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7467A -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37467A KR20130137467A KR1020120061113A KR20120061113A KR20130137467A KR 20130137467 A KR20130137467 A KR 20130137467A KR 1020120061113 A KR1020120061113 A KR 1020120061113A KR 20120061113 A KR20120061113 A KR 20120061113A KR 20130137467 A KR20130137467 A KR 201301374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enclosure
- fixing
- support plate
- gas insulat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lass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53—Cases; Reservoirs, tanks, piping or valves, for arc-extinguishing fluid; Accessories therefor, e.g. safety arrangements, pressure relief devi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53—Cases; Reservoirs, tanks, piping or valves, for arc-extinguishing fluid; Accessories therefor, e.g. safety arrangements, pressure relief devices
- H01H33/56—Gas reservoi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02G5/063—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filled with oil or ga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02G5/066—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conductor and enclosure
Landscapes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함 내부에 설치된 플레이트에 지지물을 고정함으로써 가공공수 및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는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스절연모선의 외함 내에 설치되어 연결도체를 지지하는 지지물을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외함 내에 지지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상기 지지물을 고정하는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스절연모선의 외함 내에 설치되어 연결도체를 지지하는 지지물을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외함 내에 지지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상기 지지물을 고정하는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외함 내부에 설치된 플레이트에 지지물을 고정함으로써 가공공수 및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는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계통에 사용되는 가스절연모선(GIB)은 단상 및 삼상 고전압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붓싱에서 전달되는 전원을 가스절연차단기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가스절연모선은 불황산가스(SF6)가 채워지는 외함과, 외함 외측에서 내측으로 결합되는 플랜지, 외함 내부에 결합되어 전류가 흐르는 주도체, 주도체를 연결하는 연결도체, 플랜지와 연결도체 사이를 절연시키는 절연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런 가스절연모선은 외함에 홀을 형성하고, 외함의 외측에 홀을 중심으로 가장자리에 플랜지를 고정시키고, 플랜지에 일단이 외함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여 외함 내부에 위치하도록 플랜지에 커버를 결합하고, 외함 내부에 위치하는 커버의 일단에 절연물을 결합한 후 외함 내부에 연결도체를 삽입하여 주도체를 연결도체에 조립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종래 가스절연모선은 플랜지가 외함 외부에 홀을 중심으로 가장자리에 용접되어 고정되고, 플랜지에 커버가 나사 결합하여 고정되는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외함에 홀을 형성하는 공정, 플랜지를 외함 외부에 용접하여 고정하는 공정, 커버를 플랜지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하는 공정 등이 수반되어, 가공공수 및 부품 수가 많아지며, 이에 따라 자재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외함 내부에 설치된 플레이트에 지지물을 고정함으로써 가공공수 및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는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가스절연모선의 외함 내에 설치되어 연결도체를 지지하는 지지물을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외함 내에 지지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상기 지지물을 고정하는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평판의 접속부; 상기 접속부의 대면하는 양 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며,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함의 내면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지지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평판이고, 상기 평판의 상기 외함과 접촉하는 양단이 상기 외함의 내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도체는 상기 지지물과 결합하는 영역에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물은 상기 수용부 내에서 상기 연결도체와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연결도체를 지지하는 지지물을 고정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외함 내측에 설치함으로써, 외함에 홀을 형성하는 공정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플랜지를 외함 외부에 용접하여 고정하는 공정, 커버를 플랜지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하는 공정은 지지 플레이트를 외함에 설치하는 공정으로 단순화할 수 있다.
따라서, 외함 내부에 설치된 지지 플레이트에 지지물을 고정함으로써 가공공수 및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연결도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연결도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연결도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 1 실시 예)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는 외함(110), 상기 외함(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120),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상에 설치되는 지지물(130), 상기 외함(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류가 흐르는 주도체(140), 상기 주도체(140)를 연결하며, 상기 지지물(130)에 설치되는 연결도체(150)를 포함한다.
상기 외함(110)은 원형의 관 형상으로 내부에 가스가 채워지며, 또한, 내부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상기 지지물(130), 상기 주도체(140) 및 상기 연결도체(150)를 수용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는 상기 외함(110)의 내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물(150)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상에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는 한글‘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평판의 접속부(121) 및 상기 접속부(121)의 대면하는 양 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며, 서로 평행하게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지지단(122, 12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단(122, 123)은 상기 외함(110)의 내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단(122, 123)의 상기 외함(110)의 내면과 접촉하는 부위는 상기 외함(110)에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외함(110)의 내면의 곡면과 동일한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속부(121)에는 결합 홀(121a)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 홀(121a)에는 상기 지지물(150)과의 결합을 위한 제 1 체결 부재(160)가 체결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 1 체결 부재(160)는 나사일 수 있으며, 상기 결합 홀(121a)의 상기 제 1 체결 부재(160)와 접촉하는 면에는 결합이 용이하도록 나사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 1 체결 부재(160)는 일 끝단이 상기 외함(110)의 중심부로 연장되어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에 고정 설치되며, 이하 상기 외함(110)의 중심부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상기 제 1 체결 부재(160)의 일 끝단을 돌출부라고 명명한다.
상기 지지물(130)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지지물(130)에 결합하는 상기 연결도체(150)를 지지하는 한편,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와 상기 연결도체(150)를 절연시키기 위하여 절연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측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물(130)의 일단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에 결합된 상기 제 1 체결 부재(160)와 결합하여, 상기 지지물(130)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물(130)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체결 부재(160)와의 결합을 위하여 제 1 체결 홈(13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도체(150) 측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물(130)의 타단에는 상기 제 2 체결 홈(132)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도체(150)는 상기 주도체(140)를 상기 외함(110) 내에서 연결하며, 상기 지지물(130)의 타단에 결합하여, 상기 지지물(130)에 의해 상기 외함(110)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와 절연된 상태로 상기 지지물(13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연결도체(150)는 상기 지지물(130)의 타단에 제 2 체결 부재(170)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체결 부재(170)는 나사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도체(150)는 양단에 개방구(151, 152)가 형성된 관형으로서, 상기 연결도체(150)의 개방구(151, 152)에는 각각 상기 주도체(140)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연결도체(150)에는 상기 제 2 체결 부재(170)에 의한 상기 지지물(130)에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 2 체결 부재(170)가 결합하는 결합공(15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공(153)은 대략 상기 연결도체(150)의 가운데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균형을 유지하는데 유리하여 상기 지지물(130)에 결합시킴에 있어서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물(130)에 형성되는 제 2 체결 홈(132)와 대응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지지물(130)을 지지 및 고정하는 지지 플레이트(120)를 외함(110)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지지 플레이트(120)에 의해 상기 외함(110) 내부에서 연결도체(150)의 위치가 중심에서 벗어나게 된다.
하지만, 지지 플레이트(120)를 외함(110) 내부에 채용하기 위하여 외함(110)의 내경을 변경하는 것은 설비 변경에 따른 비용이 증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외함(110)의 내경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상기 연결도체(150)의 중심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의 추가에 의한 높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도체(150)의 상기 지지물(130)과 결합하는 영역에 수용부(154)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수용부(154)는 홈으로서, 상기 지지물(130)이 상기 연결도체(150)의 상기 수용부(154) 내에서 상기 연결도체(150)와 결합하므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의 설치에 따른 높이 차를 보상할 수 있어, 외함(110)의 내경을 변경하지 않고서도 상기 연결도체(150)를 상기 외함(110) 내의 중심에 위치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수용부(154)의 높이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가 설치됨에 따른 높이 차를 고려하여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설정되어야만 할 것이다.
(제 2 실시 예)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를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와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상술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와 지지 플레이트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즉, 본 제 2 실시 예에 따른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에 있어서의 지지 플레이트(120´)는 결합 홀(124)이 형성된 평판으로서, 상기 외함(110)과 접촉하는 양단이 상기 외함(110)의 내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의 상기 외함(110)의 내면과 접촉하는 부위는 상기 외함(110)에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외함(110)의 내면의 곡면과 동일한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 홀(124)에는 지지물(130)을 고정하기 위한 제 1 체결 부재(160)가 체결되며, 제 1 체결 부재(160)에 의해 지지물(130)이 지지 플레이트(120´)에 고정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외함에 홀을 형성하고, 연결도체를 지지하는 절연물을 고정하는 커버의 일단을 외함 외측에서 외함 내부로 삽입하는 구조여서, 외함에 홀을 형성하는 공정, 플랜지를 외함 외부에 용접하여 고정하는 공정, 커버를 플랜지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하는 공정 등이 수반되어, 가공공수 및 부품 수가 많아지며, 이에 따라 자재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연결도체를 지지하는 지지물을 고정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외함 내측에 설치함으로써, 외함에 홀을 형성하는 공정을 줄일 수 있으며, 플랜지를 외함 외부에 용접하여 고정하는 공정, 커버를 플랜지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하는 공정은 지지 플레이트를 외함에 설치하는 공정으로 단순화할 수 있다.
따라서, 외함 내부에 설치된 플레이트에 지지물을 고정함으로써 가공공수 및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고, 그와 같은 변형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0 : 외함 120, 120´ : 지지 플레이트
121 : 접속부 121a, 124 : 결합 홀
122 : 제 1 지지단 123 : 제 2 지지단
130 : 지지물 131 : 제 1 체결 홈
132 : 제 2 체결 홈 140 : 주도체
150 : 연결도체 151, 152 : 개방구
153 : 결합공 154 : 수용부
160 : 제 1 체결 부재 170 : 제 2 체결 부재
121 : 접속부 121a, 124 : 결합 홀
122 : 제 1 지지단 123 : 제 2 지지단
130 : 지지물 131 : 제 1 체결 홈
132 : 제 2 체결 홈 140 : 주도체
150 : 연결도체 151, 152 : 개방구
153 : 결합공 154 : 수용부
160 : 제 1 체결 부재 170 : 제 2 체결 부재
Claims (4)
- 가스절연모선의 외함 내에 설치되어 연결도체를 지지하는 지지물을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외함 내에 지지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상기 지지물을 고정하는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평판의 접속부;
상기 접속부의 대면하는 양 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며,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함의 내면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지지단을 포함하는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평판이고,
상기 평판의 상기 외함과 접촉하는 양단이 상기 외함의 내면에 고정 설치되는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도체는 상기 지지물과 결합하는 영역에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물은 상기 수용부 내에서 상기 연결도체와 결합하는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1113A KR20130137467A (ko) | 2012-06-07 | 2012-06-07 |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1113A KR20130137467A (ko) | 2012-06-07 | 2012-06-07 |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7467A true KR20130137467A (ko) | 2013-12-17 |
Family
ID=49983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1113A Withdrawn KR20130137467A (ko) | 2012-06-07 | 2012-06-07 |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137467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2633B1 (ko) | 2015-06-17 | 2016-10-05 |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 건설기계의 오토 아이들 제어 장치 및 방법 |
KR20160148997A (ko) | 2015-06-17 | 2016-12-27 |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 건설기계의 오토 아이들 제어 장치 및 방법 |
KR20160148995A (ko) | 2015-06-17 | 2016-12-27 |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 건설기계의 오토 아이들 제어 장치 및 방법 |
KR20160148996A (ko) | 2015-06-17 | 2016-12-27 |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 건설기계의 오토 아이들 제어 장치 및 방법 |
KR20160148998A (ko) | 2015-06-17 | 2016-12-27 |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 건설기계의 오토 아이들 제어 장치 및 방법 |
-
2012
- 2012-06-07 KR KR1020120061113A patent/KR20130137467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2633B1 (ko) | 2015-06-17 | 2016-10-05 |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 건설기계의 오토 아이들 제어 장치 및 방법 |
KR20160148997A (ko) | 2015-06-17 | 2016-12-27 |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 건설기계의 오토 아이들 제어 장치 및 방법 |
KR20160148995A (ko) | 2015-06-17 | 2016-12-27 |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 건설기계의 오토 아이들 제어 장치 및 방법 |
KR20160148996A (ko) | 2015-06-17 | 2016-12-27 |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 건설기계의 오토 아이들 제어 장치 및 방법 |
KR20160148998A (ko) | 2015-06-17 | 2016-12-27 |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 건설기계의 오토 아이들 제어 장치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31799B2 (en) | Structure of three-phase integrated bus in gas insulated switchgear | |
KR101693454B1 (ko) | 모선 접속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스위치 기어 | |
KR20130137467A (ko) |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 | |
RU2633515C2 (ru) | Токоведущая шина | |
KR101301963B1 (ko) | 접지 안정성이 강화된 열반용 부싱 | |
WO2019010890A1 (zh) | 一种gis设备及其三相共箱母线筒体 | |
CN101375477A (zh) | 用于电气装置的电流导体,特别是用于中电压电气设备的汇流条导体 | |
CN206532896U (zh) | 一种母线连接器及使用该连接器的开关柜并柜结构 | |
KR100672960B1 (ko) | 부스바 지지대 | |
CN107615435B (zh) | 真空断路器 | |
KR101189520B1 (ko) | 전압 감지 기능을 내장한 고?저압 벽관통형 부싱 | |
KR100709981B1 (ko) | 수배전반 배선용 차단기 | |
CN103618217B (zh) | 一种开关柜用模块化母线室 | |
US9270093B2 (en) | Compact medium voltage air insulated switchgear using rear mounted current transformers and bushings of different length | |
JPS59204406A (ja) | ガス絶縁開閉装置 | |
JP4490486B2 (ja) | 高電圧スイッチギア・アセンブリ | |
CN105009393A (zh) | 用于gis的固定装置 | |
CN211237964U (zh) | 一种适用于10kV小型化开关柜的电流互感器 | |
KR101126365B1 (ko) | 가스절연모선 및 조립방법 | |
KR200402632Y1 (ko) | 변류기 케이스 | |
KR20130007207U (ko) |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 | |
CN208256385U (zh) | 带电显示支柱绝缘子及开关柜 | |
JP2002354616A (ja) | 引出形電気機器の収納枠 | |
CN220122467U (zh) | 空气绝缘计量柜及开关柜并柜结构 | |
CN110289584B (zh) | 一种应用于母线的接地线铜排连接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