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137492A - 엎어져도 내용물이 새지 않는 빨대 - Google Patents

엎어져도 내용물이 새지 않는 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7492A
KR20130137492A KR1020120061158A KR20120061158A KR20130137492A KR 20130137492 A KR20130137492 A KR 20130137492A KR 1020120061158 A KR1020120061158 A KR 1020120061158A KR 20120061158 A KR20120061158 A KR 20120061158A KR 20130137492 A KR20130137492 A KR 20130137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beverage container
tube member
wrinkle
wrink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종
조윤성
양승해
Original Assignee
(주)유틸리온
양승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틸리온, 양승해 filed Critical (주)유틸리온
Priority to KR1020120061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7492A/ko
Publication of KR20130137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4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6Details of bendable stra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엎어져도 내용물이 새지 않는 빨대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주름으로 이루어지되, 적어도 하나의 주름은 상향 경사진 제1주름관 부재를 포함하는 빨대를 제공하며, 또한 빨대의 제1주름관 부재가 삽입되는 빨대 삽입공, 빨대 삽입공의 둘레에 형성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는 음료 용기를 포함하는 빨대와 음료 용기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엎어져도 내용물이 새지 않는 빨대{Straw whose contents are not leaked when container falls over}
본 발명은 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료 용기가 엎어져도 내용물이 새지 않는 빨대, 그리고 이 빨대와 음료 용기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빨대는 액체 상태의 음료에 꽂아 입으로 빨아 마시는데 쓰이는 도구이다. 얇은 관 모양으로 재질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합성수지이다. 역사상 처음으로 빨대를 발명한 것은 수메르인들이라고 하는데, 맥주를 마시는 데 썼다고 한다. 오늘날 쓰이는 형태의 빨대를 발명한 것은 미국인 마빈 C.스톤이다. 미국의 프리드먼은 1930년대에 주름빨대를 발명하여 특허를 출원하였으며, 이후 주름빨대의 형태와 제조방법에 대해 특허를 출원하였다.
도 1은 종래 주름빨대의 정면도로서, 주름빨대(1)는 일반적으로 그 상부에는 주름관 부재(2)가 형성된 빨대로서, 빨대(1)를 음료용기에 삽입한 후 주름관 부재(2)를 일정 방향으로 구부림으로써, 머리를 숙이거나 음료 용기를 기울지 않고도 편하게 음료를 마실 수 있다.
그러나, 주름빨대도 일반 빨대와 마찬가지로 음료 용기가 엎어질 경우, 빨대와 용기의 결합 부위에 생길 수 있는 미세한 빈틈을 통해 내용물이 새어나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 용기가 엎어져도 내용물이 새지 않는 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빨대 삽입 시 음료 용기 바닥과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음료 용기의 크기에 따라 변형 가능하며, 잔여 음료를 흡입하는데 용이한 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빨대 및 음료 용기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주름으로 이루어지되, 적어도 하나의 주름은 상향 경사진 제1주름관 부재를 포함하는 빨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향 경사진 주름은 정면에서 봤을 때 역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향 경사진 주름의 경사각은 5 내지 85°일 수 있고, 상향 경사진 주름의 최대 직경은 주름지지 않은 부분의 직경보다 1 내지 200% 더 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빨대는 제1주름관 부재의 상부에 다수의 주름으로 이루어진 제2주름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제1주름관 부재의 하부에 다수의 주름으로 이루어진 제3주름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빨대의 말단부는 경사질 수 있고, 말단부에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빨대의 말단부는 물결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빨대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에틸렌비닐알코올, 나일론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주름으로 이루어지되, 적어도 하나의 주름은 상향 경사진 제1주름관 부재를 구비하는 빨대; 및 빨대의 제1주름관 부재가 삽입되는 빨대 삽입공, 빨대 삽입공의 둘레에 형성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는 음료 용기를 포함하는, 빨대와 음료 용기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결합구조에서 제1주름관 부재의 최대 직경은 빨대 삽입공보다 커서, 제1주름관 부재가 빨대 삽입공에 삽입된 후 제1주름관 부재의 상향 경사진 주름이 걸림부재에 걸릴 수 있다.
본 발명의 결합구조에서 상향 경사진 주름은 정면에서 봤을 때 역 사다리꼴 형상을 갖고, 걸림부재와 밀착되어 빈틈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는 빨대 삽입공을 밀봉하는 밀봉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걸림부재 및 빨대는 각각 독립적으로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에틸렌비닐알코올, 나일론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빨대는 상향 경사진 주름을 갖는 주름관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빨대가 음료 용기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빨대가 삽입된 후에는 상향 경사진 주름이 걸림부재와 밀착되어 빈틈을 막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음료 용기가 엎어져도 내용물이 새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빨대는 제1주름관 부재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별도의 주름관 부재를 구비하고, 빨대의 말단부의 형상을 적절하게 구성함으로써, 빨대 삽입 시 음료 용기 바닥과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음료 용기의 크기에 따라 변형(휨) 가능하여 제1주름관 부재의 삽입 위치 조절이 가능하며, 잔여 음료를 흡입하는데도 용이하다.
도 1은 종래 주름빨대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주름빨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주름빨대의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주름빨대 말단부의 다양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빨대와 음료 용기의 결합구조를 예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빨대와 음료 용기의 결합구조를 예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주름빨대의 정면도로서, 이 실시형태에 따른 주름빨대(10)는 다수의 주름으로 이루어지되, 적어도 하나의 주름은 상향 경사진 제1주름관 부재(20)를 포함한다.
주름빨대(1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에틸렌비닐알코올, 나일론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수지로 이루어지거나 2종 이상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주름빨대(10)는 통상적으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나, 다면체나 납작한 형태 등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제1주름관 부재(20)는 다수의 주름으로 이루어져서, 주름빨대(10)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고, 또한 일정 각도로 굴곡 가능하다.
제1주름관 부재(20)의 위치는 음료 용기(100)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입을 대는 쪽을 상단이라고 할 때, 통상적으로는 주름빨대(10)의 중앙부분 또는 상부 쪽에 형성된다.
제1주름관 부재(20)는 도 2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상향 경사진 주름(21)을 포함한다. 상향 경사진 주름(21)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 내지 수십 개로 할 수 있다.
상향 경사진 주름(21)은 경사면을 가지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봤을 때 윗변과 밑변이 긴 역 사다리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향 경사진 주름(21)의 형상은 도 2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한 경사면을 가질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그 형상을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향 경사진 주름(21)은 수평방향, 즉 주름빨대(10)의 단면을 기준으로 위쪽으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경사져 있는데, 상향 경사진 주름(21)의 경사각(a)은 5 내지 85°,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75°,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일 수 있다. 경사각(a)이 너무 작거나 크면 경사효과를 얻을 수 없다.
상향 경사진 주름(21)의 최대 직경(d2)은 주름지지 않은 부분(d1)의 직경, 즉 주름빨대(10)의 몸통 직경보다 1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더 클 수 있다. 상향 경사진 주름(21)의 최대 직경(d2)이 너무 작으면 경사각(a)이 너무 커져서 경사효과를 얻을 수 없고, 상향 경사진 주름(21)의 최대 직경(d2)이 너무 크면 경사각(a)이 작아질 뿐더러 빨대 몸통으로부터 너무 돌출되어 음료 용기(100)에 삽입하기가 곤란해진다.
상향 경사진 주름(21)의 높이 등 다른 규격은 주름빨대(10)의 길이나 음료 용기(100)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2의 확대도에서 점선은 상향 경사진 주름(21)의 안쪽으로 접혀진 부분을 나타낸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종래 주름관 부재(2)와는 달리, 정면에서 보면 보이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주름빨대의 정면도로서, 이 실시형태에 따른 주름빨대(10)는 제1주름관 부재(20)의 상부에 다수의 주름으로 이루어진 제2주름관 부재(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제1주름관 부재(10)의 하부에 다수의 주름으로 이루어진 제3주름관 부재(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2주름관 부재(30)는 통상적인 주름빨대와 마찬가지로 구부려서 음료를 편하게 마시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2주름관 부재(30)는 주름빨대(10)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고, 또한 자유자재로 구부릴 수 있다. 제2주름관 부재(30)는 적어도 제1주름관 부재(20)보다는 상부 쪽에 위치하고,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입을 대는 쪽과 가까운 주름빨대(10)의 상부 쪽에 위치하며, 도 1에 도시된 주름관 부재(2)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주름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주름관 부재(30)의 구조, 위치, 규격 등은 통상적인 주름빨대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제3주름관 부재(40)는 통상적인 주름빨대에는 없는 구성으로서, 빨대(10) 삽입 시 완충 작용을 하여 음료 용기(100) 바닥과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음료 용기(100)의 크기가 작아도 제3주름관 부재(40)가 휘어짐으로써 제1주름관 부재(20)를 음료 용기(100)의 빨대 삽입공(110)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제3주름관 부재(40)는 주름빨대(10)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고, 또한 자유자재로 구부릴 수 있다. 제3주름관 부재(40)는 적어도 제1주름관 부재(20)보다는 하부 쪽에 위치하고, 구체적으로는 음료 용기(100)의 바닥과 가까운 주름빨대(10)의 하부 쪽에 위치하며, 도 1에 도시된 주름관 부재(2)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주름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3주름관 부재(40)의 구조, 위치, 규격 등은 제2주름관 부재(30)와 마찬가지로 통상적인 주름빨대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제3주름관 부재(40)의 최대 직경은 삽입이 용이하도록 빨대(10)의 직경(d1)과 대략 유사하게 하는 것이 좋다.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주름빨대 말단부의 다양한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 말단부는 음료 용기(100)의 바닥과 접촉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도 4는 평탄한 말단부에 홈(50)이 형성된 실시형태를 예시한 것으로, 이 홈(50)을 통해 내용물인 음료가 흡입될 수 있으며, 특히 잔여 음료를 흡입하는데 용이할 수 있다. 도 4에는 홈(50)이 중앙에 한 개 형성되어 있으나, 홈(50)의 형성 위치와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빨대의 말단부가 경사진 실시형태를 예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부는 경사부(60)를 갖는다. 이러한 말단부 구조를 가질 경우, 경사부(60)의 한쪽 끝이 뾰족하므로, 빨대(10)를 음료 용기(100)에 삽입할 때, 밀봉부재(120)를 뚫기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 6은 빨대의 말단부가 경사부 및 홈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형태를 예시한 것으로, 말단부가 홈(50) 및 경사부(60)를 모두 포함함으로써 상술한 두 가지 효과를 모두 얻을 수 있다.
도 7은 빨대의 말단부가 물결모양(70)으로 이루어진 실시형태를 예시한 것으로, 도 4처럼 홈(50)이 형성된 경우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빨대의 말단부는 도 4 내지 도 7에 예시된 것 이외에 다양한 구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용기의 평면도로서, 팩 형태의 음료 용기를 위에서 바라본 것이다.
음료 용기(100)는 도면에 예시된 팩 형태 이외에 병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음료 용기(100)는 종이, 합성수지, 유리, 금속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용기(100)의 상단에는 빨대 삽입공(110), 밀봉부재(120), 걸림부재(130)가 구비되며, 밀봉부재(120)는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도 있다.
빨대 삽입공(110)은 빨대(10)가 삽입된 후 빨대(10)의 제1주름관 부재(20)가 위치하는 부분이다. 빨대 삽입공(110)은 빨대(10)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데, 통상적으로는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빨대 삽입공(110)의 직경(d3)은 빨대(10)의 기본 직경(d1)과 대략 동일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빨대(10)의 직경(d1)보다 약간 큰 것이 좋다.
밀봉부재(120)는 음료를 마시기 전까지 빨대 삽입공(110)을 밀봉하는 역할을 하며, 빨대(10)의 삽입 시에 관통되기 용이하도록, 알루미늄 박과 은박과 같은 금속, 합성수지, 종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밀봉부재(120)는 팩 형태의 음료 용기에는 필수적이나, 다른 형태의 용기에서는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걸림부재(130)는 빨대 삽입공(110) 또는 밀봉부재(120)의 둘레 테두리에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빨대(10)가 삽입된 후 제1주름관 부재(20)가 걸리게 되는 부분이다. 걸림부재(1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대 삽입공(110) 또는 밀봉부재(120)와 대응되게 원형의 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걸림부재(130)의 최대 직경(d4)은 적어도 빨대(10)의 직경(d1)과 빨대 삽입공(110)의 직경(d3)보다는 크고, 상향 경사진 주름(21)의 최대 직경(d2)과 같거나 더 작거나 더 클 수 있다. 걸림부재(130)의 두께는 음료 용기(100)의 두께와 같거나 더 얇을 수 있다.
걸림부재(13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에틸렌비닐알코올, 나일론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수지로 이루어지거나 2종 이상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걸림부재(130)의 재질은 비닐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빨대와 음료 용기의 결합구조를 예시한 결합 단면도로서, 빨대(10)가 음료 용기(10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빨대(10)의 길이는 적용되는 음료 용기(100)의 크기에 맞추어 제작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주름관 부재(20)의 중간 부분이 빨대 삽입공(110)에 걸쳐 있는데, 빨대 삽입공(110)에 걸치는 위치는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다.
도 9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제1주름관 부재(20)는 어느 정도의 탄성을 지니고 그 최대 직경(d2)은 적어도 빨대 삽입공(110)보다는 크기 때문에, 제1주름관 부재(20)가 밀봉부재(120)를 관통하여 빨대 삽입공(110)을 통과할 때에는 변형되어 빨대(10)의 외주면 쪽으로 접혔다가, 빨대 삽입공(110)을 통과한 후에는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제1주름관 부재(20)의 상향 경사진 주름(21)이 걸림부재(130)에 걸리게 된다.
상향 경사진 주름(21)은 정면에서 봤을 때 역 사다리꼴 형상을 갖고, 특히 상단면이 평탄하므로, 걸림부재(130)와 밀착되어 빈틈을 막을 수 있다. 특히, 걸림부재(130)와 접하는 상향 경사진 주름(21)의 경사면은 걸림부재(130) 등의 압력에 의해 도 9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 형상으로 약간 휘게 되어 밀봉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주름관 부재(20)의 상향 경사진 주름(21) 구조에 의해, 빨대(10)의 삽입 시에는 삽입이 용이하고, 빨대(10)의 삽입 후에는 밀봉구조를 형성하여 내용물이 새어나오지 않는다.
한편, 도 9에서 제2주름관 부재(30)는 음료를 마시기 편하도록 구부려져 있으며, 제3주름관 부재(40)는 크기가 작은 음료 용기(100)에 맞추어 휘어져 있다. 특히, 제3주름관 부재(40)에 의해 음료 용기(100)가 작아도 제1주름관 부재(20)를 빨대 삽입공(110)에 삽입하기가 용이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빨대와 음료 용기의 결합구조를 예시한 결합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대한 사시도로서, 이 실시형태는 예를 들어 커피점이나 패스트푸드점 등에서 사용되는 뚜껑(140)을 구비한 음료 용기(100)를 나타낸 것이다. 빨대(10)와 음료 용기(100)의 결합구조는 도 8 및 9에 예시된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10: 빨대
20: 제1주름관 부재
21: 상향 경사진 주름
30: 제2주름관 부재
40: 제3주름관 부재
50: 홈
60: 경사부
70: 물결모양
100: 음료 용기
110: 빨대 삽입공
120: 밀봉부재
130: 걸림부재
140: 뚜껑

Claims (22)

  1. 다수의 주름으로 이루어지되, 적어도 하나의 주름은 상향 경사진 제1주름관 부재를 구비하는 빨대; 및
    빨대의 제1주름관 부재가 삽입되는 빨대 삽입공, 빨대 삽입공의 둘레에 형성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는 음료 용기를 포함하는, 빨대와 음료 용기의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제1주름관 부재의 최대 직경은 빨대 삽입공보다 커서, 제1주름관 부재가 빨대 삽입공에 삽입된 후 제1주름관 부재의 상향 경사진 주름이 걸림부재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와 음료 용기의 결합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향 경사진 주름은 정면에서 봤을 때 역 사다리꼴 형상을 갖고, 걸림부재와 밀착되어 빈틈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와 음료 용기의 결합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빨대 삽입공을 밀봉하는 밀봉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빨대와 음료 용기의 결합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걸림부재 및 빨대는 각각 독립적으로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에틸렌비닐알코올, 나일론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와 음료 용기의 결합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향 경사진 주름의 경사각은 5 내지 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와 음료 용기의 결합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향 경사진 주름의 최대 직경은 주름지지 않은 부분의 직경보다 1 내지 200%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와 음료 용기의 결합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제1주름관 부재의 상부에 다수의 주름으로 이루어진 제2주름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빨대와 음료 용기의 결합구조.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제1주름관 부재의 하부에 다수의 주름으로 이루어진 제3주름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빨대와 음료 용기의 결합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빨대의 말단부는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와 음료 용기의 결합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빨대의 말단부에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와 음료 용기의 결합구조.
  12. 제1항에 있어서,
    빨대의 말단부는 물결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와 음료 용기의 결합구조.
  13. 다수의 주름으로 이루어지되, 적어도 하나의 주름은 상향 경사진 제1주름관 부재를 포함하는 빨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향 경사진 주름은 정면에서 봤을 때 역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15. 제13항에 있어서,
    상향 경사진 주름의 경사각은 5 내지 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16. 제13항에 있어서,
    상향 경사진 주름의 최대 직경은 주름지지 않은 부분의 직경보다 1 내지 200%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17. 제13항에 있어서,
    제1주름관 부재의 상부에 다수의 주름으로 이루어진 제2주름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빨대.
  18. 제13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제1주름관 부재의 하부에 다수의 주름으로 이루어진 제3주름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빨대.
  19. 제13항에 있어서,
    빨대의 말단부는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20. 제13항에 있어서,
    빨대의 말단부에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21. 제13항에 있어서,
    빨대의 말단부는 물결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22. 제13항에 있어서,
    빨대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에틸렌비닐알코올, 나일론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KR1020120061158A 2012-06-07 2012-06-07 엎어져도 내용물이 새지 않는 빨대 KR201301374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158A KR20130137492A (ko) 2012-06-07 2012-06-07 엎어져도 내용물이 새지 않는 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158A KR20130137492A (ko) 2012-06-07 2012-06-07 엎어져도 내용물이 새지 않는 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492A true KR20130137492A (ko) 2013-12-17

Family

ID=49983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158A KR20130137492A (ko) 2012-06-07 2012-06-07 엎어져도 내용물이 새지 않는 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74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7594A (zh) * 2020-12-11 2021-02-26 陕西科技大学 一种可以刮酸奶盒内壁的吸管
KR200497252Y1 (ko) * 2022-09-20 2023-09-12 김윤종 빠짐 방지용 빨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7594A (zh) * 2020-12-11 2021-02-26 陕西科技大学 一种可以刮酸奶盒内壁的吸管
KR200497252Y1 (ko) * 2022-09-20 2023-09-12 김윤종 빠짐 방지용 빨대
WO2024063504A1 (ko) * 2022-09-20 2024-03-28 김윤종 빠짐 방지용 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6804C2 (ru) Защитная муфта
TWI615326B (zh) 樹脂製容器
US11659915B2 (en) Collapsible container with straw
JP6793263B2 (ja) 多目的エコキャップ
EP2559629A1 (en) Cup sleeve
JP7097884B2 (ja) 強化構造を有する折り畳みコップ
US20100288827A1 (en) Lid for cup
WO2014087866A1 (ja) 樹脂製容器
CN106232485B (zh) 具有折叠坝状物的容器
US9617027B2 (en) Plastic container neck configured for use with a fitment
US20150282653A1 (en) Beverage Container
KR20130137492A (ko) 엎어져도 내용물이 새지 않는 빨대
JP5181335B2 (ja) 飲料容器
US10952567B2 (en) Food serving apparatus
US20200102111A1 (en) Recyclable Cup
JP2007301259A (ja) 飲料容器用ストロー
KR100809504B1 (ko) 흘림 방지 조임 빨대
KR20120060391A (ko) 흘림방지 주름 빨대
JP5224865B2 (ja) ラベル付容器および包装ラベル
US20210401154A1 (en) Drinking Bag
KR200407751Y1 (ko) 흘림 방지 조임 빨대
JP5237667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5917848B2 (ja) 容器の折り畳み構造並びにこの容器を用いた食品
KR200431493Y1 (ko) 종이컵
KR20230001367U (ko) 액체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12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8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12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8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401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12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12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8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3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