌프체(141)의 수축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 1 체크밸브(143)와 제 2 체크밸브(144)는 탄성 펌프체(141)의 양쪽 단부에 배치되어 액체가 액체 저장통(135)에서 노즐(110) 쪽으로 한쪽 방향으로만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제 1 체크밸브(143)는 탄성 펌프체(141)가 팽창하여 펌프실(142)의 압력이 낮아질 때 펌프실(142)과 공급튜브(120)를 연결하는 유로를 막아 노즐(110)로 토출된 액체가 펌프실(142)로 역류하는 것을 막는다. 그리고 제 2 체크밸브(144)는 탄성 펌프체(141)가 수축하여 펌프실(142)의 압력이 높아질 때 펌프실(142)과 연결튜브(137)를 연결하는 유로를 막아 펌프실(142)의 액체가 액체 저장통(135)으로 역류하는 것을 막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상악동 거상장치(100)는 사용자가 탄성 펌프체(141)를 눌러 압축시키면, 펌프실(142)의 액체가 공급튜브(120) 및 노즐(110)을 통해 시술구멍(11)으로 분사되어 시술구멍(11)을 채운다. 이때, 노즐(110)의 노즐 바디(112)가 시술구멍(11)을 밀폐하고 있으므로, 시술구멍(11)에 액체가 채워지면 시술구멍(11)의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사용자는 탄성 펌프체(141)를 반복적으로 눌러 시술구멍(11)으로 액체를 주입함으로써 상악동 내막(20)을 거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상악동 거상장치(100)는 주입 조절기(140)의 1회 조작에 의한 액체 토출량이 설정량 이하로 제한되므로, 주입 조절기(140)의 반복적으로 조작에 의해 액체가 노즐(110)을 통해 간헐적으로 시술구멍(11)으로 분사된다. 따라서, 시술구멍(11)으로 주입되는 액체가 상악동 내막(20)을 서서히 조금씩 가압함으로써 상악동 내막(20)을 안정적으로 거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상악동 거상장치의 간헐 주입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상악동 거상장치의 간헐 주입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상악동 거상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액체를 일정량씩 간헐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간헐 주입기(230) 이외에, 시술구멍(11)을 통해 상악동 내막(20) 쪽으로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110)과, 액체를 노즐(110)로 안내하기 위해 간헐 주입기(230)와 노즐(110)을 연결하는 공급튜브(120)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노즐(110)과 공급튜브(120)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상악동 거상장치(100)와 같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상악동 거상장치의 간헐 주입기(230)는 공급튜브(120)와 액체의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에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액체 저장실(232)을 구비하는 주입 실린더(231)와, 주입 실린더(231)에 저장된 액체를 일정량씩 공급튜브(120) 쪽으로 토출시키는 주입 조절기(240)를 포함한다. 주입 실린더(231)의 일단에는 공급튜브(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튜브 결합부(233)가 구비되는데, 사용자는 튜브 결합부(233)를 공급튜브(120)에서 분리하고 튜브 결합부(233)를 통해 액체 저장실(232)에 액체를 보충할 수 있다.
주입 조절기(240)는 주입 실린더(231)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241)과, 피스톤(241)에 결합되는 피스톤 로드(242)와, 주입 실린더(231)의 타단에 결합되는 노브 가이드(243)와, 노브 가이드(24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 노브(246)를 포함한다. 피스톤 로드(242)는 주입 실린더(231) 타단에 마련된 피스톤 로드 삽입구멍(234)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조작 노브(246)는 피스톤 로드(242)의 한쪽 끝단에 결합된다.
노브 가이드(243)는 조작 노브(246)를 사이에 두고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면(244)을 갖는다. 가이드 면(244)에는 피스톤(241)의 이동 방향을 따라 복수의 스토퍼 홈(245)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조작 노브(246)는 피스톤 로드(242)와 결합되는 노브 몸체(247)와, 노브 몸체(247)의 양쪽 외측면에 가이드 면(244) 쪽으로 돌출된 복수의 탄성 돌기(248)와, 노브 몸체(247)의 상면에 마련된 복수의 미끄럼방지 돌기(249)를 갖는다. 미끄럼방지 돌기(249)는 사용자가 조작 노브(246)를 미끄러지지 않고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조작 노브(246)는 이에 구비된 탄성 돌기(248)가 노브 가이드(243)의 스토퍼 홈(245)에 삽입되어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움직이지 않는다.
사용자가 조작 노브(246)를 주입 실린더(231) 쪽으로 밀면 조작 노브(246)의 탄성 돌기(248)가 탄성 변형되면서 스토퍼 홈(245)과 스토퍼 홈(245) 사이의 융기부를 따라 주입 실린더(231) 쪽에 가까이 배치된 다음 스토퍼 홈(245)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조작 노브(246)가 스토퍼 홈(245)과 스토퍼 홈(245) 사이의 간격만큼 간헐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으로 조작 노브(246)가 이동하면 피스톤(241)이 조작 노브(246)의 이동 거리만큼 이동하여 액체 저장실(232)의 액체를 노즐(110) 쪽으로 토출시킨다. 액체의 1회 토출량은 피스톤(241)의 면적이나 스토퍼 홈(245)과 스토퍼 홈(245) 사이의 간격을 다양하게 설계함으로써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상악동 거상장치는 조작 노브(246)가 노브 가이드(243)를 따라 스토퍼 홈(245)과 스토퍼 홈(245) 사이의 거리만큼씩 피치 이동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조작 노브(246)의 이동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액체 저장실(232)의 액체를 일정량씩 조금씩 노즐(110) 쪽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주입에 따른 시술구멍(11) 내부의 압력을 서서히 높일 수 있고, 상악동 내막(20)을 조금씩 거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상악동 거상장치의 간헐 주입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은 도 4에 도시된 간헐 주입기의 주입 조절기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상악동 거상장치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액체를 일정량씩 간헐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간헐 주입기(330) 이외에, 시술구멍(11)을 통해 상악동 내막(20) 쪽으로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110)과, 액체를 노즐(110)로 안내하기 위해 간헐 주입기(330)와 노즐(110)을 연결하는 공급튜브(120)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노즐(110)과 공급튜브(120)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상악동 거상장치(100)와 같다.
간헐 주입기(330)는 내부에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액체 저장통(335)과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액체 저장통(335)에 저장된 액체를 일정량씩 공급튜브(120) 쪽으로 토출시키는 주입 조절기(340)를 포함한다.
주입 조절기(340)는 공급튜브(120)와 액체 저장통(335) 사이에 액체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요성 튜브(341)와, 가요성 튜브(341)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343)을 갖는 다이얼 하우징(342)과, 다이얼 하우징(34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이얼(346)과, 다이얼(346)에 일정 각도씩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튜브 압축부재(349)와, 다이얼 하우징(342) 내부의 가요성 튜브(341)를 지지하기 위해 다이얼 하우징(342)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튜브 지지부재(351)를 포함한다. 가요성 튜브(341)는 공급튜브(120)와 연결된다. 공급튜브(120)가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공급튜브(120)의 일부분이 가요성 튜브(341)로 이용될 수 있다.
다이얼 하우징(342)에는 한 쌍의 튜브 결합구멍(344)과 개방구(345)가 구비된다. 한 쌍의 튜브 결합구멍(344)에는 가요성 튜브(341)가 결합되고, 개방구(345)를 통해 다이얼(346)이 부분적으로 다이얼 하우징(342) 외부로 노출된다.
다이얼(346)은 다이얼 하우징(342)에 결합된 회전축(34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다이얼(346)의 외주면에는 미끄럼방지 부재(348)가 구비된다. 미끄럼방지 부재(348)는 사용자가 다이얼(346)을 미끄러지지 않고 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이얼(346)의 일면에는 다이얼(346)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회전축(350)이 일정 각도씩 배치되고, 각 회전축(350)에 튜브 압축부재(349)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면에는 튜브 압축부재(349)가 롤러 구조를 갖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튜브 압축부재(349)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튜브 지지부재(351)는 다이얼(346)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도록 다이얼 하우징(342) 내면에 고정 설치된다. 다이얼 하우징(342) 내부에 배치된 가요성 튜브(341)의 일부분은 튜브 지지부재(351)의 일면에 접한다.
사용자가 다이얼(346)을 돌리면 다이얼(346)에 결합된 복수의 튜브 압축부재(349)가 다이얼(346)을 지지하는 회전축(347)을 중심으로 하여 원형 궤도를 그리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튜브 지지부재(351)로 접근하는 튜브 압축부재(349)가 튜브 지지부재(351)에 접한 가요성 튜브(341)를 압축하며, 이에 의해 가요성 튜브(341)의 액체가 일정량씩 노즐(110) 쪽으로 토출된다. 사용자가 다이얼(346)을 1회 조작할 때 가요성 튜브(341)에서 노즐(110) 쪽으로 토출되는 액체의 1회 토출량은 가요성 튜브(341)의 크기나, 튜브 압축부재(349)에 의한 가요성 튜브(341)의 수축량, 튜브 압축부재(349)의 간격 등을 다양하게 설계함으로써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상악동 거상장치는 사용자가 다이얼(346)을 돌려 다이얼(346)을 반복적으로 조작함으로써 액체 저장통(335)의 액체를 일정량씩 간헐적으로 노즐(110) 쪽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주입에 따른 시술구멍(11) 내부의 압력을 서서히 높일 수 있고, 상악동 내막(20)을 조금씩 거상시킬 수 있다.
튜브 압축부재(349)가 가요성 튜브(341)를 수축시켜 액체 저장통(335)의 액체를 노즐(110) 쪽으로 토출시키기 위해 다이얼(346)의 회전 방향은 도면상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제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주입 조절기(340)는 다이얼(346)을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시킬 수 있는 원웨이 클러치나, 다이얼(346)의 시계 방향 회전을 억제시키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상악동 거상장치의 간헐 주입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상악동 거상장치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액체를 일정량씩 간헐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간헐 주입기(430) 이외에, 시술구멍(11)을 통해 상악동 내막(20) 쪽으로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110)과, 액체를 노즐(110)로 안내하기 위해 간헐 주입기(430)와 노즐(110)을 연결하는 공급튜브(120)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노즐(110)과 공급튜브(120)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상악동 거상장치(100)와 같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상악동 거상장치의 간헐 주입기(430)는 공급튜브(120)와 액체의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에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액체 저장실(432)을 구비하는 주입 실린더(431)와, 주입 실린더(431)에 저장된 액체를 일정량씩 공급튜브(120) 쪽으로 토출시키는 주입 조절기(440)를 포함한다. 주입 실린더(431)의 일단에는 공급튜브(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튜브 결합부(433)가 구비된다.
주입 조절기(440)는 액체 저장실(432)의 액체를 공급튜브(120) 쪽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주입 실린더(431)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441)과, 피스톤(441)에 결합되는 나사축(442)과, 나사축(442)과 나사 결합되도록 주입 실린더(431)의 타단에 배치되는 너트형 다이얼(444)을 포함한다. 나사축(442)은 주입 실린더(431)의 타단에 마련된 나사축 결합구멍(434)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수나사산(443)을 갖는다. 너트형 다이얼(444)의 내주면에는 나사축(442)의 수나사산(443)에 대응하는 암나사산(445)이 구비된다.
너트형 다이얼(444)의 일면에는 주입 실린더(431)의 타단에 마련된 결합홈(435)에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는 결합부(446)가 구비되어 너트형 다이얼(444)은 주입 실린더(431)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너트형 다이얼(444)의 외주면에는 미끄럼방지 부재(447)가 구비된다.
사용자가 너트형 다이얼(444)을 돌리면 너트형 다이얼(444)과 나사축(442)의 나사 운동에 의해 나사축(442)이 움직여 피스톤(441)을 공급튜브(120) 쪽으로 민다. 이때, 피스톤(441)이 공급튜브(120) 쪽으로 이동하여 액체 저장실(432)의 액체를 일정량 공급튜브(120) 쪽으로 토출시킨다. 공급튜브(120) 쪽으로 토출되는 액체의 1회 토출량은 피스톤(441)의 크기나, 나사축(442)의 직경, 나사축(442)의 수나사산(443) 피치 등을 다양하게 설계함으로써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상악동 거상장치는 사용자가 너트형 다이얼(444)을 일정 각도씩 돌리는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주입 실린더(431)의 액체를 일정량씩 간헐적으로 노즐(110) 쪽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주입에 따른 시술구멍(11) 내부의 압력을 서서히 높일 수 있고, 상악동 내막(20)을 조금씩 거상시킬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400 : 상악동 거상장치 110 : 노즐
120 : 공급튜브 130, 230, 330, 430 : 간헐 주입기
135, 335 : 액체 저장통 140, 240, 340, 440 : 주입 조절기
141 : 탄성 펌프체 142 : 펌프실
143, 144 : 제 1, 2 체크밸브 137 : 연결튜브
231, 431 : 주입 실린더 241, 441 : 피스톤
242 : 피스톤 로드 243 : 노브 가이드
244 : 가이드 면 245 : 스토퍼 홈
246 : 조작 노브 247 : 노브 몸체
248 : 탄성 돌기 249 : 미끄럼방지 돌기
341 : 가요성 튜브 342 : 다이얼 하우징
346 : 다이얼 347, 350 : 회전축
348, 447 : 미끄럼방지 부재 349 : 튜브 가압부재
442 : 나사축 444 : 너트형 다이얼

Claims (6)

  1. 상악동 내막까지 연장되도록 치조골에 형성된 시술구멍에 삽입되고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구멍을 갖는 주입 헤드와, 상기 주입 헤드로 액체를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주입 헤드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술구멍을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주입 헤드보다 큰 폭을 갖는 노즐 바디를 포함하는 노즐;
    액체를 상기 노즐 바디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노즐 바디에 연결되는 공급튜브; 및
    상기 공급튜브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공급튜브 쪽으로 액체를 토출하되 사용자의 1회 조작에 의한 액체 토출량을 설정량 이하로 제한하는 주입 조절기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상기 주입 조절기를 반복적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액체를 상기 공급튜브를 통해 간헐적으로 상기 노즐에 공급하는 간헐 주입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 주입기는 내부에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액체 저장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입 조절기는,
    액체를 수용할 수 있는 펌프실을 구비하고, 상기 공급튜브 및 상기 액체 저장통과 각각 액체의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에 의한 압축력을 받으면 수축하여 상기 펌프실의 액체를 상기 노즐 쪽으로 토출하고, 사용자에 의한 압축력이 제거되면 원래 상태로 팽창하여 상기 액체 저장통의 액체를 상기 펌프실로 흡입하는 탄성 펌프체,
    상기 펌프실과 상기 공급튜브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 쪽으로 토출된 액체가 상기 펌프실로 역류하는 것을 막는 제 1 체크밸브, 및
    상기 펌프실과 상기 액체 저장통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펌프실로 흡입된 액체가 상기 액체 저장통으로 역류하는 것을 막는 제 2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 주입기는 상기 공급튜브와 액체의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에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액체 저장실을 구비하는 주입 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입 조절기는,
    상기 액체 저장실의 액체를 상기 공급튜브 쪽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주입 실린더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는 피스톤 로드,
    상기 주입 실린더에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의 이동 방향을 따라 복수의 스토퍼 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가이드 면을 갖는 노브 가이드, 및
    상기 피스톤 로드와 결합되는 노브 몸체 및 상기 노브 몸체의 외면에 상기 가이드 면 쪽으로 돌출 구비된 탄성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노브 가이드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 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 주입기는 내부에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액체 저장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입 조절기는,
    상기 공급튜브와 상기 액체 저장통 사이에 액체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요성 튜브,
    상기 가요성 튜브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 다이얼 하우징,
    일부가 상기 다이얼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다이얼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이얼,
    상기 다이얼 하우징 내부의 가요성 튜브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다이얼 하우징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튜브 지지부재, 및
    상기 다이얼이 사용자에 의해 회전할 때 상기 다이얼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가요성 튜브를 상기 튜브 지지부재 쪽으로 가압하여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가요성 튜브 내부의 액체를 상기 노즐 쪽으로 토출시키기 위해 상기 다이얼에 일정 각도씩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튜브 압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튜브 압축부재는 상기 다이얼에 결합된 복수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 주입기는 상기 공급튜브와 액체의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에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액체 저장실을 구비하는 주입 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입 조절기는,
    상기 액체 저장실의 액체를 상기 공급튜브 쪽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주입 실린더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고 수나사산을 갖는 나사축, 및
    상기 주입 실린더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나사축의 수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을 구비하여 상기 나사축과 나사 결합되는 너트형 다이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장치.
KR1020120064230A 2012-06-15 2012-06-15 임플란트 시술용 상악동 거상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375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230A KR101375170B1 (ko) 2012-06-15 2012-06-15 임플란트 시술용 상악동 거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230A KR101375170B1 (ko) 2012-06-15 2012-06-15 임플란트 시술용 상악동 거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103A true KR20130141103A (ko) 2013-12-26
KR101375170B1 KR101375170B1 (ko) 2014-03-18

Family

ID=49985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230A Expired - Fee Related KR101375170B1 (ko) 2012-06-15 2012-06-15 임플란트 시술용 상악동 거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170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5426B2 (en) 2010-10-21 2017-06-13 Sonendo, Inc. Apparatus,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endodontic treatments
US9877801B2 (en) 2013-06-26 2018-01-30 Sonendo,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filling teeth and root canals
US10010388B2 (en) 2006-04-20 2018-07-03 Sonendo,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root canals of teeth
US10098717B2 (en) 2012-04-13 2018-10-16 Sonendo,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cleaning teeth and gingival pockets
US10363120B2 (en) 2012-12-20 2019-07-30 Sonendo,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cleaning teeth and root canals
US10420630B2 (en) 2009-11-13 2019-09-24 Sonendo, Inc. Liquid jet apparatus and methods for dental treatments
US10722325B2 (en) 2013-05-01 2020-07-28 Sonendo,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teeth
US10806544B2 (en) 2016-04-04 2020-10-20 Sonend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ing foreign objects from root canals
US10835355B2 (en) 2006-04-20 2020-11-17 Sonendo,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root canals of teeth
US11173019B2 (en) 2012-03-22 2021-11-16 Sonendo,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cleaning teeth
US11213375B2 (en) 2012-12-20 2022-01-04 Sonendo,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cleaning teeth and root canals
US11350993B2 (en) 2006-08-24 2022-06-07 Pipstek, Llc Dental and medical treatments and procedures
USD997355S1 (en) 2020-10-07 2023-08-29 Sonendo, Inc. Dental treatment instrument
US12114924B2 (en) 2006-08-24 2024-10-15 Pipstek, Llc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6472A (ja) 2000-08-23 2004-03-04 ブリガム・ヤング・ユニバーシティ 加圧水噴射を用いた歯の穿孔方法および装置
US20090258328A1 (en) 2006-11-30 2009-10-15 Chun-Leon Chen 5 in 1 dental implant method and apparatus
KR100976820B1 (ko) * 2008-12-24 2010-08-20 김대연 상악동 점막 거상용 액체 주입장치 및 그를 이용한 상악동 점막 거상 방법
KR20090075578A (ko) * 2008-01-04 2009-07-08 김대연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내막거상 장치

Cited B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7498B2 (en) 2006-04-20 2020-04-14 Sonendo,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root canals of teeth
US11918432B2 (en) 2006-04-20 2024-03-05 Sonendo,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root canals of teeth
US10010388B2 (en) 2006-04-20 2018-07-03 Sonendo,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root canals of teeth
US10016263B2 (en) 2006-04-20 2018-07-10 Sonendo,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root canals of teeth
US10039625B2 (en) 2006-04-20 2018-08-07 Sonendo,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root canals of teeth
US10835355B2 (en) 2006-04-20 2020-11-17 Sonendo,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root canals of teeth
US11426239B2 (en) 2006-08-24 2022-08-30 Pipstek, Llc Dental and medical treatments and procedures
US12114924B2 (en) 2006-08-24 2024-10-15 Pipstek, Llc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11684421B2 (en) 2006-08-24 2023-06-27 Pipstek, Llc Dental and medical treatments and procedures
US11350993B2 (en) 2006-08-24 2022-06-07 Pipstek, Llc Dental and medical treatments and procedures
US11160645B2 (en) 2009-11-13 2021-11-02 Sonendo, Inc. Liquid jet apparatus and methods for dental treatments
US12268565B2 (en) 2009-11-13 2025-04-08 Sonendo, Inc. Liquid jet apparatus and methods for dental treatments
US10420630B2 (en) 2009-11-13 2019-09-24 Sonendo, Inc. Liquid jet apparatus and methods for dental treatments
US10806543B2 (en) 2010-10-21 2020-10-20 Sonendo, Inc. Apparatus,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endodontic treatments
US9675426B2 (en) 2010-10-21 2017-06-13 Sonendo, Inc. Apparatus,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endodontic treatments
US10702355B2 (en) 2010-10-21 2020-07-07 Sonendo, Inc. Apparatus,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endodontic treatments
US12186151B2 (en) 2010-10-21 2025-01-07 Sonendo, Inc. Apparatus,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endodontic treatments
US11173019B2 (en) 2012-03-22 2021-11-16 Sonendo,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cleaning teeth
US10631962B2 (en) 2012-04-13 2020-04-28 Sonendo,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cleaning teeth and gingival pockets
US11284978B2 (en) 2012-04-13 2022-03-29 Sonendo,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cleaning teeth and gingival pockets
US10098717B2 (en) 2012-04-13 2018-10-16 Sonendo,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cleaning teeth and gingival pockets
US11103333B2 (en) 2012-12-20 2021-08-31 Sonendo,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cleaning teeth and root canals
US10363120B2 (en) 2012-12-20 2019-07-30 Sonendo,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cleaning teeth and root canals
US11213375B2 (en) 2012-12-20 2022-01-04 Sonendo,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cleaning teeth and root canals
US10722325B2 (en) 2013-05-01 2020-07-28 Sonendo,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teeth
US9877801B2 (en) 2013-06-26 2018-01-30 Sonendo,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filling teeth and root canals
US11701202B2 (en) 2013-06-26 2023-07-18 Sonendo,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filling teeth and root canals
US10806544B2 (en) 2016-04-04 2020-10-20 Sonend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ing foreign objects from root canals
USD997355S1 (en) 2020-10-07 2023-08-29 Sonendo, Inc. Dental treatment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5170B1 (ko) 201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170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상악동 거상장치
KR100619145B1 (ko) 상악동 거상술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US9730773B2 (en) Bone graft injection methods
KR100660374B1 (ko) 상악동 거상술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DK2726034T3 (en) INTRAOCULAR MEDICINE ADMINISTRATION DEVICE
KR100976820B1 (ko) 상악동 점막 거상용 액체 주입장치 및 그를 이용한 상악동 점막 거상 방법
KR101039265B1 (ko) 상악동 막의 거상을 위한 인서트
US20110008746A1 (en) Apparatus of liquid injecting for lifting maxillary sinus mucous membrance and the method for the same utilizing this apparatus
KR101193011B1 (ko) 임플란트용 상악동막 거상기기
JP6894438B2 (ja) シュナイダー膜を挙上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EP2559398A2 (en) Injector for dental implants
US20110183287A1 (en) Bone infuser for an osseous tissue implanting syringe
KR100772549B1 (ko) 골이식재 주입을 위한 주사기
KR100981718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US20160074140A1 (en) Dental sinus lift device for implant rehabilitation
KR20130094985A (ko) 경사 수액분사공이 형성된 상악동 거상용 초음파 시술팁
KR20100011761A (ko) 임플란트 시술용 상악동 거상장치
KR101198082B1 (ko) 임플란트용 인공뼈 주입기구
KR102058165B1 (ko) 상악동 임플란트 시스템
KR20190134177A (ko) 상악동 점막 거상 기구
KR102238578B1 (ko)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KR101232920B1 (ko) 상악동 내막 거상용 물 주입장치
KR102308274B1 (ko) 상악동 임플란트
KR101288950B1 (ko) 약물 주입 장치
KR102528895B1 (ko)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3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