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9141A - Bottle with storage cup and closure with special function - Google Patents
Bottle with storage cup and closure with special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39141A KR20130139141A KR1020120063135A KR20120063135A KR20130139141A KR 20130139141 A KR20130139141 A KR 20130139141A KR 1020120063135 A KR1020120063135 A KR 1020120063135A KR 20120063135 A KR20120063135 A KR 20120063135A KR 20130139141 A KR20130139141 A KR 201301391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rage cup
- container
- storage
- cap
- sp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gases, e.g. oxygen absorbers or desicca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forming a part of a removable closure, e.g. gripping teeth or c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입구 내부 공간에 보관컵을 장착한 용기를 일단 거꾸로 뒤집은 후에 다시 원래대로 올바르게 세우는 동작을 통하여 알약을 보관컵에 저장하는 원리를 이용한 알약 분배 기능을 갖는 용기 및 병마개에 대한 신제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product for a container and a bottle cap having a pill dispensing function using a principle of storing a pill in a storage cup through an operation of inverting a container equipped with a storage cup in a container inlet space and then upright again. It is about.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기 내부 공간(04)에 보관 중인 알약(07)의 일정량을 용기(01) 밖으로 수월하게 꺼내도록 특수 기능을 갖는 부품(보관 컵)을 장착한 용기 및 이와 결합하는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equipped with a part (storage cup) having a special function so as to easily take out a certain amount of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기존 용기에 보관 중인 알약을 병마개를 개봉 후에 용기 입구를 뒤집거나 옆으로 뉘어 꺼낼 때마다 그 수량을 부정확 하게 꺼내는 불편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용기 내부 및 병마개 내부에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새로운 기술이다.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s in the container and the inside of the bottle cap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inaccurately taking out the quantity every time the bottle entrance is turned upside down or sideways after opening the bottle cap in the existing container. It is a new technology that uses a device equipped with a function that can be used.
용기의 내부 공간에 알약(또는 분말 류, 등)을 보관하면서 기존 제품(용기 + 병마개)을 사용할 경우, 알약(07)을 꺼내기 위하여 병마개를 개봉한 후에 용기입구(02)를 아래 방향으로 뒤집으면, 사용자가 원하는 양보다 많은 알약이 용기 입구를 통하여 일정치 않게 손바닥으로 쏟아져 나오는 불편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병마개를 용기 입구로부터 개봉한 후 알약을 용기 입구를 통하여 꺼낼 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수량만큼의 알약을 끄집어 낼 수 있는 구조와 기능을 갖는 새로운 용기 및 병마개가 필요하다.When using a conventional product (container + bottle cap) while storing pills (or powders, etc.) in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after opening the bottle cap to take out the pills (07), turn the container inlet (02) downward. Inconveniently, more pills than the user desires are uncomfortably spilled into the palm through the mouth of the container.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container and a bottle cap having a structure and a function that can take out a number of pills desired by the user when opening the bottle cap from the container inlet and then taking the tablet out through the container inlet.
본 발명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새롭게 창안한 방법으로서, 사용 원리를 설명하면, 사용자가 용기 입구를 아래 방향으로 뒤집으면 용기 내부에 보관 중인 알약이 유출틈(40)을 통과하여 병마개 내부 공간(14)에 내려와 머무른다. 용기를 똑바로 원래대로 다시 세우면 보관컵의 용량만큼만 보관컵에 남고 나머지 알약은 유출틈(40)을 통하여 ‘용기 내부 공간(06)’ 으로 다시 내려간다. 병마개를 개본하고 ‘보관컵 보관 공간(42)’ 에 보관된 상기 알약(07)을 꺼내어 사용한다. 알약을 꺼낸 후에 병마개를 용기 입구에 다시 체결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newly created method to effectively achie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o solve', when explaining the principle of use, when the user flips the container inlet downwards, the pill being stored inside the container spillage 40 Passes through and stays in the bottle cap inner space (14). When the container is put back upright again, only the capacity of the storage cup remains in the storage cup and the remaining pills are lowered back into the space inside the container through the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발명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invention effects.
1. 원하는 수량만큼만 용기에서 꺼내어 이용할 수 있기에 편리하다.(편의성)1. It is convenient because you can take out only the quantity you want and use it.
2. 꺼낸 후에 손에 닿은 남은 알약을 용기 내에 다시 넣을 필요가 없기에 때문에 손바닥의 불결한 물질이 오염되지 않으므로 매우 위생적이다.(위생성)2. It is very hygienic because sanitary substances of the palm are not contaminated because there is no need to put the remaining pill in the container after taking it out again.
3. 기존 용기보다 알약(내용물)의 공기 노출이 많지 않아 내용물 보관이 장기적으로 유리하다.(보관성)3. There is less exposure of pills (contents) to air than conventional containers, so the contents storage is advantageous in the long term.
4. 보관컵 하부 위치에 제습제를 비치하기 때문에 내용물과 제습제가 직접 닿지 않아 내용물을 제습제의 독성으로부터 보호 할 수 있다.(제습 효과)4. The dehumidifier is placed in the lower part of the storage cup, so the contents and the dehumidifier do not come in direct contact to protect the contents from the toxicity of the dehumidifier.
도 1은, 기존 일반 제품의 대표 단면도이다.
도 2는, 기존 일반 제품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컵을 장착한 완제품의 대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컵을 장착한 후, 거꾸로 세운 완제품의 대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컵을 장착한 후, 다시 세운 후(올바로 세운 후) 완제품의 대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컵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컵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컵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컵 하부에 제습제를 보관한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 구조(정돈부)를 갖는 병마개 하부면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 구조(정돈부, 돔)를 갖는 병마개 하부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컵을 용기 입구에 구비하고 힌지캡을 장착한 병마개의 전개 단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컵을 용기 입구에 구비하고 힌지캡을 장착한 병마개의 결합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용기 부문
01 : 용기, 02 : 용기 입구,
03 : 용기 입구 내부 면, 04 : 용기 입구 내부 공간,
05 : 나사선, 06 : 용기 내부 공간
07 : 알약 또는 내용물 08 : 용기 입구 외부면
병마개 부문
10 : 기존 병마개, 11 : 기능성 병마개,
12 : 널, 13 : 병마개 상부면,
14 : 내부 공간, 15 : 정돈부,
16 : 병마개 나사선, 17 : 손잡이 턱
18 : 실링부재, 19 : 손잡이 턱 홈
25 : 실링부재 삽입 부위 26 : 몸체
27 : 힌지 28 : 덮개
29 : 덮개 내부 공간 30 : 몸체 내벽
31 : 몸체 외벽 32 : 링 가스켓(링 타잎 실링부재)
33 : 경사판
보관컵 부문
40 : 유출틈, 41 : 보관컵,
42 : 보관컵 보관 공간, 43 : 보관컵 외부 측면,
44 : 보관컵 바닥, 45 : 탄성 걸림턱,
46 : 보관컵 상부면, 47 : 제습제 보관 공간,
48 : 제습제 걸림턱, 49 : 제습제
50 : 하부 외부면 51 : 연결 대
52 : 보관컵 내부 측면 53 : 몸체1 is a representative cross-sectional view of an existing general product.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existing general product.
3 is a representative cross-sectional view of a finished product equipped with a storage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representativ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nished product upside down after mounting the storage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presentativ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nished product after mounting the storage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re-establishing (after standing correctly).
6 is a plan view of a storage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orage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ottom view of a storage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humidifying agent stor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bottom view of a bottle cap bottom surface having a blocking structure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bottle cap bottom surface having a blocking structure (arrangement part, do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exploded sectional view of a bottle cap provided with a storage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a container inlet and equipped with a hinge cap.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p of the cap having a storage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inlet of the container and equipped with a hinge cap.
* 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 of drawing *
Courage sector
01: vessel, 02: vessel entrance,
03: inside face of container entrance, 04: inside space of container entrance,
05: screw thread, 06: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07: pills or contents 08: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entrance
Bottle cap
10: existing cap, 11: functional cap,
12: board, 13: top of the cap,
14: internal space, 15: trimming part,
16: screw cap screw, 17: handle jaw
18: sealing member, 19: handle jaw groove
25: sealing member insertion portion 26: the body
27: hinge 28: cover
29: cover inner space 30: body inner wall
31 body
33: inclined plate
Storage Cup Division
40: spill gap, 41: storage cup,
42: storage cup storage space, 43: storage cup outer side,
44: bottom of the storage cup, 45: elastic locking jaw,
46: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cup, 47: dehumidifier storage space,
48: dehumidifier hang jaw, 49: dehumidifier
50: lower outer surface 51: connection table
52: storage cup inner side 53: body
실시 방법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용기 입구(02)를 아래 방향으로 뒤집으면 용기 내부에 보관 중인 알약이 중력에 의하여 유출틈(40)을 통과하여 병마개 내부 공간(14)에 내려와 머무른다. 이렇게 용기를 뒤집은 상태에서 병마개를 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병마개의 회전하는 힘을 전달받은 병마개 내의 정돈부(15)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보관컵 상부면(46)을 차단하여 ‘보관컵 내부 공간(42)’ 에 보관된 알약과 보관공간에 다다르지 못한 알약을 구분한다. 병마개를 용기 입구로부터 이탈시키기 직전에 용기를 똑바로 다시 세우면 중력에 의하여 ‘보관컵 내부 공간(42)’ 에 위치한 알약만 남게 되고 나머지 알약은 유출틈(40)을 통하여 ‘용기 내부 공간(06)’ 으로 다시 내려간다. ‘보관컵 내부 공간(42)’ 에 보관된 상기 알약을 꺼내어 사용한다. 상세하게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When explaining the implementation method, when the user flips the container inlet (02)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pill stored in the container passes through the
도 1은, 기존 일반 제품의 대표 단면도이다.1 is a representative cross-sectional view of an existing general product.
도 2는, 기존 일반 제품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1, 2의 제품은 기존의 일반 제품으로서, 일반적인 사용 방법을 기술한다. 용기 입구(02)에 결합한 기존 병마개(10)를 개봉한 후에 실링부재(18)를 손톱이나 날카로운 물건(칼, 송곳 등)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용기(01)를 거꾸로 뒤집어 알약(07)을 손바닥에 꺼내어 사용한다.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existing general product. 1 and 2 is a conventional general product, which describes a general method of use. After opening the existin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컵(41)을 장착한 완제품의 대표 단면도이다. 보관컵(41)을 용기 입구 내부 공간에 위치시킨다. 상기 보관컵(41)은 연결대(51) 및 탄성 걸림턱(45)에 의하여 용기 입구 내부면(03)에 끼운다. 보관컵의 상부면(46)은 개방되고 하부면(50)은 막혀 있다. 보관컵의 하부 외부면(50)에 제습제(49)를 보관한다. 제습제(49)는 제습제 걸림턱(48)에 의하여 보관된다. 연결대는 하나 이상 구비하고 영결대와 연결대 사이는 유출틈(40)을 구성하고, 유출틈(40)을 통하여 알약(07)이 상하로 통과한다. 용기 입구에 결합하는 병마개의 하부면에는 정돈부(15)를 구비하고 동시에 알약을 보관 할 수 있는 내부 공간(14)을 구비한다. 정돈부의 면은 돔형, 반구형, 요철형 등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용기 입구(02)와 병마개가 결합하는 부분은 링 가스켓(32)이 비치되어 용기 내부와 외부 간의 공기 유통을 차단한다.3 is a representativ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nished product equipped with a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컵(41)을 장착한 후, 거꾸로 세운 완제품의 대표 단면도이다. 알약(07)을 먼저 용기(01)에 넣은 후에 용기 입구 내부 공간(04)에 보관컵(41)을 장착한다. 상기 보관컵(41)이 용기 입구 내부면(03)에 고정으로 끼워지도록 보관컵(41)의 외부 측면(43)의 일정 위치에 하나 이상의 탄성 걸림턱(45)을 돌출로 구비한다. 유출틈(40)의 형성을 위하여 보관컵(41)의 외부 측면(43)과 용기 입구 내부면(03)은 항상 일정 거리를 유지하여야 한다. 알약(07)이 수월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보관컵(41)의 측면 외부(43)의 원주를 따라 하나 이상의 유출틈(40)을 갖는다. 보관컵(41)의 형태는 상부(46)는 개방되고 하부는 차단되어있는 컵형이다. 보관컵(41)은 원통형이 대표적 타입이지만 필요에 따라 사각형, 마름모형, 타원형, 등등의 여러 형상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용기 입구(02)는 실링부재(18)로 밀봉한다. 병마개(10)는 몸체(26) 내부면의 나사선(16)에 의하여 용기 입구 외부면(08)의 나사선(05)과 결합하여 체결한다. 용기를 뒤집으면 용기 내에 있는 알약이 유출틈을 통과하여 병마개 내부 공간으로 내려온다.4 is a representativ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nished product upside down after mounting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컵을 장착한 후, 다시 세운 후(올바로 세운 후) 완제품의 대표 단면도이다. 완제품을 다시 올바로 세우면 병마개(11) 쪽으로 몰려 있던 알약의 대부분은 유출틈(40)을 통하여 다시 용기 내부 공간(06)으로 내려간다. 한두개의 알약은 병마개 하부면에 구비된 정돈부의 영향을 받아 보관컵에 머무른다. 도 5는, 정돈부에 대한 상기 도면은 대표 그림이다. 정돈부 면은 일약의 외형에 따라 반구형, 돔형, 방사형 돌출선을 갖는 등, 여러 형태를 취할 수 있다.5 is a representativ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nished product after mounting the storage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re-establishing (after standing correctly). When the finished product is correctly set up, most of the pills that are concentrated toward the
도 6, 7, 8 은, 보관컵(41)의 평면도, 측면도, 저면도이다. 상기 도면은 대표적 도면으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막혀 있으며 상부 보다 하부는 직경이 짧은 중공의 원통형이다. 외부측면(43)에는 원주를 따라 하나 이상의 탄성 걸림턱(45)이 돌출로 구비된다. 측면의 경사도는 알약이 유출틈으로 쉽게 접근하도록 보관컵의 끝부분의 직경이 상부면의 직경보다 짧다. 다시 표현하면, 보관컵의 단면을 설명하면 역 사다리 형상을 갖게 된다. 알약인 경우에는 벽면을 그물형으로 처리할 수 있으나, 내용물이 분말인 경우에는 벽면이 완벽하게 차단형으로 사용해야 한다.6, 7, 8 are plan views, side views, and bottom views of the
도 8, 9는, 보관컵(41) 하부에 제습제(49)를 보관한 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보관컵(41)의 하부 외부면(50)에는 제습제(49)를 보관할 수 있는 제습제 보관 공간(47)과 제습제 걸림턱(48)을 보관컵(41)과 일체형으로 가지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다. 보관컵(41) 하부 외부면(50)에 제습제를 고정하여 비치하기 때문에 내용물(07)과 제습제(49)가 직접 닿지 않는다.8 and 9 are sectional views and a bottom view of the
도10은, 차단 구조를 갖는 병마개 하부면에 대한 저면도이다. 병마개 내부 하부면에는 실링부재를 끼워 넣는 삽입 부위(25)가 원주를 따라 요철형으로 형성된다. 용기를 거꾸로 세운 후에 보관컵(41)에 들어가지 못한 알약을 걷어 내기 위하여 정돈부(15)를 마개의 내부 공간(14)에 일체형, 돌출형으로 구비된다. 정돈부(15)의 역할은 마개가 회전할 때에 동시에 회전하면서 보관컵에 들어가지 못한 남은 알약을 보관컵으로 부터 걷어내어 용기 내부로 떨어뜨린다.10 is a bottom view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with a blocking structure. An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 구조(정돈부, 돔)를 갖는 병마개 하부면에 대한 단면도이다. 병마개의 하부면의 정돈부를 돔형으로 처리하였다. 상기 돔형 정돈부의 역할은 병마개 내부 공간에 머무르는 알약을 보관컵으로 유도 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컵을 용기 입구에 구비하고 힌지캡을 장착한 병마개의 전개 단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컵을 용기 입구에 구비하고 힌지캡을 장착한 병마개의 결합 단면도이다. 병마개에 힌지로 연결한 덮개를 구비하고 보관컵에 보관되는 알약을 덮개를 열어 수월하게 꺼낼 수 있다. 상기 힌지캡의 구조를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용기 입구에 체결한 힌지캡은 몸체(26), 힌지(27), 덮개(28)로 구성된다. 보관컵은 몸체의 내벽(30)에 연결대(51)로 연결된다. 몸체 내벽(30)과 보관컵(41) 사이는 유출틈(40)이 항상 설치된다. 사용 방법은 1)용기 입구에 힌지캡을 체결한 제품에 있어서, 병마개 위치가 아래 방향으로 가도록 거꾸로 세우면 용기 내부 공간에 있던 알약(07)이 중력에 의하여 유출틈(40)을 통과하여 덮개(28) 하부면의 내부 공간(29)으로 내려온다. 2)용기 입구가 위로 가도록 제품을 다시 원위치 시킨다. 3) 원위치 시키는 작동에 따라, 덮개 내부 공간(29)에 있던 알약은 중력에 의하여 보관컵(41)의 보관공간(42)내부로 내려온다. 4)덮개(28)를 열어 보관컵(41)에 담겨 있는 내용물(알약 등)을 꺼내어 사용한다.Fig. 11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bottle cap bottom surface having a blocking structure (arrangement part, do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immed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was treated in a dome shape. The role of the dome-shaped trimming unit has a function of inducing the pill staying in the space inside the bottle cap to the storage cup. Fig. 12 is an exploded sectional view of a bottle cap provided with a storage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a container inlet and equipped with a hinge cap.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p of the cap having a storage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inlet of the container and equipped with a hinge cap. The lid is hinged to the cap and the pill stored in the storage cup can be easily opened by opening the lid. The structure of the hinge cap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hinge cap fastened to the container inlet consists of a
상기에서 제시한 용기 입구 내부면(03)에 보관컵(41)을 장착하여 내용물을 꺼내어 사용하는 원리는 본 제품 이외의 어떠한 제품에도 적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알약, 분말과 같은 고형물뿐만이 아니라, 내용물이 용액인 경우(메니큐어 제품에 상기 원리를 이용한 구체적인 기술은 별도로 제안할 것이다)에도 이 원리를 이용할 수 있다. 보관컵(41)은 용도에 따라 형태의 변경과 기능의 추가가 이루어 질 수 있다. 내용물이 용액인 경우에, 보관컵(41)의 몸통 측면에 유출구를 하나 이상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모든 신제품(특히 용액 류를 용기에 보관한 제품)은 평상시에는 병마개를 결합한 용기 입구를 거꾸로 하여 보관하다가 사용 직전에 올바로 세워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품을 거꾸로 보관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병마개의 직경은 용기 몸통의 직경보다 길고, 병마개의 상부면(13)은 수평으로 평평하여야 한다. 본 발명품에서 개발한 구조 및 원리는 다른 제품에 폭 넓게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용량이 크거나 용기의 높이가 길어서 스푼이나 빨대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이용하기에 곤란한 제품에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러 번 사용해야 하는 간장 병, 소스 병, 껌 통, 등에도 상기 원리를 이용할 수 있다.The principle of taking out the contents by attaching the
Claims (21)
용기 입구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분리형 보관컵 또는 용기 입구 내부 공간의 내부면에 용기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보관컵과;
하부면에 정돈부를 갖지며, 정돈부와 보관컵 상부면 사이에 알약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병마개와;
용기 입구에 병마개를 체결한 후에 거꾸로 세워서 보관할 수 있도록 병마개 상부면이 평평하고 직경이 넓은 제품;
에 관한 것In the product consisting of a container, a storage cup, a bottle cap, a sealing member,
A detachable storage cup inserted into the container inlet space or a storage cup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tainer on an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inlet space;
A bottle cap having a trimming part on a lower surface and having a space for storing a pill between the trimming part and an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cup;
A product having a flat top surface and a wide diameter so that the bottle cap can be stored upside down after the bottle cap is fastened;
Thing about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 바닥면은 막혀 있는 중공의 원통형 보관컵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Hollow cylindrical storage cup with top open and bottom bottom closed
상부 직경은 넓고 하부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중공의 원통형 보관컵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Hollow Cylindrical Storage Cups with Large Upper Diameter and Narrowing Downwards
측면 외부면에 원주를 따라 돌출로 하나 이상의 탄성 걸림턱을 갖는 보관컵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Storage cup with one or more elastic locking jaws projecting along the circumference on the side outer surface
보관컵과 용기 입구 내부면 사이에 유출틈을 갖는 용기 입구 내부 공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inlet with outlet gap between the storage cup an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nlet
내용물(알약 등) 보관 공간을 갖는 보관컵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Storage cup with storage space for contents (pills, etc.)
하부면 내부 공간에 정돈부를 갖는 병마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ottle cap with trimming in space inside lower surface
누름판, 얇은막(연결부), 지지판, 보호벽, 막대(훅), 윙, 널, 나사선을 갖는 기능성 병마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nctional cap with pressure plate, thin film (connection), support plate, protective wall, rod (hook), wing, board, thread
보관컵 하부에 제습제 보관 공간을 갖는 보관컵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torage cup with a dehumidifier storage space under the storage cup
측면에 하나 이상의 유출구를 갖는 보관컵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Storage cup with one or more outlets on the side
몸통의 형태가 원통형, 마름모형, 사각형, 등으로 구성되는 보관컵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Storage cup consisting of cylindrical, rhombus, square, etc.
보관컵의 외경이 용기 입구 내경보다 짧은 보관컵The method of claim 12,
Storage cup whose outer diameter is shor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tainer opening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차단되고, 몸통의 내부가 중공이며, 하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짧아지며, 측면 외부면에는 돌출로 하나 이상의 탄성이 있는 걸림턱을 구비한 보관컵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upper part is open, the lower part is blocked, the inside of the body is hollow, and the inner diameter is shortened toward the bottom, and the storage cup with one or more elastic locking jaws protruding from the side outer surface.
용기 입구 내부면에 꼭 끼워지도록 탄성을 갖는 걸림턱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Resilient locking jaw fits snugly inside the container opening
용기 입구에 체결된 상태에서 제품(용기 + 마개)을 거꾸로 세울 수 있도록 병마개 상부면이 평평하고 상부면의 직경이 용기 몸통의 직경과 비슷하거나 작지 않는 병마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ottle cap with a flat top surface and a diameter of the top surface that is not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tainer body so that the product (container + stopper) can be upside down while being fastened to the container opening.
병마개의 몸체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결합형)으로 보관컵을 갖는 병마개18. The method of claim 17,
Bottle caps with storage cups in one piece or with a separate body
보관컵 대신 유출구를 구비한 차단판을 용기 입구 내부 공간 또는 용기 내부 공간에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갖는 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Vessels having a barrier plate having an outlet instead of a storage cup, either integrally or separately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 entrance or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
알약을 보관컵 안으로 수월하게 유도하기 위하여 병마개 하부면이 돔형면, 반구형면, 방사형면, 요철형면 등 여러 형상으로 구비되는 정돈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order to guide the pills easily into the storage cup, the lower part of the cap is provided in various shapes such as dome shape, hemispherical surface, radial surface, and irregular surface.
알약을 수월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본 특허에서 제시한 보관컵의 컵형을 대체하여, 판형, 그물형, 요철형 등 여러 구조를 가질 수 있는 보관컵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torage cup that can have various structures such as plate type, net type, and uneven type instead of the cup type of the storage cup proposed in this patent to easily store pill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3135A KR20130139141A (en) | 2012-06-12 | 2012-06-12 | Bottle with storage cup and closure with special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3135A KR20130139141A (en) | 2012-06-12 | 2012-06-12 | Bottle with storage cup and closure with special fun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9141A true KR20130139141A (en) | 2013-12-20 |
Family
ID=49984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3135A Withdrawn KR20130139141A (en) | 2012-06-12 | 2012-06-12 | Bottle with storage cup and closure with special fun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139141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856996A (en) * | 2017-12-11 | 2018-03-30 | 广东机电职业技术学院 | A kind of portable variable medicament taking bottle |
CN109606935A (en) * | 2018-12-29 | 2019-04-12 | 苏州东杏表面技术有限公司 | A kind of damp-proof bottle suitable for the fluid preservation to moisture-sensitive |
-
2012
- 2012-06-12 KR KR1020120063135A patent/KR20130139141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856996A (en) * | 2017-12-11 | 2018-03-30 | 广东机电职业技术学院 | A kind of portable variable medicament taking bottle |
CN107856996B (en) * | 2017-12-11 | 2023-06-20 | 广东机电职业技术学院 | Portable variable medicine taking bottle |
CN109606935A (en) * | 2018-12-29 | 2019-04-12 | 苏州东杏表面技术有限公司 | A kind of damp-proof bottle suitable for the fluid preservation to moisture-sensitive |
CN109606935B (en) * | 2018-12-29 | 2024-04-19 | 苏州东杏表面技术有限公司 | Dampproofing bottle suitable for liquid preservation sensitive to mois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183805B2 (en) | Shifter dish insert for cosmetic package | |
US9169048B2 (en) | Hinged closure | |
US8087547B1 (en) | Dispensing devices with bottom outlet for dispensing viscous liquids | |
US4583667A (en) | Partitioning dispensing container | |
JP4415412B2 (en) | Discharge container | |
US7918336B2 (en) | Closure device with corrugated ring plunger part | |
ES2703281T3 (en) | Dispensing closure | |
KR20240046133A (en) | Bottle cap, and vessel coupled with the same | |
US5848731A (en) | Dispenser for personal materials | |
JP2018058650A (en) | Packaging container at improved discharge rate of capsule type content | |
KR20130139141A (en) | Bottle with storage cup and closure with special function | |
AU2006237711B2 (en) | Closure arrangement | |
JP2016094203A (en) | Weighing cap | |
JPH11189280A (en) | Lid of container receiving granular substance | |
WO2014033080A1 (en) | Rechargeable dispenser for tablets | |
CN211443371U (en) |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ealing cover | |
KR20140011233A (en) | 1 piece closure with storage cup | |
JP2002068263A (en) | Cream-like stuff spouting vessel | |
FR3070260B1 (en) | DISPENSING CAPSULE WITH ECLIPSABLE SHUTTER DISC FOR OVAL OR TABLETS CAPSULES | |
JP6910716B2 (en) | Tablet container | |
JPH0369465A (en) | Cap to be freely assembled for bottle container | |
KR20140019715A (en) | 1 piece closure with storage cup and storage space | |
JPH0650370Y2 (en) | Cap | |
CN209160285U (en) | Upper and lower separating bottle | |
KR20140042611A (en) | The function and the method used of storage cup for skin lo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